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192B1 - 코 성형용 보형물 - Google Patents

코 성형용 보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192B1
KR102176192B1 KR1020180064959A KR20180064959A KR102176192B1 KR 102176192 B1 KR102176192 B1 KR 102176192B1 KR 1020180064959 A KR1020180064959 A KR 1020180064959A KR 20180064959 A KR20180064959 A KR 20180064959A KR 102176192 B1 KR102176192 B1 KR 102176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holes
hole
prosthesis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8471A (ko
Inventor
이재혁
오세억
Original Assignee
(주) 에스테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스테팜 filed Critical (주) 에스테팜
Priority to KR1020180064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192B1/ko
Publication of KR20190138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8Internal ear or nose parts, e.g. ear-drums
    • A61F2/186Nos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0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bioabsorb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osthe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코 성형용 보형물은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몸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몸체부를 관통하는 통공을 포함한다. 통공에 조직이 채워짐으로써 코 성형용 보형물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 성형용 보형물{NASAL IMPLANT FOR PLASTIC SURGERY}
본 발명은 코 성형용 보형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생분해성 재료로 형성되는 코 성형용 보형물에 관한 것이다.
코 성형 수술(Rhinoplastiy)은 만성 코막힘, 비염 등의 질환을 개선하기 위하여 교정의 목적으로 행해질 수 있으며, 또는 최근에 들어서는 미용 목적으로도 많이 실시되고 있다.
교정 목적의 코 성형 수술에서는 콧구멍에서부터 비강에 이르는 통로를 교정하여 공기와 콧물의 출입을 원활하게 한다.
미용 목적의 코 성형 수술에서는 매부리코, 들창코 등의 형태를 곧은 코의 형태로 변형시키거나, 콧대를 높이는 등의 시술이 실시된다.
코 성형 수술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법은 보형물을 삽입하는 것인데, 보형물로는 실리콘, 고어텍스 또는 실리텍스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지방이나 연골이 이식된다. 지방이나 연골을 이식할 경우 면역반응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시술자 자신의 지방이나 연골이 추출되어 이용된다.
보형물이 코 피부 아래에 이식되어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조직과의 흡착 등을 비롯한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 염증 및 부종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보형물로서 생분해성 재료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생분해성 재료들은 체내에 삽입되어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인체에 흡수된다.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82954호에서 방사형고정부를 포함하여 피하층에 삽입된 후 고정될 수 있는 생체분해성 성형시술용 고체필러를 개시하나, 생체분해성 물질이 분해되어 인체에 흡수되면 수술 이전의 상태 및 형태로 되돌아가게 되는 바, 생분해성 재료의 분해 후에도 수술의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82954호(2016.11.30)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코 성형 수술에서 삽입 후 경과가 뛰어난 코 성형용 보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1.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는 통공을 포함하는, 코 성형용 보형물.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물질은 카프로락톤(Caprolactone), 락트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파라-디옥사논(p-Dioxanone) 및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Trimethylene carbonate)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형성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거나 상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혼합물인 코 성형용 보형물., 상기 통공은 인접한 네 개의 통공과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배열되는 코 성형용
3. 위 1에 있어서, 상기 통공의 직경은 2mm 내지 5mm인 코 성형용 보형물.
4. 위 1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인접한 통공과 3mm 내지 10mm의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간격은 상기 통공의 직경 이상의 값을 갖는 코 성형용 보형물.
5. 위 1에 있어서, 상기 통공과 인접한 통공의 간격이 일정하며, 상기 통공은 인접한 네 개의 통공과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배열되는 코 성형용 보형물.
6. 위 1에 있어서, 상기 통공과 인접한 통공의 간격이 일정하며, 상기 통공은 인접한 세 개의 통공과 120도 각도를 이루도록 배열되는 코 성형용 보형물.
7. 위 1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상기 몸체부의 너비 방향에 대하여 중심부에서보다 외곽부에서 밀도가 높게 형성되는 코 성형용 보형물.
8. 위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코 연골의 형상에 상응하는 굴곡을 가진 형상을 포함하는 코 성형용 보형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코 성형용 보형물은 생분해성 물질로 형성되고 두께 방향으로 통공을 지닌다. 따라서, 코 성형 수술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체에 흡수되어 별도의 제거 수술이 필요치 않으며, 장시간에 인체 내에 삽입됨에 따라 조직과 흡착되어 발생할 수 있는 염증 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공이 일정 직경을 가지거나,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인체 내에 삽입된 상태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통공에 인체 조직이 채워지면서 뼈대(Scaffold)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간이 추가로 경과하면서 보형물이 모두 흡수되는 경우에도 코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뼈대에 의해 코 성형용 보형물이 삽입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통공은 정사각형 격자 또는 육방격자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위 면적 상 많은 수의 통공을 포함할 수 있어 보다 많은 상기 뼈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의 형태를 보다 온전히 유지시킬 수 있으며 보형물의 고정력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생체 조직이 더 많이 분포된 코의 측면부에 상기 통공을 다수 배치함으로써 상기 통공을 생체 조직이 채우면서 상기 코 성형용 보형물이 삽입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코 성형용 보형물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코 성형용 보형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코 성형용 보형물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코 성형용 보형물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코 성형용 보정물은 생분해성 물질로 형성되고 두께 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된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공은 상기 몬체부 전반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열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코 성형용 보형물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코 성형용 보형물(100)은 몸체부(110) 및 통공(210)을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몸체부(110)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몸체부(110)를 관통하는 통공(21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생분해성 물질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생분해성 물질로서 구성되거나 형성되는 생분해성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는 코 성형용 보형물(100)의 외형을 정의한다.
상기 생분해성 물질은 인체 내에 삽입될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분해되어 인체 내로 흡수될 수 있는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해된 물질은 인체 내로 흡수되어도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물질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몸체부(110)는 코 연골의 형상에 상응하는 굴곡을 가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 내 삽입 후 코의 연골에 밀착되어 보다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몸체부(110)의 형상은 평판이거나 코의 연골을 따라 휘어진 유선형의 형상일 수 있다. 몸체부(110)의 형상이 상기 평판일 경우, 코 수술 시 원하는 모양과 크기에 따라 몸체부(110)을 가공하여 이용할 수 있다. 몸체부의 형상이 상기 코의 연골 형상으로 제조될 경우 몸체부(110)을 가공하지 않고 코 수술에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몸체부(110)는 코 연골의 형상에 상응하는 굴곡을 가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가 상기 형상일 경우, 삽입된 코 성형용 보형물(100)의 밀착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코 성형용 보형물(100)이 삽입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통공(210)에 조직이 용이하게 채워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몸체부(110)를 형성하는 물질은 인체 내부(예를 들면, 코 연골 위, 코 피부 아래)에 삽입될 경우 염증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물질은 카프로락톤(Caprolactone), 락트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파라-디옥사논(p-Dioxanone) 및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Trimethylene carbonate)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형성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거나 상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또는 상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혼합물은 예를 들면, 인체 내부에 삽입될 경우에도 면역 체계에 대하여 거부 반응이 없는 물질일 수 있다. 따라서, 인체 내에 삽입되어도 염증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또는 상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혼합물 인체 내에 삽입될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분해되면서 분해되어 생성되는 상기 단량체가 인체 내로 흡수되는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량체는 인체 내에 흡수되어도 인체에 악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통공(210)은 몸체부(110)의 전반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 성형용 보형물(100)이 코 피부 아래에 삽입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피부 조직이 통공(210) 내부를 채울 수 있으며, 이 경우 통공(210) 내부에 채워진 상기 조직이 뼈대(Scaffold)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뼈대에 의해 시간이 추가로 경과하여 코 성형용 보형물(100)이 인체 내로 실질적으로 완전히 흡수되는 경우에도, 코의 외형이 상기 보형물이 흡수되기 전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통공(210)을 채우는 조직에 의해 코 성형용 보형물(100)이 수술 시 삽입한 부위에 고정될 수 있다. 통공(21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보형물이 코 피부 아래에 삽입된 후, 예를 들면 외적인 압력이나 피부 조직의 생장에 의한 밀림 등에 의해 수술에서 삽입을 위해 절개된 부분 등을 통해 빠져나올 수 있다.
따라서, 통공(210)에 조직이 차 오르면서 상기 뼈대를 형성할 경우 상기 보형물을 코 성형 수술에서 삽입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어 외부 압력 등에 의해 상기 보형물이 체외로 빠져나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공(210)은 몸체부(110)의 코끝 방향 말단부에 보다 밀집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코끝 방향 말단부에서 통공(210)의 밀도가 약 20% 내지 30% 높을 수 있다. 통공(210)의 밀도가 몸체부(110)의 코끝 방향에서 보다 높을 경우, 코끝에는 생체 조직의 양이 많기 때문에 통공(210)이 생체 조직으로 용이하게 채워질 수 있어, 코 성형용 보형물(1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코 성형용 보형물(100)의 코끝 방향 말단부에 통공(210)의 수가 많아지면서 상기 말단부가 강도가 낮아지고 유연해짐에 따라, 코 성형용 보형물(100)이 수술 부위를 뚫고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공(210)의 직경은 2mm 내지 5mm일 수 있다. 통공(210)의 직경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상기 뼈대의 직경이 증가하여 상기 뼈대가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통공(210)이 과도하게 크지 않아 코 성형용 보형물(100)의 기계적, 물리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코 수술 직후, 조직이 통공(210)을 채우기 전에 코의 외관에 발생할 수 있는 요철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통공(210)의 직경은 2mm 내지 4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공(210)은 인접한 통공과 3mm 내지 10mm의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간격은 통공(21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인접한 통공의 중심 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간격이 상기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통공(210)과 상기 인접한 통공 사이의 간격이 충분이 확보되어, 몸체부(110)의 기계적 강도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통공(210) 사이의 간격이 10mm를 초과할 경우 필요한 만큼의 통공(210)이 형성되지 않아 상기 뼈대 수와 이로 인한 코의 외형 유지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격은 4mm 내지 10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이 통공(210)의 직경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통공(210)이 지나치게 밀집되지 않아 코 성형용 보형물(100)이 코 내부에 삽입될 경우에 코의 외관에 요철이 없이 매끄럽게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세균이 번식하기에 용이하지 않으며, 세균에 의해 감염이 된다 하더라도 용이하게 치료하여 세균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박멸할 수 있어, 염증 등의 발생을 억제하고 염증 발생 시 치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 및 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코 성형용 보형물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통공(210)과 상기 인접한 통공들이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배열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할 때,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공(210)과 상기 인접한 통공들의 간격이 일정하며, 통공(210)과 네 개의 상기 인접한 통공들이 90도 각도를 이루며 배열될 수 있다.
상기 90도는 실질적으로 90도로 볼 수 있는 각도로서, 예를 들면, 87도 내지 93도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통공(210)들이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격자를 이루며 배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통공(210)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뼈대가 정사격형 격자를 이루며 규칙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수술 후 코의 외관 유지 효과와 상기 보형물의 고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할 때,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공(210)과 상기 인접한 통공들의 간격이 일정하며, 통공(210)과 세 개의 상기 인접한 통공들이 120도 각도를 이루며 배열될 수 있다.
상기 120도는 실질적으로 120도로 볼 수 있는 각도로서, 예를 들면, 116도 내지 124도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통공(210)들이 실질적으로 정육방격자(예를 들면, 벌집 모양)를 이루며 배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통공(210)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며 코 내에서 상기 뼈대가 정육방격자를 이루며 규칙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수술 후 코의 외관 유지 효과와 상기 보형물의 고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공(210)은 몸체부(110)의 너비 방향에 대하여 중심부에서보다 외곽부에서 밀도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중심부는 몸체부(110)가 코 피부 안에 삽입될 때, 콧등이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외곽부는 코 측면부와 콧방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의 상기 외곽부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생체 조직이 콧등 부분보다 많기 때문에, 상기 외곽부에 통공(210)의 밀도가 보다 높게 형성될 경우, 통공(210)에 조직이 용이하게 채워짐으로써, 코 성형용 보형물(100)의 고정력을 향상킬 수 있으며, 코 성형용 보형물(100)이 분해될 경우에도 원래 삽입되었을 때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100: 코 성형용 보형물
110: 몸체부
210: 통공

Claims (8)

  1.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는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통공은 상기 몸체부의 너비 방향에 대하여 중심부에서보다 외곽부에서 밀도가 높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코끝 방향 말단부에서 상기 통공의 밀도가 상기 중심부보다 20 ~ 30% 높게 형성되는, 코 성형용 보형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물질은 카프로락톤(Caprolactone), 락트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파라-디옥사논(p-Dioxanone) 및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Trimethylene carbonate)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형성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거나 상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혼합물인 코 성형용 보형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공의 직경은 2mm 내지 5mm인 코 성형용 보형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인접한 통공과 3mm 내지 10mm의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간격은 상기 통공의 직경 이상의 값을 갖는 코 성형용 보형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공과 인접한 통공의 간격이 일정하며, 상기 통공은 인접한 네 개의 통공과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배열되는 코 성형용 보형물.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공과 인접한 통공의 간격이 일정하며, 상기 통공은 인접한 세 개의 통공과 120도 각도를 이루도록 배열되는 코 성형용 보형물.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코 연골의 형상에 상응하는 굴곡을 가진 형상을 포함하는 코 성형용 보형물.
KR1020180064959A 2018-06-05 2018-06-05 코 성형용 보형물 KR102176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959A KR102176192B1 (ko) 2018-06-05 2018-06-05 코 성형용 보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959A KR102176192B1 (ko) 2018-06-05 2018-06-05 코 성형용 보형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471A KR20190138471A (ko) 2019-12-13
KR102176192B1 true KR102176192B1 (ko) 2020-11-09

Family

ID=68847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959A KR102176192B1 (ko) 2018-06-05 2018-06-05 코 성형용 보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1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797A1 (ko) * 2020-12-11 2022-06-16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코 보형물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17540A1 (en) * 2012-05-22 2013-11-28 Krasimira Hristov Universal bioabsorbable nasal implant ki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9976A (ko) * 2007-06-14 2008-12-18 최종수 의료용 보형물
KR20150001248U (ko) * 2013-09-17 2015-03-25 상해쌍영상무정보자문유한회사 그물망식 실리콘 보형물
KR101682954B1 (ko) 2015-04-09 2016-12-06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성형시술용 고체필러
CN105078614A (zh) * 2015-08-19 2015-11-25 深圳市大族三维科技有限公司 一种鼻假体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17540A1 (en) * 2012-05-22 2013-11-28 Krasimira Hristov Universal bioabsorbable nasal implant ki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797A1 (ko) * 2020-12-11 2022-06-16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코 보형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83937A (ko) * 2020-12-11 2022-06-21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코 보형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426363B1 (ko) 2020-12-11 2022-08-01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코 보형물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471A (ko) 2019-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0332B2 (en) Fixation of orthopaedic devices
RU2585135C2 (ru) Биорассасывающийся многослойный расширяющий трансплантат для носового клапана
CA2811967C (en) Columellar strut for nasal tip support
ES2655117T3 (es) Métodos y composiciones para el tratamiento de lesiones de la médula espinal con herida abierta y cerrada
EP3185819A1 (en) Nasal implants and systems and method of use
AU2018330926B2 (en) Patient-specific mandible graft cage
TW201215369A (en) Spinal implant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554895B2 (en) Ear scaffold
AU2012238470B9 (en) Ear scaffold
AU2017388207B2 (en) Nasal implants and methods of use
US9095438B1 (en) Surgical implant for ostectomy procedures
KR102176192B1 (ko) 코 성형용 보형물
ITRM20010123A1 (it) Fissatore interno a fascia per fratture e protesi ossee.
KR20160142061A (ko) 요도삽입장치 보조기구
JP6189337B2 (ja) 植え込み可能本体用薬物溶出挿入部材
WO2013054216A1 (en) A medical implant
US20220008192A1 (en) Device for support and shape of soft tissue
CN219846745U (zh) 一种可吸收界面螺钉
RU47663U1 (ru) Штифт для остеосинтеза полимерный антимикробный с четырьмя ребрами жесткости
WO2022216259A1 (en) An envelope for implantable cardiac pacemakers
KR20210061837A (ko) 두개악안면부 재건용 임플란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임플란트
RU100392U1 (ru) Погружной стержень для аппаратов внешней фиксации таз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