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820B1 -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 - Google Patents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820B1
KR102176820B1 KR1020140188384A KR20140188384A KR102176820B1 KR 102176820 B1 KR102176820 B1 KR 102176820B1 KR 1020140188384 A KR1020140188384 A KR 1020140188384A KR 20140188384 A KR20140188384 A KR 20140188384A KR 102176820 B1 KR102176820 B1 KR 102176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electrode
substrate
display device
dual display
refle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8659A (ko
Inventor
김주연
이현구
권병화
문제현
박승구
유병곤
이정익
임종태
추혜용
한준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88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820B1/ko
Publication of KR20160078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8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4Parallel electrical configurations of multiple OLE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6Series electrical configurations of multiple OLEDs

Landscapes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는 제 1 기판이 제공되고, 제 2 기판이 제공되고, 제 1 기판 상에 제 1 투명전극이 제공되고, 제 2 기판 아래에 제 2 투명전극이 제공되고, 제 1 투명전극 상에 반사층이 제공되고, 제 2 투명전극 아래에 발광층이 제공되고, 반사층 및 발광층 사이에 챔버를 제공하는 스페이서가 제공되고, 챔버 내에 전해질이 채워진다. 반사층은 10 내지 10000ms의 응답시간을 갖고, 발광층은 1 내지 10ms의 응답시간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DU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광 및 반사의 듀얼 모드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소자에 관련된 것이다.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화면에 구현하는 영상표시 장치이며, 현대에 들어서는 가전제품이나 휴대용 전자기기 등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는 통상적으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와 같은 반사형 디스플레이,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와 같은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로 구분된다.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는 일정 전압 인가 시 자체발광 특성을 갖기 때문에 동화 대응의 응답성이나 어두운 곳에서의 시인성에 우수하지만, 에너지 절감이나 태양광 하에서의 시인성 측면에서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반사형 디스플레이는 외부의 빛을 반사, 투과 또는 착색 등의 광학 특성 변화를 통해 이미지를 표시하기 때문에 외부의 빛이 강한 조건, 특히 태양광과 같은 실외 조건에서 효과적이다. 휴대용 전가기기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는 외부의 빛에 상관없이 좋은 화면 구현 특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발광형 디스플레이와 반사형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모두 갖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전극을 갖는 발광모드와 반사모드가 구현 가능한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장 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 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1 투명전극, 상기 제 1 투명전극 및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투명전극, 상기 제 1 투명전극 및 상기 제 2 투명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층, 상기 반사층 및 상기 제 2 투명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발광층, 상기 반사층 및 상기 발광층 사이에 챔버를 제공하는 스페이서, 및 상기 챔버 내에 채워지는 전해질을 제공하고, 상기 반사층은 10 내지 10000ms의 진동 주기를 갖는 교류전압 하에서 반사모드가 될 수 있고, 상기 발광층은 1 내지 10ms의 진동주기를 갖는 교류전압 하에서 발광모드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반사층은 무기재료, 저분자 유기재료 또는 도전성 고분자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은 WO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발광층은 다환 방향족 화합물, 공역고분자, 헤테로 방향족 화합물, 킬레이트 금속 착체 유기 금속 화합물 또는 킬레이트 란타노이드 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투명전극 및 상기 제 2 투명전극은 투과도가 70% 이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해질을 액체 용매, 고체 용매 또는 gel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은 Li+ 이온을 함유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투명전극과 상기 제 1 기판 사이 및 상기 제 2 투명전극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주름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름막은 무기 또는 유기 고분자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름막은 에폭시(epoxy), 아크릴레이트(acrylate) 또는 우레탄(urethan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름막의 주름들은 1nm 내지 99μm의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주름막의 주름구조가 전사된 표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3개 이상의 전극을 이용하여 교류와 직류를 모두 사용하는 기존의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를 대신하여, 반사층과 발광층이 서로 다른 범위의 응답시간을 갖도록 제작하여 2개의 전극들만을 사용하고 교류전압만을 이용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는 두 개의 전극들만을 사용함으로써 전극의 단락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고, 비 발광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이로써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고, 구조의 단순화 및 공정의 간소화에 기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의 반사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의 발광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개념이 어떤 적합한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면(또는 층)이 다른 면(또는 층) 또는 기판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면(또는 층) 또는 기판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면(또는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가 다양한 영역, 면들(또는 층들) 등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영역, 면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소정 영역 또는 면(또는 층)을 다른 영역 또는 면(또는 층)과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서의 제 1 면으로 언급된 면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면으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개념은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에 관한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는 10 내지 10000ms의 응답시간을 갖는 반사층과 1 내지 10ms의 응답시간을 갖는 발광층을 포함하고, 교류전압만을 이용하여 구동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10)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10)는 서로 대향되는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를 포함한다. 제 1 기판(101) 및 제 2 기판(102)은 투명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판(101) 및 제 2 기판(102)은 실리콘 웨이퍼 유리 또는 석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판(101) 및 제 2 기판(102)는 polymer, polymer composite 또는 hybrid polymer를 포함하는 유연한 고분자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판(101) 및 제 2 기판(102)은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S(polyether sulfone) 또는 PC(poly carbonate)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판(101) 및 제 2 기판(102)는 실리콘 웨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판(101) 상에 제 1 투명전극(201)이 배치되고, 제 2 기판(102) 상에 제 2 투명전극(202)가 배치된다. 제 1 투명전극(201) 및 제 2 투명전극(202)은 유기, 무기, 금속, 금속 산화막, 탄소계열 또는 전도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투명전극(201) 및 제 2 투명전극(202)은 ITO(indium tin oxide), FTO(fluorinated tin oxide) 또는 그래핀(graphene)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투명전극(201) 및 제 2 투명전극(202)의 투과도는 70% 이상일 수 있다.
제 1 투명전극(201) 상에 반사층(301)이 배치된다. 반사층(301)은 10 내지 10000ms의 응답시간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의 반사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반사층(301)은 10 내지 10000ms의 진동 주기를 갖는 교류 전압(V1) 하에서 반사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반사층(301)은 전기변색(electro chromic, EC)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변색 물질은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산화환원 반응하여 그의 색이 가역적으로 바뀔 수 있다. 반사층(301)은 무기 재료, 저분자 유기 재료 또는 도전성 고분자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층(301)은 WO3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층(301)과 제 2 투명전극(202)의 사이에 발광층(401)이 배치된다. 발광층(401)은 1 내지 10ms의 응답시간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의 발광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발광층(401)은 1 내지 10ms의 진동 주기를 갖는 교류 전압(V2) 하에서 발광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발광층(401)은 전기화학발광(electrochemical luminescence, ECL)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화학발광 물질은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광자를 방출할 수 있다. 발광층(401)은 단분자, 고분자, 복합고분자 또는 금속 착제(metal complex)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층(401)은 다환 방향족 화합물(PAHs,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공액 고분자(conjugated polymer), 헤테로 방향족 화합물, 킬레이트 금속 착체 유기 금속 화합물 또는 킬레이트 란타노이드 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층(301)과 발광층(401) 사이의 공간은 스페이서(501)에 의해 밀폐되고, 이들 공간의 간격이 스페이서(501)에 의해 유지된다. 반사층(301)과 발광층(401) 사이에는 전해질(601)이 배치된다. 전해질(601)은 Li+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해질(601)은 액체 용매, 고체 용매 또는 gel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체 용매는 PS(poly styren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ES(polyether sulfone) 또는 PEO(polyethylene oxid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el 용매는 폴리머 또는 이온특성을 나타내는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20)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20)는 서로 대향되는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를 포함한다. 제 1 기판(101) 및 제 2 기판(102)은 투명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판(101) 및 제 2 기판(102)은 실리콘 웨이퍼 유리 또는 석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판(101) 및 제 2 기판(102)는 polymer, polymer composite 또는 hybrid polymer를 포함하는 유연한 고분자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판(101) 및 제 2 기판(102)은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S(polyether sulfone) 또는 PC(poly carbonate)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판(101) 및 제 2 기판(102)는 실리콘 웨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판(101) 상에 제 1 주름막(701)이 배치되고, 제 2 기판(102) 상에 제 2 주름막(702)이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주름막들(701, 702)은 미시적으로 규칙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주름막들(701, 702)의 주름들은 1nm 내지 99μm의 간격 및 폭을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주름막들(701, 702)은 거시적으로 불규칙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주름막들(701, 702)은 유기 또는 무기 고분자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주름막들(701, 702)은 에폭시(epoxy), 아크릴레이트(acrylate) 또는 우레탄(urethane)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주름막(701) 상에 제 1 투명전극(201)이 배치되고, 제 2 주름막(702) 상에 제 2 투명전극(202)가 배치된다. 제 2 제 1 투명전극(201) 및 제 2 투명전극(202)은 콘포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투명전극(201) 및 제 2 투명전극(202)은 주름막들(701, 702)의 주름구조가 전사된 표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1 투명전극(201) 및 제 2 투명전극(202)은 유기, 무기, 금속, 금속 산화막, 탄소계열 또는 전도성 폴리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투명전극(201) 및 제 2 투명전극(202)은 ITO(indium tin oxide), FTO(fluorinated tin oxide) 또는 그래핀(graphene)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투명전극(201) 및 제 2 투명전극(202)의 투과도는 70% 이상일 수 있다.
제 1 투명전극(201) 상에 반사층(301)이 배치된다. 반사층(301)은 콘포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층(301)은 제 1 투명전극(201) 또는 주름막(701)의 주름구조가 전사된 표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주름막(701)의 주름구조에 의해 반사층(301)과 전해질(601)의 접촉면적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응답속도가 향상되고 광 산란에 의해 광의 휘도가 높아진다. 반사층(301)은 10 내지 10000ms의 응답시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층(301)은 10 내지 10000ms의 진동 주기를 갖는 교류 전압 하에서 작동할 수 있다. 반사층(301)은 전기변색(electro chromic, EC)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변색 물질은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산화환원 반응하여 그의 색이 가역적으로 바뀔 수 있다. 반사층(301)은 무기 재료, 저분자 유기 재료 또는 도전성 고분자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층(301)은 WO3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층(301)과 제 2 투명전극(202)의 사이에 발광층(401)이 배치된다. 발광층(401)은 콘포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층(401)은 제 2 투명전극(202) 또는 주름막(702)의 주름구조가 전사된 표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주름막(702)의 주름구조에 의해 발광층(401)과 전해질(601)의 접촉면적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응답속도가 향상되고 광 산란에 의해 광의 휘도가 높아진다. 발광층(401)은 1 내지 10ms의 응답시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층(401)은 1 내지 10ms의 진동 주기를 갖는 교류 전압 하에서 작동할 수 있다. 발광층(401)은 전기화학발광(electrochemical luminescence, ECL)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화학발광 물질은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광자를 방출할 수 있다. 발광층(401)은 단분자, 고분자, 복합고분자 또는 금속착제(metal complex)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층(401)은 다환방향족 화합물(PAHs,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공액 고분자(conjugated polymer), 헤테로 방향족 화합물, 킬레이트 금속 착체 유기 금속 화합물 또는 킬레이트 란타노이드 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층(301)과 발광층(401) 사이의 공간은 스페이서(501)에 의해 밀폐되고, 이들 공간의 간격이 스페이서(501)에 의해 유지된다. 반사층(301)과 발광층(401) 사이에는 전해질(601)이 배치된다. 전해질(601)은 Li+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해질(601)은 액체 용매, 고체 용매 또는 gel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체 용매는 PS(poly styren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ES(polyether sulfone) 또는 PEO(polyethylene oxid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el 용매는 폴리머 또는 이온특성을 나타내는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1: 제 1 기판 102: 제 2 기판
201: 제 1 투명전극 202: 제 2 투명전극
301: 반사층 401: 발광층
501: 스페이서 601: 전해질
701: 제 1 주름막 702: 제 2 주름막

Claims (12)

  1.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 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1 투명전극;
    상기 제 2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2 투명전극;
    상기 제 1 투명전극 및 상기 제 2 투명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층;
    상기 반사층 및 상기 제 2 투명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발광층;
    상기 반사층 및 상기 발광층 사이에 챔버를 제공하는 스페이서; 및
    상기 챔버 내에 채워지는 전해질을 포함하고,
    10ms 초과 내지 10000ms 이하의 진동 주기를 갖는 교류전압이 상기 제 1 투명 전극 및 상기 제 2 투명 전극에 인가되는 경우,상기 반사층은 반사모드가 되고,
    1 내지 10ms의 의 진동주기를 갖는 교류전압이 상기 제 1 투명 전극 및 상기 제 2 투명 전극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발광층은 발광모드가 되는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무기재료, 저분자 유기재료 또는 도전성 고분자재료를 포함하는 전기변색 재료인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WO3를 포함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다환 방향족 화합물, 공액 고분자, 헤테로 방향족 화합물, 킬레이트 금속 착체 유기 금속 화합물 또는 킬레이트 란타노이드 착체를 포함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전극들은 70% 이상의 투과도를 갖는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액체 용매, 고체 용매 또는 gel 용매를 포함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Li+ 이온을 함유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전극과 상기 제 1 기판 사이 및 상기 제 2 투명전극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주름막을 더 포함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막은 무기 또는 유기 고분자막을 포함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막은 에폭시(epoxy), 아크릴레이트(acrylate) 또는 우레탄(urethane)을 포함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막의 주름들은 1nm 내지 99μm의 간격을 갖는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 및 상기 제 2 투명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주름막의 주름구조가 전사된 표면 형태를 갖는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
KR1020140188384A 2014-12-24 2014-12-24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 KR102176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384A KR102176820B1 (ko) 2014-12-24 2014-12-24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384A KR102176820B1 (ko) 2014-12-24 2014-12-24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659A KR20160078659A (ko) 2016-07-05
KR102176820B1 true KR102176820B1 (ko) 2020-11-11

Family

ID=56501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384A KR102176820B1 (ko) 2014-12-24 2014-12-24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8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827B1 (ko) * 2017-09-26 2020-11-0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발광 및 변색형 듀얼모드 멀티 터치 센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8062A (ja) 2003-10-21 2005-05-19 Toshiba Corp 表示装置
JP2006113355A (ja) * 2004-10-15 2006-04-27 Toshiba Corp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499A (ko) * 2002-04-04 2003-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이용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67556B1 (ko) * 2007-05-09 2014-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컬러 특성이 향상된 전기변색 소자
KR100932936B1 (ko) * 2008-03-25 2009-12-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거울 기능을 구비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52576B1 (ko) * 2008-07-03 2010-04-12 주식회사 나노브릭 반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49290B1 (ko) * 2009-02-11 2016-08-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TW201219949A (en) * 2010-11-12 2012-05-16 J Touch Corp presenting three-dimensional image no matter the display device is rotated as horizontal or vertical
KR20130037435A (ko) * 2011-10-06 2013-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투과형 및 반사형 전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8062A (ja) 2003-10-21 2005-05-19 Toshiba Corp 表示装置
JP2006113355A (ja) * 2004-10-15 2006-04-27 Toshiba Corp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659A (ko) 201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2022B2 (en) Light-emitting device
US7532383B2 (e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improved color properties
US10031265B2 (en) Display device with a window including a light-path changing layer
TWI576626B (zh) 顯示裝置
KR102050243B1 (ko) 자발광형 소자 및 반사형 소자를 포함하는 이중모드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이중모드 디스플레이
EP2465006B1 (en) Solid state lighting element comprising an electrode with improved optical and electrical performances
US9499103B2 (en) Display room mirror
KR102167932B1 (ko) 복합 표시 소자
CN105870153A (zh) 一种显示基板、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
KR101940764B1 (ko) 전기변색 물질, 이를 포함하는 투과도 가변 패널 및 디스플레이장치
CN104112767A (zh) 阵列基板、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和显示装置
Tsai et al. P‐202: A Flexible Transparent OLED Display with FlexUPTM Technology
JP2021529990A (ja) 全内部反射型画像ディスプレイ用カラーフィルタアレイ
KR101319443B1 (ko) 전기변색성 스마트 윈도우 필름
CN105785685A (zh) 双面显示器、显示模组及其tft阵列基板
KR102176820B1 (ko) 듀얼 디스플레이 소자
CN204407333U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156779B1 (ko) 투명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789241B (zh) 一种可切换显示状态的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CN103217839B (zh) 自发光反射式像素结构、显示面板、显示装置
CN102956677B (zh) 一种oled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KR102038532B1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50076596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24642A (ko)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을 이용한 시인성이 우수한 투명 디스플레이
KR20150019246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