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919B1 -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919B1
KR102179919B1 KR1020190119171A KR20190119171A KR102179919B1 KR 102179919 B1 KR102179919 B1 KR 102179919B1 KR 1020190119171 A KR1020190119171 A KR 1020190119171A KR 20190119171 A KR20190119171 A KR 20190119171A KR 102179919 B1 KR102179919 B1 KR 102179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cutting oil
vertical
horizontal referen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관
Original Assignee
(주)석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석성산업 filed Critical (주)석성산업
Priority to KR1020190119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9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6Liftable or lowerable drill heads or headstocks; Balanc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04Co-ordinat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Machines for making holes without previous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8Drill jigs for workpieces
    • B23B47/287Jigs for drilling plate-like work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는, 판형으로 된 대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을 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의 상면에 마련되고, 판형의 대형 가공물이 안착되도록 소정 면적의 평편한 기준면이 형성된 직사각형의 수평 기준부재와, 상기 수평 기준부재의 길이방향 양쪽면과 길이방향 한쪽면을 감싸고 상향으로 개구된 절삭유 수용공간이 형성된 절삭유받이를 포함하여 프레임의 상면에 마련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길이와 같거나 짧은 길이와 소정의 폭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 기준부재의 상면에 안착되는 가공물의 가공면이 밀착되고 절삭유가 밖으로 흐르지 않도록 상단부가 상기 수평 기준부재의 상면보다 더 높게 상기 절삭유 수용공간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절삭유받이의 반대면에 폭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가공물 정렬블럭; 상기 가공물 정렬블럭을 따라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가공물 정렬블럭에 설치되는 수직부재와, 전면이 상기 가공물 정렬블럭의 수직면과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부재를 따라 수직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수직부재에 설치되며 저면 일측에는 작동공이 형성된 수직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이동체; 및 상기 수평 기준부재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작동블럭의 저면에 설치되는 가공기로 이루어진 측면 가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SIDE MACHINING APPARATUS FOR PLATE WEIGHT WORKPIECE}
본 발명은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가공장치의 적용이 어려운 크기로 된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에 드릴링, 탭핑 등을 포함한 다양한 가공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릴링 및 탭핑 등의 가공이 수행될 수 있는 홀 가공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살펴보면 하부에 가공물이 놓일 수 있는 작업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작업대로부터 이격된 상부에 드릴링, 탭핑 가공을 수행할 수 있는 주축 및 주축 헤드가 배치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회전공구가 결합되는 주축의 회전 및 승, 하강 동작과, 주축 헤드의 승, 하강 조정을 통해 가공물에 대하여 홀 가공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구성되는 수직식 홀 가공장치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0-0133250호(공개일 : 2010.12.21)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가공장치는, 드릴링머신과 탭핑머신을 동시에 구비한 것으로, 지지축대의 승, 하강을 통한 작업대와의 거리 조정과, 절삭공구가 결합 되는 회전체의 승, 하강을 통해 작업대에 놓인 가공물에 대하여 드릴링 또는 탭핑 대한 홀 가공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회전체를 승, 하강시키는 수평축부와, 수평축부를 수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핸들 레버를 포함한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2525호(공고일 : 2010.09.15)에는 태핑 드릴링 머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태핑 드릴링 머신은, 고정판에 기둥체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기둥체의 상단부에는 단상구동모터를 구비하고 있는 드릴축 구동부가 장착되어 있고, 드릴축 하단에는 탭핑 드릴 또는 천공 드릴 중 선택된 드릴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드릴척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드릴축 승강 작동축에는 작동핸들 손잡이가 부착되어 드릴축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작업대에는 가공물을 물려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피가공물 바이스가 구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은, 작업대와 가공 공구 사이의 거리가 한정됨으로써, 가공물의 가공 면에 홀 가공을 수행하기 위하여 가공물을 수직으로 세워서 배치하게 될 때, 가공물의 수직 높이가 작업대와 공구 사이의 거리보다 클 경우에는 가공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가로 세로 크기가 대략 2m × 4 - 6m 정도 되는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에 드릴링, 탭핑 또는 기타 가공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작업대와 공구 사이의 거리보다 가공물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가공물의 측면 가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0-0133250호(공개일 : 2010.12.2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2525호(공고일 : 2010.09.15)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가공장치로 가공 작업이 어려운 크기로 된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에 드릴링, 탭핑 등을 포함한 다양한 가공 작업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판형으로 된 대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에 드릴링 또는 탭핑을 포함한 측면 가공을 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의 상면에 마련되고, 판형의 대형 가공물이 안착되도록 소정 면적의 평편한 기준면이 형성된 직사각형의 수평 기준부재와, 상기 수평 기준부재의 길이방향 양쪽면과 길이방향 한쪽면을 감싸고 상향으로 개구된 절삭유 수용공간이 형성된 절삭유받이를 포함하여 프레임의 상면에 마련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길이와 같거나 짧은 길이와 소정의 폭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눈금이 마련되며, 상기 수평 기준부재의 상면에 안착되는 가공물의 가공면이 밀착되고 절삭유가 밖으로 흐르지 않도록 상단부가 상기 수평 기준부재의 상면보다 더 높게 상기 절삭유 수용공간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절삭유받이의 반대면에 폭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가공물 정렬블럭; 상기 가공물 정렬블럭을 따라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가공물 정렬블럭에 설치되는 수직부재와, 전면이 상기 가공물 정렬블럭의 수직면과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부재를 따라 수직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수직부재에 설치되며 저면 일측에는 작동공이 형성된 수직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이동체; 및 상기 작동공 주변에 한쪽이 결합되는 작동블럭과, 상기 수평 기준부재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작동블럭의 저면에 설치되는 가공기로 이루어진 측면 가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수평 기준부재에는, 볼트 체결공들이 가로 세로 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배열되고, 상기 수평 기준부재의 상면에는, 가공물의 저면이 상기 수평 기준부재의 상면에 밀착되지 않고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간격유지부재들이 상기 볼트 체결공들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는, 상기 가공물 정렬블럭에 구비되는 제1 엘엠 가이드 유닛과, 핸들을 구비한 제1 나사봉 유닛에 의해 상기 가공물 정렬블럭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이동부재는, 전면이 상기 가공물 정렬블럭의 수직면과 일치된 상태로 배치되고, 한쪽 저면에는 상기 작동공이 형성된 전면블럭; 상기 전면블럭의 배변 양쪽에서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블럭들; 및 제2 엘엠 가이드 유닛과 핸들을 구비한 제2 나사봉 유닛에 의해 상기 수직부재의 배면에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수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양단이 상기 연결블럭들에 결합되는 후면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가공부는, 핸들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하도록 상기 작동블럭의 저면에 구비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에 맞물리도록 상기 가공기의 상면에 마련되는 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와 랙기어의 맞물림으로 상기 가공기가 상기 수평 기준부재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수평으로 전진 및 후진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가공기가 가공물의 측면을 가공할 때 절삭유를 공급하기 위한 절삭유 공급부가 마련되되, 상기 절삭유 공급부는, 일단이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끼움부가 마련된 거치부재; 및 입구가 마련된 상단 영역이 상기 끼움부에 끼움 결합되고, 하단에는 수용된 절삭유를 가공위치로 공급하기 위한 다관절 구조의 노즐부재가 구비된 절삭유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공물 정렬블럭의 배면에는, 상기 측면 가공부로부터 발생되는 칩이나 절삭유가 상기 제1 엘엠 가이드 유닛 또는 상기 제1 나사봉 유닛으로 떨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커버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커버부재는, 폭방향으로 만곡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한쪽 가장자리가 상기 가공물 정렬블럭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작동공에는, 상기 가공기의 회전척을 회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은, 상기 작동공의 내부에 결합되거나, 설치 브라켓에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설치 브라켓이 상기 작동공의 주변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작동공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대에 판형으로 된 대형 가공물을 눕혀 안착시키고, 이동체가 가공물의 길이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측면 가공부를 이용하여 가공물의 측면을 가공할 수 있음으로써, 크기가 크고 판형으로 된 대형 가공물의 측면 가공을 신속하고 정확하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공위치에 공급된 절삭유가 작업대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절삭유 수용공간으로 고이도록 구성됨으로써, 가공위치에서 사용된 절삭유를 효율적으로 회수하여 재 사용할 수 있고, 절삭유가 작업대 밖으로 유출되지 않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10)는, 판형으로 된 대형 중량 가공물(M)의 측면에 드릴링 또는 탭핑을 포함한 측면 가공을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측면 가공장치(10)는, 판형의 대형 가공물(M)이 안착되도록 된 작업대(20)와, 작업대(2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가공물 정렬블럭(30)과, 가공물 정렬블럭(30)에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체(40)와, 이동체(40)에 구비되는 측면 가공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작업대(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2)의 상면에 마련되고, 판형의 대형 가공물(M)이 안착되도록 소정 면적의 평편한 기준면(24A)이 형성된 직사각형의 수평 기준부재(24)와, 수평 기준부재(24)의 길이방향 양쪽면과 길이방향 한쪽면을 감싸고 상향으로 개구된 절삭유 수용공간(26A)이 형성된 절삭유받이(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평 기준부재(24)는, 가공물(M)이 정확하게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기준면(24A)을 구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철재로 된 정반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수평 기준부재(24)에는, 볼트 체결공(24B)들이 가로 세로 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배열된다. 이러한 볼트 체결공(24B)들은 간격유지부재(28)들이나, 가공물(M)을 수평 기준부재(24)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도시되지 않음)가 고정되기 위한 것이다. 즉, 볼트 체결공(24B)에 체결되는 볼트들에 의해 간격유지부재(28)나 클램프가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간격유지부재(28)는 가공물(M)의 저면이 수평 기준부재(24)의 상면, 즉 기준면(24A)에 밀착되지 않고 기준면(24A)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간격유지부재(28)을 관통하여 볼트 체결공(24B)에 체결되는 볼트들에 의해 수평 기준부재(24)에 고정된다. 이때, 간격유지부재(28)들의 상면과 저면은 일정한 수평상태, 즉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간격유지부재(28)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기준부재(24)의 기준면(24A)에 지그 재그로 배열되는 것이고 이러한 간격유지부재(28)들에 의해 가공물(M)은 마찰력이 최소화된 상태, 그리고 수평상태 유지에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안착될 수 있다. 즉, 가공물(M)이 간격유지부재(28)들의 상면에 안착되므로 안착시 수평 기준부재(24)와의 접촉면적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이로 인한 수평상태 간섭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절삭유받이(26)는, 측면 가공부(50)에 로 공급된 절삭유를 임시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절삭유 수용공간(26A)이 수평 기준부재(24)의 3면을 감싸면서 형성되므로 가공물(M)의 측면 가공시 공급되는 절삭유가 작업대(20) 외측으로 흐르지 않고 모두 절삭유 수용공간(26A)으로 고여 임시 보관됨으로써 절삭유의 절약 및 주변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절삭유받이(26)의 한쪽 저면에는 임시 보관된 절삭유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밸브를 구비한 배출관이 구비된다.
가공물 정렬블럭(30)은, 이동체(40)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공물(M)의 가공면을 일정하게 정렬시키기 위한 것으로, 작업대(20)의 길이와 같거나 짧은 길이, 소정의 폭, 그리고 소정의 두께를을 갖는 금속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가공물 정렬블럭(30)의 각 면은 서로 직각을 유지하도록 가공된다. 이는 가공물(M)을 정확하게 정렬시켜 가공면의 가공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가공물 정렬블럭(3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유 수용공간(26A)이 형성되지 않은 절삭유받이(26)의 반대면에 폭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된다. 이때, 가공물 정렬블럭(30)은 수평 기준부재(24)의 상면, 즉 기준면(24A)에 안착되는 가공물(M)의 가공면(가공물의 측면)이 밀착되고 절삭유가 밖으로(절삭유받이(26)가 형성되지 않은 방향)으로 흐르지 않도록 상단부(32)가 수평 기준부재(24)의 기준면(24A)보다 더 높도록 작업대(20)의 측면과 수평 기준부재(24)의 한쪽 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가공물 정렬블럭(30)의 상단부(32)는 수평 기준부재(24)의 기준면(24A)보다 더 높게 상향으로 돌출되고, 상단부(32)의 수직면(32A)은 기준면(24A)과 직각을 이룬다.
한편, 가공물 정렬블럭(30)의 상단부(3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눈금(32B)이 형성된다. 이 눈금(32B)에 의해 이동체(40)의 이동거리, 즉 가공기(52)의 가공위치를 설정하거나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공물 정렬블럭(30)의 배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엘엠 가이드 유닛(36)과, 핸들(38A)을 구비한 제1 나사봉 유닛(38)이 각각 구비된다.
제1 엘엠 가이드 유닛(36)과 제1 나사봉 유닛(38)은, 이동체(40)의 수직부재(42)를 수평방향(Y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즉, 제1 엘엠 가이드 유닛(36)은, 가공물 정렬블럭(30)의 배면에 결합되는 가이드레일(36A)과, 수직부재(42)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36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블럭(36B)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직부재(42)는 제1 엘엠 가이드 유닛(36)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나사봉 유닛(38)은 일단에 핸들(38A)을 구비하고 가공물 정렬블럭(30)의 배면에 양단이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나사봉(38B)과, 나사봉(38B)과 체결되어 결합된 상태로 수직부재(42)의 배면에 결합되는 이동블럭(38C)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나사봉 유닛(38)에 의해 핸들(38A)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킴에 따라 이동체(40)의 수직부재(42)는 제1 엘엠 가이드 유닛(36)에 안내되어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공물 정렬블럭(30)의 배면에는, 측면 가공부(50)로부터 발생되는 칩이나 절삭유가 제1 엘엠 가이드 유닛(36) 또는 제1 나사봉 유닛(38)으로 떨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커버부재(35)가 결합된다. 이러한 커버부재(35)는, 폭방향으로 만곡부(35A)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한쪽 가장자리가 가공물 정렬블럭(30)의 배면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커버부재(35)의 폭은, 가공물 정렬블럭(30)의 배면을 기준으로 제1 엘엠 가이드 유닛(36)이나 제1 나사봉 유닛(38) 보다 더 돌출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측면 가공부(50)로부터 발생된 칩이나 절삭유가 튀어 제1 엘엠 가이드 유닛(36) 또는 제1 나사봉 유닛(38)으로 떨어질 때 이를 커버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커버부재(35)의 폭방향으로 만곡진 만곡부(35A)가 형성됨으로써, 칩이나 절삭유가 커버부재(35)의 상면에 쌓이지 않게 된다.
이동체(40)는, 제1 엘엠 가이드 유닛(36)과 제1 나사봉 유닛(38)에 의해 가공물 정렬블럭(30)의 배면에 수평방향(Y축 방향) 및 수직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가공물 정렬블럭(30)을 따라 수평(Y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가공물 정렬블럭(30)의 배면에 제1 엘엠 가이드 유닛(36)과 제1 나사봉 유닛(38)에 의해 설치되는 수직부재(42)와, 전면이 가공물 정렬블럭(30)의 수직면(32A)과 일치된 상태에서 수직부재(42)를 따라 수직(Z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수직부재(42)에 설치되며 저면 일측에는 작동공(44A-1)이 형성된 수직 이동부재(44)를 포함한다.
수직부재(4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엘엠 가이드 유닛(36)과 제1 나사봉 유닛(38)에 의해 가공물 정렬블럭(30)의 배면에 수평방향(Y축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수직 이동부재(44)는, 수직부재(42)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하부, 즉 Z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직 이동부재(44)는, 전면이 가공물 정렬블럭(30)의 수직면(32A)과 일치된 상태가 되도록 수직부재(42)의 전면(수평 기준부재를 향하는 방향)에 배치되고, 한쪽 저면에는 작동공(44A-1)이 형성된 전면블럭(44A)과, 전면블럭(44A)의 배변 양쪽에서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블럭(44B)들과, 제2 엘엠 가이드 유닛(45)과 핸들(47A)을 구비한 제2 나사봉 유닛(47)에 의해 수직부재(42)의 배면에 수직방향(Z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결합되고, 수직부재(42)를 사이에 두고 양단이 연결블럭(44B)들에 결합되는 후면블럭(44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작동공(44A-1)은 측면 가공부(50)의 가공기(52)에 구비된 공구(52A)가 가공공간(작업대의 상부 영역 또는 가공물이 위치한 영역)으로 노출되도록 X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것이다. 즉, 공구(52A)를 구비한 가공기(52)가 X축 방향으로 전후진 작동할 때 공구(52A)가 작동공(44A-1)을 통하여 가공공간으로 노출되거나 작동공(44A-1) 내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 가공기(52)는 드릴링 머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엘엠 가이드 유닛(45)은, 상기 수직부재(42)의 배면 양쪽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엘엠 가이드(45A)와, 후면블럭(44C)에 마련되어 상기 엘엠 가이드(45A)에 안내되는 가이드블럭(45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나사봉 유닛(47)은, 상단에 핸들(47A)이 결합되고 상단과 하단이 수직부재(42)의 배면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나사봉(47B)과, 후면블럭(44C)의 중앙에 결합되고 상기 나사봉(47B)과 체결되어 결합되는 이동블럭(47C)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핸들(47A)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에 따라 나사봉(48B)과 체결된 이동블럭(47C)이 후면블럭(44C)과 함께 제2 엘엠 가이드 유닛(45)에 안내되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2 엘엠 가이드 유닛(45)과 제2 나사봉 유닛(47)에 의해 수직 이동부재(44)는 수직부재(42)에 지지된 상태로 수직방향(Z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된다.
측면 가공부(50)는, 가공기(52)를 구비하고 전면블럭(44A)의 배면쪽 작동공(44A-1) 주변에 결합되어 수직 이동부재(44)와 함께 상,하부로 이동되는 것으로, 작동공(44A-1) 주변에 한쪽이 결합되는 작동블럭(54)과, 수평 기준부재(24)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수평(X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작동블럭(54)의 저면에 설치되는 가공기(52)로 이루어진다.
이때, 작동블럭(54)은, 핸들(54A)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하도록 작동블럭(54)의 저면에 구비되는 피니언기어(54B)와, 피니언기어(54B)에 맞물리도록 가공기(52)의 상면에 마련되는 랙기어(54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핸들(54A)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조작에 의해 피니언기어(54B)와 랙기어(54C)의 맞물림으로 가공기(52)가 수평 기준부재(24))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수평(X 축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 작동하게 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42)의 상단에는, 가공기(52)가 가공물(M)의 측면을 가공할 때 절삭유를 공급하기 위한 절삭유 공급부(80)가 마련된다. 이 절삭유 공급부(80)는, 일단이 수직부재(42)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끼움부(82A)가 마련된 거치부재(82)와, 입구가 마련된 상단 영역이 끼움부(82A)에 끼움 결합되고, 하단에는 수용된 절삭유를 가공위치로 공급하기 위한 다관절 구조의 노즐부재(84A)가 구비된 절삭유용기(8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절삭유 공급부(80)는, 거치부재(832)를 수직부재(42)의 상단에 고정한 상태에서 끼움부(82A)에 절삭유용기(84)를 끼워 넣어 결합하는 작업으로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수직 이동부재(44)를 구성하는 전면블럭(44A)의 작동공(44-4)에는, 가공기(52)의 회전척(52A-1)을 회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B)이 구비된다. 이 베어링(B)은 드릴링 또는 탭핑을 하도록 구성된 가공기(52)의 회전척(52A-1)을 회전 지지하여, 가공기(52)의 작동시 진동이나 흔들림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가공물(M)의 측면을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게 되고 가공기(52) 등의 고장율을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가공기(52)를 회전척(52A-1)을 베어링(B)의 내경에 삽입한 상태에서(이 경우에 회전척의 외경은 베어링의 내경에 삽입되는 사이즈여야 한다.)가공기(52)가 작동되면, 회전척(52A-1)은 베어링(B)에 의해 회전 지지되므로, 흔들림이나 진동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베어링(B)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작동공(44A-1)의 내부에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브라켓(B-1)에 의해 전면블럭(44A)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베어링(B)은 설치 브라켓(B-1)에 결합된 상태에서, 설치 브라켓(B-1)이 작동공(44A-1)의 주변에 볼트 등으로 결합됨에 따라 작동공(44A-1)의 내부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회전척(52A-1)의 사이즈에 대응되는 베어링(B)을 구비한 설치 브라켓(B-1)을 다수개 구비한 상태에서 해당 가공기(52)의 회전척(52A-1)의 사이즈와 일치되는 베어링(B)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1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유받이(26)가 구비된 작업대(20)의 일측에 측면 가공부(50)를 구비한 이동체(40)가 가공물 정렬블럭(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 기준부재(24)의 상면에 가공물(M)을 안착시킨다. 이때 가공물(M)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의 대형 중량물이다.
가공물(M)이 수평 기준부재(24)의 상면에 안착되면 클램프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되, 가공물(M)의 가공면(M-1)을 수직면(32A)에 밀착시켜 가공면(M-1)을 정렬시킨다.
이어서, 제1 나사봉 유닛(38)의 핸들(38A)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이동체(40)를 수평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가공기(52)에 구비된 공구(52A)의 수평 위치를 조절하고, 제2 나사봉 유닛(48)의 핸들(47A)을 조작하여 이동체(40)를 수직방향(Z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공구(52A)의 수직위치를 조절한다.
또한, 작동블럭(54)에 구비된 핸들(54A)을 조작하여 피니언기어(54B)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공구(52A)를 기준부재(24) 방향(X 축 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후진시켜 위치를 조절한다.
이어서, 공구(52A)의 위치가 정확하게 고정되면, 가공기(52)를 작동시켜 가공물(M)의 측면에 드릴링 또는 탭핑과 같은 가공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절삭유 공급부(80)의 노즐부재(54A)로부터 절삭유가 가공위치로 공급된다.
가공위치로 공급되는 절삭유는 절삭유받이(26)에 구비된 절삭유 수용공간(26A)으로 모여 임시 저장된다. 임시 저장된 잘삭유는 절삭유받이(26)의 일측 저면에 구비된 배출밸브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거나, 절삭유용기(84)에 공급된다.
그리고, 가공기(52)의 회전척(52A-1)이 베어링(B)에 회전 지지되므로, 공구(52A)의 떨림이나 진동, 흔들림 등이 발생되지 않고 가공물(M)의 가공면(M-1)을 안정적으로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고, 대략 1 - 2 × 3 - 7m의 길이와 폭을 갖는 대형 판형 가공물(M)을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하여 안착시키고 수직면(32A)에 밀착시켜 정렬할 수 있음으로써, 판형으로 된 대형 중량 가공물(M)의 측면에 드릴링 또는 탭핑과 같은 가공 작업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공위치로 공급되는 절삭유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튀지 않고 작업대(20)의 3면에 구비된 절삭유받이(26)에 임시 저장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측면 가공장치 20 : 작업대
24 : 수평 기준부재 26 : 절삭유 수용공간
30 : 가공물 정렬블럭 32 : 상단부
32B : 눈금 40 : 이동체
42 : 수직부재 44 : 수평 이동부재
50 : 측면 가공부 52 : 가공기
52A : 공구

Claims (9)

  1. 판형으로 된 대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에 드릴링 또는 탭핑을 포함한 측면 가공을 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의 상면에 마련되고, 판형의 대형 가공물이 안착되도록 소정 면적의 평편한 기준면이 형성된 직사각형의 수평 기준부재와, 상기 수평 기준부재의 길이방향 양쪽면과 길이방향 한쪽면을 감싸고 상향으로 개구된 절삭유 수용공간이 형성된 절삭유받이를 포함하여 프레임의 상면에 마련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길이와 같거나 짧은 길이와 소정의 폭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눈금이 마련되며, 상기 수평 기준부재의 상면에 안착되는 가공물의 가공면이 밀착되고 절삭유가 밖으로 흐르지 않도록 상단부가 상기 수평 기준부재의 상면보다 더 높게 상기 절삭유 수용공간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절삭유받이의 반대면에 폭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가공물 정렬블럭; 상기 가공물 정렬블럭을 따라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가공물 정렬블럭에 설치되는 수직부재와, 전면이 상기 가공물 정렬블럭의 수직면과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부재를 따라 수직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수직부재에 설치되며 저면 일측에는 작동공이 형성된 수직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이동체; 및 상기 작동공 주변에 한쪽이 결합되는 작동블럭과, 상기 수평 기준부재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작동블럭의 저면에 설치되는 가공기로 이루어진 측면 가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재는,
    상기 가공물 정렬블럭에 구비되는 제1 엘엠 가이드 유닛 및 핸들을 구비한 제1 나사봉 유닛에 의해 상기 가공물 정렬블럭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공물 정렬블럭의 배면에는,
    상기 측면 가공부로부터 발생되는 칩이나 절삭유가 상기 제1 엘엠 가이드 유닛 또는 상기 제1 나사봉 유닛으로 떨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커버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커버부재는, 폭방향으로 만곡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한쪽 가장자리가 상기 가공물 정렬블럭의 배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기준부재에는,
    볼트 체결공들이 가로 세로 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배열되고, 상기 수평 기준부재의 상면에는, 가공물의 저면이 상기 수평 기준부재의 상면에 밀착되지 않고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간격유지부재들이 상기 볼트 체결공들을 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동부재는,
    전면이 상기 가공물 정렬블럭의 수직면과 일치된 상태로 배치되고, 한쪽 저면에는 상기 작동공이 형성된 전면블럭;
    상기 전면블럭의 배변 양쪽에서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블럭들; 및
    제2 엘엠 가이드 유닛과 핸들을 구비한 제2 나사봉 유닛에 의해 상기 수직부재의 배면에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수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양단이 상기 연결블럭들에 결합되는 후면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가공부는,
    핸들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하도록 상기 작동블럭의 저면에 구비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에 맞물리도록 상기 가공기의 상면에 마련되는 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와 랙기어의 맞물림으로 상기 가공기가 상기 수평 기준부재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수평으로 전진 및 후진 작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가공기가 가공물의 측면을 가공할 때 절삭유를 공급하기 위한 절삭유 공급부가 마련되되, 상기 절삭유 공급부는,
    일단이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끼움부가 마련된 거치부재; 및
    입구가 마련된 상단 영역이 상기 끼움부에 끼움 결합되고, 하단에는 수용된 절삭유를 가공위치로 공급하기 위한 다관절 구조의 노즐부재가 구비된 절삭유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
  8.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공에는,
    상기 가공기의 회전척을 회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작동공의 내부에 결합되거나, 설치 브라켓에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설치 브라켓이 상기 작동공의 주변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작동공의 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
KR1020190119171A 2019-09-26 2019-09-26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 KR102179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171A KR102179919B1 (ko) 2019-09-26 2019-09-26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171A KR102179919B1 (ko) 2019-09-26 2019-09-26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919B1 true KR102179919B1 (ko) 2020-11-17

Family

ID=73642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171A KR102179919B1 (ko) 2019-09-26 2019-09-26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9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84893A (zh) * 2024-03-05 2024-04-16 江苏江顺精密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铝型材模具侧孔加工和打标一体式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0325A (ko) * 1998-12-17 2000-07-05 윤종용 디스크이송장치
KR20090128016A (ko) * 2008-06-10 2009-12-15 주식회사 태일정밀 웨어 플레이트 취부면 가공기
KR100982525B1 (ko) 2009-09-30 2010-09-15 오애자 태핑 드릴링 머신
KR20100133250A (ko) 2009-06-11 2010-12-21 이상분 드릴링 및 탭핑 겸용 수직가공장치
KR101286748B1 (ko) * 2012-10-15 2013-07-16 (주)성림엔지니어링 Cnc 딥홀 공작기용 드릴 가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0325A (ko) * 1998-12-17 2000-07-05 윤종용 디스크이송장치
KR20090128016A (ko) * 2008-06-10 2009-12-15 주식회사 태일정밀 웨어 플레이트 취부면 가공기
KR20100133250A (ko) 2009-06-11 2010-12-21 이상분 드릴링 및 탭핑 겸용 수직가공장치
KR100982525B1 (ko) 2009-09-30 2010-09-15 오애자 태핑 드릴링 머신
KR101286748B1 (ko) * 2012-10-15 2013-07-16 (주)성림엔지니어링 Cnc 딥홀 공작기용 드릴 가이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84893A (zh) * 2024-03-05 2024-04-16 江苏江顺精密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铝型材模具侧孔加工和打标一体式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96192A1 (en) Machine tool comprising an adjustable clamping table for workpieces
JP2009107111A (ja) パレット交換装置を備えたフライスおよびボール盤
KR102179919B1 (ko) 판형 중량 가공물의 측면 가공장치
KR20180013496A (ko) 절삭장치
CN111570840A (zh) 立卧一体式钻孔装置
KR20130101671A (ko) 수평식 측면 가공장치
CN216504010U (zh) 一种焊管焊缝打磨清理装置
KR20140106157A (ko) 곡선을 갖는 작업대상의 용접장치
KR20120133939A (ko) 포터블 보링 머신
CN211939108U (zh) 一种钻床
CN210755404U (zh) 一种铝合金窗框铣孔机
CN109968097B (zh) 加工装置
CN110899832A (zh) 一种型钢拉床
JP2012250292A (ja) 工作機械
KR20100071312A (ko) 휴대용 평면 가공장비
CN110640368A (zh) 免点焊自动焊接机
CN214321840U (zh) 便携式沟槽快速加工设备
JP4672905B2 (ja) 工作機械
CN214922188U (zh) 钻孔攻丝设备
CN212823298U (zh) 一种多功能钛管焊接机
CN114888681A (zh) 一种便携式倒角装置
JP6025516B2 (ja) 取付加工機および加工方法
KR100600025B1 (ko) 교환속도가 향상된 머시닝 센터의 자동 팔레트 교환장치
CN219881325U (zh) 主轴车削夹具
CN217165451U (zh) 一种铝材加工用表面清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