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514B1 - 연결 고리 체결 여부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결 고리 체결 여부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0514B1 KR102180514B1 KR1020200060860A KR20200060860A KR102180514B1 KR 102180514 B1 KR102180514 B1 KR 102180514B1 KR 1020200060860 A KR1020200060860 A KR 1020200060860A KR 20200060860 A KR20200060860 A KR 20200060860A KR 102180514 B1 KR102180514 B1 KR 1021805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 sliding
- unit
- plate
- connection 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 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중간 발판이 설치된 경우 작업자가 안전벨트 생명줄 고리를 체결하여 안전의무 수행 여부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한 연결 고리 체결 여부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안전로프에 의해 작업자에 연결 사용되며, 고리를 개폐하면서 구조물에 장착 사용되는 연결 고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결 고리 체결 여부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소 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중간 발판이 설치된 경우 작업자가 안전벨트 생명줄 고리를 체결하여 안전의무 수행 여부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한 연결 고리 체결 여부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건설 또는 기타 산업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는 몸에 고정한 안전줄(생명줄)을 버팀줄이나 또는 기타고정수단 등에 고정하여, 만일에 발생할 줄 모르는 추락사고에 대비하게 된다.
또한 고산 등반시 함께 산행을 하는 동료들은 서로를 끈으로 연결하여 만에 하나 발생될 줄 모르는 추락사고를 대비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비행기에서 낙하하는 낙하병은 낙하산을 펼쳐주는 안전고리를 비행기에 연결하고 낙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고안은 자신의 몸에 연결한 안전줄(생명줄)을 버팀이 되는 버팀줄이나 기타 고정수단에 연결고정하여 만에 하나 발생될 줄 모르는 추락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함에 있어서 몸에 연결 고정한 안전줄의 끝부분에 고정되어 안전줄을 버팀줄이나 기타 고정수단에 관한 것으로, 연결고리를 버팀줄이나 기타 고정수단등에 체결시에는 단번에 즉, 한 번의 동작으로 신속히 체결되나, 체결된 연결고리를 풀어 해정하려면 2단계의 해정 과정을 거쳐야만 비로서 연결 상태가 해제되어지도록 한 2중 안전장치를 갖는 안전생명줄 연결고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안전생명줄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연결고리의 종류로는 주로 등산용 장비로 사용되는 D형상의 캐러비나 등을 볼 수 있었으며, 일반 열쇄고리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구를 스프링으로 지지하는 연결고리 등을 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고소 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중간 발판이 설치된 경우 작업자가 안전벨트 생명줄 고리에 설치되는 온/오프 스위치를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누르지 않는 경우 작업자가 탑승하고 있는 중간 발판에 알람 신호를 출력하여 작업자의 안전의무 미수행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연결 고리 체결 여부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슬라이딩부 및 체결부를 이용하여 구조물 또는 승강장비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연결 고리 체결 여부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슬라이딩부 및 체결부를 이용하여 구조물 또는 승강장비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연결 고리 체결 여부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고리 체결 여부 알림 시스템은, 안전로프에 의해 작업자에 연결 사용되며, 고리를 개폐하면서 구조물에 장착 사용되는 연결 고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고리 체결 여부 알림 시스템은, 작업자에게 안정적인 고소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공사현장의 고소작업을 위한 승강장비에 탈착되는 작업용 중간 발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용 중간 발판은, 승강장비에 탈착되는 발판 본체부; 승강장비와 접촉되는 상기 발판 본체부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발판 본체부가 승강장비에 설치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연결 고리로 이를 통지하는 접촉 감지부; 및 상기 발판 본체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접촉 감지부가 상기 연결 고리로 상기 발판 본체부의 승강장비로의 설치를 통지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연결 고리로부터 통지 확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할 경우 작업자가 상기 연결 고리의 미장착을 인지할 수 있도록 작업자에게 상기 연결 고리의 미장착을 알리기 위한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체결여부 알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고리는, 상기 접촉 감지부 및 상기 체결여부 알람부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접촉 감지부로부터 통지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출력하며, 작업자가 통지 확인을 입력하면 통지 확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체결여부 알람부로 전송하는 On/Off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판 본체부는, 디딤공간을 제공하는 두 개의 디딤부; 상기 두 개의 디딤부를 서로 축 결합시켜 해당 축을 중심으로 상기 두 개의 디딤부가 서로 폴딩되도록 연결 설치하는 힌지축; 및 상기 두 개의 디딤부의 각 단부에 연결 설치되며, 구조물 또는 승강장비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결합되는 두 개의 슬라이딩 체결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체결부는, "ㄱ"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디딤부의 전단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에서 슬라이딩 인 또는 슬라이딩 아웃되는 슬라이딩부; 및 "ㄱ"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후단이 상기 슬라이딩부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와의 사이에 안착되는 구조물 또는 승강장비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슬라이딩홈에서 슬라이딩 인 또는 슬라이딩 아웃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전단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전단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체결부의 상측과 밀착되어 압축됨에 따라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유압 공급부;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유압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신장되는 구동부; 및 상부가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전단 상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전단면에 안착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구동부가 신장됨에 따라 전진하여 상기 체결부와의 사이에 안착된 구조물 또는 승강장비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감싸서 체결하는 체결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는, "ㄱ"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후단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플레이트;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후단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구조물 또는 승강장비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디딤부에 탑승한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 상기 회동 플레이트가 하강함에 따라 상부가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유체가 수용되어 있는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내부 공간을 압축시켜 주는 안착부; 및 상기 유압 공급부와 대향하고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유압 공급부가 위치하는 후단 방향으로 신장됨에 따라 상기 유압 공급부를 압축시켜 주는 압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압 공급부는, 상기 압축부와 대향하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전단의 상측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후단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유체를 수용하여 두기 위한 서로 다른 직경의 원통 형상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압축부에 의해 밀려 후진함에 따라 내부 공간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다수 개의 유체 공급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유체 공급 실린더의 개수에 대응하는 수의 다수 개의 피스톤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 개의 피스톤은,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되, 하측에 설치된 피스톤일수록 상측에 설치되는 피스톤보다 길게 신장될 수 있도록 하측에 설치되는 피스톤일수록 보다 큰 직경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유체 공급 실린더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체인은, 상기 다수 개의 피스톤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다수 개의 체결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 개의 체결편은, 회동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 설치되며, 하측에 위치하는 체결편일수록 하측에 위치하는 피스톤에 의해 상측에 위치하는 체결편의 전진 거리보다 멀리 전진하여 구조물 또는 승강장비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밀착되어 체결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고소 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중간 발판이 설치된 경우 작업자가 안전벨트 생명줄 고리에 설치되는 온/오프 스위치를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누르지 않는 경우 작업자가 탑승하고 있는 중간 발판에 알람 신호를 출력하여 작업자의 안전의무 미수행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통지함으로써, 안전의무 미수행에 따라 작업자가 높은 장소에서 낙상하여 안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 및 체결부를 이용하여 구조물 또는 승강장비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체결함으로써, 발판 본체부의 상측에서 작성을 수행하는 작업자에게 안정적인 작업 공간을 제공하여 발판 본체부의 분리에 따른 낙상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 및 체결부를 이용하여 구조물 또는 승강장비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체결함으로써, 발판 본체부의 상측에서 작성을 수행하는 작업자에게 안정적인 작업 공간을 제공하여 발판 본체부의 분리에 따른 낙상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고리 체결 여부 알림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고리 체결 여부 알림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발판 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슬라이딩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슬라이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유압 공급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5의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7의 체결편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고리 체결 여부 알림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발판 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슬라이딩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슬라이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유압 공급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5의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7의 체결편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고리 체결 여부 알림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고리 체결 여부 알림 시스템(1)은, 연결 고리(10)를 포함한다.
연결 고리(10)는, 안전로프(R)에 의해 작업자에 연결 사용되며, 고리를 개폐하면서 구조물에 장착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고리 체결 여부 알림 시스템(1)은, 작업자가 고소 작업 중 낙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적자가 안전사고에 관한 불안함을 떨치고 작업에 집중하도록 하여 고소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고리 체결 여부 알림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고리 체결 여부 알림 시스템(2)은, 연결 고리(10) 및 작업용 중간 발판(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 고리(1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작업용 중간 발판(20)은, 작업자에게 안정적인 고소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공사현장의 고소작업을 위한 승강장비(30)의 프레임(31)에 탈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작업용 중간 발판(20)은, 발판 본체부(21), 접촉 감지부(22) 및 체결여부 알람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발판 본체부(21)는, 승강장비(30)에 탈착된다.
접촉 감지부(22)는, 승강장비와 접촉되는 발판 본체부(21)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발판 본체부(21)가 승강장비에 설치되면 이를 감지하여 연결 고리(10)로 네트워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이를 통지한다.
체결여부 알람부(23)는, 발판 본체부(2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접촉 감지부(22)가 연결 고리(10)로 발판 본체부(21)의 승강장비로의 설치를 통지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분 내지 10분 등) 내에 연결 고리(10)로부터 통지 확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할 경우 작업자가 연결 고리(10)의 미장착을 인지할 수 있도록 작업자에게 연결 고리(10)의 미장착을 알리기 위한 알람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연결 고리(10)는, 접촉 감지부(22) 및 체결여부 알람부(23)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접촉 감지부(22)로부터 통지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출력하며, 작업자가 통지 확인을 입력하면 통지 확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체결여부 알람부(23)로 전송하는 On/Off 스위치(11)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는, 접촉 감지부(22), 체결여부 알람부(23) 및 연결 고리(10)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으로서,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고리 체결 여부 알림 시스템(2)은, 고소 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발판이 설치된 경우 작업자가 안전벨트 생명줄 고리에 설치되는 온/오프 스위치를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누르지 않는 경우 작업자가 탑승하고 있는 중간 발판에 알람 신호를 출력하여 작업자의 안전의무 미수행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통지함으로써, 안전의무 미수행에 따라 작업자가 높은 장소에서 낙상하여 안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발판 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판 본체부(21)는, 두 개의 디딤부(100), 힌지축(200) 및 두 개의 슬라이딩 체결부(300)을 포함한다.
디딤부(100a, 100b)는, 힌지축(200)를 중심으로 펼쳐짐에 따라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디딤공간을 제공하며,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슬라이딩 체결부(300a, 300b)가 각각 연결 설치된다.
힌지축(200)은, 두 개의 디딤부(100)를 서로 축 결합시켜 해당 축을 중심으로 두 개의 디딤부(100a, 100b)가 서로 폴딩되도록 연결 설치한다.
슬라이딩 체결부(300a, 300b)는, 두 개의 디딤부(100a, 100b)의 각 단부에 연결 설치되며, 구조물 또는 승강장비(30)를 구성하는 프레임(31)에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발판 본체부(21)는, 공사현장의 구조물 또는 승강 장비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안정적인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되, 길이 가변 및 폴딩 구조를 제공하여 설치 대상물의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고 운반 및 보관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슬라이딩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체결부(300)는, 슬라이딩부(400) 및 체결부(50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부(400)는, "ㄱ" 형태로 형성되며, 디딤부(100)의 전단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10)에서 슬라이딩 인 또는 슬라이딩 아웃되며, 전단에 체결부(50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체결부(500)는, "ㄱ"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후단이 슬라이딩부(400)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슬라이딩부(400)와의 사이에 안착되는 구조물 또는 승강장비를 구성하는 프레임(31)을 체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슬라이딩 체결부(300)는, 슬라이딩부(400) 및 체결부(500)를 이용하여 구조물 또는 승강장비를 구성하는 프레임(31)을 안정적으로 체결함으로써, 발판 본체부(21)의 상측에서 작성을 수행하는 작업자에게 안정적인 작업 공간을 제공하여 발판 본체부(21)의 분리에 따른 낙상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슬라이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슬라이딩부(400)는, 슬라이딩 플레이트(410), 수직 플레이트(420), 유압 공급부(430), 구동부(440) 및 체결 체인(450)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410)는, 슬라이딩홈(110)에서 슬라이딩 인 또는 슬라이딩 아웃되며, 전단의 하측으로부터 수직 플레이트(420)가 하측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수직 플레이트(420)와 함께 전체적으로 "ㄱ" 형태를 형성한다.
수직 플레이트(420)는, 슬라이딩 플레이트(410)의 전단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유압 공급부(430)는, 슬라이딩 플레이트(410)의 전단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며, 체결부(500)의 상측과 밀착되어 압축됨에 따라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구동부(440)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압 공급부(430)는, 지지 플레이트(432) 및 다수 개의 유체 공급 실린더(431)를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432)는, 압축부(530)와 대향하며 슬라이딩 플레이트(410)의 전단의 상측에 배치된다.
유체 공급 실린더(431a-1, 431b-1, 431c-1, 431d-1, 431a-2, 431b-2, 431c-2, 431d-2)는, 지지 플레이트(432)의 후단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유체를 수용하여 두기 위한 서로 다른 직경의 원통 형상의 내부 공간(431a-3, 431b-3, 431c-3, 431d-3, 431a-4, 431b-4, 431c-4, 431d-4)을 형성하며, 지지 플레이트(432)가 압축부(530)에 의해 밀려 후진함에 따라 내부 공간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각각으로부터 연결 설치되는 유체 공급 라인(L1, L2, L3, L4)을 통해 개별적으로 다수 개의 피스톤(441a, 441b, 441c, 441d)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유체 공급 실린더(431)의 개수는, 도 6에 도시된 숫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구동부(440)의 피스톤(441)의 개수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440)는, 수직 플레이트(420)의 전단에 설치되며, 유압 공급부(43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신장되는 수축되면서 체결 체인(450)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440)는, 유체 공급 실린더(431)의 개수에 대응하는 수의 다수 개의 피스톤(441a, 441b, 441c, 441d)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수 개의 피스톤(441a, 441b, 441c, 441d)은, 수직 플레이트(420)의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되, 하측에 설치된 피스톤(441d)일수록 상측에 설치되는 피스톤(441a)보다 길게 신장될 수 있도록 하측에 설치되는 피스톤(441d)일수록 보다 큰 직경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유체 공급 실린더(431a)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체결 체인(450)은, 상부가 수직 플레이트(420)의 전단 상측(452)에 연결 설치되어 수직 플레이트(420)의 전단면에 안착되어 구동부(440)에 의하여 지지되며, 구동부(440)가 신장됨에 따라 전진하여 체결부(500)와의 사이에 안착된 구조물 또는 승강장비를 구성하는 프레임(31)을 감싸서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 체인(450)은, 다수 개의 피스톤(441)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다수 개의 체결편(451a, 451b, 451c, 451d)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수 개의 체결편(451a, 451b, 451c, 451d)은,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 설치되며, 하측에 위치하는 체결편(451d)일수록 하측에 위치하는 피스톤(441d)에 의해 상측에 위치하는 체결편(451a)의 전진 거리보다 멀리 전진하여 구조물 또는 승강장비를 구성하는 프레임(31)에 밀착되어 체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수 개의 체결편(451a, 451b, 451c, 451d)은, 각 뒷면을 따라 다수 개의 피스톤(441a, 441b, 441c, 441d)의 단부에 형성되는 롤러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 홈(453a, 453b, 453c, 453d)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5의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체결부(500)는, 회동 플레이트(510), 안착부(520) 및 압축부(530)를 포함한다.
회동 플레이트(510)는, "ㄱ"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후단이 슬라이딩 플레이트(410)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안착부(520)는, 회동 플레이트(510)의 후단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구조물 또는 승강장비를 구성하는 프레임(31)의 상측에 안착되며, 디딤부(100)에 탑승한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 회동 플레이트(510)가 하강함에 따라 상부가 회동 플레이트(51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유체가 수용되어 있는 회동 플레이트(510)의 내부 공간(L5)을 압축시켜 준다.
압축부(530)는, 유압 공급부(430)와 대향하고 회동 플레이트(510)의 상측에 설치되며, 회동 플레이트(51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유압 공급부(430)가 위치하는 후단 방향으로 신장됨에 따라 유압 공급부(430)를 압축시켜 준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연결 고리 체결 여부 알림 시스템
10: 연결 고리
11: On/Off 스위치
20: 작업용 중간 발판
21: 발판 본체부
22: 접촉 감지부
23: 체결여부 알람부
100: 디딤부
200: 힌지축
300: 슬라이딩 체결부
400: 슬라이딩부
500: 체결부
10: 연결 고리
11: On/Off 스위치
20: 작업용 중간 발판
21: 발판 본체부
22: 접촉 감지부
23: 체결여부 알람부
100: 디딤부
200: 힌지축
300: 슬라이딩 체결부
400: 슬라이딩부
500: 체결부
Claims (2)
- 안전로프에 의해 작업자에 연결 사용되며, 고리를 개폐하면서 구조물에 장착 사용되는 연결 고리; 및
작업자에게 안정적인 고소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공사현장의 고소작업을 위한 승강장비에 탈착되는 작업용 중간 발판;을 포함하며,
상기 작업용 중간 발판은, 승강장비에 탈착되는 발판 본체부; 승강장비와 접촉되는 상기 발판 본체부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발판 본체부가 승강장비에 설치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연결 고리로 이를 통지하는 접촉 감지부; 및 상기 발판 본체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접촉 감지부가 상기 연결 고리로 상기 발판 본체부의 승강장비로의 설치를 통지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연결 고리로부터 통지 확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할 경우 작업자가 상기 연결 고리의 미장착을 인지할 수 있도록 작업자에게 상기 연결 고리의 미장착을 알리기 위한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체결여부 알람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고리는, 상기 접촉 감지부 및 상기 체결여부 알람부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접촉 감지부로부터 통지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출력하며, 작업자가 통지 확인을 입력하면 통지 확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체결여부 알람부로 전송하는 On/Off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발판 본체부는, 디딤공간을 제공하는 두 개의 디딤부; 상기 두 개의 디딤부를 서로 축 결합시켜 해당 축을 중심으로 상기 두 개의 디딤부가 서로 폴딩되도록 연결 설치하는 힌지축; 및 상기 두 개의 디딤부의 각 단부에 연결 설치되며, 구조물 또는 승강장비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결합되는 두 개의 슬라이딩 체결부: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체결부는, "ㄱ"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디딤부의 전단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에서 슬라이딩 인 또는 슬라이딩 아웃되는 슬라이딩부; 및 "ㄱ"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후단이 상기 슬라이딩부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와의 사이에 안착되는 구조물 또는 승강장비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슬라이딩홈에서 슬라이딩 인 또는 슬라이딩 아웃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전단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전단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체결부의 상측과 밀착되어 압축됨에 따라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유압 공급부;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유압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신장되는 구동부; 및 상부가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전단 상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전단면에 안착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구동부가 신장됨에 따라 전진하여 상기 체결부와의 사이에 안착된 구조물 또는 승강장비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감싸서 체결하는 체결 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ㄱ"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후단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플레이트;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후단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구조물 또는 승강장비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디딤부에 탑승한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 상기 회동 플레이트가 하강함에 따라 상부가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유체가 수용되어 있는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내부 공간을 압축시켜 주는 안착부; 및 상기 유압 공급부와 대향하고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유압 공급부가 위치하는 후단 방향으로 신장됨에 따라 상기 유압 공급부를 압축시켜 주는 압축부;를 포함하는, 연결 고리 체결 여부 알림 시스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0860A KR102180514B1 (ko) | 2020-05-21 | 2020-05-21 | 연결 고리 체결 여부 알림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0860A KR102180514B1 (ko) | 2020-05-21 | 2020-05-21 | 연결 고리 체결 여부 알림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80514B1 true KR102180514B1 (ko) | 2020-11-18 |
Family
ID=73697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0860A KR102180514B1 (ko) | 2020-05-21 | 2020-05-21 | 연결 고리 체결 여부 알림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0514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6697Y1 (ko) | 2003-03-28 | 2003-06-18 | 김종각 | 안전 생명줄 연결고리 |
KR100918796B1 (ko) | 2008-12-03 | 2009-09-25 | 우재진 | 원터치형 안전 연결고리 |
JP2019005425A (ja) * | 2017-06-28 | 2019-01-17 | 株式会社テック技販 | 安全帯使用状況確認システム |
-
2020
- 2020-05-21 KR KR1020200060860A patent/KR1021805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6697Y1 (ko) | 2003-03-28 | 2003-06-18 | 김종각 | 안전 생명줄 연결고리 |
KR100918796B1 (ko) | 2008-12-03 | 2009-09-25 | 우재진 | 원터치형 안전 연결고리 |
JP2019005425A (ja) * | 2017-06-28 | 2019-01-17 | 株式会社テック技販 | 安全帯使用状況確認システ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0059B1 (ko) |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 |
US7597175B2 (en) | Reed's high-rise emergency rescue egress system | |
US9284777B1 (en) | Fall restraint system for telescoping ladders | |
KR102180514B1 (ko) | 연결 고리 체결 여부 알림 시스템 | |
JP2015146852A (ja) | 巻取式墜落防止器を用いた墜落防止工法とそれに使用するハーネス型安全帯 | |
CN106241631A (zh) | 塔吊吊装安全控制系统 | |
CN102316939A (zh) | 杆安全组件 | |
AU2016332986B2 (en) | Safety device | |
US20110168488A1 (en) | Kit and method for emergency descent from a height | |
WO2011101526A1 (en) | Rescue device | |
CN111084947B (zh) | 臂架单元、云梯消防车以及云梯消防车救援方法 | |
US20230235627A1 (en) | A coupling device for a ladder | |
CN211426812U (zh) | 一种探测器悬臂吊装置 | |
CN212125526U (zh) | 一种可变形急救无人机 | |
CN208114724U (zh) | 一种新型可调节矿用担架猴车 | |
CN209187946U (zh) | 一种新型消防逃生用缓降器 | |
CN106178295A (zh) | 用于特别是消防车辆用的云梯的救援舱的防坠落设备 | |
US494073A (en) | August necker | |
KR102437370B1 (ko) | 추락방지용 탈부착식 승탑장치 | |
CN201988079U (zh) | 起重机臂架上的安全带固定装置及具有该装置的起重机 | |
JP6263688B2 (ja) | 樹上作業の墜落防止方法 | |
CN220098374U (zh) | 有限空间作业三脚架 | |
CN210396614U (zh) | 一种移动式破碎设备随行倾倒式爬梯 | |
CN101954164A (zh) | 高空营救消防系统 | |
KR20170053152A (ko) | 달 비계 작업용 로프 결합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