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002B1 -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 - Google Patents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002B1
KR102177002B1 KR1020180101698A KR20180101698A KR102177002B1 KR 102177002 B1 KR102177002 B1 KR 102177002B1 KR 1020180101698 A KR1020180101698 A KR 1020180101698A KR 20180101698 A KR20180101698 A KR 20180101698A KR 102177002 B1 KR102177002 B1 KR 102177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tank
water
migratory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5000A (ko
Inventor
신현범
서정빈
차동철
김원장
이의행
예한희
Original Assignee
한국농어촌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농어촌공사 filed Critical 한국농어촌공사
Priority to KR1020180101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00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에 관한 것으로, 일면에 물을 가두기 위한 시설물의 일부분에 설치되고 상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 경사진 어도본체; 상기 어도본체를 통해 이동한 회유성 어류를 집어하는 집어조와 상기 어도본체와 상기 집어조에 물을 공급하는 방류수조가 격벽으로 구분되어 있는 수조; 상기 방류수조에 상기 시설물에 가두어진 물을 공급하는 펌프; 및 복수개의 솔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어도본체에 설치되는 어도매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A fish ladder for migratory fish moving upstream in estuary}
본 발명은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구, 강, 하천 등에는 농업용수나 식수 및 수력발전 용수 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구, 강, 하천 등을 횡단하여 보, 댐, 하굿둑, 방조제 등 물을 가두기 위한 시설물을 설치함으로써 순기능을 발휘하기도 하지만, 물을 가두기 위한 시설물이 여러 회유성 어류의 상, 하류 자유로운 이동을 제한하는 장애물로 작용하여 생태계를 파괴하는 역기능도 동시에 갖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의 회유성 어류를 살펴보면 산란 또는 성장을 위하여 뱀장어, 참게, 숭어, 연어 등의 소상 또는 강하하는 회유성 어류가 하구, 강, 하천 등을 따라 이동한다.
그러나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하구, 강, 하천 등에 설치된 물을 가두기 위한 시설물이 이러한 회유성 어류의 회귀를 방해하여 여러 희귀성 어류가 멸종할 수 있으며, 물을 가두기 위한 시설물의 설치로 인해 회유성 어류의 이동이 완전히 차단되어 물을 가두기 위한 시설물의 상, 하류 생태계 이원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뱀장어는 생태 특성상 실뱀장어가 강으로 소상하여 성장하며, 실뱀장어는 유영력이 약해 물의 흐름이 강할 경우 소상이 곤란하여 실뱀장어를 위한 별도의 어도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점 때문에 물을 가두기 위한 시설물에는 회유성 어류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어류의 이동통로 즉, 어도를 만들어 회유성 어류가 하구, 강, 하천 등을 따라 상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이동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어도의 종래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2774호가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어도 하부에 회유성 어류를 유인하는 통수관을 설치하고 있는데, 이는 이미 설치된 댐 또는 보의 하부에 구멍을 뚫어야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댐 또는 보의 하부에 구멍을 뚫어 댐 또는 보에 구조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석현상이 우세한 서남해안의 하구에서 창조시 어도 입구부(하류측) 수위가 어도 출구부(상류측)보다 높을 경우 어도본체 및 통수관에 지속적인 물 공급이 곤란하여 어도 기능 상실 및 염수역류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회유성 어류가 소상할 수 있는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댐 또는 보에 영향을 주지 않고, 어도로 회유성 어류를 유인할 수 있는 일정한 유량의 물 공급이 가능한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집어한 회유성 어류를 안전하게 방류할 수 있는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측면에 따르면, 일면에 물을 가두기 위한 시설물의 일부분에 설치되고 상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 경사진 어도본체; 상기 어도본체를 통해 이동한 회유성 어류를 집어하는 집어조와 상기 어도본체와 상기 집어조에 물을 공급하는 방류수조가 격벽으로 구분되어 있는 수조; 상기 방류수조에 상기 시설물에 가두어진 물을 공급하는 펌프; 및 복수개의 솔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어도본체에 설치되는 어도매트;를 포함하는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도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어도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집어조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어도본체 상부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집어조에는 상기 집어조의 수위를 조절하는 집어조 수위 조절관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류수조에는 상기 방류수조의 수위를 조절하는 방류수조 수위 조절관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류수조 수위 조절관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 경사진 방류수로가 상기 어도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집어조의 하면에 상기 가두어진 물로 상기 집어된 회유성 어류를 방류하는 회유성 어류 방류관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도매트는 상기 어도본체의 하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 상기 어도본체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 상기 어도매트의 일측과 타측을 일부 절곡시켜 하면에 설치되는 것 및 상기 어도매트의 가운데를 절곡시켜 하면에 설치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류수조에 공급되는 상기 시설물에 가두어진 물의 양보다 상기 방류수조에서 상기 어도본체로 공급하는 물의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도본체는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 경사지되, 부분적으로 지면과 평행하게 복수의 평탄한 부분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회유성 어류가 원활하게 소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댐 또는 보에 영향을 주지 않고, 어도로 회유성 어류를 유인할 수 있는 일정한 유량의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집어한 회유성 어류를 안전하게 방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를 도 2의 A-A’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를 도 2의 B-B’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의 어도매트의 설치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의 어도본체와 집어조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100)는 어도본체(110), 수조(120), 펌프(130) 및 어도매트(140)를 포함한다.
어도본체(110)는 일면에 물을 가두기 위한 시설물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 경사져 있다. 어도본체(110)는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 경사지되, 소상 중 유영능력이 떨어지는 실뱀장어 등의 회유성 어류가 중간에 쉴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지면과 평행하게 복수의 평탄한 부분이 형성되게 하거나 계단형, 곡선, 나선형 또는 지그제그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어도본체(110)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어 있어 어도본체(110)의 하부를 통해 회유성 어류가 유입되어 어도본체(110)를 따라 이동하다 어도본체(110)의 상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방류수조(122)에서는 회유성 어류를 유인하고 회유성 어류가 소상할 수 있도록 일정량의 물을 어도본체(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흘러내리게 한다.
도 1에서는 어도본체(110)의 가운데 격벽이 있어 2개로 분할된 것으로 표현했으나, 격벽 없이 1개로 형성되거나, 격벽을 여러 개 두어 여러 개로 분할될 수도 있다.
수조(120)는 어도본체(110)를 통해 이동한 회유성 어류를 집어하는 집어조(121)와, 어도본체(110)와 집어조(121)에 물을 공급하는 방류수조(122)가 격벽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어도본체(110)의 상부와 연결되어 있다.
집어조(121)는 일부가 개방되어 있어 어도본체(110)의 개방된 상부와 연결되며, 어도본체(110)를 따라 이동하다 어도본체(110)의 상부로 빠져나온 회유성 어류를 집어한다. 집어조(121)는 1개 이상으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방류수조(122)는 펌프(130)로부터 시설물에 가두어진 물을 공급 받아 어도본체(110)와 집어조(121)에 물을 공급한다.
펌프(130)는 방류수조(122)에 시설물에 가두어진 물을 공급한다.
어도매트(140)는 복수개의 솔들이 형성되어 있고, 어도본체(110)에 설치된다. 어도매트(140)에 형성된 복수개의 솔들은 회유성 어류가 몸을 의탁하면서 올라갈 수 있도록 하며, 실뱀장어가 거친 표면을 이용해 소상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복수개의 솔들은 나일론, 콘크리트, 플라스틱, 금속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를 도 2의 A-A’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를 도 2의 B-B’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방류수조(122)는 방류수조 공급관(201), 어도본체 공급관(202), 집어조 공급관(203), 방류수조 수위 조절관(204)을 포함한다.
방류수조 공급관(201)은 일측은 방류수조(122)에 연결되고, 타측은 시설물에 가두어진 물에 설치되어, 방류수조 공급관(201) 일부분에 설치된 펌프(130)에 의해 끌어 올려진 물을 이동시켜 방류수조(122)에 공급하게 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방류수조 공급관(201)이 2개가 설치된 것으로 표현했으나 이는 설계 변경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어도본체 공급관(202)은 일측이 방류수조(122)에 타측이 어도본체(110)에 연결되어, 방류수조(122) 내의 물을 이동시켜 어도본체(110)에 공급하게 한다. 어도본체 공급관(202)에 밸브(미도시)가 설치되어 어도본체(110) 내의 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어도본체(110)가 가운데 격벽이 있어 2개 이상으로 분할되었을 경우 어도본체 공급관(202)은 분할된 각각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2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어도본체 공급관(202)과 집어조 공급관(203)의 직경은 방류수조 공급관(201)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시설물에서 방류수조(122)에 공급되는 물의 양보다 방류수조(122)에서 어도본체(110)와 집어조(121)로 공급하는 물의 양이 적다.
즉, 방류수조(122)는 시설물로부터 공급 받은 물을 어도본체(110)와 집어조(121)에 나누어 공급하기 때문에 방류수조(122)에 많은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방류수조 공급관(201)의 직경을 어도본체 공급관(202)과 집어조 공급관(203)의 직경보다 큰 것을 사용한다.
또한, 어도본체 공급관(202)의 직경을 방류수조 공급관(201)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사용하는 것은, 어도본체(110)에 공급되는 물의 유속을 세지 않게 하거나 어도본체(110)에 설치된 어도매트(140)가 완전히 잠기지 않도록 하여 실뱀장어 등 유영능력이 떨어지는 회유성 어류가 어도본체(110)를 따라 소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집어조 공급관(203)은 일측이 방류수조(122)에 타측이 집어조(121)로 하향 경사지게 연결되어, 방류수조(122) 내의 물을 이동시켜 집어조(121)에 공급하게 한다. 집어조(121)가 가운데 격벽이 있어 2개 이상으로 분할되었을 경우 집어조 공급관(203)은 분할된 각각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2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집어조 공급관(203)은 방류수조 공급관(201)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사용하고, 방류수조(122)에서 집어조(121)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그 결과 집어조(121)는 어도본체(110)의 개방된 상부와 연결되어 어도본체(110)를 따라 이동하다 어도본체(110)의 상부로 빠져나온 회유성 어류를 집어하기 위기 위해 어도본체(110)에 설치된 어도매트(140)보다 낮은 수위를 유지한다. 만일, 집어조(121)의 수위가 어도매트(140)보다 높다면 어도본체(1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물이 흘러내려 회유성 어류의 소상을 방해하게 된다.
방류수조 수위 조절관(204)은 일측이 방류수조(122)의 어도본체 공급관(201) 위에 타측이 방류수로(220)에 연결되며, 방류수조(122)에 공급된 시설물에 가두어진 물 중 일정수위를 넘는 물을 이동시켜 방류수로(220)에 공급한다. 그 결과 방류수조(122)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방류수조(122)에서 어도본체 공급관(202)에 일정한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집어조(121)는 회유성 어류 방류관(211) 및 집어조 수위 조절관(212)을 포함한다.
회유성 어류 방류관(211)은 일측이 집어조(121)의 하부 일부에 타측이 시설물에 가두어진 물에 설치되어, 집어조(121)에 집어 된 회유성 어류를 안전하게 시설물에 가두어진 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집어조(121)에 상자를 넣어 집어 된 회유성 어류를 관찰 할 수 있고, 상자 없이 바로 회유성 어류 방류관(211)을 통해 이동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집어조(121)가 격벽이 있어 2개 이상으로 분할되었을 경우 회유성 어류 방류관(211)도 2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회유성 어류 방류관(211)에 타이머 밸브(미도시)를 설치해 집어된 회유성 어류를 주기적으로 방류할 수 있다.
집어조 수위 조절관(212)은 일측이 집어조(121)에 타측이 방류수로(220)에 연결되며, 방류수조(122)에서 집어조(121)로 공급된 물 중 일정수위를 넘는 물을 방류수로(220)에 공급한다. 집어조(121)가 격벽이 있어 2개 이상으로 분할되었을 경우 집어조 수위 조절관(212)도 2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집어조(121)의 각각에 설치되는 집어조 수위 조절관(212)은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방류수로(220)는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 경사져 있으면서, 상부는 방류수조 수위 조절관(204)의 일측 및 집어조 수위 조절관(212)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고, 어도본체(11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방류수로(220)는 어도본체(110)의 형상에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 경사지되, 부분적으로 지면과 평행하게 복수의 평탄한 부분이 형성되게 하거나 계단형, 곡선, 나선형 또는 지그제그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방류수로(220)는 상부에 연결된 방류수조 수위 조절관(204) 및 집어조 수위 조절관(212)으로부터 방류수조(122) 및 집어조(121)의 일정 수위를 넘은 물을 공급 받아 상부에서 하부로 물을 이동시켜 회유성 어류를 모일 수 있도록 한다.
덮개부(310)는 어도본체(110)와 결합되어 어도본체(110)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 회유성 어류가 소상할 때 새 등과 같은 천적으로부터 보호하며, 어도본체(110)에 어도매트(140)를 설치할 때는 분리시켜 어도매트(140)를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덮개부(310)는 투명한 소재를 사용해 회유성 어류가 어도본체(110)를 따라 소상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으며, 덮개부(310)를 통해 관리자가 보행하면서 유지관리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의 어도매트의 설치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어도매트(140)가 어도본체(110)의 하면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도 5(b)는 어도매트(140)의 일측과 타측을 일부 절곡시켜 어도매트(110)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도 5(c)는 어도매트(140)가 어도본체(110)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도 5(d)는 어도매트(140)의 가운데를 절곡시켜 어도본체(110)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처럼 어도매트(140)의 설치형태를 달리하는 이유는 환경에 따라 어도매트(140)의 모든 부분에 유속이 빠르게 되거나 완전히 잠기게 되어 회유성 어류가 소상하는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일부만 잠기게 하고 일부의 유속이 느리게 해 회유성 어류가 소상하는데 알맞은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어도매트(140)는 어도본체(110)가 격벽으로 분할되어 있을 경우, 어도매트(140)의 설치형태를 달리해 설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의 어도본체와 집어조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집어조(121)는 일부가 개방되어 있어 어도본체(110)의 개방된 상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집어조 수위조절관(212)은 어도매트(140)보다 낮은 곳에 위치해 집어조(121)의 수위를 조절한다.
어도본체 공급관(202)은 어도매트(140)보다 높은 곳에 위치해 방류수조(122)에서 공급된 물을 이동시켜 어도본체(110)로 물을 공급한다.
이 때, 어도본체 공급관(202)의 밑에는 어도본체 공급판(610)이 있어 방류수조(122)에서 공급된 물이 어도본체(110)의 위에 설치된 어도매트(140)로 강하게 떨어지게 하지 않고, 방류수조(122)에서 공급된 물을 어도본체 공급판(610)에 모아 일정수위가 되면 어도본체 공급판(610)에 형성된 복수의 홈을 통해 어도본체(110)의 위에 설치된 어도매트(140)로 물이 떨어지게 한다.
이는 어도매트(140)의 모든 부분에 균일한 물을 공급하고, 회유성 어류가 소상하기 편하게 물의 유속을 느리게 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어도본체 공급판(610)을 홈이 복수개 형성된 판으로 설명했으나, 어도본체 공급판(610)은 홈이 복수개 형성된 관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의 운영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펌프(130)를 가동시켜 시설물에 가두어진 물을 방류수조 공급관(201)을 통해 방류수조(122)에 공급한다.
방류수조(122)에 공급된 물은 어도본체 공급관(202)과 집어조 공급관(203)을 통해 어도본체(110)와 집어조(121)로 공급된다.
이 때, 방류수조(122)에 공급된 물이 일정 수위를 넘으면, 방류수조 수위 조절관(204)을 통해 방류수로(220)로 공급되고, 집어조(121)에 공급된 물이 일정 수위를 넘으면 집어조 수위 조절관(212)을 통해 방류수로(220)로 공급된다. 방류수로(200)로 공급된 물은 어도본체(110)의 하부로 공급된다.
어도본체 공급관(202)을 통해 공급된 물은 어도본체(110)로 바로 공급되지 않고, 어도본체 공급판(610)에 모아지고, 일정수위가 되면 어도본체 공급판(610)에 형성된 복수의 홈을 통해 어도본체(110)로 공급된다. 그 결과 회유성 어류가 소상하기 좋은 적절한 유속으로 어도본체(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물이 흘러내린다.
회유성 어류는 어도본체(110)와 방류수로(220)를 통해 흘러내린 물에 의해 유인되어 모인 후 어도본체(110)를 따라 소상하게 되는데, 이 때 어도본체(110)에 설치된 어도매트(140)가 회유성 어류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유영능력이 떨어져도 쉽게 소상할 수 있다. 여기서, 어도본체(110)와 방류수로(220)를 통해 흘러내리는 물은 펌프(130)를 통해 시설물에 가두어진 물을 공급 받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소상한 회유성 어류는 집어조(121)에 집어된 후 회유성 어류 방류관(211)을 통해 안전하게 시설물에 가두어진 물로 이동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할 것이다.
110 : 어도본체 120 : 수조
130 : 펌프 140 : 어도매트

Claims (10)

  1. 일면에 물을 가두기 위한 시설물의 일부분에 설치되고 상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방류수로가 설치된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 경사진 어도본체;
    상기 어도본체를 통해 이동한 회유성 어류를 집어하는 집어조와 상기 어도본체와 상기 집어조에 물을 공급하고 방류수조의 수위를 조절하는 방류수조 수위조절관이 설치된 방류수조가 격벽으로 구분되어 있는 수조;
    상기 방류수조에 상기 시설물에 가두어진 물을 방류수조 공급관을 통해 공급하는 펌프;
    복수개의 솔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어도본체에 설치되는 어도매트;
    상기 방류수조로부터 상기 어도본체에 상기 물을 공급하는 어도본체 공급관; 및
    상기 방류수조로부터 상기 집어조에 상기 물을 공급하는 집어조 공급관을 포함하며,
    상기 어도본체 공급관 및 집어조 공급관 각각의 직경은 상기 방류수조 공급관의 직경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방류수로는 상기 방류수조 수위 조절관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집어조에는 상기 집어조의 수위를 조절하는 집어조 수위 조절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어도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어조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어도본체 상부와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어조 수위 조절관은 어도매트보다 낮은 곳에 설치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어조의 하면에 상기 가두어진 물로 상기 집어된 회유성 어류를 방류하는 회유성 어류 방류관이 포함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매트는 상기 어도본체의 하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 상기 어도본체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 상기 어도매트의 일측과 타측을 일부 절곡시켜 하면에 설치되는 것 및 상기 어도매트의 가운데를 절곡시켜 하면에 설치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류수조에 공급되는 상기 시설물에 가두어진 물의 양보다 상기 방류수조에서 상기 어도본체로 공급하는 물의 양을 적게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본체는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 경사지되, 부분적으로 지면과 평행하게 복수의 평탄한 부분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
KR1020180101698A 2018-08-29 2018-08-29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 KR102177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698A KR102177002B1 (ko) 2018-08-29 2018-08-29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698A KR102177002B1 (ko) 2018-08-29 2018-08-29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000A KR20200025000A (ko) 2020-03-10
KR102177002B1 true KR102177002B1 (ko) 2020-11-10

Family

ID=69801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698A KR102177002B1 (ko) 2018-08-29 2018-08-29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0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7826A (zh) * 2020-06-08 2020-08-28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中华绒螯蟹生态洄游通道及其重建方法
CN114128683B (zh) * 2021-11-24 2023-02-03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用于河口海湾区洄游鱼类捕捞装置
CN114737537A (zh) * 2022-04-18 2022-07-12 中水北方勘测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有利于鳗鲡洄游的多功能生态竖缝式鱼道
CN117717030B (zh) * 2024-02-08 2024-05-03 四川弘信天启科技有限公司 一种诱鱼筛分装置及升鱼机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588Y1 (ko) * 2002-01-29 2002-06-15 신강하이텍(주) 어도의 유인수 공급장치
JP2006009241A (ja) * 2004-06-21 2006-01-12 Meihou Engineering:Kk 魚道出口装置
JP2018012980A (ja) * 2016-07-21 2018-01-25 フクビ化学工業株式会社 側溝用排水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777B1 (ko) * 2011-05-30 2013-07-08 주식회사 청천하이테크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588Y1 (ko) * 2002-01-29 2002-06-15 신강하이텍(주) 어도의 유인수 공급장치
JP2006009241A (ja) * 2004-06-21 2006-01-12 Meihou Engineering:Kk 魚道出口装置
JP2018012980A (ja) * 2016-07-21 2018-01-25 フクビ化学工業株式会社 側溝用排水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000A (ko)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7002B1 (ko)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
Larinier Dams and fish migration
Baxter RIVER UTILIZATION AND THE PRESERVATION OF MIGRATORY FISH LIFE.
Poizat et al. Use of seasonally flooded marshes by fish in a Mediterranean wetland: timing and demographic consequences
WO2002070826A1 (en) Fish safe screened water diversion apparatus
Calles et al. A historical perspective on downstream passage at hydroelectric plants in Swedish rivers
Kemp Impoundments, barriers and abstractions: impact on fishes and fisheries, mitigation and future directions
CN109736253B (zh) 一种利用尾水集鱼的集鱼箱及其集鱼方法
Nam Review of existing research on fish passage through large dams and its applicability to Mekong mainstream dams
KR101235400B1 (ko) 수로 및 어도를 동시에 구비한 친환경 안전보
KR101119972B1 (ko) 친환경 어도구조물
Mouton et al. Optimisation of adjusted barrier management to improve glass eel migration at an estuarine barrier
CN114541312A (zh) 利用水电站尾水进行集鱼的升鱼机装置及其集鱼方法
KR20130022648A (ko)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 및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습지 조성 방법
KR102139517B1 (ko) 퇴적물의 통과 수로로 겸용되는 어도를 가춘 낙차공
KR200413723Y1 (ko) 어도 구조물
KR20170067624A (ko) 실뱀장어 포획장치
JP2003166228A (ja) シラスウナギ用魚道システム
KR101264211B1 (ko) 퇴적물 퇴적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
CN209798707U (zh) 一种引水式电站溢流坝段生态改造结构
KR200285364Y1 (ko) 자연산 어류의 유도 및 사육을 위한 양식장 구조
KR101622774B1 (ko) 실뱀장어와 참게 소상용 생태어도
KR200277588Y1 (ko) 어도의 유인수 공급장치
Chen et al. Research progress on fish barrier measures
KR100422573B1 (ko) 하천용 어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