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764B1 - 구조물 진동 모니터링 카메라 영상의 진동 시인성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방법 - Google Patents

구조물 진동 모니터링 카메라 영상의 진동 시인성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764B1
KR102179764B1 KR1020190151840A KR20190151840A KR102179764B1 KR 102179764 B1 KR102179764 B1 KR 102179764B1 KR 1020190151840 A KR1020190151840 A KR 1020190151840A KR 20190151840 A KR20190151840 A KR 20190151840A KR 102179764 B1 KR102179764 B1 KR 102179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bration
virtual
expansion
chang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기성
전형섭
김세오
채경선
신경욱
이건희
정도영
박재석
Original Assignee
세안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안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안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1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1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the whole image or par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 진동 모니터링 카메라 영상의 진동 시인성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카메라를 통해 쵤영되어 획득되는 영상들을 실시간 순차적으로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비교영상 간의 진동변위가 발생되었을 때 그 진동변위를 가상으로 설정된 배수만큼 확장하여 보여줌으로서 영상의 모니터링만으로 관계자가 구조물의 미세진동여부를 시각적으로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하는 하는 동시에 미세진동이 발생된 시간구간의 영상에 대한 선등록발명에 따른 방법을 즉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미세진동이 발생되었을 때, 발생된 진동변위에 대한 확장횟수 값을 설정하는 확장횟수 값 설정단계와; 카메라를 통해 구조물을 연속 촬영한 연속 영상을 취득하는 연속 영상 취득단계와; 상기 연속 영상 취득 단계를 통해 2개 이상의 영상이 취득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취득된 영상이 2개 미만이라면 상기 연속 영상 취득 단계로 리턴하는 취득 영상 개수 확인단계와; 상기 취득 영상 개수 확인단계에서, 만약 취득된 영상이 2개 이상이라면, 후취득영상인 현재영상과 선취득영상인 이전영상을 비교하는 영상비교단계와; 상기 영상비교단게에서의 영상 간 비교결과, 진동변위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영상 간에 진동변위가 없다면, 상기 연속 영상 취득 단계로 리턴하는 진동변위 발생 확인단계와; 상기 진동변위 발생 확인단계에서, 만약 진동변위가 있다면, 발생된 진동변위에 해당되는 진동변위 값을 연산하고, 연산된 진동변위 값에 해당되는 가상 진동변위 값을 생성하는 가상 진동변위 값 생성단계와; 상기 가상 진동변위 값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가상 진동변위 값의 진동변위를 갖는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 생성단계와; 상기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 생성단계에서 생성되고 저장된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가 상기 확장횟수 값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확장횟수 값에 도달된 것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확장횟수 값에 도달된 것이 아니라면, 상기 가상 진동변위 값 생성단계로 리턴하는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의 확장 배수 확인단계와; 상기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의 확장 배수 확인단계에서, 만약 생성된 가상 진동변위가 설정된 확장횟수 값에 도달하였다면, 상기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 생성단계에서 생성되고 저장된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를 가상 확장 이미지로 결정하고 저장하는 가상 확장 이미지 결정단계와; 상기 가상 확장 이미지 결정단계에서 결정되고 저장된 가상 확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가상 확장 이미지 디스플레이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조물 진동 모니터링 카메라 영상의 진동 시인성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방법{An image processing method for improving vibration perception on vibration monitoring camera image}
본 발명은 구조물 진동 모니터링 카메라 영상의 진동 시인성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 진동 모니터링을 위한 카메라 영상의 현재영상과 이전영상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진동변위가 발생되었다면 그 진동변위를 가상으로 설정배수만큼 확장시킨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영상을 통한 시각적 인지가 불가능한 구조물의 미세진동발생을 시각적으로 즉시 인지하여 해당 구조물에 대한 정밀한 진동분석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 진동 모니터링 카메라 영상의 진동 시인성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교량, 터널, 배관 등과 같이 진동이 발생되는 구조물에 대한 진동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가속도계, 레이저 측정기나 변위센서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가속도계, 레이저 측정기, 변위센서 등을 측정대상 구조물에 설치하고, 설치된 장치를 통해 구조물의 진동을 측정함으로써, 구조물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나 원자력 발전소 등과 같이 고온 및 방사능 구역에서는 일반적인 건물의 구조물과는 달리, 고열로 인한 접근불가 및 피폭의 우려로 인해 가속도계, 레이저 측정기 및 변위센서 등의 장치를 구조물에 설치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하였으며, 그 결과로써, 2013년 03월 20일자에 한국 특허청에 특허출원 제10-2013-0029742호로 출원하고, 2013년 07월 03일자에 한국등록특허 제10-1284034호(이하, '선등록발명'이라 함)로 특허등록된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미세진동 측정밥법"로 명명된 선등록발명을 개발하였다.
본 출원인의 선등록발명은 센서 등을 구조물에 직접 부착하지 않고서도 구조물을 원거리에서 구조물의 미세진동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구조물의 이상 유무를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센서 등으로는 측정이 불가능한 거대 크기를 갖는 구조물에 미세진동도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본 출원인의 선등록발명은 카메라로 촬영하여 획득된 영상을 사후에 분석하여 미세진동의 발생을 파악하고 발생된 미세진동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며, 구조물의 미세진동은 매우 작은 진동변위로 발생됨으로 관계자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미세진동발생 여부를 인지할 수 없어 사실상 구조물의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등록발명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카메라를 통해 쵤영되어 획득되는 영상들을 실시간 순차적으로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비교영상 간의 진동변위가 발생되었을 때 그 진동변위를 가상으로 설정된 배수만큼 확장하여 보여줌으로서 영상의 모니터링만으로 관계자가 구조물의 미세진동여부를 시각적으로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하는 하는 동시에 미세진동이 발생된 시간구간의 영상에 대한 선등록발명에 따른 방법을 즉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 진동 모니터링 카메라 영상의 진동 시인성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세진동이 발생되었을 때, 발생된 진동변위에 대한 확장횟수 값을 설정하는 확장횟수 값 설정단계와; 카메라를 통해 구조물을 연속 촬영한 연속 영상을 취득하는 연속 영상 취득단계와; 상기 연속 영상 취득 단계를 통해 2개의 영상이 취득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취득된 영상이 2개 미만이라면 상기 연속 영상 취득 단계로 리턴하는 취득 영상 개수 확인단계와; 상기 취득 영상 개수 확인단계에서, 만약 취득된 영상이 2개라면, 후취득영상인 현재영상과 선취득영상인 이전영상을 비교하여 영상 간에 진동변위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영상 간에 진동변위가 없다면, 상기 연속 영상 취득 단계로 리턴하는 진동변위 발생 확인단계와; 상기 진동변위 발생 확인단계에서, 만약 진동변위가 있다면, 발생된 진동변위에 해당되는 진동변위 값을 연산하고, 연산된 진동변위 값에 해당되는 가상 진동변위 값을 생성하는 가상 진동변위 값 생성단계와; 상기 가상 진동변위 값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가상 진동변위 값의 진동변위를 갖는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 생성단계와; 상기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 생성단계에서 생성되고 저장된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가 상기 확장횟수 값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확장횟수 값에 도달된 것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확장횟수 값에 도달된 것이 아니라면, 상기 가상 진동변위 값 생성단계로 리턴하는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의 확장 배수 확인단계와; 상기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의 확장 배수 확인단계에서, 만약 생성된 가상 진동변위가 설정된 확장횟수 값에 도달하였다면, 상기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 생성단계에서 생성되고 저장된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를 가상 확장 이미지로 결정하고 저장하는 가상 확장 이미지 결정단계와; 상기 가상 확장 이미지 결정단계에서 결정되고 저장된 가상 확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가상 확장 이미지 디스플레이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진동 모니터링 카메라 영상의 진동 시인성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진동 모니터링 카메라 영상의 진동 시인성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취득되는 연속 영상 내의 진동변위를 유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진동변위가 있을 때 이를 시각적으로 확장하여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시각으로 확인될 수 없는 미세진동도 충분한 시각적 확장을 통해 구조물의 미세진동에 대한 시인성을 현저히 향상시켜 발생된 구조물의 미세진동에 대한 정밀분석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물 안전에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진동 모니터링 카메라 영상의 진동 시인성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방법의 구성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진동 모니터링 카메라 영상의 진동 시인성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방법 중 가상 진동변위 값을 생성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진동 모니터링 카메라 영상의 진동 시인성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방법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며 그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진동 모니터링 카메라 영상의 진동 시인성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쵤영된 연속영상에서 현재형상(C1~n)과 이전영상(R1~n)을 연속적으로 취득하여 비교하여 진동변위의 유무를 확인하고, 진동유무가 발견되었을 때 비교 영상 간의 개략적인 진동변위 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개략적인 진동변위 값을 임의로 설정된 횟수 만큼 확장시킨 가상 진동변위 값으로 가상 확장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시각적으로 확인되지 않는 구조물의 미세진동도 관찰자가 충분히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구조물에 대한 정밀한 안전분석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확장횟수 값 설정단계(S100)와, 연속 영상 취득단계(S200)와, 취득 영상 개수 확인단계(S300)와, 영상비교단계(S400)와, 진동변위 발생 확인단계(S400-1)와, 가상 진동변화 값 생성단계(S500)와,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 생성단계(S600)와,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의 확장 배수 확인단계(S700)와, 가상 확장 이미지 결정단계(S800)와, 가상 확장 이미지 디스플레이단계(S900)로 구성된다.
상기 확장횟수 값 설정단계(S100)는 미세진동이 발생되었을 때, 발생된 진동변위에 대한 확장횟수 값을 설정한다.
상기 연속 영상 취득단계(S200)는 카메라를 통해 구조물을 연속 촬영한 연속 영상을 취득한다.
상기 취득 영상 개수 확인단계(S300)는 상기 연속 영상 취득 단계(S200)를 통해 2개 이상의 영상이 취득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취득된 영상이 2개 미만이라면 상기 연속 영상 취득 단계(S200)로 리턴된다.
상기 영상비교단계(S400)는 상기 취득 영상 개수 확인단계(S300)에서, 만약 취득된 영상이 2개 이상이라면, 후취득영상인 현재영상(C1~n)과 선취득영상인 이전영상(R1~n)을 비교한다.
상기 진동변위 발생 확인단계(S400-1)는 상기 영상비교단계(S400)에서의 비교결과, 진동변위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영상 간에 진동변위가 없다면, 상기 연속 영상 취득 단계(S200)로 리턴한다.
상기 가상 진동변화 값 생성단계(S500)는 상기 진동변위 발생 확인단계(S400-1)에서, 만약 진동변위가 있다면, 발생된 진동변위에 해당되는 진동변화 값(d1~n)을 연산하고, 연산된 진동변화 값(d1~n)에 해당되는 가상 진동변화 값(vd1~n)을 생성한다.
상기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 생성단계(S600)는 상기 가상 진동변화 값 생성단계(S500)에서 생성된 가상 진동변화 값(vd1~n)의 진동변위를 갖는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SG1~n)을 생성하고 저장한다.
상기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의 확장 배수 확인단계(S700)는 상기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 생성단계(S600)에서 생성되고 저장된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SG-n)가 상기 확장횟수 값 설정단계(S100)에서 설정된 확장횟수 값에 도달된 것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확장횟수 값에 도달된 것이 아니라면, 상기 가상 진동변위 값 생성단계(S500)로 리턴한다.
상기 가상 확장 이미지 결정단계(S800)는 상기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의 확장 배수 확인단계(S700)에서, 만약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SG1~n)가 설정된 확장횟수 값에 도달된 것이라면, 상기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 생성단계(S600)에서 생성되고 저장된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SG1~n)를 가상 확장 이미지(G)로 결정하고 저장한다.
상기 가상 확장 이미지 디스플레이단계(S900)는 상기 가상 확장 이미지 결정단계(S800)에서 결정되고 저장된 가상 확장 이미지(G)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확장횟수 값 설정단계(S100)은 확장횟수 값을 1 내지 n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확장횟수 값 1 내지 n 중 1 인 경우에 대하여;
상기 영상비교단계(S400)는 확장횟수 값이 1 인 경우, 상기 연속 영상 취득단계(S200)에서 취득된 연속영상 중 선취득된 이전영상(R1)과 후취득된 현재영상(C1)을 비교하고, 상기 가상 진동변화 값 생성단계(S500)는 상기 영상비교단계(S400)에서의 영상 간 비교결과 진동변위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을 때, 확인된 진동변위에 해당되는 진동변화 값(d1)를 연산하고, 연산된 진동변화 값(d1)을 상기 현재영상(C1)의 진동변화 값(d)에 가산하여 가상 진동변화 값(vd1)을 생성하며, 상기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 생성단계(S600)는 확장횟수 값이 1인 경우의 상기 가상 진동변화 값 생성단계(S500)에서 생성된 가상 진동변화 값(vd1)의 진동변위를 갖는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SG1)를 생성하고 저장한다.
상기 확장횟수 값 1 내지 n 중 2 인 경우에 대하여;
상기 영상비교단계(S400)는 확장횟수 값 1에서 사용된 현재영상(C1)을 이전영상(R2)로 취하고, 확장횟수 값 1에 의해서 생성된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SG1)를 현재영상(C2)으로 취하여 비교하고, 상기 가상 진동변위 값 생성단계(S500)는 확장횟수 값이 2인 경우의 상기 영상비교단계(S400)에서의 영상 간 비교결과 진동변위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을 때, 확인된 진동변위에 해당되는 진동변화 값(d2)를 연산하고, 연산된 진동변화 값(d2)을 상기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SG1)의 가상 진동변화 값(vd1)에 가산하여 가상 진동변화 값(vd2)을 생성하며, 상기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 생성단계(S600)는 확장횟수 값이 2인 경우의 상기 가상 진동변화 값 생성단계(S500)에서 생성된 가상 진동변화 값(vd2)의 진동변위를 갖는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SG2)를 생성하고 저장한다.
상기 확장횟수 값 1 내지 n 중 3 내지 n 인 경우에 대하여;
상기 영상비교단계(S400)는 1~n 확장횟수 값에서 생성된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SG1~n)를 이전영상(R3~n)으로 취하고, 2~n 확장횟수 값에서 생성된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SG2~n)를 현재영상(C3~n)으로 취하는 방식으로 현재영상(C3~n) 및 이전영상(R3~n)을 취하여 비교하고, 상기 가상 진동변화 값 생성단계(S500)는 확장배수 값이 3 또는 그 이상인 각각의 경우의 상기 영상비교단계(S400)에서의 영상 간 비교결과 진동변위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을 때, 확인된 진동변위에 해당되는 진동변화 값(d3~n)를 연산하고, 연산된 진동변화 값(d3~n)을 상기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SG2~n)의 진동변화 값(vd2~n)에 가산하여 가상 진동변화 값(vd-3~n)을 생성하며, 상기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 생성단계(S600)는 확장배수 값이 3 또는 그 이상인 각가의 경우의 상기 가상 진동변화 값 생성단계(S500)에서 생성된 가상 진동변화 값(vd3~n)의 진동변위를 갖는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SG3~n))를 생성하고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진동 모니터링 카메라 영상의 진동 시인성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방법은 연속영상 상의 진동변위를 가상으로 확장시켜 관라자의 시각으로 미세진동을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물의 진동에 대한 정밀한 측정 등과 같은 일련의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S100: 확장횟수 값 설정단계 S200: 연속 영상 취득단계
S300: 취득 영상 개수 확인단계 S400: 영상비교단계
S400-1: 진동변위 발생 확인단계
S500: 가상 진동변위 값 생성단계
S600: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 생성단계
S700: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의 확장 배수 확인단계
S800: 가상 확장 이미지 결정단계
S900: 가상 확장 이미지 디스플레이단계

Claims (3)

  1. 구조물 진동 모니터링 카메라 영상의 진동 시인성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미세진동이 발생되었을 때, 발생된 진동변위에 대한 확장횟수 값을 설정하는 확장횟수 값 설정단계(S100)와;
    카메라를 통해 구조물을 연속 촬영한 연속 영상을 취득하는 연속 영상 취득단계(S200)와;
    상기 연속 영상 취득 단계(S200)를 통해 2개 이상의 영상이 취득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취득된 영상이 2개 미만이라면 상기 연속 영상 취득 단계(S200)로 리턴하는 취득 영상 개수 확인단계(S300)와;
    상기 취득 영상 개수 확인단계(S300)에서, 만약 취득된 영상이 2개 이상이라면, 후취득영상인 현재영상(C1~n)과 선취득영상인 이전영상(R1~n)을 비교하는 것으로써, 확장횟수 값이 2인 경우, 확장횟수 값 1에서 사용된 현재영상(C1)을 이전영상(R2)로 취하고, 확장횟수 값 1에 의해서 생성된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SG1)를 현재영상(C2)으로 취하여 현재영상(C2)과 이전영상(R2)을 비교하고, 확장횟수 값이 3 또는 그 이상인 경우, 1~n 확장횟수 값에서 생성된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SG1~n)를 이전영상(R3~n)으로 취하고, 2~n 확장횟수 값에서 생성된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SG2~n)를 현재영상(C3~n)으로 취하는 방식으로 현재영상(C3~n) 및 이전영상(R3~n)를 비교하는 영상비교단계(S400)와;
    상기 영상비교단계(S400)에서의 비교결과, 진동변위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영상 간에 진동변위가 없다면, 상기 연속 영상 취득 단계(S200)로 리턴하는 진동변위 발생 확인단계(S400-1)와;
    상기 진동변위 발생 확인단계(S400-1)에서, 만약 진동변위가 있다면, 발생된 진동변위에 해당되는 진동변화 값(d1~n)을 연산하고, 연산된 진동변화 값(d1~n)에 해당되는 가상 진동변화 값(vd1~n)을 생성하는 것으로써, 확장횟수 값이 2인 경우의 진동변위 발생 확인단계(S400-1)에서 확인된 진동변위에 해당되는 진동변화 값(d2)를 연산하고, 연산된 진동변화 값(d2)을 상기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SG1)의 가상 진동변화 값(vd1)에 가산하여 가상 진동변화 값(vd2)을 생성하고, 확장배수 값이 3 또는 그 이상인 각각의 경우의 상기 진동변위 발생 확인단계(S400-1)에서 확인된 진동변위에 해당되는 진동변화 값(d3~n)를 연산하고, 연산된 진동변화 값(d3~n)을 상기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SG2~n)의 진동변화 값(vd2~n)에 가산하여 가상 진동변화 값(vd-3~n)을 생성하는 가상 진동변화 값 생성단계(S500)와;
    상기 가상 진동변화 값 생성단계(S500)에서 생성된 가상 진동변화 값(vd1~n)의 진동변위를 갖는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SG1~n)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것으로써, 확장횟수 값이 2인 경우의 상기 가상 진동변화 값 생성단계(S500)에서 생성된 가상 진동변화 값(vd2)의 진동변위를 갖는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SG2)를 생성하고 저장하며, 확장배수 값이 3 또는 그 이상인 각각의 경우의 상기 가상 진동변화 값 생성단계(S500)에서 생성된 가상 진동변화 값(vd3~n)의 진동변위를 갖는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SG3~n))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 생성단계(S600)와;
    상기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 생성단계(S600)에서 생성되고 저장된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SG1~n)가 상기 확장횟수 값 설정단계(S100)에서 설정된 확장횟수 값에 도달된 것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확장횟수 값에 도달된 것이 아니라면, 상기 영상비교단계(S400)로 리턴하는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의 확장 배수 확인단계(S700)와;
    상기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의 확장 배수 확인단계(S700)에서, 만약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SG1~n)가 설정된 확장횟수 값에 도달된 것이라면, 상기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 생성단계(S600)에서 생성되고 저장된 예비 가상 확장 이미지(SG1~n)를 가상 확장 이미지(G)로 결정하고 저장하는 가상 확장 이미지 결정단계(S800)와;
    상기 가상 확장 이미지 결정단계(S800)에서 결정되고 저장된 가상 확장 이미지(G)를 디스플레이하는 가상 확장 이미지 디스플레이단계(S9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진동 모니터링 카메라 영상의 진동 시인성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90151840A 2019-11-25 2019-11-25 구조물 진동 모니터링 카메라 영상의 진동 시인성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방법 KR102179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840A KR102179764B1 (ko) 2019-11-25 2019-11-25 구조물 진동 모니터링 카메라 영상의 진동 시인성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840A KR102179764B1 (ko) 2019-11-25 2019-11-25 구조물 진동 모니터링 카메라 영상의 진동 시인성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764B1 true KR102179764B1 (ko) 2020-11-17

Family

ID=73642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840A KR102179764B1 (ko) 2019-11-25 2019-11-25 구조물 진동 모니터링 카메라 영상의 진동 시인성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7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7379A (ko) * 2011-12-29 2013-07-09 삼성영상보안주식회사 영상변화율 가중치를 적용한 다중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84034B1 (ko) * 2013-03-20 2013-07-09 세안기술 주식회사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미세진동 측정방법
KR20160002458A (ko) * 2014-06-30 2016-01-08 세안기술 주식회사 카메라 이미지를 이용한 진동변위 측정 시 측정대상체에 대한 영상취득방법 및 그 영상촬영보조장치
JP5911227B2 (ja) * 2011-07-12 2016-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判定装置、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96629B1 (ko) * 2015-07-10 2017-01-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조물 변형 모니터링을 이용한 붕괴 경고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1227B2 (ja) * 2011-07-12 2016-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判定装置、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77379A (ko) * 2011-12-29 2013-07-09 삼성영상보안주식회사 영상변화율 가중치를 적용한 다중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84034B1 (ko) * 2013-03-20 2013-07-09 세안기술 주식회사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미세진동 측정방법
KR20160002458A (ko) * 2014-06-30 2016-01-08 세안기술 주식회사 카메라 이미지를 이용한 진동변위 측정 시 측정대상체에 대한 영상취득방법 및 그 영상촬영보조장치
KR101696629B1 (ko) * 2015-07-10 2017-01-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조물 변형 모니터링을 이용한 붕괴 경고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7765B2 (ja) 計測方法および計測プログラムならびに計測装置
KR101309443B1 (ko) 모션 캡처를 이용한 구조물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696629B1 (ko) 구조물 변형 모니터링을 이용한 붕괴 경고 시스템 및 그 방법
JP6296245B2 (ja) 漏洩判定方法、漏洩判定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e et al. 3-D measurement of structural vibration using digital close-range photogrammetry
WO20130199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full field three-dimensional displacement and strain measurements
CN103821126A (zh) 一种基坑三维变形的监测方法
Farahani et al. A railway tunnel structural monitoring methodology proposal for predictive maintenance
KR101479968B1 (ko) 영상 처리 기반의 풍동 내 동적 하중 계측 방법 및 시스템
KR101284034B1 (ko)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미세진동 측정방법
KR102179764B1 (ko) 구조물 진동 모니터링 카메라 영상의 진동 시인성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방법
JP2002132341A (ja) 現場点検装置
KR100935898B1 (ko) 자동 변위 검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사면 유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Oats et al. Digital image correlation advances in structural evaluation applications: a review
JP2013221801A (ja) 三次元変位計測方法とその装置
JP2009210489A (ja) 振動計測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596504B2 (ja) 高温配管の応力測定方法、測定部材
Franceschini et al. Multivariate control charts for monitoring internal camera parameters in digital photogrammetry for LSDM (Large-Scale Dimensional Metrology) applications
KR102285615B1 (ko) 구조물 진동 모니터링 카메라 영상의 진동 시인성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방법
KR101437920B1 (ko) 카메라 이미지를 이용한 진동변위 측정 시 카메라 흔들림 보정방법
Kim et al. A leak detection and 3D source localization method on a plant piping system by using multiple cameras
CN205300519U (zh) 铁塔变形测量装置
CN114738681A (zh) 一种检测深埋管道泄露事故位置的方法及装置
KR102039902B1 (ko) 원격 기자재 정도 검사 시스템 및 방법
JP2019066368A (ja) 構造物の変位検出システムおよび構造物の変位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