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582B1 - 위상 절연체를 이용한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표면 플라즈몬과 편광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위상 절연체를 이용한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표면 플라즈몬과 편광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582B1
KR102176582B1 KR1020130140894A KR20130140894A KR102176582B1 KR 102176582 B1 KR102176582 B1 KR 102176582B1 KR 1020130140894 A KR1020130140894 A KR 1020130140894A KR 20130140894 A KR20130140894 A KR 20130140894A KR 102176582 B1 KR102176582 B1 KR 102176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guide
surface plasmon
insulating layer
phase insulating
polarization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7486A (ko
Inventor
정희정
이장원
천상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0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582B1/ko
Priority to US14/275,209 priority patent/US9564588B2/en
Publication of KR20150057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10N99/05Quantum devices, e.g. quantum interference devices, metal single electron transis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1Polarisation-affecting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5Specular reflectiv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32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01L31/02325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the optical elements not being integrated nor being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25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L31/0264Inorganic materials
    • H01L31/032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31/0272 - H01L31/031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위상 절연체를 이용한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와 그 제조방법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는 기판 상에 구비된 위상 절연층과, 상기 위상 절연층 상에 구비된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의 상기 위상 절연층에 연결된 도파관을 포함한다. 상기 위상 절연층은 채널층으로써, Bi2Se3층 또는 Bi2Te3층일 수 있으나, 이러한 물질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도파관은 표면 플라즈마 폴라리톤(SPP) 도파관일 수 있다. 상기 도파관은 이격된 복수의 도파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상 절연체를 이용한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표면 플라즈몬과 편광 검출방법{Device of detecting surface plasmon and polarization using topological insul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detecting surface plasmon and polarization}
본 개시는 표면 플라즈몬 검출 관련분야의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위상 절연체를 이용한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장의 회절 제한(diffraction limit) 때문에, 광소자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표면 플라즈몬 폴라리톤(surface plasmon polariton, SPP)을 이용하기도 한다. SPP로 전달된 에너지는 광으로 재추출하여 검출한다. 하지만, SPP로 전달된 에너지를 전기적으로 검출할 경우, 소자 응용 가능성이 더 넓어질 수 있다.
SPP를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방법으로 게르마늄(Ge) 나노선 채널을 이용하여 단파장 SPP를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방법이 소개된 바 있고, 더 발전된 방법으로는 그래핀 채널을 이용하는 방법이 소개된 바 있다.
기존 반도체(예를 들면, 나노선)에 비해 고이동도(≤200,000 cm2 V-1s-1)를 갖는 그래핀(graphene)과 SPP를 결합하면, 초고속이면서 광대역의 집적광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검출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검출소자를 이용한 표면 플라즈몬과 광의 편광상태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는 기판 상에 구비된 위상 절연층과, 상기 위상 절연층 상에 구비된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의 상기 위상 절연층에 연결된 도파관을 포함한다.
이러한 검출소자에서, 상기 위상 절연층은 채널층으로써, Bi2Se3층 또는 Bi2Te3층일 수 있다.
상기 도파관은 표면 플라즈마 폴라리톤(SPP) 도파관일 수 있다.
상기 도파관은 이격된 복수의 도파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파관은 상기 위상 절연층으로부터 이격된 확장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도파관의 단면은 원형, 비원형, 사각형 및 사다리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도파관들은 서로 다른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검출소자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위상 절연층을 형성하고, 상기 위상 절연층 상에 제1 및 제2 전극과 도파관을 서로 이격되게 형성한다.
이러한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도파관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도파관을 동시에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도파관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상기 도파관을 형성하기 전이나 형성한 후에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파관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도파관의 일부를 상기 위상 절연층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파관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위상 절연층 상에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도파관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도파관은 서로 다른 사이즈로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검출방법은 상술한 검출소자를 이용한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상 절연층에 캐리어를 생성시키고, 상기 생성된 캐리어를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검출방법에서, 상기 위상 절연층에 캐리어를 생성시키는 과정은 상기 도파관에 광을 조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검출방법은 상기 캐리어를 측정하는 과정 다음에, 상기 측정된 캐리어의 흐름 방향을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상 절연층에 캐리어를 생성시키는 과정은
상기 도파관에 원편광의 광을 조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은 파장이 1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광은 연속파형 레이저, 가우시안 파형, 사각파형 및 임의 파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일 실시예에 의한 검출소자는 전극들 사이에 위상 절연층 채널을 구비한다. 위상 절연층에 연결된 플라즈몬 폴라리톤 도파관을 통해서 위상 절연층에 전달되는 SPP는 위상 절연체에 캐리어(전자, 홀)를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된 캐리어는 전극으로 이동되어 검출될 수 있는 바, 상기 SPP를 전기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그래핀과 마찬가지로 위상 절연층은 상대론적 디랙(Dirac) 방정식을 따른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의 초고속 광대역 검출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위상 절연층은 표면의 에지 상태(edge state) 특성은 스핀 의존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플라즈몬 폴라리톤 도파관을 통해 전달되는 입사광의 편광상태에 따라 위상 절연층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달라진다. 그러므로 위상 절연층에 흐르는 전류 방향을 측정함으로써, 입사광의 편광상태를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SPP 및 광 편광상태 검출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검출소자를 2-2'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SPP 및 광 편광상태 검출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검출소자를 4-4'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검출소자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의 제조방법에서 멀티모드 구현을 위해 복수의 SPP 도파관이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면 플라즈몬 및 광 편광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소자와 그 제조방법과 SPP와 광 편광상태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면 플라즈몬의 전기적 검출 및 광 편광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소자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면 플라즈몬 혹은 표면 플라즈몬 폴라리톤(SPP) 검출 및 광 편광상태 검출과정은 검출소자의 설명과정에서 함께 설명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30)에 이격된 제1 및 제2 전극(42, 44)이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 전극(42, 44) 주 하나는 양전극(예컨대, 제1 전극(42))이고, 나머지 하나는 음전극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42)은, 예를 들면 금(Au)으로 형성된 전극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42, 44)은 전도성이 우수한 단일 금속, 합금 또는 실리사이드 등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고, 이외에도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42, 44) 사이에 위상 절연층(40)이 존재한다. 위상 절연층(40)는 채널층일 수 있다. 위상 절연층(40)에 SPP 도파관(46)이 연결되어 있다. SPP 도파관(46)의 일부는 위상 채널층(4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확장되어 있다. SPP 도파관(46)은 표면 플라즈몬을 갖는 금속선(metal line)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선은 나노선일 수 있다. SPP 도파관(46)은, 예를 들면 은(Ag), 금(Au) 또는 구리(Cu)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도파관일 수 있다. 위상 절연층(40)은 그래핀과 마찬가지로 상대론적인 디랙 방정식을 따른다. 따라서 위상 절연층(40)에서 캐리어는 그래핀에서처럼 고이동도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위상 절연층(40)은 여러 파장을 흡수하여 전자-홀 쌍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위상 절연층(40)은 그래핀과 마찬가지로 초고속/광대역에서 SPP 검출이 가능하다. 위상 절연층(40)의 표면의 에지 상태(edge state)는 스핀 의존성을 갖는다. 곧, 위상 절연층(40)의 표면에는 스핀 업 전자와 스핀 다운 전자가 공존하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위상 절연층(40)에 연결된 SPP 전달 도파관(46)을 통해서 위상 절연층(40)에 전달되는 SPP(50)에 포함된 입사광(L1)의 편광상태에 따라 위상 절연층(40)에서 전자의 이동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SPP 도파관(46)의 위상 절연층(40)으로부터 이격된 영역(A1)에 입사되는 입사광(L1)이 좌선성 원편광(σ-)인 경우, 이 정보는 SPP(50)에 포함되어 위상 절연층(40)으로 전달된다. 위상 절연층(40)의 표면의 에지 상태 특성에 따라 위상 절연층(40)에 좌선성 원편광(σ-)이 전달되는 경우, 전류는 오른쪽으로 흐른다. 반대로 SPP 도파관(46)의 영역(A1)에 입사되는 입사광(L1)이 우선성 원편광(σ+)인 경우, 위상 절연층(40)에서 전류는 왼쪽으로 흐른다. 이러한 전류는 제1 전극(42)에 연결된 전류계(A)로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SPP 도파관(46)에 입사광(L1)이 조사된 후, 위상 절연층(4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측정함으로써, 입사광(L1)의 편광상태, 곧 입사광(L1)이 우선성 원편광인지, 좌선성 원편광인지 알 수 있다.
한편, SPP 도파관(46)에 조사되는 입사광(L1)의 편광상태가 선편광인 경우, 원편광일 때와 달리 위상 절연층(40)에서 전류의 방향은 달라지지 않는다. SPP 도파관(46)을 통해서 위상 절연층(40)에 전달된 광은 위상 절연층(40)에서 전자(e)와 홀(hole)(h)을 생성한다. 생성된 전자(e)와 홀(h)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위상 절연층(40)에서 생성된 전자(e)와 홀(h)은 SPP 도파관(46)을 통해 SPP(50)가 위상 절연층(40)에 전달된 결과이므로, 상기 생성된 전자(e)와 홀(h)을 측정하는 것, 곧 전류를 측정하는 것은 SPP(50)를 전기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위상 절연층(40)을 채널로 이용하면, SPP(50)를 전기적으로 측정하되, 초고속 광대역으로 측정할 수 있고, SPP(50)에 포함된 광의 편광정보까지 알 수 있다.
SPP 도파관(46)의 영역(A1)에 입사되는 광(L1)은, 예를 들면 선편광이나 원편광을 갖는 광일 수 있고, 편광을 갖지 않는 광일 수도 있다. 광(L1)은, 예를 들면 연속파형 레이저일 수 있다. 광(L1)은 다양한 파형을 갖는 펄스광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가우시안(Gaussian) 파형, 사각파형 또는 임의 형태의 파형을 갖는 광일 수도 있다. 광(L1)의 밴드폭(bandwidth)은, 예를 들면 600GHz일 수 있다. 광(L1)은 코히어런트 단일 광자(coherent single photon)일 수 있다. 광(L1)의 파장은, 예를 들면 1mm이하일 수 있는데, 자외선, 가시광 또는 적외선일 수 있고, 진동수가 테라헬쯔(THz)인 광일 수도 있다.
도 1을 2-2' 방향으로 절개한 도 2를 참조하면, 기판(30) 상에 위상 절연체(40)가 존재한다. 위상 절연체(40) 상에 제1 및 제2 전극(42, 44)과 SPP 도파관(46)이 구비되어 있다. SPP 도파관(46)은 제1 및 제2 전극(42, 44) 사이에 위치하고, 제1 및 제2 전극(42, 44)과 이격되어 있다. SPP 도파관(46)의 직경(W1)은, 예를 들면 1nm~100㎛ 정도일 수 있다. 도면에서 SPP 도파관(46)의 단면은 직사각형이다. 그러나 도파관(46)의 단면은 원형, 비원형, 사각형,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도파관(46)의 단면 형태, 사이즈 혹은 비율에 따라 결맞는 파장이 결정될 수 있고, 표면 플라즈몬의 공진 효과는 증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검출소자의 사이즈는, 예를 들면 수 nm~1mm 정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SPP의 전기적 검출 및 광 편광상태 검출을 위한 멀티모드 검출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1의 검출소자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상 절연층(40)에 제1 및 제2 도파관(56, 66)이 연결되어 있다. 제1 및 제2 도파관(56, 66)은 SPP 도파관이다. 제1 및 제2 도파관(56, 66)의 직경은 다를 수 있다. 제1 및 제2 도파관(56, 66)의 직경은 1nm~100㎛ 범위에서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및 제2 도파관(56, 66)에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이 입사될 수 있고, 제1 및 제2 도파관(56, 66)은 서로 다른 SPP를 위상 절연층(40)에 전달한다. 위상 절연층(40)은 선형 에너지-운동량 분산(linear energy-momentum dispersion) 특성을 갖는 바, 제1 및 제2 도파관(56, 66)을 통해 전달된 서로 다른 SPP를 흡수하여 전자-홀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위상 절연층(40)을 이용할 경우, 멀티 모드 검출도 가능하다. 위상 절연층(40)에 제1 및 제2 도파관(56, 66)외에 더 많은 도파관이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을 4-4'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을 보여준다. 도 2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전극(42, 44) 사이의 위상 절연층(40) 상에 제1 및 제2 도파관(56, 66)이 구비되어 있다. 제1 및 제2 도파관(56, 66)의 각각의 단면 형태는 SSP 도파관(46)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도파관(56, 66)의 단면 형태는 동일할 수 있으나,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다음,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검출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기판(30) 상에 위상 절연층(40)을 형성한다. 위상 절연층(40)은, 예를 들면 Bi2Se3층, Bi2Te3층일 수 있으나, 위상 절연층(40)은 이러한 물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위상 절연층(40) 상에 제1 및 제2 전극(42, 44)과 SPP 도파관(46)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전극(42, 44)과 SPP 도파관(46)은 동일한 물질을 사용해서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42, 44)과 SPP 도파관(46)은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전극(42, 44)은 Au, Ag 및 Cu로 이루어진 군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고, SPP 도파관(46)은 상기 군중 다른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전극(42, 44)은 동시에 형성하되, SPP 도파관(46)보다 먼저 형성하거나 후에 형성할 수 있다.
한편, SPP 도파관(46)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SPP 도파관(46)의 위치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도파관(56, 66)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도파관(56, 66)을 형성할 때, 더 많은 도파관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제조방법에서 SPP 도파관(46), 제1 및 제2 도파관(56, 66)의 제원은 검출소자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때문에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30:기판 40:위상 절연층
42, 44:제1 및 제2 전극 46:SPP 도파관
50:SPP 56, 66:제1 및 제2 도파관
A1:도파관의 광이 조사되는 영역 L1:입사광
e:전자 h:홀(hole)
W1:도파관(46)의 직경

Claims (20)

  1. 기판 상에 구비된 위상 절연층;
    상기 위상 절연층 상에 구비된 제1 및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의 상기 위상 절연층에 연결된 도파관;을 포함하고,
    상기 도파관의 일부는 상기 위상 절연층의 측방향으로 상기 위상 절연층 밖으로 돌출된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절연층은 채널층으로써, Bi2Se3층 또는 Bi2Te3층인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은 표면 플라즈마 폴라리톤(SPP) 도파관인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은 이격된 복수의 도파관을 포함하는,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의 단면은 원형, 비원형, 사각형 및 사다리꼴 중 어느 하나인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파관들은 서로 다른 사이즈를 갖는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
  8. 기판 상에 위상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위상 절연층 상에 제1 및 제2 전극과 도파관을 서로 이격되게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도파관의 일부는 상기 위상 절연층의 측방향으로 상기 위상 절연층 밖으로 돌출된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절연층은 Bi2Se3층 또는 Bi2Te3층인,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의 제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도파관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도파관을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의 제조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도파관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상기 도파관을 형성하기 전이나 형성한 후에 형성하는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위상 절연층 상에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도파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의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파관은 서로 다른 사이즈로 형성하는,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의 검출소자를 이용한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상 절연층에 캐리어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캐리어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절연층에 캐리어를 생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도파관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캐리어의 흐름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절연층에 캐리어를 생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도파관에 원편광의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방법.
  19. 제 16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파장이 1mm 이하인,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방법.
  20. 제 16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연속파형 레이저, 가우시안 파형, 사각파형 및 임의 파형 중 어느 하나인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방법.
KR1020130140894A 2013-11-19 2013-11-19 위상 절연체를 이용한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표면 플라즈몬과 편광 검출방법 KR102176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894A KR102176582B1 (ko) 2013-11-19 2013-11-19 위상 절연체를 이용한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표면 플라즈몬과 편광 검출방법
US14/275,209 US9564588B2 (en) 2013-11-19 2014-05-12 Device for detecting surface plasmon and polarization by using topological insulato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surface plasmon and polariz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894A KR102176582B1 (ko) 2013-11-19 2013-11-19 위상 절연체를 이용한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표면 플라즈몬과 편광 검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486A KR20150057486A (ko) 2015-05-28
KR102176582B1 true KR102176582B1 (ko) 2020-11-09

Family

ID=53172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894A KR102176582B1 (ko) 2013-11-19 2013-11-19 위상 절연체를 이용한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표면 플라즈몬과 편광 검출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64588B2 (ko)
KR (1) KR1021765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582B1 (ko) * 2013-11-19 2020-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상 절연체를 이용한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표면 플라즈몬과 편광 검출방법
JP6679095B2 (ja) * 2015-08-14 2020-04-15 国立研究開発法人理化学研究所 電子デバイス、トポロジカル絶縁体、トポロジカル絶縁体の製造方法およびメモリ装置
CN105576071B (zh) * 2016-03-16 2017-04-19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四研究所 一种近红外集成式圆偏态检测探测器及其制备方法
CN110164999B (zh) * 2019-06-05 2021-04-27 福州大学 一种调控硒化铋薄膜中圆偏振光致电流的方法
US11415820B2 (en) * 2020-05-04 2022-08-1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Waveguide structure
CN113238308B (zh) * 2021-05-07 2022-09-27 北京华光浩阳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拓扑绝缘体的波长转换器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65801A1 (en) 2007-09-11 2009-03-12 Conway Joshua A Surface plasmon polariton actuated transistors
US20110001124A1 (en) 2009-07-06 2011-01-06 University Of Seoul 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 Photodetector capable of detecting the visible light spectrum
US20120068049A1 (en) 2010-09-16 2012-03-2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image sensor
JP2012529768A (ja) * 2009-07-06 2012-11-22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ソウル インダストリ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ファウンデーション 長波長放射を検出することができる光検出器
US20130026442A1 (en) 2011-07-29 2013-01-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hotodetec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3443B2 (ja) 2006-03-14 2011-06-15 株式会社東芝 受光素子及び光配線lsi
JP4410274B2 (ja) 2007-06-26 2010-02-03 株式会社東芝 受光素子および光配線lsi
US8344750B2 (en) 2008-03-25 2013-01-01 Alcatel Lucent Surface-plasmon detector based on a field-effect transistor
KR101293443B1 (ko) 2011-08-05 2013-08-0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표면 플라즈몬을 이용한 광소자
KR102176582B1 (ko) * 2013-11-19 2020-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상 절연체를 이용한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표면 플라즈몬과 편광 검출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65801A1 (en) 2007-09-11 2009-03-12 Conway Joshua A Surface plasmon polariton actuated transistors
US20110001124A1 (en) 2009-07-06 2011-01-06 University Of Seoul 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 Photodetector capable of detecting the visible light spectrum
JP2012529768A (ja) * 2009-07-06 2012-11-22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ソウル インダストリ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ファウンデーション 長波長放射を検出することができる光検出器
US20120068049A1 (en) 2010-09-16 2012-03-2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image sensor
US20130026442A1 (en) 2011-07-29 2013-01-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hotodetecto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ontrol over topological insulator photocurrents with light polarization’, J. McIver 등, Nature nanotechnology, 7, 96~100 (2011.12.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38553A1 (en) 2015-05-21
US9564588B2 (en) 2017-02-07
KR20150057486A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6582B1 (ko) 위상 절연체를 이용한 표면 플라즈몬 및 편광 검출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표면 플라즈몬과 편광 검출방법
Schall et al. 50 GBit/s photodetectors based on wafer-scale graphene for integrated silicon photonic communication systems
Ma et al. Plasmonically enhanced graphene photodetector featuring 100 Gbit/s data reception, high responsivity, and compact size
Xia et al. The interaction of light and graphene: basics, devices, and applications
Zhang et al. Large phase modulation of THz wave via an enhanced resonant active HEMT metasurface
Avouris et al. Graphene photonics, plasmonics, and optoelectronics
Dabidian et al. Experimental demonstration of phase modulation and motion sensing using graphene-integrated metasurfaces
Tong et al. Antenna enhanced graphene THz emitter and detector
Apostolopoulos et al. THz emitters based on the photo-Dember effect
Li et al. Photosensitive graphene transistors
Degl’Innocenti et al. Low-bias terahertz amplitude modulator based on split-ring resonators and graphene
Vandenbosch et al. Upper bounds for the solar energy harvesting efficiency of nano-antennas
US8148688B2 (en) Near-field terahertz wave detector
CN103943715B (zh) 集成分布布拉格反射光栅的增强型石墨烯波导探测器
Gao et al. Graphene-on-silicon nitride waveguide photodetector with interdigital contacts
KR20130014249A (ko) 광검출기
Wang et al. Graphene integrated photodetectors and opto-electronic devices—a review
US9018642B1 (en) Mid-infrared tunable metamaterials
US20140175546A1 (en) Plasmonically enhanced electro-optic devices and methods of production
US20140048710A1 (en) Device and method for modulating transmission of terahertz waves
Yang et al. InGaAs/graphene infrared photodetectors with enhanced responsivity
US20220131020A1 (en) Electrode structure and photodetection element
Yousefi et al. Highly efficient dual band graphene plasmonic photodetector at optical communication wavelengths
JP4664123B2 (ja) 検出器
Cheng et al. Monolithic optoelectronic integrated broadband optical receiver with graphene photodete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