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701B1 - 염전용 소금채집 장치 - Google Patents

염전용 소금채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701B1
KR102177701B1 KR1020190025506A KR20190025506A KR102177701B1 KR 102177701 B1 KR102177701 B1 KR 102177701B1 KR 1020190025506 A KR1020190025506 A KR 1020190025506A KR 20190025506 A KR20190025506 A KR 20190025506A KR 102177701 B1 KR102177701 B1 KR 102177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rod
bracket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7041A (ko
Inventor
정영민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디오션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디오션이엔지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디오션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025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701B1/ko
Publication of KR20200107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전용 소금채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무환궤도를 회전시켜 주행할 수 있도록 된 주행 본체와, 채집대상 소금을 밀어 모을 수 있게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밀대와, 주행 본체와 밀대 사이에 결합되되 주행본체에 대한 밀대의 배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방향 조정유니트와, 무한궤도를 회전시킬 수 있게 주행본체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회전륜을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주행본체의 주행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조작부와,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염전용 소금채집 장치에 의하면,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하고 미끄럼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면서 작업자의 채집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지원한다.

Description

염전용 소금채집 장치{salt coll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염전용 소금채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주행본체를 주행시키면서 밀대를 통해 소금을 채집할 수 있도록 된 염전용 소금채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에서 얻어지는 천일염은 바닷가에 염전을 만들어 밀물이 들어오면 이를 염전에 가두어 두고 햇볕에 노출시켜 증발시키면 바닷물에 함유된 염분이 결정되어 소금으로 만들어진 것을 말한다. 이러한 천일염을 생산하는 염전은 저수지와 증발지 그리고 결정지와 함께 염퇴장, 도로 등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염전의 결정지에서 생산된 소금은 인력에 의해 채집된 후 염전 내의 소로를 통해 이송되어 염퇴장에 저장되고, 염퇴장에 저장되어 있는 동안 소금에 함유되어 있는 간수가 빠져나간 소금은 일정단위로 포장되어 시장에 출고된다.
한편, 결정지의 소금을 한 곳에 채집할 때에는 밀대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작업하였으나, 이러한 작업은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3868호에는 바퀴를 통해 이동하면서 소금을 채집할 수 있는 소금 채집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작업자의 채집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장판이 깔린 결정지의 경우 바퀴의 미끄럼 발생에 의해 장비 이동이 용이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작업자의 소금 채집 작업이 용이하며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할 수 있으면서 미끄럼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염전용 소금채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염전용 소금채집 장치는 무한궤도를 회전시켜 주행할 수 있도록 된 주행 본체와; 채집대상 소금을 밀어 모을 수 있게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밀대와; 상기 주행 본체와 상기 밀대 사이에 결합되되 상기 주행본체에 대한 상기 밀대의 배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방향 조정유니트와; 상기 무한궤도를 회전시킬 수 있게 상기 주행본체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회전륜을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주행본체의 주행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륜은 상호 대향되게 이격되며 원형상으로 일정 두께를 갖게 형성된 복수개의 회전 원판과; 상기 회전 원판들을 상호 결합하도록 상기 회전원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결합된 복수개의 간섭봉;을 구비하고, 상기 무한궤도는 상기 간섭봉이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게 내주면에 간섭봉 수용홈이 연장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향 조정유니트는 상기 주행본체의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게 일단이 제1힌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하 회동 브라켓과; 상기 상하 회동브라켓에 결합된 제1로드를 진퇴시켜 상기 상하 회동 브라켓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제1실린더와; 상기 밀대의 중앙에 결합되되 상기 밀대가 상기 상하 회동 브라켓에 대해 좌우로 회동될 수 있게 제2힌지를 통해 상기 상하 회동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서브 브라켓과; 상기 상하 회동 브라켓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2힌지에 대해 이격되는 위치의 상기 서브 브라켓에 제2로드를 결합시켜 상기 밀대를 좌우로 회동시키는 제2실린더와; 상기 상하 회동 브라켓의 타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2힌지를 기준으로 상기 제2로드의 결합위치 맞은편의 상기 서브 브라켓에 제3로드를 결합시켜 상기 밀대를 좌우로 회동시키는 제3실린더;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밀대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판형부분과; 상기 판형부분의 양단에서 각각 멀어지게 연장되되 상기 주행본체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1 및 제2사이드 모음부분과;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모음부분 주변의 벽체와 접촉시 구름운동할 수 있게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모음부분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 접촉 가이드 롤러와; 상기 판형부분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구부림의 허용이 가능하게 연장되어 소금을 밀어내는 유연 밀착부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주행본체는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상호 이격된 손잡이부분;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주행본체에 장착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부에는 비상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 스위치가 조작되면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되게 처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전용 소금채집 장치에 의하면,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하고 미끄럼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면서 작업자의 채집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지원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용 소금채집 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회전륜 보호커버가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염전용 소금채집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주행본체 저면이 노출되게 염전용 소금채집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주행본체의 상부 커버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염전용 소금채집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회전륜과 무한궤도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발췌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염전용 소금채집 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소금채집 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소금채집 장치(100)는 주행본체(110), 밀대(140), 방향 조정유니트(150), 구동부(170), 조작부(180), 표시부(191) 및 제어부(195)를 구비한다.
주행본체(110)는 무한궤도(120)를 회전시켜 주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주행 본체(110)는 프레임(112), 상부커버(113), 회전륜(114), 무한궤도(120)를 구비한다.
프레임(112)은 차체를 형성하며 회전륜(114)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부분(112a)과, 베이스부분(112a)의 후방에서 상방으로 상호 이격되게 연장된 수직바부분(112b)과, 수직바부분(112b)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되 상호 이격폭이 멀어지게 연장된 수평바부분(112c)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수평바부분(112c)은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 부분에 해당한다.
상부커버(113)는 베이스 부분(112a)의 상부와 수직바부분(112b)의 일부를 외부에 대해 차폐시켜 내부에 장착된 요소를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베이스 부분(112a)의 상면에 장착된 배터리(131)는 상부 커버(113) 내에 차폐되게 보호된다. 참조부호 118은 조명용으로 장착된 조명등이다.
회전륜(114)은 프레임(11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회전륜(114)은 프레임(112)의 베이스부분(112a) 좌측과 우측에 상호 이격되게 각각 2개씩 4개가 마련되어 있다. 회전륜(114)은 각각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회전륜(114)은 상호 대향되게 이격되며 원형상으로 일정 두께를 갖게 형성된 두 개의 회전 원판(115)과, 두 개의 회전 원판(115)들을 상호 대향되는 상태로 이격되게 결합하도록 회전원판(115)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결합된 복수개의 간섭봉(116)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간섭봉(116)은 회전원판(115)의 이격거리보다 더 길게 적용되어 회전원판(115)보다 더 연장되게 되어 있다.
회전륜(114) 중 베이스부분(112a)의 좌측이 하나와, 우측의 하나는 구동부(17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정역 회전할 수 있게 회전축(117a)(117b)과 결합되어 되어 있다.
무한궤도(120)는 좌측의 두 개의 회전륜(114)과 우측의 두 개의 회전륜(114)에 각각 결합되며 일정폭을 갖는 띠의 양단이 상호 접합되어 무한 회전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무한궤도(120)는 적절한 경도를 갖는 고무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무한궤도(120)는 외주면의 중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인입된 배수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무한궤도(120)의 내주면에는 연장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간섭봉(116)이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게 내주면에 간섭봉 수용홈(123)이 연장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무환궤도(120)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륜(114)의 가장자리가 진입되어 수용될 수 있게 내측으로 인입된 륜삽입홈(125)이 회전륜(114)의 이격간격에 대응되게 이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28은 회전륜(114)을 외부에 대해 차폐시켜 보호하도록 프레임(110)에 결합된 사이드 커버(128)이다.
이러한 주행본체(110)의 주행구조에 의하면 무한궤도(120)에 의해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하고 미끄럼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밀대(140)는 주행본체에 장착된 방향조정유니트(150)를 통해 방향조정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밀대(140)는 채집대상 소금을 밀어 모을 수 있게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밀대(140)를 구분하면,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판형부분(141)과, 판형부분(141)의 양단에서 각각 멀어지게 연장되되 주행본체(110)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1 및 제2사이드 모음부분과(142)(143)과, 제1 및 제2 사이드 모음부분(142)(143) 주변의 벽체와 접촉시 구름운동할 수 있게 제1 및 제2사이드 모음부분(142)(143)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 접촉 가이드 롤러(144)(145)와, 판형부분(14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구부림의 허용이 가능하게 연장되어 소금을 밀어내는 유연 밀착부분(146)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유연밀착부분(146)은 다수의 플렉서블한 모가 상호 밀착되게 어레이된 브러시구조로 되어 있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구부림이 허용가능한 고무판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방향 조정유니트(150)는 주행 본체(110)와 밀대(140) 사이에 결합되되 주행본체(110)에 대한 밀대(140)의 배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방향 조정유니트(150)는 상하 회동 브라켓(152), 제1실린더(161), 서브 브라켓(158), 제2 및 제3실린더(162)(163)을 구비한다.
상하 회동 브라켓(152)은 프레임(112)의 베이스부분(112a) 전방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게 일단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제1힌지(15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하 회동 브라켓(152)은 후술되는 제2 및 제3 실리더(162)(163)을 양측에 탑재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제1실린더(161)은 프레임(112)의 베이스부분(112a)저면에 본체가 장착되어 상하 회동브라켓(152)에 결합된 제1로드(61a)를 진퇴시켜 상하 회동 브라켓(152)을 제1힌지(155)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시켜 상하 회동브라켓(152)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서브 브라켓(158)은 밀대의 중앙에 결합되어 있고, 밀대(140)가 상하 회동 브라켓(152)에 대해 좌우로 회동될 수 있게 제2힌지(156)를 통해 상하 회동브라켓(15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서브 브라켓(158)은 판형부분(141)의 전면과 상면 및 후면을 감싸는 홀딩부분(158a)과, 홀딩부분(158a)의 하단으로부터 상하 회동브라켓(152)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가이드부분(158b)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고, 결합가이드부분(158b)의 중앙에 제2힌지(156)를 통해 상하 회동브라켓(152)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2실린더(162)는 상하 회동 브라켓(152)의 일측에 장착되며 제2힌지(156)에 대해 이격되는 위치의 서브 브라켓(158)에 제2로드(162a)를 결합시켜 밀대(140)를 좌우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3실린더(163)는 상하 회동 브라켓(152)의 타측에 장착되며 제2힌지(156)를 기준으로 제2로드(162a)의 결합위치 맞은편의 서브 브라켓(158)에 제3로드(163a)를 결합시켜 밀대(140)를 좌우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동부(180)는 주행본체(110)에 장착된 배터리(13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동부(170)는 무한궤도(120)를 회전시킬 수 있게 주행본체(110)의 프레임(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회전륜(114) 중 구동용으로 적용된 회전륜(114)에 각각 결합된 회전축(117a)(117b)을 정역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동부(170)는 회전축(117a)(117b)을 각각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와 모터에서 생성된 동력을 회전축(117a)(117b)에 각각 전달하는 동력전달요소로 구축될 수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구동부(170)는 회전륜(114)에 각각 장착되어 회전륜(114)을 독립적으로 정역 회전시키는 림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조작부(180)는 주행본체(110)의 주행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전원 온/오프 키, 전진/후진 조작키, 방향회전 조작키, 속도 조정키, 밀대 상승/하강 조작키, 밀대 좌우 틸킹 조작키, 비상스위치(181) 등 지원되는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표시부(191)는 제어부(195)에 제어되어 표시정보를 표시한다.
제어부(195)는 조작부(180)의 조작신호에 따라 구동부(170)를 제어한다. 제어부(195)는 배터리(131)의 잔량을 체크하는 배터리 잔량 체크센서(미도시)로부터 검출된 잔량정보를 표시부(191)를 통해 표시되게 처리한다. 또한, 제어부(195)는 전진 조작키가 조작되면 설정된 속도로 주행본체(110)가 전진되게 구동부(170)를 제어하고, 후진 조작키가 조작되면 주행본체(110)가 후진되게 구동부(170)를 제어하며, 방향회전 조작키가 조작되면 조작된 방향으로 주행본체(110)가 회전되게 구동부(17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95)는 밀대 상승/하강 조작키가 조작되면 제1실린더(161)를 제어하여 설정된 회동방향으로 상하 회동브라켓이 회동되게 제어하고, 밀대 좌우 틸킹 조작키가 조작되면 제2실린더 또는 제3실린더를 제어하여 설정된 좌우 방향으로 밀대(140)가 회전되게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95)는 비상 스위치(181)가 조작되면, 배터리(131)로부터 구동부(17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된 전력공급 스위치(135)를 오프되게 제어하여 구동부(170)로의 전력공급이 강제적으로 차단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염전용 소금채집 장치는 주행본체(110)의 수평바부분(112c)을 양손으로 잡고 조작부(180)를 조작하여 주행하면서 밀대(14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 또는 승하강 시켜 소금채집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염전용 소금채집 장치에 의하면,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하고 미끄럼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면서 작업자의 채집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지원한다.
110: 주행본체 140: 밀대
150: 방향 조정유니트 170: 구동부
180: 조작부 195: 제어부

Claims (5)

  1. 무한궤도를 회전시켜 주행할 수 있도록 된 주행 본체와;
    채집대상 소금을 밀어 모을 수 있게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밀대와;
    상기 주행 본체와 상기 밀대 사이에 결합되되 상기 주행본체에 대한 상기 밀대의 배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방향 조정유니트와;
    상기 무한궤도를 회전시킬 수 있게 상기 주행본체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 개의 회전륜을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주행본체의 주행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륜은
    상호 대향되게 이격되며 원형상으로 일정 두께를 갖게 형성된 복수 개의 회전 원판과;
    상기 회전 원판들을 상호 결합하도록 상기 회전원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결합된 복수개의 간섭봉;을 구비하고,
    상기 무한궤도는 상기 간섭봉이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게 내주면에 간섭봉 수용홈이 연장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일정폭을 갖는 띠의 양단이 상호 접합되어 무한회전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의 중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인입된 배수홈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륜의 가장자리가 진입되어 수용될 수 있게 내측으로 인입된 륜삽입홈이 상기 회전륜의 이격간격에 대응되게 이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향 조정유니트는
    상기 주행본체의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게 일단이 제1힌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하 회동 브라켓과;
    상기 상하 회동브라켓에 결합된 제1로드를 진퇴시켜 상기 상하 회동 브라켓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제1실린더와;
    상기 밀대의 중앙에 결합되되 상기 밀대가 상기 상하 회동 브라켓에 대해 좌우로 회동될 수 있게 제2힌지를 통해 상기 상하 회동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서브 브라켓과;
    상기 상하 회동 브라켓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2힌지에 대해 이격되는 위치의 상기 서브 브라켓에 제2로드를 결합시켜 상기 밀대를 좌우로 회동시키는 제2실린더와;
    상기 상하 회동 브라켓의 타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2힌지를 기준으로 상기 제2로드의 결합위치 맞은편의 상기 서브 브라켓에 제3로드를 결합시켜 상기 밀대를 좌우로 회동시키는 제3실린더;를 구비하며,
    상기 밀대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판형부분과;
    상기 판형부분의 양단에서 각각 멀어지게 연장되되 상기 주행본체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1 및 제2사이드 모음부분과;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모음부분 주변의 벽체와 접촉시 구름운동할 수 있게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모음부분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 접촉 가이드 롤러와;
    상기 판형부분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구부림의 허용이 가능하게 연장되어 소금을 밀어내는 유연 밀착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주행본체는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상호 이격된 손잡이부분;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주행본체에 장착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부에는 비상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 스위치가 조작되면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되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소금채집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25506A 2019-03-06 2019-03-06 염전용 소금채집 장치 KR102177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506A KR102177701B1 (ko) 2019-03-06 2019-03-06 염전용 소금채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506A KR102177701B1 (ko) 2019-03-06 2019-03-06 염전용 소금채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041A KR20200107041A (ko) 2020-09-16
KR102177701B1 true KR102177701B1 (ko) 2020-11-11

Family

ID=72669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506A KR102177701B1 (ko) 2019-03-06 2019-03-06 염전용 소금채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7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336B1 (ko) * 2023-07-18 2023-10-11 양윤근 친환경 충격흡수용 무한궤도 및 이를 구비한 소금 채집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489B1 (ko) * 2013-12-06 2014-02-12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염전용 소금수집기
KR101792670B1 (ko) * 2016-07-22 2017-11-01 퍼스텍주식회사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무한궤도 구동장치
KR200487299Y1 (ko) * 2017-03-23 2018-08-31 이재복 전동식 대파
KR200488317Y1 (ko) * 2018-10-24 2019-01-1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견인장치용 소금밀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489B1 (ko) * 2013-12-06 2014-02-12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염전용 소금수집기
KR101792670B1 (ko) * 2016-07-22 2017-11-01 퍼스텍주식회사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무한궤도 구동장치
KR200487299Y1 (ko) * 2017-03-23 2018-08-31 이재복 전동식 대파
KR200488317Y1 (ko) * 2018-10-24 2019-01-1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견인장치용 소금밀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336B1 (ko) * 2023-07-18 2023-10-11 양윤근 친환경 충격흡수용 무한궤도 및 이를 구비한 소금 채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041A (ko)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0370B2 (ja) 路面処理用の自走式道路切削機、及び路面処理方法
KR102177701B1 (ko) 염전용 소금채집 장치
KR100794379B1 (ko) 보도블럭 절단장치
US7937857B2 (en) Ground-working machine
EP2563111B1 (en) Laying and fixing coverings on cultivated areas
JP6913992B2 (ja) 斜面作業車両用走行制御装置
US11427972B2 (en) Compactor drum edge indication device
JP6611094B2 (ja) 斜面作業車両用走行制御装置
JP5601715B2 (ja) 土壌通気装置
JP3364649B2 (ja) 歩行型管理機の走行装置
JP2001008501A (ja) 歩行型管理機の走行装置
JP3364647B2 (ja) 歩行型管理機
US20120212033A1 (en) Road Grinding Machine
JP3371907B2 (ja) 歩行型管理機の走行装置
KR102588336B1 (ko) 친환경 충격흡수용 무한궤도 및 이를 구비한 소금 채집장치
JP2004041031A (ja) 畦立て作業機
JP3386423B2 (ja) 歩行型管理機の走行装置
KR101169985B1 (ko) 도로표시 제거장치
JP2010024750A (ja) 除雪機
JP2007023755A (ja) 舗装路面切削機
JP2018166459A (ja) 雑草処理装置
JP2003164201A (ja) 隔離栽培用耕耘機
JP2023503468A (ja) 床切断機
JP2869640B2 (ja) 栽培ベッド用耕作装置
JP2005096533A (ja) ターンテーブ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