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692B1 - 저광택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Google Patents

저광택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692B1
KR102176692B1 KR1020170181541A KR20170181541A KR102176692B1 KR 102176692 B1 KR102176692 B1 KR 102176692B1 KR 1020170181541 A KR1020170181541 A KR 1020170181541A KR 20170181541 A KR20170181541 A KR 20170181541A KR 102176692 B1 KR102176692 B1 KR 102176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un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9384A (ko
Inventor
유석재
김명일
김재환
곽민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81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692B1/ko
Publication of KR20190079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6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2Five-membered rings
    • C08K5/3475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8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L51/085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on to 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Abstract

본 발명은 저광택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평균입경이 상이한 2종 이상의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진 기본 수지와 UV 안정제, 착색제를 소정의 최적화된 범위로 포함하여, 기계적 물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면서도 저광택성과 내광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 내장재로 사용시 냄새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저광택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POLYCARBONATE-ABS ALLOY RESIN COMPOSITION WITH REDUCED GLOSS AND LIGHT RESISTANCE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저광택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의 블랜드(PC/ABS계 얼로이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olycarbonate, 이하, PC라 함)의 내열성 및 충격강도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이하, ABS라 함)의 가공성 및 내화학성을 모두 이용할 수 있어, 우수한 가공특성과 기계적 물성을 가진다.
또한, ABS 대비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고, PC 대비 비용절감이 가능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은 NH(Non halogen)-PC/ABS 수지는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고 인체 유해성이 낮아 다양한 전자제품이나 자동차 부품, 예를 들면, TV 하우징, 모니터 하우징, 하드디스크, 프린터, 노트북 배터리, 도어핸들, 범퍼, 인스투르먼트 판넬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기전자 제품 및 자동차 부품에 사용되는 PC/ABS 얼로이 수지는 자외선과 같은 광원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자외선으로 인한 플라스틱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내광성 내지 내후성이 있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부품 소재들은 여름철 야외의 뜨거운 햇볕에 견딜 수 있도록 고온에서 변형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높은 내열 온도가 필요하며, 겨울철 극저온에서 강도가 낮아지지 않도록 저온 충격강도를 요하고, 금형을 이용한 복잡한 사출성형이 가능하도록 높은 유동지수가 요구되며, 사용 중 가해지는 변형 응력에 견딜 수 있도록 높은 인장강도가 요구된다.
그런데, 저온 충격강도, 인장강도, 유동성, 내열성 및 내광성 등의 물리적 특성은 상호 반비례 관계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최근에 소비자들은 플라스틱에 대해 고광택보다는 저광택에 대한 선호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저광택에 대한 선호도는 최근 가전제품, 자동차 내장재 등의 고급화 경향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자동차 내장재의 경우 광택이 운전자의 주행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저광택성이 강하게 요구된다. 이러한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서 성형물 사출 후 표면 도장 공정이 요구된다. 즉, 플라스틱의 표면 광택을 저하시키기 위해 성형물 표면을 거칠게 만들어 빛을 산란시키는 것이다. 후도장 공정없이 표면 광택을 저하시키는 방법으로는 열가소성 수지 중 부타디엔계 고무를 개질하거나 탈크계 첨가제 등을 첨가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표면 광택을 요구되는 수준 이하로 낮출 수 없으며,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도장막이 없이 광원에 직접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플라스틱의 노화 및 변색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수지에 저광택을 구현하는 방법으로 고분자량의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소광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지만, 고가의 소광제를 첨가하는데 따른 열가소성 수지의 가격 상승 및 소광제로 인한 내장재 냄새 등급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사용상의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상호 반비례 관계에 있는 충격강도, 인장강도, 유동성, 내열성 및 내광성이 우수하면서 냄새 등급 저하 없이 저광택을 가진 수지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저광택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a) 용융지수가 2 g/10min 이상 내지 25 g/10min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 내지 80 중량%,
(b1) 평균 입경이 6.5 ㎛ 이상 내지 12 ㎛ 이하인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및 (b2) 평균 입경이 2 ㎛ 이상 내지 6.5 ㎛ 미만인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를 3:1 내지 1:10 중량비로 혼합한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20 내지 50 중량%,
(c) 아크릴계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0 내지 5 중량%,
(d)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0 내지 10 중량%, 및
(e) 충격보강제 0 내지 5 중량%로 이루어진 기초 수지 100 중량부;
(f) UV 안정제 0.2 내지 2.0 중량부; 및
(g) 착색제 0.3 내지 1.0 중량부;
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a) 용융지수가 2 g/10min 이상 내지 25 g/10min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 내지 80 중량%, (b1) 평균 입경이 6.5 ㎛ 이상 내지 12 ㎛ 이하인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및 (b2) 평균 입경이 2 ㎛ 이상 내지 6.5 ㎛ 미만인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를 3:1 내지 1:10 중량비로 혼합한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20 내지 50 중량%, (c) 아크릴계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0 내지 5 중량%, (d)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0 내지 10 중량%, 및 (e) 충격보강제 0 내지 5 중량%로 이루어진 기초 수지 100 중량부; (f) UV 안정제 0.2 내지 2.0 중량부; 및 (g) 착색제 0.3 내지 1.0 중량부;를 용융혼련 후 압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술한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성형품이 제공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인 수치 범위는 별도의 명시가 없는 경우에 해당 수치를 포함하는 범위가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저광택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평균입경이 상이한 2종 이상의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진 기본 수지와 UV 안정제, 착색제를 포함하여, 각 성분을 최적화된 소정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범위 내에서 기계적 물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면서도 저광택성과 내광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소광제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불쾌한 냄새를 개선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저광택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c) 아크릴계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d)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및 (e) 충격보강제로 이루어진 기초 수지를 포함한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상기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일례로 비스페놀계 모노머와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포함하여 중합된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비스페놀계 모노머는 일례로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A; BPA),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비스페놀 Z; BPZ), 2,2-비스(4-히드록시-3,5-디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메틸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1-페닐에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디페닐메탄, 및 α,ω-비스[3-(ο-히드록시페닐)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는 일례로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부틸 카보네이트, 디시클로헥실 카보네이트, 디페닐 카보네이트, 디토릴 카보네이트, 비스(클로로페닐) 카보네이트, m-크레실 카보네이트, 디나프틸 카보네이트, 비스(디페닐) 카보네이트, 카보닐 클로라이드(포스겐), 트리포스겐, 디포스겐, 카보닐 브로마이드 및 비스할로포르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일례로 약 50 내지 80 중량% 이하, 약 53 내지 75 중량% 이하, 또는 약 55 내지 73 중량% 이하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내열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약 5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소재의 내열도 및 내충격성이 저하될수 있고, 약 8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소재의 성형성이 저하되고 광택도가 높아질 수 있다.
상기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일례로 ASTM D 1238에 의거하여 측정한 용융지수(300 , 1.2 kgf)가 약 2 g/10min 이상 내지 약 25 g/10min 이하, 약 3 g/10min 이상 내지 약 22 g/10min 이하, 또는 약 3 g/10min 이상 내지 약 15 g/10min 이하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가공성이 우수하며 내열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물성 밸런스가 뛰어난 효과가 있다.
상기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일례로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35,000 g/mol 이상 내지 약 85,000 g/mol 이하, 약 40,000 g/mol 이상 내지 약 80,000 g/mol, 또는 약 42,000 g/mol 이상 내지 약 75,000 g/mol 이하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충격강도가 우수하고 유동성이 양호하여 우수한 가공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좀더 바람직한 일 구현에 있어서, 상기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용융 지수 범위가 서로 상이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2종 이상을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a1) 용융지수가 약 2 g/10min 이상 내지 약 9 g/10min 미만, 약 3 g/10min 이상 내지 약 6 g/10min 이하, 또는 약 3 g/10min 이상 내지 약 5 g/10min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a2) 용융지수가 약 9 g/10min 이상 내지 약 25 g/10min 이하, 약 10 g/10min 이상 내지 약 22 g/10min 이하, 또는 약 11 g/10min 이상 내지 약 15 g/10min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이렇게 서로 다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혼합하는 경우에, 저온 충격 강도가 우수하고 높은 용융지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a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일례로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56,000 g/mol 이상 내지 약 85,000 g/mol 이하, 약 57,000 g/mol 이상 내지 약 80,000 g/mol 이하, 또는 약 60,000 g/mol 이상 내지 약 75,000 g/mol 이상일 수 있고, 상기 (a2)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일례로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35,000 g/mol 이상 내지 약 56,000 g/mol 미만, 약 40,000 g/mol 이상 내지 약 53,000 g/mol 이하, 또는 약 42,000 g/mol 이상 내지 약 50,000 g/mol 이하일 수 있다.
상기 (a1)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a2)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약 7:0 내지 0:7, 약 3:1 내지 1:5, 또는 약 1: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저온 충격 강도가 우수하고 물성 밸런스가 뛰어난 효과가 있다.
(b) 비닐시안 화합물- 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상기 (b)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b1) 평균 입경이 약 6.5 ㎛ 이상 내지 약 12 ㎛ 이하인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및 (b2) 평균 입경이 약 2 ㎛ 이상 내지 약 6.5 ㎛ 미만인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를 혼합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한다.
상기 (b1)의 공중합체는 일례로 평균입경이 약 6.5 ㎛ 이상 내지 약 12 ㎛ 이하, 약 6.8 ㎛ 이상 내지 약 11 ㎛ 이하, 또는 약 7 ㎛ 이상 내지 약 1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b1) 공중합체의 평균입경이 약 6.5 ㎛ 미만인 경우에는 광택도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고, 약 12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격강도가 심각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b1) 공중합체는 공액디엔 화합물 약 5 내지 18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약 50 내지 9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약 10 내지 30 중량%; 또는 공액디엔 화합물 약 7 내지 12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약 60 내지 8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약 15 내지 25 중량%; 포함하여 중합된 것일 수 있고, 이 경우 성형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b2)의 공중합체는 일례로 평균입경이 약 2 ㎛ 이상 내지 약 6.5 ㎛ 미만, 약 2.5 ㎛ 이상 내지 약 6.0 ㎛ 이하, 약 3 ㎛ 이상 내지 약 5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b2) 공중합체의 평균입경이 약 2 ㎛ 미만인 경우에는 광택도가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평균입경이 약 6.5 ㎛ 이상으로 커지며 (b1)의 공중합체만 포함하는 경우에는 저온 충격강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b2) 공중합체는 공액디엔 화합물 약 8 내지 3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약 40 내지 8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약 10 내지 30 중량%; 또는 공액디엔 화합물 약 12 내지 22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약 50 내지 7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약 15 내지 25 중량%; 포함하여 중합된 것일 수 있고, 이 경우 기계적 물성, 특히 저온충격강도가 우수한 특성이 있다.
상기 (b1)의 공중합체와 (b2)의 공중합체는 약 3:1 내지 1:10, 약 2:1 내지 1:4, 또는 약 1: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상기 (b1과 (b2) 공중합체의 혼합 중량비가 5:50 미만인 경우에는 광택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고, 20:2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저온 내충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b1)과 (b2)의 공중합체 총량은 일례로 약 20 내지 50 중량%, 약 30 내지 40 중량%, 또는 약 35 내지 4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b1)과 (b2)의 공중합체 총량이 약 2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성형성과 저온 내충격성이 떨어지고 광택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고, 약 50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열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공액디엔 화합물은 일례로 공액디엔 고무일 수 있다.
(c) 아크릴계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상기 (c) 공중합체는 일례로 약 0 내지 10 중량%, 약 1 내지 5 중량%, 또는 약 1 내지 3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충격강도 및 내광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c) 공중합체는 일례로 아크릴계 화합물 약 50 내지 7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약 20 내지 4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약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내충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은 일례로 평균입경이 약 0.5 내지 5 ㎛, 약 1 내지 4 ㎛, 또는 약 3 내지 4 ㎛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충격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c) 공중합체의 아크릴계 화합물은 일례로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15개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일례로 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트릴레이트, 및 부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은 일례로 아크릴계 고무일 수 있다.
(d)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상기 (d) 공중합체는 일례로 약 0 내지 10 중량%, 약 1 내지 5 중량%, 또는 약 1 내지 3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성형성과 인장강도, 굴곡강도 및 굴곡 탄성율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d) 공중합체는 일례로 방향족 비닐 화합물 60 내지 8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5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여 중합된 것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기계적 물성 및 물성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e) 충격보강제
상기 (e) 충격보강제는 일례로 약 0 내지 10 중량%, 약 1 내지 5 중량%, 또는 약 1 내지 3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충격강도가 우수하면서 내광성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g) 충격보강제는 일례로 코어-쉘 구조의 실리콘-아크릴계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 실리콘계 고무성 코어 60 중량% 내지 90 중량% 및 상기 코어 상에 형성된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함유하는 쉘 10 중량% 내지 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일례로 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트릴레이트, 및 부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상기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c) 아크릴계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d)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및 (e) 충격보강제로 이루어진 기초 수지에 (f) UV 안정제 및 (g) 착색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f) UV 안정제
상기 (f) UV 안정제로는 상기 수지 조성물이 우수한 내광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자외선 흡수를 통해 수지에 자외선 차단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f) UV 안정제는 상기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2 내지 2.0 중량부, 약 0.25 내지 1.5 중량부, 또는 약 0.3 내지 1.2 중량부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내광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f) UV 안정제의 함량이 약 0.2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내광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약 2.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f) UV 안정제는 일례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또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와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2-(4,6-diphenyl)-1,3,5-triazin-2-yl)-5-((hexyl))oxy)-phenol)의 혼합일 수 있다.
상기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는 일례로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 (2-(2H-benzotriazol-2-yl)-4,6-bis(1-methyl-1-phenylethyl)),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Hydroxy-5'-methylphenyl)benzotriazole), 2-(2'-하이드록시-3'-터트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Hydroxy-3'-tert.butyl-5'-methylphenyl)-5-chloro-benzotriazole), 2-(2'-하이드록시-3',5'-디터트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Hydroxy-3',5'-ditert.butylphenyl)-5-chloro-benzotriazole), 2-(2'-하이드록시-3,5-디-터트-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Hydroxy-3,5-di-tert.amylphenyl)benzotriazole), 2-(2'-하이드록시-3',5'-디(1,1-아이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2-(2'-hydroxy-3',5'-di(1,1-imethylbenzyl)phenyl]-2H-benzotriazole), 2-(2'하이드록시-3',5'-디-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hydroxy-3',5'-di-t-butylphenyl)benzotriazole), 메틸렌 비스[(3-(2-벤조트리아졸리)-2-하이드록시-5-터트-옥틸페닐)] (Methylene bis[(3-(2-benzotriazoleyl)-2-hydroxy-5-tert-octylphenyl)]) 및 2-(2'-하이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Hydroxy-5'-t-octylphenyl)benzotriazol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 일 수 있다.
(g) 착색제
상기 (g) 착색제는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며, 플라스틱 산업에서 흑색을 내기 위한 물질로 알려진 착색제를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카본 성분이 포함된 흑색 착색제는 플라스틱 수지 표면에서 햇빛을 차단하여 플라스틱이 자외선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g) 착색제는 일예로, 카본블랙이나 카본나노튜브, 카본파이버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될 수 있다. 다만, 생산 비용 절감 등의 경제적인 측면에서 불완전연소된 탄화수소에서 얻어지는 탄소(그을음) 화합물인 카본블랙이 좀더 바람직하다.
상기 (g) 착색제는 일례로 상기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2 내지 2 중량부, 약 0.2 내지 1.0 중량부, 또는 약 0.4 내지 0.8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g) 착색제의 함량이 약 0.2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내광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약 2.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g) 착색제는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또는 카본파이버 등의 착색제 화합물 단독이나, 혹은 SAN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폴리에틸렌(PE), 폴리카보네이트(PC), 에스테르(ester)계 화합물 등 담지체(Carrier)에 혼합된 형태 일 수 있다.
상기 (g) 착색제는 평균 입자 크기가 약 15 내지 30 nm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수지 내 분산성이 우수하고 비표면적이 충분히 넓어 수지 조성물이 우수한 내광성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공액디엔 화합물은 일례로 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2-에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및 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일례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o-에틸스티렌, p-에틸스티렌 및 비닐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닐시안 화합물은 일례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항균제, 산화방지제, 이형제, 계면활성제, 커플링제, 가소제, 혼화제, 착색제, 대전방지제, 조색제, 방염제, 내후제, 무기 필러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광택도 측정기기(Gloss meter)로 일반적인 금형에서 사출한 성형물을 60°각도에서 측정한 광택도가 약 60 이하 또는 약 20 내지 60, 약 59 이하 또는 약 20 내지 59, 또는 약 58 이하 또는 약 20 내지 58일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PV 1303에 따라 측정한 그레이 스케일(grey scale) 값이 약 4 이상 또는 약 4 내지 5, 바람직하게는 약 5 일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PV 1303에 따라 측정한 내광성(E) 값이 약 1.0 이하 또는 약 0.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약 0.5 이하 또는 0.01 내지 0.5일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ISO 179에 따라 약 23 ℃에서 측정한 샤르피 강도가 약 45 KJ/m2 이상 또는 45 내지 60 KJ/m2, 바람직하게는 약 48 KJ/m2 이상 또는 48 내지 60 KJ/m2,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 KJ/m2 이상 또는 50 내지 60 KJ/m2일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ISO 179에 따라 약 -30 ℃에서 측정한 샤르피 강도가 약 20 KJ/m2 이상 또는 20 내지 40 KJ/m2, 바람직하게는 약 25 KJ/m2 이상 또는 25 내지 40 KJ/m2, 더 바람직하게는 약 30 KJ/m2 이상 또는 30 내지 40 KJ/m2일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VDA 270 B3에 따라 약 78 ℃ 내지 82 ℃에서 측정한 냄새 등급이 약 3.0 이하 또는 약 1.0 내지 3.0, 또는 약 2.5 이하 또는 약 1.0 내지 2.5일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ISO 306에 따라 측정한 VICAT 연화점 온도가 약 110 ℃ 이상 또는 약 110 내지 130 ℃, 또는 약 115 ℃ 이상 또는 약 110 내지 130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저광택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일례로 (a) 용융지수가 2 g/10min 이상 내지 25 g/10min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 내지 80 중량%, (b1) 평균 입경이 6.5 ㎛ 이상 내지 12 ㎛ 이하인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및 (b2) 평균 입경이 2 ㎛ 이상 내지 6.5 ㎛ 미만인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를 3:1 내지 1:10 중량비로 혼합한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20 내지 50 중량%, (c) 아크릴계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0 내지 5 중량%, (d)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0 내지 10 중량%, 및 (e) 충격보강제 0 내지 5 중량%로 이루어진 기초 수지 100 중량부; (f) UV 안정제 0.2 내지 2.0 중량부; 및 (g) 착색제 0.3 내지 1.0 중량부;를 용융혼련 후 압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융 혼련은 일례로 약 220 내지 290 ℃, 또는 약 240 내지 270 ℃에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저광택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 성형품은 일례로 자동차 내장재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평균입경이 상이한 2종 이상의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진 기본 수지와 UV 안정제, 착색제를 소정의 범위로 최적화하여 포함함으로써, 기계적 물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면서도 저광택성과 내광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기존 소재에 비해 냄새를 현저히 개선할 수 있어 자동차 내장재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어떠한 의미로든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7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 비율의 PC-ABS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각각의 성분들을 해당 함량으로 첨가하여 혼합하고, 약 250 ℃ 조건 하에서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한 후에, 제습 건조기에서 약 80 ℃에서 약 4 시간 건조한 후 시편 제작용 몰드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하였다.
하기 표 1의 조성에서 기초 수지를 이루는 폴리카보네이트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SA),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SAN), 아크릴레이트-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의 총량을 100 중량%가 되게 투입하고, 나머지 성분은 상기 기초 수지 성분의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한 비율로 투입량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1 2 3 4 5 6 7
(a1) PC-1
(중량%)
25 25 25 25 25 25 0 25 25 25 25 25 25 25
(a2) PC-2
(중량%)
35 35 35 35 32 35 60 35 35 35 35 35 35 35
(b1) ABS-1
(중량%)
10 10 10 10 10 20 10 10 10 - - - 40 10
(b2) ABS-2
(중량%)
30 30 27 27 30 20 30 30 30 40 - - - -
(b3) ABS-3
(중량%)
- - - - - - - - - - 40 34 - 30
(c) ASA
(중량%)
- - 3 - - - - - - - - - - -
(d) SAN
(중량%)
- - - - 3 - - - - - - - - -
(e) 충격
보강제 (중량%)
- - - 3 - - - - - - - - - -
(h) 소광제 (중량%) - - - - - - - - - - - 6 - -
(f) UV안정제(중량부) 0.3 0.3 0.3 0.3 0.3 0.3 0.3 0.3 0 0.3 0.3 0.3 0.3 0.3
(g) 카본블랙(중량부) 0.4 0.8 0.4 0.4 0.4 0.4 0.4 0 0.4 0.4 0.4 0.4 0.4 0.4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a1) PC-1: 용융지수 약 3 g/10min(ASTM D1238, 300 ℃, 1.2 kgf)이고, 중량평균분자량 약 70,000 g/mol의 폴리카보네이트 (LG 화학)
(a2) PC-2: 용융지수 약 15 g/10min(ASTM D1238, 300 ℃, 1.2 kgf)이고, 중량평균분자량 약 45,000 g/mol의 폴리카보네이트 (LG 화학)
(b1) ABS-1: BD 함량 9%, 평균입도 7~10 ㎛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LG ABS MA210, LG 화학)
(b2) ABS-2: BD 함량 18%, 평균입도 3~4 ㎛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LG ABS MA221, LG 화학)
(b3) ABS-3: BD 함량 11%, 평균입도 1 ㎛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LG ABS MA201, LG 화학)
(c) ASA: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LG ASA927, LG 화학)
(d) SAN: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LG 81HF. LG 화학)
(e) 충격보강제: 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MITSUBISHI RAYON, S-2001)
(f) UV안정제 (UV234, BASF)
(g) 착색제 (KCB, HI-Black 970)
(h) 소광제 (AM-10, Hannanotech)
< 시험예 >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의 특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용융지수(g/ 10min )
ISO 1133에 의거하여 260 ℃, 5 kg 하중에서 5분 체류 후 측정하였다.
인장강도( MPa )
ISO 527에 의거하여 23 ℃에서 시험속도 50 mm/min 측정하였다(시료 두께 4 mm).
굴곡강도( MPa )
ISO 178에 의거하여 23 ℃에서 시험 속도 2 ㎜/min으로 측정하였다(시료 두께 4 mm).
굴곡탄성율 ( MPa )
ISO 178에 의거하여 23 ℃에서 3-지점-굽힘으로 측정하였다(시료 두께 4 mm).
샤르피 강도(KJ/m 2 )
ISO 179에 의거하여 80×10×4 mm3의 V-노치된 샘플 상에서 23 ℃ 및 -30 ℃에서 측정하였다.
광택도
광택도 측정기기(Gloss meter)로 60° 각도에서 엠보가 없는 일반 패턴(general pattern)으로 측정하였으며 광택도 값이 작을수록 표면 저광택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내광성 지수(△E)
고온 광 노출 테스트 관련 PV 1303에 의거하여 내광성 지수(△E)을 측정하였다. 상기 내광성 지수(△E)는 통상의 체류 전 후의 ΔE 값이 아닌 고온 광 노출 테스트 관련 PV 1303에 의거하여 아래의 조건으로 시험 한 전 후 시편의 color 편차에 대한 ΔE 측정 결과이다. 본 시험 방법은 아래 Grey scale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1. 내후성 기기: CI 3000 (ATLAS)
a. Black standard temperature: 100±3 ℃
b. Specimen room temperature: 65±3 ℃
c. Relative Humidity: 20±10 ℃
d. Radiation strength (at 420nm): 1.2 W/m2
e. Filtering system: Borosilicate/Soda lime
f. Number of exposure periods: 5 periods
2. Color-eye 7000A (X-rite)
a. SCI mode
b. D65/10°
상기 내광성 지수(E)는 CIE(Commission Internationale d'Eclairage)에서 재정된 CIE Lab 모형에 따라 결정되는 값이다. 특히, 상기 내광성 지수(E)는 상술한 바와 같은 조건 하에서 고온 광 노출 테스트를 수행한 전후의 시편의 color 편차를 측정하여, 하기 계산식 1에 따라 산측하여 얻을 수 있으며, 0에 가까울수록 내광성이 우수하다.
[계산식 1]
Figure 112017130065412-pat00001
상기 계산식 1에서,
L-L'은 내광성 시험 전 후의 L* scale 차이를 나타낸 것이고, 여기서 L*은 밝기 요소 범위 0 내지 100이며;
a-a'은 내광성 시험 전 후의 a* scale 차이를 나타낸 것이고, 여기서 a*는 적-녹 축 범위 +127 내지-128이며;
b-b'는 내광성 시험 전 후의 b* 스케일 차이를 나타낸 것이고, 여기서 b*는 청-황 축 범위 +127 내지 -128이다.
그레이 스케일(grey scale)
PV 1303에 의거하여 내 그레이스케일(grey scale)을 측정하였으며, 변퇴색 표준회색색표(Grey scale for evaluating change in color)에 의거하여 내후성을 평가하였다. 값이 클수록 내후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냄새 등급
독일 자동차 산업 협회(www.vda.de)의 냄새 등급 측정 방법, VDA 270 B3에 의거하여 시편 약 20±2 cm3을 1 L 유리 용기에 넣고, 약 80±2 ℃에서 약 2h±10min 동안 보관 후 시편 뚜껑을 열고 냄새를 맡아 평가하였다. 이때, 냄새 등급은 하기와 같이 1-6 등급으로 정의되며 0.5 등급 단위로 측정하였다. 각 Grade에 대한 Scale은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Evaluation Scale
1.0 : not perceptible
2.0 : perceptible, not disturbing
3.0 : Clearly perceptible, but not disturbing
4.0 : disturbing
5.0 : strongly disturbing
6.0 : Not acceptable
VICAT 연화점 온도 (℃)
ISO 306에 의거하여 5 kgf 및 50 ℃/hr으로 승온시키는 조건 하에서 측정하여 내열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1 2 3 4 5 6 7
용융지수
(g/10min)
17 16 19 14 24 19 23 17 17 15 16 12 21 21
인장강도
(MPa)
52 52 50 49 53 53 52 52 52 51 51 55 56 55
굴곡강도
(MPa)
80 80 77 77 82 82 80 80 80 78 78 83 87 86
굴곡탄성율 (MPa) 2250 2250 2200 2150 2350 2350 2250 2250 2250 2200 2200 2400 2500 2450
샤르피강도
(23℃, KJ/m2)
54 53 51 57 50 54 53 54 54 56 55 49 46 48
샤르피강도
(-30℃, KJ/m2)
31 30 30 34 24 24 20 31 31 34 33 19 18 19
Vicat 온도
(℃)
120.4 120.7 120.2 120.2 117.4 120.6 120.6 120.6 120.5 120 120 122.3 120.7 120.3
광택도 55 53 57 56 53 40 55 55 55 65 88 55 28 71
내광성
(ΔE)
0.3 0.15 0.2 0.15 0.20 0.26 0.3 4.3 8.1 0.55 0.54 0.29 0.28 0.25
Greyscale 4 - 5 5 5 5 4 - 5 4 - 5 4 - 5 2 1 - 2 4 4 4 - 5 5 5
냄새등급 2.5 2.5 2.5 2.5 2.5 2.5 2.5 2.5 2.5 3 3 3.5 2.5 3.0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7은 (a) 내지 (g)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특정의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및 UV 안정제, 착색제 등을 최적화된 조성으로 용융 혼련하여 충격강도, 내열도, 저광택성, 내광성, 냄새등급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2에서 착색제인 카본블랙을 증량함으로써, 실시예 3에서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첨가함으로써, 실시예 4에서는 실리콘계 충격보강제를 첨가함으로써, 내광성 및 그레이스케링(Greyscale)이 현저히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SAN이 기초 수지에 포함된 실시예 5에서 충격 특성이 다소 저하되었으나 용융지수가 크게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b2)의 중구경 ABS-1 중 일부를 (b1)의 대구경 ABS-2로 대체한 실시예 6에서 광택 저하 효과가 더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a1)의 용융지수 3 g/10min인 PC-1 전체를 (a2)의 용융지수 15 g/10min인 PC-2로 대체한 실시예 7에서 저온 충격강도가 다소 저하되지만, 용융지수가 크게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착색제인 카본블랙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1과 UV 안정제가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2에서는 내광성 및 그레이스케일(greyscale)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비교예 3과 같이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로 (b2)의 중구경 ABS-2를 전량 사용하면 광택도가 증가하고, 비교예 4와 같이 (b3)의 소구경 ABS-3을 전량 사용하면 광택도가 더욱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편, 비교예 5와 같이 (h)의 소광제를 사용하면 광택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용융지수와 충격강도가 감소하고 냄새등급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비교예 6과 같이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로 (b1)의 대구경 ABS-1을 전량 사용하면 광택 저하 효과는 있으나 저온 충격강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나타났다. 비교예 7과 같이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로 (b1)의 대구경 ABS-1과 (b3)의 소구경 ABS-3을 혼련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광택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저온 충격강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나타났다.

Claims (15)

  1. (a) 용융지수가 2 g/10min 이상 내지 25 g/10min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 내지 80 중량%,
    (b1) 평균 입경이 6.5 ㎛ 이상 내지 12 ㎛ 이하인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및 (b2) 평균 입경이 2 ㎛ 이상 내지 6.5 ㎛ 미만인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를 3:1 내지 1:10 중량비로 혼합한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20 내지 50 중량%,
    (c) 아크릴계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0 내지 5 중량%,
    (d)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0 내지 10 중량%, 및
    (e) 충격보강제 0 내지 5 중량%로 이루어진 기초 수지 100 중량부;
    (f) UV 안정제 0.2 내지 2.0 중량부; 및
    (g) 착색제 0.3 내지 1.0 중량부;
    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35,000 g/mol 이상 내지 85,000 g/mol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a1) 용융지수가 2 g/10min 이상 내지 9 g/10min 미만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a2) 용융지수가 9 g/10min 이상 내지 25 g/10min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혼합한 것인,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1) 공중합체는 공액디엔 화합물 5 내지 18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50 내지 8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2) 공중합체는 공액디엔 화합물 8 내지 3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40 내지 8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화합물 50 내지 7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60 내지 8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5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충격보강제는 실리콘-아크릴계 공중합체인,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실리콘계 고무성 코어 60 내지 90 중량% 및 상기 코어 상에 형성된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함유하는 쉘 1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UV 안정제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또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및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2-(4,6-diphenyl)-1,3,5-triazin-2-yl)-5-((hexyl))oxy)-phenol)의 혼합;인,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 착색제 카본블랙이나 카본나노튜브, 및 카본파이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항균제, 산화방지제, 이형제, 계면활성제, 커플링제, 가소제, 혼화제, 착색제, 대전방지제, 조색제, 방염제, 내후제, 및 무기 필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13. (a) 용융지수가 2 g/10min 이상 내지 25 g/10min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 내지 80 중량%, (b1) 평균 입경이 6.5 ㎛ 이상 내지 12 ㎛ 이하인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및 (b2) 평균 입경이 2 ㎛ 이상 내지 6.5 ㎛ 미만인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를 3:1 내지 1:10 중량비로 혼합한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20 내지 50 중량%, (c) 아크릴계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0 내지 5 중량%, (d)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0 내지 10 중량%, 및 (e) 충격보강제 0 내지 5 중량%로 이루어진 기초 수지 100 중량부; (f) UV 안정제 0.2 내지 2.0 중량부; 및 (g) 착색제 0.3 내지 1.0 중량부;를 용융혼련 후 압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인, 성형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자동차 내장재인, 성형품.
KR1020170181541A 2017-12-27 2017-12-27 저광택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176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541A KR102176692B1 (ko) 2017-12-27 2017-12-27 저광택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541A KR102176692B1 (ko) 2017-12-27 2017-12-27 저광택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384A KR20190079384A (ko) 2019-07-05
KR102176692B1 true KR102176692B1 (ko) 2020-11-09

Family

ID=67225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541A KR102176692B1 (ko) 2017-12-27 2017-12-27 저광택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6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75362B (zh) * 2020-11-06 2022-03-22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pc/abs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778737A (zh) * 2021-01-05 2021-05-11 上海中镭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超低气味的黑色pc/abs合金树脂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772B1 (ko) * 2010-10-22 2014-10-21 제일모직 주식회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822697B1 (ko) * 2014-11-18 2018-01-30 롯데첨단소재(주) 외관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70063123A (ko)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광택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073254B1 (ko) * 2016-01-07 2020-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난연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384A (ko)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06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02250458B (zh) 聚碳酸酯树脂组合物及其模制品
JP5463002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305631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10003128A1 (en) Flame-retardant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polycarbonate resin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olycarbonate resin molded article
JP6393422B2 (ja) 自動車無塗装外装材用ポリカーボネート系熱可塑性樹脂造成物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製品。
KR100666797B1 (ko) 고충격성 및 내후성을 가지는 저광택도 폴리카보네이트수지 조성물
US20120220709A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polycarbonate resin molded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5305645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78748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70063123A (ko) 저광택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466148B1 (ko) 아크릴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50076534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176692B1 (ko) 저광택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19406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23250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2002326331A (ja) 車輌外装材に適する合成樹脂成形品およびインサート成形用シート状成形体
KR20210015107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497131B1 (ko) 아크릴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0802752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N112341778B (zh) 聚碳酸酯树脂组合物及使用其生产的汽车模制品
KR20140100851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090084574A (ko) 고광택, 고경도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5342767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96879B1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