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118B1 -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 및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 및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118B1
KR102179118B1 KR1020180055902A KR20180055902A KR102179118B1 KR 102179118 B1 KR102179118 B1 KR 102179118B1 KR 1020180055902 A KR1020180055902 A KR 1020180055902A KR 20180055902 A KR20180055902 A KR 20180055902A KR 102179118 B1 KR102179118 B1 KR 102179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fiber
case
microfibers
fixed
filt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1261A (ko
Inventor
백정민
Original Assignee
백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정민 filed Critical 백정민
Priority to KR1020180055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118B1/ko
Priority to PCT/KR2018/009314 priority patent/WO2019221334A1/ko
Publication of KR20190131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Abstract

극세사의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공기 중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는 극세사가 망 형태로 배치된 다음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통과하는 공기의 미세먼지를 정전기력에 의해 필터링하는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 상기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를 내부에 수용하여 고정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가 통풍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에 고정되고, 상기 통풍구의 날개 사이로 삽입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탄성력을 가지는 클립부재를 구비한 클립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 및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 {Filter apparatus having superfine fibers and superfine-fiber filter assembly}
본 발명은 극세사의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공기 중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 및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레르기를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 물질로는 집먼지진드기, 꽃가루, 동물의 털, 색소나 방부제 매연이나 담배연기 등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호흡기 알레르기 질환의 가장 중요한 원인 항원은 집먼지 진드기로 알려져 있다. 주로 사람의 피부에서 떨어지는 비듬을 먹고사는 집먼지 진드기는 먼지 1gm당 100마리 이상이면 감작을 일으켜 알레르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데 침대 매트리스, 양탄자, 천으로 된 소파, 옷, 이부자리 자동차 시트 등에 많이 존재하며 이런 곳에서 채취된 먼지 1gm 속에는 보통 수백 마리 정도의 집먼지 진드기가 발견되며 많게는 2만 마리까지 보고된 경우도 있다.
특히, 알레르기 등에 의한 호흡기 질환을 포함하는 각종 질환의 요인으로서 미세먼지가 꼽히고 있다. 현재 우리나의 경우 봄철에만 황사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사계절 내내 국내외의 각종 요인으로 자주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의 수치가 국가나 WHO에서 제시하는 수치를 넘어서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의 수치는 날씨와 함께 일반인들의 큰 관심사가 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필터(Filter)란 air, Gas, Oil 등을 일정한 용량을 일정한 시간 내에 일정한 크기의 입자를 통과시키는 기기를 말하며 특히 대기 중에 존재하는 분진이나 유해물질을 제거해 필요에 맞는 청청한 공기를 만들어 내는 것을 공기정화필터(Air Filter)라고 한다. 공기정화 필터의 종류로는 탈취필터, 정전필터, 오존필터, 카본필터 등이 있다.
상기에 기술한 필터 중 카본필터는 활성탄소섬유와 섬유를 대전시킨 것으로 영구적인 정전기전력을 갖게 한 엘렉트렉터(Electret) 필터의 2층 구조로 제작한 것으로 주로 차량용으로서 많이 사용되며 차량 실내에서 발생하는 담배연기나 먼지나 차외부에서 유입되는 유해성분인 배가가스(하이드론 카본, 디젤스모크)를 제거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며 정전필터는 영구적으로 정전기력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초극세 섬유층과 탈취 페이퍼층과의 2층구조로 된 채집과 탈취를 겸한 분리막(Seperator)이 없는 구조로 담배연기와 각종악취가스 제거에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
오존필터는 공기 중에서 방전이나 광에너지에 의해 간단히 발생하며 살균 및 탈취기능이 있으며 대기 중에서 자연 분해되어 산소로 분해되며 열, 빛, 금속, 금속산화물이나 알카리 용액 등에 접촉 시 분해가 촉진된다. 그러나 고농도의 오존발생은 인체에 매우 유해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에서 기술한 필터들은 1마이크론 이하의 미세먼지나 알레르겐 물질들을 제거하기에는 힘든 단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헤파 필터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헤파 필터는 0.3 마이크론이하의 미립자를 미립자 수로서 99.97% 이상 제거할 수 있는 필터로 반도체 생산을 위한 공업용 크린 룸이나 생물학적 크린 룸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헤파 필터는 굵기 0.3 내지 0.5 마이크론, 길이 2 내지 3mm의 아주 가는 유리 방적섬유를 수중에 분산 시킨 후 고운 망 위에서 탈수하고 건조하여 종이형태로 만든 후 사용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헤파 필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극세 유리 섬유의 배합과 일정한 공극을 유지하기 위한 분산이 중요하며 이의 제작에는 많은 기술적 어려움과 높은 비용이 들어 헤파 필터 가격은 현재 매우 비싼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라 포집량이 증가되면 풍량의 압력 강하가 매우 심하게 되어 필터의 기능에 막대한 장애를 가져오게 되어 압력 강하에 따라서 일정기간이 지나면 새것으로 교환하여 주어야 하는 등 보수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자동차 실내와 같은 경우에는 통풍구 내측에 전체적인 필터 구조가 구비되어 외부로 또는 실내에서 순환되는 공기가 필터링되도록 되어 있으나, 자동차는 양산되는 제품이기에 더 이상의 필터링 장치, 예를 들면 미세먼지 필터와 같은 것은 사용자가 따로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10-2015-0015880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극세사를 이용하여 필터를 제작하고 차량 통풍구에 설치함으로써 극세사의 정전기 작용에 의해 미세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는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 및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극세사가 망 형태로 배치된 다음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통과하는 공기의 미세먼지를 정전기력에 의해 필터링하는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 상기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를 내부에 수용하여 고정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가 통풍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에 고정되고, 상기 통풍구의 날개 사이로 삽입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탄성력을 가지는 클립부재를 구비한 클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는 복수개의 극세사 필터 패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극세사 필터 패널은, 링 형태의 테두리; 및 상기 테두리에 일단 또는 양단이 일정 탄성력을 가지도록 고정된 복수개의 극세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극세사는 일단은 중심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테두리에 고정되어 방사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 일면에는 상기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가 걸려 빠지지 않는 동시에 공기는 순환될 수 있도록 방사형 살들을 구비한 커버가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의 중앙에는 상기 케이스 중앙을 가로질러 연장된 너트형태의 중앙 보스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보스에는 상기 클립부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형 고정부재가 체결되고, 상기 클립부의 일부가 상기 볼트형 고정부재의 슬라이드 홈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클립부가 케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 중앙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고 홈을 구비한 전방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 보스의 홈에 가이드 패널의 돌기가 억지끼움식으로 조립됨으로써,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통과한 공기가 전방으로 직접 토출되지 않고 케이스 외측으로 토출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립부는 상기 클립부재가 두 개로 이루어지되, 일단은 체결판의 이격된 위치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연장된 다음, 일부분이 서로 탄성 접촉되도록 절곡되고 자유단은 서로 다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극세사로 이루어진 필터를 적층하여 정전기에 의해 미세먼지를 흡착 필터링하게 되기 때문에 이물질뿐만 아니라 아주 작은 입자인 미세먼지도 필터링할 수 있게 된다.
(2) 본 발명은 차량의 통풍구와 같은 곳에 클립형으로 원하는 위치에 장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착과 탈거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의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의 장착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필터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1)는,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30), 케이스(10), 클립부(50)를 포함한다.
상기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30)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극세사(32)가 망 형태로 배치된 다음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통과하는 공기의 미세먼지를 정전기력에 의해 필터링하게 된다.
이때, 상기 극세사(32)는 직경이 일반적인 섬유에 비해 극히 작은 형태로 이루어진 섬유로서, 직경이 매우 작기 때문에 극세사 사이마다 크기가 작은 이물질을 포획하기가 쉬워 청소 등에 매우 유리한 점이 있기 때문에 청소용품으로 널리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극세사는 통상 합성섬유로 제작된다. 따라서 이러한 합성섬유 극세사는 합성섬유의 특징대로 서로 비비면 많은 정전기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는 이러한 정전기를 이용하여 통과하는 이물질을 정전기력에 의해 포획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30)는 망 형태로 우선 극세사 필터 패널을 제작하고, 이를 적층하는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즉, 상기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30)는 복수개의 극세사 필터 패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극세사 필터 패널은 링 형태의 테두리(31)와, 상기 테두리(31)에 일단 또는 양단이 일정 탄성력을 가지도록 고정된 복수개의 극세사(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극세사(32)는 일단은 중심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테두리(31)에 고정되어 방사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물론 평면 상 X축, Y축 방향으로만 극세사를 배열한 다음 번갈아 적층하여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를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부직포 형식으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통기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후자 보다는 전자들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복수개의 극세사 일단은 중심부 또는 테두리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30)를 내부에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극세사는 필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케이스에 직접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1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10) 일면에는 상기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30)가 걸려 빠지지 않는 동시에 공기는 순환될 수 있도록 방사형 살(11)들을 구비한 커버(11)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커버(11)의 중앙에는 상기 케이스(10) 중앙을 가로질러 연장된 너트형태의 중앙 보스(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중앙 보스(12)에는 상기 클립부(50)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형 고정부재(40)가 체결되고, 상기 클립부(50)의 일부가 상기 볼트형 고정부재(40)의 슬라이드 홈(41a)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클립부(50)가 케이스(10)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10) 중앙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고 홈(13a)을 구비한 전방 보스(13)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 보스(13)의 홈(13a)에 가이드 패널(20)의 돌기(21)가 억지끼움식으로 조립됨으로써,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를 통과한 공기가 전방으로 직접 토출되지 않고 케이스(10) 외측으로 토출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패널 안쪽에는 탈취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탈취시트가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클립부(50)는,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케이스(10)가 통풍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 또는 상기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30)에 고정되고, 상기 통풍구의 날개 사이로 삽입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탄성력을 가지는 클립부재(52,5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립부(50)는 상기 클립부재(52,53)가 두 개로 이루어지되, 일단은 체결판(51)의 이격된 위치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연장된 다음, 일부분이 서로 탄성 접촉되도록 절곡되고 자유단은 서로 다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립부(50)의 체결판(51)으로부터 탄성 접촉되는 위치 사이에 상기 통풍구의 날개가 위치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필터장치(1)가 통풍구 전방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필터장치를 차량의 통풍구에 설치하게 되면, 필터장치 외측으로 필터링되지 않고 빠져 나가는 공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렉시블한 재지로 이루어진 커버 등을 설치하여 빠져 나가는 공기를 줄일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1)의 정면에는 가이드 패널(20)이 설치되어 케이스(10)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들이 가이드 패널(20)에 의해 외곽으로 이동한 다음 주위로 퍼지도록 토출되도록 되어 있고, 케이스(10) 후방에는 클립부(50)가 구비되어 통풍구에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케이스(10) 후방에 상기 클립부(50)가 구비된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클립부(50)는 통풍구의 날개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됨으로써 필터장치(1)를 통풍구에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된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30)에 의해 통풍구로 토출되는 공기는 정전기력에 의해 극세사 어셈블리(30)에 포획된다.
이때, 상기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30)는 제작 후, 정전기가 발생하도록 약간의 마찰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작 시 문지르거나 사용자가 문지를 수도 있다. 또한 통과하는 공기들에 의해 극세사들이 서로 부딪혀 정전기를 발생하게 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1)의 전체적인 부붐들의 조립 구조를 볼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 전방에는 가이드 패널(20)이 조립되는 바, 상기 가이드 패널(20)의 돌기(21)는 상기 케이스(10)의 전방 보스(13)의 홈(13a)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패널(20)의 외면에는 댐퍼 링(22)이 조립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30)가 삽입되어 조립되는데, 상기 케이스(10)의 중앙 보스(12)가 상기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30)의 극세사들의 중앙 부분을 벌린 다음 밀어 관통하도록 하고, 상기 중앙 보스(12) 끝단에 볼트형 고정부재(40)의 볼트(43)가 체결 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그에 따라 상기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30)도 고정된다.
이때, 도 9와 도 10을 참고하면, 중앙에 중앙 보스(12)가 통과하는 보스부재(12)를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극세사(32)는 도 9에서는 방사형으로 배치된 것이고, 도 10에서는 평면상 X, Y축 방향으로 서로 90도를 이루도록 배치된 것이다.
다시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볼트형 고정부재(40)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전방에는 볼트(43)가, 후방에는 2개의 판(41,42) 사이에 슬라이드 홈(4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홈(41a)에는 클립부재(52,53)를 구비한 체결판(51)이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클립부재(52,53)들이 통풍구의 날개 사이로 삽입되어 필터장치(1)가 고정되면 토출되는 공기는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30)를 통과하면서 미세먼지가 필터링된 다음 토출된다. 이때, 가이드 패널(20)이 그 정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토출되는 공기는 가이드 패널(20)의 외곽지역으로 퍼지면서 토출된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101)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101)는, 도 11을 참고하면 자동차의 대쉬보드(100)에 형성된 통풍구(99)에 설치된다. 상기 통풍구(99)의 날개(98) 사이에 클립부재(131)가 들어가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필터장치(101)는 육면체의 케이스(110) 내부에 극세사 필터(120)를 적층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통기가 가능하도록 홈들이 형성된다. 케이스(110)를 후방에서 덮는 커버(130)는 역시 통기가 가능하도록 홀들이 형성된되고, 커버(130)는 패널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중앙에는 클립부재(131)를 고정하기 위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극세사 필터(120)는 복수개로 적층되어 필터 어셈블리를 이루되, 각 필터(120)는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극세사 필터(120)는 사각형 프레임(122)에 상하방향 또는 그 직각방향으로 극세사(121)가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극세사 필터(120)를 서로 방향이 90도로 엇갈리도록 적층하여 극세사 어셈블리를 구성하도록 한다.
상기 극세사 필터(120)들은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삽입되어 케이스(110)와 커버(130) 내부에 적층되어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130)에는 단면이 경사진 돌기(130a)가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케이스(110)에는 홈(110a)이 형성된다. 따라 상기 극세사 필터(120)들을 케이스(110) 내부에 삽입한 다음 마지막으로 상기 커버(130)를 밀어 넣으면 상기 커버(130)의 돌기(130a)가 상기 케이스(110)의 홈(110a)에 삽입되어 빠지지 않게 된다.
도 13과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클립부재(131)는 두 개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 통풍구(99)의 날개(98)가 들어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바, 날개(98) 두께보다 클립부재(131) 사이의 거리를 작게 함으로써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면, 통풍구(99)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커버(130)의 홀, 극세사 필터(120)들, 그리고 케이스(110)의 홀을 통과하여 필터링된 상태로 토출된다.
도 17을 참고하면, 극세사 필터(120)의 조립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극세사 필터(120)는 사각형 프레임(122)과 극세사(121)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사각형 프레임(122)은 전방 프레임((122))과 후방 프레임(123)으로 이루어지고, 전방 프레임(122)에는 상하부에 상기 극세사(121)를 걸어 경유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돌출부(122a)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 프레임(123)에는 상기 전방 프레임(122)의 복수개의 돌출부(122a)가 억지끼움 결합되는 복수개의 홈부(123a)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후방 프레임(122,123)은 서로 억지끼움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극세사(121)는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122a)를 상하 방향으로 경유하도록 함으로써 망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이때, 도 17에서는 극세사를 상하방향으로만 경유하도록 하였으나, 측면에도 돌출부를 형성하고 극세사를 수평 방향으로도 경유하도록 하여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필터장치
10 : 케이스 11 : 커버
12 : 중앙 보스 20 : 가이드 패널
30 :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 31 : 프레임
32 : 극세사 40 : 볼트형 고정부재
41a : 슬라이드 홈 43 : 볼트
50 : 클립부 51 : 체결판
52, 53 : 클립부재

Claims (9)

  1. 극세사가 망 형태로 배치된 복수개의 극세사 필터 패널 - 상기 극세사 필터 패널은, 테두리와 상기 테두리를 가로질러 고정된 복수 개의 극세사를 포함함 - 이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통과하는 공기의 미세먼지를 정전기력에 의해 필터링하는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
    상기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를 내부에 수용하여 고정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가 통풍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통풍구의 날개 사이로 삽입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탄성력을 가지는 클립부재를 구비한 클립부; 및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는 상기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가 걸려 빠지지 않는 동시에 공기는 순환될 수 있도록 방사형 살들을 구비한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중앙에는 후방으로 상기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가 마련된 상기 케이스 중앙을 가로질러 연장 형성된 중앙 보스와, 상기 커버의 중앙에는 전방으로 홈이 형성된 전방 보스가 마련되되,
    상기 중앙 보스에는 상기 클립부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형 고정부재가 체결되고, 상기 전방 보스의 홈에는 가이드 패널의 돌기가 조립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통과한 공기가 전방으로 직접 토출되지 않고 케이스 외측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세사 필터 패널의 상기 테두리는, 링 형태이고,
    상기 극세사 필터 패널의 상기 복수 개의 극세사는 일정 탄성력을 가지도록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극세사는 일단은 중심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테두리에 고정되어 방사형으로 설치된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세사 필터 패널의 테두리는, 서로 조립되는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전방 프레임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에는 상기 극세사를 걸어 경유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프레임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의 일부가 상기 볼트형 고정부재의 슬라이드 홈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클립부가 케이스에 고정되는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는 상기 클립부재가 두 개로 이루어지되, 일단은 체결판의 이격된 위치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연장된 다음, 일부분이 서로 탄성 접촉되도록 절곡되고 자유단은 서로 다시 이격되도록 형성된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
  9.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 통풍구 앞에 설치되되, 극세사가 망 형태로 배치된 복수개의 극세사 필터 패널 - 상기 극세사 필터 패널은, 테두리와 상기 테두리를 가로질러 고정된 복수 개의 극세사를 포함함 - 이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통과하는 공기의 미세먼지를 정전기력에 의해 필터링하되, 상기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는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케이스는, 일면에 상기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가 걸려 빠지지 않는 동시에 공기는 순환될 수 있도록 방사형 살들을 구비한 커버와, 상기 케이스가 통풍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통풍구의 날개 사이로 삽입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탄성력을 가지는 클립부재를 구비한 클립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의 중앙에는 후방으로 상기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가 마련된 상기 케이스 중앙을 가로질러 연장 형성된 중앙 보스와, 상기 커버의 중앙에는 전방으로 홈이 형성된 전방 보스가 마련되며, 상기 중앙 보스에는 상기 클립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체결되고, 상기 전방 보스의 홈에는 가이드 패널의 돌기가 조립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통과한 공기가 전방으로 직접 토출되지 않고 케이스 외측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
KR1020180055902A 2018-05-16 2018-05-16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 및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 KR102179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902A KR102179118B1 (ko) 2018-05-16 2018-05-16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 및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
PCT/KR2018/009314 WO2019221334A1 (ko) 2018-05-16 2018-08-14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902A KR102179118B1 (ko) 2018-05-16 2018-05-16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 및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261A KR20190131261A (ko) 2019-11-26
KR102179118B1 true KR102179118B1 (ko) 2020-11-16

Family

ID=68540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902A KR102179118B1 (ko) 2018-05-16 2018-05-16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 및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9118B1 (ko)
WO (1) WO20192213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6603A (zh) * 2020-10-26 2021-02-05 哈尔滨理工大学 一种超细纤维盘消毒过滤装置
WO2023080389A1 (ko) * 2021-11-05 2023-05-1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정전기 방전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825Y1 (ko) * 2003-05-15 2003-08-02 황복순 자동차 대시보드용 공기정화장치
JP2013099749A (ja) * 2013-01-31 2013-05-23 Daikin Industries Ltd エア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516A (ja) * 1991-07-18 1993-02-02 Kawasaki Steel Corp フイルタ及びそれを備えたクリーンルーム
JPH1030598A (ja) * 1996-07-11 1998-02-03 Tadao Totsuka フィルタ付送風機
JPH10165624A (ja) * 1996-12-06 1998-06-23 Hotsukoo Kk パチンコ遊技機用の空気清浄機
KR200164658Y1 (ko) * 1999-09-14 2000-02-15 주식회사태림공조 공조용 공기 토출구
KR100829772B1 (ko) * 2006-12-08 2008-05-16 윤용철 공기 정화기
KR20150015880A (ko) 2013-08-02 2015-02-11 아트먼 주식회사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112698A (ko) * 2014-03-28 201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825Y1 (ko) * 2003-05-15 2003-08-02 황복순 자동차 대시보드용 공기정화장치
JP2013099749A (ja) * 2013-01-31 2013-05-23 Daikin Industries Ltd エアフィル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261A (ko) 2019-11-26
WO2019221334A1 (ko) 201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31718C (zh) 空气净化器
US6090184A (en) Filter system
KR102179118B1 (ko)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 및 극세사 필터 어셈블리
KR20070039578A (ko) 집진 필터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CN105135539A (zh) 家庭厨房空气净化器
AU2019271901A1 (en) Corrugated Filtration Media for Polarising Air Cleaner
CN206027347U (zh) 汽车空调滤清器滤芯
JP6076077B2 (ja) エアフィルター
CN204786864U (zh) 家庭厨房空气净化器
CN204962994U (zh) 家庭厨房空气净化器
US11241647B2 (en) HVAC home air filter
JP7027039B2 (ja) エアフィルタ装置
KR101793387B1 (ko) 섬모층을 구비하는 기체정화용 섬모체와 이를 포함하는 기체정화장치
KR20160015566A (ko) 공기청정기
US11969679B2 (en) Surface-enhanced copper filter for air purification and system and method for using
KR100246936B1 (ko) 탈취기능의 자동차 실내용 복합 에어 필터 메디아
US20230201753A1 (en) An improved mechanical electrostatic filter assembly
KR200309270Y1 (ko) 자동차용 에어필터
JP6528118B2 (ja) 汚染物質捕集分析部材を備えた空気清浄装置
KR102203977B1 (ko) 송풍구의 말단에 설치되는 공기 디퓨져용 필터유닛
KR100225024B1 (ko) 자동차 실내용 에어 필터 메디아와 그 가공방법
KR20210009591A (ko) 공기 청정기용 필터
JP2000042328A (ja) 空気集塵機
KR100346087B1 (ko) 알레르겐 방지용 섬유배열 방향을 조절한 다층구조 극세사를 이용한 헤파필터
CN112452068A (zh) 一种高效低阻抗菌可重复冲洗的空调过滤组件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