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700B1 - 모터 유동 저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모터 유동 저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700B1
KR102179700B1 KR1020190162939A KR20190162939A KR102179700B1 KR 102179700 B1 KR102179700 B1 KR 102179700B1 KR 1020190162939 A KR1020190162939 A KR 1020190162939A KR 20190162939 A KR20190162939 A KR 20190162939A KR 102179700 B1 KR102179700 B1 KR 102179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motor
bending
flat plate
flow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90162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7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통홀이 형성된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의 마주보는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축방향 유동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방향 유동 방지부는, 상기 평판부의 측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만곡(彎曲) 연장된 형상의 1차 만곡부 및 상기 1차 만곡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직선 밴딩부를 포함하는 모터 유동 저감 부재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 소재와 무관하게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고, 조립 시 또는 외부 진동에 의한 유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 유동 저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MEMBER FOR REDUCING A VIBRATION OF A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터가 작동함에 의해 발생하는 유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부재 및 그것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다른 부품을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많이 사용된다.
자동차 부품의 예로서, 전자식 스로틀 밸브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의 신호를 받은 DC 모터의 구동력으로 밸브를 회전시켜 개도량을 조절하고, 정확하고 신속한 제어를 위해 TPS(Throttle Position Sensor)를 이용하여 밸브의 개도량을 ECU에 전송한다. 이 때 TPS는 밸브 끝단에 설치된 자석의 자계 변화를 검출하여 각도 변화를 감지한다.
이와 같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는 모터 샤프트의 회전력을 밸브에 전달하여 밸브를 동작시키는데, 구동 모터는 회전력에 의해서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진동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 같은 진동을 저감시키고 모터를 지지하기 위한 선행 기술은 일본등록특허공보 4,206,920호 등이 있다.
상기한 선행 기술은 하우징과 구동 모터 사이에 하나의 판형 탄성 부재에 복수의 조부를 형성하여 구동 모터의 축방향 유동을 감쇠한다.
즉, 판형 스프링이 구동 모터에 고정되고, 압축 시 하우징에 접촉하는 복수의 조부가 변형되어 탄성력을 발휘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형태는 알루미늄과 같이 크리프 변형(creep deformation)이 크지 않은 재질로 이루어진 하우징의 경우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원가 및 중량 저감 등을 목적으로 플라스틱 수지를 이용한 하우징을 적용할 경우에는 크리프 변형이 발생할 여지가 큰 한계가 있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본등록특허공보 제4,206,92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우징 소재와 무관하게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고, 조립 시 또는 외부 진동에 의한 유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모터 유동 저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모터 유동 저감 부재는, 관통홀이 형성된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의 마주보는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축방향 유동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방향 유동 방지부는, 상기 평판부의 측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만곡(彎曲) 연장된 형상의 1차 만곡부 및 상기 1차 만곡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직선 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직선 밴딩부는 상기 평판부와 예각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방향 유동 방지부는 상기 평판부의 양 측면 중 각 측면으로부터 둘 이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관통 홀 내측 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만곡(彎曲) 연장된 형상의 반경방향 유동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경방향 유동 방지부는 상기 관통 홀 중심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반경방향 유동 방지부는 복수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1차 만곡부와 상기 반경방향 유동 방지부는 상기 평판부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만곡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모터 유동 저감 부재는, 상기 축방향 유동 방지부가, 상기 직선 밴딩부 끝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만곡 연장된 형상의 2차 만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모터 유동 저감 부재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상기 축방향 유동 방지부에서 상기 2차 만곡부로부터 상기 평판부 방향으로 만곡 연장된 형상의 3차 만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모터 유동 저감 부재는, 관통홀이 형성된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의 마주보는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축방향 유동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방향 유동 방지부는, 상기 평판부의 측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만곡(彎曲) 연장된 형상의 1차 만곡부 및 상기 1차 만곡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곡선 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선 밴딩부는 상기 평판부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곡선 밴딩부의 곡률은 상기 1차 만곡부의 곡률보다 작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모터 유동 저감 부재는, 상기 축방향 유동 방지부가 상기 곡선 밴딩부 끝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만곡 연장된 형상의 2차 만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관통 홀 내측 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만곡(彎曲) 연장된 형상의 반경방향 유동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1차 만곡부와 상기 반경방향 유동 방지부는 상기 평판부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만곡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모터 유동 저감 부재는, 상기 축방향 유동 방지부가 상기 2차 만곡부로부터 상기 평판부 측 방향으로 만곡 연장된 형상의 3차 만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모터 유동 저감 부재 제조 방법은, 관통홀이 형성된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의 마주보는 양 측면의 각 측면으로부터 둘 이상으로 이격되어 연장 형성된 축방향 유동 방지부가 형성된 모터 유동 저감 부재 프리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축방향 유동 방지부의 상기 평판부 측 일 지점을 벤딩하여, 상기 평판부의 측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만곡(彎曲) 연장된 형상의 1차 만곡부 및 상기 1차 만곡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직선 밴딩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 유동 저감 부재 프리폼에는 상기 관통 홀 내측 면으로부터 복수로 이격되어 연장 형성된 반경 방향 유동 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반경 방향 유동 방지부를 일 방향으로 만곡(彎曲)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1차 만곡부와 상기 반경방향 유동 방지부는 상기 평판부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만곡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선 밴딩부의 일 지점을 벤딩하여, 상기 직선 밴딩부 끝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만곡 연장된 형상의 2차 만곡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차 만곡부의 일 지점을 벤딩하여, 상기 2차 만곡부로부터 상기 평판부 방향으로 만곡 연장된 형상의 3차 만곡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직선 밴딩부의 일 지점을 벤딩하여, 상기 직선 밴딩부를 상기 평판부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곡선 밴딩부로 변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곡선 밴딩부의 곡률은 상기 1차 만곡부의 곡률보다 작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곡선 밴딩부의 일 지점을 벤딩하여, 상기 곡선 밴딩부 끝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만곡 연장된 형상의 2차 만곡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2차 만곡부의 일 지점을 벤딩하여, 상기 2차 만곡부로부터 상기 평판부 방향으로 만곡 연장된 형상의 3차 만곡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터 유동 저감 부재에 의하면, 하우징의 재질과 무관하게 모터의 축방향과 반경방향의 유동을 동시에, 그리고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가 있다.
또한, 모터가 수용되는 하우징이 플라스틱 재질인 경우에도 크리프 변형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터, 모터 유동 저감 부재와 하우징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단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모터 유동 저감 부재이며, 도 4는 도 3의 측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의한 모터 유동 저감 부재의 압축 시 해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모터 유동 저감 부재이며, 도 7은 도 6의 측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모터 유동 저감 부재이며, 도 9는 도 8의 측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모터 유동 저감 부재이며, 도 11은 도 10의 측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모터 유동 저감 부재이며, 도 13은 도 12의 측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모터 유동 저감 부재이며, 도 15는 도 14의 측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제6 실시예에 의한 모터 유동 저감 부재의 압축 시 해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반복적인 설명은 그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터, 모터 유동 저감 부재와 하우징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 단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모터 유동 저감 부재이며, 도 4는 도 3의 측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터 유동 저감 부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모터(10)는 원통형의 모터 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축을 따라 샤프트(11)가 결합되며, 샤프트(11)는 모터 하우징 일 측으로부터 돌출되고, 다른 일 측에는 모터 하우징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샤프트 지지부(12)를 관통하여 지지된다.
이러한 모터(10)는 하우징(20)에 형성된 모터 삽입 공간(21)에 삽입되고, 여기서 하우징(20)은 스로틀 밸브(Throttle valve) 등의 밸브 하우징일 수 있다.
그래서, 모터(10)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은 샤프트(11)를 회전시키고, 결과적으로 밸브 샤프트를 회전시킴으로써 밸브를 개폐 동작시키게 된다.
한편, 삽입된 모터(10)의 샤프트 지지부(12)에 대향되는 하우징(20)의 내측면에는 모터(10)의 직경보다는 작고 샤프트 지지부(12)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의 샤프트 삽입 홈(22)이 형성되어 모터(10)의 삽입 및 축방향 유동을 허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모터 유동 저감 부재(100)는 모터(10) 일 측 단부와 하우징(20)의 내벽면 간 갭(gap)에 구비됨으로써, 모터(10)의 작동에 따른 하우징(20) 내에서의 유동을 최대한 저감시키게 된다.
그리고, 모터(10)의 반경 방향의 유동시 저촉되지 않기 위해서 모터 유동 저감 부재(100)는 샤프트 지지부(12)와 폭방향 상 이격되어 저촉되지 않아야 한다.
모터 유동 저감 부재(100)는 하우징(20)에 삽입된 모터(10) 일 측 단부와 하우징(20)의 내벽면 간 갭(gap)에 구비되어, 모터(10)가 작동됨에 따른 모터(10)의 축 방향 유동을 저감시키는 탄성 복원력을 지닌 탄성 부재이다.
제1 실시예에 의한 모터 유동 저감 부재(100)는 평판부(110), 축방향 유동 방지부(120) 및 반경방향 유동 방지부(130)가 일체로 형성된다.
평판부(110)는 중앙에 샤프트(11)의 축방향 압축시 저촉되지 않기 위한 관통 홀(111)이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평판부(110)의 평면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도시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터(10)의 조립시 또는 동작시 축방향 유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축방향 유동 방지부(120)는 평판부(1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평면 형상이 사각 형상일 경우, 네 측면 중 마주보는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축방향 유동 방지부(120)는 둘 이상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시와 같이 측면 모서리로부터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평판부(110)로부터 연장되는 축방향 유동 방지부(120)는 평판부(110)의 측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만곡(彎曲)된 형상의 1차 만곡부(121)와, 1차 만곡부(121)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직선 밴딩부(122)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와 같이, 1차 만곡부(121)는 평판부(110)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직선 밴딩부(122)는 1차 만곡부(121)의 접선에 나란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평판부(110) 중앙 측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축방향 유동 방지부(120)가 구부러진 각도(c)는 평판부(110) 중앙을 기준으로 예각을 형성하게 되고, 하우징(20)과 모터(10) 간에 배치시 직선 밴딩부(122)는 모터(10)의 하우징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하고, 평판부(110)는 하우징(20) 내벽면에 접하여 지지된다.
이상의 축방향 유동 방지부(120)는 평판부(110)와 함께 평판 형태로 준비된 후, 벤딩 작업됨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반경방향 유동 방지부(130)는 관통 홀(111) 내측 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복수 형성될 수 있으며, 안정적 지지를 위해 3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 홀(111) 내측 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반경방향 유동 방지부(130)는 일 방향으로 만곡(彎曲)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관통 홀(111) 중심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반경방향 유동 방지부(130)가 연장되는 일 방향은 축방향 유동 방지부(120)가 연장되는 일 방향과 반대 방향이 된다.
즉, 도시와 같이 축방향 유동 방지부(120)가 평판부(110)를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연장되면, 반경방향 유동 방지부(130)는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반경방향 유동 방지부(130)는 샤프트 삽입 홈(22)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삽입됨으로써, 모터 유동 저감 부재(100)의 측면 유동을 제한시키고, 부재를 조립 시 중심을 잡을 수 있게 함으로써 반경 방향의 유동을 저감시키도록 한다.
도 5의 해석 결과와 같이, 제1 실시예에 의한 모터 유동 저감 부재(100)는 압축시 100-1의 형상으로 변형이 되어, 모터(10)의 축방향의 유동을 저감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5는 모터 유동 저감 부재의 축방향 유동 방지부가 변형된 응용 실시예들이며, 이하에서 각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앞서 설명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모터 유동 저감 부재(200)는 평판부(110), 축방향 유동 방지부(220) 및 반경방향 유동 방지부(1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2 실시예의 모터 유동 저감 부재(200)의 축방향 유동 방지부(220)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1차 만곡부(221) 및 직선 밴딩부(222)에 추가적으로 직선 밴딩부(222)로부터 일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의 2차 만곡부(223)로 구성된다.
2차 만곡부(223)는 직선 밴딩부(222)로부터 평판부(110) 측으로 만곡되고, 직선 밴딩부(222)를 기준으로 볼 때 오목하고 상기 평판부(110) 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을 가진다.
제1 실시예와 비교적으로 2차 만곡부(223)가 모터(10)와 접촉하므로, 모터(10)와의 마찰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다음,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모터 유동 저감 부재(300)는 평판부(110), 축방향 유동 방지부(320) 및 반경방향 유동 방지부(1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3 실시예의 모터 유동 저감 부재(300)의 축방향 유동 방지부(320)는 앞선 제1 실시예와 동일한 1차 만곡부(321)와, 1차 만곡부(121)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곡선 밴딩부(322)로 구성된다.
곡선 밴딩부(322)는 1차 만곡부(121)로부터 연장되되, 직선 밴딩부(122)와는 달리 평판부(110) 측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곡선 밴딩부(322)의 곡률(e, curvature)은 1차 만곡부(321)의 곡률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 즉, 완만하게 굴곡되어 연장 형성됨으로써, 끝단이 모터(10) 상면에 접하여 탄성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제1 실시예와 비교적으로 축방향 유동 방지부(320)의 내부 응력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다음,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모터 유동 저감 부재(400)는 평판부(110), 축방향 유동 방지부(420) 및 반경방향 유동 방지부(140)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4 실시예의 모터 유동 저감 부재(400)의 축방향 유동 방지부(420)는 앞선 제3 실시예와 동일한 1차 만곡부(421), 곡선 밴딩부(422)에 추가적으로 곡선 밴딩부(422)로부터 일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의 2차 만곡부(423)로 구성되고, 2차 만곡부(423)는 제2 실시예의 2차 만곡부(223)와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제1 실시예와 비교적으로 모터(10)와의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축방향 유동 방지부(420)의 내부 응력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다음,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모터 유동 저감 부재(500)는 평판부(110), 축방향 유동 방지부(520) 및 반경방향 유동 방지부(140)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5 실시예의 모터 유동 저감 부재(500)의 축방향 유동 방지부(520)는 앞선 제2 실시예와 동일한 1차 만곡부(521), 직선 밴딩부(522), 2차 만곡부(523)에 추가적으로 2차 만곡부(523)로부터 일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의 3차 만곡부(523)로 구성된다.
3차 만곡부(523)는 2차 만곡부(522)로부터 평판부(110) 측 방향으로 만곡되고, 평판부(110)를 기준으로 볼 때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을 가진다.
제2 실시예와 비교적으로 만곡부 추가에 의해 축방향 유동 방지부(520)의 스프링 탄성력을 높일 수가 있다.
여기서, 축방향 유동 방지부(520) 최대 압축시에도 3차 만곡부(524)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3차 만곡부(524)는 서로 일정한 간격(b)으로 이격되어야 한다.
그리고, 3차 만곡부(524) 형성시 평판부(110)와의 거리(d)는 축방향 유동 방지부(520)의 설정된 스프링 압축 높이보다 작도록 형성하여 모터 유동 저감 부재(500) 조립시 3차 만곡부(524)가 압축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모터 유동 저감 부재(600)는 평판부(110), 축방향 유동 방지부(620) 및 반경방향 유동 방지부(140)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6 실시예의 모터 유동 저감 부재(600)의 축방향 유동 방지부(620)는 앞선 제4 실시예와 동일한 1차 만곡부(621), 곡선 밴딩부(622), 2차 만곡부(623)에 추가적으로 2차 만곡부(623)로부터 일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의 3차 만곡부(624)로 구성되고, 3차 만곡부(624)는 제5 실시예의 3차 만곡부(524)와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제1 실시예와 비교적으로 모터(10)와의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축방향 유동 방지부(620)의 내부 응력을 감소시킬 수가 있고, 만곡부 추가에 의해 축방향 유동 방지부(620)의 스프링 탄성력을 높일 수가 있다.
도 16의 해석 결과와 같이, 제6 실시예에 의한 모터 유동 저감 부재(600)는 압축시 600-1의 형상으로 변형이 되어, 모터(10)의 축방향 유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저감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모터 유동 저감 부재에 의하면, 하우징의 재질과 무관하게 모터의 축방향의 유동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가 있으며, 모터가 수용되는 하우징이 플라스틱 재질인 경우에도 크리프 변형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모터
11 : 샤프트 12 : 샤프트 지지부
20 : 하우징
21 : 모터 삽입 공간 22 : 샤프트 삽입 홈
100, 200, 300, 400, 500, 600 : 모터 유동 저감 부재
110 : 평판부 111 : 관통 홀
120, 220, 320, 420, 520, 620 : 축방향 유동 방지부
121, 221, 321, 421, 521, 621 : 1차 만곡부
122, 222, 522 : 직선 밴딩부
223, 423, 523, 623 : 2차 만곡부
322, 422, 622 : 곡선 밴딩부
524, 624 : 3차 만곡부
130 : 반경방향 유동 방지부

Claims (23)

  1. 관통홀이 형성된 사각 형상의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의 네 모서리로부터 연장 형성된 축방향 유동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방향 유동 방지부는,
    상기 평판부의 측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彎曲) 연장된 형상의 1차 만곡부; 및
    상기 1차 만곡부로부터 상기 평판부 중앙 측으로 직선으로 연장 형성된 직선 밴딩부를 포함하는,
    모터 유동 저감 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선 밴딩부는 상기 평판부와 예각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유동 저감 부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유동 방지부는 상기 평판부의 양 측면 중 각 측면으로부터 둘 이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유동 저감 부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 내측 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만곡(彎曲) 연장된 형상의 반경방향 유동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모터 유동 저감 부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유동 방지부는 복수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유동 저감 부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1차 만곡부와 상기 반경방향 유동 방지부는 상기 평판부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만곡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유동 저감 부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유동 방지부는,
    상기 직선 밴딩부 끝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만곡 연장된 형상의 2차 만곡부를 더 포함하는,
    모터 유동 저감 부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유동 방지부는,
    상기 2차 만곡부로부터 상기 평판부 방향으로 만곡 연장된 형상의 3차 만곡부를 더 포함하는,
    모터 유동 저감 부재.
  9. 관통홀이 형성된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의 마주보는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축방향 유동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방향 유동 방지부는,
    상기 평판부의 측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만곡(彎曲) 연장된 형상의 1차 만곡부; 및
    상기 1차 만곡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곡선 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선 밴딩부는 상기 평판부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유동 저감 부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곡선 밴딩부의 곡률은 상기 1차 만곡부의 곡률보다 작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유동 저감 부재.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유동 방지부는,
    상기 곡선 밴딩부 끝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만곡 연장된 형상의 2차 만곡부를 더 포함하는,
    모터 유동 저감 부재.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 내측 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만곡(彎曲) 연장된 형상의 반경방향 유동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모터 유동 저감 부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1차 만곡부와 상기 반경방향 유동 방지부는 상기 평판부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만곡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유동 저감 부재.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유동 방지부는,
    상기 2차 만곡부로부터 상기 평판부 방향으로 만곡 연장된 형상의 3차 만곡부를 더 포함하는,
    모터 유동 저감 부재.
  15. 관통홀이 형성된 사각 형상의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의 네 모서리로부터 연장 형성된 축방향 유동 방지부가 형성된 모터 유동 저감 부재 프리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축방향 유동 방지부의 상기 평판부 측 일 지점을 벤딩하여, 상기 평판부의 측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彎曲) 연장된 형상의 1차 만곡부 및 상기 1차 만곡부로부터 상기 평판부 중앙 측으로 직선으로 연장 형성된 직선 밴딩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터 유동 저감 부재 제조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모터 유동 저감 부재 프리폼에는 상기 관통 홀 내측 면으로부터 복수로 이격되어 연장 형성된 반경 방향 유동 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반경 방향 유동 방지부를 일 방향으로 만곡(彎曲)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터 유동 저감 부재 제조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1차 만곡부와 상기 반경방향 유동 방지부는 상기 평판부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만곡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유동 저감 부재 제조 방법.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직선 밴딩부의 일 지점을 벤딩하여, 상기 직선 밴딩부 끝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만곡 연장된 형상의 2차 만곡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터 유동 저감 부재 제조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2차 만곡부의 일 지점을 벤딩하여, 상기 2차 만곡부로부터 상기 평판부 방향으로 만곡 연장된 형상의 3차 만곡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터 유동 저감 부재 제조 방법.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직선 밴딩부의 일 지점을 벤딩하여, 상기 직선 밴딩부를 상기 평판부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곡선 밴딩부로 변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터 유동 저감 부재 제조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곡선 밴딩부의 곡률은 상기 1차 만곡부의 곡률보다 작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유동 저감 부재 제조 방법.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곡선 밴딩부의 일 지점을 벤딩하여, 상기 곡선 밴딩부 끝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만곡 연장된 형상의 2차 만곡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터 유동 저감 부재 제조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2차 만곡부의 일 지점을 벤딩하여, 상기 2차 만곡부로부터 상기 평판부 방향으로 만곡 연장된 형상의 3차 만곡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터 유동 저감 부재 제조 방법.
KR1020190162939A 2019-12-09 2019-12-09 모터 유동 저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179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939A KR102179700B1 (ko) 2019-12-09 2019-12-09 모터 유동 저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939A KR102179700B1 (ko) 2019-12-09 2019-12-09 모터 유동 저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700B1 true KR102179700B1 (ko) 2020-11-17

Family

ID=73642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939A KR102179700B1 (ko) 2019-12-09 2019-12-09 모터 유동 저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7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6920A (en) 1977-11-04 1980-06-10 Toll Karl D Multiple digit electronic game
KR20050062410A (ko) * 2003-12-19 2005-06-23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하우징 내에 수용된 액츄에이터를 위한 지지 장치
KR101328072B1 (ko) * 2012-06-18 2013-11-13 동양기전 주식회사 베어링 홀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6920A (en) 1977-11-04 1980-06-10 Toll Karl D Multiple digit electronic game
KR20050062410A (ko) * 2003-12-19 2005-06-23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하우징 내에 수용된 액츄에이터를 위한 지지 장치
KR101328072B1 (ko) * 2012-06-18 2013-11-13 동양기전 주식회사 베어링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4268B2 (ja) コネクタの封止構造およびこの封止構造を用いた密閉型ブラシレスモータ
US9127628B2 (en) Flange fastening structure
US6565096B2 (en) Lip type seal
US8282308B2 (en) Fastener
US11088592B2 (en) Electric compressor
US8549957B2 (en) Rotation angle detecting apparatus
US11152843B2 (en) Electromechanical generator for converting mechanical vibration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US20130074643A1 (en) Accelerator device
KR102179700B1 (ko) 모터 유동 저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CN111853230B (zh) 旋转致动器
US9441548B2 (en) Acceleration device
JP6653062B2 (ja) ストロークセンサ
JP6540285B2 (ja) ストロークセンサ
KR101025151B1 (ko) 분할된 자기 궤환 부재를 가진 전기 모터
JP6529673B2 (ja) 車載用アクチュエータ
JP2007299137A (ja) ペダル装置
US10369875B2 (en) Torque rod
EP1101951A1 (en) Diaphragm actuator
JP6568287B1 (ja) 取付部材
US7073772B2 (en) Motor brak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05106269A1 (en) Fastener
CN116498674B (zh) 用于制动器的弹性组件及制动器
WO2018003651A1 (ja) ストロークセンサ
JP2018004414A (ja) ストロークセンサ
CN219388631U (zh) 一种电动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