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057B1 - 쌀물측정기 - Google Patents

쌀물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057B1
KR102181057B1 KR1020190105578A KR20190105578A KR102181057B1 KR 102181057 B1 KR102181057 B1 KR 102181057B1 KR 1020190105578 A KR1020190105578 A KR 1020190105578A KR 20190105578 A KR20190105578 A KR 20190105578A KR 102181057 B1 KR102181057 B1 KR 102181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module
container
water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원
Original Assignee
김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원 filed Critical 김시원
Priority to KR1020190105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0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dip members, e.g. d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0Cooking-vessels with water-bath arrangements for domestic u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02Details
    • G01B3/004Scales; Gradu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과 물을 담는 용기에 위치하여, 용기에 담긴 쌀과 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쌀물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쌀물측정기는 하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중앙에 통공홀이 형성되어 하면이 쌀의 상면에 놓이는 받침모듈과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통공홀에 하단이 연결되며 받침모듈과 수직하게 되고 외주면에 제1눈금이 형성된 수용기둥모듈을 포함하는 승강측정부;
승강측정부의 높이 이상의 높이로 형성되어 수용기둥모듈의 내부에 삽입 되고, 하단이 타공홀에서 돌출되어 용기의 바닥면에 접하며 용기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위치하고 외주면에 제2눈금이 형성된 고정측정부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쌀물측정기{Measuring Instrument For Both Rice And Water}
본 발명은 쌀과 물을 담는 용기에 위치하여, 용기에 담긴 쌀과 물의 비율을 측정하는 쌀물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밥은 지어질 때 쌀과 물의 혼합 비율에 따라 서로 다른 타입의 밥이 되고 한다. 일례로, 물의 혼합 비율을 적게 하면 꼬들꼬들한 밥이 지어질 수 있고, 물의 혼합 비율을 많게 하면 찰진 밥이 지어질 수 있다.
쌀과 물의 혼합 비율을 밥의 맛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많은 조리 및 위생 개발 개발업체 들은 사용자가 쌀과 물의 혼합 비율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들을 활발하게 개발하고 있다.
개발된 대다수의 기구들은 쌀을 담는 그릇에 눈금이 표시되어, 쌀과 물의 혼합 비율을 측정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용기에 표시된 눈금은 쌀과 물 각각의 높이를 측정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더욱이 용기의 측면에 위치하고 있어 가독성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눈금이 표시된 용기는 전기밥솥에 사용되는 용기에 한정되어 있고, 많은 사람들이 먹을 수 있는 밥을 지을 때 사용되는 큰 용기에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이에, 사용자가 넓은 용기에 많은 양의 밥을 지을 때는, 사용자가 쌀과 물의 비율을 눈대중으로 맞춰 밥을 지어, 많은 양의 밥이 적절치 않게 조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10075호 (2014년 01월 23일)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밥을 짓는 용기의 크기와 무관하게 용기에 담긴 쌀과 물의 혼합 비율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쌀물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쌀물측정기는, 쌀과 물을 담는 용기에 위치하여 용기에 담긴 쌀과 물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쌀물측정기는 하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중앙에 통공홀이 형성되어 하면이 상기 쌀의 상면에 놓이는 받침모듈과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통공홀에 하단이 연결되며 상기 받침모듈과 수직하게 되고 외주면에 제1눈금이 형성된 수용기둥모듈을 포함하는 승강측정부;
쌀과 물을 담는 용기에 위치하여, 상기 용기에 담긴 상기 쌀과 상기 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쌀물측정기에 있어서,
하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중앙에 통공홀이 형성되어 하면이 상기 쌀의 상면에 놓이는 받침모듈과,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통공홀에 하단이 연결되며 상기 받침모듈과 수직하게 되고 외주면에 제1눈금이 형성된 수용기둥모듈을 포함하는 승강측정부;
상기 승강측정부의 높이 이상의 높이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제2눈금이 형성된 삽입기둥모듈과, 상기 수용기둥모듈의 직경 이상의 길이를 가지며 내부가 채워진 구(球)형상의 파지모듈과, 상기 삽입기둥모듈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핀 형상의 핀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파지모듈이 상기 수용기둥모듈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삽입기둥모듈이 상기 수용기둥모듈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핀모듈이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접하며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위치하는 고정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모듈은,
상기 수용기둥모듈의 직경보다 두 배 이상의 직경을 갖는 원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쌀물측정기는 밥을 지을 때 사용되는 쌀과 물의 비율을 정확하게 측정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하는 쌀이 묵은 쌀일 때 또는 햅쌀 일 때 등 사용하는 쌀의 타입에 맞은 적절한 양의 물을 사용해 밥을 지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잡곡밥을 지을 때에도, 잡곡과 쌀의 혼합 양과 물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며, 잡곡밥이 맛있게 지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물측정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I-I'선으로 절단한 쌀물측정기와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물측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승강측정부와 고정측정부가 결합된 쌀물측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승강측정부가 고정측정부의 외주면에서 승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4의 쌀물측정기를 통해 사용자가 용기에 채워진 쌀과 물의 높이를 파악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재된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쌀물측정기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물측정기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에 표시된 I-I'선으로 절단한 쌀물측정기와 용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쌀물측정기(1)는 밥을 지을 때 사용되는 쌀과 물의 비율을 사용자가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쌀물측정기(1)는 승강측정부(10)가 용기(A)에 담긴 쌀 위에 안착되며 안착된 승강측정부(10)의 내부로 고정측정부(20)가 삽입되고, 승강측정부(10)의 하단부가 용기(A)의 하단면에 접하도록 밀어 넣는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용기에 채워진 쌀의 높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용기(A)에 물이 부어졌을 때, 승강측정부(10)에 표시된 눈금을 통해 사용자가 용기(A)에 채워진 물의 높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쌀물측정기(1)는 승강측정부(10)와 고정측정부(20) 등으로 구성되어, 용기(A)에 쌀(B)과 물(C)이 수용되었을 때, 승강측정부(10)와 고정측정부(20)에 표시된 눈금을 통해 사용자가 용기(A)에 담긴 쌀(B) 그리고 물(C)의 양을 높이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물측정기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물측정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승강측정부와 고정측정부가 결합된 쌀물측정기의 사시도이다.
쌀물측정기(1)는 크게 외주면에 제1눈금이 표시된 승강측정부(10)와 외주면에 제2눈금이 표시된 고정측정부(20)를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승강측정부(10)는 용기(A)에 채워지는 쌀의 상면에 위치하고, 내부에 고정측정부(20)를 수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외주면에 표시된 제1눈금을 통해 사용자가 용기(A)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높이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승강측정부(10)는 하면이 평평하고, 중앙에 통공홀이 형성된 받침모듈(110)과 외주면에 제1눈금이 형성된 중공형으로 형상의 수용기둥모듈(120)로 형성된다. 여기서, 수용기둥모듈(120)은 고정측정부(20)가 수용되도록 한다. 그리고 받침모듈(110)은 직경이 수용기둥모듈(120)의 직경 보다 두 배 이상이 되고, 중앙에 통공홀이 형성된 원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받침모듈(110)은 통공홀을 통해 수용기둥모듈(120)과 연통되도록 한다. 그리고 용기(A)에 담긴 쌀을 평평하게 다질 수 있도록 하고, 연통된 수용기둥모듈(120)이 쌀의 상면에서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승강측정부(10)는 고정측정부(20)를 내부에 수용하며 용기(A)의 바닥면에 고정측정부(20)의 하단부가 접한 고정측정부(20)가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측정부(20)의 외주면에서 용기(A)에 채워지는 쌀의 양에 따라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한다.
승강측정부(10)는 승강 작동에 기반해 상단부가 고정측정부(20)의 외주면에 표시된 제2눈금에 위치하였을 때, 사용자가 용기(A)에 담긴 쌀의 높이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승강측정부(10)는 외주면에 표시된 제1눈금을 통해 용기(A)에 물이 채워지면 사용자가 용기(A)에 담긴 물의 양을 높이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측정부(20)는 승강측정부의 높이 이상으로 형성되어 수용기둥모듈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고정측정부(20)는 하단부가 용기의 바닥면에 접하고 상단부는 수용기둥모듈(120)에 돌출된다. 다시 말해, 고정측정부(20)의 중간부는 수용기둥모듈(120)의 수용되고, 하단부는 받침모듈(110)의 하면으로 돌출되고 상단부는 수용기둥모듈(120)의 상단부로 돌출된다. 여기서, 중간부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 삽입기둥모듈(210)이 되고, 상단부는 수용기둥모듈의 직경 이상의 길이를 갖는 구(球)형상의 파지모듈(22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 형상의 파지모듈(220)은 사용자가 쌀을 위에서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해 고정측정부(20)의 하단부가 용기(A)의 바닥면에 접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사용자가 파지모듈(220)을 움켜쥐며 하단부가 용기(A)의 바닥면에 접한 고정측정부(20)를 다시 빼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측정부(20)의 상단부가 수용기둥모듈의 하단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하단부는 고정측정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핀모듈(23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핀모듈(230)은 얇은 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용기(A)에 채워진 쌀 뜸 사이로 용이하게 들어가 고정측정부(20)의 바닥면에 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고정측정부(20)는 수용기둥모듈(120)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며 승강측정부(10)가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정측정부(20)는 외주면에 형성된 제2눈금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승강측정부(10)의 승강에 따른 높이를 쌀의 높이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쌀물측정기(1)는 승강측정부(10)와 고정측정부(20)가 결합되었을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측정부(20)의 삽입기둥모듈이 승강측정부에 의해 가려지고 하단부가 승강측정부(10)의 외부로 돌출되는 형상이 된다.
이러한 구조의 쌀물측정기(1)는 지면 또는 쌀의 상면에 놓여지게 되었을 때, 승강측정부(10)가 하강하며 고정측정부의 하단부가 가려지고, 삽입기둥모듈이 노출되도록 작동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승강측정부가 고정측정부의 외주면에서 승강하는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승강측정부가 고정측정부의 외주면에서 승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쌀물측정기(1)는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도시된 용기(A)에 놓여질 수 있다. 쌀물측정기(1)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쌀에 놓여 졌을 때, 용기(A)에 쌓인 제1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쌀물측정기(1)는 도 5의 (a)의 용기(A)에 쌀이 더 유입되어, 쌀의 높이가 높아졌을 때, 승강측정부(1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B)에 쌓인 제2높이 즉, 제1높이보다 ΔH 높이만큼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쌀물측정기(1)는 용기(A)에 채워지는 쌀의 높이에 대응해 승강측정부(10)가 승강하며 사용자가 용기(A)에 채워지는 쌀의 양을 높이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쌀물측정기를 통해 사용자가 용기에 채워진 쌀과 물의 높이를 파악하는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4의 쌀물측정기를 통해 사용자가 용기에 채워진 쌀과 물의 높이를 파악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쌀물측정기(1)는 용기(A)에 쌀이 채워져 승강측정부(10)가 쌀에 상면에 놓여져 고정측정부(20)에 표시된 제2눈금에 승강측정부(10)의 상단부가 놓여지게 한다. 이를 통해, 쌀물측정기(1)는 사용자(E)가 제2눈금에 위치한 승강측정부(10)의 상단부를 파악하며 용기(A)에 채워진 쌀의 높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쌀물측정기(1)는 용기(A)에 컵(D) 등으로부터 물(C)이 채웠을 경우, 사용자가 승강측정부(10)에 표시된 제1눈금을 통해 용기(A)에 채워지는 물의 높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쌀물측정기(1)는 사용자(E)가 용기(A)에 채워진 쌀(B)과 물(C)의 높이 비율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쌀물측정기(1)를 이용해, 사용자는 사용하는 쌀의 타입에 맞춰 비율 양을 조절해 밥을 지을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쌀이 햅쌀인 경우, 물과 쌀의 비율을 1:1로 맞춰 밥을 맛있게 지을 수 있다. 아울러 쌀이 묵은 쌀인 경우, 물과 쌀의 비율을 1.1:1로 맞춰 밥을 맛있게 지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쌀물측정기(1)를 이용해 사용자가 된 밥을 짓고 싶을 경우, 햅쌀을 기준으로 물과 쌀의 비율을 0.9: 1로 맞춰 밥을 지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진 밥을 짓고 싶은 경우, 햅쌀을 기준으로 물과 쌀의 비율을 1.1:1로 맞춰 밥을 지을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쌀에 조, 수수, 콩 등과 같은 잡곡을 섞어 잡곡밥을 짓을 경우, 사용자는 쌀물측정기(1)를 통해 잡곡과 쌀의 혼합양과 물의 양을 파악하여, 최적의 상태로 맞춰 밥을 지을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쌀물측정기를 통해 용기에 쌀 50g, 잡곡 20g을 혼합 양에 대한 높이를 기준 설정한 후, 물을 쌀과 잡곡의 혼합양의 높이보다 10~20% 이상의 높이를 갖도록 부어 잡곡밥을 짓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쌀물측정기(1)는 사용자가 잡곡밥을 짓을 때, 잡곡 양에 대응하여 물의 최적 양을 맞출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쌀물측정기
10: 승강측정부
110: 받침모듈 120: 수용기둥모듈
20: 고정측정부 210: 삽입기둥모듈
220: 파지모듈 230: 핀모듈
A: 용기 B: 쌀
C: 물 D: 컵

Claims (4)

  1. 쌀과 물을 담는 용기에 위치하여, 상기 용기에 담긴 상기 쌀과 상기 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쌀물측정기에 있어서,
    하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중앙에 통공홀이 형성되어 하면이 상기 쌀의 상면에 놓이는 받침모듈(110)과,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통공홀에 하단이 연결되며 상기 받침모듈(110)과 수직하게 되고 외주면에 제1눈금이 형성된 수용기둥모듈(120)을 포함하는 승강측정부(10);
    상기 승강측정부의 높이 이상의 높이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제2눈금이 형성된 삽입기둥모듈(210)과, 상기 수용기둥모듈의 직경 이상의 길이를 가지며 내부가 채워진 구(球)형상의 파지모듈(220)과, 상기 삽입기둥모듈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핀 형상의 핀모듈(230)을 포함하여,
    상기 파지모듈(220)이 상기 수용기둥모듈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삽입기둥모듈(210)이 상기 수용기둥모듈(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핀모듈(230)이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접하며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위치하는 고정측정부(20)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모듈(110)은,
    상기 수용기둥모듈의 직경보다 두 배 이상의 직경을 갖는 원판으로 형성된, 쌀물측정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05578A 2019-08-28 2019-08-28 쌀물측정기 KR102181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578A KR102181057B1 (ko) 2019-08-28 2019-08-28 쌀물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578A KR102181057B1 (ko) 2019-08-28 2019-08-28 쌀물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057B1 true KR102181057B1 (ko) 2020-11-19

Family

ID=73679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578A KR102181057B1 (ko) 2019-08-28 2019-08-28 쌀물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0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2026A (zh) * 2021-09-29 2021-12-28 武汉智慧大厨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炒菜机
WO2023120824A1 (ko) * 2021-12-22 2023-06-29 김홍룡 밥물 맞춤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859U (ko) * 1998-04-20 1998-07-25 장근진 밥물 계측기
KR20140010075A (ko) 2011-02-22 2014-01-23 세브 에스.아. 쌀의 취사 준비용 계량기 어셈블리
KR101602206B1 (ko) * 2015-02-11 2016-03-10 이범성 조정식 밥물지시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859U (ko) * 1998-04-20 1998-07-25 장근진 밥물 계측기
KR20140010075A (ko) 2011-02-22 2014-01-23 세브 에스.아. 쌀의 취사 준비용 계량기 어셈블리
KR101602206B1 (ko) * 2015-02-11 2016-03-10 이범성 조정식 밥물지시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2026A (zh) * 2021-09-29 2021-12-28 武汉智慧大厨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炒菜机
CN113842026B (zh) * 2021-09-29 2022-04-22 武汉智慧大厨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炒菜机
WO2023120824A1 (ko) * 2021-12-22 2023-06-29 김홍룡 밥물 맞춤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1057B1 (ko) 쌀물측정기
JP6931698B2 (ja) 食物プロセッサーのための計量装置
AU2009302786A1 (en) Food product measuring vessel with integrated scale
CA3095508A1 (en) Pot assembly and cooking appliance
US2479007A (en) Adjustable measuring cup
WO2022174019A1 (en) Reusable beverage container assembly
CN101354281A (zh) 一种厨房用的勺子秤
CN107550229A (zh) 提示烹饪器具内锅信息的方法、烹饪器具内锅和烹饪器具
KR20120122619A (ko) 밥솥용 물 계량컵
KR101038687B1 (ko) 밥물 지시기
US4776414A (en) Drum weigher
US2975631A (en) Softness gage for bakery products
US2835412A (en) Beverage brewing device including densitometer
CN215894571U (zh) 一种用于测试代餐产品稳定性的测试装置
JP2004117218A (ja) タップ密度測定用容器及びタップ密度測定具並びにタップ密度測定方法
KR20140004932U (ko) 밥물 지시기
CN212140235U (zh) 多功能食物处理装置
KR200345832Y1 (ko) 계량용기
CN211795803U (zh) 一种具有称重功能的电饭锅
JP3003719U (ja) 水量計量器
JP2000275089A (ja) 液面浮上式量り
TW201338728A (zh) 音樂杯與音樂杯組
KR20030011410A (ko) 비파괴 압축식 곡물 수분 측정장치
KR200475519Y1 (ko) 밥물 지시기
KR200271772Y1 (ko) 급식 칼로리 검출용 식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