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298B1 - 정수기용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298B1
KR102177298B1 KR1020190064521A KR20190064521A KR102177298B1 KR 102177298 B1 KR102177298 B1 KR 102177298B1 KR 1020190064521 A KR1020190064521 A KR 1020190064521A KR 20190064521 A KR20190064521 A KR 20190064521A KR 102177298 B1 KR102177298 B1 KR 102177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member
water purifier
coupled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휘동
김재영
신성철
서상현
김석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씨엠
Priority to KR1020190064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정수기용 밸브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밸브는 유로가 결합될 수 있는 유로연결부가 구비된 연결본체; 및 전원 단자가 구비되며, 연결본체에 결합되어 유로연결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개폐부재는 연결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본체에 결합된다.

Description

정수기용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WATER PURIFIER VALV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기용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용 밸브의 전원 단자와 정수기 내부의 부품들과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는 정수기용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정수 탱크와, 정수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미리 정해진 온도로 냉각된 상태로 저장하는 냉수 탱크와, 정수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미리 정해진 온도로 가열된 상태로 저장하는 온수 탱크와,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부재 및,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탱크에 저장된 물은 취수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정수기는 냉수뿐만 아니라 얼음을 제조, 공급하는 제빙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정수기에는 얼음 제조 장치가 설치된다.
한편, 정수기는 물을 정수하기 위해 각종 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물이 호스 또는 파이프와 같은 유로를 따라 필터로 이동 후 필터에서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로는 다양한 방식으로 필터에 연결 내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유로을 따라 이동하는 물은 정수기용 밸브에 의해 흐름이 유지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즉, 정수기에는 물의 흐름을 유지시키거나 또는 차단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기용 밸브에는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포함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경우, 밸브에 전원 단자가 구비된 개폐부재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정수기의 전체 크기가 작아지는 경우 정수기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과 정수기용 밸브의 개폐부재에 구비된 전원 단자가 서로 부딪혀 간섭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제20-2013-0000397호(공개일자:2013년01월16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원 단자가 구비된 개폐부재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정수기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용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로가 결합될 수 있는 유로연결부가 구비된 연결본체; 및 전원 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연결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연결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밸브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지지부재는, 상기 연결본체에 결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부; 및 상기 받침부와 상기 지지부에 각각 결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이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받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개폐부재의 측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절곡되게 연장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분에는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 정도 또는 회전 방향이 표시되는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의 상측에는 수용돌기 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하측에는 상기 받침부의 상기 수용돌기 또는 상기 수용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의 상기 수용돌기 또는 상기 수용홈에 대응되는 수용홈 또는 수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돌기 또는 상기 수용홈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곡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에는 제1 스토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에는 상기 제1 스토퍼 돌기가 접촉하도록 마련된 제2 스토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측에는 곡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의 곡선의 가장자리의 둘레에는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상측에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정수기용 밸브를 포함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원 단자가 구비된 개폐부재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전원 단자가 정수기 내부의 여분의 공간으로 회전함에 따라 정수기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과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밸브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밸브에서 전원 단자에 전기 커넥터가 연결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밸브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밸브에서 개폐부재의 하측에 수용홈이 형성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밸브의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밸브를 포함하는 정수기(미도시)는,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정수 탱크(미도시)와, 정수 탱크(미도시)로부터 공급된 물을 냉각된 상태로 저장하는 냉수 탱크(미도시)와, 정수 탱크(미도시)로부터 공급된 물을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 탱크(미도시)와, 정수기용 밸브를 포함한다.
정수 탱크(미도시)는 다양한 정수 방식, 예를 들어, 활성탄 흡착방식, 여과방식, UF(Ultra Filter), NF(Nano Filter), RO(Reverse Osmosis;역삼투) 등에 의해 정수된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냉수 탱크(미도시) 또는 온수 탱크(미도시)에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정수 탱크(미도시)로부터 냉수 탱크(미도시) 또는 온수 탱크(미도시)로 공급되는 물은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즉, 냉수 탱크(미도시) 또는 온수 탱크(미도시)의 수위가 일정치 이하로 떨어지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며, 정수 탱크(미도시)에 저장된 정수가 냉수 탱크(미도시) 또는 온수 탱크(미도시)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생수 탱크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생수기의 경우, 전술한 정수 탱크(미도시)는 생수 탱크로 대체될 수 있고, 수돗물 등의 원수를 직접 이용하는 경우에는 정수 탱크(미도시)를 생략하고 원수를 곧바로 냉수 탱크(미도시)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미도시)는 정수 필터(20)에 의해 필터링된 물이 정수 탱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냉수 탱크(미도시)는 냉수를 저장하며, 순환 펌프와 공급유로에 의해 냉수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냉수 탱크(미도시)에 저장된 냉수는 취수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온수 탱크(미도시)는 정수 탱크(미도시)로부터 공급된 물이 열선과 같은 통상적인 가열 부재(미도시)를 통해 가열되어 미리 설정된 온도로 승온된 후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온수 탱크(미도시)에 저장된 온수는 취수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정수기용 밸브(10)는 유로를 개폐하여 물의 흐름을 유지시키거나, 물의 흐름을 차단한다. 이하, 정수기용 밸브(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밸브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밸브에서 전원 단자에 전기 커넥터가 연결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밸브(10)는, 연결본체(100)와, 개폐부재(200)를 포함한다.
연결본체(100)는 유로가 결합될 수 있는 유로연결부(110)가 구비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로연결부(110)는 연결본체(100)로 유입되는 물이 이동하는 유로가 연결되는 제1 유로연결부(110a)와, 연결본체(100)로 부터 유출되는 물이 이동하는 유로가 연결되는 제2 유로연결부(110b)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유로연결부(110b)를 통해 물이 연결본체(100)로 유입되고, 제1 유로연결부(110a)를 통해 물이 연결본체(100)로부터 유출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연결본체(100)에는 유로연결부(110)를 개폐하는 개폐부재(200)가 결합된다.
개폐부재(200)는 연결본체(100)에 결합되어 유로연결부(110), 예를 들어 제1 유로연결부(110a)와, 제2 유로연결부(110b)를 개폐한다. 개폐부재(200)는 전원 단자(210)가 구비되며 전원에 의해 작동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전원 단자(210)에는 개폐부재(2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40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200)는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개폐부재(200)는 연결본체(10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본체(100)에 결합된다.
회전지지부재(300)는 연결본체(100)에 결합되어 개폐부재(20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회전지지부재(300)는 받침부(310)와, 지지부(320)와, 회전축(3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받침부(310)는 연결본체(100)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받침부(310)는 연결본체(10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320)는 받침부(310)로부터 연장된다. 지지부(320)는 예를 들어, 제1 부분(321)과 제2 부분(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321)은 받침부(31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되, 개폐부재(200)의 측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부분(321)은 개폐부재(200)의 측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2 부분(322)은 제1 부분(321)으로부터 절곡되게 연장되어 개폐부재(20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부(320)는 제1 부분(321)과 제2 부분(322)에 의해 대략 'ㄱ'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2 부분(322)에는 개폐부재(200)의 회전 정도 또는 회전 방향이 표시되는 표시부(327)가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327)에는 예를 들어 숫자가 기재될 수 있다. 회전축(330)은 받침부(310)와 지지부(320)에 각각 결합된다. 예를 들어, 회전축(330)은 상측에서 지지부(320)의 제2 부분(322)에 결합되고, 하측에서 받침부(3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축(330)은 제2 부분(322) 및 받침부(310)와 분리되도록 제작된 후 개폐부재(200)에 결합되어 제2 부분(322) 및 받침부(310)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200)는 회전축(33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회전축(3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폐부재(200)에는 중공(220)이 형성되고, 회전축(330)이 중공(220)에 삽입되어 개폐부재(200)가 회전축(330)에 대해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밸브(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개폐부재(200)는 회전지지부재(300)의 회전축(330)에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부재(200)가 회전하면 개폐부재(200)에 구비된 전원 단자(210) 역시 개폐부재(200)와 함께 회전한다. 정수기 내부에는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개폐부재(200)를 회전시켜 개폐부재(200)에 구비된 전원 단자(210)와, 전원 단자(210)에 결합된 전기 커넥터(400, 도 3 참조)를 정수기 내부의 여분의 공간으로 이동시키며, 이에 의해, 전원 단자(210)와 전기 커넥터(400)가 정수기 내부의 각종 부품들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밸브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밸브에서 개폐부재의 하측에 수용홈이 형성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밸브(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밸브(1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제2 실시예의 경우, 받침부(310)의 상측에 수용돌기(311)가 형성되고, 개폐부재(200)의 하측에 수용홈(230)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지지부재(300)의 받침부(310)의 상측에는 수용돌기(311)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지지부재(300)의 받침부(310)의 상측에 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회전지지부재(300)의 받침부(310)의 상측에 수용돌기(311)가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개폐부재(200)의 하측에는 회전지지부재(300)의 받침부(310)의 수용돌기(3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310)의 수용돌기(311)에 대응되는 수용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재(200)의 하측에 수용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개폐부재(200)의 하측에 수용홈(230)이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즉, 개폐부재(200)가 회전하면 회전지지부재(300)의 받침부(310)에 형성된 수용돌기(311)가 개폐부재(200)의 하측에 형성된 수용홈(230)에 결합되며, 이에 의해, 개폐부재(200)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받침부(310)의 수용돌기(311)와 개폐부재(200)의 수용홈(230)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곡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돌기(311)는 구(球) 형상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용홈(230)도 구(球) 형상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받침부(310)의 수용돌기(311)와 개폐부재(200)의 수용홈(230)이 부드러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면, 수용돌기(311)가 수용홈(2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벼운 힘으로 개폐부재(200)를 회전시키는 경우 수용홈(230)에 수용된 수용돌기(311)가 수용홈(23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개폐부재(200)를 회전시키는 경우 수용돌기(311)가 수용홈(230)에 수용되면 개폐부재(200)의 회전이 중단되어 고정될 수 있고, 또한, 특별한 장치없이도 사용자가 수용홈(230)에 수용된 수용돌기(311)를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실시예는 개폐부재(200)의 회전도 용이하고, 또한, 개폐부재(200)의 특정 위치에서의 고정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개폐부재(200)에는 제1 스토퍼 돌기(240)가 형성되고, 회전지지부재(300)의 지지부(320)의 제2 부분(322)에는 제1 스토퍼 돌기(240)가 접촉하도록 마련된 제2 스토퍼 돌기(328)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재(200)가 회전시 개폐부재(200)의 제1 스토퍼 돌기(240)가 제2 부분(322)에 형성된 제2 스토퍼 돌기(328)에 접촉되어 개폐부재(200)의 회전이 중지된다. 즉, 제1 스토퍼 돌기(240)와 제2 스토퍼 돌기(328)는 개폐부재(200)의 회전의 범위를 제한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개폐부재(200)에 구비된 전원 단자(210)는 직선형으로 형성된 제1 실시예와 달리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개폐부재(200)에 구비된 전원 단자(210)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밸브의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밸브(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밸브(1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공통되고, 돌기와 홈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2 실시예와 유사하다. 하지만, 제3 실시예의 경우 결합돌기(250)와 결합홈(329)이 상측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2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회전지지부재(300)의 지지부(320)의 제2 부분(322)의 적어도 일측에는 곡선, 예를 들어 원형 형상이 형성되고, 제2 부분(322)의 곡선의 가장자리의 둘레에는 복수의 결합홈(329)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200)의 상측에는 결합홈(329)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돌기(250)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결합돌기(250)와 결합홈(329)은 제2 실시예의 수용돌기(311)와 수용홈(230)과 유사한 기능을 가진다. 즉, 개폐부재(200)가 회전하는 경우 개폐부재(200)의 결합돌기(250)가 제2 부분(322)의 결합홈(329)에 결합되어 회전이 중지될 수 있다. 한편, 개폐부재(200)에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제2 부분(322)에 결합돌기(미도시)가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정수기용 밸브 100 : 연결본체
110 : 유로연결부 200 : 개폐부재
210 : 전원 단자 220 : 중공
230 : 수용홈 240 : 제1 스토퍼 돌기
250 : 결합돌기 300 : 회전지지부재
310 : 받침부 311 : 수용돌기
320 : 지지부 321 : 제1 부분
322 : 제2 부분 327 : 표시부
328 : 제2 스토퍼 돌기 329 : 결합홈
330 : 회전축 400 : 전기 커넥터

Claims (11)

  1. 유로가 결합될 수 있는 유로연결부가 구비된 연결본체; 및
    전원 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연결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연결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회전지지부재는,
    상기 연결본체에 결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부; 및
    상기 받침부와 상기 지지부에 각각 결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받침부의 상측에는 수용돌기 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하측에는 상기 받침부의 상기 수용돌기 또는 상기 수용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의 상기 수용돌기 또는 상기 수용홈에 대응되는 수용홈 또는 수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돌기는 구(球) 형상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도 구(球) 형상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돌기가 상기 수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수용돌기가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밸브.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이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받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개폐부재의 측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절곡되게 연장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에는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 정도 또는 회전 방향이 표시되는 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밸브.
  7. 삭제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에는 제1 스토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에는 상기 제1 스토퍼 돌기가 접촉하도록 마련된 제2 스토퍼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밸브.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측에는 곡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의 곡선의 가장자리의 둘레에는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상측에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밸브.
  11.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및 제9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정수기용 밸브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20190064521A 2019-05-31 2019-05-31 정수기용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2177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521A KR102177298B1 (ko) 2019-05-31 2019-05-31 정수기용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521A KR102177298B1 (ko) 2019-05-31 2019-05-31 정수기용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298B1 true KR102177298B1 (ko) 2020-11-10

Family

ID=73548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521A KR102177298B1 (ko) 2019-05-31 2019-05-31 정수기용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2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6050A (ko) 2021-04-23 2022-11-01 (주)원봉 밸브 어셈블리 및 밸브 어셈블리의 조립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4901B1 (en) * 2001-08-23 2004-02-03 Deltrol Controls Modular liquid dispensing valve
KR20130000397U (ko) 2011-07-08 2013-01-16 석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정수기용 저전압 구동형 솔레노이드 밸브
KR20140106059A (ko) * 2013-02-25 2014-09-03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의 브라켓 장착부 회전 장치
KR101881821B1 (ko) * 2017-02-27 2018-08-24 (주)엠씨엠 유동이 발생되지 않게 용이하게 조립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4901B1 (en) * 2001-08-23 2004-02-03 Deltrol Controls Modular liquid dispensing valve
KR20130000397U (ko) 2011-07-08 2013-01-16 석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정수기용 저전압 구동형 솔레노이드 밸브
KR20140106059A (ko) * 2013-02-25 2014-09-03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의 브라켓 장착부 회전 장치
KR101881821B1 (ko) * 2017-02-27 2018-08-24 (주)엠씨엠 유동이 발생되지 않게 용이하게 조립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6050A (ko) 2021-04-23 2022-11-01 (주)원봉 밸브 어셈블리 및 밸브 어셈블리의 조립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49046T3 (es) Filtro de purificación de agua fácilmente reemplazable mediante el uso de un conector
US8746003B2 (en) Water filter assembly and refrigerato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US6800199B1 (en) Water purifier
US10603612B2 (en) Electromagnet interface for a water filter assembly
KR100668767B1 (ko) 자동 잠금 밸브를 구비한 필터 카트리지 커넥터 및 이를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KR102177298B1 (ko) 정수기용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JP5587898B2 (ja) 水栓用バルブ装置
KR20140085826A (ko) 수처리장치
KR102177297B1 (ko) 필터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2507948B1 (ko) 유로전환밸브 및 이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CN111137995A (zh) 容易清洗滤芯的净水器
US20050092665A1 (en) Water filter manifold with integral valve
JP2006505394A (ja) 浄水器の原水遮断装置
JP2009262118A (ja) 先止め式加熱殺菌型浄水器
KR20090002858A (ko) 정수기의 누수 차단장치
KR102084763B1 (ko) 필터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0620955B1 (ko)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
KR101325726B1 (ko)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
KR102115470B1 (ko) 유로 연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0230320Y1 (ko) 냉온수기
KR102064984B1 (ko)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의 커넥팅구조
KR101794862B1 (ko) 원수차단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출수 밸브
CN109717748B (zh) 饮用水供给装置的取水部组装体
US20240091686A1 (en) Water purifier
KR20200008856A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