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523B1 -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523B1
KR102181523B1 KR1020190037555A KR20190037555A KR102181523B1 KR 102181523 B1 KR102181523 B1 KR 102181523B1 KR 1020190037555 A KR1020190037555 A KR 1020190037555A KR 20190037555 A KR20190037555 A KR 20190037555A KR 102181523 B1 KR102181523 B1 KR 102181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hole
door
side wall
inn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5980A (ko
Inventor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호 filed Critical 정영호
Priority to KR1020190037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523B1/ko
Publication of KR20200115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03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hollow cylindrical spindles, e.g. of tubular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관통구멍이 형성된 제1측벽과, 제2관통구멍이 형성된 제2측벽과, 제1측벽과 제2측벽을 연결하는 연결벽을 구비하고, 제1측벽과 제2측벽과 연결벽 사이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도어의 세로프레임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내통; 도어의 세로프레임 일측 외벽에 부착되고, 상기 내통의 제1측벽과 고정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제1관통구멍과 연통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제1고정구; 상기 내통 내부의 수용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밀대; 상기 제1고정구와 이격져서 상기 도어의 세로프레임 타측 외벽에 부착되고, 상기 내통의 제2측벽과 고정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제2관통구멍과 연통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제2고정구; 상기 도어의 세로프레임 외부로 일단이 돌출가능하도록 상기 내통 내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밀대의 회동에 따라 도어를 잠금 또는 개방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잠금막대; 상기 제1고정구의 관통구멍에 끼워져서 상기 회동밀대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밀대를 회동시켜 상기 잠금막대를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하는 잠금손잡이; 및 상기 제2고정구의 관통구멍에 끼워져서 상기 회동밀대(3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밀대를 회동시켜 상기 잠금막대를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하는 잠금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Locking Apparatus of Aluminium Door}
본 발명은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세로프레임 내부에 잠금장치를 간편하게 설치하여 도어를 잠금 또는 개방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용 도어에는 도어를 잠금 또는 개방상태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잠금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도어의 일측에 잠금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설치공간 내에 잠금장치를 설치하여 문의 앞쪽이나 뒤쪽에서 손잡이를 회전시켜 도어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위와 같은 도어는 도어의 일측 부분에 잠금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설치공간 내에 잠금장치를 설치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잠금장치가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도어의 일측 부분에 위와 같은 설치공간을 형성할 수 없는 도어의 경우에는 위와 같은 잠금장치를 설치할 수가 없게 된다. 즉, 알루미늄 재질로 제조되는 도어는 한쌍의 세로프레임과 한쌍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 내부에 끼워지는 유리로 구성되는데, 위와 같은 도어는 세로프레임의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로 압출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세로프레임의 내부는 속이 빈 공간으로 형성되고, 따라서, 속이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세로프레임에는 잠금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으므로 위와 같은 구조의 세로프레임에는 잠금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단순히 도어를 여닫는 손잡이만 설치하여 도어를 여닫는 구조로만 사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도어가 위와 같이 알루미늄 재질로 제조되어 세로프레임의 내부가 속이 비어 있는 공간이라 하더라도 세로프레임에 잠금장치를 설치하여 도어를 잠금 또는 개방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KR 10-2009-0046755 A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세로프레임 내부에 잠금장치를 간편하게 설치하여 도어를 잠금 또는 개방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도어의 세로프레임 내부에 회동밀대와 잠금막대가 간편한 구조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내통을 간편하게 설치하도록 하는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잠금손잡이와 잠금조작부를 회동밀대에 간단한 구조로 서로 연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관통구멍이 형성된 제1측벽과, 제2관통구멍이 형성된 제2측벽과, 제1측벽과 제2측벽을 연결하는 연결벽을 구비하고, 제1측벽과 제2측벽과 연결벽 사이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도어의 세로프레임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내통; 도어의 세로프레임 일측 외벽에 부착되고, 상기 내통의 제1측벽과 고정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제1관통구멍과 연통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제1고정구; 상기 내통 내부의 수용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밀대; 상기 제1고정구와 이격져서 상기 도어의 세로프레임 타측 외벽에 부착되고, 상기 내통의 제2측벽과 고정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제2관통구멍과 연통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제2고정구; 상기 도어의 세로프레임 외부로 일단이 돌출가능하도록 상기 내통 내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밀대의 회동에 따라 도어를 잠금 또는 개방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잠금막대; 상기 제1고정구의 관통구멍에 끼워져서 상기 회동밀대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밀대를 회동시켜 상기 잠금막대를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하는 잠금손잡이; 및 상기 제2고정구의 관통구멍에 끼워져서 상기 회동밀대(3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밀대를 회동시켜 상기 잠금막대를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하는 잠금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잠금막대는 그 일단에 걸쇠부가 상기 내통의 수용공간에서 전진 또는 후퇴가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동밀대는 그 외주에 상기 잠금막대의 상기 걸쇠부에 끼워지는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손잡이와 상기 잠금조작부 중의 어느 하나가 회동할 때, 상기 돌출턱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돌출턱이 끼워지는 걸쇠부가 전진 또는 후퇴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되거나 잠금상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밀대는 그 내부에 일측에는 상기 잠금손잡이가 끼워지고, 타측에는 상기 잠금조작부가 끼워지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진 상기 잠금손잡이와 상기 잠금조작부는 서로 연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잠금손잡이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동밀대와 상기 잠금조작부도 회전되고, 상기 잠금조작부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동밀대와 상기 잠금손잡이도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는 세로프레임 내부에 잠금장치를 간편하게 설치하여 도어를 잠금 또는 개방상태로 유지하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도어의 세로프레임 내부에 회동밀대와 잠금막대가 간편한 구조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내통을 간편하게 설치하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잠금손잡이와 잠금조작부를 회동밀대에 간단한 구조로 서로 연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가 장착된 도어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의 분해도
도 4는 도 3의 분해도를 다른 방향에서 분해시킨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의 잠금막대가 전진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의 잠금막대가 후진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의 단면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세로프레임(1) 내부에 형성된 공간(2)에 내통(10)을 삽입하고, 내통(10) 내부의 수용공간(14)에 회동밀대(30)와 잠금막대(50)가 작동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회동밀대(30)와 잠금막대(50)의 작동에 따라 도어를 잠금 또는 개방토록 하는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내통(10), 제1고정구(20), 제2고정구(40), 잠금막대(50), 회동밀대(30), 잠금손잡이(60), 및 잠금조작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통(10)은 도어의 세로프레임(1) 내부에 형성된 공간(2)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관통구멍(15)이 형성된 제1측벽(11)과, 제2관통구멍(16)이 형성된 제2측벽(12)과, 제1측벽(11)과 제2측벽(12)을 연결하는 연결벽(13)을 구비하고, 제1측벽(11)과 제2측벽(12)과 연결벽(13) 사이에 수용공간(14)을 가지며, 수용공간(14)에는 후술하는 회동밀대(30)와 잠금막대(50)가 동작 가능하도록 수용된다.
제1관통구멍(15)과 제2관통구멍(16)의 둘레면에는 후술하는 제1고정구(20)와 제2고정구(40)에 형성한 한쌍의 돌출부(22, 42)와 스토퍼(24, 44)가 끼워질 수 있는 한쌍의 끼움부(17)가 형성되며, 돌출부(22, 42)와 스토퍼(24, 44)가 끼움부(17)에 끼워지게 되면, 제1고정구(20)와 제2고정구(40)는 내통(10)의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되게 되므로 제1고정구(20)와 제2고정구(40)를 내통(10)과 결합하도록 함에 있어서, 제1고정구(20)와 제2고정구(40)를 내통(10)과 결합하도록 하는 결합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맞추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제1관통구멍(15)과 제2관통구멍(16) 사이이 수용공간(14)에는 후술하는 회동밀대(30)가 회동가능하도록 끼워지고, 또 회동밀대(30)의 회동에 따라서 전진 및 후퇴를 하게 되는 잠금막대(50)가 안정적으로 전진 또는 후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18)가 내부에 형성된다. 가이드부(18)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일 예로서는 연결벽(13)에 형성한 개방구(25)와 이어지는 안내통로(59)가 이용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9, 19는 제1고정구(20)와 제2고정구(40)와 내통(10)를 고정하기 위한 구멍 또는 홈부이다.
제1고정구(20)는 도어(1)의 세로프레임(1) 일측 외벽, 예를 들면 실내측에 부착되어 내통(10)의 제1측벽(11)과 고정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제1관통구멍(15)과 연통되는 관통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고정구(20)는 도어측을 향하는 면에는 한쌍의 돌출부(22)가 서로 이격져서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22)는 내통(10)의 제1측벽(11)에 형성한 제1관통구멍(15)의 주연에 형성한 끼움부(17)에 끼워졌을 때, 제1고정구(20)는 내통(10)의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되게 된다. 또한, 돌출부(22)의 일측에는 내통 (10) 쪽을 향하여 더 길게 돌출된 한 쌍의 스토퍼(24)를 형성하면, 후술하는 회동밀대(30)의 돌출턱(31)이 한 쌍의 스토퍼(24) 사이에서 회동되어 돌출턱(31)의 회동을 제한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28은 나사구멍이고, 29는 제1고정구(20)와 제1측벽(11)을 결합하는 결합나사이다.
여기서 제1고정구(20)와 내통(10)은 도어의 세로프레임(2)의 바깥쪽과 안쪽에서 각각 접촉되어 결합나사(29)에 의해서 도어의 세로프레임(2)에 결합되게 되는데, 이때, 결합나사(29)는 제1고정구(20)의 나사구멍(28)과 내통(10)의 구멍(19) 또는 홈부(9)을 통과하여 내통(10)의 안쪽에 형성되는 결합구(80)의 결합구멍(81)에 결합되면서 내통(10)과 제1고정구(20)는 도어의 세로프레임(1)의 안쪽과 바깥쪽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를 구성하는 세로프레임(1) 내부의 공간이 비어 있다 하더라도, 이러한 공간(2)에 삽입되는 내통(10)을 도어의 세로프레임(1) 바깥쪽에 접촉되는 제1고정구(20)와 결합구(80)에 의해서 서로 결합시켜 내통(10)과 제1고정구(20)를 도어의 세로프레임(1)의 정해진 위치에 간편하고 편리하게 고정토록 할 수가 있다. 또한, 도어의 세로프레임(2)의 다른 쪽면에는 후술하는 제2고정구(40)가 부착되게 되는데, 이때에도 제2고정구(40)와 내통(10)은 제1고정구(20)와 같은 방식으로 제2고정구(40)와 내통(10)이 도어의 세로프레임(1)의 바깥쪽과 안쪽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다.
제2고정구(40)는 제1고정구(20)와 이격져서 도어(1)의 세로프레임(1) 타측 외벽, 예를 들면 실외측에 부착되어 내통(10)의 제2측벽(12)과 고정결합되며, 중앙부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관통구멍(16)과 연통되는 관통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제2고정구(40)는 도어측을 향하는 면에는 한쌍의 돌출부(42)와 한쌍의 스토퍼(44)가 서로 이격져서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42)는 내통(10)의 제2측벽(12)에 형성한 형성한 제2관통구멍(16)의 주연에 형성한 끼움부(17)에 끼워졌을 때, 제2고정구(40)는 내통(10)의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되게 된다. 또한, 돌출부(42)의 일측에는 내통(10) 쪽을 향하여 더 길게 돌출된 한 쌍의 스토퍼(44)를 형성하면, 후술하는 회동밀대(30)의 돌출턱(31)이 한 쌍의 스토퍼(44) 사이에서 회동되는 경우, 돌출턱(31)의 회동을 제한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48은 나사구멍이고, 49는 제2고정구(40)와 제2측벽(12)을 결합하는 결합하는 결합나사이다.
잠금막대(50)는 도어의 세로프레임(1) 외부로 일단이 돌출가능하도록 내통(10)의 내부에 형성한 수용공간(14)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회동밀대(30)의 회동에 따라 도어를 잠금 또는 개방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걸쇠부(51)와 잠금부(52)로 이루어진다.
걸쇠부(51)는 회동밀대(30)의 돌출턱(31)이 수용될 수 있는 역U자 모양의 홈부(53)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홈부(53)는 후술하는 회동밀대(30)의 돌출팁(34)이 끼워져서 돌출턱(31)이 회동함에 따라서 돌출턱(31)에 연동하여 걸쇠부(51)가 전진 또는 후진을 하게 된다. 이때, 홈부(53)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돌출턱(31)이 한 쌍의 스토퍼(24) 중 어느 한 쪽에 의해 회동이 제한된 시점에도 후술하는 돌출팁(34)과 계속해서 끼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진다.
잠금부(52)는 걸쇠부(51)와 결합되어 걸쇠부(51)의 진퇴에 따라서, 내통(10)의 내부에 형성한 안내통로(59)에 안내되어 도어의 외부로 일단이 돌출되어 도어를 잠금 또는 개방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회동밀대(30)는 내통(10) 내부의 수용공간(14)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잠금손잡이(60) 또는 잠금조작부(70)의 조작에 따라 잠금막대(50)를 전진 또는 후퇴시켜 도어를 잠금 또는 개방토록 하는 것으로서, 외주에는 잠금막대(50)를 전진 및 후퇴시키기 위한 돌출턱(31)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턱(31)은 잠금막대(50)의 걸쇠부(51)에 형성한 홈부(53)에 끼워지도록 돌출팁(34)이 돌출되어, 돌출턱(31)이 회동할 때, 돌출팁(34)에 끼워진 홈부(53)가 전진하거나 후퇴하여 잠금막대(50)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게 된다.
회동밀대(30)는 후술하는 잠금손잡이(60)나 잠금조작부(70)를 회동시킬 때, 잠금손잡이(60)나 잠금조작부(70)의 회전조작과 연동하여 회동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서는 잠금손잡이(60)와 관련하여서는 회동밀대(30)의 외주면을 다각형 예를 들면 4각형(33)으로 형성하고, 잠금손잡이(60)에서 회동밀대(30)와 접하는 쪽의 면, 즉 내면을 회동밀대(30)의 4각형(33)과 대응될 수 있는 4각홈부(63)를 형성하게 되면, 잠금손잡이(60)의 4각홈부(63)가 회동밀대(30)의 외주면에 형성한 4각형(33)에 끼워지므로 잠금손잡이(60)를 회동시킬 때, 잠금손잡이(60)의 회동과 연동되어 회동밀대(30)도 함께 회동되게 된다.
또한, 잠금조작부(70)와 관련하여서는 회동밀대(30)의 중앙에 형성한 관통구멍(32)에서 잠금조작부(70)와 접하는 쪽의 관통구멍(32)을 4각구멍(35)으로 형성하고, 잠금조작부(70)에서 회동밀대(30)와 접하는 쪽의 면, 즉 내면(71)에 돌출된 중공축부의 외주면을 4각구멍(35)과 대응되는 4각축부(72)로 형성하게 되면, 잠금조작부(70)의 4각축부(72)가 회동밀대(30)의 관통구멍(32)에 형성한 4각구멍(35)에 끼워지므로 잠금조작부(70)를 회동시킬 때, 잠금조작부(70)의 회동과 연동되어 회동밀대(30)도 함께 회동되게 된다.
또한, 회동밀대(30)는 잠금손잡이(60)와 잠금조작부(70)가 모두 일체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회동밀대(30)의 중앙에 관통구멍(32)을 형성하며, 관통구멍(32)의 일측에는 잠금손잡이(60)가 끼워지고, 타측에는 잠금조작부(70)가 끼워져서 잠금손잡이(60)와 잠금조작부(70)와 회동밀대(30)가 일체로 회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결합관계는 후술한다.
잠금손잡이(60)는 제1고정구(20)의 관통구멍(21)에 끼워져서 회동밀대(30)의 일단에 결합되어 회동밀대(30)를 회동시킴에 따라 잠금막대(50)를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외면에는 잠금손잡이(61)가 형성되어 있고, 내면에는 회동밀대(30)의 외주에 형성한 4각형(33)과 대응될 수 있는 4각홈부(63)가 형성되며, 4각홈부(43)의 중앙에는 회동밀대(30)의 중앙에 형성한 관통구멍(32)에 끼워질 수 있는 끼움축(62)이 형성되어 있다. 끼움축(62)은 그 내부에 잠금조작부(70)를 고정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부(64)가 형성되어 있다.
잠금조작부(70)는 제2고정구(40)의 관통구멍(41)에 끼워져서 회동밀대(30)의 타단에 결합되어 회동밀대(30)를 회동시킴에 따라 잠금막대(50)를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잠금조작부(70)에서 회동밀대(30)와 접하는 쪽의 면, 즉 내면(71)에는 회동밀대(30)의 관통구멍(32)에 형성한 4각형부(35)와 대응될 수 있는 4각축부(72)가 돌출 형성되며, 4각축부(72)의 중앙에는 잠금손잡이(60)와 고정결합할 수 있는 결합볼트(90)를 끼우기 위한 볼트공(75)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조작부(70)의 외면에는 잠금조작부(70)를 회동시킬 수 있는 일자 홈부(73)가 형성되어 있고, 일자 홈부(73)는 동전과 같은 것을 이용하여 일자 홈부(73)에 끼워맞추고, 동전을 시계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잠금조작부(70)를 회동시킬 수가 있게 된다.
회동밀대(30)의 중앙에 형성한 관통구멍(32)의 일측에는 중앙에 나사홈부(64)를 가지는 끼움축(62)이 형성된 잠금손잡이(60)가 끼워져 있고, 타측에는 중앙에 볼트공(75)이 형성된 4각축부(72)를 가지는 잠금조작부(70)가 끼워지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잠금조작부(70)의 중앙에 형성한 볼트공(75)에 결합볼트(90)를 삽입하고, 결합볼트(90)를 회전시키게 되면, 결합볼트(90)의 머리부(92)는 잠금조작부(70)의 볼트공(75) 바닥에 접하고, 결합볼트(90)의 나사부(91)는 잠금손잡이(60)의 끼움축의(72) 암나사부(64)에 결합되면서, 잠금손잡이(60)와 잠금조작부(70)와 회동밀대(30)가 모두 일체로 회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세로프레임(1)에 삽입 설치되게 되는데,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세로프레임(1)은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2)으로 되어 있으므로 세로프레임(1)의 내부의 공간(2)에 잠금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세로프레임(1)의 내부의 공간(2)에 내통(10)을 삽입하고, 내통(10)을 제1고정구(20)와 결합구를 이용하여 세로프레임(2)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동밀대(30)를 내통(10)의 제2관통구멍(17)을 통하여 회동밀대(30) 내부의 수용공간(14)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끼우고, 다시 제2고정구(40)를 내통(10)과 결합구(80)를 이용하여 고정결합시케게 되면, 회동밀대(30)는 제1고정구(20)와 제2고정구(40)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회동밀대(30)의 관통구멍(32) 일측에는 잠금손잡이(60)를 끼우고, 타측에는 잠금조작부(70)를 끼우고, 잠금손잡이(60)와 잠금조작부(70)는 결합볼트(90)에 의해서 고정결합한 다음에 잠금막대(50)를 개방구(25)를 통하여 삽입하여 잠금막대(50)의 걸쇠부(51)에 회동밀대(30)의 걸쇠부(51)를 끼우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잠금손잡이(60)나 잠금조작부(70)의 어느 하나를 회동시키게 되면, 회동밀대(30)의 돌출턱(31)이 회동되어 돌출턱(31)이 잠금막대(50)의 걸쇠부(51)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게 되므로 걸쇠부(51)에 결합된 잠금부(52)가 전진 또는 후퇴이동되면서 도어를 잠금상태로 하거나 또는 개방상태로 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세로프레임 2 : 공간
10 : 내통 11 : 제1측벽
13 : 연결벽 14 : 수용공간
15 :제1관통구멍 16 : 제2관통구멍
20 : 제1고정구 21 : 관통구멍
30 : 회동밀대 31 :돌출턱
32 : 관통구멍 40 : 제2고정구
42 :관통구멍 50 : 잠금막대
51 : 걸쇠부 52 :잠금부
53 : 홈부 60 : 잠금손잡이
70 : 잠금조작부 80 : 결합구
90 : 결합볼트

Claims (3)

  1. 삭제
  2. 제1관통구멍(15)이 형성된 제1측벽(11)과, 제2관통구멍(16)이 형성된 제2측벽(12)과, 상기 제1측벽(11)과 상기 제2측벽(12)을 연결하는 연결벽(13)을 구비하고, 상기 제1측벽(11)과 상기 제2측벽(12)과 상기 연결벽(13) 사이에 수용공간(14)을 가지며, 도어의 세로프레임(1) 내부에 형성된 공간(2)에 삽입되는 내통(10);
    상기 도어의 상기 세로프레임(1) 일측 외벽에 부착되고, 상기 내통(10)의 상기 제1측벽(11)과 고정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제1관통구멍(15)과 연통되는 관통구멍(21)이 형성된 제1고정구(20);
    상기 내통(10) 내부의 수용공간(14)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밀대(30);
    상기 제1고정구(20)와 이격져서 상기 도어의 세로프레임(1) 타측 외벽에 부착되고, 상기 내통(10)의 제2측벽(12)과 고정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제2관통구멍(16)과 연통되는 관통구멍(41)이 형성된 제2고정구(40);
    상기 도어의 세로프레임(1) 외부로 일단이 돌출가능하도록 상기 내통(10) 내부의 수용공간(14)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밀대(30)의 회동에 따라 도어를 잠금 또는 개방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잠금막대(50);
    상기 제1고정구(20)의 관통구멍(21)에 끼워져서 상기 회동밀대(3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밀대(30)를 회동시켜 상기 잠금막대(50)를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하는 잠금손잡이(60); 및
    상기 제2고정구(40)의 관통구멍(41)에 끼워져서 상기 회동밀대(3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밀대(30)를 회동시켜 상기 잠금막대(50)를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하는 잠금조작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잠금막대(50)는 그 일단에 걸쇠부(51)가 상기 내통(10)의 수용공간(14)에서 전진 또는 후퇴가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동밀대(30)는 그 외주에 상기 잠금막대(50)의 상기 걸쇠부(51)에 끼워지는 돌출턱(31)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손잡이(60)와 상기 잠금조작부(70) 중의 어느 하나가 회동할 때, 상기 돌출턱(31)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돌출턱(31)이 끼워지는 걸쇠부(51)가 전진 또는 후퇴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 또는 잠금 상태로 되며,
    상기 제1고정구(20)는 도어측을 향하는 면에 내통(10) 쪽을 향하여 돌출된 한 쌍의 스토퍼(24)가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스토퍼(24) 사이에서 회동하는 상기 돌출턱(31)의 회동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걸쇠부(51)는 상기 돌출턱(31)을 수용하는 역U자 모양의 홈부(53)를 오목하게 형성하여, 상기 돌출턱(31)이 상기 한 쌍의 스토퍼(24) 중 어느 한 쪽에 의해 회동이 제한된 때에도, 상기 홈부(53)가 상기 회동밀대(30)에 형성한 돌출팁(34)과의 끼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동밀대(30)는 그 내부에 일측에는 상기 잠금손잡이(60)가 끼워지고, 타측에는 상기 잠금조작부(70)가 끼워지는 관통구멍(3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32)에 끼워진 상기 잠금손잡이(60)와 상기 잠금조작부(70)는 서로 연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잠금손잡이(6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동밀대(30)와 상기 잠금조작부(70)도 회전되고, 상기 잠금조작부(7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동밀대(30)와 상기 잠금손잡이(60)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
KR1020190037555A 2019-03-30 2019-03-30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 KR102181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555A KR102181523B1 (ko) 2019-03-30 2019-03-30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555A KR102181523B1 (ko) 2019-03-30 2019-03-30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980A KR20200115980A (ko) 2020-10-08
KR102181523B1 true KR102181523B1 (ko) 2020-11-23

Family

ID=72897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555A KR102181523B1 (ko) 2019-03-30 2019-03-30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5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7748A1 (en) * 2002-12-10 2004-06-10 Kondratuk Michael W. Simple deadbolt assembly
JP6250279B2 (ja) * 2012-12-28 2017-12-20 株式会社ゴール サムターン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扉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6755A (ko) 2009-02-12 2009-05-11 주식회사 아이템 여닫이형 목재 도어 및 문틀의 잠금구 결합부위 훼손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7748A1 (en) * 2002-12-10 2004-06-10 Kondratuk Michael W. Simple deadbolt assembly
JP6250279B2 (ja) * 2012-12-28 2017-12-20 株式会社ゴール サムターン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扉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980A (ko)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6824B2 (en) Interconnected lock with adjustable deadbolt to latchbolt spacing
US20020017120A1 (en) Locks
US20200002970A1 (en) Handle for universal assembly
KR950010293B1 (ko) 관상의 자동 데드볼트 래치(Deadbolt Latch)
KR102181523B1 (ko)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
US3930390A (en) Espagnolette lock
GB2158866A (en) Latch mechanism having pull- in action
US3213654A (en) Pop-out handle and lock assembly
US10822830B2 (en) Multi-directional handle
RU2643125C2 (ru) Дверной замок
US11193308B2 (en) Latch control device cooperating with a lock
EP1148193B1 (en) Double hinged door system
US2961264A (en) Finned latch bolt assembly
EP2778323B1 (en) Lock suited for left- and right-hinged closure members
HU210516B (en) Door lock of emergency exit and case for the lock
US2091199A (en) Lock
KR100445145B1 (ko) 튜블라형 도어록의 래치볼트 작동구조
KR20170054641A (ko) 도어 잠금장치
KR102127353B1 (ko) 알루미늄제 도어의 잠금장치
US10501964B2 (en) Axial lock
EP2439366B1 (en) Device for opening sliding doors for cold rooms
JP6700062B2 (ja) シリンダ錠
JP3819403B2 (ja) ドア開放装置
KR101924717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US11326371B2 (en) Tool for use with adjustable backset l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