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766B1 - 배전선로의 전신주 조류퇴치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의 전신주 조류퇴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766B1
KR102180766B1 KR1020200105826A KR20200105826A KR102180766B1 KR 102180766 B1 KR102180766 B1 KR 102180766B1 KR 1020200105826 A KR1020200105826 A KR 1020200105826A KR 20200105826 A KR20200105826 A KR 20200105826A KR 102180766 B1 KR102180766 B1 KR 102180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main body
pipe
repellents
stri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105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퇴치구를 타격체의 타격에 의해 신속하게 본체 외부로 배출하여 배전선로에 존재하는 조류를 신속하게 퇴치할 수 있는 조류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펠릿형태나 볼(Ball) 형상으로 이루어진 퇴치구가 다수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과 서로 독립되게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전신주에 고정 설치되며, 해당 전신주에 수직되게 설치된 공급부재를 통해 상기 퇴치구를 공급받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탄성력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탄성력에 의해 상기 퇴치구를 타격하여 상기 본체 외부로 발사될 수 있도록 하는 타격부 및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설치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회전에 의해 상기 타격부를 이동시켜 상기 타격부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퇴치구를 타격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공급부재는 퇴치구를 회전에 의해 수용공간으로 공급하고자 하는 공급스크류, 상기 공급스크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 내부로 퇴치구를 공급하고자 하는 투입관 및 상기 공급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급모터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전선로의 전신주 조류퇴치장치{Birds eliminating devic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배전선로의 전신주 조류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퇴치구를 타격체의 타격에 의해 신속하게 본체 외부로 배출하여 배전선로에 존재하는 조류를 신속하게 퇴치할 수 있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조류퇴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랜동안 인류와 공존해 오던 야생조류는 도시화와 산업화의 진행에 따라 서식환경이 크게 바뀌었는데 이로 인해 특정 조류는 점차 종수가 줄어들어 보호종으로 될뿐더러 희귀조류가 되는 반면, 다른 조류는 환경의 변화에 잘 적응하여 개체 수가 오히려 늘어나고 있다. 그래서 예전에 미미하거나 문제되지 않았던 조류에 의한 피해범위가 점차 커지고 사회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상기 까치는 2월에서 5월까지의 산란기동안 철사, 젖가락, 옷걸이 등과 같은 금속재질을 물어다 전주(전신주 포함)의 완금위에 둥지를 지으면서 정전사고와 누전사고등과 같은 전주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유해조류를 방조하기 위해서 방조망을 설치하거나 조류가 새로운 것에 대해 가지는 경계행동을 이용하여 허수아비, 딸랑이부착, 반사경등의 모빌을 부착하거나, 포획용 트랩의 사용, 기피 소음색기기의 활용, 미각기피행동, 빙초산등의 다양한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한편 국내실용신안등록 제0332735호(등록일: 2003년 10월 30일)에는 V자형, U자형 또는 L자형 형상의 가는침을 일정한 간격으로 지그재그식 본체에 결합시켜 조류의 접근을 방지하는 조류접근 방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실용신안등록 제0358868호(등록일: 2004년 8월 4일)에는 다수의 로테이션부재를 금속재질의 완금 위에 설치하여 조류가 올라타거나 등지를 짓는 것을 방지하여 전주의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전주의 조류퇴치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밖에도 국내실용신안등록 제036595호(등록일: 2004년 9월 1일)에는 원통형상의 외주면에 뽀쪽한 침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조류접근 방지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모빌이나 조류가 기피하고 접근이 용이하지 못하도록 하는 다양한 형상의 기구들은 그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기구의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까치는 새로운 것에 대해 가지는 경계행동은 일반적으로 7 내지 10일 정도이기 때문에 자주 교체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실용신안등록 제0332735호(등록일: 2003년 10월 30일) 국내실용신안등록 제0358868호(등록일: 2004년 8월 4일) 국내실용신안등록 제036595호(등록일: 2004년 9월 1일)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교체의 이유가 없이 적은 제작비용으로도 간편하게 전주나 전신주에 설치가능한 조류퇴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신주 조류퇴치장치는 내부에 펠릿형태나 볼(Ball) 형상으로 이루어진 퇴치구가 다수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과 서로 독립되게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전신주에 고정 설치되며, 해당 전신주에 수직되게 설치된 공급부재를 통해 상기 퇴치구를 공급받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탄성력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탄성력에 의해 상기 퇴치구를 타격하여 상기 본체 외부로 발사될 수 있도록 하는 타격부 및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설치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회전에 의해 상기 타격부를 이동시켜 상기 타격부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퇴치구를 타격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공급부재는 퇴치구를 회전에 의해 수용공간으로 공급하고자 하는 공급스크류, 상기 공급스크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 내부로 퇴치구를 공급하고자 하는 투입관 및 상기 공급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급모터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배전선로이 설치된 방향으로 전신주에 설치되되 모터부의 회전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였다가 신속하게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타격체의 타격에 의해 본체 내부에 수용된 퇴치구가 상기 본체 외부로 다수 배출되어 조류를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지면상에서 퇴치구의 공급이 가능하되 교체의 이유가 없이 간편하게 설치하여 조류를 퇴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신주 조류퇴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신주 조류퇴치장치에 대한 본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신주 조류퇴치장치에 대한 조류감지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에 대한 복수의 배출관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신주 조류퇴치장치에 대한 퇴치구의 배출각도를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신주 조류퇴치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신주 조류퇴치장치(이하, 간략하게 '조류퇴치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인 조류퇴치장치는 송전철탑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고공의 배전선로가 설치되는 전신주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조류퇴치장치(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0), 타격부(200), 모터부(300) 및 이러한 구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복수의 전신주(P/T)나 송전철탑 등에 연결되는 다수의 배전선로(P/L)에 자리잡아 휴식을 취하는 비행 가능한 새를 의미하는 조류에 직접적인 상해를 가하지 않고도 퇴치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본체(10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퇴치구(500)가 수용되되 후술하는 타격부(200)의 타격에 의해 해당 퇴치구(500)가 조류가 존재하는 방향으로 발사되어 해당 조류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본체(1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퇴치구(500)가 다수 수용되는 수용공간(111)이 형성된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111)과 독립되게 후술하는 모터부(300)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112)이 함께 형성된다.
본체(100) 하부에는 수용공간(111)과 연통하는 복수의 배출관(1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관(114)을 통해 타격부(200)에 의해 타격된 퇴치구(500)가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어 조류를 퇴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각각의 배출관(114)은 서로 다른 배출각도(A1,A2,A3)로 퇴치구(500)가 배출될 수 있게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게 본체(10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조류퇴치장치(1)가 설치된 전신주(P/T)을 기준으로 근거리는 물론, 원거리까지 퇴치구(500)가 배출되어 조류의 퇴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체(100) 하부에 3개의 제1 내지 제3배출관(114)이 각각 형성된 경우, 제1배출관(114a)은 도시되지 않은 임의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동일한 각도(A1)를 갖도록 형성하며, 제2배출관(114b)은 상기 제1배출관(114a)보다 상방으로 더 큰 각도(A2)를 갖도록 형성하고, 또 다른 제3배출관(114c)은 상기 제2배출관(114b)의 각도보다 상방으로 더 큰 각도(A3)를 갖도록 각각 형성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본체(100) 내부에 설치된 하나의 타격부(200)를 통해 수용공간(111)에 구비된 퇴치구(500)가 상기 수용공간(111) 내에서 타격되면 제1 내지 제3배출관(114a,114b,114c)을 통해 각각 배출(발사)되는 퇴치구(5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포물선(A1-P,A2-P,A3-P)을 갖도록 배출되어 최대발사거리가 짧거나 길어지게 되어 더욱 원활하게 조류를 퇴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배전선로(P/L)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류퇴치장치(1)를 하나의 상기 배전선로(P/L)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퇴치구(500)가 발사될 수 있게 한 쌍의 전신주(P/T)에 각각 설치되어 배전선로 양측에서 서로 다른 포물선(A1-P,A2-P,A3-P,A1-P',A2-P',A3-P')을 갖게 퇴치구(500)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100) 내부 즉, 수용공간(111)에는 상기 본체(100) 내부로 공급되는 퇴치구(500)가 용이하게 배출구(117)로 수집되어 후술하는 타격부(200)에 공급될 수 있게 적어도 하나 이상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118)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경사면(118)을 통해 상기 배출구(117) 방향으로 상기 퇴치구(500)가 수집되어 상기 타격부(200)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본체(100) 내부에는 제어부(400) 및 상기 제어부(400)의 전기적인 동작에 필요한 배터리(115)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400)와 상기 배터리(115)는 상기 본체(100)에 개폐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도어(116)를 통해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0) 외면(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전신주에 각각 설치되는 본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조류감지부재(120)가 구비되어 배전선로에 조류의 안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조류감지부재(120)는 스위치(121) 및 와이어(123)를 포함한다.
스위치(121)는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본체(100) 외면에 설치되며, 와이어(123)의 당김 정도에 따라 스위칭되어 그 전기적으로 온(ON) 상태인 전기신호를 상기 제어부(4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와이어(123)는 양단이 한 쌍의 전신주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121)와 연결되되 바람직하게는 고공에 구비된 배전선로 상부에 소정거리의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어 조류가 해당 배전선로에 안착시에 그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상기 와이어(123)가 하강하되 그 하강에 의해 상기 스위치(121)가 당겨져 스위칭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어부(400)는 배전선로 상에 조류가 안착하였음을 감지하여 설정된 시간에 퇴치구(500)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은 물론, 상기 스위치(121)의 감지정보에 의해서도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도 4 참조)
이때, 조류감지부재(120)는 와이어(123)가 항시 배전선로 상부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배전선로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 설치되는 간격조절체(12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간격조절체(125)는 도시한 바와 같이, 배전선로가 관통 삽입되는 제1홀(127) 및 상기 제1홀(127) 상부에 와이어(123)가 관통삽입되되 상기 와이어(1235)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홀(129)가 형성된다.
나아가 제1홀(127) 및 제2홀(129)에는 각각 배전선로와 와이어(123)가 그 내부로 인입되기 위한 절개부가 각각 절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퇴치구(500)는 전신주(P/T)에 설치된 배전선로(P/L)에 존재하는 조류를 직접적으로 타격하거나 해당 조류의 주변으로 위협을 가하여 이동할 수 있게 퇴치하는 펠릿형태나 볼(Ball) 형상으로 이루어진다.(도 7 참조)
전신주(P/T) 상부에 설치되는 본체(100)는 해당 전신주(P/T)에 수직되게 설치된 공급부재(130)를 통해 투척하고자 하는 퇴치구(500)가 수용공간(111)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공급부재(130)는 공급스크류(131), 공급관(133), 투입관(137) 및 공급모터(139)를 포함한다.
공급스크류(131)는 공급관(133) 내부에 삽입되되 그 하부는 공급모터(139)의 구동축과 결합하여 상기 공급모터(137)에 의해 상기 공급관(133)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공급스크류(131)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날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날개를 통해 상기 공급스크류(131)가 회전시 퇴치구(500)를 공급관(133)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공급관(133) 하부에는 개구부(135)가 형성되되 상기 개구부(135)는 상기 공급관(133) 외면에 결합하는 투입관(137) 내부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부는 수용공간(111)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공급스크류(131)의 회전을 통해 상기 공급관(133)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이송된 퇴치구(500)가 상기 수용공간(111)에 공급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공급관(133) 외면에 결합한 투입관(137)은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개구된 일측이 하방으로 향할 수 있게 상기 투입관(137)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이를 통해 퇴치구(500)를 상기 공급관(133) 내부로 투입시에는 상기 투입관(137)의 개구된 일측이 상방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퇴치구(500)의 유입이 용이하게 하고, 투입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투입관(137)을 회전시켜 그 개구된 일측이 하방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마개가 없이도 상기 공급관(133) 내부로 이물질이나 습기(예를 들어, 우천으로 인한 물기 등) 등의 유입을 차단한다.
한편, 도시하진 않았으나, 공급모터(139)는 전신주(P/T)가 지면에 안정되게 설치되기 위한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진 지지구조물(미도시) 내에 유지보수 가능하게 삽입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술한 투입관(137)은 공급관(133) 과의 회전에 의해 그 개구된 일측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향하여 퇴치구(500)의 투입 등이 용이할 수 있도록 사선 형태로 상기 공급관(133)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퇴치구(500)는 타격부(200)에 의해 발사된 이후, 지면에 안착하여 일정시간 이후에는 미생물에 의해 토양의 양분으로 분해될 수 있는 톱밥, 쌀겨 및 과일껍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재활용(미생물에 의해 분해가 가능한) 종이재질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퇴치구(500)는 조류에 직접적인 타격을 가하는 경우, 해당 조류에 상처를 주지 않게 지름이 3 내지 5mm 이내로 형성되며, 무게는 7 내지 10g 이내의 무게를 갖도록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타격부(2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 내측 하부에 후술하는 모터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300)의 당김 방향으로 후진하였다가 탄성력에 의해 그 반대방향으로 신속하게 전진하여 그 속력에 의해 상기 본체(100)에 수용된 퇴치구(500)를 타격하여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타격체(210), 탄성체(220) 및 연결와이어(230)를 포함한다.(도 7 및 도 8 참조)
타격체(210)는 전/후진에 의해 배출구(117)가 개폐될 수 있게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수용공간(111)과 연통되게 본체(100) 내부에 형성된 이동홈(119)에 왕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도 9 및 도 10 참조)
타격체(210) 상부 또는 하부에는 가이드돌기(211)가 형성되어 이동홈(119)의 내벽을 따라 안정적으로 상기 타격체(2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외면은 연결와이어(230) 일단이 결합하여 상기 연결와이어(230)의 당김 방향에 따라 상기 타격체(2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탄성체(2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일단이 타격체(210) 외면과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와이어(230)를 기준으로 한 쌍의 상부와 하부에 개별배치될 수 있게 설치되며, 그 각각의 타단은 이동홈(119)의 내벽을 형성하는 본체(100)에 고정설치되어 그 탄성력에 의해 상기 타격체(210)를 신속하게 배출관(114)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11 및 도 12 참조)
이를 위해, 탄성체(220)는 코일스프링의 형상을 갖도록 한다.
연결와이어(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단이 타격체(210) 외면에 고정 연결되며, 그 타단은 모터부(300)를 구성하는 롤러(310) 외면에 권취 또는 고정 연결되어 상기 롤러(3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타격체(210)를 후방(롤러방향)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설치공간(112)에 설치되는 상기 모터부(3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술한 타격체(210)를 당김과 동시에 해제하여 상기 타격체(210)가 탄성체(220)에 의해 신속하게 전방(배출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퇴치구(500)가 본체(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롤러(310), 기어(320) 및 회전모터(330)를 포함한다.
롤러(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와이어(230) 타단이 연결 또는 권취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그 외면에 기어(320)와 서로 치(齒) 결합하여 상기 기어(320)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연결와이어(230)를 당길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된다.(도 6a 참조)
설치공간(112)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롤러(310)는 그 외면에 형성된 회전축이 본체(1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기어(320)는 롤러(310) 외면과 서로 치 결합할 수 있게 설치되되 회전모터(330)의 구동축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롤러(310) 역시 함께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된다.
이때, 구동축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3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1사이클(360도)을 기준으로 롤러(310) 외면과 치 결합함과 동시에 해제가 가능하게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롤러(310)의 회전을 통해 타격체(210)와 연결된 연결와이어(230)가 당겨졌다가 자동으로 해지되어 탄성체(2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타격체(210)가 신속하게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모터(330)는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되되 관리자가 미리 설정한 시간에 반복적으로 구동축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회전에 의해 퇴치구(500)가 타격체(210)의 타격에 의해 배출될 수 있도록 설치공간(112)에 고정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류퇴치장치(1)에 대한 작용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지면 상에서 관리자가 공급관(133)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투입관(137)을 회전시켜 상기 투입관(137)의 개구된 일측이 상방으로 향한 상태로 퇴치구(500)를 투입함과 동시에 공급모터(139)를 회전시키면 상기 공급모터(139)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공급관(133)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공급스크류(131)가 회전하여 날개를 통해 상기 공급관(133) 상부로 상기 퇴치구(500)가 이송되어 수용공간(111) 내부로 공급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111)에 다수의 퇴치구(500)가 수용된 상태에서 제어부(400)의 제어신호를 통해 회전모터(330)가 회전하여 롤러(310)와 치 결합한 기어(320)가 회전하게 된다.
기어(320)의 회전을 통해 롤러(31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롤러(310)와 연결된 연결와이어(230)가 후방으로 타격체(210)를 이동시키게 되며, 그 이동에 의해 배출구(117)가 개방되어 수용공간(111)에 수용된 다수의 퇴치구(500)가 상기 타격체(210)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서로 치 결합하던 기어(320)와 롤러(310)가 상기 기어(320)의 회전에 의해 서로 해지되면 타격체(210)에 연결된 한 쌍의 탄성체(220)가 탄력에 의해 상기 타격체(210)를 전방 방향으로 신속하게 밀어내는 작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타격체(210) 전방에 있던 다수의 퇴치구(500)를 타격하게 되며, 그 타격과 동시에 배출구(117)를 폐쇄하여 상기 퇴치구(500)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타격체(210)에 의해 타격된 다수의 퇴치구(500)는 복수의 배출관(114)을 통해 무작위로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게 되며, 그 배출된 상기 퇴치구(500)는 배전선로(P/L)에 존재하는 조류를 직접 타격하거나 위협을 가하여 다른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퇴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조류퇴치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배전선로(P/L)이 설치된 방향으로 전신주(P/T)에 설치되되 모터부(300)의 회전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였다가 신속하게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타격체(210)의 타격에 의해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퇴치구(500)가 상기 본체(100) 외부로 다수 배출되어 조류를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지면상에서 퇴치구(500)의 공급이 가능하되 교체의 이유가 없이 간편하게 설치하여 조류를 퇴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본체
111: 수용공간 112: 설치공간
114: 배출관 115: 배터리
116: 도어 117: 배출구
118: 경사면 119: 이동홈
120: 조류감지부재 121: 스위치
123: 와이어 125: 간격유지체
127: 제1홀 129: 제2홀
130: 공급부재 131: 공급스크류
133: 공급관 135: 개구부
137: 투입관 139: 공급모터
200: 타격부
210: 타격체 211: 가이드돌기
220: 탄성체 230: 연결와이어
300: 모터부
310: 롤러 320: 기어
330: 회전모터
400: 제어부
500: 퇴치구

Claims (1)

  1. 내부에 펠릿형태나 볼(Ball) 형상으로 이루어진 퇴치구(500)가 다수 수용되는 수용공간(111)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111)과 서로 독립되게 설치공간(112)이 형성되어 전신주(P/T)에 고정 설치되며, 해당 전신주(P/T)에 수직되게 설치된 공급부재(130)를 통해 상기 퇴치구(500)를 공급받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 내부에 탄성력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탄성력에 의해 상기 퇴치구(500)를 타격하여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발사될 수 있도록 하는 타격부(200); 및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설치공간(1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회전에 의해 상기 타격부(200)를 이동시켜 상기 타격부(200)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퇴치구(500)를 타격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는 상기 수용공간(111)과 연통하되 상기 타격부(200)의 타격에 의해 다수의 상기 퇴치구(500)가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어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제1배출관(114a), 제2배출관(114b) 및 제3배출관(114c)으로 이루어진 배출관(114)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배출관(114a)은 배전선로와 수평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배출관(114b)은 상기 제1배출관(114a)보다 상방으로 더 큰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3배출관(114c)은 상기 제2배출관(114b)보다 상방으로 더 큰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114)을 통해 상기 퇴치구(500)를 배출 시, 서로 다른 상기 퇴치구(500)의 발사거리를 갖도록 배출되어 조류를 퇴치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본체(100)는 조류감지부재(1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류감지부재(120)는 상기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121), 상기 스위치(121)와 연결되되 조류가 고공상에 위치하는 배전선로에 안착시 해당 조류의 하중에 의해 하강하되 그 하강에 의해 상기 스위치(121)가 전기적으로 온(ON) 상태를 갖도록 스위칭되어 그 전기신호가 상기 제어부(400)에 전송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와이어(123) 및 하부에 배전선로 외면을 관통하는 제1홀(127)이 형성되되 상부에는 상기 와이어(123) 외면이 관통하는 제2홀(129)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123)와 배전선로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간격조절체(125)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재(130)는 공급스크류(131), 공급관(133), 투입관(137) 및 공급모터(139)를 포함하되, 상기 공급스크류(131)는 상기 공급관(133) 내부에 삽입되되 그 하부는 상기 공급모터(139)의 구동축과 결합하여 상기 공급모터(139)에 의해 상기 공급관(133)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투입관(137)을 통해 상기 공급관(133) 내부로 유입되는 복수의 상기 퇴치구(500)가 상승에 의해 상기 본체(100) 내부로 공급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투입관(137)은 개구부(135)와 연통되게 상기 공급관(133)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그 회전에 의해 개구된 상부가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하도록 하여 마개가 없이도 이물질이 상기 공급관(133) 내측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상기 퇴치구(500)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가능한 톱밥, 쌀겨, 종이 및 과일껍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조류퇴치장치.
KR1020200105826A 2020-08-24 2020-08-24 배전선로의 전신주 조류퇴치장치 KR102180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826A KR102180766B1 (ko) 2020-08-24 2020-08-24 배전선로의 전신주 조류퇴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826A KR102180766B1 (ko) 2020-08-24 2020-08-24 배전선로의 전신주 조류퇴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766B1 true KR102180766B1 (ko) 2020-11-19

Family

ID=73679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826A KR102180766B1 (ko) 2020-08-24 2020-08-24 배전선로의 전신주 조류퇴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7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446B1 (ko) 2022-01-04 2022-11-29 주식회사 금산전기 조류로부터의 도로변 배전선로 보호장치
KR102621880B1 (ko) 2022-12-13 2024-01-04 박용득 배전선로 조류퇴치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868B1 (ko) 1998-03-13 2002-11-01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출력 버퍼 제어 회로
KR100332735B1 (ko) 1998-06-11 2002-11-22 쿨팩시스템 가부시기가이샤 소형급냉시스템
KR20090044351A (ko) * 2007-10-31 2009-05-07 주식회사 세스코 방제물 투척장치
KR20090085914A (ko) * 2008-02-05 2009-08-10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농자재 살포량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9193399A (ja) * 2018-04-23 2019-10-31 中国電力株式会社 電柱用鳥類営巣補助具
KR102137618B1 (ko) * 2019-12-03 2020-07-24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송전철탑의 조류퇴치장치
KR102143452B1 (ko) * 2020-03-25 2020-08-11 미래전기기술단(주) 가공배전선로 케이블 철탑의 조류 퇴치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868B1 (ko) 1998-03-13 2002-11-01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출력 버퍼 제어 회로
KR100332735B1 (ko) 1998-06-11 2002-11-22 쿨팩시스템 가부시기가이샤 소형급냉시스템
KR20090044351A (ko) * 2007-10-31 2009-05-07 주식회사 세스코 방제물 투척장치
KR20090085914A (ko) * 2008-02-05 2009-08-10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농자재 살포량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9193399A (ja) * 2018-04-23 2019-10-31 中国電力株式会社 電柱用鳥類営巣補助具
KR102137618B1 (ko) * 2019-12-03 2020-07-24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송전철탑의 조류퇴치장치
KR102143452B1 (ko) * 2020-03-25 2020-08-11 미래전기기술단(주) 가공배전선로 케이블 철탑의 조류 퇴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446B1 (ko) 2022-01-04 2022-11-29 주식회사 금산전기 조류로부터의 도로변 배전선로 보호장치
KR102621880B1 (ko) 2022-12-13 2024-01-04 박용득 배전선로 조류퇴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3452B1 (ko) 가공배전선로 케이블 철탑의 조류 퇴치장치
KR102137618B1 (ko) 송전철탑의 조류퇴치장치
KR102180766B1 (ko) 배전선로의 전신주 조류퇴치장치
KR101284758B1 (ko) 조류퇴치기
CN205357932U (zh) 一种摇摆式驱赶麻雀用装置
WO2014069707A1 (ko) 레이저를 이용한 야생동물 및 유해동물 퇴치기
KR101152322B1 (ko) 조류 퇴치장치
KR200450204Y1 (ko) 소리와 빛 바람을 이용한 회전식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
CN204259678U (zh) 一种新型杀虫灯
JP2011139688A (ja) 鳥類退治装置
CN211407423U (zh) 一种户外电力设备用不伤害鸟类的驱鸟设备
CN112841166A (zh) 一种横担处颗粒驱鸟剂释放装置的使用方法
KR102471446B1 (ko) 조류로부터의 도로변 배전선로 보호장치
CN211983459U (zh) 一种综合驱鸟装置
KR20090011656U (ko) 조류퇴치용 소음 발생 장치
CN105123666B (zh) 一种智能连续捕鼠器
CN210184329U (zh) 一种动物驱赶器
KR20010035482A (ko) 조류 퇴치 장치
KR102621880B1 (ko) 배전선로 조류퇴치장치
CN110604124A (zh) 一种综合驱鸟装置
CN210035279U (zh) 一种具有驱鸟能力的机场用led路灯
CN218245357U (zh) 一种水果种植用驱鸟装置
CN218649877U (zh) 一种基干农业种植的驱鸟装置
CN220545725U (zh) 一种防控福寿螺的电击装置
CN219352834U (zh) 害虫性诱智能测报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