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236B1 -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 - Google Patents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236B1
KR101450236B1 KR1020140005427A KR20140005427A KR101450236B1 KR 101450236 B1 KR101450236 B1 KR 101450236B1 KR 1020140005427 A KR1020140005427 A KR 1020140005427A KR 20140005427 A KR20140005427 A KR 20140005427A KR 101450236 B1 KR101450236 B1 KR 101450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resin material
sensing line
metallic
bu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선남
Original Assignee
조선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남 filed Critical 조선남
Priority to KR1020140005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은 비금속성분의 합성수지소재를 압출하여 제작되는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으로서, 관형의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금속성을 가지는 감지선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선은 상기 비금속성분의 합성수지소재에 칩(chip) 또는 파우더(powder) 형태의 금속소재를 혼합한 금속성을 가지는 액체상태의 혼합수지를 미리 설정된 폭으로 도포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의 몸체에 금속성을 가지는 감지선을 형성함으로써, 시공 설비 도면을 구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외부에서 금속탐지장치를 통해 매설 위치 확인이 가능하며, 감지선은 합성수지소재로 제작된 몸체의 표면 일부에 도포되거나 띠처럼 부착되어 형성되므로 몸체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몸체가 손상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UNDERGROUND PIPE FOR DETECTING POSITION}
본 발명은 금속탐지장치를 통해 지상에서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또는 상수도 등을 공급하기 위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배관은 금속소재로 제작되고, 지상에서 별도의 탐지장치를 이용하여 매설된 위치의 파악이 가능하다.
더 자세하게는, 배관은 전도체인 금속소재로 제작되어 고주파를 발신하는 발신기가 연결되고, 탐지장치에는 고주파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구비되어 발신기로부터 발신되는 고주파를 측정함으로써, 배관의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전도성의 금속소재로 제작된 배관은 관 내부를 흐르는 가스 또는 수돗물에 의해 산화되어 부식되거나, 유기물의 흡착에 의해 내부에 침전물이 쌓여 그 수명이 짧아 자주 교체하여야 할 뿐 아니라, 수돗물이 오염될 수 있으며, 금속소재로 제작되어 자체 무게로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금속관에 비해 내식성과 내화학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된 배관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로 제작된 배관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로서, 상술한 탐지장치를 이용한 탐지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배관의 매설 시, 배관의 상측에 금속 성질을 띠는 동선을 별도로 매설하여, 탐지장치를 통해 현재 배관이 매설된 위치를 파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법은 배관의 매설 후, 다시 동선을 매설해야하므로 작업이 복잡해지고, 매설된 동선이 외부요인에 의해 훼손되거나, 습기 등에 의해 산화되어 정확한 관로의 탐지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1999-0055739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합성수지 소재로 제조된 배관의 표면에 금속성을 띠는 혼합수지를 일정 간격으로 점착시키거나 부착시켜 외부요인에 의해 산화되거나 훼손되지 않고, 배관과 일체로 형성되어 매설작업이 간소화되며, 매설 후에도 금속탐지장치를 통해 손쉽게 매설 위치를 탐지할 수 있는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은 관형의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금속성을 가지는 감지선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선은 비금속성분의 합성수지소재에 칩(chip) 또는 파우더(powder) 형태의 금속소재를 혼합한 금속성을 가지는 반고체 상태의 끈적한 젤(GEL)타입의 혼합수지를 상기 몸체의 외면에 미리 설정된 폭으로 점착시켜 형성된다.
상기 혼합수지가 점착될 부위는 샌딩(sanding)처리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감지선과 평행되는 위치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의 제품관련정보가 인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은 관형의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금속성을 가지는 감지선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선은 비금속성분의 합성수지소재에 칩(chip) 또는 파우더(powder) 형태의 금속소재를 혼합하여 미리 설정된 폭을 가지는 권취 가능한 띠 형상으로 제작한 금속성을 가지는 혼합수지를 부착하여 형성된다.
상기 혼합수지가 부착될 부위는 샌딩(sanding)처리되고, 상기 혼합수지와 상기 몸체 사이에는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감지선과 평행되는 위치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의 제품관련정보가 인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은 관형의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금속성을 가지는 감지선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선은 상기 몸체의 외면에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와이어를 부착한 후, 상기 와이어가 부착된 상기 몸체의 외측에 반고체 상태의 끈적한 젤(GEL)타입의 비금속성분의 합성수지소재를 미리 설정된 폭으로 점착시켜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 및 상기 합성수지가 점착될 부위는 샌딩(sanding)처리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감지선과 평행되는 위치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의 제품관련정보가 인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설배관의 몸체에 금속성을 가지는 감지선을 형성함으로써, 시공 설비 도면을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외부에서 금속탐지장치를 통해 매설 위치 확인이 가능하며, 감지선은 몸체의 표면 일부에 점착되거나 띠 형태로 부착되어 형성되므로 몸체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몸체가 손상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이 적용된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이 적용된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100)(이하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100)'이라 함)은 몸체(10) 및 몸체(10)의 외면에 형성된 감지선(30)을 포함한다.
더 자세하게는, 본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100)은 비금속성분의 합성수지원료를 고온/고압으로 압출하여 제작되는 매설배관(100)으로서, 관형의 몸체(10), 그리고 몸체(10)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금속성을 가지는 감지선(30)을 포함한다.
먼저, 몸체(10)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이고 내측이 관통된 관 형상으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틸렌(PS) 등의 합성수지원료를 압출장치에 투입하여 고온/고압의 압출과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몸체(10)는 알갱이형의 고체 합성수지원료를 둘레에 가열수단을 구비한 스크류 피더 방식의 압출장치(도시되지 않음)에 투입하여 스크류의 분쇄과정과 가열수단의 열을 이용해 용융시킨 후, 고온/고압으로 압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몸체(10)의 외면에는 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감지선(30)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감지선(30)은 비금속성분의 합성수지소재(31)에 칩 또는 파우더 형태의 금속소재(33)를 혼합한 금속성을 가지는 반고체 상태의 끈적한 젤타입의 혼합수지를 노즐(90)을 통하여 몸체(10)의 외면에 미리 설정된 폭으로 점착시켜 형성된다.
더 자세하게는, 감지선(30)은 비금속성분의 합성수지소재(31)에 칩 또는 파우더 형태의 금속소재(33)를 투입한 후,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반고체 상태의 끈적한 젤형태로 변형시키고, 이를 노즐(90)을 이용하여 몸체(10)의 외면에 점착시킨 후, 응고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미리 설정된 온도는 합성수지소재(31)가 젤타입으로 고형화되는 온도이고, 젤타입의 합성수지소재(31)에 혼합된 금속소재(33)는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에 의해 변형되거나 변성되지 않고, 원래의 형상 및 성질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소재(31)에 혼합되는 금속소재(33)는 전기를 도통시킬 수 있는 소재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금속소재(33)는 금속탐지장치(200)를 통해 탐지가 가능한 도전성 소재일 수 있으며, 사용상 필요에 따라 적용되는 소재의 종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금속소재(33)는 몸체(10)의 외면에 점착되는 혼합수지의 점착두께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금속소재(33)는 합성수지소재(31)와 혼합되기 전, 별도의 분쇄과정을 통해 칩 또는 파우더 형태로 제작되되, 노즐(90)로부터 배출되어 몸체(10)의 외면에 점착되는 혼합수지의 두께에 따라 분쇄과정에서 입자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젤타입의 혼합수지가 점착될 몸체(10)의 어느 한 부위는 샌딩처리 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젤타입의 혼합수지가 점착될 부위는 흠집을 제거하고 표면을 매끄럽게 하며, 혼합수지의 점착을 좋게 하기 위하여 표면이 거친 연마재를 사용하여 샌딩처리 될 수 있다.
또한,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혼합수지의 외면에는 혼합수지가 외부 환경요인으로부터 손상되거나 제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투명수지로 코팅처리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100)은 관형의 몸체(10)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끈적한 젤타입의 혼합수지를 점착시켜, 금속성을 가진 감지선(30)을 형성하고, 감지선(30)이 지면과 인접한 위치에서 수직되도록 지중에 매설됨으로써, 지상의 금속탐지장치(200)를 통해 위치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몸체(10)의 외면에는 감지선(30)과 평행되는 위치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10)의 제품관련정보(11)가 인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몸체(10)의 외면에서, 감지선(30)과 인접한 부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10)의 규격 및 매설정보 등과 같은 제품관련정보(11)가 인쇄될 수 있다. 이때, 몸체(10)의 외면에 인쇄되는 제품관련정보(11)는 감지선(30)을 형성하는 끈적한 젤타입의 혼합수지가 사용되어 인쇄될 수 있다.
즉, 본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100)은 감지선(30)과 함께 동일한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금속소재(33)가 혼합된 혼합수지를 이용하여 제품관련정보(11)를 몸체(10)의 외면에 인쇄함으로써, 감지선(30)의 훼손 시, 감지선(30)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 매설배관(100)의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교체, 보수 또는 제거 등의 관로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100)을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100)을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100)을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100)은 관형의 몸체(10), 그리고 몸체(10)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금속성을 가지는 감지선(30)을 포함하되, 감지선(30)은 띠 형태로 제작되어 몸체(10)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어 형성된다.
더 자세하게는, 감지선(30)은 비금속성분의 합성수지소재(31)에 칩 또는 파우더 형태의 금속소재(33)를 투입한 후,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반고체 상태의 끈적한 젤 형태로 변형시키고, 이를 별도의 주형을 이용하여 일정온도에서 응고시켜 미리 설정된 폭을 가지는 권취 가능한 띠 형상으로 제작한 후, 몸체(10)의 외면에 부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띠 형상의 혼합수지가 부착될 몸체(10)의 어느 한 부위는 샌딩처리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혼합수지가 부착될 몸체(10)의 어느 한 부위는 흠집을 제거하고 표면을 매끄럽게 하며, 혼합수지의 점착을 좋게 하기 위하여 표면이 거친 연마재를 사용하여 샌딩처리 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되 바와 같이, 혼합수지와 몸체(10) 사이에는 접착층(50)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혼합수지와 혼합수지가 부착될 몸체(10)의 외면에는 각각 접착제가 도포되어 서로 부착됨으로써, 혼합수지와 몸체(10) 사이에는 접착층(5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의 외면에는 감지선(30)과 평행되는 위치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10)의 제품관련정보(11)가 인쇄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몸체(10)의 외면에서 감지선(30)과 인접한 부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10)의 규격 및 매설정보 등과 같은 제품관련정보(11)가 인쇄될 수 있다. 이때, 몸체(10)의 외면에 인쇄되는 제품관련정보(11)는 감지선(30)을 형성하는 금속성을 가진 젤타입의 혼합수지가 사용되어 인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100)을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100)을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100)을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100)은 관형의 몸체(10), 그리고 몸체(10)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금속성을 가지는 감지선(30)을 포함하되, 감지선(30)은 내측에 금속재질의 와이어(70)를 포함한다.
더 자세하게는, 감지선(30)은 몸체(10)의 외면에 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와이어(70)를 부착한 후, 와이어(70)가 부착된 몸체(10)의 외측에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형태가 변형된 반고체 상태의 끈적한 젤타입의 합성수지소재(31)를 노즐(90)을 통해 미리 설정된 폭으로 점착시켜 형성된다.
이때, 와이어(70) 및 합성수지소재(31)가 점착될 몸체(10)의 어느 한 부위는 샌딩처리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와이어(70)가 부착되고, 와이어(70)의 상부로 합성수지소재(31)가 점착될 몸체(10)의 어느 한 부위는 흠집을 제거하고 표면을 매끄럽게 하며, 합성수지소재(31)의 점착을 좋게 하기 위하여 표면이 거친 연마재를 사용하여 샌딩처리 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와이어(70)는 몸체(10)의 외면에 부착되는 방법 이외에, 다른 형태로 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몸체(10)의 외면에는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와이어(70)의 직경과 동일한 홈이 형성되고, 와이어(70)는 상기 홈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몸체(10)의 외면에는 감지선(30)과 평행되는 위치에서 몸체(10)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10)의 제품관련정보(11)가 인쇄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몸체(10)의 외면에서 감지선(30)과 인접한 부위에는 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10)의 규격 및 매설정보 등과 같은 제품관련정보(11)가 인쇄될 수 있다. 이때, 몸체(10)의 외면에 인쇄되는 제품관련정보(11)는 금속성을 가지는 젤타입의 혼합수지가 사용되어 인쇄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매설배관(100)의 몸체(10)에 금속성을 가지는 감지선(30)을 형성함으로써, 시공 설비 도면을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외부에서 금속탐지장치(200)를 통해 매설 위치 확인이 가능하며, 감지선(30)은 몸체(10)의 표면 일부에 점착되거나 띠 형태로 부착되어 형성되므로 몸체(10)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몸체(10)가 손상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
10. 몸체
11. 제품관련정보
30. 감지선
31. 합성수지소재 33. 금속소재
50. 접착층
70. 와이어
90. 노즐
200. 금속탐지장치

Claims (9)

  1. 관형의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금속성을 가지는 감지선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선은
    비금속성분의 합성수지소재에 고체상태인 칩(chip) 또는 파우더(powder) 형태의 금속소재를 투입한 후, 상기 금속소재가 변형되거나 변성되지 않는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합성수지소재를 반고체 상태의 끈적한 젤(GEL) 형태로 변화시키고, 상기 젤 형태로 변화된 합성수지소재를 상기 몸체의 외면에 미리 설정된 폭으로 점착시켜 형성되는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
  2. 제1항에서,
    상기 젤 형태로 변화된 합성수지소재가 점착될 부위는 샌딩(sanding)처리되는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
  3. 제1항에서,
    상기 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감지선과 평행되는 위치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의 제품관련정보가 인쇄되는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
  4. 관형의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금속성을 가지는 감지선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선은
    비금속성분의 합성수지소재에 고체상태인 칩(chip) 또는 파우더(powder) 형태의 금속소재를 투입한 후, 상기 금속소재가 변형되거나 변성되지 않는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합성수지소재를 반고체 상태의 끈적한 젤 형태로 변화시키고, 상기 젤 형태로 변화된 합성수지소재를 상온에서 응고시켜 미리 설정된 폭을 가지는 권취 가능한 띠 형상으로 제작하여 상기 몸체의 외면에 부착시켜 형성되는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
  5. 제4항에서,
    상기 권취 가능한 띠 형상으로 제작된 합성수지소재가 부착될 부위는 샌딩(sanding)처리되고,
    상기 권취 가능한 띠 형상으로 제작된 합성수지소재와 상기 몸체 사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는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
  6. 제4항에서,
    상기 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감지선과 평행되는 위치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의 제품관련정보가 인쇄되는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005427A 2014-01-16 2014-01-16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 KR101450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427A KR101450236B1 (ko) 2014-01-16 2014-01-16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427A KR101450236B1 (ko) 2014-01-16 2014-01-16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236B1 true KR101450236B1 (ko) 2014-10-14

Family

ID=5199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427A KR101450236B1 (ko) 2014-01-16 2014-01-16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2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935B1 (ko) * 2020-07-06 2020-11-19 주식회사 에너솔라 지열 배관 탐지수단
CN116930056A (zh) * 2023-09-18 2023-10-24 西南石油大学 一种金属材料高温高压酸化反应实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400A (ko) * 1998-12-21 1999-04-26 이기준 전도성 합성수지관
KR20100121163A (ko) * 2009-05-08 2010-11-17 신창훈 탐지능동형 합성수지관
KR101293636B1 (ko) * 2012-12-31 2013-08-13 박주영 파이프 내부의 고무라이닝 방법
KR101313806B1 (ko) * 2013-05-16 2013-10-01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관로 탐사용 폴리에틸렌 파이프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400A (ko) * 1998-12-21 1999-04-26 이기준 전도성 합성수지관
KR20100121163A (ko) * 2009-05-08 2010-11-17 신창훈 탐지능동형 합성수지관
KR101293636B1 (ko) * 2012-12-31 2013-08-13 박주영 파이프 내부의 고무라이닝 방법
KR101313806B1 (ko) * 2013-05-16 2013-10-01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관로 탐사용 폴리에틸렌 파이프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935B1 (ko) * 2020-07-06 2020-11-19 주식회사 에너솔라 지열 배관 탐지수단
CN116930056A (zh) * 2023-09-18 2023-10-24 西南石油大学 一种金属材料高温高压酸化反应实验装置
CN116930056B (zh) * 2023-09-18 2023-12-08 西南石油大学 一种金属材料高温高压酸化反应实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7636B2 (en) Protective liner with wear detection
KR101435997B1 (ko) 매설위치 및 관로정보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
CN108474521A (zh) 陆上管道的实时完整性监测
KR101450236B1 (ko) 위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
MY172733A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integrity of a flexible line extending through a fluid exploitation facility, and associated flexible line, kit and production process
WO2007041516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ation evaluation and borehole size determination
US20200039027A1 (en) Abrasive article including a wear detection sensor
USRE30393E (en) Plastic pipe construction
SA518400225B1 (ar) أنظمة ومنتجات أسفل البئر لتحديد حالة حفرة بئر أو منتج أسفل البئر، وطرق ذات صلة
US8816852B2 (en) Tamper-proof alarm component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WO2011021882A3 (ko)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적용한 배관
KR102326822B1 (ko) 관로탐지 기능을 구비한 코팅 강관과 성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11281B1 (ko) 탐지용 파이프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EP3522138B1 (en) Thermoplastic pipe system
NO20101154A1 (no) Anordning og fremgangsmate for overvaking av lekkasjer
AU2014298105A1 (en) Improved reinforcement strip for repairing fluid transport pipes
EP2791568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onitoring the cooling of a welded joint
CN111486273A (zh) 管线结构及管道制备方法
CN108443599A (zh) 一种复合材料流体管
KR100633429B1 (ko) 탐지선이 구성된 폴리에틸렌관
KR101313806B1 (ko) 관로 탐사용 폴리에틸렌 파이프와 그 제조방법
CN115839439A (zh) 一种可探测埋地用聚乙烯给水塑料管材及生产工艺
KR19990030400A (ko) 전도성 합성수지관
US20170370696A1 (en) Pipeline identification and calibration apparatus
KR102470588B1 (ko) 결합력 향상과 기능성 옆줄이 표기된 수도관과 성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