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772B1 -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772B1
KR102177772B1 KR1020190085570A KR20190085570A KR102177772B1 KR 102177772 B1 KR102177772 B1 KR 102177772B1 KR 1020190085570 A KR1020190085570 A KR 1020190085570A KR 20190085570 A KR20190085570 A KR 20190085570A KR 102177772 B1 KR102177772 B1 KR 102177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d
securities company
platform server
custom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석
이장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증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증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증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5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7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시스템은, 매수자 단말기, 매수자 증권사 시스템, 매도자 단말기, 매도자 증권사 시스템과 네트워크망을 통해 통신을 하는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채권에 대한 콘텐츠 정보, 채권의 매도 정보, 채권의 매수 정보, 가매칭 정보,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20); 상기 데이터베이스(120)를 참조하여 상기 매수자 또는 매수자 증권사 시스템과 매도자 또는 매도자 증권사 시스템 간의 채권 매매를 중개하는 플랫폼 서버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증권사 및 일반 고객이 모두 참여할 수 있는 공동 시장을 형성하여 채권 거래 시장을 활성화하고, 거액 자산가에 편중된 채권투자 기회를 일반고객에게 확대하고, 개인에게 다양한 채권 정보를 제공하고, 개인이 쉽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Bond brokerage platform servic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증권사 및 일반 고객이 모두 참여할 수 있는 공동 시장을 형성하여 채권 거래 시장을 활성화하고, 거액 자산가에 편중된 채권투자 기회를 일반고객에게 확대하는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과 컴퓨터 분야의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컴퓨터 통신 및 인터넷 통신이 현대인에게는 정보 습득과 교류의 장으로서 하나의 필수적인 수단이 되었으며, 그 기능 및 역할이 폭발적으로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인터넷은 흔히 IP 제공자라고 지칭되는 정보제공자들과 특정 서버들이 접속되어 있는 인터넷망에 인터넷 가입자들이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특정 서버나 정보제공자가 개설하고 있는 웹사이트에 인터넷 가입자가 컴퓨터 등으로 접속한 후 해당 사이트상의 정보 혹은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터넷은 특정 서비스 군에 속하는 사람들간의 통신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국가나 지역의 구분이 없어 현재 가장 각광받고 있는 정보 취득 및 통신망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을 이용하여 많은 사람들은 주식 매매 등을 하고 있다.
한편, 채권의 경우에는 거액 자산가나 기관 투자가 사이에서만 거래가 이루어지며, 개인의 채권 투자는 극히 드물다.
또한, 채권을 유통하기 위한 지식이나 정보가 극히 부족하며, 처분시에는 소유한 채권에 대한 가치를 평가해 볼 기회가 없음은 물론, 구입시에는 자신의 조건에 맞는 채권의 처분 정보를 접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개인에게 다양한 채권 정보를 제공하고, 개인이 쉽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증권사 및 일반 고객이 모두 참여할 수 있는 공동 시장을 형성하여 채권 거래 시장을 활성화하고, 거액 자산가에 편중된 채권투자 기회를 일반고객에게 확대하는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개인에게 다양한 채권 정보를 제공하고, 개인이 쉽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는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방법은,
증권사 직원이 증권사 직판채권을 등록하는 단계(S610);
판매 채권 등록이 플랫폼 서버(110)에 저장 완료시점에 플랫폼 서버(110)는 해당 채권의 투자자문 콘텐츠의 기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620);
투자자문 콘텐츠 미 등록 된 경우(S630), 상기 플랫폼 서버(110)는 투자 자문사 시스템에 콘텐츠 등록을 요청하여(S631) 수신한 후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하는 단계;
투자자문 콘텐츠가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 된 경우(S640), 상기 플랫폼 서버(110)는 해당 판매채권 조회시에 상기 투자자문 콘텐츠를 노출하는 단계(S650)를 포함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방법은,
플랫폼 서버(110)가 데이터베이스(120)를 참조하여 매도 희망고객이 선택한 채권에 대한 기등록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S820);
고객은 판매 대상을 선택하는 단계(S830, S831);
상기 플랫폼 서버(110)가 매도가능 여부 판독 값을 고객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S840);
고객 간 거래 선택의 경우, 상기 플랫폼 서버(110)는 신용등급 A- 이상 + 플랫폼 운영사가 지정한 블랙리스트에 불 포함된 채권만 매도 주문을 허용하고,
증권사 즉시판매 선택의 경우, 상기 플랫폼 서버(110)가 플랫폼 참여 증권사로부터 특정 채권, 특정 가격, 수량 지정 후 등록받고, 고객 매도 희망 채권과 매칭시에 증권사 대상 매도를 허용하는 단계;
매도 가능한 경우, 상기 플랫폼 서버(110)가 고객 단말기(301)로부터 매도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850);
고객이 단말기(301)로 잔고에서 보유 채권 중 매도하고자 하는 채권을 선택하고, 주문을 누르면, 플랫폼 서버(110)로 매도 정도가 전송되는 단계(S860);
상기 플랫폼 서버(110)가 매도주문을 수신하고, 해당 증권사 서버에 매도 정보를 전송하여 증권사 원장의 매도 채권의 잔고를 동결하는 단계(S870)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는 민평 3사 금리, 최근 동일 채권 플랫폼 內 체결가격, 한국채권투자자문 평가 리포트(매도추천가격, 매도 의견(매도, 보유)를 포함한다.
상기 채권 잔고가 동결되면, 장내매도, 담보 등록 등이 불가하고, 증권사 서버는 증권사 원장에서 잔고 동결 처리 후에 결과값을 상기 플랫폼 서버(11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방법은,
매수 희망 고객은 단말기(300)로 판매채권조회를 하면(S910), 상기 플랫폼 서버(110)가 데이터베이스(120)를 참조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S920);
고객은 단말기(300)로 판매채권으로 등록된 상품 중 원하는 채권 선택 후 매수를 결정하면(S930),
매수 1단계로 고객은 단말기(300)로 매수채권선택후 가입 금액을 입력하고(S940),
고객은 단말기(300)로 매수 2단계로 플랫폼 서버(110)로부터 투자설명서를 제공받고, 유의사항을 읽고 동의를 하며, 투자성향을 입력 및 등록하고(S950),
고객은 단말기 앱에서 매수 3단계로 자신의 주문 정보 확인 후 주문 버튼을 클릭하는 단계(S960);
단말기가 고객이 입력한 주문 정보를 플랫폼 서버(110)로 전송하고, 상기 플랫폼 서버(110)는 매도 채권과 주문정보를 매칭하여 가체결하는 단계(S970)를 포함한다.
상기 판매채권조회를 하면, 판매 증권사명, 판매 주체, 개인의 경우 아이디 일부, 채권명, 판매금리, 수량을 포함한 정보가 조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방법은,
증권사 담당자가 증권사 서버를 통해 플랫폼 서버(110)에 접속하여 매입 채권 리스트를 등록하면 플랫폼 서버(110)가 매수 채권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후 등록완료하는 단계(S1010);
증권사 담당자가 증권사 서버로 매수 채권 리스트 등록 완료시 매수 주문을 플랫폼 서버(110)에 전송하는 단계;
고객이 단말기(300)로 증권사 매도 선택 후 주문 전송하면(S860), 플랫폼 서버(110)가 매도 주문을 수신하는 단계(S1040);
상기 플랫폼 서버(110)는 데이터베이스(120)에 기등록된 증권사 매입 채권 리스트 매수 종목과 고객의 매도 주문을 매칭하여 가체결을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플랫폼 서버(110)가 매수 채권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후 등록완료하는 단계(S1010)에서,
플랫폼 참여 증권사는 특정 채권, 특정가격을 포함한 채권 리스트를 등록하여 매수 주문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방법은,
고객 or 증권사 담당자가 직접 주문 접수한 건을 플랫폼 서버(110)에서 주문 PooL에 보관했다고 매칭하여 가체결을 하는 단계(S1110);
가체결 결과를 수신한 각 증권사 서버(400, 410)는 당일 오후 4시에 최종 체결 확정 후 Safe 망을 통하여 예탁 결제원 시스템(500)의 익영업일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S1120);
익일 결제 시점에 한국예탁결제원 시스템(500)의 Safe 망을 이용하여 채권 보유 증권사와 매수 고객 증권사간 현금과 채권 교환이 이루어지는 단계;
결제는 각 증권사 서버를 통해 한국예탁결제원 시스템(600)의 Safe망을 통해 D+1일 결제 진행이 되는 단계;
A증권사 직판 채권(S1132)에 대해선 A 증권사 서버(400)가 보유 채권을 체결수량만큼 Safe망을 통해서 B증권사 서버(410)로 전달하는 단계(S1130);
B증권사 서버(410)가 소정의 고객 계좌(S1136)에서 체결수량에 해당하는 만큼의 현금 인출 후(S1135) Safe망 통해서 A 증권사 서버(400)로 전달하는 단계(S1134)를 포함한다.
상기 가체결 규칙은 시간 > 수량 > 동일 증권사 우선> 비율배분 > 잔여수량 동일증권사 우선 배정(배분 불가 수량 1,2 주 발생시)> 랜덤(동일증권사 없거나 전부 동일시)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방법은,
예약 매수를 수신하는 단계(S1511);
예약 매도를 수신하는 단계(S1510);
예약 매수 및 예약 매도를 매칭하여 중개플랫폼 서버에서 가체결하는 단계;
체결은 익영업일 09시 이후 접수된 정규 주문과 동일하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은,
매수자 단말기, 매수자 증권사 시스템, 매도자 단말기, 매도자 증권사 시스템과 네트워크망을 통해 통신을 하는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채권에 대한 콘텐츠 정보, 채권의 매도 정보, 채권의 매수 정보, 가매칭 정보,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20);
상기 데이터베이스(120)를 참조하여 상기 매수자 또는 매수자 증권사 시스템과 매도자 또는 매도자 증권사 시스템 간의 채권 매매를 중개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방법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증권사 및 일반 고객이 모두 참여할 수 있는 공동 시장을 형성하여 채권 거래 시장을 활성화하고, 거액 자산가에 편중된 채권투자 기회를 일반고객에게 확대하는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개인에게 다양한 채권 정보를 제공하고, 개인이 쉽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는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은,
매수자 단말기, 매수자 증권사 시스템, 매도자 단말기, 매도자 증권사 시스템과 네트워크망을 통해 통신을 하는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20);
상기 데이터베이스(120)를 참조하여 상기 매수자 또는 매수자 증권사 시스템과 매도자 또는 매도자 증권사 시스템 간의 채권 매매를 중개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방법을 실행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매수 또는 매도자는 자신의 단말기(300, 301)로 플랫폼 서버(110)에 접속하여 채권 매수 또는 매도 절차를 진행하며, 증권사 담당자의 경우에도 자신의 단말기로 증권사 서버에 접속한후, 증권사 서버를 통해 플랫폼 서버(110)와 거래를 한다.
그리고, 투자자문 시스템도 담당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플랫폼 서버(110)로 전달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채권을 매수 또는 매도하기 위한 개인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300, 301)로 플레이스토어 또는 앱스토어에서 플랫폼 어플리케이션 즉 앱을 검색하여 설치한다(S201).
앱 설치 후 사용자는 플랫폼 서버(110)에 접속하여 최초에 회원 가입을 한다. 비회원인 경우 앱을 둘러보는 것만 가능하고, 채권 거래 등은 불가하다(S202).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300, 301)로 회원가입 신청서를 작성한다. 신청서에는 이름, 아이디, 이메일을 기재하고, 휴대폰 인증을 한다(S203).
그리고, 사용자는 회원가입약관에 동의한다(S204). 이때, 개인정보활용 등에도 동의한다.
그러면, 플랫폼 서버(110)가 회원가입 완료를 하고(S205), 회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는 준회원 등급이며, 채권 app 조회만 가능하고 거래는 불가하다.
이후, 플랫폼 서버(110)는 사용자의 증권사 계좌를 연동한다(S206). 계좌 연동을 위해 계좌 보유 증권사 선택후, 증권사 ID, ID비번, 공인인증서 비번 등을 입력한다.
이후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300, 301)로 채권 앱을 실행하고, 플랫폼 서버(110)에 접속한 후, 각증권사 로그인 인증을 하고, 계좌 잔고 정보 조회를 한다.
증권사 계좌 연동후에 사용자는 채권매매가 가능하다(S208). 이후의 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증권사 계좌 연동 전에는 사용자는 단순 상품 정보 조회만 가능하다(S207)
상기 증권사 계좌연동 절차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증권사 계좌 연동은 플랫폼 참여 증권사 중 본인 계좌 인증이 가능하고, 계좌 인증 고객은 채권 거래 참여가 가능하다. 그리고, 계좌 미 인증 고객은 플랫폼 내 거래는 불가하다(S310).
사용자는 자신이 계좌를 보유한 증권사를 선택한다(S320). 즉, 앱에서 본인이 계좌를 보유한 증권사를 선택한다. 이때, 해당 증권사 ID, ID비번, 공인인증서 비번을 입력해야 한다(최초 1회 후 공인인증서 로그인, 지문 인증 등 지원).
그리고, 고객이 앱에서 선택 증권사의 ID, 비번을 입력하고(APP), 플랫폼 서버(110)가 선택 증권사 서버로 전송한다. 그리고, 증권사 서버에서 정상여부 확인 플랫폼 서버(110)로 계좌 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플랫폼 참여 증권사 중 계좌 미 보유 고객의 경우, 먼저 비대면 계좌개설을 한다(S330)
이를 위해 고객은 증권사를 선택하고, 비대면 계좌 개설을 진행하며, 진위확인후, 플랫폼 서버(110)가 대행 처리 결과를 해당 증권사로 전송한다(S331).
개설 정보를 고객이 앱에서 입력하며, 플랫폼 서버(110)에서 정보를 확인하고, 고객 입력값 및 처리결과를 해당 증권사 서버로 전송한다(S332).
이후, 고객은 정회원이 되며, 정회원은 회원가입 및 계좌연동이 완료된 고객이다(S340).
이하에서는 앱 로그인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정회원은 회원가입 및 계좌연동이 완료된 고객으로서, 거래 준비가 완료되었으므로 앱을 실행한다.(S410).
그리고 아이디와 계좌 비번을 입력한다. 그러면 플랫폼 서버(110)는 데이터베이스(120)를 참조하여 인증을 한다(S420).
플랫폼 서버(110)가 계좌인증 후 해당 계좌의 비밀번호 유효성을 확인 완료하면, 고객은 잔고 정보 화면 조회 및 주문이 가능하다.
앱에서 계좌 인증(APP)을 하면, 플랫폼 서버(110)가 해당 증권사 서버에서 계좌번호 리스트 수신하고, 고객이 계좌비번을 입력하면 앱에서 이를 암호화후 플랫폼 서버(110)로 전달한다. 그러면, 해당 증권사 서버에서 유효성을 검증한다.
고객은 계좌비밀번호 검증 완료시 잔고 정보 조회가 가능하다(보유채권, 주문가능현금(예수금))(S430)
증권사 서버는 잔고정보를 플랫폼 서버(110)로 전달하고, 플랫폼 서버(110)는 채권 앱으로 잔고정보를 전달한다.
이후, 정회원 고객이 회원가입, 계좌연동, 계좌비번 인증 완료 상태에서 거래를 시작한다(S440).
다음, 정회원 고객은 거래를 선택한다. (하기의 주문 파트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채권 매수의 경우 정회원 고객은 증권사 직판 또는 플랫폼 참여 고객 이 보유중인 채권 매도 중 선택하여 매수 거래를 한다(S450).
채권 매도의 경우, 고객이 자신이 보유한 채권을 플랫폼 참여자에게 매도 주문 가능하다(S451).
참고로 도 5는 매도자 또는 매수자의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300)는, 입력부(320), 접속부(340), 저장부(360), 카메라부(370), 통신부(350), 제어부(330), 표시부(310)를 포함한다.
표시부(310)는 서버(11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화면 정보를 표시한다.
입력부(32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널, 키패드 등의 입력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메뉴선택을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접속부(340)는 복수의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고, 음성 출력을 위힌 이어폰 단자 등과 접속된다.
저장부(360)는 채권 매수 또는 매도를 위한 앱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저장부(360)는 필요에 따라서 카메라부에서 촬영되는 촬영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카메라부(370)는 입력부(320)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얼굴 또는 홍채 등을 촬영한다.
제어부(330)는 상기 플랫폼 서버(11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310)에 표시하고, 카메라부(370)에서 촬영되는 영상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서버(110)에서 전송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부(310)에 표시하고, 입력부(320)에서 입력되는 선택에 대한 정보를 상기 플랫폼 서버(110)로 전송한다.
통신부(350)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송수신하며, 유선 통신망 또는 와이파이 방식, 3G, 4G 등 다양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어부(330)는 플랫폼 서버(110)로부터 프로그램다운로드 및 설치가 가능하며, 앱은 PC,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이나 태블릿 (Android, iOS, 등…)에서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플랫폼 서버(110)에서 Web에서 구동되는 형태를 그대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서 사용가능한 형태인 반응형으로 구현하여 사용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웹(Web)으로 구현하여 화면이나 OS 또는 디바이스의 종류나 형태에 의존하지 않고 사용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에서 증권사가 채권을 매도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증권사 직원은 증권사 직판채권 등록과정을 수행한다(s610). 이를 위해 각 증권사 채권 담당자가 자신의 단말기로 증권사 서버에 접속하여 자체 업무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플랫폼 서버(110)에 접속하여 판매 채권 정보 등록(채권종목코드, 매도수익률, 판매가능수량)을 한다.
판매가능 룰은 다음과 같다.
신용등급 A-이상의 채권, 각 사간 3종류 (만기 상이, 3년 이내) 이상, 종목당 1억원 이상 판매금액,
완판시 익일 동일 조건 추가 판매 필수,
완판 전에도 증권사 판단으로 판매 중단 후 정보 삭제 가능 (기 체결 물량은 취소 불가) 삭제 시 익일 채권 변경 필수,
BBB+ 등급 채권 판매, 최소 등록 종목 수, 금액은 플랫폼 오픈 이후 고객 반응에 따라 변동 가능
증권사 담당자 단말기의 자체 업무 프로그램에 판매채권 정보를 등록하면, 증권사 서버에 등록이 되고, 플랫폼 서버(110)가 이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면, 사용자가 앱으로 조회가 가능하다.
다음, 판매 채권 등록이 플랫폼 서버(110)에 저장 완료시점에 플랫폼 서버(110)는 해당 채권의 투자자문 콘텐츠(추천사유, 평가 리포트 등)의 기 등록 여부를 확인한다(S620).
투자자문 콘텐츠 미 등록 된 경우(S630), 플랫폼 서버(110)는 투자 자문사 시스템에 콘텐츠 등록을 요청하여(S631) 수신한 후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한다.
또한, 투자자문 콘텐츠가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 된 경우(S640), 플랫폼 서버(110)는 해당 판매채권 조회시에 투자자문 콘텐츠를 노출한다(S650).
투자자문사의 콘텐츠 등록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투자자문사는 콘텐츠 등록을 하되(S710), 이는 한국 채권 투자 자문의 담당 영역이다. 콘텐츠에는 추천사유, 체권 평가 리포트(채권 발행사의 신용도나 향후 전망)가 포함된다. 이러한 콘텐츠는 판매 채권 보유 여부와 무관하게 선제 등록도 가능하고, 판매채권 등록 이후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자문 콘텐츠 제공업체 담당자가 자체 업무 프로그램으로 콘텐츠를 작성하여 등록하면, 플랫폼 서버(110)가 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채권 앱에서 해당 채권 조회시 노출이 된다.
특히, 투자자문 콘텐츠 가입고객의 경우, 사용자의 채권 앱에서 해당 채권 조회시 노출이 된다. 즉, 투자자문 콘텐츠는 콘텐츠 약관 동의 후 가입 고객에 한정 제공된다.
투자자문 콘텐츠 미가입 고객(S730)의 경우, 콘텐츠는 미제공되고, 고객 약관 동의후 제공이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화면 노출한다.
투자자문 콘텐츠 가입을 위해 투자자문 계약 양식으로 약관 제작하여 고객 가입시 투자자문 계약을 체결한다(S731).
이후, 콘텐츠 가입 고객 에게는 채권에 대한 콘텐츠가 제공되며(S740), 채권 추천사유, 채권의 평가(신용등급, 발행기업의 안정성), 최근 거래 가격 등 매수, 매도 의사결정에 첨부할 수 있는 내용 등이 제공된다.
한편, 고객이 보유한 채권의 매도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8을 참조하면, 보유채권 매도 희망 고객은 플랫폼 참여 증권사 계좌에 매도 희망 채권 잔고 보유시에만 매도가 가능하다(S810).
이때 플랫폼 서버(110)는 데이터베이스(120)를 참조하여 해당 채권에 대한 기등록된 콘텐츠를 제공한다(S820). 콘텐츠는 민평 3사 금리, 최근 동일 채권 플랫폼 內 체결가격, 한국채권투자자문 평가 리포트(매도추천가격, 매도 의견(매도, 보유)를 포함한다.
다음, 고객은 판매 대상을 선택한다. 즉, 고객간 거래를 할지 또는 증권사에 채권을 매도할지를 선택한다(S830, S831).
그러면, 플랫폼 서버(110)가 매도가능 여부 판독 값을 고객 단말기에 제공한다(S840).
고객 간 거래 선택의 경우, 플랫폼 서버(110)는 신용등급 A- 이상 + 플랫폼 운영사가 지정한 블랙리스트에 불 포함된 채권만 매도 주문을 허용한다.
또한, 증권사 즉시판매 선택의 경우, 플랫폼 서버(110)가 플랫폼 참여 증권사로부터 특정 채권, 특정 가격, 수량 지정 후 등록받고, 고객 매도 희망 채권과 매칭시에 증권사 대상 매도가 가능하다.
이후 매도 가능한 경우, 플랫폼 서버(110)가 고객 단말기(301)로부터 매도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다(S850). 이때, 증권사에 매도인 경우, 고객은 매도 수량만 지정 가능하고, 가격은 증권사 매입 가격으로 고정한다(고객이 수정 불가).
다음, 고객은 단말기(301)로 잔고에서 보유 채권 중 매도하고자 하는 채권을 선택하고, 주문을 누른다. 그러면, 플랫폼 서버(110)로 매도 정도가 전송된다(S860).
이후, 플랫폼 서버(110)는 매도주문을 수신하고, 해당 증권사 서버에 매도 정보를 전송하여 증권사 원장의 매도 채권의 잔고를 동결하게 된다(S870). 여기서, 채권 잔고가 동결되면, 장내매도, 담보 등록 등이 불가하다. 증권사 서버는 증권사 원장에서 잔고 동결 처리 후에 결과값을 플랫폼 서버(110)에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고객의 채권 매수 과정을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매수 희망 고객은 단말기(300)로 판매채권조회를 한다(S910). 매수 희망 고객은 증권사 직판 채권 또는 고객 매도 채권을 매수할 수 있다.
조회를 하면, 판매 증권사명, 판매 주체, 개인의 경우 아이디 일부 노출(abc*****), 채권명, 판매금리, 수량 등의 조회가 가능하다.
동일 채권이 여러 개 존재시 네이버 쇼핑과 같은 형태로 노출가능한데, ㅇㅇ 채권 판매중, 판매처1 : AA증권, 판매수량, 매도 금리, 판매자 2 : 개인, 아이디(DDD****). 매도금리, 판매수량 등으로 노출이 될 수 있다.
고객은 플랫폼 서버(110)에 등록된 판매채권을 단말기(300)의 앱을 실행하여 조회 가능하다.
이때, 플랫폼 서버(110)는 해당 채권에 대해 자문 콘텐츠 공급업자가 등록한 추천사유(서비스 가입한 고객 한정) 등의 데이터베이스(120)를 참조하여 콘텐츠를 제공한다(S920).
이후, 고객은 단말기(300)로 판매채권으로 등록된 상품 중 원하는 채권 선택 후 매수를 결정한다(S930).
매수 1단계로 고객은 단말기(300)로 매수채권선택후 가입 금액을 입력한다(S940).
이때, 고객이 단말기(300)로 채권종목, 판매자 선택후 매수 계좌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계좌 예수금 정보를 조회한다.
그리고 고객은 단말기(300)로 가입금액을 입력한다. 여기서, 채권 가격은 매도자가 정한 가격으로만 체결 가능하고, 매수자는 가격 결정 불가하다.
고객은 단말기(300)로 판매 수량 중 얼마의 수량을 살것인지만 입력한다.
다음, 고객은 단말기(300)로 매수 2단계로 투자설명서를 제공받고, 유의사항을 읽고 동의를 하며, 투자성향을 입력 및 등록한다(S950). 여기서, 투자성향 조회(계좌 인증 증권사에서 기존 투자성향, 설문 답변 번호 조회가 가능하다)가 가능하다.
투자성향 미 보유시 고객은 단말기(300)로 채권 앱에서 설문조사에 응답하고, 이 결과를 중개 플랫폼 서버(110)가 수신하여 해당 증권사 서버로 전달한다.
여기서, 고객의 투자성향과 상품 위험도가 차이가 크면, 플랫폼 서버(110)에서 부적합 동의서를 고객 단말기(300)에게 제공하고 고객 확인을 받는다. 그리고 플랫폼 서버(110)가 확인서를 해당 증권사 서버로 전송한다.
다음, 고객은 단말기 앱에서 매수 3단계로 자신의 주문 정보 확인 후 주문 버튼을 클릭한다(S960). 이때, 매수가격은 지정 불가이다.
주문 확정 후 단말기(300) 앱에서 플랫폼 서버(110)로 주문 정보를 전송시에 채권종목코드, 매수주문수량, 매수수익률, 판매자 정보(증권사명, 판매자), 매수자 정보(매수계좌번호, 매수수량, 매수수익률, 매수금액)도 전달한다.
그러면, 앱에서 고객이 입력한 주문 정보를 플랫폼 서버(110)로 전송한다. 이때, 플랫폼 서버(110)는 매도 채권과 주문정보를 매칭하여 가체결한다(S970).
상기 과정에서 가체결은 체결전의 전과정 또는 일부 과정일 수 있으며, 플랫폼 서버(110)에서 진행하는 매칭 과정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매칭후, 해당 매칭 정보를 각 증권사에 전달하고, 각 증권사 서버에서 가체결을 위해 진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증권사가 고객 채권을 매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증권사 담당자는 증권사 서버를 통해 플랫폼 서버(110)에 접속하여 매입 채권 리스트를 등록한다(S1010). 이때, 의무조항이 추가 필요하다. 여기서, 플랫폼 참여 증권사는 특정 채권, 특정가격(민평금리 + 10~20bp(수준))을 포함한 채권 리스트를 등록하여 매수 주문을 하게 된다.
증권사 담당자가 증권사 서버로 매수 채권 리스트 등록 완료시 매수 주문을 플랫폼 서버(110)에 전송하고, 플랫폼 서버(110)는 매수 채권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후 등록완료한다.
한편, 고객이 단말기(300)로 증권사 매도 선택 후 주문 전송하면(S860), 플랫폼 서버(110)가 매도 주문을 수신한다(S1040).
그러면, 플랫폼 서버(110)는 데이터베이스(120)에 기등록된 증권사 매입 채권 리스트 매수 종목과 고객의 매도 주문을 매칭하여 가체결을 한다.
가체결후, 실제 체결 및 결제 과정은 다음과 같다. 특히 타사간 거래는 다음과 같다.
도 11을 참조하면, 고객 or 증권사 담당자가 직접 주문 접수한 건을 플랫폼 서버(110)에서 주문 PooL에 보관했다고 매칭하여 가체결을 한다(S1110).
도 11을 참조하면, 고객 or 증권사 담당자가 직접 주문 접수한 건을 플랫폼 서버(110)에서 주문 PooL에 보관했다고 매칭하여 가체결을 한다(S1110).
체결은 가체결과 체결이 존재한다. 가체결은 플랫폼 서버(110)를 통한 4시 이전의 매칭 체결이고, 체결은 4시 이후에 가체결된 건을 실제 체결로 전환하여 처리하는 것이다.
가체결 규칙은 시간 > 수량 > 동일 증권사 우선> 비율배분 > 잔여수량 동일증권사 우선 배정(배분 불가 수량 1,2 주 발생시)> 랜덤(동일증권사 없거나 전부 동일시)이다.
즉, ) 1.주문시간 최우선 처리
2. 수량 기준 우선 주문 처리
3.동일 증권사 물량 우선 처리
4. 동일증권사 없거나 전부 동일인 경우, 매도수량 > 전체매수수량 합= 랜덤으로 주문 순서 전송 후 체결, 매도수량 <= 전체매수수량 = 매도 수량 n 등분 후 배분
5. 잔여수량은 랜덤 배분(소수점으로 발생되는 수량 발생시)
다음, 가체결 결과를 수신한 각 증권사 서버(400, 410)는 당일 오후 4시에 최종 체결 확정 후 Safe(예탁원) 망을 통하여 예탁 결제원 시스템(500)의 익영업일 결제를 요청한다(S1120). 여기서, 4시 전까지는 주문 취소가 가능한 가체결 상태이고, 4시 이후는 Safe망에 주문 체결 전송 가능하고, 이후에는 주문 취소가 불가하다.
그리고, 익일 결제 시점에 한국예탁결제원 시스템(500)의 Safe 망을 이용하여 채권 보유 증권사와 매수 고객 증권사간 현금과 채권 교환이 이루어진다.
결제는 각 증권사 서버를 통해 한국예탁결제원 시스템(600)의 Safe망을 통해 D+1일 결제 진행이 된다(채권, 현금 교환, 타사간 거래시) 한편, 동일한 회사안에서의 거래시에는 당일 결제(세이프 망을 통하지 않고 각 증권사 서버의 내부 원장에서 채권, 현금 이동)가 된다.
A증권사 직판 채권(S1132)에 대해선 A 증권사 서버(400)가 보유 채권을 체결수량만큼 Safe망을 통해서 B증권사 서버(410)로 전달한다(S1130). 필요에 따라 A 증권사 서버(400)는 현금 수신 후 상기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B증권사 서버(410)는 홍길동 고객 계좌(S1136)에서 체결수량에 해당하는 만큼의 현금 인출 후(S1135) Safe망 통해서 A 증권사 서버(400)로 전달한다(S1134).
예시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타사 고객간 거래 예시 - A, B 증권사가 중개 플랫폼 참여를 가정한다.
B 증권사 김철수 고객 : OO채권 매도 요청(매도단가 : 10,231원, 수량 : 1,000천원)
A 증권사 홍길동 고객 : OO 채권 매수 희망(매수단가 : 10,231원, 수량 700천원, 매수 가격 지정 불가, 매도자 희망가 합의시에만 체결)
김철수 고객이 OO채권 매도 주문 전송(매도단가 : 10,231원, 수량 : 1,000천원)
홍길동 고객이 OO채권 매수 주문 전송(매수단가 : 10,231원, 수량 : 700천원)
이러한 상태에서 A증권사 처리 : 홍길동 고객 계좌에서 채권 매수 금액 인출하여 B 증권사로 전달한다(예탁결제원 Safe망 이용)
이후, B증권사는 홍길동 고객 계좌로 채권이 입고된다(예탁결제원 Safe망 이용).
B증권사 처리 : 매수 수량 만큼 채권 출고 A증권사에 전달한다(예탁결제원 Safe망 이용).
이후, A증권사는 매도 금액을 김철수 고객 계좌에 입금한다(예탁결제원 Safe망 이용).
동일회사간 체결 및 결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를 참조하면, 동일회사간 체결 및 결제에 대해서는 예탁결제원이 필요없다.
먼저, 가체결은 도 11의 타사간 거래와 동일한 케이스로 플랫폼 서버(110)에서 처리 후 실시간으로 해당 증권사 서버(400, 410)에 전송한다(S1210).
체결도 타사간 거래와 동일한 절차로 처리하며(S1220), 오후 4시에 체결 처리한다.
그리고, 결제시에 예탁 결제원의 Safe망 이용하지 않으며, 해당 증권사 서버(400, 410)의 내부 원장에서 결제 처리한다.
동일 증권사간 거래시 당일 결제 처리한다( 결국 플랫폼 이용 고객들은 전 증권사 계좌를 보유하고, 증권사가 상품을 많이 공급할수록 잘되는 구조가 자연스럽게 형성),
예시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동일 고객간 거래 예시 - A, B 증권사가 중개 플랫폼 참여를 가정한다.
A 증권사 김철수 고객 : OO채권 매도 요청(매도단가 : 10,231원, 수량 : 1,000천원)
A 증권사 홍길동 고객 : OO 채권 매수 희망(매수단가 : 10,231원, 수량 700천원, 매수 가격 지정 불가, 매도자 희망가 합의시에만 체결)
김철수 고객이 OO채권 매도 주문 전송(매도단가 : 10,231원, 수량 : 1,000천원)
홍길동 고객이 OO채권 매수 주문 전송(매수단가 : 10,231원, 수량 : 700천원)
이러한 상태에서 A증권사 처리(당일 체결/결제) : 홍길동 고객 계좌에서 채권 매수 금액 출금한다.
이후, 김철수계좌로 입금한다(A증권사 원장).
김철수 계좌에서 홍길동 계좌로 채권을 입고한다(A증권사 원장)
이하에서는 주문취소 과정을 설명힌다.
도 13을 참조하면, 매수주문 취소(S1311)의 경우, 취소 가능 시간은 주문 당일 오후 4시 전 까지만 가능하다. 그리고 전량 취소만 가능하다.
매도주문 취소(S1310)의 경우도, 전량취소만 가능하다.
매칭 전에는 24시간 취소 가능하고, 매칭 후에는 매칭 당일 4시 까지만 주문 취소 가능하다( 일부 체결 후 잔여 물량은 주문 취소 가능).
단말기(300, 301)로부터 매수주문 또는 매도주문 취소가 전송되면, 플랫폼 서버(110)는 가체결에 대해 체결취소를 하고, 취소 주문에 대한 각 증권사 서버(400, 410)로 전송 후, 취소처리 완료시 동결된 현금과 차감된 판매가능 수량을 취소 수량 만큼 원복 처리한다.
이하에서는 예약주문 체결 및 결제 과정중 타사간 거래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예약주문은 16시 ~ 익영업일 07:00 가능하다.
매수, 매도, 취소 등의 예약이 가능하다.
예약 매수의 경우(S1411), 기존 플랫폼 내 판매 게시 중인 채권의 예약 매수가 가능하다.
예약 매도의 경우(S1410), 채권 잔고 보유 고객이 예약 매도 주문이 가능하다.
주문 취소의 경우, 예약 주문 시간 내 가능하다(09:00 이후는 일반 주문 취소에서 주문취소).
가체결은 16시 이후 예약 주문 건에 대해 플랫폼 서버(110)에서 매도, 매수 주문을 가체결 상태로 익영업일 08:00 까지 보유한다(S1420).
그리고, 각 증권사 서버(400, 410)로의 주문 전송은 익영업일 08:00에 전송한다.
체결은 익 영업일 09시 이후 접수된 정규 주문과 동일한 프로세스로 처리한다.
결제의 경우, 익 영업일 정규 주문과 동일한 프로세스로 처리한다.
각 증권사 서버(400, 410)를 통해 한국예탁결제원시스템(600) Safe망을 통해 D+1일 결제를 진행한다(채권, 현금 교환, 타사간 거래시)
한편, 동일한 회사안에서의 거래시에는 당일 결제를 진행한다(세이프 망을 통하지 않고 각 증권사(400, 410)의 내부 원장에서 채권, 현금 이동)
A증권사 서버(400)는 A 증권사 직판 채권(S1432) 또는 A증권사 고객 매도채권(S1433)을 B증권사로 체결수량만큼(S1431) Safe망을 통해서 전달하고(S1430), B증권사 서버(410)는 홍길동 고객 계좌(S1436)에서 체결수량에 해당하는 만큼의 현금 인출 후(S1435) 예탁결제원 시스템(600)의 Safe망 통해서 A 증권사 서버(400)로 전달한다(S1434).
이하에서는 예약주문 체결 및 결제 과정중 동일 거래사간 거래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예약주문은 16시 ~ 익영업일 07:00 가능하다.
매수, 매도, 취소 등의 예약이 가능하다.
예약 매수의 경우(S1511), 기존 플랫폼 내 판매 게시 중인 채권의 예약 매수가 가능하다.
예약 매도의 경우(S1510), 채권 잔고 보유 고객이 예약 매도 주문이 가능하다.
주문 취소의 경우, 예약 주문 시간 내 가능하다(09:00 이후는 일반 주문 취소에서 주문취소).
가체결은 예약 주문 접수 후 중개플랫폼에서 가체결한다 (채권 잔고, 매수금액 동결)(S1520) 매도자와 매수자가 전부 동일 증권사인 경우에도, 가체결은 타사간 거래와 동일한 케이스로 플랫폼 서버(110)에서 처리 후 실시간으로 해당 증권사 서버(400, 410)에 전송한다.
체결은 익영업일 09시 이후 접수된 정규 주문과 동일하게 처리한다. 체결도 타사간 거래와 동일한 절차로 처리하며, 오후 4시에 체결 처리한다.
결제는 익 영업일 09시 이후 접수된 정규주문과 동일하게 처리한다. 상기 케이스의 경우 결제시 Safe망 이용하지 않는다. 즉, 해당 증권사 서버(400, 410)의 내부 원장 에서 결제 처리한다.
동일 증권사간 거래시 당일 결제 처리를 한다( 결국 플랫폼 이용 고객들은 전 증권사 계좌를 아마도 보유 상품 많이 공급할 수록 잘되는 구조가 자연스럽게 형성)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2)

  1. 증권사 직원이 증권사 직판채권을 등록하는 단계(s610);
    판매 채권 등록이 플랫폼 서버(110)에 저장 완료시점에 플랫폼 서버(110)는 해당 채권의 투자자문 콘텐츠의 기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620);
    투자자문 콘텐츠 미 등록 된 경우(S630), 상기 플랫폼 서버(110)는 투자 자문사 시스템에 콘텐츠 등록을 요청하여(S631) 수신한 후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하는 단계;
    투자자문 콘텐츠가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 된 경우(S640), 상기 플랫폼 서버(110)는 해당 판매채권 조회시에 상기 투자자문 콘텐츠를 노출하는 단계(S650)를 포함하고,

    플랫폼 서버(110)가 데이터베이스(120)를 참조하여 매도 희망고객이 선택한 채권에 대한 기등록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S820);
    고객은 판매 대상을 선택하는 단계(S830, S831);
    상기 플랫폼 서버(110)가 매도가능 여부 판독 값을 고객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S840);
    고객 간 거래 선택의 경우, 상기 플랫폼 서버(110)는 신용등급 A- 이상 + 플랫폼 운영사가 지정한 블랙리스트에 불 포함된 채권만 매도 주문을 허용하고,
    증권사 즉시판매 선택의 경우, 상기 플랫폼 서버(110)가 플랫폼 참여 증권사로부터 특정 채권, 특정 가격, 수량 지정 후 등록받고, 고객 매도 희망 채권과 매칭시에 증권사 대상 매도를 허용하는 단계;
    매도 가능한 경우, 상기 플랫폼 서버(110)가 고객 단말기(301)로부터 매도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850);
    고객이 단말기(301)로 잔고에서 보유 채권 중 매도하고자 하는 채권을 선택하고, 주문을 누르면, 플랫폼 서버(110)로 매도 정도가 전송되는 단계(S860);
    상기 플랫폼 서버(110)가 매도주문을 수신하고, 해당 증권사 서버에 매도 정보를 전송하여 증권사 원장의 매도 채권의 잔고를 동결하는 단계(S8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는 민평 3사 금리, 최근 동일 채권 플랫폼 內 체결가격, 채권투자자문 콘텐츠 평가 리포트(매도추천가격, 매도 의견(매도, 보유)를 포함하고,
    상기 채권 잔고가 동결되면, 장내매도, 담보 등록 등이 불가하고, 증권사 서버는 증권사 원장에서 잔고 동결 처리 후에 결과값을 상기 플랫폼 서버(11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매수 희망 고객이 단말기(300)로 판매채권조회를 하면(S910), 상기 플랫폼 서버(110)가 데이터베이스(120)를 참조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S920);
    고객이 단말기(300)로 판매채권으로 등록된 상품 중 원하는 채권 선택 후 매수를 결정하면(S930),
    매수 1단계로 고객은 단말기(300)로 매수채권선택후 가입 금액을 입력하고(S940),
    고객은 단말기(300)로 매수 2단계로 플랫폼 서버(110)로부터 투자설명서를 제공받고, 유의사항을 읽고 동의를 하며, 투자성향을 입력 및 등록하고(S950),
    고객이 단말기 앱에서 매수 3단계로 자신의 주문 정보 확인 후 주문 버튼을 클릭하는 단계(S960);
    단말기가 고객이 입력한 주문 정보를 플랫폼 서버(110)로 전송하고, 상기 플랫폼 서버(110)는 매도 채권과 주문정보를 매칭하여 가체결하는 단계(S9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매채권조회를 하면, 판매 증권사명, 판매 주체, 개인의 경우 아이디 일부, 채권명, 판매금리, 수량을 포함한 정보가 조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증권사 담당자가 증권사 서버를 통해 플랫폼 서버(110)에 접속하여 매입 채권 리스트를 등록하면 플랫폼 서버(110)가 매수 채권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후 등록완료하는 단계(S1010);
    증권사 담당자가 증권사 서버로 매수 채권 리스트 등록 완료시 매수 주문을 플랫폼 서버(110)에 전송하는 단계;
    고객이 단말기(300)로 증권사 매도 선택 후 주문 전송하면(S860), 플랫폼 서버(110)가 매도 주문을 수신하는 단계(S1040);
    상기 플랫폼 서버(110)는 데이터베이스(120)에 기등록된 증권사 매입 채권 리스트 매수 종목과 고객의 매도 주문을 매칭하여 가체결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서버(110)가 매수 채권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후 등록완료하는 단계(S1010)에서,
    플랫폼 참여 증권사는 특정 채권, 특정가격을 포함한 채권 리스트를 등록하여 매수 주문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고객 or 증권사 담당자가 직접 주문 접수한 건을 플랫폼 서버(110)에서 주문 PooL에 보관했다고 매칭하여 가체결을 하는 단계(S1110);
    가체결 결과를 수신한 각 증권사 서버(400, 410)는 당일 오후 4시에 최종 체결 확정 후 Safe 망을 통하여 예탁 결제원 시스템(500)의 익영업일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S1120);
    익일 결제 시점에 한국예탁결제원 시스템(500)의 Safe 망을 이용하여 채권 보유 증권사와 매수 고객 증권사간 현금과 채권 교환이 이루어지는 단계;
    결제는 각 증권사 서버를 통해 한국예탁결제원 시스템(600)의 Safe망을 통해 D+1일 결제 진행이 되는 단계;
    A증권사 직판 채권(S1132)에 대해선 A 증권사 서버(400)가 보유 채권을 체결수량만큼 Safe망을 통해서 B증권사 서버(410)로 전달하는 단계(S1130);
    B증권사 서버(410)가 소정의 고객 계좌(S1136)에서 체결수량에 해당하는 만큼의 현금 인출 후(S1135) Safe망 통해서 A 증권사 서버(400)로 전달하는 단계(S1134)를 더 포함하고,
    가체결 규칙은 시간 > 수량 > 동일 증권사 우선> 비율배분 > 잔여수량 동일증권사 우선 배정(배분 불가 수량 1,2 주 발생시)> 랜덤(동일증권사 없거나 전부 동일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예약 매수를 수신하는 단계(S1511);
    예약 매도를 수신하는 단계(S1510);
    예약 매수 및 예약 매도를 매칭하여 중개플랫폼 서버에서 가체결하는 단계;
    체결은 익영업일 09시 이후 접수된 정규 주문과 동일하게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매수자 단말기, 매수자 증권사 시스템, 매도자 단말기, 매도자 증권사 시스템과 네트워크망을 통해 통신을 하는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채권에 대한 콘텐츠 정보, 채권의 매도 정보, 채권의 매수 정보, 가매칭 정보,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20);
    상기 데이터베이스(120)를 참조하여 상기 매수자 또는 매수자 증권사 시스템과 매도자 또는 매도자 증권사 시스템 간의 채권 매매를 중개하는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제1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KR1020190085570A 2019-07-16 2019-07-16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177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570A KR102177772B1 (ko) 2019-07-16 2019-07-16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570A KR102177772B1 (ko) 2019-07-16 2019-07-16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927A Division KR102244968B1 (ko) 2020-11-05 2020-11-05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772B1 true KR102177772B1 (ko) 2020-11-11

Family

ID=73451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570A KR102177772B1 (ko) 2019-07-16 2019-07-16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7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741B1 (ko) * 2022-09-01 2023-11-29 주식회사 한국증권대차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284A (ko) * 2014-11-04 2016-05-12 배성한 증권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11680A (ko) * 2016-07-25 2018-02-02 이대수 투자 정보 제공방법 및 투자 정보 제공서버
KR20180070943A (ko) * 2016-12-19 2018-06-27 주식회사 얼라이브소프트 투자 매칭 중개 플랫폼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284A (ko) * 2014-11-04 2016-05-12 배성한 증권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11680A (ko) * 2016-07-25 2018-02-02 이대수 투자 정보 제공방법 및 투자 정보 제공서버
KR20180070943A (ko) * 2016-12-19 2018-06-27 주식회사 얼라이브소프트 투자 매칭 중개 플랫폼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741B1 (ko) * 2022-09-01 2023-11-29 주식회사 한국증권대차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62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loyalty points for acquisitions
US20020010685A1 (en) Electronic exchange apparatus and method
KR20170142374A (ko) 가상화폐를 이용한 송금 시스템 및 방법
JP2001243386A (ja) 電子ウォレットによる商取引代行処理を使用して電子商取引を実行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8123475A (ja) オンラインクーポン流通方法
US20010047329A1 (en) Electronic exchange apparatus and method
US202000744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stable cryptocurrency
TW2008051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yment without payment card infrastructure
US20100217702A1 (en) Electronic System for Coordinating Contracts Relating to Property
KR102366405B1 (ko) 상품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77772B1 (ko)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200587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anonymous payment processing of virtual assets or services
KR102180829B1 (ko) 셀러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95426A (ko) 전자 상거래에서의 상품 판매방법
KR102244968B1 (ko) 채권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30558A (ko) 암호 화폐 거래소의 타거래소 연동거래 운영 방법
KR100774261B1 (ko) 보상 처리가 가능한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KR20080084874A (ko) 아이템 구매 대행 장치와 그 방법, 게임 서비스 시스템,아이템 구매 대행을 위한 pc방 관리 장치
KR20020001640A (ko) 인터넷 상의 담보대출 거래 방법 및 거래 장치
JP2007219569A (ja) 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
KR20000054806A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임대차 중개 방법
KR102638698B1 (ko) 블록체인 기반 리셀 상품 거래 방법
US20080147532A1 (en) System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Tax Credits
US20230267543A1 (en) Trackable product interest system and method
CN101438298A (zh) 使用电子网络上的点数的微交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