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782B1 -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782B1
KR102179782B1 KR1020190040115A KR20190040115A KR102179782B1 KR 102179782 B1 KR102179782 B1 KR 102179782B1 KR 1020190040115 A KR1020190040115 A KR 1020190040115A KR 20190040115 A KR20190040115 A KR 20190040115A KR 102179782 B1 KR102179782 B1 KR 102179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ortion
elevating
ring
plastic bag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8310A (ko
Inventor
김상국
Original Assignee
김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국 filed Critical 김상국
Priority to KR1020190040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782B1/ko
Publication of KR20200118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Pedal-operat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65F2001/1669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relating to means for fixing or latching the lid or cover in a certain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65F2001/1676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relating to means for sealing the lid or cover, e.g. against escaping od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7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Apparatuses For Manual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비닐봉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으며 상부가 개방된 본체와, 본체의 상부로부터 본체로부터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노출되어 돌출되게 설치되되 하방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하강시 외경이 축소되게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본체 내로 진입되며 비닐봉지의 거치가 가능하게 형성된 걸이구 유니트를 구비한다. 이러한 쓰레기통에 의하면, 비닐봉지를 쓰레기 투입이 가능하게 거치하고,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쓰레기통{waste basket}
본 발명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본체에 비닐봉지를 용이하게 거치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발생되는 쓰레기는 각 지자체에서 판매하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이하 봉지라 한다)에 담아 버려진다.
그런데, 종량제 쓰레기 봉지는 비닐로 되어 있어서 직립하여 있기가 매우 어려워 대부분 별도의 쓰레기통에 수시로 발생하는 쓰레기를 수집하고, 쓰레기통이 가득 차면 쓰레기통을 일일이 수거하여 한꺼번에 종량제 쓰레기 봉지에 담아 배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또 다르게는 쓰레기통 안쪽에 일반적인 비닐 봉지를 끼워 넣은 후 비닐 봉지에 쓰레기가 가득 차면 비닐 봉지를 모아서 종량제 쓰레기 봉지에 넣은 후 배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쓰레기통에 비닐소재의 종량제 봉지 또는 일반 봉지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비닐봉지를 내부에 거치할 수 있는 쓰레기통이 국내 공개특허 제2000-0063459호 등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쓰레기통은 사용자가 비닐봉지를 지지되게 거치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거치된 비닐봉지의 분리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비닐봉지의 거치 및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쓰레기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은 내부에 비닐봉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으며 상부가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로부터 본체로부터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노출되어 돌출되게 설치되되 하방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하강시 외경이 축소되게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본체 내로 진입되며 비닐봉지의 거치가 가능하게 형성된 걸이구 유니트;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비닐봉지를 수용할 수 있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통부분과;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가 개방되게 상기 내통부분을 에워싸면서 상기 내통부분을 수용할 수 있게 상기 내통부분의 외측에 결합되되 상기 내통부분과의 사이에 상기 걸이구 유니트의 일부가 승하강될 수 있는 승하강 허용 공간을 갖게 형성된 외통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걸이구 유니트는 상기 외통부분과 상기 내통부분의 승하강 공간 내에 장착되어 상기 내통부분의 외측면을 따라 승하강 되게 폐궤도 형상으로 형성된 승하강 링과; 상기 승하강 링에 결합되어 상기 외통부분 상면 상부에 노출되게 연장되되 상기 외통부분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길어지게 상승시에는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외통부분의 상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하강시에는 외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비닐봉지의 거치가 가능하게 형성된 확개거리고리와; 상기 승하강 링을 사용자가 외통부분 외측에서 조작하여 승하강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위치조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확개 거치고리는 상기 외통부분의 상면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호형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호형부분과, 인접된 상기 호형부분들의 양단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통부분의 상면에 상기 승하강 허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인입안내홈을 따라 상기 승하강 허용공간 내로 진입되어 상기 승하강링에 결합되는 연결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승하강링은 상기 연결부분의 하단을 고정되게 결합하는 걸이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을 개폐할 수 있게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뚜껑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시소힌지를 통해 시소운동가능 마련된 풋레버와; 상기 풋레버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상기 뚜껑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된 연동기구와; 상기 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풋레버를 하강상태로 고정 및 고정해제시킬 수 있는 고정 조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 조정부는 상기 승하강링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외통부분에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된 승하강 안내홈 외측에 노출되게 연장되게 형성된 승하강 조작레버와; 상기 승하강링에 일단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되 걸림홈이 연장방향을 다수개 형성된 걸림가이드바와; 상기 외통부분 외측에 장착된 지지 브라켓에 지지되어 상기 걸림가이드바의 걸림홈에 진입 및 진퇴될 수 있게 장착된 걸쇠와; 상기 걸쇠가 상기 걸림홈에 진입되게 상기 걸쇠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호형부분은 상기 연결부분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1수평부분과, 상기 제1수평부분의 종단에서 상기 제1수평부분보다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면서 상기 제1수평부분보다 멀어지게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1경사부분과, 상기 제1경사부분의 종단에 일단이 결합되게 형성되되 첨두가 뽀쪽한 화살촉 형상으로 형성된 꼬챙이부분과, 상기 꼬챙이부분의 타단에서 상기 꼬챙이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상방으로 연장된 제2경사부분과, 상기 제2경사부분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인접된 연결부분과 접속된 제2수평부분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 다르게는 상기 호형부분은 상기 연결부분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1수평부분과, 상기 제1수평부분의 종단에서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제1수평부분보다 높이가 낮으면서 비닐봉지의 일부를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게 상부가 열린 끼움홈을 갖는 끼움링부분과, 상기 끼움링부분의 타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인접된 연결부분과 접속된 제2수평부분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에 의하면, 쓰레기 투입이 가능하게 비닐봉지를 거치하고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쓰레기통의 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쓰레기통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확개거치고리의 승하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걸쇠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뚜껑을 개방시키는 연동기구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절단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확개거치고리가 적용된 쓰레기통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확개거치고리가 적용된 쓰레기통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쓰레기통의 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쓰레기통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확개거치고리의 승하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걸쇠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뚜껑을 개방시키는 연동기구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절단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100)은 본체(110), 걸이구 유니트(150) 및 뚜껑(180)을 구비한다.
본체(110)는 내부에 비닐봉지(1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22)을 갖으며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체(110)는 비밀봉지(10)의 거치를 지원하는 걸이구 유니트(150)의 일부 요소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이를 구분하면 내통부분(120)과 외통부분(130)을 구비한다.
내통부분(120)은 비닐봉지(1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22)을 형성하는 부분이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통부분(120)의 내부 바닥면(124)은 후술되는 풋레버(194)의 작동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일부가 절개되어 있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내부 바닥면(124) 하부에서 풋레버(194)의 작동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축되는 경우 내부 바닥면(124)은 폐쇄되게 형성될 수 있다.
외통부분(130)은 수용공간(122)의 상부가 개방되게 내통부분(120)을 에워싸면서 내통부분(120)을 수용할 수 있게 내통부분(120)의 외측에 원통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외통부분(130)은 내통부분(120)과의 사이에 걸이구 유니트(150)의 일부가 승하강될 수 있는 승하강 허용 공간(134)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외통부분(130)을 구분하면, 내통부분(120)의 상단에서 내통부분(120)으로부터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본체(11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부분(131)과, 상면부분(131)의 가장자리로부터 내통부분(120)과의 사이에 걸이구 유니트(150)의 일부가 승하강될 수 있는 승하강 허용 공간(134)을 갖게 내통부분(120)에 대해 이격되게 하방으로 연장된 측면부분(132)과, 측면부분(132)의 하단에서 하부를 폐쇄하게 형성된 외부 바닥면(133)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체(110)의 상면이 되는 외통부분(131)의 상면(131)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인입안내홈(136)이 승하강 허용공간(134)과 연통되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걸이구 유니트(150)는 본체(110)의 상부로부터 본체(110)로부터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노출되어 돌출되게 설치되되 하방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하강시 외경이 축소되게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본체(110) 내로 진입되며 비닐봉지(10)의 거치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걸이구 유니트(150)는 승하강 링(152)과, 확개거리고리(160) 및 위치조정부(170)를 구비한다.
승하강 링(152)은 외통부분(130)과 내통부분(120)의 승하강 공간(134) 내에 장착되어 내통부분(120)의 외측면을 따라 승하강되게 폐궤도 형상의 원형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확개거치고리(160)는 승하강 링(152)에 결합되어 외통부분(130) 상면(131) 상부에 노출되게 연장되되 외통부분(130)의 상면(131)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길어지게 상승시에는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복원되며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외통부분(130)의 상면(13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하강시에는 외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비닐봉지(10)의 거치가 가능하게 탄성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금속 와이어로 형성되어 있다. 확개거치고리(160)는 외통부분(130)의 상면(131)에 형성된 인입안내홈(136)을 따라 일부가 진입되어 승하강 링(152)에 결합되어 있고, 이를 구분하면 호형부분(161)과, 연결부분(163)이 반복적으로 직렬로 연결되어 폐궤도를 이루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호형부분(161)은 외통부분(130)의 상면(131)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호형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연결부분(163)은 인접된 호형부분(161)을 상호 연결하는 부분이며 인접된 호형부분(161)들의 양단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어 외통부분(130)의 상면(131)에 승하강 허용공간(134)과 연통되게 형성된 인입안내홈(136)을 따라 승하강 허용공간 (134)내로 진입되어 승하강링(152)에 결합되어 있다. 연결부분(163)을 구분하면, 연결대상의 인접된 2개의 호형부분(161)의 양단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되 하방으로 진행될수록 내통부분(120)과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경사지게 연장된 제1 및 제2 탄성변형 입출부분(163a)(163b)과, 제1 및 제2 탄성변형 입출부분(163a)(163b)의 하단을 상호 수평상으로 연결하는 수평이음부분(163c)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탄성변형 입출부분(163a)(163b)은 인입안내홈(136)을 기준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짧아지게 하부로 진입될수록 호형부분(161)과의 수직상의 경사각도가 점진적으로 줄어들게 탄성변형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수평이음부분(163c)은 승하강링(152)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수평상으로 개방된 끼움홈을 갖는 걸이구(154)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위치조정부(170)는 승하강 링(152)을 사용자가 외통부분(130) 외측에서 조작하여 확개거치고리(160)의 승하강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본체(11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위치조정부(170)는 승하강 조작레버(171), 걸림가이드바(173), 지지브라켓(174), 걸쇠(177) 및 스프링(178)을 구비한다.
승하강 조작레버(171)는 승하강링(152)에 일단이 결합되어 외통부분(130)에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된 승하강 안내홈(137) 외측에 노출되게 연장되어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걸림 가이드바(173)는 승하강 안내홈(137)에 의해 노출될 수 있게 승하강링(152)에 일단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되 톱니형태의 걸림홈(173a)이 연장방향을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걸쇠(177)는 외통부분(130) 외측에 승하강 안내홈(137)의 개방상태가 유지되게 돌출되게 장착된 지지 브라켓(174)에 지지되어 걸림가이드바(173)의 걸림홈(173a)에 진입 및 진퇴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브라켓(174)은 승하강 안내홈(137)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게 연장되되 상호 대향되는 면에 내측으로 인입된 슬라이딩 가이드홈(174a1)이 형성된 제1 및 제2 돌출바(174a)(174b)와, 제1 및 제2 돌출바(174a)(174b)의 종단을 상호 연결하는 마감바(174c)를 갖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쇠(177)는 지지브라켓(174)의 내부 수용공간 내에 진입될 수 있되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의 진입이 가능하게 내부가 빈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 진퇴몸체(177a)와, 진퇴몸체(177a)의 승하강 안내홈(137)과 대향되는 후면에 걸림 가이드바(173)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걸림홈(173a)에 진입되는 걸림편(177b)과, 진퇴몸체(177a)의 전면에 돌출된 지지핀(177c)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스프링(178)은 걸쇠(177)의 걸림편(177b)이 걸림홈(173a)에 진입되게 걸쇠(177)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지지핀(177c) 외측에 삽입되어 마감바(174c) 내측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확개거치고리(160)를 비닐봉지를 끼우거나 이전에 끼워진 비닐봉지(10)를 분리하기 위해 상승시키고자 하는 경우 걸쇠(177)의 걸림편(177b)이 걸림가이드바(173)에 대해 분리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고정력이 해제되고, 확개거치고리(160)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며, 승하강 조작레버(171)를 상방으로 조작하여 상승을 보다 원할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비닐봉지(10)를 확개거치고리(160)의 호형부분(161)에 걸쳐지게 한 다음 호형부분(161)을 하강시켜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걸쇠(177)의 걸림편(177b)이 걸림가이드바(173)에 대해 분리되게 유지한 상태에서 승하강 조작레버(171)를 하방으로 조작한 다음 걸쇠(177)에 인가되는 조작력을 해제시키면 걸쇠(177)가 걸림가이드바(173)에 진입되게 확개거리고리(160)가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뚜껑(180)은 본체(110)의 수용공간(122)을 상부에서 개폐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본체(110)에 대해 메인힌지(181)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뚜껑(180)은 본체(110)를 에워싸 덮을 수 있게 본체(110) 보다 확장된 내경을 갖게 모자 형상으로 형성된 커버부분(182)과, 커버부분(182)이 중앙에서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커버부분(182)의 중앙에 형성된 투입구를 개폐하는 회동개폐판(184)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회동개폐판(184)의 저부 중앙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외력이 인가되지 않을 때는 투입구를 폐쇄하는 위치로 복귀되게 무게중심을 형성하도록 된 오뚜기 추부분(186)이 형성되어 있다.
뚜껑(180)은 사용자의 발 조작에 의해 개폐할 수 있게 뚜껑개폐조작부가 마련되어 있다.
뚜껑개폐조작부는 풋레버(194), 연동기구(196)를 구비한다.
풋레버(194)는 본체(110)의 하부에서 본체(110)에 지지되는 시소힌지(192)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시소운동 가능하게 판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사용자의 발이 밟히는 조작부분(194a)은 본체(110)의 하부에 사각형상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하부 개방구(1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연장되어 있다.
풋레버(194)를 시소힌지(192)에 대해 뚜껑(180)이 열리도록 일측이 하강되게 조작한 상태에서 하강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부 개방부(112)의 하부에는 풋레버(194)의 조작부분(194a)이 수평방향으로 좌측으로 이동시 진입되어 상방으로의 회동은 차단되게 수평상으로 확장되게 형성된 고정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풋레버(194)의 조작부분(194a)는 수평상으로 고정홈(113)내로 입출될 수 있게 시소힌지(192)에 대해 좌우 이동이 가능한 유격을 갖게 구축하면 된다.
여기서, 고정홈(113)은 뚜껑(180)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 및 해제할 수 있도록 풋레버(194)를 하강상태로 고정 및 고정해제시킬 수 있는 고정 조정부로서 적용된 것이다.
연동기구(196)는 풋레버(194)의 하방으로의 누름 조작에 따라 뚜껑(180)을 상방으로 연동되게 회동시켜 개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연동기구(196)는 풋레버(194)의 조작부분(194a) 반대편과 힌지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링크(196a)와, 수직링크(196a)의 상단과 힌지결합되어 뚜껑(180)의 내측면과 결합되어 메인힌지(181)를 회전중심으로하여 뚜껑(180)과 함께 회동되는 회동아암링크(196b)로 되어 있다.
한편, 호형부분(16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봉지(10)의 상단을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하방으로 뒤집는 형태로 거치 준비작업을 한 상태에서 호형부분(161)에 끼우는 방식 이외에도 거치를 지원할 수 있게 구축될 수 있고 그 예를 도 7 및 도 8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호형부분(161) 중 일부는 화살촉 형태로 형성된 꼬챙이 부분(161c)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호형부분(161)을 연장방향을 따라 구분하면, 제1수평부분(161a)과, 제1경사부분(161b)과, 꼬챙이부분(161c)과, 제2경사부분(161d)과, 제2수평부분(161e)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제1수평부분(161a)은 연결부분(163)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이며, 제1경사부분(161b)는 제1수평부분(161a)의 종단에서 제1수평부분(161a)보다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면서 제1수평부분(161a)보다 멀어지게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부분이다. 꼬챙이부분(161c)은 제1경사부분(161b)의 종단에 일단이 결합되게 형성되되 첨두가 뽀쪽한 화살촉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이며, 첨두의 높이는 제1 및 제2수평부분(161a)(161e)보다 약간 낮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경사부분(161d)은 꼬챙이부분(161c)의 타단에서 꼬챙이부분(161c)으로부터 멀어지게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이며, 제2수평부분(161e)은 제2경사부분(161d)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인접된 연결부분(163)과 접속된 부분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비닐봉지(10)의 날개부분을 꼬챙이부분(161a)에 꽂아 지지시킬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부분(161) 중 일부는 비닐봉지(10)를 말아 끼워 지지시킬 수 있게 끼움링부분(161g)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호형부분(161)을 연장방향을 따라 구분하면, 제1수평부분(161a)과, 끼움링부분(161g)과, 제2수평부분(161e)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제1수평부분(161a)은 연결부분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이며, 끼움링부분(161g)은 제1수평부분(161a)의 종단에서 일단이 결합되며 제1수평부분(161a)보다 높이가 낮으면서 비닐봉지(10)의 일부를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게 상부가 열린 원형의 끼움홈을 갖는 구조로 된 부분이며, 제2수평부분(161e)은 끼움링부분(161g)의 타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인접된 연결부분과 접속된 부분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비닐봉지910)의 날개를 말아 끼움링부분(161g)에 끼워 지지되게 거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쓰레기통에 의하면, 쓰레기 투입이 가능하게 비닐봉지를 거치하고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110: 본체 150: 걸이구 유니트
152: 승하강 링 160: 확개거리고리
170: 위치조정부 180: 뚜껑

Claims (7)

  1. 삭제
  2. 내부에 비닐봉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으며 상부가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로부터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노출되어 돌출되게 설치되되 하방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하강시 외경이 축소되게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본체 내로 진입되며 비닐봉지의 거치가 가능하게 형성된 걸이구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비닐봉지를 수용할 수 있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통부분과;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가 개방되게 상기 내통부분을 에워싸면서 상기 내통부분을 수용할 수 있게 상기 내통부분의 외측에 결합되되 상기 내통부분과의 사이에 상기 걸이구 유니트의 일부가 승하강될 수 있는 승하강 허용 공간을 갖게 형성된 외통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걸이구 유니트는
    상기 외통부분과 상기 내통부분의 승하강 공간 내에 장착되어 상기 내통부분의 외측면을 따라 승하강 되게 폐궤도 형상으로 형성된 승하강 링과;
    상기 승하강 링에 결합되어 상기 외통부분 상면 상부에 노출되게 연장되되 상기 외통부분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길어지게 상승시에는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외통부분의 상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하강시에는 외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비닐봉지의 거치가 가능하게 형성된 확개거리고리와;
    상기 승하강 링을 사용자가 외통부분 외측에서 조작하여 승하강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위치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개 거치고리는
    상기 외통부분의 상면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호형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호형부분과, 인접된 상기 호형부분들의 양단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통부분의 상면에 상기 승하강 허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인입안내홈을 따라 상기 승하강 허용공간 내로 진입되어 상기 승하강링에 결합되는 연결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승하강링은 상기 연결부분의 하단을 고정되게 결합하는 걸이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4. 내부에 비닐봉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으며 상부가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로부터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노출되어 돌출되게 설치되되 하방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하강시 외경이 축소되게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본체 내로 진입되며 비닐봉지의 거치가 가능하게 형성된 걸이구 유니트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을 개폐할 수 있게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뚜껑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시소힌지를 통해 시소운동가능 마련된 풋레버와;
    상기 풋레버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상기 뚜껑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된 연동기구와;
    상기 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풋레버를 하강상태로 고정 및 고정해제시킬 수 있는 고정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부는
    상기 승하강링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외통부분에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된 승하강 안내홈 외측에 노출되게 연장되게 형성된 승하강 조작레버와;
    상기 승하강링에 일단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되 걸림홈이 연장방향을 다수개 형성된 걸림가이드바와;
    상기 외통부분 외측에 장착된 지지 브라켓에 지지되어 상기 걸림가이드바의 걸림홈에 진입 및 진퇴될 수 있게 장착된 걸쇠와;
    상기 걸쇠가 상기 걸림홈에 진입되게 상기 걸쇠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부분은 상기 연결부분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1수평부분과, 상기 제1수평부분의 종단에서 상기 제1수평부분보다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면서 상기 제1수평부분보다 멀어지게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1경사부분과, 상기 제1경사부분의 종단에 일단이 결합되게 형성되되 첨두가 뽀쪽한 화살촉 형상으로 형성된 꼬챙이부분과, 상기 꼬챙이부분의 타단에서 상기 꼬챙이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상방으로 연장된 제2경사부분과, 상기 제2경사부분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인접된 연결부분과 접속된 제2수평부분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부분은 상기 연결부분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1수평부분과, 상기 제1수평부분의 종단에서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제1수평부분보다 높이가 낮으면서 비닐봉지의 일부를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게 상부가 열린 끼움홈을 갖는 끼움링부분과, 상기 끼움링부분의 타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인접된 연결부분과 접속된 제2수평부분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KR1020190040115A 2019-04-05 2019-04-05 쓰레기통 KR102179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115A KR102179782B1 (ko) 2019-04-05 2019-04-05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115A KR102179782B1 (ko) 2019-04-05 2019-04-05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310A KR20200118310A (ko) 2020-10-15
KR102179782B1 true KR102179782B1 (ko) 2020-11-18

Family

ID=72882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115A KR102179782B1 (ko) 2019-04-05 2019-04-05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7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380B1 (ko) 2021-04-15 2021-09-08 김용철 사용성이 향상된 하향 개폐식 쓰레기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045B1 (ko) * 2020-12-17 2022-05-03 정영빈 개폐 메커니즘 및 이를 구비하는 쓰레기통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6709B2 (ja) * 1994-08-30 2003-02-10 レック株式会社 トイレ用ゴミ入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6709B2 (ja) * 1994-08-30 2003-02-10 レック株式会社 トイレ用ゴミ入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380B1 (ko) 2021-04-15 2021-09-08 김용철 사용성이 향상된 하향 개폐식 쓰레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310A (ko)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0189B2 (en) Trash collector
KR102179782B1 (ko) 쓰레기통
CA1313355C (en) Step-on wastebasket
US8074833B2 (en) Trash can assembly with locking lid
EP0541688B1 (en) Pedal bin with lid
US5170904A (en) Trash can
US10046911B2 (en) Locking device for a container
US6000569A (en) Pedal type dustbin structure
US5147055A (en) Diaper container
CN1328514A (zh) 用于输送液体的可折叠式容器
CA2521412A1 (en) Litter bin
US4445619A (en) Pedal bin
US3799430A (en) Storage receptacle
US20130105488A1 (en) Step garbage can with damper
US9738443B2 (en) Vented trash receptacle
EP0354032A2 (en) Step-on wastebasket
US6959858B2 (en) Mail receptacle
AU2020201968A1 (en) Lock device for a waste receiving device and waste receiving device with such a lock device
EP0891736A1 (en) Basket handle for deep fryer
WO2004101399A1 (en) A refuse bin including a compacting mechanism
JPH11171485A (ja) 車両整備用リフト
JP3049256B2 (ja) 分別用押し出し投入口扉による連動開閉ゴミ箱の蓋
FR2579187A1 (fr) Dispositif automatique de verrouillage/deverrouillage de la trappe de vidange d'une tremie et conteneur equipe d'un tel dispositif
KR19980046868U (ko) 족답식 쓰레기통의 뚜껑 개폐장치
EP0252192A1 (en) An improved structure for single-hand-operating umbrell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