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004B1 - 휴대용 멀미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멀미 방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2004B1 KR102182004B1 KR1020190128134A KR20190128134A KR102182004B1 KR 102182004 B1 KR102182004 B1 KR 102182004B1 KR 1020190128134 A KR1020190128134 A KR 1020190128134A KR 20190128134 A KR20190128134 A KR 20190128134A KR 102182004 B1 KR102182004 B1 KR 1021820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motion
- motion sickness
- stimulation
- moving means
- Prior art date
Links
- 201000003152 motion sickness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7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4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0000005238 low-frequency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37175 Travel-Related Illness Diseases 0.000 abstract 7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061 fore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421 sense of balanc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0680 A04AD01 - Scopolami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STECJAGHUSJQJN-GAUPFVANSA-N Hyoscine Natural products C1([C@H](CO)C(=O)OC2C[C@@H]3N([C@H](C2)[C@@H]2[C@H]3O2)C)=CC=CC=C1 STECJAGHUSJQJN-GAUPFVANSA-N 0.000 description 1
- STECJAGHUSJQJN-UHFFFAOYSA-N N-Methyl-scopolamin Natural products C1C(C2C3O2)N(C)C3CC1OC(=O)C(CO)C1=CC=CC=C1 STECJAGHUSJQJ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41349 Somnol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7513 Vision blurre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467 acupunc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221110 common millet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209 confu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395 disorient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24 ear auri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3 med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37 parasympathetic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STECJAGHUSJQJN-FWXGHANASA-N scopolamine Chemical compound C1([C@@H](CO)C(=O)O[C@H]2C[C@@H]3N([C@H](C2)[C@@H]2[C@H]3O2)C)=CC=CC=C1 STECJAGHUSJQJN-FWXGHANA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46 scopol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00 swe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6—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acoustic outpu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나 선박, 항공기 등의 이동수단에 탑승하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머리나 목 등의 신체에 간단히 착용하여 이동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에 자극을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멀미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멀미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미 방지 장치는 이동수단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멀미를 방지하기 위한 멀미 방지 장치로서, 이동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100)와; 상기 움직임 감지부(100)로부터 사용자가 탑승한 이동수단의 움직임 신호를 전달받아, 이동수단 움직임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신체를 자극하는 신체 자극부(240)가 구비된 멀미 방지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차량이나 선박, 비행기 등의 다양한 이동수단에서 멀미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멀미 방지 장치는 이동수단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멀미를 방지하기 위한 멀미 방지 장치로서, 이동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100)와; 상기 움직임 감지부(100)로부터 사용자가 탑승한 이동수단의 움직임 신호를 전달받아, 이동수단 움직임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신체를 자극하는 신체 자극부(240)가 구비된 멀미 방지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차량이나 선박, 비행기 등의 다양한 이동수단에서 멀미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멀미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이나 선박, 항공기 등의 이동수단에 탑승하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머리나 목 등의 신체에 간단히 착용하여 이동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에 자극을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멀미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멀미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멀미는 승용차나 버스, 기차, 선박, 항공기 등의 이동수단에서 발생하는 흔들림에 몸의 평형감각이 적응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증상으로, 이동수단 탑승자의 시각과 평형감각 사이의 괴리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수단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멀미에 거의 시달리지 않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운전에 집중하고 있어 이동수단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의 강도와 시점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탑승자의 경우에는 이동 경로를 예측하기 어렵고, 이에 따른 이동수단의 진동 발생 시점 및 그 강도 등을 예측하지 못하기 때문에 운전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멀미를 심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멀미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로 멀미약이 이용되는데, 멀미약에는 '스코폴라민' 성분이 들어있어 신체의 부교감신경을 억제함으로써 멀미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멀미약은 출발 4시간 이전에 먹거나 부착하여야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복용 방법을 지키지 않으면 멀미 예방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멀미약을 복용하는 경우 입에 침이 마르고 땀이 덜나며, 변비 증상이 생기고, 눈의 동공이 커지고 시야가 흐려지며, 졸음, 방향감각상실 등의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래에는 이러한 멀미약 대신 차량 탑승자의 신체에 자극을 주어 멀미를 방지하는 장치가 제안되었는데, 이러한 장치로 특허공개 제10-2015-0045164호 "멀미 방지 장치 및 방법"이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차량의 실시간 주행정보를 획득하여 학습 데이터를 근거로 차량의 주행조작 정도 및 발생 시점을 예측하고, 예측 시점에 동승자의 좌석 영역에 위치한 멀미 방지부를 동작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 공개특허에서는 멀미 방지부재를 동승자의 좌석 하단에 형성된 페달, 동승자의 좌석에 형성된 안전벨트, 동승자의 좌석에 형성된 진동모터, 동승자가 확인 가능한 위치에 형성된 HUD(Head Up Display),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멀미 방지부재는 주행조작 발생이 예측된 시점에 동승자에게 진동이나 시각적 자극을 전달하여 동승자의 멀미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멀미 방지 장치는 차량 내부에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가 복잡하고, 멀미 방지 장치가 설치된 차량 내에서만 동작하여 멀미 방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차량에서는 멀미 방지 장치를 이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멀미 방지 장치는 페달이나 안전벨트, 좌석을 진동시키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크고, 동승자에게 전달되는 진동이 커서 동승자의 피로를 누적시킬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멀미 방지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소형으로 제작되어 차량이나 선박, 비행기 등 다양한 이동수단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신체에 간단하게 착용되어, 이송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자극함으로써 멀미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멀미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드셋의 음향 출력 장치에 저주파 진동 기능을 구비시켜 신체 일부를 자극함으로써 멀미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멀미 방지 기능과 함께 사용자 신체 일부를 자극하는 마사지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피로를 풀어줄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멀미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멀미 방지 장치는 이동수단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멀미를 방지하기 위한 멀미 방지 장치로서, 이동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와; 상기 움직임 감지부로부터 사용자가 탑승한 이동수단의 움직임 신호를 전달받아, 이동수단 움직임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신체를 자극하는 신체 자극부가 구비된 멀미 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움직임 감지부에는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3축 자이로센서 및 3축 가속도센서가 구비된 움직임 감지센서와, 상기 멀미 방지부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통신이 설정된 멀미 방지부에 움직임 감지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이동수단의 움직임 신호를 전송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자석, 고정 클립, 고정 집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수단 고정부를 통하여 이동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멀미 방지부에는 동작 환경을 설정하는 설정부와, 동작 상태가 표시되는 표시부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여 진동을 통해 자극을 전달하는 신체 자극부와, 상기 움직임 감지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이동수단의 움직임 신호를 전송받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동수단 움직임 신호를 분석하여 신체 자극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신체 자극부에는 연결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좌측 자극모듈 및 우측 자극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자극모듈이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자극모듈은 솔레노이드 방식의 진동 장치, 바이브레이터 모터(Vibrator motor), 스피커를 활용한 저주파 자극 진동장치, 부착 방식의 저주파 전기 자극패드 중 어느 하나의 자극 발생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멀미 방지부에는 연결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좌측 스피커 및 우측 스피커가 구비된 음향 출력부가 구비되며, 상기 설정부에는 신체 자극부를 통하여 신체를 자극시켜 멀미를 방지하는 멀미 방지 모드와, 음향 출력부를 통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버튼이 구비된다.
상기 음향 출력부와 신체 자극부는 하나의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설정부의 모드 선택에 따른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멀미 방지 장치는 이동수단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멀미를 방지하기 위한 멀미 방지 장치로서, 이동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와; 상기 움직임 감지부로부터 사용자가 탑승한 이동수단의 움직임 신호를 전달받아, 이동수단 움직임 신호에 따른 진동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저주파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멀미 방지용 앱(App)이 설치된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저주파 음향 신호를 전송받아 스피커를 통해 저주파 음향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저주파 음향 출력을 통해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신체를 자극하는 음향 출력부가 구비된 멀미 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미 방지부는 연결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좌측 스피커 및 우측 스피커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부가 구비된 헤드셋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부터 한방에서는 귀를 포함한 머리의 특정 부위를 지속적으로 자극하는 경혈지압법이 멀미를 줄이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멀미 방지 장치는 사용자가 탑승한 이동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자극함으로써 사용자의 멀미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멀미 방지 장치는 소형으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차량이나 선박, 비행기 등 다양한 이동수단에 탑승하는 경우 이용할 수 있어, 하나의 멀미 방지 장치로 다양한 이동수단에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미 방지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를 자극하여 마사지 기능을 수행하고, 음향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여행 피로를 풀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향 청취를 목적으로 하는 기존의 헤드셋을 이용하여 스피커로 저주파 진동을 발생시켜 신체를 자극함으로써 멀미를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멀미 방지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감지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감지부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형태의 멀미 방지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형태의 멀미 방지부의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미 방지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자극이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멀미 방지부의 신체 자극부에 의해 자극되는 신체 위치를 나타낸 일례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멀미 방지를 위해 멀미 방지부를 착용한 일례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미 방지부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미 방지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감지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감지부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형태의 멀미 방지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형태의 멀미 방지부의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미 방지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자극이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멀미 방지부의 신체 자극부에 의해 자극되는 신체 위치를 나타낸 일례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멀미 방지를 위해 멀미 방지부를 착용한 일례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미 방지부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미 방지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멀미 방지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미 방지 장치는 차량이나 기차, 선배, 비행기 등의 이동수단에 부착되어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100)와, 상기 움직임 감지부(100)로부터 이동수단의 움직임 정보를 전달받아 이동수단 움직임에 대응되는 진동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하는 멀미 방지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움직임 감지부(100)는 사용자가 탑승하는 이동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수단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멀미 방지부(200)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멀미 방지부(200)는 사용자의 신체, 특히 머리나 목, 등에 착용되어 움직임 감지부(100)의 이동수단 움직임 감지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에 진동을 통해 자극함으로써, 이동수단의 움직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사용자의 멀미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멀미 방지부(2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데, 도 1에서는 멀미 방지부(200)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헤드셋 형태로 제작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움직임 감지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움직임 감지부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감지부(100)에는 움직임 감지부(100)의 동작 환경을 설정하는 설정부(120)와,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30)와,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140)와, 움직임 감지센서(140)를 통하여 감지되는 움직임 정보를 멀미 방지부(200)에 전송하는 통신부(150)와, 상기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60)가 구비된다. 또한, 이 움직임 감지부(100)에는 움직임 감지부(100)를 사용자가 탑승하는 이동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고정하는 이동수단 고정부(170)가 구비된다.
상기 설정부(120)는 움직임 감지부(100)의 온/오프 동작 및 통신 모드 등의 동작 환경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고, 표시부(130)는 움직임 감지부(100)의 설정 환경 및 동작 상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40)는 사용자가 탑승한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40)에는 3축 자이로센서(141) 및 3축 가속도센서(142)가 탑재된다. 상기 3축 자이로센서(141) 및 3축 가속도센서(142)가 탑재된 움직임 감지센서(140)는 이동수단의 기울기,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여 이동수단의 3차원 움직임을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 감지센서(140)는 3축 자이로센서(141) 및 3축 가속도센서(142) 이외에도 진동센서 등 다른 센서로 대체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부(15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의 제어에 따라 움직임 감지센서(140)를 통하여 측정되는 움직임 신호를 멀미 방지부(200)에 전송하는 통신장치로서, 이 통신부(150)에는 유선을 통해 멀미 방지부(200)에 이동수단 움직임 신호를 전송하는 유선 통신모듈(151)과, 블루투스나 Wifi 등의 무선을 통해 이동수단 움직임 신호를 멀미 방지부(200)에 전송하는 무선 통신모듈(152)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수단 고정부(170)는 움직임 감지부(100)를 사용자가 탑승하는 이동수단에 부착하여 고정하는 장치로서, 이 이동수단 고정부(170)는 움직임 감지부(100)를 이동수단의 어느 한 부분에 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이동수단 고정부(170)는 금속재질에 자력으로 부착할 수 있는 자석, 고정 클립, 고정 집게, 압착 흡착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 형태의 멀미 방지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멀미 방지부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형태의 멀미 방지부(200)는 연결부(290)의 양측에 신체 자극부(24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머리나 목 등의 신체에 연결부(290)를 거치한 후 신체 자극부(240)를 신체에 접촉하여 자극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부(290)는 탄성력을 갖는 반원 형태의 지지대로 이루어지지만, 이는 사용자의 신체에 거치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멀미 방지부(200)에는 멀미 방지부의 동작 환경을 설정하는 설정부(220)와, 멀미 방지부(200)의 동작 상태가 표시되는 표시부(230)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여 진동을 통해 자극을 전달하는 신체 자극부(240)와, 사용자가 음향을 들을 수 있도록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250)와, 움직임 감지부(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이동수단의 움직임 신호를 전송받는 통신부(260)와, 멀미 방지부(200)의 설정 환경 및 음향 신호 등이 저장되는 메모리(270)와, 상기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210)와, 멀미 방지부(200)의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80)가 구비된다.
상기 설정부(220)는 멀미 방지부(200)의 동작 환경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이 설정부(220)에는 멀미 방지부(200)의 동작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 버튼과, 신체 자극부(240)를 통한 멀미 방지 모드와 음향 출력부(250)를 통한 음향 출력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버튼과, 신체 자극부(240)의 온/오프 및 자극 감도를 조절하는 신체 자극부 제어 버튼과, 음향 출력부(250)의 온/오프 및 음향 볼륨을 조절하는 음향 출력부 제어 버튼과, 통신 모드를 설정하는 통신모드 선택 버튼 등이 구비된다.
상기 신체 자극부(240)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여 진동을 통해 자극을 전달하게 되는데, 이 신체 자극부(240)는 이동수단 움직임 신호를 분석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210)의 제어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신체에 자극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신체 자극부(240)는 연결부(290)의 좌측에 설치되어 자극을 전달하는 좌측 자극모듈(241)과, 연결부(290)의 우측에 설치되어 자극을 전달하는 우측 자극모듈(242)을 포함하는데, 이 좌측 및 우측 자극모듈(241)(242)은 설명의 편의상 구분한 것으로 절대적인 좌측 및 우측을 의미하는 것이라 신체에 접촉되는 위치에 따라 구분된 것이다. 상기 신체 자극부(240)에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자극모듈(241)(242)은 진동을 통해 자극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자극 발생 장치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자극 발생 장치로 솔레노이드 방식의 진동 장치, 바이브레이터 모터(Vibrator motor), 스피커를 활용한 저주파 자극 진동장치, 부착 방식의 저주파 전기 자극패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자극모듈(241)(242)은 스피커 방식의 저주파 자극 진동장치가 적용되며, 이 좌측 및 우측 자극모듈(241)(242)은 연결부(290)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 중 양쪽 귀 또는 이마나 머리 위쪽, 어깨 등 다양한 신체 부위에 위치하여 진동을 통해 자극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음향 출력부(250)는 멀미 방지부(200)를 통하여 사용자가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로서, 이 음향 출력부(250)에는 통상의 헤드셋에 구비된 음향 출력부와 마찬가지로 좌측 스피커(251) 및 우측 스피커(252)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음향 출력부(250)는 신체 자극부(240)와 하나의 몸체를 이루어, 사용자의 설정부(220) 조작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통신부(26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210)의 제어에 따라 움직임 감지부(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장치로서, 이 통신부(260)에는 유선을 통해 움직임 감지부(100)로부터 이동수단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는 유선 통신모듈(261)과, 블루투스나 Wifi 등의 무선을 통해 이동수단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모듈(262)이 구비된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210)는 설정부(220)의 설정에 따라 멀미 방지부(20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는데, 이 마이크로 컨트롤러(210)는 설정부(220)가 멀미 방지 모드로 설정된 경우 통신부(260)를 통하여 통신이 설정된 움직임 감지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이동수단 움직임 신호를 분석하여, 신체 자극부(240)의 좌측 자극모듈(241) 또는 우측 자극모듈(242)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진동을 전달시켜 자극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수단의 움직임에 따른 자극을 제공받아 멀미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마이크로 컨트롤러(210)는 설정부(220)를 통하여 음향 출력모드가 설정된 경우, 메모리(270)에 저장된 음악을 플레이하거나 통신부를 통하여 연결된 외부 음향 장치로부터 음향 신호를 전송받아 음향 출력부(250)의 좌측 스피커(251) 또는 우측 스피커(252)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이하,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멀미 방지 장치를 통해 멀미가 방지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미 방지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자극이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S100 : 먼저, 사용자는 멀미 방지를 위해 멀미 방지 장치인 움직임 감지부(100)와 멀미 방지부(200)를 소지하여 차량이나 기차, 선박, 비행기 등과 같은 이동수단에 탑승한 후, 움직임 감지부(100)를 이동수단 고정부(170)를 통해 이동수단에 부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단계 S110 : 사용자는 움직임 감지부(100)를 이동수단에 부착한 후, 멀미 방지부(200)의 동작 환경을 설정하고 멀미 방지부(200)를 신체에 착용하게 된다. 이때, 멀미 방지부(200)의 동작 환경으로, 움직임 감지부(100)와 멀미 방지부(200)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드 설정, 멀미 방지부(200)의 멀미 방지 모드 또는 음향 출력 모드 등을 설정한다.
단계 S120, S121 : 만약, 멀미 방지부(200)가 멀미 방지 모드로 설정되어(S120), 움직임 감지부(100)와 멀미 방지부(200)의 통신이 연결된 경우, 이동수단에 부착된 움직임 감지부(100)의 움직임 감지센서(140)는 이동수단의 이동에 따라 3축 자이로센서(141) 및 3축 가속도센서(142)를 통해 움직임 신호를 생성하여 멀미 방지부(200)에 전송하게 된다(S121).
단계 S122, S123, S124 : 움직임 감지부(100)로부터 이동수단 움직임 신호를 전송받는 멀미 방지부(200)의 마이크로 컨트롤러(210)는 움직임 신호를 분석하여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파악하게 된다(S122). 멀미 방지부(200)의 마이크로 컨트롤러(210)는 이동수단의 움직임이 검출되었다면(S123), 움직인 신호에 따라 신체 자극부(240)에 구비된 좌측 자극모듈(241) 또는 우측 자극모듈(242)을 구동시켜 사용자에게 움직임이 발생하였음을 진동을 통해 전달하게 된다(S124).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멀미 방지부(200)의 마이크로 컨트롤러(210)는 이동수단 움직임 신호를 분석하여 이동수단의 기울기와 가속도, 진동 및 충격 등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신체 자극부(240)의 좌측 자극모듈(241) 또는 우측 자극모듈(242)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이동수단이 좌측으로 움직이면 좌측 자극모듈(241)을 구동하고, 우측으로 움직이면 우측 자극모듈(242)을 구동하며, 양측으로 흔들리면 좌측 자극모듈(241) 및 우측 자극모듈(242)을 함께 구동하게 되는데, 이때 움직임의 진동이나 충격 강도에 따라 좌측 자극모듈(241) 또는 우측 자극모듈(242)의 진동 강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움직임 강도를 신체를 통해 자극받아 예측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멀미 방지부의 신체 자극부에 의해 자극되는 사용자 신체 위치를 나타낸 것으로, (a) 사용자의 양쪽 귀, (b) 이마 양쪽, (c) 볼이나 턱 양쪽, (d) 어깨 양쪽, (e) 윗 머리 양쪽, (f) 양쪽 미간 등이 자극 위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는 진동에 의해 사용자가 예민하게 자극받을 수 있는 신체 위치인데, 이러한 위치는 다른 위치로 사용자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멀미 방지를 위해 멀미 방지부를 착용한 일례들을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는 멀미 방지부(200)의 양쪽에 구비되는 신체 자극부(240)의 좌측 자극모듈(241) 및 우측 자극모듈(242)을 (a) 양쪽 귀, (b) 윗 머리 양쪽, (c) 이마 양쪽, (d)턱 양쪽 등의 다양한 신체 부위에 안정적으로 접촉시켜 진동을 통하여 자극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단계 S130, S131 : 한편, 멀미 방지부(200)가 음향 출력 모드가 선택된 경우(S130), 사용자는 멀미 방지부(200)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외부의 음향 장치와 연결하여 음향 장치로부터 재생된 음향 신호를 제공받거나, 메모리(270)에 저장된 음원을 재생시켜 음향 출력부(250)를 통하여 음향을 출력하게 된다(S131).
이러한 멀미 방지 과정과 음향 출력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장치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S125).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탑승하는 이동수단에 움직임 감지부(100)를 부착하여 고정시키고 사용자의 신체에 멀미 방지부(200)를 착용한 다음, 움직임 감지부(100)에 의해 감지되는 움직임 신호를 멀미 방지부(200)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받아 움직임 신호에 따라 멀미 방지부(200)의 신체 자극부(240)를 구동시켜 사용자의 신체를 자극함으로써, 사용자의 멀미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신체 자극부(240)와 음향 출력부(250)가 별도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멀미 방지부(200)에 신체 자극부(24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종래 헤드셋을 그대로 멀미 방지부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헤드셋에 구비된 음향 출력부의 저주파 음향 출력에 따른 진동을 이용하여 신체 자극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미 방지부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멀미 방지부(200)를 종래 헤드셋으로 구성하고, 움직임 감지부(100)가 이동수단 움직임 감지 신호를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300)은 멀미 방지용 앱(App)을 이용하여 이동수단 움직임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저주파 음향 신호를 생성하여 멀미 방지부(200)인 헤드셋으로 전송하도록 하고 있다.
즉, 스마트폰(300)의 멀미 방지용 앱(App)을 이용하여 움직임 감지부(100)로부터 이동수단 움직임 신호를 전송받아 분석하여 이동수단 움직임 신호에 대응되는 저주파 음향 신호를 생성한 후, 스마트폰(300)에서 멀미 방지부(200)인 헤드셋에 저주파 음향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스마트폰(300)의 멀미 방지용 앱(App)은 움직임 감지부(100)로부터 전송된 이동수단 움직임 신호를 분석하여 이동수단의 기울기와 가속도, 진동 및 충격 등을 파악하고, 분석된 이동수단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진동을 사용자의 신체에 제공하기 위해 헤드셋의 좌측 스피커(251) 또는 우측 스피커(252) 출력을 위한 저주파 음향 신호를 생성하여 헤드셋에 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면, 이동수단이 좌측으로 움직이면 좌측 스피커(251)를 통해 저주파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우측으로 움직이면 우측 스피커(252)를 통해 저주파 음향 신호를 출력하며, 양측으로 흔들리면 좌측 스피커(251) 및 우측 스피커(252) 모두를 통해 저주파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저주파 음향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이동수단의 움직임에 따른 진동이나 충격 강도에 따라 좌측 스피커(251) 또는 우측 스피커(252)의 저주파 음향 신호 출력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헤드셋에서 저주파 음향 신호를 음향 출력부(250)를 통하여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가 귀나 머리 등의 신체를 통하여 진동의 방향 및 세기를 전달받아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별도의 멀미 방지부(200)에 신체 자극부(240)를 구성하지 않고, 종래 헤드셋의 음향 출력부(250)를 이용하여 멀미 방지부(20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어, 멀미 방지 장치의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도 1 내지 도 9에서는 멀미 방지부(200)가 헤드셋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멀미 방지부(2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미 방지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멀미 방지부(200)는 귀에 고정할 수 있는 집게 형태로 제작된다. 즉, 집게 형태의 멀미 방지부(200)는 연결부(290)의 양측에 각각 집게 형태로 이루어진 좌측 자극모듈(241) 및 우측 자극모듈(242)이 구비된 신체 자극부(24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집게 형태의 좌측 자극모듈(241) 및 우측 자극모듈(242)을 귓불에 착용하여 자극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연결부(290)의 일측에 설정부(220) 및 표시부(230)를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자가 집게 형태의 멀미 방지부(200)의 동작을 설정하고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집게 형태의 멀미 방지부(200)에는 별도의 음향 출력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멀미 방지부(200)의 신체 자극부(240)에 좌측 자극모듈(241)과 우측 자극모듈(242)로 2개의 자극모듈이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자극모듈은 필요에 따라 더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자극모듈은 기본적으로 진동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자극을 전달하기 때문에, 차량에 탑승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사용자의 신체 마사지용으로 이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 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움직임 감지부 110 : 마이크로 컨트롤러
120 : 설정부 130 : 표시부
140 : 움직임 감지센서 141 : 3축 자이로센서
142 : 3축 가속도센서 150 : 통신부
151 : 유선 통신모듈 152 : 무선 통신모듈
160 : 전원부 170 : 이동수단 고정부
200 : 멀미 방지부 210 : 마이크로 컨트롤러
220 : 설정부 230 : 표시부
240 : 신체 자극부 241 : 좌측 자극모듈
242 : 우측 자극모듈 250 : 음향 출력부
251 : 좌측 스피커 252 : 우측 스피커
260 : 통신부 261 : 유선 통신모듈
262 : 무선 통신모듈 270 : 메모리
280 : 전원부 290 : 연결부
300 : 스마트폰
120 : 설정부 130 : 표시부
140 : 움직임 감지센서 141 : 3축 자이로센서
142 : 3축 가속도센서 150 : 통신부
151 : 유선 통신모듈 152 : 무선 통신모듈
160 : 전원부 170 : 이동수단 고정부
200 : 멀미 방지부 210 : 마이크로 컨트롤러
220 : 설정부 230 : 표시부
240 : 신체 자극부 241 : 좌측 자극모듈
242 : 우측 자극모듈 250 : 음향 출력부
251 : 좌측 스피커 252 : 우측 스피커
260 : 통신부 261 : 유선 통신모듈
262 : 무선 통신모듈 270 : 메모리
280 : 전원부 290 : 연결부
300 : 스마트폰
Claims (10)
- 이동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100)와, 상기 움직임 감지부(100)로부터 사용자가 탑승한 이동수단의 움직임 신호를 전달받아 이동수단 움직임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신체를 자극하는 신체 자극부(240)가 구비된 멀미 방지부(200);를 포함하는 멀미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멀미 방지부(200)에는 동작 환경을 설정하는 설정부(220)와, 동작 상태가 표시되는 표시부(230)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여 진동을 통해 자극을 전달하는 신체 자극부(240)와, 상기 움직임 감지부(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이동수단의 움직임 신호를 전송받는 통신부(260)와, 상기 통신부(260)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동수단 움직임 신호를 분석하여 신체 자극부(240)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210)와, 연결부(29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좌측 스피커(251) 및 우측 스피커(252)가 구비된 음향 출력부(250)가 구비되며,
상기 설정부(220)에는 신체 자극부(240)를 통하여 신체를 자극시켜 멀미를 방지하는 멀미 방지 모드와, 음향 출력부(250)를 통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버튼이 구비되되,
상기 음향 출력부(250)와 신체 자극부(240)는 하나의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설정부(220)의 모드 선택에 따른 마이크로 컨트롤러(210)의 제어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방지 장치.
- 이동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100)와, 상기 움직임 감지부(100)로부터 사용자가 탑승한 이동수단의 움직임 신호를 전달받아 이동수단 움직임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신체를 자극하는 신체 자극부(240)가 구비된 멀미 방지부(200);를 포함하는 멀미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멀미 방지부(200)에는 동작 환경을 설정하는 설정부(220)와, 동작 상태가 표시되는 표시부(230)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여 진동을 통해 자극을 전달하는 신체 자극부(240)와, 상기 움직임 감지부(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이동수단의 움직임 신호를 전송받는 통신부(260)와, 상기 통신부(260)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동수단 움직임 신호를 분석하여 신체 자극부(240)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210)가 구비되며,
상기 신체 자극부(240)에는 연결부(29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좌측 자극모듈(241) 및 우측 자극모듈(242)을 포함하는 복수의 자극모듈이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자극모듈은 솔레노이드 방식의 진동 장치, 바이브레이터 모터(Vibrator motor), 스피커를 활용한 저주파 자극 진동장치, 부착 방식의 저주파 전기 자극패드 중 어느 하나의 자극 발생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체 자극부(240)에 구비된 좌측 자극모듈(241) 및 우측 자극모듈(242)은 집게 또는 클립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귀에 착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방지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부(100)에는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3축 자이로센서(141) 및 3축 가속도센서(142)가 구비된 움직임 감지센서(140)와,
상기 멀미 방지부(200)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50)와,
상기 통신부(150)를 통하여 통신이 설정된 멀미 방지부(200)에 움직임 감지센서(140)를 통하여 감지되는 이동수단의 움직임 신호를 전송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방지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부(100)는 자석, 고정 클립, 고정 집게, 압착 흡착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수단 고정부(170)를 통하여 이동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방지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이동수단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멀미를 방지하기 위한 멀미 방지 장치로서,
이동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100)와;
상기 움직임 감지부(100)로부터 사용자가 탑승한 이동수단의 움직임 신호를 전달받아, 이동수단 움직임 신호에 따른 진동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저주파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멀미 방지용 앱(App)이 설치된 스마트폰(300)과;
상기 스마트폰(300)으로부터 저주파 음향 신호를 전송받아 스피커를 통해 저주파 음향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저주파 음향 출력을 통해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신체를 자극하는 음향 출력부(250)가 구비된 멀미 방지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방지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멀미 방지부(200)는 연결부(29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좌측 스피커(251) 및 우측 스피커(252)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부(250)가 구비된 헤드셋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방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8134A KR102182004B1 (ko) | 2019-10-16 | 2019-10-16 | 휴대용 멀미 방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8134A KR102182004B1 (ko) | 2019-10-16 | 2019-10-16 | 휴대용 멀미 방지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82004B1 true KR102182004B1 (ko) | 2020-11-24 |
Family
ID=73679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8134A KR102182004B1 (ko) | 2019-10-16 | 2019-10-16 | 휴대용 멀미 방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2004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05643A (ja) * | 2008-10-31 | 2010-05-13 | Pioneer Electronic Corp | 音声処理装置及び音声処理方法等 |
KR20120007148U (ko) * | 2011-04-08 | 2012-10-17 | 황주영 | 저주파 자극을 이용한 오심?구토 제어장치 |
KR20150045164A (ko) | 2013-10-18 | 2015-04-2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멀미 방지 장치 및 방법 |
WO2016126522A1 (en) * | 2015-02-05 | 2016-08-11 |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 Motion sickness monitoring and application of supplemental sound to counteract sickness |
WO2018202614A1 (de) * | 2017-05-05 | 2018-11-08 | Audi Ag | Mobile sensorvorrichtung für ein in einem fahrzeug einsetzbares am kopf tragbares visuelles ausgabe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nzeigesystems |
KR20190029182A (ko) * | 2017-09-12 | 2019-03-2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Gvs를 이용한 멀미 저감 방법 및 장치 |
-
2019
- 2019-10-16 KR KR1020190128134A patent/KR10218200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05643A (ja) * | 2008-10-31 | 2010-05-13 | Pioneer Electronic Corp | 音声処理装置及び音声処理方法等 |
KR20120007148U (ko) * | 2011-04-08 | 2012-10-17 | 황주영 | 저주파 자극을 이용한 오심?구토 제어장치 |
KR20150045164A (ko) | 2013-10-18 | 2015-04-2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멀미 방지 장치 및 방법 |
WO2016126522A1 (en) * | 2015-02-05 | 2016-08-11 |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 Motion sickness monitoring and application of supplemental sound to counteract sickness |
WO2018202614A1 (de) * | 2017-05-05 | 2018-11-08 | Audi Ag | Mobile sensorvorrichtung für ein in einem fahrzeug einsetzbares am kopf tragbares visuelles ausgabe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nzeigesystems |
KR20190029182A (ko) * | 2017-09-12 | 2019-03-2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Gvs를 이용한 멀미 저감 방법 및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538050B1 (en) | Devices and methods for reducing the symptoms of maladies of the vestibular system | |
EP3390131B1 (en) |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with a state monitoring device,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motor vehicle | |
US20200001085A1 (en)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vestibular conditions | |
US20190133511A1 (en) | Occupant motion sickness sensing | |
US10143841B2 (en) | Transcranial neurostimulation system for a vehicle | |
CN109791739A (zh) | 晕车估计装置、晕车防止装置和晕车估计方法 | |
Hwang et al. | The Haptic steering Wheel: Vibro-tactile based navigation for the driving environment | |
US20090318776A1 (en) | Physical condition management system | |
US20220324459A1 (en) | Determination device and recording medium | |
AU2019216971A1 (en)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vestibular conditions | |
US11284205B2 (en)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vestibular conditions | |
US11338106B2 (en) | Hearing assistance devices with motion sickness prevention and mitigation features | |
WO2019230941A1 (ja) | 前庭刺激装置、めまい治療装置、健康促進装置 | |
CN107648719A (zh) | 基于疲劳检测与觉醒刺激的眼部可穿戴系统 | |
KR102182004B1 (ko) | 휴대용 멀미 방지 장치 | |
JP2006215900A (ja) | 車両周辺情報伝達装置 | |
CN104503257B (zh) | 视景仿真防晕系统及方法 | |
KR20240090964A (ko) | 차량 탑승자의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방법 및 차량 | |
KR101468116B1 (ko) | 차량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 | |
JP2020537183A (ja) | 車内で電子データ眼鏡を使用するときのシミュレータ病関連の障害を減らすための携帯デバイス | |
JP2005152352A (ja) | 車両用シート装置 | |
KR20200124144A (ko) | 가상 현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 시스템 | |
KR101859454B1 (ko) | 휴대용 전자기기 연동 구조의 유아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 | |
CN114144151B (zh) | 用于治疗前庭病症的系统、装置和方法 | |
JP2006034760A (ja) | 乗り物酔い軽減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