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025B1 - 대용진단 자동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대용진단 자동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025B1
KR102177025B1 KR1020190066047A KR20190066047A KR102177025B1 KR 102177025 B1 KR102177025 B1 KR 102177025B1 KR 1020190066047 A KR1020190066047 A KR 1020190066047A KR 20190066047 A KR20190066047 A KR 20190066047A KR 102177025 B1 KR102177025 B1 KR 102177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ustomer
insurance
substitute
notifica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주은
김은석
홍성민
Original Assignee
교보생명보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보생명보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교보생명보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6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6Message adaptation to terminal or network requirements
    • H04L51/066Format adaptation, e.g. format conversion or compression
    • H04L51/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selective forwa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험사 서버가 대용진단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보험 설계사 단말기로부터 고객에 대한 알림 메시지 발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고객 단말기로 건강검진정보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건강검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정보를 통해 대용진단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또는 구동하고, 상기 대용진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외부 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고객에 대한 건강검진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건강검진정보를 파싱한 후, 상기 보험사 서버로 전송하는, 대용진단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대용진단 자동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METHOD, SYSTEM AND APPLICATION FOR PROVIDING ALTERNATIVE DIAGNOSIS AUTOMATION SERVICE}
본 발명은 대용진단 자동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언제 어느 곳에서 발생할지도 모를 각종 사고로부터 위협을 받게 되는데, 보험은 이처럼 주로 사람의 생명 또는 재산에 관한 사고로 인해, 경제적 손실이 생겼을 때 이를 보전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다. 이러한 보험 제도는 사람들로 하여금 안정적인 가족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경제 준비의 사회적 형태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보험은 형태가 없는 무형의 상품이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즉각적인 구매 욕구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위험이 각각 다르고 위험요인을 정확히 예측하는 일이 쉽지 않기 때문에 보험상품을 자발적으로 가입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보험을 가입하고자 하는 고적들은 무형의 삼품임을 인식하고 있어야 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위험률을 햇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활용해야함을 인지해야 한다.
이처럼 보험은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요소이지만, 건강한 사람들에게만 제공될 수 있는 제도로 확립되어 왔다. 이는 보험사 입장에서도 이윤 창출의 기본적 목적을 위해 중요한 측면이다.
따라서, 보험 가입 시에는 보험 가입 자격 조건 또는 심사 등을 위해 가입 청약자의 건강정보가 필요한데, 현재는, 고객이 직접 건강진단을 받은 후, 해당 결과를 제출하거나, 종합병원, 병원 또는 건강보험공단에서 직장 또는 개인이 실시한 건강진단서 사본을 제출하는 대용진단을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절차 때문에, 일반인들은 보험상품에 대한 가입에 적극적이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건강정보가 필요한 보험 계약의 경우에 대용진단을 간편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객으로 하여금 간편한 방법으로 대용진단을 이용할 수 있다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객의 개인 정보 제공 동의 정보, 인증 정보, 비식별코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공유함으로써, 보험 가입 후의 부인 방지, 인증에 대한 위변조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험 가입 시 제공하는 건강정보 중 당해 제공한 건강정보의 종류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공유함으로써, 향후, 고객과 보험사 간의 부인 방지를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험사 서버가 대용진단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보험 설계사 단말기로부터 고객에 대한 알림 메시지 발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고객 단말기로 건강검진정보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건강검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정보를 통해 대용진단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또는 구동하고, 상기 대용진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외부 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고객에 대한 건강검진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건강검진정보를 파싱한 후, 상기 보험사 서버로 전송하는, 대용진단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보험 설계사 단말기로부터 고객의 개인 정보 제공 동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a) 단계 이후에, 상기 개인 정보 제공 동의에 대한 정보를 시간 정보와 함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에 대한 비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개인 정보 제공 동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비식별코드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험 설계사 단말기로부터 고객에 대한 알림 메시지 발송 요청을 수신한 후, 해당 고객에 대한 비식별코드를 생성하는 비식별코드 생성부; 상기 보험 설계사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고객의 개인 정보 제공 동의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정보 제공 동의 정보 저장부; 상기 고객의 고객 단말기에 건강검진정보가 필요하다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알림 메시지 전송부; 및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건강검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진단 정부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정보를 통해 대용진단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또는 구동하고, 상기 대용진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외부 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고객에 대한 건강검진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건강검진정보를 파싱한 후, 상기 보험사 서버로 전송하는, 보험사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 단말기와 결합되어, (a) 인증 서버와 연계하여 고객의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b) 외부 기관 서버로부터 고객에 대한 건강검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수신된 상기 건강검진정보를 파싱하는 단계; 및 (d) 파싱이 완료된 상기 건강검진정보를 보험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 입장에서 간소화된 방법으로 대용진단 서비스를 이용하여 보험 가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의 개인 정보 제공 동의 정보, 인증 정보, 비식별코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공유함으로써, 보험 가입 후의 부인 방지, 인증에 대한 위변조 등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험 가입 시 제공하는 건강정보 중 당해 제공한 건강정보의 종류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공유함으로써, 향후, 고객과 보험사 간의 부인 방지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용진단 자동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용진단 자동화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험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용진단 자동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보험설계사 단말기(100), 보험사 서버(200), 고객 단말기(300), 블록체인 네트워크(400), 외부 기관 서버(500), 인증 서버(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험설계사 단말기(100), 보험사 서버(200), 고객 단말기(300), 블록체인 네트워크(400), 외부 기관 서버(500), 인증 서버(600)는 통신망, 예를 들면, 이동통신망,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 무선통신망(WiFi: Wireless Fidelity)을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보험 설계사 단말기(100)는 보험 설계사 또는 고객에 의해 입력되는 고객의 보험 가입 정보, 예를 들면, 보험 종류 선택 정보, 보험 가입 자격 심사와 관련된 정보, 고객 식별 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보험사 서버(200)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보험 설계사 단말기(100)는 연산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기기라면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보험 설계사 단말기(10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랩탑 노트북, PDA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험사 서버(200)는 보험 설계사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고객이 가입하고자 하는 보험에 있어서 대용진단이 필요한 보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기 저장된 각 보험별 가입 자격 조건을 참조하여 판단될 수 있다. 대용진단이 필요한 경우, 보험사 서버(200)는 고객 단말기(300)에 건강검진정보를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고객 단말기(300)로부터 건강검진정보를 수신한다.
고객 단말기(300)는 보험사 서버(200)로부터 건강검진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 후, 인증 서버(600)와 연계하여 본인 인증을 수행하고, 외부 기관 서버(500)로부터 본인에 해당하는 건강검진정보를 수신한 후 보험사 서버(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고객 단말기(300)는 연산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기기라면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고객 단말기(30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랩탑 노트북, PDA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는 보험 설계사 단말기(100)를 통한 보험 가입 요청 시 고객에 의해 입력되는 개인 정보 제공 동의 정보, 고객 단말기(300)와 인증 서버(600) 간의 연동을 통한 인증 정보, 각 고객별 개인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노드들에 해당 정보들이 공유되어 있기 때문에, 각 정보에 대한 위변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보험 가입 및 고객 인증에 있어서, 부인 방지, 위변조 방지, 허위 인증 방지 등이 가능해진다.
외부 기관 서버(500)는 고객 단말기(300)로부터 고객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고객의 건강검진정보를 고객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외부 기관 서버(500)는 건강보험공단 또는 병원 등에 의해 관리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인증 서버(600)는 고객에 대한 인증을 가능하게 하고, 인증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증 서버(600)는 공인인증기관 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용진단 자동화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보험 설계사는 보험 설계사 단말기(100)를 통해 보험 가입 정보를 입력하고(S201), 고객의 개인 정보 제공 동의를 입력한다(S202). 또한, 가입 대상 보험이 대용진단이 필요한 보험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203). 도 2에서는 보험 설계사 단말기(100) 자체적으로 보험 설계사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대용진단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입력된 정보가 보험사 서버(200)로 전송되고, 보험사에 의해 대용진단 필요 여부가 판단된 후, 보험 설계사 단말기(100)에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대용진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보험 설계사 단말기(100)는 단계 S201 및 S202에서 입력된 정보와 함께 보험사 서버(200)로 고객 단말기(300)에 알림 메시지를 발송하여 줄 것을 요청한다(S204).
보험사 서버(200)는 보험 설계사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해당 고객에 대한 비식별코드를 생성한다(S205). 비식별코드는 해당 사용자에 대해 생성되는 랜덤값 또는 고객관리번호 등일 수 있다.
보험사 서버(200)는 해당 고객에 대해 생성된 비식별코드와 개인 정보 제공 동의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저장한다(S206).
또한, 건강검진정보가 필요하다는 알림 메시지를 고객 단말기(300)로 전송한다(S207). 이러한 알림 메시지는 이동통신사 서버와 연동하여 전송되는 것일 수 있으나, 고객 단말기(300)에 설치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해당 알림 메시지에는 고객 단말기(300)가 건강검진정보에 대한 요청 및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대용진단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링크 정보 또는 기 설치된 대용진단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링크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알림 메시지와 함께 단계 S205에서 생성된 비식별코드가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
고객은 고객 단말기(300)로 수신된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정보를 통해 대용진단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설치 페이지로 이동하거나, 다운로드되어 기 설치된 대용진단 애플리케이션(310, 도 1 참조)을 구동할 수 있다(S208). 설치 페이지는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앱스토어 서버(미도시됨) 등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고객은 고객 단말기(300)에서 구동된 대용진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증 서버(600)로 인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209). 이 때, 단계 S207에서 수신된 비식별코드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인증 서버(600)는 고객 단말기(300)로부터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고객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S210), 인증 결과를 고객 단말기(30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전송한다(S211, S212). 인증은 공지의 공인인증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증 결과가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저장될 때에는 고객의 비식별코드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인증이 완료되면, 고객 단말기(300)는 외부 기관 서버(500)에 로그인 요청을 전송하고, 진단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213).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서버(600)에 의한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고객에 대한 외부 기관 서버(500)로의 로그인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단계 S213에서는 고객 단말기(300)로부터 고객 비식별코드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외부 기관 서버(500)는 해당 고객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를 참조하여 확인할 수 있다(S214). 구체적으로, 해당 고객의 비식별코드를 매개체로 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인증 결과 요청을 문의할 수 있고,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는 비식별코드를 기초로 해당 고객에 대한 인증 이력 또는 최근 인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외부 기관 서버(500)는 고객 단말기(300)로 해당 고객에 대한 건강검진정보를 전송한다(S215). 건강검진정보는 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되는 건강검진정보, 병원에서 제공하는 전자의무기록(EMR) 또는 PHR(Personal Health Record) 등일 수 있다. 건강검진정보에는, 검진일자, 검진장소, 신장, 체중,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시력, 청력, 혈압, 요단백, 혈색소, 식전혈당, 총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트리슬리세라이드, LDL 콜레스테롤, 혈청크레아티닌, 신사구체여과율(GFR), AST(SGOT), ALT(SGPT), 감마지피티(y-GPT), 골다공증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가입 대상 보험 종류에 따라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건강검진정보는 달라질 수도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207에서 보험사 서버(200)로부터 고객 단말기(300)로 요구되는 건강검진정보의 종류, 즉, 상기 정보들 중 어떠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 있고, 고객 단말기(300)는 해당 종류의 건강검진정보만을 외부 기관 서버(500)로부터 수신하여, 보험사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외부 기관 서버(500)는 해당 고객에 대한 비식별코드와 함께, 제공한 정보의 종류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공유할 수 있다. 이 방식에 따르면, 향후, 고객이 어떤 보험을 가입하면서, 어떠한 건강검진정보를 제공하였는지에 대해 명확하게 증명이 가능하고, 고객에 의한 부인 방지가 가능해진다.
진단 정보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태의 파일로 전송될 수 있다. 고객 단말기(300)는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이를 파싱(parsing)할 수 있다(S216).
파싱이 완료되면, 고객 단말기(300)는 대용진단 애플리케이션(310)을 통해 건강검진정보를 보험사 서버(300)로 전송한다(217).
보험사 서버(300)는 수신된 건강검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향후, 보험사 서버(300)는 수신된 정보를 토대로 보험 업무에 적용하거나, 질환 예측 보장 분석, 보험금 지급 심사, 상품요율 및 언더라이팅 등의 보험 업무에 추가로 연계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이 보험 가입을 위한 추가적인 건강검진을 할 필요 없이 본인의 단말기를 통해 편리한 방법으로 건강검진정보를 획득하여, 보험사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험 가입 과정에서의 고객 정보 제공 동의 사실, 인증 서버에 의해 수행된 인증 결과가 해당 고객의 비식별코드와 함께 블록체인에 저장되는데, 이 때, 블록체인 네트워크에는 정보의 저장 시간 정보도 함께 공유된다. 따라서, 향후 고객에 의한 부인 방지가 가능하며, 인증 결과에 대한 위변조 방지 등이 가능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험사 서버(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험사 서버(200)는 비식별코드 생성부(210), 정보 제공 동의 정보 저장부(220), 알림 메시지 전송부(230), 진단 정보 수신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비식별코드 생성부(210), 정보 제공 동의 정보 저장부(220), 알림 메시지 전송부(230), 진단 정보 수신부(240)는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는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보험사 서버(200) 또는 이와 통신 가능한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비식별코드 생성부(210)는 보험 설계사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고객에 대한 보험 가입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고객에 대한 비식별코드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비식별코드는 사용자의 식별을 위한 매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객관리번호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비식별코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해당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할 때,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서 해당 사용자의 정보를 추출할 때 사용되는 정보이다.
정보 제공 동의 정보 저장부(220)는 보험 가입 시 생성되는 고객에 의한 개인 정보 제공 동의 사실에 대한 정보를 보험 설계사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 시에는 저장 시점에 관한 시간 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향후 고객에 의한 부인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알림 메시지 전송부(230)는 보험 설계사 단말기(100)로부터 요청 시 고객 단말기(300)로 건강검진정보가 필요하다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알림 메시지에는 대용진단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또는 실행하기 위한 링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진단 정보 수신부(240)는 고객 단말기(300)가 인증 서버(600)와의 연계를 통한 인증 완료 후 외부 기관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건강검진정보를 전송받는다. 그 후, 해당 정보를 저장하여, 보험 업무에 활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기(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고객 단말기(300)는 알림 메시지 수신부(301) 및 대용진단 애플리케이션(3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대용진단 애플리케이션(310)은 인증부(311), 진단 정부 수신부(312), 파싱부(313), 진단 정보 전송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 수신부(301)는 보험사 서버(200)로부터 건강검진정보가 필요하다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대용진단 애플리케이션(310)의 설치 또는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링크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고객은 해당 링크 정보를 통해서 대용진단 애플리케이션(310)의 설치 페이지로 이동 또는 실행을 할 수 있다.
대용진단 애플리케이션(310)의 인증부(311)는 인증 서버(600)와 연계하여 공인인증 방식 등으로 고객에 대한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이 과정에서 인증 결과가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저장된다는 점은 전술한 바와 같다.
대용진단 애플리케이션(310)의 진단 정보 수신부(312)는 외부 기관 서버(500)로 건강검진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따른 응답으로 건강검진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정보의 요청 과정에서 고객 단말기(300)는 당해 가입 대상인 보험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의 종류를 외부 기관 서버(500)에 전송할 수 있고, 외부 기관 서버(500)는 이를 참조로 하여 해당하는 종류의 건강검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공한 건강검진정보 종류에 대한 내용은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저장될 수 있다.
대용진단 애플리케이션(310)의 파싱부(313)는 외부 기관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파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진단 정보 전송부(314)는 상기 파싱된 정보를 보험사 서버(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보험사 서버가 대용진단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보험 설계사 단말기로부터 보험 가입 정보 및 개인 정보 제공 동의 정보를 수신하고, 건강검진정보가 필요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에 대한 고객 단말기로의 발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고객 단말기로 건강검진정보가 필요하다는 정보로서, 당해 가입 대상 보험 종류에 따라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건강검진정보의 종류를 포함하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건강검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정보를 통해 대용진단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또는 구동하고, 상기 대용진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외부 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고객에 대한 건강검진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건강검진정보를 파싱한 후, 상기 보험사 서버로 전송하는, 대용진단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보험 설계사 단말기로부터 고객의 개인 정보 제공 동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 이후에,
    상기 개인 정보 제공 동의에 대한 정보를 시간 정보와 함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용진단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에 대한 비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개인 정보 제공 동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비식별코드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용진단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4. 보험 설계사 단말기로부터 보험 가입 정보 및 개인 정보 제공 동의 정보를 수신하고, 건강검진정보가 필요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에 대한 고객 단말기로의 발송 요청을 수신한 후, 해당 고객에 대한 비식별코드를 생성하는 비식별코드 생성부;
    상기 보험 설계사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고객의 개인 정보 제공 동의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정보 제공 동의 정보 저장부;
    상기 고객의 고객 단말기에 건강검진정보가 필요하다는 정보로서, 당해 가입 대상 보험 종류에 따라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건강검진정보의 종류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알림 메시지 전송부; 및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건강검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진단 정부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정보를 통해 대용진단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또는 구동하고, 상기 대용진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외부 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고객에 대한 건강검진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건강검진정보를 파싱한 후, 보험사 서버로 전송하는, 보험사 서버.
  5. 고객 단말기와 결합되어,
    보험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당해 보험 가입에 필요한 건강검진정보로서, 당해 가입 대상 보험 종류에 따라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건강검진정보의 종류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정보를 통해 구동되며,
    (a) 인증 서버와 연계하여 고객의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b) 외부 기관 서버로부터 고객에 대한 건강검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수신된 상기 건강검진정보를 파싱하는 단계; 및
    (d) 파싱이 완료된 상기 건강검진정보를 보험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KR1020190066047A 2019-06-04 2019-06-04 대용진단 자동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KR102177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047A KR102177025B1 (ko) 2019-06-04 2019-06-04 대용진단 자동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047A KR102177025B1 (ko) 2019-06-04 2019-06-04 대용진단 자동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025B1 true KR102177025B1 (ko) 2020-11-10

Family

ID=7354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047A KR102177025B1 (ko) 2019-06-04 2019-06-04 대용진단 자동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0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667A (ko) * 2003-04-25 2004-11-0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전자 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카드, 그 의료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KR20160061470A (ko) * 2014-11-21 2016-06-01 이기상 보험설계사의 스마트폰에 고객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KR20180133232A (ko) * 2017-06-05 2018-12-13 (주)원 스마트 보험 청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44754A (ko) * 2017-10-23 2019-05-02 보맵 주식회사 보험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보험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보험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667A (ko) * 2003-04-25 2004-11-0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전자 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카드, 그 의료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KR20160061470A (ko) * 2014-11-21 2016-06-01 이기상 보험설계사의 스마트폰에 고객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KR20180133232A (ko) * 2017-06-05 2018-12-13 (주)원 스마트 보험 청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44754A (ko) * 2017-10-23 2019-05-02 보맵 주식회사 보험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보험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보험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9451B1 (ko) 의사가 가치-기반 지불을 위한 품질 측정을 달성하는 것을 돕는 환자-대향 모바일 기술
Vest et al. Health information exchange: persistent challenges and new strategies
US8990834B2 (en) Managing healthcare information in a distributed system
CN108630308A (zh) 使用web服务的电子化患者护理的系统和装置
KR102033013B1 (ko)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
KR20220068024A (ko) 인공지능 및 개인건강기록을 이용한 보험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Landman et al. An open, interoperable, and scalable prehospital information technology network architecture
JP2004526466A (ja) 医療装置システムにより実施される遠隔患者管理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Brown et al. Access to behavioral health care for geographically remote service members and dependents in the US
KR102177025B1 (ko) 대용진단 자동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CN107239875A (zh) 实现企业快速构建健康业务管理的系统
CN106021956B (zh) 医疗患者信息管理系统
KR20000024635A (ko) 로직에 기반한 증권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240597B1 (ko) 치과 진료 맞춤형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0621523B1 (en) Computer methods and computer systems for facilitating business rule generation and validation
US20190341154A1 (en) Dynamically Generating Patient-Facing Mobile Interfaces
Ham The future of purchasing
Besnik The Framework of a Real-time Patient Monitoring System
McMillan NICE, the draft fertility guideline and dodging the big question
Moses Investigat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Organizational Security Behavior Towards IoT Purchase Decision
Akinluyi et al. Developing the COVID-19 intensive care medical equipment distribution platform: outcomes and lessons learned
KR20210041219A (ko) 보험금 청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서버
JP4833578B2 (ja) 保険適用方法、保険業務支援装置、ならびに、プログラム
Hatzivasilis et al. Towards the insurance of healthcare systems
CN117670557A (zh) 用于对保险产品和/或服务风险进行评估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