KR102182703B1 - 인쇄 헤드 모듈 - Google Patents

인쇄 헤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703B1
KR102182703B1 KR1020170051840A KR20170051840A KR102182703B1 KR 102182703 B1 KR102182703 B1 KR 102182703B1 KR 1020170051840 A KR1020170051840 A KR 1020170051840A KR 20170051840 A KR20170051840 A KR 20170051840A KR 102182703 B1 KR102182703 B1 KR 102182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rint head
dimensional
nozzle
ai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5663A (ko
Inventor
자-훙 황
밍-엔 호
쥔-시앙 황
지아-이 주앙
양-테 리
Original Assignee
엑스와이지프린팅, 인크.
킨포 일렉트로닉스,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스와이지프린팅, 인크., 킨포 일렉트로닉스,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엑스와이지프린팅, 인크.
Publication of KR20180055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12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individual droplets, e.g. from jett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95He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3 차원 인쇄 장치의 인쇄 헤드 모듈은 3 차원 인쇄 헤드, 잉크젯 인쇄 헤드 및 베이킹 모듈을 구비한다. 3 차원 인쇄 헤드는 복수개의 스택 층들을 인쇄하도록 베이스 물질 노즐 및 용융 모듈을 구비한다. 잉크젯 인쇄 헤드는 3 차원 인쇄 헤드에 연결되고 각각의 스택 층에 잉크를 분배하도록 잉크 노즐을 구비한다. 베이킹 모듈은 3 차원 인쇄 헤드와 잉크젯 인쇄 헤드 사이에 배치되고, 팬, 배출 케이싱 및 가열 모듈을 구비한다. 팬은 베이스를 향하는 공기 배출 측을 구비하여 공기 유동을 제공한다. 배출 케이싱은 공기 배출 측에 배치된다. 가열 모듈은 팬과 배출 케이싱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 유동을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 유동은 잉크 층을 건조시키도록 배출 케이싱을 통하여 밖으로 송풍된다.

Description

인쇄 헤드 모듈{PRINTING HEAD MODULE}
본 발명은 인쇄 헤드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베이킹 모듈(baking module)을 가지는 인쇄 헤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콤퓨터 보조 제조(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M))의 발전과 함께, 3 차원 인쇄 기술(3-D 인쇄 기술)이 제조업에서 개발되었으며, 이것은 원본 개념 디자인(original concept design)에 기초하여 물리적인 고체 대상물을 매우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다. 3 차원 인쇄는 사실상 일련의 신속 프로토타이핑 기술(rapid prototyping technologies; RP 기술)과 그것의 기본 원리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이며, 그 개념은 라미네이트 제조로서, 여기에서 RP 기계는 가공 대상물의 단면 형상을 얻도록 X-Y 평면을 따라서 원형 가공 대상물(prototype work piece)을 스캐닝한다. 프로브(probe)는 궁극적으로 3 차원 대상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슬라이스(slice)의 두께로써 층별로 Z 좌표에서 간헐적으로 변위된다. 3 차원 인쇄는 원형(prototype)을 가진 기하 형상들에 대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가공 대상물이 복잡할수록, RP 기술은 더욱 우수하여 노력 및 공정 시간을 크게 절감시킨다. 결과적으로, 콤퓨터 보조 설계(CAD)에 의해 주어진 디지털 3 차원 모델은 가장 짧은 시간 요건하에서 현실 그대로 드러날 수 있으며, 모델은 매우 뚜렷할 뿐만 아니라, 기하학적 곡선이 실제로 감지된다. 사용자는 모델의 조립 성능을 시도할 수 있고, 심지어 그것의 가능한 기능 시험을 할 수도 있다.
융합 증착 모델(fused deposition modeling; FDM)을 예로 들면, 이것은 성형 물질을 와이어로 전환시키고 성형 물질을 가열 및 용융시킴으로써, 3 차원 대상물을 형성하도록 소망의 형상/윤곽에 따라서 성형 스테이지상에 층별로 물질을 적층시킨다. 따라서, 통상적인 컬러 융합 증착 모델링 3 차원 인쇄 방법에서, 3 차원 대상물이 완성된 이후에 외부가 항상 컬러로 채색되거나, 또는 3 차원 대상물이 컬러 성형 물질을 이용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 컬러 잉크는 3 차원 대상물의 외측 표면에만 도포되는데, 이는 컬러 표현 및 가변성에 있어서 약간 뒤떨어질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단일의 컬러 와이어 물질이 컬러 대상물을 형성하도록 항상 이용된다. 따라서 컬러 표현 및 가변성이 뒤떨어질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컬러들을 형성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예를 들어, 다양한 컬러들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이한 컬러들의 와이어 물질들로 반복하여 전환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컬러의 3 차원 대상물을 제조하는 효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인쇄 헤드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3 차원 대상물이 우수한 컬러 표현 및 가변성을 가지게 하는 인쇄 헤드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3 차원 대상물을 인쇄하도록 3 차원 인쇄 장치의 베이스 위에 배치된 인쇄 헤드 모듈은 3 차원 인쇄 헤드, 잉크젯 인쇄 헤드 및 베이킹 모듈을 구비한다. 3 차원 인쇄 헤드는 복수개의 스택 층(stacking layers)들을 형성하도록 베이스상에 3 차원 인쇄 베이스 물질(printing base material)을 용융시키고 인쇄하는 베이스 물질 노즐(base material nozzle) 및 용융 모듈(melting module)을 구비한다. 잉크젯 인쇄 헤드는 3 차원 인쇄 헤드에 연결되고, 복수개의 잉크 층들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스택 층에 잉크를 분배하는 잉크 노즐을 구비한다. 베이킹 모듈은 3 차원 인쇄 헤드와 잉크젯 인쇄 헤드 사이에 배치되고, 팬 모듈, 배출 케이싱 및 가열 모듈을 구비한다. 팬 모듈은 공기 유동을 제공하도록 베이스를 향하는 공기 배출 측을 구비한다. 배출 케이싱은 공기 배출측에 배치된다. 가열 모듈은 공기 유동을 가열하도록 배출 케이싱과 팬 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가열 모듈에 의해 가열된 공기 유동은 각각의 스택 층상의 각각의 잉크를 베이킹 및 건조시키기 위하여 배출 케이싱 밖으로 송풍된다.
본 발명에서, 3 차원 대상물을 인쇄하도록 3 차원 인쇄 장치의 베이스 위에 배치된 인쇄 헤드 모듈은 3 차원 인쇄 헤드, 잉크젯 인쇄 헤드, 팬 모듈 및 베이킹 모듈을 구비한다. 3 차원 인쇄 헤드는 복수개의 스택 층들을 형성하도록 베이스상에 3 차원 인쇄 베이스 물질을 용융시키고 인쇄하는 베이스 물질 노즐 및 용융 모듈을 구비한다. 잉크젯 인쇄 헤드는 3 차원 인쇄 헤드에 연결되고 복수개의 잉크 층들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스택 층에 잉크를 분배하는 잉크 노즐을 구비한다. 팬 모듈은 공기 유동을 제공하도록 3 차원 인쇄 헤드의 공급 채널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공급 채널은 베이스 물질 노즐에 연결된다. 베이킹 모듈은 팬 모듈의 공기 배출 측에 배치되고 배출 케이싱을 구비한다. 배출 케이싱은 베이스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공기 유동은 가열되도록 공급 채널로 유동하고, 각각의 스택 층상의 각각의 잉크 층을 베이킹 및 건조시키도록 배출 케이싱의 밖으로 송풍된다.
상기에 비추어, 본 발명의 인쇄 헤드 모듈은 잉크젯 인쇄 헤드 및 베이킹 모듈을 더 구비한다. 따라서, 3 차원 인쇄 헤드가 베이스상에 스택 층들을 인쇄한 후에, 스택 층들은 스택 층들 각각에 잉크 층을 분배하는 잉크젯 인쇄 헤드를 이용함으로써 컬러 채색될 수 있다. 차후에, 베이킹 모듈이 이용되어 잉크 층을 베이킹 및 건조시킴으로써 컬러 스택 층들을 형성할 수 있다. 스택 층들 및 잉크 층들은 컬러 3 차원 대상물을 형성하도록 서로의 위에 번갈아서 적층된다. 본 발명의 인쇄 헤드 모듈로써, 컬러 3 차원 대상물은 3 차원 인쇄 베이스 물질을 상이한 컬러들로 반복적으로 전환시키지 않으면서 인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택 층들을 컬러 채색하기 위하여 잉크를 분배하는 잉크젯 인쇄 헤드를 채용함으로써, 컬러 표현 및 3 차원 목적물의 다양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쇄 헤드 모듈은 인쇄 품질 및 설계 융통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언급된 특징들 및 장점들이 더욱 잘 이해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들을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헤드 모듈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킹 모듈의 요소들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헤드 모듈의 부분적인 요소들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헤드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인쇄 작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헤드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베이킹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 헤드 모듈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 은 도 6 에서 인쇄 헤드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베이킹 작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기 언급되거나 또는 다른 관련된 기술적 원리 및 그것의 특징들과 효과들은 다음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명확하게 제시된다. "상부", "저부", "전방", "후방", "좌측", "우측" 등과 같이 방향 또는 방위에 관한 이후의 표현들중 일부는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첨부된 도면에서 나타내기 위한 방향들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다음의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부호 또는 유사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표시하도록 이용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헤드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킹 모듈(baking module)의 요소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인쇄 헤드 모듈(100)은 3 차원 인쇄 장치(10)상에 배치되어 디지털 3 차원 모델에 따라서 3 차원 대상물(20)을 인쇄하도록 구성된다. 3 차원 인쇄 장치(10)는 인쇄 헤드 모듈(100) 및 베이스(200)를 구비한다. 인쇄 장치(10)는 인쇄 헤드 모듈(100) 및 베이스(200)를 구비한다. 인쇄 헤드 모듈(100)은 베이스(200) 위에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3 차원 인쇄 장치(10)는 디지털 3 차원 모델을 독출하고 인쇄 헤드 모듈(100)을 제어하여 베이스(200)에 대하여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콘트롤러(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디지털 3 차원 모델은 예를 들어 콤퓨터 보조 디자인(computer aided design, CAD) 또는 애니메이션 모델링 소프트웨어등을 통하여 콤퓨터 호스트에 의해 구성된 디지털 3 차원 이미지 파일일 수 있다.
더욱이, 베이스(200)는 인쇄 헤드 모듈(100)에 의해 인쇄된 잉크 층(24) 및 스택 층(stacking layer, 22)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표면(210)을 가진다. 인쇄 헤드 모듈(100)은 베이스(200)의 위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실시예에서, 3 차원 인쇄 장치(10)는 도 1 에 도시된 인쇄 헤드 모듈(100)에 연결된 3 차원 인쇄 베이스 재료(4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인쇄 헤드 모듈(100)의 공급 채널을 통해 베이스 물질 노즐(112)에 진입하여 가열 및 용융되고, 복수개의 스택 층(22)을 형성하도록 베이스(200)의 유지 표면(210)상에 베이스 물질 노즐(112)에 의해 층별로 압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구성을 가지고, 층들에 의해 형성된 스택 층(22)은 3 차원 대상물(20)을 형성하도록 유지 표면(210)상에서 차례로 상부에 적층된다. 상세하게는, 3 차원 인쇄 베이스 물질(400)은 융합 필라멘트 제조(Fused Filament Fabrication, FFF) 방법, 용융 및 압출 모델링 방법(Melted and Extrusion Modeling method)과 같은 인쇄 방법들에 적용 가능한 열 플라스틱 재료(thermal plastic material)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의 3 차원 인쇄 장치(10)는 베이스(200) 및 인쇄 헤드 모듈(100)을 구비한다. 인쇄 헤드 모듈(100)은 3 차원 인쇄 헤드(110), 잉크젯 인쇄 헤드(120) 및 베이킹 모듈(baking module, 130)을 구비한다. 베이스(200)는 유지 표면(210)을 가진다. 3 차원 인쇄 헤드(110)는 베이스(200)의 유지 표면(210) 위에 배치되고, 3 차원 인쇄 헤드(110)는 베이스 물질 노즐(112) 및 용융 모듈(114)을 구비한다. 용융 모듈(114)은 3 차원 인쇄 베이스 물질(400)을 용융시키도록 구성된다. 이후에, 베이스 물질 노즐(112)은 도 1 에 도시된 복수개의 스택 층(22)들을 형성하도록 베이스(200)의 유지 표면(210)상에 용융된 3 차원 인쇄 베이스 물질(400)을 인쇄한다. 잉크젯 인쇄 헤드(120)는 유지 표면(210) 위에 배치되고 3 차원 인쇄 헤드(110)에 연결된다. 베이킹 모듈(130)은 3 차원 인쇄 헤드(110)와 잉크젯 인쇄 헤드(120) 사이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3 차원 인쇄 헤드(110), 베이킹 모듈(130) 및 잉크젯 인쇄 헤드(120)가 유지 표면(210)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잉크젯 인쇄 헤드(120)는 복수개의 잉크 층(24)들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스택 층(22)상에 잉크를 분배하는 잉크 노즐(120)을 구비한다. 실시예에서, 잉크젯 인쇄 헤드(120)에 의해 분배되는 잉크는 컬러 잉크일 수 있다. 그러한 구성을 가지고, 실시예에서, 3 차원 인쇄 헤드(110)가 스택 층(22)을 베이스(200)상에 인쇄한 이후에, 잉크젯 인쇄 헤드(120)는 스택 층(22)의 상부 표면 및 측부 표면으로 잉크 층(24)을 분배하여 스택 층(22)을 채색할 수 있다. 이후에, 베이킹 모듈(130)은 잉크 층(24)을 베이킹 및 건조시켜서 컬러 스택 층(22)을 형성하도록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단계들은 3 차원 대상물(20)을 형성하기 위하여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차례로 상부에 번갈아서 적층되는 복수개의 스택 층(22) 및 복수개의 잉크 층(24)을 형성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것에 의하여, 3 차원 인쇄 헤드(110)는 3 차원 인쇄 베이스 물질(440) 사이에서 상이한 컬러들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전환되지 않으면서 컬러 3 차원 대상물(20)을 인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킹 모듈(130)은 팬 모듈(fan module, 132), 배출 케이싱(discharge casing, 134) 및, 가열 모듈(136)을 구비한다. 팬 모듈(132)은 유지 표면(210)을 향하는 공기 배출 측(132a)을 구비하여 공기 유동을 유지 표면(210)으로 제공하다. 배출 케이싱(134)은 공기 배출 측(132a)상에 배치된다. 가열 모듈(136)은 팬 모듈(132)과 배출 케이싱(134)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 유동을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 유동은 배출 케이싱(134)의 외부로 송풍된다; 따라서, 가열된 공기 유동은 각각의 스택 층(22)상에서 잉크 층(24)을 베이킹 및 건조시키도록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가열 모듈(136)에 의해 가열된 공기 유동의 온도는 대략 섭씨 65 도 내지 70 도이다. 또한, 베이킹 모듈(130)은 하우징(138)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가열 모듈(136)은 하우징(138) 안에 배치된다. 팬 모듈(132) 및 배출 케이싱(134)은 각각 하우징(138)의 2 개의 대향 측상에 배치된다. 더욱이, 이 실시예의 팬 모듈(132)은 복수개의 나사들과 같은 고정 요소들을 통하여 공기 배출측(132a)에 의해 하우징(138)에 고정된다.
그러한 구성으로써, 실시예는 인쇄 헤드 모듈(100)에 결합된 콘트롤러(300)를 채용하여 이동의 데이터 지점(datum point of the movement)으로서 3 차원 인쇄 헤드(110)의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인쇄 헤드 모듈(100)을 제어함으로써, 3 차원 인쇄 헤드(110)는 스택 층(22)을 유지 표면(210)상에 인쇄한다. 다음에, 인쇄 헤드 모듈(100)은 이동의 데이터 지점으로서 잉크 제트 인쇄 헤드(120)의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됨으로써, 잉크 제트 인쇄 헤드(120)는 잉크 층(24)을 각각의 스택 층(22)상에 분배한다. 다음에, 이동의 데이터 지점으로서 베이킹 모듈(130)의 방식으로 움직이도록 제어됨으로써, 베이킹 모듈(130)은 잉크젯 인쇄 헤드(120)의 분배 경로를 따라서 스택 층(22)상의 잉크 층(24)을 베이킹 및 건조한다. 상기 설명된 단계들을 반복함으로써, 서로의 위에 번갈아서 적재된 스택 층(22) 및 잉크 층(24)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3 차원 대상물(20)을 구성한다.
실시예에서, 배출 케이싱(134)의 유출부(134a)(즉, 공기 유출부)와 잉크젯 인쇄 헤드(120)의 잉크 노즐(122) 사이에 특정의 거리가 유지됨으로써 베이킹 모듈(130)의 밖으로 송풍된 공기 유동이 잉크젯 인쇄 헤드(120) 안의 잉크를 건조시키는 것이 억제되어야 하며, 이러한 건조는 잉크 노즐(122)을 막히게 한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배출 케이싱(134)의 유출부(134a)와 잉크젯 인쇄 헤드(120)의 잉크 노즐(122) 사이의 최단 수평 거리(D1)는 대략 적어도 35 mm 보다 크다. 더욱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케이싱(134)의 유출부(134a)와 잉크젯 인쇄 헤드(120)의 잉크 노즐(122) 사이의 최단 수평 거리(D1)는 대략 35 mm 내지 50 mm 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헤드 모듈의 부분적인 요소들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헤드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인쇄 작용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헤드 모듈에 의하여 수행되는 베이킹 작용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인쇄 헤드 모듈(100)은 도 4 에서와 같이 열 소산 팬(heat dissipation fan, 140) 및 노즐 공기 도관(nozzle air duct, 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열 소산 팬(140)은 3 차원 인쇄 헤드(110)의 공급 채널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공급 채널은 베이스 물질 노즐(112)에 연결되어 3 차원 인쇄 베이스 물질(400)을 베이스 물질 노즐(112)로 전달한다. 노즐 공기 도관(150)은 열 소산 팬(140)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노즐 공기 유출부(152)를 구비한다. 노즐 공기 유출부(152)는 베이스(200)의 유지 표면(210)과 베이스 물질 노즐(112)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한 구성으로써, 열 소산 팬(140)은 냉각 공기 유동(A1)을 제공할 수 있으며, 냉각 공기 유동은 공급 채널을 통하여 노즐 공기 도관(150)의 노즐 공기 유출부(152)로 유동한다. 따라서, 공급 채널을 통해 유동하는 냉각 공기 유동(A1)은 우선 가열되고 다음에 노즐 공기 유출부(152)의 밖으로 유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노즐 공기 유출부(152)는 유지 표면(210)상의 3 차원 대상물(2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어서 베이스 물질 노즐(112)에 의해 유지 표면(210)상에 압출된 3 차원 인쇄 베이스 물질(400)(스택 층(22))을 간접적으로 냉각시키고, 3 차원 대상물(20)의 냉각 및 경화 속도를 느리게 하여, 급속한 냉각 때문에 3 차원 대상물(20)에 금이 가는 것(cracking)을 방지한다. 실시예에서, 노즐 공기 유출부(152)의 밖으로 유동하는 냉각 공기 유동(A1)의 온도는 가열 모듈(136)에 의해 가열되는 (팬 모듈(132)에 의해 제공되는) 공기 유동(A2)의 온도보다 대략 낮다. 예를 들어, 노즐 공기 유출부(152)의 밖으로 유동하는 냉각 공기 유동(A1)의 온도는 대략 섭씨 30 도 내지 50 도인 반면에, 가열 모듈(136)에 의해 가열되는 (팬 모듈(132)에 의해 제공되는) 공기 유동(A2)의 온도는 대략 섭씨 65 도 내지 70 도이다.
더욱이, 열 소산 팬(140)에 의해 제공되는 냉각 공기 유동(A1)은 3 차원 인쇄 헤드(110)의 공급 채널을 통하여 우선 유동하여 공급 채널을 냉각시킨다. 차후에, 높은 온도를 가지고 공급 채널을 통해 유동하는 냉각 공기 유동은 노즐 공기 도관(150)으로 유동하여 노즐 공기 도관(150)에서 냉각된다. 마지막으로, 약간 차가운 냉각 공기 유동(A1)은 노즐 공기 유출부(152)로 유동하여 베이스 물질 노즐(112)에 의해 압출된 스택 층(22)을 냉각시킨다. 즉, 열 소산 팬(140)에 의해 처음에 제공된 냉각 공기 유동(A1)은 제 1 온도를 가지고; 공급 채널을 통해 유동하는 냉각 공기 유동(A1)은 제 2 온도를 가지고; 제 2 온도는 제 1 온도보다 높다. 최종적으로, 노즐 공기 유출부(152)의 밖으로 유동하는 냉각 공기 유동(A1)은 제 3 온도를 가지고, 제 3 온도는 제 1 온도 내지 제 2 온도 사이의 범위이다. 예를 들어, 제 1 온도는 대략 섭씨 20 도 내지 30 도이다; 제 2 온도는 대략 섭씨 100 도이다; 제 3 온도는 대략 섭씨 30 도 내지 70 도이다. 따라서, 실시예의 인쇄 헤드 모듈(100)은 낮은 온도를 가지는, 열 소산 팬(140)에 의해 제공된 냉각 공기 유동(A1)을 채용하여 공급 채널(220)의 열을 직접적으로 소산시킬 수 있고, 높은 온도를 가지는, 공급 채널(220)을 통하여 유동하는 냉각 공기 유동(A1)을 채용하여, 베이스 물질 노즐(112)에 의해 압출된 스택 층(22)을 냉각시킴으로써 3 차원 대상물(20)이 급속한 냉각 때문에 금이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 헤드 모듈을 타나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 은 도 6 의 인쇄 헤드 모듈에 의해 수행된 베이킹 작용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실시예의 인쇄 헤드 모듈(100a)은 도 1 의 인쇄 헤드 모듈(100)과 유사하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도록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들 뿐만 아니라 이전 실시예에서의 부분적인 설명들을 채용한다. 동일한 기술적 내용은 생략된다. 생략된 설명들에 대해서는 이전의 실시예를 참조하기로 한다. 반복되는 설명이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면, 다음의 설명은 도 1 의 인쇄 헤드 모듈(100)과 상기 실시예의 인쇄 헤드 모듈(100a) 사이의 차이를 설명하도록 전용된다.
이 실시예의 인쇄 헤드 모듈(100a)은 3 차원 인쇄 헤드(110), 잉크젯 인쇄 헤드(120), 팬 모듈(140a) 및 베이킹 모듈(130a)을 구비한다. 실시예에서, 팬 모듈(140a)은 공기 유동을 제공하도록 3 차원 인쇄 헤드(110)의 공급 채널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팬 모듈(140a)은 팬 모듈(140a)의 공기 배출 측(142)에 대하여 공기 유입 측(144)에 의하여 3 차원 인쇄 헤드(110)의 공급 채널에 고정된다. 즉, 팬 모듈(140a)은 공기를 압출시킴으로써 열을 소산시켜서, 공기 유동은 가열되는 공급 채널을 통해 유동하고 다음에 공기 배출 측(142)을 통해 배출된다.
베이킹 모듈(130a)은 팬 모듈(140a)의 공기 배출 측(142)상에 배치되고 배출 케이싱(134)을 구비한다. 배출 케이싱(134)은 베이스의 유지 표면(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지 표면(210))을 향한다. 따라서, 공기 유동은 가열되는 공급 채널을 통해 유동하고, 공급 채널에 의해 가열되는 공기 유동은 공기 배출 측(142)을 통해 배출된다. 공기 유동의 적어도 일부는 베이킹 모듈(130a)에 진입하고 배출 케이싱(134)을 통해서 밖으로 송풍됨으로써, 가열된 공기 유동은 유지 표면상의 스택 층(22)들 각각에 있는 잉크 층(24)들 각각을 베이킹 및 건조하도록 이용된다. 그러한 구성으로써, 실시예의 인쇄 헤드 모듈(100a)은 팬 모듈(140a)에 의하여 제공되는, 낮은 온도를 가지는 공기 유동을 채용할 수 있어서, 공급 채널의 열을 직접적으로 소산시킨다. 높은 온도를 가지는, 공급 채널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 유동은 베이킹 모듈(130a)로 안내되고 유지 표면을 향하는 배출 케이싱(134)에 의해 밖으로 송풍됨으로써 유지 표면상의 각각의 스택 층(22)에 있는 각각의 잉크 층(24)을 베이킹 및 건조시킨다. 요약하면, 이 실시예는 잉크 층(24)을 건조시키도록 공급 채널의 열을 소산시키는 재순환된 공기 유동을 이용하기 때문에, 열 소산 모듈 및 추가적인 팬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요소들의 구성은 단순화된다. 더욱이, 실시예에서, 배출 케이싱(232)의 유출부와 잉크젯 인쇄 헤드(120)의 잉크 노즐 사이의 최단 수평 거리(D1')는 50 mm 보다 크지 않아서 베이킹 모듈(130a) 밖으로 송풍되는 공기 유동이 잉크젯 인쇄 헤드(120)의 잉크를 건조시키는 것을 억제하고 잉크젯 인쇄 헤드가 막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위의 설명을 요약하면, 본 발명의 인쇄 헤드 모듈은 잉크젯 인쇄 헤드 및 베이킹 모듈을 더 구비한다. 따라서, 3 차원 인쇄 헤드가 베이스 상에 스택 층을 인쇄한 후에, 잉크젯 인쇄 헤드는 스택 층상에 잉크 층을 분배하여 스택 층을 채색하도록 채용된다. 이후에, 베이킹 모듈은 잉크 층을 베이킹 및 건조하여 컬러로 채색된 스택 층을 형성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킹 모듈은 팬, 배출 케이싱 및 가열 모듈을 구비한다. 가열 모듈은 팬과 배출 케이싱 사이에 배치되어 팬에 의해 제공된 공기 유동을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 유동은 각각의 스택 층상의 각각의 잉크 층을 베이킹 및 건조시키기 위하여 배출 케이싱을 통하여 외부로 송풍된다. 따라서, 스택 층 및 잉크 층은 번갈아서 서로의 위에 적층되어 컬러로 채색된 3 차원 대상물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팬 모듈은 3 차원 인쇄 헤드의 공급 채널상에 배치되어 공기 유동에 저온을 제공함으로써 공급 채널의 열을 직접적으로 소산시킨다. 더욱이, 베이킹 모듈은 공급 채널을 통해 유동하는 가열된 공기 유동을 배출 케이싱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고 가열된 공기 유동은 베이스를 향하여 밖으로 송풍됨으로써, 잉크 층을 베이킹 및 건조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쇄 헤드 모듈은 3 차원 인쇄 베이스 물질들 사이에서 상이한 컬러들로 반복적으로 전환됨이 없이 칼러 3 차원 대상물을 인쇄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잉크젯 인쇄 헤드를 이용하여 잉크를 분배함으로써 스택 층을 컬러로 채색하고, 이것은 3 차원 대상물의 가변성 및 컬러 표현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쇄 헤드 모듈은 디자인 융통성 뿐만 아니라 인쇄 품질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위의 실시예들에 의해 개시되었을지라도,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을 이탈하지 않으면서 개시된 내용의 구조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속한다.
10. 3 차원 인쇄 장치 20. 3 차원 대상물
24. 유지 표면 100. 인쇄 헤드 모듈
200. 베이스 300. 콘트롤러

Claims (14)

  1. 3 차원 대상물을 인쇄하도록 3 차원 인쇄 장치의 베이스 위에 배치되는 인쇄 헤드 모듈로서, 상기 인쇄 헤드 모듈은:
    복수개의 스택 층들을 형성하도록 베이스상에 3 차원 인쇄 베이스 물질을 용융 및 인쇄시키는 베이스 물질 노즐과 용융 모듈을 포함하는, 3 차원 인쇄 헤드;
    3 차원 인쇄 헤드에 연결된 잉크젯 인쇄 헤드로서, 복수개의 잉크 층들을 형성하도록 스택 층들 각각에 잉크를 분배하는 잉크 노즐을 포함하는, 잉크젯 인쇄 헤드; 및,
    3 차원 인쇄 헤드와 잉크젯 인쇄 헤드 사이에 배치된 베이킹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킹 모듈은:
    공기 유동을 제공하도록 베이스를 향하는 공기 배출측을 포함하는, 팬 모듈;
    공기 배출측상에 배치된 배출 케이싱; 및,
    팬 모듈과 배출 케이싱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 유동을 가열하는 가열 모듈로서, 가열 모듈에 의해 가열된 공기 유동은 배출 케이싱을 통하여 배출되어 스택 층들 각각에 있는 잉크 층들 각각을 베이킹(baking) 및 건조시키도록 배출 케이싱을 통하여 배출되는, 가열 모듈;을 포함하는, 인쇄 헤드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킹 모듈은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가열 모듈은 하우징내에 배치되고, 팬 모듈 및 배출 케이싱은 하우징의 2 개의 대향하는 측들에 배치되는, 인쇄 헤드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팬 모듈은 공기 배출 측에 의하여 하우징에 고정되는, 인쇄 헤드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배출 케이싱의 유출부와 잉크 노즐 사이의 최단 수평 거리는 35 mm 내지 50 mm 인, 인쇄 헤드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가열 모듈에 의해 가열되는 공기 유동의 온도는 섭씨 65 도 내지 70 도인, 인쇄 헤드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3 차원 인쇄 헤드의 공급 채널에 대응하여 배치된 열 소산 팬으로서, 상기 공급 채널은 베이스 물질 노즐에 연결되는, 열 소산 팬; 및,
    열 소산 팬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노즐 공기 유출부를 포함하는 노즐 공기 도관으로서, 상기 노즐 공기 유출부는 베이스 물질 노즐과 베이스 사이에 위치되는, 노즐 공기 도관;을 더 포함하는, 인쇄 헤드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노즐 공기 도관은 열 소산 팬의 공기 배출 측에 연결되는, 인쇄 헤드 모듈.
  8. 제 6 항에 있어서,
    노즐 공기 유출부는 베이스 물질 노즐에 의해 압출된 3 차원 인쇄 베이스 물질을 냉각시키도록 3 차원 대상물에 대응하는, 인쇄 헤드 모듈.
  9. 제 6 항에 있어서,
    노즐 공기 유출부 밖으로 유동하는 냉각 공기 유동의 온도는 가열 모듈에 의해 가열된 공기 유동의 온도보다 낮은, 인쇄 헤드 모듈.
  10. 제 6 항에 있어서,
    노즐 공기 유출부의 밖으로 유동하는 냉각 공기 유동의 온도는 섭씨 30 도 내지 50 도인, 인쇄 헤드 모듈.
  11. 3 차원 대상물을 인쇄하도록 3 차원 인쇄 장치의 위에 배치되는 인쇄 헤드 모듈로서,
    베이스 위에 배치된 3 차원 인쇄 헤드로서, 3 차원 인쇄 베이스 물질을 용융시키고 인쇄하며 복수개의 스택 층들을 형성하도록 용융 모듈 및 베이스 물질 노즐을 포함하는, 3 차원 인쇄 헤드;
    베이스 위에 배치되고 3 차원 인쇄 헤드에 연결된 잉크젯 인쇄 헤드로서, 스택 층들 각각에 잉크를 분배하여 복수개의 잉크 층들을 형성하는 잉크 노즐을 포함하는, 잉크젯 인쇄 헤드;
    공기 유동을 제공하도록 3 차원 인쇄 헤드의 공급 채널에 대응하여 배치된 팬 모듈로서, 공급 채널은 베이스 물질 노즐에 연결되는, 팬 모듈; 및,
    팬 모듈의 공기 배출 측에 배치되고 배출 케이싱을 포함하는 베이킹 모듈로서, 배출 케이싱은 베이스를 향하고, 공기 유동은 가열되는 공급 채널을 통하여 유동하고, 공급 채널에 의해 가열된 공기 유동은 배출 케이싱을 통하여 밖으로 송풍되어 스택 층들 각각에 있는 잉크 층들 각각을 베이킹 및 건조시키는, 베이킹 모듈;을 포함하는, 인쇄 헤드 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팬 모듈은 공기 배출 측에 대향하는 공기 유입 측에 의하여 공급 채널에 고정되는, 인쇄 헤드 모듈.
  13. 제 11 항에 있어서,
    배출 케이싱의 유출부와 잉크 노즐 사이의 최단 수평 거리는 50 mm 보다 큰, 인쇄 헤드 모듈.
  14. 제 11 항에 있어서,
    공급 모듈에 의해 가열된 공기 유동의 온도는 섭씨 65 도 내지 70 도 사이인, 인쇄 헤드 모듈.
KR1020170051840A 2016-11-16 2017-04-21 인쇄 헤드 모듈 KR102182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5137491 2016-11-16
TW105137491A TWI609765B (zh) 2016-11-16 2016-11-16 列印頭模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663A KR20180055663A (ko) 2018-05-25
KR102182703B1 true KR102182703B1 (ko) 2020-11-25

Family

ID=5860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840A KR102182703B1 (ko) 2016-11-16 2017-04-21 인쇄 헤드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59162B2 (ko)
EP (1) EP3323594B1 (ko)
JP (1) JP6726132B2 (ko)
KR (1) KR102182703B1 (ko)
CN (1) CN108068307B (ko)
TW (1) TWI6097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16840A1 (en) * 2018-12-13 2022-01-20 Biomedican, Inc. 3d printer
CN109968829A (zh) * 2019-04-28 2019-07-05 苏州绿曼纸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标签生产的多功能印刷设备
CN110815494A (zh) * 2019-12-03 2020-02-21 湖南大学 一种利用加热风扇干燥的陶瓷3d打印装置
CN110978207B (zh) * 2019-12-28 2021-01-15 佛山市鼎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陶瓷3d打印材料快速固化装置
FR3118601B1 (fr) * 2021-01-07 2023-04-28 Bombix3D Dispositif d’impression tridimensionnelle à contrôle du refroidissement de matière en fusion
CN112959659B (zh) * 2021-03-16 2021-12-14 深圳原子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3d打印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86510A (zh) * 2015-04-09 2015-07-22 福州展旭电子有限公司 3d打印机打印头风冷装置
WO2016003277A1 (en) * 2014-06-30 2016-01-07 Leapfrog B.V.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a coloured workpiece by means of 3d extrusion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0335B2 (en) * 1995-09-27 2001-08-07 3D Systems, Inc. Selective deposition mode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hree-dimensional objects and supports
US7300619B2 (en) * 2000-03-13 2007-11-27 Objet Geometries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e in three dimensional model printing
US7104773B2 (en) * 2003-03-07 2006-09-12 Ricoh Printing Systems, Ltd. Three-dimensional laminating molding device
CA2519790C (en) * 2003-04-18 2011-05-03 Mimaki Engineering Co., Ltd. Inkjet printer
US7556490B2 (en) * 2004-07-30 2009-07-07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ulti-material stereolithography
US7658603B2 (en) * 2005-03-31 2010-02-09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thods and systems for integrating fluid dispensing technology with stereolithography
CN101850619B (zh) * 2009-03-31 2013-06-12 研能科技股份有限公司 立体成型机构及其方法
ES2823975T3 (es) * 2010-10-27 2021-05-11 Rize Inc Proceso y aparato para la fabricación de objetos tridimensionales
JP6101968B2 (ja) * 2012-03-16 2017-03-29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N102602125B (zh) * 2012-03-20 2013-11-27 丹东金丸集团有限公司 纳米材料直接制版机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KR20150081446A (ko) 2012-11-05 2015-07-14 스트라타시스 엘티디. 3d 오브젝트의 다이렉트 잉크젯 프린팅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314970B2 (en) * 2013-02-27 2016-04-19 CEL Technology Limited Fluid-dispensing head for a 3D printer
TW201522087A (zh) 2013-12-12 2015-06-16 三緯國際立體列印科技股份有限公司 列印頭模組
TWI548540B (zh) * 2014-02-27 2016-09-11 三緯國際立體列印科技股份有限公司 立體列印方法
EP2985134A1 (en) * 2014-08-16 2016-02-17 BEEVC - Electronic Systems Lda. Process and apparatus to colour a part manufactured by 3d printing
CN104260341B (zh) * 2014-08-19 2016-09-21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一种结合材料喷头和颜料喷头的3d打印方法及系统
CN204196260U (zh) * 2014-09-10 2015-03-11 芜湖瀚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3d打印机喷头散热装置
TWI531486B (zh) 2014-10-01 2016-05-01 國立臺灣科技大學 彩色立體列印裝置及彩色立體列印方法
US20160101617A1 (en) 2014-10-10 2016-04-14 Charles J. Kulas Fused deposition modeling including color applied to a deposited bead
CN105818369B (zh) * 2015-01-05 2019-06-14 三纬国际立体列印科技股份有限公司 立体打印机喷头
CN204674198U (zh) * 2015-03-11 2015-09-30 福建鼎信实业有限公司 一种钢带卷成品自动打标识码装置
TWM513121U (zh) * 2015-07-16 2015-12-01 Microjet Technology Co Ltd 三維全彩複合列印裝置
CN205467385U (zh) * 2016-01-29 2016-08-17 汪汉柏 彩色熔融式3d打印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3277A1 (en) * 2014-06-30 2016-01-07 Leapfrog B.V.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a coloured workpiece by means of 3d extrusion
CN104786510A (zh) * 2015-04-09 2015-07-22 福州展旭电子有限公司 3d打印机打印头风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19154A (zh) 2018-06-01
JP2018079679A (ja) 2018-05-24
KR20180055663A (ko) 2018-05-25
CN108068307B (zh) 2020-10-16
CN108068307A (zh) 2018-05-25
EP3323594B1 (en) 2021-01-13
JP6726132B2 (ja) 2020-07-22
TWI609765B (zh) 2018-01-01
EP3323594A1 (en) 2018-05-23
US10759162B2 (en) 2020-09-01
US20180133981A1 (en)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703B1 (ko) 인쇄 헤드 모듈
US10144174B2 (en) Three 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head module
JP6932493B2 (ja) 3次元物体プリンタ用の押出印刷ヘッド
JP5804142B2 (ja) プリントヘッド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3dプリント装置
CN105109043B (zh) 三维打印机及其打印方法
CN104416902A (zh) 立体打印装置
US9446558B2 (en)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head module
TWI711531B (zh) 立體列印裝置與其噴墨著色方法
CN111844757A (zh) 3d打印数据生成方法、路径规划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05881907A (zh) 一种3d打印机的多彩色打印机构
CN107921704A (zh) 用于三维打印的系统
WO2016171598A1 (en) A three-dimensional imaging apparatus for modeling a colored three-dimensional object
JP6725361B2 (ja) 立体物の造形方法および造形装置
CN107379519A (zh) 群填充fdm 3d打印法及其群喷口挤出机总成
TW201522019A (zh) 立體列印裝置及其列印頭模組
JP6720270B2 (ja) 3dプリントシステム
CN210026309U (zh) 一种3d打印机出料冷却装置
CN106891517B (zh) 彩色fdm-3d打印机的铺层垂遁换色方法
TWI513571B (zh) 列印頭模組及其立體列印裝置
EP3285991A1 (en) A three-dimensional imaging apparatus for modeling a colored three-dimensional object
TW201720628A (zh) 熔融沉積成型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