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935B1 - 지열 배관 탐지수단 - Google Patents

지열 배관 탐지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935B1
KR102180935B1 KR1020200082789A KR20200082789A KR102180935B1 KR 102180935 B1 KR102180935 B1 KR 102180935B1 KR 1020200082789 A KR1020200082789 A KR 1020200082789A KR 20200082789 A KR20200082789 A KR 20200082789A KR 102180935 B1 KR102180935 B1 KR 102180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ayer
detection means
buried
geothe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원
김종환
이경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너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너솔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너솔라
Priority to KR1020200082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5/00Tags attached to, or associated with, an object, in order to enable detection of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2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c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배관으로부터 지표면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제1레이어; 상기 배관의 설정 영역들 마다 배치되어 상기 배관으로부터 지표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인봉; 및 상기 확인봉 상에서 지표면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는 식별판;을 포함하는 지열 배관 탐지수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열 배관 탐지수단{Detecting Means for Piping}
본 발명은 지열 배관 탐지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지중에 매설된 각종 배관의 위치나 방향을 알려주는 지열 배관 탐지수단에 관한 것이다.
근래 산업화가 가속됨에 따라 지중에 많은 케이블과 배관이 매립되고 있는데, 보통 수도관, 가스관, 통신 케이블이나 전력 케이블 등이 매립되고 있다. 또한, 지상에 설치되었던 각종 전력선이나 광케이블도 지하에 매립되고 있는 추세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시설물이 매립되면, 이를 별도 표시함으로써 매립 시설물 주변의 다른 공사가 이루어질 때 매립 시설물의 파손이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최근 들어, 합성 수지재나 세라믹과 같은 비금속 재료의 배관들이 매립되면서 매립 시설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제기되고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배관의 상부 영역에 금속 재질을 부착하여 이를 탐지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관 상부에 금속 재질을 부착하는 구조는 공사할 때, 금속이 배관 상부에 위치하도록 조정하는 과정이 필수로 수반되고, 또한, 지중에 설치되는 깊이에 따라서 너무 깊이 배관이 매설되는 경우, 지상에서 이를 탐지하는데 한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매설 배관의 위치나 방향을 탐지하더라도, 매설 배관의 어느 영역에서 누수가 발생하는지, 또는 매설 배관 하부에 또 다른 배관이 위치하는지 등의 탐지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된 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다른 배관이나 매설 배관 하부에 배치된 또 다른 배관의 위치, 또는 매설 배관과 배관을 연결하는 이음 영역의 위치를 용이하게 탐지할 수 있는 지열 배관 탐지수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수의 위험이 높은 분기 영역의 위치 확인을 신속하게 할 수 있어 공사 비용이나 기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지열 배관 탐지수단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배관으로부터 지표면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제1레이어; 상기 배관의 설정 영역들 마다 배치되어 상기 배관으로부터 지표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인봉; 및 상기 확인봉 상에서 지표면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는 식별판;을 포함하는 지열 배관 탐지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지열 배관 탐지수단은 상기 제1레이어에 구비되는 메탈 소재의 제2레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레이어는 상기 제1레이어 또는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정 간격으로 이격된 분할패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확인봉은 상기 배관으로부터 지표면 사이에서 설정 깊이로 매설되며, 등 간격으로 형성된 단위 깊이마다 매설 깊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확인봉은 상기 단위 깊이 마다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눈금자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확인봉은 상기 식별판이 결합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으로부터 길이가 변경 가능하도록 출입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의 하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관에 결합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이 적어도 상기 제1레이어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식별판은 지표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판형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형상에 대응하여 메탈 소재로 이루어진 제3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일 단면이 원형, 타원형,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레이어는 중심이 같고 지름 또는 한 변의 길이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동심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동심 패턴은 상기 배관의 종류, 용도, 깊이, 직경, 재질 및 매립 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에 따라서 단면적 또는 밀도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별판은 상기 확인봉 상에서 상기 배관의 종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확인봉은 설정된 단위 길이마다 홈이 형성되고, 상기 식별판은 상기 홈에 대응하는 돌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홈은 상기 확인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수직홈과, 상기 설정된 단위 길이마다 상기 수직홈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확인봉의 원주를 따라서 형성되는 수평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열 배관 탐지수단에 따르면,
첫째, 금속탐지기를 통해서 비금속 배관의 위치나 방향을 용이하게 탐지할 수 있고,
둘째, 제2레이어가 분할패턴 또는 식별패턴을 포함함으로써, 매설 배관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셋째, 제2레이어 또는 제3레이어를 통하여 매설 배관 정보를 손쉽게 취득함으로써 공사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넷째, 매설 배관의 분기 영역이나 이음 영역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누수 탐지 시에도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다섯째, 매설 배관의 깊이 또는 위치가 다르더라도 식별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여섯째, 확인봉 상에서 식별판의 높이를 조절하여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열 배관 탐지수단이 매설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지열 배관 탐지수단을 측면에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지열 배관 탐지수단이 배관에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지열 배관 탐지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지열 배관 탐지수단의 제3레이어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지열 배관 탐지수단의 결합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열 배관 탐지수단이 매설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지열 배관 탐지수단을 측면에서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지열 배관 탐지수단이 배관에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지열 배관 탐지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지열 배관 탐지수단의 제3레이어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참고도이고,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지열 배관 탐지수단의 결합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열 배관 탐지수단(100)은 제1레이어(110)와, 제2레이어(120)와, 확인봉 및 식별판을 포함한다.
먼저, 도 1을 살펴보면, 지중에 설치되는 매설 배관(10)은 제1토사층(11)에 매립되고, 제1토사층(11) 상면에 설정된 높이를 갖도록 제2토사층(12)이 적층된다. 이때 제2토사층(12) 상에 제1레이어(110)가 매설 배관(10)을 따라서 배치되고, 그 위에 제3토사층(13)이 적층된다. 제3토사층(13)은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등의 도로층 일 수 있다. 물론, 매설 배관(10)의 깊이나 위치에 따라서 제1토사층(11) 내지 제3토사층(13)은 생략되거나 더 추가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토사층(11) 내지 제3토사층(13)은 관보호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제1레이어(110)는 지중에 매설된 배관으로부터 지표면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관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지중에 배관은 금속 배관과 비금속 배관으로 분류되는데, 금속 배관은 전자기장 파장을 분석하여 정확하게 매설 배관(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나, 비금속 배관은 전자기장에 간섭이 없기 때문에 송신기와 수신기를 이용하여 관로 탐지가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비금속 배관은 주로 PVC관(Poly Vinyl Chloride Pipe), PE관(Poly Ethyleme pipe), PB관(Polybutylene Pipe), CD관(corrugated Duct Pipe), 콘크리트관 등이 있고, 일반 금속탐지기를 통해 확인이 어렵다. 따라서 기존 비금속의 매설 배관(10)의 상부에 같이 매립하는 제1레이어(110)(예컨대, 관로 테이프 등)에 메탈 소재의 제2레이어(120)를 구비함으로써 종래 금속탐지기를 통해서도 손쉽게 비금속 배관의 선로 탐지가 가능해질 수 있다.
전기한 바와 같이, 제1레이어(110)는 관로 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진다. 제1레이어(110)는 매설 배관(10)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색상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수도용 관로 테이프는 청색으로, 오수용 관로 테이프는 흑갈색, 청색 또는 황색으로, 우수용 관로 테이프는 녹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대략 10~30cm 폭의 규격으로 구성된다.
제1레이어(110)의 위치는 지표면으로부터 약 10~50cm 깊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레이어(110)의 위치는 관로 상단에서 30~40cm 위(관보호사 상단) 지점에 포설할 수 있고, 되메우기 후 보조기층 하부에 포설할 수도 있으며, 보도 구간에서는 지표로부터 20~30cm 아래 지점, 또는 포장 구간에서는 포장층 아래 10~20cm 아래 지점, 토피 부족 구간의 보강 콘크리트는 보강 콘크리트 바로 위, 하천 하월 시는 돌망태 위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제2레이어(120)는 제1레이어(110)의 성형 과정에서 동시에 사출 또는 압출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레이어(120)는 제1레이어(110) 상면이나 하면에 부착구조로 결합될 수 있고, 또는 별도의 코팅 공정에 의해서 구비될 수도 있다.
제2레이어(120)는 메탈 소재의 선 또는 점의 형태 또는 선과 점의 혼합 형태를 가지는 분할패턴을 가질 수 있다. 분할패턴은 단순히 선이 분할된 점선뿐만 아니라, 선의 굵기 또는 면적의 변화에 따른 패턴일 수도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점선, 굵은 점선, 간격이 큰 점선, 얇은 실선, 나란히 복수개 배치되는 평행선, 굵은 실선 등의 패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분할패턴은 선의 굵기, 점선 간격, 메탈 재질 등의 조합을 통해서 금속탐지기로부터 배관의 종류, 용도, 깊이, 직경, 재질 및 매립 일정 등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분할패턴의 형상이나 종류에 따라 전자기장의 파장이 달라질 수 있고, 이에 따른 데이터를 표준화하여 사용자가 금속탐지기로부터 매설 배관(10)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굵은 실선(폭 4mm)이 간격 20cm마다 10cm 길이로 매설 배관(10)을 따라서 제2레이어(120)가 배치되고 이를 금속탐지기가 탐지하면, 금속의 탐지 간격과 미탐지 간격 및 탐지된 파장의 크기를 조합하여 이를 표준화 된 설정 배관(예컨대 상수도관 등)으로 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확인봉(130)과 식별판(140)은 매설 배관(10)의 설정 위치나 영역들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확인봉(130)의 설정 위치나 영역들은 매설 배관(10)의 분기점, 배관과 배관이 연결되는 이음 영역, 배관과 다른 배관이 서로 교차하거나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중첩영역 등이 될 수 있다. 확인봉(130)과 식별판(140)은 제2레이어(120)가 배관과 관련한 속성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과 달리, 배관의 누수 위험이 있는 이음영역이나, 공사 중 다른 배관과 혼동할 수 있는 중첩 영역 배치되어 배관의 위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식별판(140)은 메탈 소재의 제3레이어(142)를 구비하고, 제3레이어(142)의 패턴을 변형함으로써 제2레이어(120)가 제공하는 전자기장 파장과 구별되도록 할 수 있다.
확인봉(130)은 제1프레임(131)과 제2프레임(132) 및 클램프(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131)은 외부에 식별판(140)이 결합될 수 있고, 제2프레임(132)은 제1프레임(131)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여 확인봉(130)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프레임(131)은 제1레이어(110)와 수직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프레임(131)의 상부가 적어도 제1레이어(110)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프레임(131)의 외부는 매설 배관(10)으로부터 지표면 사이에 형성된 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등 간격 또는 단위 깊이마다 매설 깊이가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프레임(131)의 외주면에는 단위 깊이 또는 길이마다 다른 색상이 도색 또는 부착될 수 있고, 또는 정확한 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자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제1프레임(131)의 외주면에서 지면에 가까운 영역부터 수직 하방으로 20cm는 노랑, 그 아래 20cm는 녹색, 그 아래 20cm는 파랑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매설 배관(10)의 설정 위치나 영역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면서도, 지면으로부터 매설 배관(10)까지의 깊이 확인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공사 작업 중에 제1레이어(110) 또는 확인봉(130) 중 어느 하나만 발견되어도 매설 배관(10)의 깊이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제2프레임(132)은 제1프레임(131)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1프레임(131)과 제2프레임(132)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제2프레임(132)은 제1프레임(13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램프(133)는 제1프레임(131)만 구비된 구조의 경우 제1프레임(131)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고, 제1프레임(131)과 제2프레임(132)이 결합된 구조의 경우 제2프레임(132)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클램프(133)는 매설 배관(10) 외주면에 결합되면서 확인봉(130)이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클램프(133)는 후크 타입이나 클립 방식으로 원터치 방식의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적용될 수도 있다.
식별판(140)은 플레이트(141)와 제3레이어(142)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41)는 중심에 확인봉(130)이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공(143)이 형성되고, 지표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제3레이어(142)는 플레이트(141) 상면이나 하면에 배치될 수 있고, 금속탐지기에 의해 탐지될 수 있도록 메탈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플레이트(141)도 적어도 일부가 메탈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레이트(141)는 일 단면이 원형, 타원형,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레이어(142)는 플레이트(141)의 형상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금속 탐지기로부터 탐지될 때, 서로 다른 세기의 전자기장 파장을 감지하도록 다양한 패턴으로 플레이트(14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3레이어(142)는 중심이 같고 지름 또는 한 변의 길이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동심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a)는 동심원, 도 5(b)는 동심타원, 도 5(c)는 동심 다각형 등의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3레이어는 도 5(d)와 같이 줄무늬 패턴이나 도 5(e)와 같은 격자 패턴, 그리고, 도 5(f)와 같은 도트 패턴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3레이어(142)의 패턴들은 배관의 종류, 용도, 깊이, 직경, 재질 및 매립 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에 따라서 단면적 또는 밀도가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금속 탐지기가 감지한 전자기장 파장의 차이를 이용하여 매설 배관의 데이터를 설정 또는 제공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확인봉(130)과 식별판(140)은 서로 결합되는 위치가 용이하고, 결합 깊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확인봉(130)은 외주면에 설정된 단위 길이마다 홈(135)이 형성되고, 식별판(140)은 결합공 내부에서 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돌부(14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홈(135)은 확인봉(1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수직홈(136)과, 수직홈(136)과 수직한 방향으로 확인봉(130)의 원주를 따라서 형성된 수평홈(137)을 포함한다. 수평홈(137)은 확인봉(130)의 설정된 단위 길이마다 배치될 수 있고, 이와 별개로 추가적인 위치에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수직홈(136)이 하나 구비된 구조를 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수직홈(136)이 확인봉(130)의 마주하는 양 측에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될 수 도 있다. 따라서, 식별판(140)의 결합공(143)에 확인봉(130)이 끼워지면, 돌부(145)가 먼저 수직홈(136)을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설정된 깊이에 따라 배치된 수평홈(137)을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식별판(140)이 이동 또는 회전하면서 확인봉(130)과 식별판(140)의 결합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억지끼움 방식으로 홈(135)이나 돌부(145)의 구조 없이 설정된 깊이에 따라 결합할 수도 있으며, 확인봉(130) 상에서 식별판(140)이 고정될 위치에 대응하는 상부와 하부에 오링과 같은 위치 고정수단(미도시)을 마련하여 위치 설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확인봉(130)은 매설 배관(10)이 서로 다른 깊이에 위치하더라도 지표면으로부터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식별판(140)은 확인봉(130) 상에서 제1레이어(110)의 상부나 하부에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확인봉(130) 상에서 식별판(140)의 깊이를 다르게 배치함으로써, 금속 탐지기로부터의 탐지 감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전자기장의 크기 차이에 따른 매설 배관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 확인봉(130)과 식별판(140)의 위치는 복수의 매설 배관들(예컨대, 지중 열교환기, 21)이 하나의 메인 배관(22)에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라면 확인봉(130)과 식별판(140)의 위치에 복수의 매설 배관들(21) 각각과 메인 배관(22) 사이를 개폐하는 밸브(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매설 배관들(21) 중 어느 하나의 매설 배관에 누수가 있거나 문제 발생 시, 확인봉(130)과 식별판(140)의 위치를 탐지하고, 각각의 매설 배관들(21)을 점검하고 문제의 매설 배관 밸브를 차단함으로써 메인 배관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열 배관 탐지수단에 따르면 금속탐지기를 통해서 비금속 배관의 위치나 방향을 용이하게 탐지할 수 있고, 제2레이어가 분할패턴 또는 식별패턴을 포함함으로써, 매설 배관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2레이어 또는 제3레이어를 통하여 매설 배관 정보를 손쉽게 취득함으로써 공사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매설 배관의 분기 영역이나 이음 영역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누수 탐지 시에도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매설 배관의 깊이 또는 위치가 다르더라도 식별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확인봉 상에서 식별판의 높이를 조절하여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지열 배관 탐지수단
110 : 제1레이어
120 : 제2레이어
130 : 확인봉
140 : 식별판
10 : 배관

Claims (13)

  1. 지중에 매설된 배관으로부터 지표면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제1레이어;
    상기 배관의 설정 영역들 마다 배치되어 상기 배관으로부터 지표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인봉; 및
    상기 확인봉 상에서 지표면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는 식별판;을 포함하고,
    상기 확인봉은 설정된 단위 길이마다 홈이 형성되고,
    상기 식별판은 상기 홈에 대응하는 돌부가 구비되며,
    상기 홈은,
    상기 확인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수직홈과,
    상기 설정된 단위 길이마다 상기 수직홈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확인봉의 원주를 따라서 형성되는 수평홈을 포함하는 지열 배관 탐지수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어에 구비되는 메탈 소재의 제2레이어를 더 포함하는 지열 배관 탐지수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레이어는,
    상기 제1레이어 또는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정 간격으로 이격된 분할패턴을 가지는 지열 배관 탐지수단.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봉은,
    상기 배관으로부터 지표면 사이에서 설정 깊이로 매설되며, 등 간격으로 형성된 단위 깊이마다 매설 깊이가 표시되는 지열 배관 탐지수단.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확인봉은,
    상기 단위 깊이 마다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눈금자가 표시되는 지열 배관 탐지수단.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확인봉은,
    상기 식별판이 결합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으로부터 길이가 변경 가능하도록 출입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의 하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관에 결합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이 적어도 상기 제1레이어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지열 배관 탐지수단.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식별판은,
    지표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판형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형상에 대응하여 메탈 소재로 이루어진 제3레이어를 포함하는 지열 배관 탐지수단.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일 단면이 원형, 타원형,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지열 배관 탐지수단.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3레이어는,
    중심이 같고 지름 또는 한 변의 길이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동심 패턴으로 이루어진 지열 배관 탐지수단.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동심 패턴은,
    상기 배관의 종류, 용도, 깊이, 직경, 재질 및 매립 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에 따라서 단면적 또는 밀도가 다르게 형성되는 지열 배관 탐지수단.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식별판은 상기 확인봉 상에서 상기 배관의 종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지열 배관 탐지수단.
  12. 삭제
  13. 삭제
KR1020200082789A 2020-07-06 2020-07-06 지열 배관 탐지수단 KR102180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789A KR102180935B1 (ko) 2020-07-06 2020-07-06 지열 배관 탐지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789A KR102180935B1 (ko) 2020-07-06 2020-07-06 지열 배관 탐지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935B1 true KR102180935B1 (ko) 2020-11-19

Family

ID=73678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789A KR102180935B1 (ko) 2020-07-06 2020-07-06 지열 배관 탐지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93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42829A1 (en) * 2009-03-31 2010-09-30 Infinity Times Infinit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rking and detecting an underground utility
KR20100126742A (ko) * 2008-02-14 2010-12-02 아이시스 이노베이션 리미티드 공진 리플렉터 어셈블리 및 방법
KR101363371B1 (ko) * 2012-07-09 2014-02-18 정재모 지중 관로 매설위치 및 깊이 표시장치
KR101450236B1 (ko) * 2014-01-16 2014-10-14 조선남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
KR101987606B1 (ko) * 2018-12-28 2019-06-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이프라인 상태 탐지 시스템
KR102111035B1 (ko) * 2019-12-06 2020-05-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하매설물 관리를 위한 무선인식 전자태그 장착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6742A (ko) * 2008-02-14 2010-12-02 아이시스 이노베이션 리미티드 공진 리플렉터 어셈블리 및 방법
US20100242829A1 (en) * 2009-03-31 2010-09-30 Infinity Times Infinit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rking and detecting an underground utility
KR101363371B1 (ko) * 2012-07-09 2014-02-18 정재모 지중 관로 매설위치 및 깊이 표시장치
KR101450236B1 (ko) * 2014-01-16 2014-10-14 조선남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
KR101987606B1 (ko) * 2018-12-28 2019-06-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이프라인 상태 탐지 시스템
KR102111035B1 (ko) * 2019-12-06 2020-05-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하매설물 관리를 위한 무선인식 전자태그 장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1890B1 (en) Underground marking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 location of an object underground
CN206941654U (zh) 人孔盖侦测定位装置
KR101859612B1 (ko)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KR102225869B1 (ko) 배관 탐지수단
KR100761338B1 (ko) 지중 전력 케이블 보호관
KR102180935B1 (ko) 지열 배관 탐지수단
KR101812798B1 (ko) 지하 매설배관의 가스누출 유무 확인을 위한 검지공
KR101742785B1 (ko) 지열공 표시 막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열공 시공 방법
KR20190004208A (ko) 라인마크 겸용 가스누출 검지공
CN111307271A (zh) 一种分布式光纤震动系统仪的光缆定位检测方法
US10705249B2 (en) Electronic marker with integral level indicator
KR102328740B1 (ko) 매설 배관 탐지장치
KR102381466B1 (ko) 자석 패턴을 구비한 지중 케이블 보호 플레이트를 이용한 지중 케이블 정보취득시스템 및 정보취득방법
KR200318753Y1 (ko) 지하관로표시기
TWM546996U (zh) 人孔蓋偵測定位裝置
KR101760087B1 (ko) 지중 매설물 표시장치
KR102175105B1 (ko) 색상 경고 그라우팅 구간을 갖는 수직 밀폐형 지중열교환기 및 이의 시공 방법
CN106764055B (zh) 顶管三点一线施工工法
CN206331128U (zh) 用于大型排水管涵接头定位的测线布置结构
EP2166391B1 (en) Splice box and marking device
KR20120041007A (ko) 지하시설물표시기와 측량기준점 보호장치
KR100829915B1 (ko) 코러게이트 삼중관의 전자태그 내장방법 및 이 방법을이용하여 제조된 전자태그가 내장된 코러게이트 삼중관
CN210978732U (zh) 一种自备磁跟踪探测源的非金属管
CN219267202U (zh) 一种地下管道的警示装置
KR102466118B1 (ko) 탈부착식 관로탐지선 홀더를 포함하는 관로탐지용 파이프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