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722B1 - Adhensive construction reinforcement method of seismic strengthening structure and assembly thereof - Google Patents

Adhensive construction reinforcement method of seismic strengthening structure and assembly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722B1
KR102176722B1 KR1020180039382A KR20180039382A KR102176722B1 KR 102176722 B1 KR102176722 B1 KR 102176722B1 KR 1020180039382 A KR1020180039382 A KR 1020180039382A KR 20180039382 A KR20180039382 A KR 20180039382A KR 102176722 B1 KR102176722 B1 KR 102176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eismic
present
seismic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3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5999A (en
Inventor
김철
김인식
김형수
Original Assignee
김철
김인식
(주)나우텍
김형수
주식회사 에이치에이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 김인식, (주)나우텍, 김형수, 주식회사 에이치에이앤 filed Critical 김철
Priority to KR1020180039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722B1/en
Publication of KR20190115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9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7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지상 건축물에 설치되는 내진 구조물을 접착 방식으로 적용함으로써, 내진 및 면진 기능이 향상된 접착식 내진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By applying the seismic structure installed on the ground building by the adhesive metho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ismic and seismic seismic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nd a seismic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Description

접착식 내진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 구조물 {ADHENSIVE CONSTRUCTION REINFORCEMENT METHOD OF SEISMIC STRENGTHENING STRUCTURE AND ASSEMBLY THEREOF}Construction method of adhesive seismic structure and seismic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DHENSIVE CONSTRUCTION REINFORCEMENT METHOD OF SEISMIC STRENGTHENING STRUCTURE AND ASSEMBLY THEREOF}

본 발명은 접착식 내진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상 건축물에 설치되는 내진 구조물을 접착 방식 적용함으로써, 내진 및 면진 기능이 향상된 접착식 내진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seismic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nd a seismic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by applying a seismic structure installed on the ground building by the adhesive method, the seismic and seismic function improved adhesive seismic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nd including the same It relates to seismic structures.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지진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설계부터 지진으로 인한 대비를 하고 있으며, 이를 내진설계(seismic design)라 하는데, 건축물의 내진설계 방식은, 크게 내진. 면진, 제진 및 차진 등의 방법을 들 수 있고, 이들 방법은 건축물의 내진력(耐震力)을 증가시켜 건축물을 지진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reduce the damage caused by earthquakes in buildings, preparations are made from design to earthquakes. This is called seismic design. The seismic design method of buildings is largely seismic. Methods such as seismic isolation, vibration isolation, and vibration isolation can be cited, and these methods can reduce the damage caused by earthquakes to the building by increasing the seismic power of the building.

구체적으로 내진은 취약한 구조를 보강하고 유연하게 설계하여 지진에 의해 손상이 가도 건축물이 붕괴되지 않도록 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로 줄이는 방법이다.Specifically, seismic resistance is a method of minimizing personal injury by reinforcing weak structures and designing them flexibly so that buildings do not collapse even if damaged by earthquakes.

면진은 건축물과 지반 사이에서 지진의 피해를 줄여주는 것이다. 즉 건축물 지하와 지반 사이에 적층 고무와 댐퍼, 베어링 등을 이용하여 지진 발생시 충격을 어느 정도 줄여 실제 건축물에는 진동수가 줄어들어 내부에 손상이 적다.Base isolation is to reduce the damage of earthquakes between the building and the ground. In other words, by using laminated rubber, dampers, bearings, etc. between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and the ground, the impact is reduced to some extent in case of an earthquake, and the vibration frequency is reduced in the actual building, thereby reducing internal damage.

제진은 건축물 내부에 건축물 총 중량의 1% 정도 되는 추나 댐퍼를 설치하여 지진 발생시 건축물의 진동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진동을 상쇄시키는 방법이다.Vibration suppression is a method of offsetting the vibration by installing a weight or damper that is about 1% of the total weight of the building inside the building and moving it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vibration of the building when an earthquake occurs.

그리고 차진은 지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궁극적인 방법으로 공기 베어링, 자기력, 부력 등을 이용하여 지반과 건축물 사이를 완전히 분리시켜서 지진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도록 하는 구조이다.In addition, seismic isolation is a structure that completely separates the ground and the building by using air bearings, magnetic force, and buoyancy force as the ultimate method to prevent damage from earthquakes so that they are not affected by earthquakes at all.

상기와 같이 건축물을 지을 때 지진으로부터 건축물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으로 다양한 내진 보강 장치가 적용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 중의 하나로 한국 특허등록 제 1996-0036880호가 제안된 바 있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seismic reinforcement devices are applied as a method to protect a building from earthquakes when building a building as described above,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996-0036880 has been proposed as one of the related prior art.

종래기술에서 제안되고 있는 내진 보강 장치는 고정 바닥에 고정되는 제1 끝단부와 부동 바닥(floating floor) 설치되는 대상 구조물에 접속되는 제2 끝단부를 갖는 내진 지지구조에 있어서, 최소한 3개의 이음쇠와, 제1 이음쇠와 제2 이음쇠를 그 양끝 단에 갖는 제1 수단에서, 상기 제1 이음쇠와 상기 제2 이음쇠에 의해 상기 고정 바닥에 대하여 평행한 어느 쪽의 방향에 대하여서도 기울어짐 가능한 제1 수단과, 한 끝단에 있는 상기 제2 이음쇠로 상기 제1 수단과 접속되며, 다른 끝단에 제3 이음쇠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바닥과 수평인 방향의 위치를 상기 부동 바닥에 구속하는 제2 수단과, 상기 제3 이음쇠를 통해 상기 제2 수단과 접속되며, 상기 대상 구조물을 고정하는 장착 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seismic reinforcing device proposed in the prior art is a seismic support structure having a first end fixed to a fixed floor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a target structure installed on a floating floor, with at least three fittings, In a first means having a first fitting and a second fitting at both ends thereof, a first means capable of tilting in any direction parallel to the fixed floor by the first fitting and the second fitting; , A second means connected to the first means by the second fitting at one end, having a third fitting at the other end, and restricting a position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fixed floor to the floating floor, and the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means through a third fit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means for fixing the target structure is formed.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들은 대부분 건축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등의 바닥면을 직접 타공하여 엥카 등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보강 장치 등을 고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종래의 내진 보강장치들은 바닥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로 설치가 되므로, 설치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설치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에 의한 환경오염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강직된 구조이므로 수직 및 수평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most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consist of a structure in which a reinforcing device or the like is fixed by using a fixing means such as an anchor by directly perforating a floor surface such as concrete to support a building. In other words, since conventional seismic reinforcing devices are installed completely fixed to the floor, the installation process is very complicated and environmental pollution by dust generated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is not only generated, but also because it is a rigid structure, it is transmitt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buffer vibration.

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36880호 (1996.10.28)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1996-0036880 (1996.10.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echnical problems that have been requested from the past.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지상 구조물의 하부에서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한 접착식 방식이 적용된 내진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내진 및 면진 기능이 향상된 접착식 내진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fter in-depth research and various experiments,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stalled a seismic structure with improved seismic and seismic isolation by installing a seismic structure that is easy to install and remove from the lower part of the above-ground structure, as described later. It is to provide a seismic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nd a seismic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로 콘크리트 등의 바닥에 설치를 위한 타공 과정이 생략되므로, 타공에 의한 분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접착식 내진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hesive seismic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nd a seismic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since the perforation process for installation on the floor such as concrete is omitted, and thus the generation of dust by the perforation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로 콘크리트 등의 바닥에 접착제 방식으로 부착되므로, 철거 시에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접착식 내진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hesive seismic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be easily removed even when demolition, and a seismic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since it is separately attached to a floor such as concrete by an adhesive metho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내진 구조물 시공 방법은, The adhesive seismic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

(a) 지상 구조체와 바닥면에 내진 및 내면 구조물을 위치시키는 단계;(a) positioning seismic and internal structures on the ground structure and the floor;

(b) 상기 내진 및 내면 구조물이 바닥면과 접촉하는 부위의 이물질 제거 단계;(b)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a portion where the earthquake-resistant and inner structure contacts the floor;

(c) 상기 접촉 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단계;(c) applying and drying an adhesive on the contact area;

(d) 상기 내면 구조체 또는 상기 접착제 도포 부위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및 (d) attaching an adhesive tape to the inner structure or the adhesive application portion; And

(e) 상기 내면 구조물을 조절하여 상기 지상 구조체를 정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e) adjusting the inner structure to position the above-ground structure in place; may include.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접착제는 5 ~ 30분 동안 건조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c), the adhesive may be dried for 5 to 30 minutes.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단계(e)에서 상기 내진 구조물은 높이 및 수평을 조절하여 정위치시키는 방식일 수 있다.In one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e), the seismic structure may be positioned in a correct position by adjusting the height and horizontality.

여기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내진 구조물의 높이는 회전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진 구조물은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너트의 회전 방향에 따라 내진 구조물에 안착된 지상 구조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Here, in one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seismic structure may be adjusted in a rotation manner.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ismic structure may adjust the height of the ground structure seated on the seismic structure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nut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w threaded bolt.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단계(e) 이후에 상기 지상 구조체에 상기 내진 구조물을 결합하는 단계(f)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f) of coupling the seismic structure to the above-ground structure after the step (e).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단계(d)에서, 상기 점착 테이프는 상기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스페이스부가 형성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d), the adhesive tape may be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a space portion is formed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adhesive is exposed to the outside.

여기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점착 테이프 폭(W2)과 상기 스페이스부(150)의 폭(W2)은 1: 0.01 내지 0.1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Her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width (W 2) of said adhesive tape width (W 2) and the space section 150 is 1: may be formed of a size from 0.01 to 0.1.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점착 테이프는 1 내지 15kg/cm2 범위의 접착 강도를 갖고 부착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tape may be attached with an adhesive strength in the range of 1 to 15 kg/cm 2 .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점착 테이프는 양면 접착형 단일 발포 폼 형태이거나 기재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착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tape may be in the form of a double-sided adhesive single foamed foam or may include at least one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여기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접착층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고온 용융 접착제, 구조용 접착제, 규소계 점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in one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thermoplastic elastomer adhesive, an acrylic adhesive, a hot melt adhesive, a structural adhesive, and a silicon adhesive.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기재는 발포 재료,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고무, 부직 재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cases, in one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trate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oam materials, acrylic resins, polyurethanes, polyethylene rubbers, nonwoven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내진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 시공된 내진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eismic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seismic structure described abov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내진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 구조물은 지상 건축물에 설치되는 내진 구조물에 승강식 다중 고정 유닛을 적용함으로써, 내진 및 면진 기능이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seismic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nd the seismic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eismic and seismic isolation functions by applying an elevating multiple fixing unit to the seismic structure installed on the ground building. .

또, 내진 구조물을 별도로 콘크리트 등의 바닥에 설치를 위한 타공 과정이 생략되므로, 타공에 의한 분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erforation process for separately installing the seismic structure on the floor such as concrete is omitte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due to perforation.

또한, 내진 구조물을 콘크리트 등의 바닥에 접착 방식으로 부착되므로, 철거 시에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ismic structure is attached to a floor such as concrete in an adhesive manner,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be easily removed even when demol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진 및 면진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진 및 면진 구조물을 설치하는과정을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진 면진 구조물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착 폼테이프가 부착된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진 및 면진 구조물에 대한 변형속도에 따른 강도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a seismic and seismic iso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re photographs show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seismic and seismic iso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ismic iso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4 is a plan view of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ape to which an adhesive foam tape is at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showing strength results according to a deformation rate for a seismic and seismic iso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example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uld be interpret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Meanwhi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terms used to properly expres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users or operators, or customs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ccordingly,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oes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order to enabl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내진 보강장치들은 바닥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로 설치가 되므로, 설치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설치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에 의한 환경오염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강직된 구조이므로 수직 및 수평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하기가 어려웠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seismic reinforcing devices are installed completely fixed to the floor, so the installation process is very complex and environmental pollution by dust generated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is not only generated, but also because it is a rigid structure, vertical and horizontal It was difficult to dampen the vibrations transmitted to it.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강 장치로써 내진 구조물을 지상 구조체를 지지하는 브라켓 형상으로 구현하여 바닥면에 접착 방식으로 시공하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의 해결을 모색하였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reinforcing device, the seismic structure is implemented in the shape of a bracket supporting the above-ground structure, and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solved by making it adhere to the floor.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진 및 면진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진 및 면진 구조물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들이 나타나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진 면진 구조물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1 schematically show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a seismic and seismic iso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a process of installing a seismic and seismic iso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ctures shown are shown, and FIG. 3 schematically show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ismic iso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및 내면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지상 구조체(300)가 안착되는 랙(200)과 바닥면에 내진 및 내면 구조물(10)을 위치시키는 단계(S100), 내진 및 내면 구조물(10)이 바닥면과 접촉하는 부위의 이물질 제거 단계(S200), 상기 접촉 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단계(S300), 내면 구조체(10) 또는 상기 접착제 도포 부위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S400), 내면 구조물(10)을 조절하여 지상 구조체(300)를 정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3, first,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eismic and inn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tep of positioning the seismic and inner structure 10 on the floor and the rack 200 on which the ground structure 300 is seated ( S100), seismic and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the area where the inner structure 10 contacts the floor (S200), applying and drying the adhesive on the contact area (S300), the inner structure 10 or the adhesive application area Attaching the adhesive tape to the step (S400), by adjusting the inner structure 10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step of positioning the above-ground structure 300.

여기서, 상기 단계(S100)는 지상 구조체(300)가 안착되어 있는 랙(200)과 랙(200)이 위치하는 바닥면과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및 내면 구조물(10)을 삽입하여 위치시키는 과정이다. 즉, 랙(200)의 높이를 고려하여 삽입되는 공간의 높이를 조절한 후에 내면 구조물(10)과 랙(200) 사이에 내진 및 내면 구조물(10)을 삽입하면서 위치를 체크한다.Here, in the step (S100), the seismic and inner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between the rack 200 on which the ground structure 300 is seated and the floor on which the rack 200 is located. It's a process. That is, afte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pace to be inserted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rack 200, the position is checked while inserting the seismic and inner structure 10 between the inner structure 10 and the rack 200.

다음으로, 상기 단계(S200)에서는 내진 및 내면 구조물(10)이 위치하는 대응 부위의 바닥면에 분진과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단계(S100)에서 삽입되었던 내면 구조물(10)을 탈거한 상태에서 분진과 이물질을 제거하되 상기 바닥면의 면적만큼 바닥 상태에 따라서 예를 들어, 전도성 타일 등의 부착물 등을 제거하게 된다.Next, in the step S200, a process of removing dust and foreign substanc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where the seismic and inner structure 10 is located is performed. Here, while removing the inner structure 10 inserted in the step (S100), dust and foreign matter are removed, bu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loor, for example, attachments such as conductive tiles are removed as much as the area of the floor surface. .

또, 상기 단계(S300)에서 프라이머를 도포하게 된다. 이 때, 대부분의 시공이 수행되는 바닥면은 평탄도가 낮기 때문에 페스트 타입의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In addition, the primer is applied in step S300. At this time, since the flatness of the floor on which most of the construction is performed is low, a process of applying a paste-type primer is performed.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라이머는 대략 5분 내지 30분 정도 건조 및 경화 과정이 수행되며, 바람직하게는 15분 내지 20분 동안 건조 및 경화시킨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프라이머의 종류 및 도포량에 따라서 적절히 가감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er is dried and cured for about 5 to 30 minutes, and preferably for 15 to 20 minute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of course, it may be appropriately add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type and amount of the primer applied.

이러한 프라이머는 콘크리트면을 포함하여 스테인리스 강판, 알루미늄 강판 등의 강판, 도금 처리 강판 상, 우레탄계 방수면, PVC등의 플라스틱 재질의 전도성타일에 도포 막두께가 약 0.5∼30 마이크로미터 정도가 되도록 스프레이법, 침지법, 솔칠법, 롤 코터법 등의 방법으로 도포되고, 실온 또는 온풍 하에서 건조될 수 있다.These primers are applied to the concrete surface, stainless steel plate, aluminum steel plate, plated steel plate, urethane waterproof surface, and plastic conductive tile such as PVC by spraying so that the film thickness is about 0.5 to 30 micrometers. , Dipping method, brush coating method, roll coater method, or the like, and may be dried at room temperature or under warm air.

이 후, 상기 단계(S400)는 전술한 상기 프라이머에 의하여 바닥면의 평탄도가 확보된 후에 후술할 이형지로서 점착 테이프(도 4: 100)를 부착하는 과정으로써, 이형지인 점착 테이프(도 4: 100)를 내진 구조물(10)의 하면에 부착한 후에 내진 구조물(10)을 랙(200)과 바닥면 사이에 다시 삽입하여 정위치 시킨다. 이때, 점착 테이프는 상기 프라이머가 건조된 후에 접착되므로 상호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된다.Thereafter, the step (S400) is a process of attaching an adhesive tape (Figure 4: 100) as a release paper to be described later after the flatness of the bottom surface is secured by the above-described primer, and the adhesive tape (Figure 4: After attaching 10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ismic structure 10, the seismic structure 10 is reinserted between the rack 200 and the floor to place it in place. At this time, since the adhesive tape is adhered after the primer is dried, it can be firmly adhered to each other.

이러한 점착 테이프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such an adhesive tap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다음으로, 상기 단계(S500)는 내면 구조물(10)을 조절하여 지상 구조체(3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소망하는 위치로 조절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 때, 내면 구조물(10)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조는 한 쌍의 볼트부에 회전 결합되어 있는 다중 고정 유닛(11)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내면 구조물(10)의 높이가 조절되게 된다.Next, in the step S500, a process of adjusting the inner structure 1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above-ground structure 300 to a desired position is performed. In this case, in the structur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inner structure 10, the height of the inner structure 1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ultiple fixing units 11 that are rotationally coupled to a pair of bolts.

추가적으로, 상기 단계 (S500) 이후에 내면 구조물(10)의 다중 고정 유닛(11)의 하부에는 별도의 숏너트(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다중 고정 유닛(11)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자는 내진 구조물(10)의 조절 및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숏터트를 회전시켜 다중 고정 유닛(11)을 하부면에서 고정함으로써 다중 고정 유닛(11)의 이상 회전에 의한 이격 또는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after the step (S500), a separate short nut (not shown) is provided below the multiple fixing units 11 of the inner structure 10 to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multiple fixing units 11. Therefore, when the adjustment and installation of the seismic structure 10 is completed, the contractor rotates the short tert to fix the multiple fixing units 11 on the lower surface, thereby preventing separation or accidents due to abnormal rotation of the multiple fixing units 11. Can be prevented.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내진 및 면진 구조물(10)은, 랙(200)에 안착된 지상 구조체(300)의 내진 및 면진을 위한 구조물로써, 바닥면(1)에 접촉하는 면판상체(20), 면판상체(20) 상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다중 고정 유닛(11), 다중 고정 유닛(11)의 상부에 결합되어 랙(200)을 지지하는 안착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seismic and seismic isolation structure 10 including the multiple fixing un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for seismic and seismic isolation of the ground structure 300 seated on the rack 200, and a face plate upper body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1 (20), a pair of multiple fixing units (11) formed vertically on the face plate upper body (20), a mounting portion (not shown)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ultiple fixing units (11) to support the rack (200) Consists of including.

먼저, 내진 및 면진 구조물(10)의 면판상체(20)는 바닥면(1)에 접촉하도록 판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면판상체(20)의 일측은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향 연장 형성되는 수직부(도지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내진 및 면진 구조물(10) 시공 과정에서 면판상체(20)의 평탄도를 보상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그 형상과 길이 및 형성 위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시공 환경에 따라서 적절히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First, the face plate body 20 of the seismic and seismic isolation structure 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so as 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1. In particular, one side of the faceplate body 20 is formed with a vertical portion (not illustrated) that is vertically bent to extend upward. This is formed to compensate for the flatness of the face plate upper body 20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seismic and seismic isolation structure 10, and the shape, length, and formation positio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modifi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environment. .

한 쌍의 다중 고정 유닛(11)은 면판상체(20) 상에 수직방향으로 양 단부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다중 고정 유닛(11)은 실질적으로 랙(200)을 지지하며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써, 한 쌍의 볼트부(도시하지 않음)와 너트부(도시하지 않음) 및 보조 너트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 pair of multiple fixing units 11 are formed at both end por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ace plate body 20. The multiple fixing unit 11 is a configuration that substantially supports the rack 200 and adjusts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es a pair of bolts (not shown) and a nut (not shown), and an auxiliary nut ( (Not shown).

또, 다중 고정 유닛(11)의 상부에는 대략 'L' 자 형상의 안착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부에는 상항 절곡되어 랙(200)의 하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외부 진동에 의한 평탄도를 유지할 있도록 수직 절곡된 연장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n approximately'L'-shaped seating portion (not shown)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ultiple fixing unit 11.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with an extension portion (not shown) bent vertically so as to stably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rack 200 and maintain flatness due to external vibration.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착 폼테이프가 부착된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진 및 면진 구조물에 대한 강도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FIG. 4 is a plan view of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ape to which the adhesive foam t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and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strength results for the seismic and seismic iso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테이프(100)는 양면 접착 테이프이며 내진 구조물(10)의 바닥면(1)에 부착되되, 소정의 간격인 스페이스부(150)가 소정의 폭(W1)를 갖도록 4개의 점착 테이프(100)가 부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스페이스부(150)의 폭(W1)은 바닥면(1) 상에 상기 프라이머 도포 후에 경화 과정에서 휘발 성분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4 to 5, the adhesive tap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 double-sided adhesive tape and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1 of the earthquake-resistant structure 10, and a space portion 150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Four adhesive tapes 100 are attach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W 1 .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W 1 of the space unit 150 is formed so that the volatile components are easily discharged during the curing process after the primer is applied on the bottom surface 1.

따라서, 전술한 상기 프라이머의 경화 효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이 제안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점착 테이프(100)에 별도의 다양한 단면 모양을 갖는 홈 형상의 패턴을 형성시킨 구조일 수 있다.Accordingly, various shapes may be proposed in order to derive the curing effect of the above-described primer, for example, a structure in which a groove-shaped pattern having separate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is formed on the adhesive tape 100.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점착 테이프(100)는 내진 구조물(10)의 바닥면(1) 크기에 따라 개수 및 크기가 조절되게 되며, 특히 점착 테이프(100) 폭(W2)과 상기 스페이스부(150) 폭(W1)은 대략 1: 0.01 내지 0.1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점착 테이프(100) 폭(W2)과 상기 스페이스부(150)의 폭(W1)은 1: 0.03 내지 0.05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점착 테이프(100) 폭(W2) 대비 스페이스부(150)의 폭(W1)이 0.01 크기 미만으로 형성되거나 0.1 크기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내진 구조물(10)과 바닥면(1)의 접착력이 크게 감소되어 효과적인 내진 및 내면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상기의 범위가 적합하다.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and size of the adhesive tape 10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ottom surface 1 of the seismic structure 10, and in particular, the width of the adhesive tape 100 (W 2 ) and the space part (150) The width (W 1 ) may be formed in a size of approximately 1: 0.01 to 0.1. The width (W 1) of preferably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100, the width (W 2) and the space section 150 is 1: may be formed of a size from 0.03 to 0.05. At this time, when the width (W 1 ) of the space unit 150 is formed to be less than 0.01 size or exceeds 0.1 size compared to the width (W 2 ) of the adhesive tape 100, the seismic structure 10 and the floor surface The above range is suitable because the adhesive force of (1) is greatly reduced and effective seismic and internal effects cannot be obtain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점착 테이프(100)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독립된 하나의 단일의 양면 접착 발포폼 테이프 또는 기재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착층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adhesive tap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consists of a single independent double-sided adhesive foam tape or at least one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Can be.

여기서, 상기 기재는 발포 재료,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고무, 부직 재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상기 접착층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고온 용융 접착제, 구조용 접착제, 규소계 점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테이프는 소정의 접착력 제공과 더불어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소정의 두께를 갖고 충격을 완화할 있는 발포 폼 테이프가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substrat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oam material, acrylic resin, polyurethane, polyethylene rubber, nonwoven material, or a mixture thereof, and the adhesive layer is a thermoplastic elastomer adhesive, an acrylic adhesive, a hot melt adhesive, a structural adhesive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ilicon-based adhesive. That is, the adhesive t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external shocks while providing a predetermined adhesive force, and, for example, a foam t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capable of mitigating the impact may be applied.

이 때, 본 발명에 따르면, 점착 테이프(100)는 1 내지 15kg/cm2 범위의 접착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4.5 kg/cm2 범위의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tape 100 may preferably have an adhesive strength in the range of 1 to 15 kg/cm 2 ,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4.0 to 4.5 kg/cm 2 .

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진동이 크고 빠를수록 변형하는 힘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테이프가 적용되는 경우에 무진동 상태보다 대략 10배 이상의 우수한 강도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vibration caused by the applied external force and the faster the deformation force, the stronger the strength value when the adhesive t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pproximately 10 times or more than the vibration-free state. I can.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 전술한 내진 및 면진 구조물(10)이 '」'자 형성으로 형성되어 바닥면(1)과 지상구조체(300)의 하부 측면 부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점착 테이프(100)를 통하여 부착되는 형상으로 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내진 면진 구조물(10)과 지상 구조체(300)의 접합면에는 별도의 나사홀이 형성된 금속 판재를 개재시킨 후에 볼트를 상기 나사홀에 삽입하고 너트로 고정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In some cases, in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seismic and seismic isolating structure 10 is formed in a'"' shape to wrap the bottom surface 1 and the lower side portion of the ground structure 300 with an adhesive tape. It can be constructed in a shape attached through (100). In this case, a metal plate having a separate screw hole is interposed on the joint surface of the seismic isolation structure 10 and the ground structure 300, and then a bolt is inserted into the screw hole and fixed with a nu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can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all modifications equivalently or equivalently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elong to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1: 바닥면 10: 내진 및 내면 구조물
11: 다중 고정 유닛 15: 프라이머
20: 알루미늄 면판상체 100: 점착 테이프
150: 스페이스부 200: 랙
300: 지상 구조체
1: floor 10: seismic and inner structure
11: multiple fixation unit 15: primer
20: aluminum face plate upper body 100: adhesive tape
150: space unit 200: rack
300: ground structure

Claims (11)

(a) 지상 구조체와 바닥면에 내진 및 내면 구조물을 위치시키는 단계;
(b) 상기 내진 및 내면 구조물이 바닥면과 접촉하는 부위의 이물질 제거 단계;
(c) 상기 접촉 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단계;
(d) 상기 내면 구조물 또는 상기 접착제 도포 부위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및
(e) 상기 내면 구조물을 조절하여 상기 지상 구조체를 정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바닥면의 평탄도를 확보하기 위해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점착 테이프는 상기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스페이스부가 형성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점착 테이프 폭(W2)과 상기 스페이스부 폭(W1)은 1:0.01 내지 0.1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내진 구조물 시공 방법.
(a) positioning seismic and internal structures on the ground structure and the floor;
(b)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a portion where the earthquake-resistant and inner structure contacts the floor;
(c) applying and drying an adhesive on the contact area;
(d) attaching an adhesive tape to the inner structure or the adhesive application portion; And
(e) adjusting the inner structure to properly position the above-ground structure; including,
The step (c) further comprises applying a primer to secure the flatness of the bottom surface,
In the step (d), the adhesive tape is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a space part is formed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adhesiv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adhesive tape width (W 2 ) and the space portion width (W 1 ) is an adhesive seismic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ize of 1:0.01 to 0.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접착제는 5 ~ 30분 동안 건조 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내진 구조물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ep (c), the adhesive is an adhesive seismic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drying process proceeds for 5 to 30 minut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에서 상기 내진 구조물은 높이 및 수평을 조절하여 정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내진 구조물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ep (e), the seismic structure is an adhesive seismic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by adjusting the height and horizont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 구조물의 높이는 회전방식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내진 구조물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dhesive-type seismic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seismic structure is adjusted by a rotation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 이후에 상기 지상 구조체에 상기 내진 구조물을 결합하는 단계(f)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내진 구조물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fter the step (e), the method of constructing an adhesive seismic structure, comprising the step (f) of coupling the seismic structure to the above-ground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테이프는 1 내지 15kg/cm2 범위의 접착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내진 구조물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dhesive tape is an adhesive seismic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adhesive strength in the range of 1 to 15kg / cm 2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테이프는 단일의 발포 폼 테이프 또는 기재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착층이 포함되고,
상기 접착층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고온 용융 접착제, 구조용 접착제, 규소계 점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내진 구조물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dhesive tape includes at least one adhesive layer formed on a single foam tape or a substrate,
The adhesive layer is an adhesive seismic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thermoplastic elastomer adhesive, an acrylic adhesive, a hot melt adhesive, a structural adhesive, and a silicon adhesive.
삭제delete 제 1 항 내지 제 5 항, 제 8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시공된 내진 구조물.The seismic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8 and 9.
KR1020180039382A 2018-04-04 2018-04-04 Adhensive construction reinforcement method of seismic strengthening structure and assembly thereof KR1021767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382A KR102176722B1 (en) 2018-04-04 2018-04-04 Adhensive construction reinforcement method of seismic strengthening structure and assembly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382A KR102176722B1 (en) 2018-04-04 2018-04-04 Adhensive construction reinforcement method of seismic strengthening structure and assembly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999A KR20190115999A (en) 2019-10-14
KR102176722B1 true KR102176722B1 (en) 2020-11-13

Family

ID=68171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382A KR102176722B1 (en) 2018-04-04 2018-04-04 Adhensive construction reinforcement method of seismic strengthening structure and assembly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72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774B1 (en) * 2019-12-30 2021-10-19 주식회사 에이치에이앤 Wind reinforcement solution for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nstructing method for the same
KR102136051B1 (en) 2020-05-22 2020-07-20 신화에스앤씨(주) Wind reinforcement bracke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2003B2 (en) * 1993-10-29 2001-03-07 ユナイテッド・テクノロジーズ・コーポレイション Wearable seal for gas turbine engines formed by plasma spray
JP2010180926A (en) * 2009-02-04 2010-08-19 Hirakata Giken:Kk Earthquake-proof fixing method by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KR101442455B1 (en) * 2014-03-04 2014-09-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Complex waterproof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6880A (en) 1995-03-02 1996-10-28 윌리암 티. 엘리스 Earthquake-proof supporting structure
JP3142003U (en) * 2008-03-17 2008-05-29 株式会社ルートコーポレーション Vibration control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2003B2 (en) * 1993-10-29 2001-03-07 ユナイテッド・テクノロジーズ・コーポレイション Wearable seal for gas turbine engines formed by plasma spray
JP2010180926A (en) * 2009-02-04 2010-08-19 Hirakata Giken:Kk Earthquake-proof fixing method by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KR101442455B1 (en) * 2014-03-04 2014-09-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Complex waterproof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999A (en) 201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7443B (en) Seismically stable flooring
KR102176722B1 (en) Adhensive construction reinforcement method of seismic strengthening structure and assembly thereof
JP4972567B2 (en) Seismic ceiling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KR102061573B1 (en) sound absorption panel for building
WO2016006899A1 (en) Heating pipe panel of floating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floor noise
KR102217348B1 (en) fanel for sound insulation
US5303524A (en) Earthquaker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KR101386855B1 (en) Insul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727501B1 (en) Slab Vibration Reduction System using Cable and Method Thereof
KR20210017532A (en) Floor construction structure to prevent interlayer noise of multi-storey buildings
KR102070389B1 (en) Seismic strengthening and earthquake proof structure including multi fix unit
CN114165014A (en) Shock-proof stone fixing device
JP2002138597A (en) Structure for partitioning wall
KR20120071896A (en) Cabin for a ship
KR20060067067A (en) Plaster board assembly for partition
KR102032122B1 (en) Base system of water tank based on height-adjustable
KR101608207B1 (en) Damping system and building construction using the same
JP6635327B2 (en) Seismic isolation structure of building and seismic isolation method
KR200453109Y1 (en) crashing sound preventing structure of building
KR101650428B1 (en) Grid type hypacaust slab for reducing noises between stairs
KR102490855B1 (en) reinforceing device for seismic
JP2009035925A (en) Sound isolation system of building
KR200357992Y1 (en) Double Slab Structure of Building
JP2007284969A (en) Base isolation structure of build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2001311297A (en) Floor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