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915B1 - 코러게이트 삼중관의 전자태그 내장방법 및 이 방법을이용하여 제조된 전자태그가 내장된 코러게이트 삼중관 - Google Patents

코러게이트 삼중관의 전자태그 내장방법 및 이 방법을이용하여 제조된 전자태그가 내장된 코러게이트 삼중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915B1
KR100829915B1 KR1020060117517A KR20060117517A KR100829915B1 KR 100829915 B1 KR100829915 B1 KR 100829915B1 KR 1020060117517 A KR1020060117517 A KR 1020060117517A KR 20060117517 A KR20060117517 A KR 20060117517A KR 100829915 B1 KR100829915 B1 KR 100829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rrugated
layer pipe
electronic ta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범
Original Assignee
(주) 삼정디씨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정디씨피 filed Critical (주) 삼정디씨피
Priority to KR1020060117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21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with three 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Abstract

본 발명은 코러게이트 삼중관에 있어서 2층관과 3층관 사이에 전자태그를 내장시키기 위한 코러게이트 삼중관의 전자태그 내장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전자태그가 내장된 코러게이트 삼중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은, 1층관과 3층관은 평활관이고, 2층관은 코러게이트 관인 코러게이트 삼중관을 제조함에 있어서;
제 1 압출기에 의해 상기 1층관과 2층관을 동시에 평활하게 압출하고, 다음 공정에서 상기 2층관을 캐터필러 성형기에 의해 코러게이트형으로 성형하되 상기 2층관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캐터필러 성형기에 의해 2층관의 특정 산 부위에 안착부가 형성되게 성형하며, 다음 공정에서 상기 안착부 내에 단열재로 보호된 전자태그를 안착시키고, 다음 공정에서 상기 2층관의 표면으로 제 2 압출기에 의해 3층관을 적층하므로써 2층관과 3층관 사이에 전자태그가 내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러게이트 삼중관의 전자태그 내장방법이고,
본 발명의 제 2 특징은,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전자태그가 내장된 코러게이트 삼중관이다.
코러게이트 삼중관, 전자태그, 전자태그 내장방법

Description

코러게이트 삼중관의 전자태그 내장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전자태그가 내장된 코러게이트 삼중관{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serting method of corrugated 3-layer pipe and corrugated 3-layer pi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가 내장된 코러게이트 삼중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가 내장된 코러게이트 삼중관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러게이트 삼중관에서 1층관과 2층관을 성형하는 상태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로서, 2층관에 전자태그를 안착하기 위한 안착부를 성형하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러게이트 삼중관에서 3층관을 성형하는 상태도 및 표식띠를 형성하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코러게이트 삼중관 20 : 1층관
30 : 2층관 40 : 3층관
50 : 전자태그 s : 안착부
본 발명은 코러게이트 삼중관에 있어서 2층관과 3층관 사이에 전자태그를 내장시키기 위한 코러게이트 삼중관의 전자태그 내장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전자태그가 내장된 코러게이트 삼중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전자태그)는 각종 물품에 부착 또는 내장하여 해당 물품의 이력과 주변 환경정보를 무선주파수로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한 무선식별시스템이다. 이러한 전자태그는 바코드처럼 직접 접촉하거나 가시대역 안에서 스캐닝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 때문에 바코드를 대체할 기술로 평가받고 있으며, 바코드의 대체 역할 말고도 여러 분야에서 활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일예를 들어, 상수도관, 하수도관, 가스관, 전기 및 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 등은 외부 충격으로 인한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 지중 매설되어 있다. 이러한 지중매설물들은 도로를 따라 매설되는데, 도로는 각종 공사로 인해 수시로 굴착된다. 도로를 굴착할 때는 지중 매설물들을 관리하는 기관의 협조를 구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담당 기관들 사이의 협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기관의 협조를 얻어 입수한 매설도면을 보면서 매설물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도 어려운 실정이다.
더구나 굴착공사로 인해 지중매설물들의 위치나 구조가 변경되었을 경우에 변경된 내용을 담당기관에 통보하지 않거나 도면에 표기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다음 작업시 부정확한 정보가 전달되어 지중 매설 물을 파손시킬 수 있어서 대형사고의 위험성을 안고 있다. 이와 같이 도로 굴착공사시에 지중에 매설된 시설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용이하지 않으며, 매설물의 이력을 확인하는 것은 더더욱 불가능하다.
이에, 국내특허출원 제10-2005-50454호와 국내특허출원 제10-2002-7518호에서는 지하 매설물에 전자태그를 설치하여 매설물의 위치는 물론 상세한 이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전자태그를 어디에 어떻게 설치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없고 특정 대상물이 아닌 여러 대상물을 포괄하여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태그의 구체적인 설치구성이 미비하여 실용화가 가능한지가 의문이다.
한편, 미국특허 US 6,812,707(명칭:DETECTION ELEMENT FOR OBJECTS AND DETECTION DEVICE USING THE SAME)에서는 전자태그를 관에 어떻게 설치할 것인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특허는 관의 표면에 전자태그가 내장된 디텍팅 엘리먼트(detecting element)를 접착테이프에 의해 감아돌려서 고정시키는 원시적인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 경우 기능상에는 별다른 이상이 없다고 하겠으나 디텍팅 엘리먼트를 별도로 제작해야하는 비용적인 부담감과, 관을 제작하는 작업외에 디텍팅 엘리먼트를 접착테이프로서 관 표면에 고정시키는 후작업을 별도로 시행해야 하므로 공수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상수/하수용의 코러게이트 삼중관 내에 전자태그를 내 장하되, 삼중관을 제작하는 과정중에 내장하므로써 별도의 후작업 없이 효율적인 내장설치가 가능한 코러게이트 삼중관의 전자태그 내장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전자태그가 내장된 코러게이트 삼중관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① 1층관과 3층관은 평활관이고, 2층관은 코러게이트 관인 코러게이트 삼중관을 제조함에 있어서;
제 1 압출기에 의해 상기 1층관과 2층관을 동시에 평활하게 압출하고, 다음 공정에서 상기 2층관을 캐터필러 성형기에 의해 코러게이트형으로 성형하되 상기 2층관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캐터필러 성형기에 의해 2층관의 특정 산 부위에 안착부가 형성되게 성형하며, 다음 공정에서 상기 안착부 내에 단열재로 보호된 전자태그를 안착시키고, 다음 공정에서 상기 2층관의 표면으로 제 2 압출기에 의해 3층관을 적층하므로써 2층관과 3층관 사이에 전자태그가 내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러게이트 삼중관의 전자태그 내장방법이다.
②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층관 압출공정중에, 상기 전자태그가 내장된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제 3 압출기에 의해 3층관의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의 표식띠가 동시에 압출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러게이트 삼중관의 전자태그 내장방법이다.
③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띠는 프로파일과 금속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러게이트 삼중관의 전자태그 내장방법이다.
④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전자태그가 내장된 코러게이트 삼중관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가 내장된 코러게이트 삼중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가 내장된 코러게이트 삼중관의 설치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러게이트 삼중관에서 1층관과 2층관을 성형하는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로서, 2층관에 전자태그를 안착하기 위한 안착부를 성형하는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러게이트 삼중관에서 3층관을 성형하는 상태도 및 표식띠를 형성하는 상태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은 평활한 1층관(20)과, 내외면에 산과골이 반복되게 형성되는 코러게이트 2층관(30)과, 평활한 3층관(40)이 순차적으로 압출에 의해 적층되는 코러게이트 삼중관(10)의 제조공정중에 상기 2층관(30)과 3층관 (40)사이로 전자태그(50)가 내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이하에서 전자태그(50)가 내장된 코러게이트 삼중관(10)의 상세 구조와, 코러게이트 삼중관(10)의 내부에 전자태그(50)를 어떠한 방법으로 내장하는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코러게이트 삼중관(10)중에서 1층관(20)과 2층관(30)은 도 3,4에서와 같이 제 1 압출기(1)와 제 1 다이스(3)에 의해 성형되어진다. 즉, 제 1 다이스(1)의 선단에 연결된 제 1 압출기(1)로 부터 제 1 다이스(3)의 내부로 액상의 프로파 일(pro-file)이 공급되면, 제 1 다이스(3)의 내부에 형성된 단일의 메인유로(3a)와, 이 메인유로의 끝부분에 형성된 두 갈래의 프로파일 분기유로(3b,3c)를 통해 1층관(20)과 2층관(30)이 배출된다.
제 1 다이스(3)로 부터 배출되는 1층관(20)은 별도성형이 필요없이 평활한 상태로 진행되는 반면, 2층관(30)은 평활한 상태로 부터 그 내외면에 산과 골이 반복되는 코러게이트 형상으로 성형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2층관(30)은 상기 제 1 다이스(3)의 공기분사유로(3d) 사이로 분사되는 에어의 분사압에 의해 1층관(20)과 합치되지 않은 격리상태로 압출이 완료된다.
상기 2층관(30)은 제 1 다이스(3)의 차기 위치에 설치되는 캐터필러 성형기()에 의해 코러게이트형으로 성형된다. 캐터필러 성형기(5)는 도 4에서와 같이 코러게이트 모양이 새겨진 상형(5a) 및 하형(5b)이 무한궤도 형태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상형(5a)과 하형(5b)의 사이로 투입되는 상기 2층관(30)을 코러게이트형상으로 성형되게 한다. 이러한 2층관(30)의 성형과정에서 상기 1층관(20)과 2층관(30)의 적층접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캐터필러 성형기(5)의 상형(5a)에서 2층관(30)의 산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요홈(5a-1)중 선택된 특정 요홈(5a-2)의 깊이를 낮게 형성하므로써 결국은 이러한 특정 요홈(5a-2)에 의해 성형되는 제품인 2층관(30)의 특정 산(5a-4)의 일부분은 여타의 산(5a-3)에 비해 낮은 높이가 된다. 따라서, 낮은 높이의 특정 산(5a-4)에 전자태그(50)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부(s)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상기 2층관(30)의 특정 산(5a-4)에 마련된 안착부(s)에 전자태그(50)를 안착시킨다. 여기서, 전자태그(50)의 안착작업은 기계에 의한 자동안착작업이 될 수도 있으며, 작업자가 일일히 안착시키는 수동작업으로도 가능하나 양산성을 위해서 가능하다면 자동안착방법을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2층관(30)의 온도는 성형을 막 끝낸 시점이기 때문에 상당히 뜨거운 상태에 있다. 따라서, 전자태그(50)를 아무런 보호장치 없이 2층관(30) 상에 안착시키게 되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전자태그(50)의 표면을 석면 등의 단열재(52)(도 1참조)에 의해 감싼 상태에서 안착시켜야만 열로 부터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전자태그(50)의 안착이 완료된 이후에는 제 2 압출기(6) 및 제 2 다이스(7)에 의해 2층관(30)의 표면에 평활한 3층관(40)을 적층한다. 이로써 상기 2층관(30)과 3층관(40)사이에 전자태그(50)가 내장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3층관(40)을 적층한 이후에는 전자태그(50)의 내장위치를 육안으로 판별하기가 곤란하므로 이러한 곤란성 해소를 위해 전자태그(50)의 내장위치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부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 및 도 5에서와 같이 3층관 압출공정중에 제 3 압출기(8)에 의해 3층관(40)의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의 프로파일을 상기 전자태그(50)가 내장된 위치와 부합하는 위치에 맞게 동시에 띠상으로 압출한 표식띠(32)가 형성되게 하므로써 관의 설치시 전자태그(50)의 위치가 관의 아래방향이 아닌 윗방향으로 올라온 상태로 설치하여 외부에서의 수신감도를 보다 좋게 하면서 수분에 의한 손상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표식띠(32)의 성분은 프로파일과 금속분말을 혼합한 것으로 하여, 금속탐지기 등에 의해 관이 매설된 위치와 매설방향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자태그(50)는 도 2의 이동식 수신단말기(60)와의 수신거리에 한계가 있어서 관의 매설위치를 크게 벗어난 위치에서는 위치추적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땅을 파헤치지 않는한 관의 매설방향을 가늠하기도 불가능한 상태이나, 상기 표식띠(32)에 금속성분을 함유하게 되면 표식띠(32)가 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의 매설위치 및 매설방향을 정확히 가늠할 수 있고, 아울러 표식띠(32)의 어딘가에는 전자태그(50)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전자태그를 찾아내는데도 한결 수월하다.
결론적으로, 상기한 방법에 의하면 2층관(30)과 3층관(40) 사이에 전자태그(50)가 내장된 코러게이트 삼중관(10)을 얻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전자태그(50)의 내장은 코러게이트 삼중관(10)을 제조하는 과정중에 이루어지고, 별도의 고정수단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전자태그(50)를 내장함에 있어서 작업공수의 증가나 고정수단을 만들기 위한 추가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양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코러게이트 삼중관내에 전자태그를 내장하므로써 관의 이력과 주변환경정보, 위치이동 등을 흙파기 작업이 없이도 작업자가 편리하고 신속, 정확하게 수득할 수 있어서 미래 지향적인 제품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후공정 없이 코러게이트 삼중관의 제조공정중에 전자태그를 내장하므로써 전자태그의 내장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서 전자태그가 내장되지 않은 코러게이트 삼중관의 양산속도와 거의 같은 정도로 양산이 가능하다.

Claims (4)

1층관과 3층관은 평활관이고, 2층관은 코러게이트 관인 코러게이트 삼중관을 제조함에 있어서;
제 1 압출기에 의해 상기 1층관과 2층관을 동시에 평활하게 압출하고, 다음 공정에서 상기 2층관을 캐터필러 성형기에 의해 코러게이트형으로 성형하되 상기 2층관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캐터필러 성형기에 의해 2층관의 특정 산 부위에 안착부가 형성되게 성형하며, 다음 공정에서 상기 안착부 내에 단열재로 보호된 전자태그를 안착시키고, 다음 공정에서 상기 2층관의 표면으로 제 2 압출기에 의해 3층관을 적층하므로써 2층관과 3층관 사이에 전자태그가 내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러게이트 삼중관의 전자태그 내장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층관 압출공정중에, 상기 전자태그가 내장된 위치를 식별하기 위하여 제 3 압출기에 의해 3층관의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의 표식띠가 동시에 압출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러게이트 삼중관의 전자태그 내장방법.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띠는 프로파일과 금속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러게이트 삼중관의 전자태그 내장방법.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전자태그가 내장된 코러게이트 삼중관.
KR1020060117517A 2006-11-27 2006-11-27 코러게이트 삼중관의 전자태그 내장방법 및 이 방법을이용하여 제조된 전자태그가 내장된 코러게이트 삼중관 KR100829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517A KR100829915B1 (ko) 2006-11-27 2006-11-27 코러게이트 삼중관의 전자태그 내장방법 및 이 방법을이용하여 제조된 전자태그가 내장된 코러게이트 삼중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517A KR100829915B1 (ko) 2006-11-27 2006-11-27 코러게이트 삼중관의 전자태그 내장방법 및 이 방법을이용하여 제조된 전자태그가 내장된 코러게이트 삼중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915B1 true KR100829915B1 (ko) 2008-05-16

Family

ID=39664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517A KR100829915B1 (ko) 2006-11-27 2006-11-27 코러게이트 삼중관의 전자태그 내장방법 및 이 방법을이용하여 제조된 전자태그가 내장된 코러게이트 삼중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90118A (zh) * 2011-10-24 2012-03-28 广东联塑机器制造有限公司 一种三壁波纹管生产设备及生产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324A (ko) * 1999-02-12 1999-07-05 조영한 지하매설물검출장치
JPH11304941A (ja) 1998-04-24 1999-11-05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地中埋設管の検知方法
JP2005181111A (ja) 2003-12-19 2005-07-07 Dekku:Kk 埋設管情報の読取装置
KR100629943B1 (ko) 2006-02-03 2006-09-28 벽진산업 주식회사 매설위치 탐지용 합성수지관과 제조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4941A (ja) 1998-04-24 1999-11-05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地中埋設管の検知方法
KR19990046324A (ko) * 1999-02-12 1999-07-05 조영한 지하매설물검출장치
JP2005181111A (ja) 2003-12-19 2005-07-07 Dekku:Kk 埋設管情報の読取装置
KR100629943B1 (ko) 2006-02-03 2006-09-28 벽진산업 주식회사 매설위치 탐지용 합성수지관과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90118A (zh) * 2011-10-24 2012-03-28 广东联塑机器制造有限公司 一种三壁波纹管生产设备及生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4112B2 (en) Structure for monitoring stability of existing subgrade/slop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A2416513C (en) Method of locating underground utility lines and an underground utility line
US6941890B1 (en) Underground marking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 location of an object underground
US5771835A (en) Passive marker device for particular points, subsurface items and conditions
KR101677943B1 (ko) 매설관로 표지판
CN102449681A (zh) 用于标记和探测地下管线的系统和方法
JP7060254B2 (ja) 信号テープ
KR101179001B1 (ko) 지하 매설물의 위치 측정 및 관리 시스템
CN103088805B (zh) 承压水层水位复合监测井的施工方法
KR100829915B1 (ko) 코러게이트 삼중관의 전자태그 내장방법 및 이 방법을이용하여 제조된 전자태그가 내장된 코러게이트 삼중관
JP2008506871A (ja) 埋没目標掘削の案内の方法と装置
CN106382923A (zh) 一种矿用道路放样桩及其放样方法
KR200487137Y1 (ko) 관로표시장치
KR102225869B1 (ko) 배관 탐지수단
JP2011194659A (ja) ライニング管路の施工方法
KR102326822B1 (ko) 관로탐지 기능을 구비한 코팅 강관과 성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
DE102012021415B3 (de) Rohr mit Lichtleiterkabel zur Messung von umgebungsrelevanten Größen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EP3522138B1 (en) Thermoplastic pipe system
KR100898804B1 (ko) 지중 매설위치 탐지용 수도관 압출금형
CN207295690U (zh) 一种可测深的排水板
CN201237031Y (zh) 一种复合管件
KR100633429B1 (ko) 탐지선이 구성된 폴리에틸렌관
TWM546996U (zh) 人孔蓋偵測定位裝置
CN111256869A (zh) 一种测试沿深度方向温度场的路用光纤传感器及布置方法
CN215721405U (zh) 一种可示踪的柔性复合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