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346B1 - 사용자 단말 및 컨텐츠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및 컨텐츠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346B1
KR102180346B1 KR1020190013829A KR20190013829A KR102180346B1 KR 102180346 B1 KR102180346 B1 KR 102180346B1 KR 1020190013829 A KR1020190013829 A KR 1020190013829A KR 20190013829 A KR20190013829 A KR 20190013829A KR 102180346 B1 KR102180346 B1 KR 102180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terminal
link data
multimedia content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5890A (ko
Inventor
남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씨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씨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씨아
Priority to KR1020190013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346B1/ko
Publication of KR20200095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06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involving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1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involving housekeeping operations for stored content, e.g. prioritizing content for deletion because of storage space restri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및 컨텐츠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 단말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통신모듈,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메모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버퍼 캐시를 구성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스크롤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스크롤 동작에 상응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에 멀티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링크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N (N>0)개의 링크 데이터를 상기 버퍼 캐시에 캐싱하고, 상기 캐싱된 링크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M(0< M < N)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뷰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되, 상기 스크롤 동작에 따라 호출이 예상되는 M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주소 정보에 접속한 후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원본을 수신하여 이미지 변환 처리를 통해 원본 또는 등록 정보를 상기 컨텐츠 뷰에 표시하는 것이고, 상기 링크 데이터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된 주소 정보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및 컨텐츠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공 방법{USER TERMINAL DEVICE AND CONTENTS PROVIDING SERVER,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OF USER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여러 멀티미디어 제공 장치에 분산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을 사용자 단말에 빠르게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및 컨텐츠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사용자 단말의 성능 향상 및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컨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가 제공하는 웹 서버에 접속해 사진, 비디오, 오디오, 음원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웹 서버의 수는 한정되어 있는 반면에 웹 서버에 접속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어, 이로 인해 데이터 손실, 병목 현상, 전송 지연, 데이터 끊김과 같은 불안전성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한 종래 기술들 중 캐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상에서의 이미지 데이터 제공 방식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캐쉬 장치를 두어 무선 인터넷 접속을 통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의 이미지 데이터 수신 시, 해당 이미지 데이터를 캐쉬 장치에 저장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한 동일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재요청시 서비스 제공 서버로의 재접속 절차 없이 해당 이미지 데이터를 캐쉬 장치로부터 읽어 들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이미지 데이터의 원본을 수신한 후 이미지 변환 처리하기 때문에 초기 이미지 변환 처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용 메모리에 기반하여 캐쉬 장치의 메모리 사용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종래 기술은 캐시 장치에 원본을 저장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물리적 캐시 장치를 사용해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 후 이미지 변환 처리하여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기까지 많은 시간과 시스템 자원, 대용량의 캐시 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만일, 캐시 장치에 할당된 메모리 사용량이 적을 경우, 내부 파일 시스템 내에 새로운 버퍼 캐시 공간을 생성하여 메모리 사용량을 증가시켜야 하므로 메모리 사용량 확대에 대한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1218호(발명의 명칭 : 캐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상에서의 이미지 데이터제공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된 주소 정보와 등록 정보를 JSON 타입의 링크 데이터로 제공하고, 링크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 캐시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스크롤 동작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주소 정보에 접속하여 해당 원본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미지 처리함으로써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원본 데이터와 등록 정보를 포함한 컨텐츠 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통신모듈,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메모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버퍼 캐시를 구성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스크롤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스크롤 동작에 상응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에 멀티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링크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N (N>0)개의 링크 데이터를 상기 버퍼 캐시에 캐싱하고, 상기 캐싱된 링크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M(0< M < N)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뷰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되, 상기 스크롤 동작에 따라 호출이 예상되는 M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주소 정보에 접속한 후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원본을 수신하여 이미지 변환 처리를 통해 원본 또는 등록 정보를 상기 컨텐츠 뷰에 표시하는 것이고, 상기 링크 데이터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된 주소 정보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에 있어서, 통신모듈,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메모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각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된 주소 정보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 데이터를 제공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스크롤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스크롤 동작에 상응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N (N>0)개의 링크 데이터를 버퍼 캐시에 캐싱하고, 상기 캐싱된 링크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M(0< M < N)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뷰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공 방법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에 버퍼 캐시를 구성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스크롤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스크롤 동작에 상응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에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링크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N (N>0)개의 링크 데이터를 상기 버퍼 캐시에 캐싱하는 단계; 및 c) 상기 캐싱된 링크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스크롤 동작에 따라 호출이 예상되는 M(0< M < N)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주소 정보에 접속한 후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원본을 수신하여 이미지 변환 처리를 통해 원본 또는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뷰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링크 데이터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된 주소 정보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여러 멀티미디어 제공 장치에 분산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을 사용자 단말에 빠르게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이미지 뷰(또는 컨텐츠 뷰) 동작시 매번 모든 컨텐츠의 원본을 수신하여 이미지 변환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스크롤 동작에 따라 실제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원본 데이터를 가져와 이미지 변환 처리하기 때문에 시스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이미지 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퍼 캐시에LRU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사용량을 증가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캐시 관리 비용도 절감할 수 있고 버퍼 캐시에 N개의 링크 데이터가 항시 저장되어 있어 컨텐츠 제공 서버와 항상 통신할 필요가 없어져 통신 리소스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 캐시를 이용한 캐싱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스크롤 동작에 의한 컨텐츠 뷰 출력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 캐시의 저장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 캐시의 데이터 삭제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제공 장치(100), 컨텐츠 제공 서버(2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제공 장치(100)는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집하고, 컨텐츠 제공 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 및 등록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음원, 영상, 그림, 사진 등 다양한 컨텐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제공 장치(100)는 컨텐츠 보관, 컨텐츠 공유, 컨텐츠 거래 등을 위해 전문 업체 또는 개인이 운영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멀티미디어 제공 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과 연동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각 사용자 단말(300)에 대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된 주소 정보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때,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주소정보는 썸네일의 이미지 주소와 원본의 이미지 주소를 구분하여 저장되고, 등록 정보는 메타 정보, 제목, 촬영 날짜 정보, 촬영자 정보, 이미지 크기 정보, 부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일례로,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주소 정보는 "ttps://photo.searp.com/user/12@N310/travel/20190123232000.jpg"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백엔드 서버로 동작될 수 있고, 여러 멀티미디어 제공 장치(100)와 연동하여 JSON 타입의 링크 데이터를 수집한 후 각 사용자 단말(300)의 요청시 기설정된 개수의 링크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버퍼 캐시(341)를 구성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스크롤 동작이 감지되면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링크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여 N개의 링크를 데이터를 버퍼 캐시(341)에 캐싱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300)은 버퍼 캐시(341)에 캐싱된 링크 데이터에 기반하여 스크롤 동작에 따라 호출이 예상되는 M(0< M < N)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링크 데이터를 버퍼 캐시(341)에서 불러와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주소 정보에 접속한 후 원본을 수신하여 이미지 변환 처리를 통해 원본 또는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뷰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300)은 버퍼 캐시(341)의 저장 공간이 모두 채워진 경우, LRU(Least Recently Used)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N개의 링크 데이터 중 가장 오랫동안 참조되지 않은 링크 데이터부터 삭제한 후 새로운 링크 데이터가 버퍼 캐시(341)에 저장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300)은 버퍼 캐시(341)에 N 개의 링크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컨텐츠 제공 서버(200)와 항상 통신할 필요가 없어 통신 리소스를 절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0)은 통신 모듈(310), 메모리(320), 프로세서(330), 캐시 장치(340) 및 이미지 변환 모듈(350)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신 모듈(310)은 통신망과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송수신되는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통신 모듈(31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32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320)는 프로세서(3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320)는 휘발성 저장 매체(volatile storage media)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non-volatile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33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단말의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프로세서(33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에 따라 필요한 파일 시스템, 메모리 할당, 네트워크, 기본 라이브러리, 타이머, 디바이스 제어(디스플레이, 미디어, 입력장치, 3D 등), 기타 유틸리티 등의 하드웨어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33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퍼 캐시(341)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N개의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미지 캐시(342)는 컨텐츠 뷰에 출력되는M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이미지 변환 처리한 결과물이 저장된다.
이미지 변환 모듈(350)은 M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수신한 후 이미지 변환 처리하여 이미지 캐시(342)에 저장하고, 이미지 캐시(342)에 저장된 원본 이미지를 컨텐츠 뷰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프로세서(330)는 컨텐츠 뷰에 출력이 완료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의 원본 데이터를 이미지 캐시(342)에서 바로 삭제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버퍼 캐시(341)에 저장된 N개의 링크 데이터에 기반하여 스크롤 동작에 따라 호출이 예상되는 M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주소 정보에 접속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원본을 수신하여 컨텐츠 뷰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 뷰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M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원본과 등록 정보를 카드 형태로 표시하는 카드뷰 또는 M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원본과 등록 정보를 격자 형태로 표시하는 그리드 뷰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 뷰가 카드 뷰로 설정된 경우, 프로세서(33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원본을 수신한 후 이미지 변환 처리하여 카드 뷰에 표시되도록 한다. 그러나, 컨텐츠 뷰가 그리드 뷰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300)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그리드 뷰에 표시한 후 사용자로부터 그리드 뷰의 썸네일 이미지의 활성화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썸네일 이미지의 원본을 수신한 후 이미지 변환 처리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 캐시를 이용한 캐싱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스크롤 동작에 의한 컨텐츠 뷰 출력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공 방법은, 먼저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복수의 멀티미디어 제공 장치로부터 링크 데이터를 수집하고(S111),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S112). 이때,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음원, 영상, 그림, 사진 등 다양한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설치한 후 사진 보기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스크롤 동작을 수행한다(S113, S114). 따라서,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의 스크롤 동작에 따라 N개의 링크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S115).
이때, 컨텐츠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실행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시작(Splash) 화면에서 링크 데이터 저장을 위해 N개의 버퍼 캐시를 구성하도록 한다. 이때, 컨텐츠 제공 서버는 컨텐츠 뷰, 즉 이미지 뷰가 출력되는 현재 페이지의 이미지 수, 현재 페이지의 전후 페이지의 이미지 수 등을 종합한 대략 20개의 이미지 수를 고려하여 N=20개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N개의 링크 데이터를 버퍼 캐시(341)에 캐싱한다(S116). 이때, 사용자 단말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 이미지 변환 처리된 원본 데이터와 등록 정보를 수직 형태 또는 수평 형태의 컨텐츠 뷰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이미지 보기를 위해 스크롤을 위/아래 또는 좌/우로 동작시키는 사용자의 스크롤 동작이 감지되면(S117), 버퍼 캐시(341)에 캐싱된 링크 데이터에 기반하여 호출이 예상되는 M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예를 들어, 사진)의 주소 정보에 접속하여 실제 원본이 저장된 멀티미디어 제공 장치에 접속한다(S117).
이때, 링크 데이터는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타입으로 생성되고, 사용자 단말은 JSON 파싱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된 멀티미디어 제공 장치의 주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스크롤 동작시마다 매번 버퍼 캐시(341)에 저장된 N개의 링크 데이터에 해당하는 모든 원본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스크롤 동작에 따라 한 페이지에 표시될 수 있는 이미지 수, 즉 M개(예를 들어, 5~10개)의 원본 데이터만을 수신하여 이미지 변환 처리를 통해 M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원본 또는 등록 정보를 컨텐츠 뷰(360)를 표시한다(S118, S119, S120). 이때, 컨텐츠 제공 서버는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개수인 N이 원본 데이터를 수신하는 개수인 M보다 더 크게 설정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이미지를 로딩하기 위한 시간이 지연되지 않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은 이미지 변환 처리된 원본 데이터를 이미지 캐시에 저장하고(S119), 컨텐츠 뷰에 원본 데이터를 출력한 이후에는 바로 삭제되도록 한다(S120, S121).
따라서,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뷰를 통해 시스템 자원의 낭비없이 다양한 컨텐츠를 빠르게 볼 수 있다.
한편 도 3의 단계 S111 내지 S121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컨텐츠 제공 서버가 모바일 백엔드(Backend as a Service, Baa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백엔드 서버이고,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과의 연결을 구현하는 모델로 구현될 경우, 데이터저장(data storage), 사용자관리(user management), 푸시알림(push notifications), 위치서비스(location services), 데이터분석(analytics), 계정등록, 구매확인, 이용자 발생 알림, 패스워드 재설정 등의 결제 연동 기능 등 다양한 벡엔드 기능을 BaaS 플랫폼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판매 또는 구매를 지원하는 컨텐츠 거래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등록 정보에 가격 정보를 포함한 거래 정보를 부가정보로 표시하고, 컨텐츠 뷰에 이미지뿐만 아니라 부가 정보가 포함된 등록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뷰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특정 컨텐츠를 선택한 후 거래처리, 결제, 문자 전송, 배송조회를 포함한 결제 연동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 캐시의 저장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 캐시의 데이터 삭제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링크 데이터는 버퍼 캐시의 팩터(Factor)0번부터 저장되고, 데이터 저장 방향은 팩터 0번을 기준으로 오른쪽 방향으로 하나씩 밀리면서 저장된다. 즉, 버퍼 캐시는 새로운 링크 데이터(Data2)가 수신되면, 이전의 링크 데이터(Data1)를 팩터 1번으로 보내고, 팩터 0번에 Data2를 저장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은 버퍼 캐시의 저장 공간이 모두 채워진 경우, 팩터 N번의 링크 데이터가 버퍼 캐시에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가장 오랫동안 저장된 데이터이므로, 팩터 N번째의 데이터를 삭제하여 새로운 링크 데이터가 저장될 캐시 버퍼의 저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캐시 버퍼에 적용된 LRU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가장 오랫동안 참조되지 않은 링크 데이터들이 사용자로부터 더 이상 호출되지 않거나 해당 컨텐츠를 보지 않을 확률이 높으므로 새로운 링크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삭제하여 효율적으로 버퍼 캐시를 관리한다. 이때, 버퍼 캐시에 이미 출력된 원본 이미지에 대한 주소 정보가 계속 저장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버퍼 캐시에 LRU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현재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즉 컨텐츠 뷰의 로킹(Locking)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 처리를 위한 메인 쓰레드(Main thread)를 사용하지 않고, 캐시 버퍼의 저장 공간이 모두 채원진 경우에만 데이터 삭제 서비스를 실행함으로써 이미지 뷰 실행시 끊김 없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링크 데이터들이 버퍼 캐시에 의해 관리될 수 있어 멀티미디어 제공 장치와 링크 데이터의 동기화, 즉 사용자 단말 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멀티미디어 제공 장치와 현재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뷰에 출력되는 데이터가 동기화되어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멀티미디어 제공 장치 200: 컨텐츠 제공 서버
300: 사용자 단말 310: 통신 모듈
320: 메모리 330: 프로세서
340: 캐시 장치 350: 이미지 변환모듈

Claims (15)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통신모듈,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메모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버퍼 캐시를 구성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스크롤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스크롤 동작에 상응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에 멀티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링크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N (N>0)개의 링크 데이터를 상기 버퍼 캐시에 캐싱하고, 상기 캐싱된 링크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M(0< M < N)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뷰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되,
    상기 스크롤 동작에 따라 상기 링크 데이터를 참조하여, 호출이 예상되는 M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된 멀티미디어 제공 장치로부터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원본을 수신하여 이미지 변환 처리를 통해 원본 또는 등록 정보를 상기 컨텐츠 뷰에 표시하는 것이고,
    상기 링크 데이터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된 주소 정보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데이터는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타입으로 생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JSON 파싱을 통해 상기 링크 데이터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된 멀티미디어 제공 장치의 주소 정보를 추출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이미지 변환 처리가 완료된 원본을 저장하는 이미지 캐시를 구성하고, 상기 이미지 캐시에서 상기 컨텐츠 뷰에 출력 완료된 원본을 삭제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뷰는,
    상기 M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이미지와 등록 정보를 카드 형태로 표시하는 카드뷰, 상기 M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이미지와 등록 정보를 격자 형태로 표시하는 그리드 뷰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인, 사용자 단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뷰가 카드 뷰로 설정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원본을 수신한 후 이미지 변환 처리하여 상기 카드 뷰에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 뷰가 그리드 뷰로 설정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그리드 뷰에 표시하고, 상기 그리드 뷰의 썸네일 이미지의 활성화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썸네일 이미지의 원본을 수신한 후 이미지 변환 처리하여 표시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퍼 캐시의 저장 공간이 모두 채워진 경우, LRU(Least Recently Used)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N개의 링크 데이터 중 가장 오랫동안 참조되지 않은 링크 데이터부터 삭제한 후 새로운 링크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주소정보는 썸네일의 이미지 주소와 원본의 이미지 주소를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등록 정보는 메타 정보, 제목, 촬영 날짜 정보, 촬영자 정보, 이미지 크기 정보, 부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8.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에 있어서,
    통신모듈,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메모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각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된 주소 정보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 데이터를 제공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스크롤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스크롤 동작에 상응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N (N>0)개의 링크 데이터를 버퍼 캐시에 캐싱하고, 상기 캐싱된 링크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M(0< M < N)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뷰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타입의 링크 데이터를 각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JSON 파싱을 통해 상기 링크 데이터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된 주소 정보를 추출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서버.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이미지 변환 처리가 완료된 원본을 저장하는 이미지 캐시를 구성한 후 상기 이미지 캐시에서 상기 컨텐츠 뷰에 출력 완료된 원본을 삭제하고,
    상기 버퍼 캐시의 저장 공간이 모두 채워진 경우, LRU(Least Recently Used)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N개의 링크 데이터 중 가장 오랫동안 참조되지 않은 링크 데이터부터 삭제한 후 새로운 링크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서버.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주소정보는 썸네일의 이미지 주소와 원본의 이미지 주소를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등록 정보는 메타 정보, 제목, 촬영 날짜 정보, 촬영자 정보, 이미지 크기 정보, 부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서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판매 또는 구매를 지원하는 컨텐츠 거래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등록 정보에 가격 정보를 포함한 거래 정보를 부가정보로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거래처리, 결제, 문자 전송, 배송조회를 포함한 결제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서버.
  13.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에 버퍼 캐시를 구성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스크롤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스크롤 동작에 상응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에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링크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N (N>0)개의 링크 데이터를 상기 버퍼 캐시에 캐싱하는 단계; 및
    c) 상기 캐싱된 링크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스크롤 동작에 따라 상기 링크 데이터를 참조하여, 호출이 예상되는 M(0< M < N)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된 멀티미디어 제공장치로부터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원본을 수신하여 이미지 변환 처리를 통해 원본 또는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뷰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링크 데이터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된 주소 정보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버퍼 캐시의 저장 공간이 모두 채워진 경우, LRU(Least Recently Used)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N개의 링크 데이터 중 가장 오랫동안 참조되지 않은 링크 데이터부터 삭제한 후 새로운 링크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공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이미지 변환 처리가 완료된 원본을 이미지 캐시에 저장한 후, 해당 원본이 상기 컨텐츠 뷰에 출력된 이후에 상기 이미지 캐시에서 상기 원본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0190013829A 2019-02-01 2019-02-01 사용자 단말 및 컨텐츠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180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829A KR102180346B1 (ko) 2019-02-01 2019-02-01 사용자 단말 및 컨텐츠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829A KR102180346B1 (ko) 2019-02-01 2019-02-01 사용자 단말 및 컨텐츠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890A KR20200095890A (ko) 2020-08-11
KR102180346B1 true KR102180346B1 (ko) 2020-11-18

Family

ID=72048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829A KR102180346B1 (ko) 2019-02-01 2019-02-01 사용자 단말 및 컨텐츠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3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218B1 (ko) * 2006-09-06 2007-1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캐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상에서의 이미지 데이터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1142334A1 (ja) * 2010-05-12 2011-11-17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スクリプト生成装置、端末、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717B1 (ko) * 2015-03-17 2020-10-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컨텐츠 캐싱 방법 및 이를 위한 캐시 장치
KR101805302B1 (ko) * 2016-05-02 2017-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218B1 (ko) * 2006-09-06 2007-1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캐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상에서의 이미지 데이터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1142334A1 (ja) * 2010-05-12 2011-11-17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スクリプト生成装置、端末、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890A (ko)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70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ptimizing the loading of images in a cloud-based proxy service
US95652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ptimizing the loading of images in a cloud-based proxy service
US9360988B2 (en) Browsing and quality of service features
WO2017190709A1 (zh) 媒体文件的展示方法、客户端及插件
WO2017215175A1 (zh) 页面处理方法、装置、终端及服务器
CN109521956B (zh) 一种基于区块链的云存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70300459A1 (en) Card-type desktop implementation method and apparatus
US9262389B2 (en) Resource-adaptive content delivery on client devices
US10095378B2 (en) Web browser toolbar
TW201903604A (zh) 應用導航方法及裝置
US119281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web browser for use in handheld wireless devices that renders web pages without advertisement
CN113641928B (zh) 一种网页请求方法、系统及存储介质
JP6482204B2 (ja) 情報処理端末、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656713A (zh) 一种网络资源处理方法、装置及系统
KR102180346B1 (ko) 사용자 단말 및 컨텐츠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공 방법
JP201515620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5643449B1 (ja) 端末装置に表示画面を表示させるサーバ及び方法
MX2014005454A (es) Sistema y metodo para detectar una conexion prepagada a internet y un mecanismo de cargo para la misma.
US20140325346A1 (en) Shortened Network Address Linking to Image Representation of Web Page
CN112016280B (zh) 一种文件编辑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Andriani et al. An architecture for synchronising cloud file storage and organisation repositories
US10296580B1 (en) Delivering parsed content items
JP2019079401A (ja) 生成装置、端末装置、共有ページ生成システム、生成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112883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tent items in situations involving suboptimal network conditions
KR102550499B1 (ko) 폴더 트리의 동적 프리페치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