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700B1 - 상지 재활운동 장치 - Google Patents
상지 재활운동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0700B1 KR102180700B1 KR1020200070260A KR20200070260A KR102180700B1 KR 102180700 B1 KR102180700 B1 KR 102180700B1 KR 1020200070260 A KR1020200070260 A KR 1020200070260A KR 20200070260 A KR20200070260 A KR 20200070260A KR 102180700 B1 KR102180700 B1 KR 1021807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point
- hand
- movement
- display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64—Frequency, e.g. of vibration oscil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프로그램에 따른 1차 미션을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의 터치를 통한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의 손 위치를 감지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사용자의 손 이동을 추적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동선을 분석하는 동선 분석부; 상기 이동 동선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평가하는 운동 평가부; 및 미리 설정된 난이도 정보를 통해 상기 1차 미션의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1차 미션의 콘텐츠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운동 상태의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2차 미션의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2차 미션의 콘텐츠가 화면에 더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상지 재활운동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아래 실시예들은 상지 재활운동을 위해 미션을 제공하여 운동 상태를 평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지 재활 장치는 상지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훈련 장치이다. 종래의 상지 재활 장치는 손으로 페달을 잡고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주는 훈련을 하거나 손으로 회전체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주는 훈련을 하는 상지 재활 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상지 재활 장치는 사용자가 쉽사리 지루함을 느끼게 되어 지속적인 훈련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상지 재활운동 장치가 등장하였으나, 사용자의 손이나 팔이 움직이는 동선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움직이는 포인터 간의 어색함, 괴리감, 팔을 장치에 묶어두는 방식으로 인해 자연스러운 움직임 불가 등으로 인해 재활운동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동 동선에 대한 속도, 진동, 정확도, 벡터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태, 운동량, 운동 성능 등을 판단하여,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맞춰진 재활운동을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구현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동선에 대한 속도, 진동, 정확도, 벡터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태, 운동량, 운동 성능 등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판단 결과에 따라 후속적인 2차 미션을 제시하여,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맞춰진 재활운동을 제공하는 상지 재활운동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프로그램에 따른 1차 미션을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의 터치를 통한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의 손 위치를 감지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사용자의 손 이동을 추적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동선을 분석하는 동선 분석부; 상기 이동 동선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평가하는 운동 평가부; 및 미리 설정된 난이도 정보를 통해 상기 1차 미션의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1차 미션의 콘텐츠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운동 상태의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2차 미션의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2차 미션의 콘텐츠가 화면에 더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상지 재활운동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 미션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출발점으로 표시된 지점에 상기 사용자의 손 위치가 감지되면, 목표점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동선 분석부는, 상기 출발점으로부터 상기 목표점으로 이동하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 동선에 대한 속도, 진동, 정확도 및 벡터 값을 분석하고, 상기 운동 평가부는, 상기 이동 동선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 방향으로의 떨림 및 쏠림 현상이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고, 상기 목표점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근육 상호간의(예를 들어, 주동근과 길항근의) 기능적 균형을 확인하여, 기준범위 내에서 근육들이 작용할 때 정상으로 분류하고, 상기 기준범위를 벗어나 편위를 보일 때 비정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상지 재활운동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사용자의 손을 통해 잡고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을 받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원형 형태의 손 받침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감싸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손 받침대의 정중앙 지점의 상부에 위치하는 스틱 형태의 정전식 손잡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각각에 대한 악력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정전식 손잡이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악력측정기; 및 상기 손 받침대와 상기 정전식 손잡이가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위치 포인터를 포함하며, 상기 동선 분석부는, 상기 위치 포인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손 이동을 추적하고, 상기 운동 평가부는, 상기 악력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악력 측정 정보에 더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발점으로부터 상기 목표점으로 이동하는 동선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표식이 상기 사용자의 손 위치와 인접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손 위치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표식도 이동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제1 기간에 이동한 상기 사용자의 손 이동을 통해 제1 경로를 획득하고, 상기 제1 경로를 기초로 상기 제1 기간 이후인 제2 기간에 표시될 상기 가이드 표식의 제1 위치를 예측하고, 상기 1차 미션에 설정된 제2 경로를 통해 상기 제2 기간에 표시될 상기 가이드 표식의 제2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의 벡터 차이 값을 기초로 상기 가이드 표식의 크기를 설정하여, 차이 값이 클수록 상기 가이드 표식이 더 크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발점으로부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거쳐 상기 목표점으로 이동하는 동선이 상기 1차 미션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출발점에 상기 사용자의 손이 위치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출발점이 강조 표시되면서 상기 제1 지점이 더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손 위치가 상기 출발점을 벗어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1 지점이 강조 표시되면서 상기 제2 지점이 더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손 위치가 이동하여 상기 출발점을 벗어난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으로 확인되면, 상기 출발점이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경로를 기초로 상기 제1 지점으로의 이동 시간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이동 시간을 통해 상기 제1 지점으로 상기 사용자의 손이 이동하기 전에 상기 제2 지점이 강조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지점에 상기 사용자의 손이 위치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목표점이 더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손 위치가 이동하여 상기 제1 지점을 벗어난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지점이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경로를 기초로 상기 제2 지점으로의 이동 시간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이동 시간을 통해 상기 제2 지점으로 상기 사용자의 손이 이동하기 전에 상기 목표점이 강조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동선에 대한 속도, 진동, 정확도, 벡터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태, 운동량, 운동 성능 등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판단 결과에 따라 후속적인 2차 미션을 제시하여,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맞춰진 재활운동을 제공함으로써, 재활운동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재활운동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재활운동 장치를 사용하여 운동하고 있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표식의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발점, 제1 지점, 제2 지점 및 목표점의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재활운동 장치를 사용하여 운동하고 있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표식의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발점, 제1 지점, 제2 지점 및 목표점의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 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재활운동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지 재활운동 장치(100)는 사용자가 직접 디스플레이 상에서 움직일 수 있는 장치로, 손이 놓인 보드에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통해, 사용자의 재활운동을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지 재활운동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동선 분석부(120), 운동 평가부(130) 및 손잡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 손의 직접적인 터치가 이루어지는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운동 프로그램에 따른 다양한 미션을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의 터치를 통한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를 통한 입력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손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동선 분석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손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사용자의 손 이동을 추적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 이동에 대한 추적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 동선을 분석할 수 있다.
운동 평가부(130)는 동선 분석부(120)에서 분석한 이동 동선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상지 재활운동 장치(100)는 입력 장치로 디스플레이부(110) 이외에 손잡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 위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잡이부(140)를 잡고 움직이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의 손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손잡이부(140)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150)는 상지 재활운동 장치(1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110), 동선 분석부(120), 운동 평가부(130) 및 손잡이부(140) 각각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미리 설정된 난이도 정보를 통해 1차 미션의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1차 미션의 콘텐츠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운동 평가부(130)에서 평가한 운동 상태의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2차 미션의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2차 미션의 콘텐츠가 화면에 더 디스플레이 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정밀 분석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어부(150)는 1차 미션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출발점으로 표시된 지점에 사용자의 손 위치가 감지되면, 목표점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선 분석부(120)는 출발점으로부터 목표점으로 이동하는 사용자의 이동 동선에 대한 속도, 진동, 정확도 및 벡터 값을 분석할 수 있다.
운동 평가부(130)는 이동 동선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 방향으로의 떨림 및 쏠림 현상이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고, 목표점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근육 별 힘의 기준 범위를 확인하여, 기준 범위 내에서 힘이 들어간 근육을 정상 부위로 분류하고, 기준 범위를 벗어나 힘이 더 적게 들어가거나 더 많이 들어간 근육을 문제 부위로 분류할 수 있다.
운동 평가부(130)는 근육 상호간의(예를 들어, 주동근과 길항근의) 기능적 균형을 확인하여, 기준범위 내에서 근육들이 작용할 때 정상으로 분류하고, 기준범위를 벗어나 편위를 보일 때 비정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재활운동 장치를 사용하여 운동하고 있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지 재활운동 장치(100)는 손이 놓인 디스플레이부(110)에 미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한 터치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이 입력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10) 위에 위치한 손잡이부(140)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이 입력될 수도 있다.
상지 재활운동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위에서 움직이는 사용자의 손 위치 및 손잡이부(140)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위치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동선을 분석하고, 사용자의 재활운동을 분석, 평가 및 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출발점에 대기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목표점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손을 움직여 목표점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지 재활운동 장치(100)는 이동 동선에 대한 속도, 진동, 정확도, 벡터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태, 운동량, 운동 성능 등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판단 결과에 따라 후속적인 2차 미션이 제시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맞춰진 재활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상지 재활운동 장치(100)는 출발점에서 목표점으로 이동하는 동선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어떤 근육에 힘이 들어가는지, 어떠한 근육에 문제가 있는지 등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
미션과 관련하여, 목표점은 다수개 제시될 수 있으며, 점 뿐만 아니라 직선, 곡선, 지그재그, 누르면서 진행해야 하는 선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어, 해당 미션을 따라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운동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목표점을 향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왼쪽 방향으로의 떨림이나 쏠림이 발생되는 경우, 이러한 왼쪽방향으로의 떨림이나 쏠림을 치료하는 방식의 2차 미션이 제공될 수 있으며, 데이터 누적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 개선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맞춤형 재활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상지 재활운동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를 수직 방향으로 가하는 압력도 측정함으로써, 이를 통해 다양한 재활운동의 성능 분석이 가능할 수 있다.
상지 재활운동 장치(100)는 TOF(Time Of Flight)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재활운동 과정에서의 추가적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지 재활운동 장치(100)는 전면 모니터를 더 구비하여, 재활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안내나 인지기능검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지 재활운동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사용자의 손을 통해 잡고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손잡이부(140)는 손 받침대(141), 정전식 손잡이(142), 악력측정기(143) 및 위치 포인터(144)를 포함할 수 있다.
손 받침대(141)는 사용자의 손을 받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원형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 손잡이(142)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감싸서 잡을 수 있도록, 손 받침대(141)의 정중앙 지점의 상부에 위치하여 스틱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악력측정기(143)는 사용자의 손가락 각각에 대한 악력을 측정하기 위해, 정전식 손잡이(142)의 일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위치 포인터(144)는 손 받침대(141)와 정전식 손잡이(142)가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동선 분석부(120)는 위치 포인터(144)를 통해 사용자의 손 이동을 추적할 수 있으며, 운동 평가부(130)는 악력측정기(143)를 통해 측정된 악력 측정 정보에 더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즉, 손잡이부(140)를 활용함으로써, 팔의 움직임 뿐만 아니라, 손가락 악력 운동, 손잡이 들기, 누르기 등 다양한 재활운동을 평가할 수 있으며, 보다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표식의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출발점(401)으로부터 목표점(402)으로 이동하는 미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손 위치(403)를 인식할 수 있으며, 출발점(401)으로부터 목표점(402)으로 이동하는 동선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표식(404)이 사용자의 손 위치(403)와 인접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손 위치(403) 상단에 가이드 표식(404)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손 위치(403) 이동에 따라 가이드 표식(404)도 이동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기간에 이동한 사용자의 손 이동을 통해 제1 경로(411)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제1 경로(411)를 기초로 제1 기간 이후인 제2 기간에 표시될 가이드 표식(404)의 위치인 제1 위치(412)를 예측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1차 미션에 설정되어 있는 제2 경로(421)를 통해 제2 기간에 표시될 가이드 표식(404)의 위치인 제2 위치(422)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위치(412) 및 제2 위치(422)의 벡터 차이 값을 기초로 가이드 표식(404)의 크기를 설정하여, 차이 값이 클수록 가이드 표식(404)이 더 크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미션에 따라 움직이는 제1 경로(411)와 미션으로 정해진 제2 경로(421)의 차이가 작은 경우, 제1 위치(412) 및 제2 위치(422)의 벡터 차이 값도 작기 때문에, 가이드 표식(404)는 기본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미션에 따라 움직이는 제1 경로(411)와 미션으로 정해진 제2 경로(421)의 차이가 큰 경우, 제1 위치(412) 및 제2 위치(422)의 벡터 차이 값도 크기 때문에, 가이드 표식(404)는 기본 크기 보다 더 크게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발점, 제1 지점, 제2 지점 및 목표점의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출발점(401)으로부터 제1 지점(501) 및 제2 지점(502)을 거쳐 목표점(402)으로 이동하는 동선이 1차 미션으로 설정되면, 출발점(401), 제1 지점(501), 제2 지점(502) 및 목표점(402)이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50)는 출발점(401)에 사용자의 손이 위치한 것으로 감지되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발점(401)이 강조 표시되면서 제1 지점(501)이 더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손 위치가 출발점(401)을 벗어난 것으로 감지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점(501)이 강조 표시되면서 제2 지점(502)이 더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손 위치가 이동하여 출발점(401)을 벗어난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으로 확인되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발점(401)이 더 이상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인 제1 경로(411)를 기초로 제1 지점(501)으로의 이동 시간을 예측할 수 있으며, 예측된 이동 시간을 통해 제1 지점(501)으로 사용자의 손이 이동하기 전에,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점(502)이 강조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지점(501)에 사용자의 손이 위치한 것으로 감지되면, 도 5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점(402)이 더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손 위치가 이동하여 제1 지점(501)을 벗어난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으로 확인되면, 도 5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점(501)이 더 이상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인 제1 경로(411)를 기초로 제2 지점(502)으로의 이동 시간을 예측할 수 있으며, 예측된 이동 시간을 통해 제2 지점(502)으로 사용자의 손이 이동하기 전에, 도 5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점(402)이 강조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상지 재활운동 장치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동선 분석부 130 : 운동 평가부
140 : 손잡이부 141 : 손 받침대
142 : 정전식 손잡이 143 : 악력측정기
144 : 위치 포인터 150 : 제어부
401 : 출발점 402 : 목표점
403 : 손 위치 404 : 가이드 표식
411 : 제1 경로 412 : 제1 위치
421 : 제2 경로 422 : 제2 위치
501 : 제1 지점 502 : 제2 지점
120 : 동선 분석부 130 : 운동 평가부
140 : 손잡이부 141 : 손 받침대
142 : 정전식 손잡이 143 : 악력측정기
144 : 위치 포인터 150 : 제어부
401 : 출발점 402 : 목표점
403 : 손 위치 404 : 가이드 표식
411 : 제1 경로 412 : 제1 위치
421 : 제2 경로 422 : 제2 위치
501 : 제1 지점 502 : 제2 지점
Claims (5)
- 운동 프로그램에 따른 1차 미션을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의 터치를 통한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의 손 위치를 감지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사용자의 손 이동을 추적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동선을 분석하는 동선 분석부;
상기 이동 동선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평가하는 운동 평가부; 및
미리 설정된 난이도 정보를 통해 상기 1차 미션의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1차 미션의 콘텐츠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운동 상태의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2차 미션의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2차 미션의 콘텐츠가 화면에 더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 미션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출발점으로 표시된 지점에 상기 사용자의 손 위치가 감지되면, 목표점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동선 분석부는,
상기 출발점으로부터 상기 목표점으로 이동하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 동선에 대한 속도, 진동, 정확도 및 벡터 값을 분석하고,
상기 운동 평가부는,
상기 이동 동선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 방향으로의 떨림 및 쏠림 현상이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고, 상기 목표점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근육 상호간의 기능적 균형을 확인하여, 기준범위 내에서 근육들이 작용할 때 정상으로 분류하고, 상기 기준범위를 벗어나 편위를 보일 때 비정상으로 분류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발점으로부터 상기 목표점으로 이동하는 동선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표식이 상기 사용자의 손 위치와 인접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손 위치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표식도 이동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제1 기간에 이동한 상기 사용자의 손 이동을 통해 제1 경로를 획득하고, 상기 제1 경로를 기초로 상기 제1 기간 이후인 제2 기간에 표시될 상기 가이드 표식의 제1 위치를 예측하고, 상기 1차 미션에 설정된 제2 경로를 통해 상기 제2 기간에 표시될 상기 가이드 표식의 제2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의 벡터 차이 값을 기초로 상기 가이드 표식의 크기를 설정하여, 차이 값이 클수록 상기 가이드 표식이 더 크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상지 재활운동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사용자의 손을 통해 잡고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을 받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원형 형태의 손 받침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감싸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손 받침대의 정중앙 지점의 상부에 위치하는 스틱 형태의 정전식 손잡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각각에 대한 악력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정전식 손잡이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악력측정기; 및
상기 손 받침대와 상기 정전식 손잡이가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위치 포인터를 포함하며,
상기 동선 분석부는,
상기 위치 포인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손 이동을 추적하고,
상기 운동 평가부는,
상기 악력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악력 측정 정보에 더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평가하는,
상지 재활운동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발점으로부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거쳐 상기 목표점으로 이동하는 동선이 상기 1차 미션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출발점에 상기 사용자의 손이 위치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출발점이 강조 표시되면서 상기 제1 지점이 더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손 위치가 상기 출발점을 벗어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1 지점이 강조 표시되면서 상기 제2 지점이 더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손 위치가 이동하여 상기 출발점을 벗어난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으로 확인되면, 상기 출발점이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경로를 기초로 상기 제1 지점으로의 이동 시간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이동 시간을 통해 상기 제1 지점으로 상기 사용자의 손이 이동하기 전에 상기 제2 지점이 강조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지점에 상기 사용자의 손이 위치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목표점이 더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손 위치가 이동하여 상기 제1 지점을 벗어난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지점이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경로를 기초로 상기 제2 지점으로의 이동 시간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이동 시간을 통해 상기 제2 지점으로 상기 사용자의 손이 이동하기 전에 상기 목표점이 강조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상지 재활운동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0260A KR102180700B1 (ko) | 2020-06-10 | 2020-06-10 | 상지 재활운동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0260A KR102180700B1 (ko) | 2020-06-10 | 2020-06-10 | 상지 재활운동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80700B1 true KR102180700B1 (ko) | 2020-11-19 |
Family
ID=73678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0260A KR102180700B1 (ko) | 2020-06-10 | 2020-06-10 | 상지 재활운동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070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2804A (ko) | 2021-04-15 | 2022-10-24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착용이 가능한 상지 재활 운동 시스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72582A (ko) * | 2008-12-22 | 2010-07-01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상지 재활 훈련 시스템 |
JP2013172897A (ja) * | 2012-02-27 | 2013-09-05 | Univ Of Tsukuba | 表示装置型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装置及び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装置の制御方法 |
KR20140066869A (ko) * | 2012-11-23 | 2014-06-03 | (주)다울디엔에스 | 모바일 탭 기반의 수부 재활 치료 서비스 제공방법 |
KR102096292B1 (ko) * | 2018-12-27 | 2020-04-03 | 대한민국 | 곡선형 손잡이를 갖는 상지 운동 기구 |
-
2020
- 2020-06-10 KR KR1020200070260A patent/KR10218070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72582A (ko) * | 2008-12-22 | 2010-07-01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상지 재활 훈련 시스템 |
JP2013172897A (ja) * | 2012-02-27 | 2013-09-05 | Univ Of Tsukuba | 表示装置型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装置及び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装置の制御方法 |
KR20140066869A (ko) * | 2012-11-23 | 2014-06-03 | (주)다울디엔에스 | 모바일 탭 기반의 수부 재활 치료 서비스 제공방법 |
KR102096292B1 (ko) * | 2018-12-27 | 2020-04-03 | 대한민국 | 곡선형 손잡이를 갖는 상지 운동 기구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2804A (ko) | 2021-04-15 | 2022-10-24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착용이 가능한 상지 재활 운동 시스템 |
KR102576370B1 (ko) * | 2021-04-15 | 2023-09-07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착용이 가능한 상지 재활 운동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071097B (zh) | 输入装置、输入方法及输入程序 | |
Accot et al. | Scale effects in steering law tasks | |
KR102101070B1 (ko) |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시점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
JP5732459B2 (ja) | 視覚テスト及びトレーニングのためのマルチタッチディスプレイ及び入力 | |
US20180292945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hover information to predict touch locations and reduce or eliminate touchdown latency | |
CN109491586B (zh) | 虚拟对象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 |
CN110215685B (zh) | 游戏中的虚拟对象控制方法及装置、设备、存储介质 | |
US2020028630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Object In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Based On Hand Motion Capture Apparatus | |
JP2016530660A (ja) | コンテキスト感知ジェスチャ分類 | |
Li et al. | Evaluation of cursor offset on 3D selection in VR | |
KR102180700B1 (ko) | 상지 재활운동 장치 | |
US20130234937A1 (en) | Three-dimensional position specification method | |
WO2019186551A1 (en) | Augmented reality for industrial robotics | |
CN112219234A (zh) | 虚拟现实环境的用户的生理压力 | |
JP6064111B2 (ja) | 打撃操作のための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と操作信号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20150097984A (ko) | 비전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처리 장치 및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 | |
KR101824532B1 (ko) | 가상 손 모델에 의한 파지 및 해제를 위한 가상 모델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
US2020010397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alistic Feedback During Contact With Virtual Object | |
KR101567984B1 (ko) | 가상 공간 상에 위치한 가상 객체에 대한 감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
KR101756326B1 (ko) | Nui/nux 기반의 vr환경 게임 컨트롤을 시뮬레이션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
Li et al. | Assessments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using touchscreen as control inputs in flight operations | |
Setthawong et al. | Updated Goals Operators Methods and Selection Rules (GOMS) with touch screen operations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user interfaces | |
Popovici et al. | Augmenting user experience in virtual environments through haptic feedback | |
KR102265779B1 (ko) | 인지 부하 지표 변수를 사용한 학업 성취도 예측 장치 및 그 방법 | |
KR20210145931A (ko) | 피트니스 센터 내 운동 지도 서비스 및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