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157B1 -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157B1
KR102176157B1 KR1020200092155A KR20200092155A KR102176157B1 KR 102176157 B1 KR102176157 B1 KR 102176157B1 KR 1020200092155 A KR1020200092155 A KR 1020200092155A KR 20200092155 A KR20200092155 A KR 20200092155A KR 102176157 B1 KR102176157 B1 KR 102176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body
reinforcement
slider
rail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진
Original Assignee
(주)씨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엠텍 filed Critical (주)씨엠텍
Priority to KR1020200092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60N2/01508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 B60N2/01516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설치되는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시트프레임과 연결되는 슬라이더본체부와, 슬라이더본체부의 단부에 결합되고, 이탈하중의 작용 시 레일에 걸려 슬라이더본체부가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구속하는 이탈방지블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SLIDER OF SEAT TRACK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자가 착석하는 차량용 시트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 트랙은 차량 실내를 이루는 차체의 바닥에 설치되고,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통상 차량용 시트 트랙은 차체에 고정되는 레일과,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벨트인시트(belt in seat) 구조가 적용된 경우, 차량 사고 발생 시 착석자의 체중 등으로 인해 안전벨트(seat belt)에 순간적으로 작용하는 하중이 안전벨트가 결속된 시트와 시트프레임을 통해 슬라이더로 전달되는데, 이러한 하중에 의해 슬라이더가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슬라이더가 레일로부터 이탈된다는 것은, 착석자와 결속된 상태의 시트가 차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는 바, 착석자에게 보다 위험한 상황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시트 트랙의 구조적 조건으로써 슬라이더의 이탈방지 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동일한 사고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시트에 착석한 인원수가 늘어날수록 시트에 순간적으로 작용하는 하중이 보다 증가되는데, 종래의 차량용 시트 트랙 구조에 의하면 3인용 이상의 하중에 대한 이탈방지 강성을 확보하기 어려워, 1, 2인용 시트에만 한정적으로 적용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64771호(2006.06.14 공개, 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시트 레일 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사고 발생 시 순간적으로 작용하게 되는 하중에 대해 레일에 결속된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는, 차체에 설치되는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시트프레임과 연결되는 슬라이더본체부; 및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의 단부에 결합되고, 이탈하중의 작용 시 상기 레일에 걸려 상기 슬라이더본체부가 상기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구속하는 이탈방지블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더본체부는, 상기 레일의 제1가이드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슬라이더부; 상기 제1슬라이더부와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레일의 제2가이드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더부; 상기 제1슬라이더부와 상기 제2슬라이더부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블럭부의 일측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보강슬롯부; 및 상기 제1슬라이더부와 상기 제2슬라이더부에서 상기 레일의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시트프레임과 상기 이탈방지블럭부의 타측부가 결합되는 시트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블럭부는,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와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고, 이탈하중 작용 시 상기 레일에 걸리며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와 함께 이탈하중을 분산시켜 상기 레일에 전달하는 이탈방지보강부; 상기 이탈방지보강부에서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부 상에 슬롯 형상으로 형성된 보강슬롯부에 끼워져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의 굽힘 강성을 보강하는 굽힘방지보강부; 및 상기 이탈방지보강부, 상기 굽힘방지보강부 중 적어도 일측에서 상기 레일의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와 적층되게 배치되는 제1다중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보강부는, 걸림베이스부; 상기 걸림베이스부의 폭방향 중간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중간보강부; 상기 걸림베이스부의 폭방향 일측에 상기 중간보강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레일의 제1가이드부에 수용되며, 이탈하중의 작용 시 상기 제1가이드부에 걸리는 제1이탈방지보강부; 및 상기 걸림베이스부의 폭방향 타측에 상기 중간보강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레일의 제2가이드부에 수용되며, 이탈하중의 작용 시 상기 제2가이드부에 걸리는 제2이탈방지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굽힘방지보강부는, 상기 보강슬롯부에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끼워지는 삽입보강부; 상기 삽입보강부의 폭방향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의 제1슬라이더부와 횡방향으로 면접촉되는 제1접촉보강부; 및 상기 삽입보강부의 폭방향 타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의 제2슬라이더부와 횡방향으로 면접촉되는 제2접촉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다중결합부는, 상기 이탈방지보강부, 상기 굽힘방지보강부 중 적어도 일측에서 상기 레일의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블럭부; 상기 연장블럭부 상에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와 적층되게 배치되는 제1적층보강부; 및 상기 제1적층보강부 상에 홀부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체결부재가 상기 시트프레임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1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다중결합부는, 상기 연장블럭부와 상기 제1적층보강부의 경계부에 단턱지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와 폭방향으로 접하는 조립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더본체부는, 상기 제1적층보강부가 결합되는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적층보강부가 안착되는 받침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블럭부는, 상기 이탈방지보강부, 상기 굽힘방지보강부, 상기 제1다중결합부의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에 접합하여 형성되는 블럭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럭접합부는, 상기 보강슬롯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의 제1슬라이더부와 제2슬라이더부에 상기 굽힘방지보강부의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일부를 접합하여 형성되는 제1접합부;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의 측면부에 상기 이탈방지보강부의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일부를 접합하여 형성되는 제2접합부; 및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에 상기 제1다중결합부의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일부를 접합하여 형성되는 제3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의 측면부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와 함께 폐쇄된 도형의 종단면 형상을 이루어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의 굽힘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브라켓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브라켓부는,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와 폭방향으로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종연장보강부; 상기 종연장보강부의 하부에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의 측면부와 접하는 횡연장보강부; 및 상기 종연장보강부의 상부에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의 상부와 적층되게 배치되는 제2다중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횡연장보강부는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의 측면부에 근접할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다중결합부는, 상기 종연장보강부에서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와 적층되게 배치되는 제2적층보강부; 및 상기 제2적층보강부 상에 홀부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체결부재가 상기 시트프레임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브라켓부는, 상기 종연장보강부, 상기 횡연장보강부, 상기 제2다중결합부의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에 접합하여 형성되는 브라켓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더본체부는, 상기 레일의 외부에 직립되게 배치되고, 측면부가 상기 횡연장보강부와 접하는 직립연장부; 상기 직립연장부에서 폭방향 양측 중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다중결합부와 적층되게 배치되며, 상기 시트프레임이 결합되는 편심연장부; 및 상기 편심연장부의 단부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종연장보강부의 단부가 접하는 경사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접합부는, 상기 편심연장부에 상기 종연장보강부의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일부를 접합하여 형성되는 제4접합부; 상기 직립연장부에 상기 횡연장보강부의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일부를 접합하여 형성되는 제5접합부; 및 상기 경사연장부에 상기 종연장보강부의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일부를 접합하여 형성되는 제6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는,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본체부의 단부에 이탈방지블럭부를 결합함으로써, 시트프레임을 통해 슬라이더본체부에 작용하게 되는 이탈하중이 슬라이더본체부 뿐만 아니라 이탈방지블럭부에 분산되어 레일과의 접촉부에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탈하중이 슬라이더본체부와 접하는 레일의 일부에 국부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더본체부와 이탈방지블럭부에 걸쳐 보다 고르게 분산, 분포되어 작용하게 되므로, 이탈하중에 대한 구조적 강성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시트프레임이 슬라이더본체부의 측방향 일측에 편중되게 위치 시, 슬라이더본체부에는 굽힘력, 비틀림 변형을 유발하는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는데, 슬라이더본체부의 측면부에 폐쇄된 도형의 종단면 형상을 이루게 보강브라켓부를 결합함으로써, 슬라이더본체부의 굽힘강성, 비틀림강성을 안정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본체부에 이탈방지블럭부, 보강브라켓부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기존의 슬라이더 구조를 슬라이더본체부로서 그대로 적용, 활용하면서도, 3인석의 시트에 작용하게 되는 고하중의 이탈하중에 대해 레일에 결속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 강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를 도 4와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A-A'선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B-B'선 요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블럭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블럭부를 도 9와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의 블럭접합부와, 브라켓접합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시트 트랙(1)은 차량 실내를 이루는 차체(8)의 바닥에 설치되고,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를,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트의 골조를 이루는 시트프레임(9)을 전후방향(도 1 내지 도 3 상의 x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차량용 시트 트랙(1)은 레일(2)과 슬라이더(5)를 포함한다.
레일(2)은 차체(8)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고정설치되고, 슬라이더(5)는 레일(2)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슬라이더(5)를 레일(2)을 따라 목적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 레일(2) 상에 락킹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차량 충돌 등의 사고 시 탑승자의 체중이 안전벨트(seat belt)에 쏠리고, 특히 벨트인시트(belt in seat) 구조가 적용된 경우 안전벨트가 결속된 시트와 시트프레임(9)을 통해 슬라이더(5)로 전달된다. 이러한 하중은 슬라이더(5)를 레일(2)로부터 이탈시키는 이탈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슬라이더(5)를 레일(2)로부터 이탈시키는 이탈력으로써 작용하게 되는 하중을 포괄하여 이탈하중이라 한다.
예를 들어, 전방으로 주행 중에 차량이 충돌 사고 등으로 인해 급정지하게 되면 시트프레임(9) 상에는 도 2 상의 F1 방향(전방)으로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하중은 시트프레임(9)과 연결된 슬라이더(5)에 레일(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인 F2, F3 방향(상향)으로의 이탈하중으로 작용하게 된다.
시트는 1인석, 2인석, 3인석 등 다양한 사양을 가질 수 있으며, 동일한 상황일지라도 가능 인석이 늘어날수록 이탈하중이 크게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7)는 3인석에서 작용하게 되는 고하중의 이탈하중에 대해서도, 레일(2)에 결속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3인석 시트의 belt anchor test 요구사항 등을 안정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를 도 4와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1)의 슬라이더(7)는 슬라이더본체부(10), 이탈방지블럭부(20), 보강브라켓부(30)를 포함한다.
슬라이더본체부(10)는 차체(8)에 설치되는 레일(2)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시트프레임(9)과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7)의 적용 대상이 되는 레일(2)로는, 기존에 차량용 시트 트랙(1)에 적용되던 레일(2)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레일(2)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본체부(10)는 기존의 슬라이더(7)와 동일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이탈방지블럭부(20)는 이탈하중의 작용 시 레일(2)에 걸려 슬라이더본체부(10)가 레일(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구속하는 장치부로, 이탈방지블럭부(20)는 슬라이더본체부(1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이탈방지블럭부(20)를 슬라이더본체부(1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결합함으로써, 슬라이더본체부(10)만으로 이루어진 구조(이하 '슬라이더본체부(10) 단독 구조'라 함)와 비교해, 길이방향으로 보다 연장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시트프레임(9)을 통해 슬라이더본체부(10)에 작용하게 되는 이탈하중은, 슬라이더본체부(10)와 이탈방지블럭부(20)에 분산되어 레일(2)과의 접촉부에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레일(2)의 일부에 국부적으로 이탈하중이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더본체부(10)와 전후측 한 쌍의 이탈방지블럭부(20)에 걸쳐 보다 고르게 분산, 분포되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탈하중에 대한 구조적 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슬라이더본체부(10)는 2장의 금속판재를 프레스 가공하고 일부가 겹쳐지게 상호 조립하는 과정을 거쳐 제작할 수 있는데, 레일(2)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단부를 측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시트프레임(9)과의 접촉면, 안착면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시트프레임(9)은 슬라이더본체부(10) 중 레일(2) 내외부로 연장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측방향 중 일측(도 3 상에서는 -y방향)에 편중되게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탈하중 작용 시 슬라이더본체부(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굽힘력, 비틀림 변형을 유발하는 모멘트(M)가 작용하게 된다.
보강브라켓부(30)는 슬라이더본체부(10)의 굽힘강성을 보강하는 장치부로, 슬라이더본체부(10)의 측면부에 결합된다. 보강브라켓부(30)는 슬라이더본체부(10)와 함께 폐쇄된 도형의 종단면 형상을 이루게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더본체부(10)의 좌우측 중 일측에 이탈하중이 편심되게 작용함에 따른 슬라이더본체부(10)의 굽힘, 비틀림 변형에 대한 강성을 보강한다.
도 7은 도 1의 A-A'선 요부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B-B'선 요부 단면도이다. 도 7, 도 8에는 도 1 상에서 시트프레임(9)이 생략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본체부(10)는 제1슬라이더부(11), 제2슬라이더부(12), 보강슬롯부(13), 시트연결부(14), 받침턱부(18)를 포함한다.
제1슬라이더부(11)는 슬라이더본체부(10)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레일(2)의 제1가이드부(3)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슬라이더부(12)는 제1슬라이더부(11)의 좌측 또는 우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슬라이더본체부(10)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레일(2)의 제2가이드부(4)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슬라이더부(11)와 제2슬라이더부(12)는 바퀴 등의 구름수단(도면부호 미표기)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2)의 제1가이드부(3)와 제2가이드부(4)는 제1슬라이더부(11), 제2슬라이더부(12) 각각의 둘레(측부와 상부)를 감싸는 '∩' 자 단면 형상을 가진다. 제1가이드부(3)와 제2가이드부(4)는 하부가 상호 연결되고, 상부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가이드부(3)와 제2가이드부(4) 사이의 이격공간부(도 3 상의 d1 참조)를 통해 슬라이더본체부(10)가 레일(2)의 내외측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슬라이더부(11)와 제2슬라이더부(12)는 '∪' 자 단면 형상을 가지고, '∩' 자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1가이드부(3)와 제2가이드부(4) 각각에 적어도 좌측부, 우측부 중 일측이 수용되게 설치된다. 제1슬라이더부(11)와 제2슬라이더부(12)의 좌우측, 우측부 중 타측은 제1가이드부(3)와 제2가이드부(4) 사이의 이격공간부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2), 슬라이더(7)는, 기존에 적용되고 있는 레일(2), 슬라이더(7)의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레일(2), 슬라이더본체부(10)의 구조, 작용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이탈방지블럭부(20), 보강브라켓부30)와의 결합관계, 작용과 관련된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고, 그 외에는 공지 기술을 따르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보강슬롯부(13)는 제1슬라이더부(11)와 제2슬라이더부(12)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이탈방지블럭부(20)의 굽힘방지보강부(22)(도 7 참조, 이하 설명)가 끼워져 결합된다. 제1슬라이더부(11)와 제2슬라이더부(1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상호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제1슬라이더부(11)와 제2슬라이더부(12)의 사이에는 보강슬롯부(13)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슬롯 형상으로 형성된다.
시트연결부(14)는 시트프레임(9)과 결합되는 장치부로 제1슬라이더부(11)와 제2슬라이더부(12)에서 레일(2)의 외부로 연장되고, 시트프레임(9)과 이탈방지블럭부(20)의 제1다중결합부(23)(이하 설명), 보강브라켓부(30)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연결부(14)는 직립연장부(15), 편심연장부(16), 경사연장부(17)를 포함한다.
직립연장부(15)는 레일(2)의 외부에 직립되게 배치되고, 측면부가 보강브라켓부(30)의 횡연장보강부(32)(이하 설명)와 접한다. 직립연장부(15)는 전후방향으로의 연장된 형태를 가지고 레일(2)의 상측에 직립되게 배치된 구조를 가지며, 하부가 제1슬라이더부(11)와 제2슬라이더부(12)와 연속하여 연결된다.
편심연장부(16)는 시트프레임(9)이 안착, 결합되는 장치부로, 직립연장부(15)의 상부에서 폭방향 양측 중 일측으로, 즉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편심연장부(16)에는 시트프레임(9)과 보강브라켓부(30)의 제2다중결합부(33)(이하 설명)가 적층되게 배치된 상태로 결합된다.
경사연장부(17)는 편심연장부(16)의 전단부와 하단부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경사연장부(17)에는 시트프레임(9)과, 이탈방지블럭부(20)의 제1다중결합부(23)의 제1적층보강부(25)(이하 설명)가 적층되게 배치된 상태로 결합되고, 보강브라켓부(30)의 종연장보강부(31)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가 전후방향으로 접한다.
받침턱부(18)는 이탈방지블럭부(20)의 제1적층보강부(25)를 하측에서 받치며 하향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턱의 기능을 하는 장치부로, 경사연장부(17)의 하부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받침턱부(18)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됨에 있어서, 상측으로 휘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이탈방지블럭부(20)의 제1적층보강부(25)는 경사연장부(17)의 상측에 적층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받침턱부(18)에 걸려 안착된다.
이탈방지블럭부(20)의 제1적층보강부(25)를 받침턱부(18)에 걸침으로써, 이탈방지블럭부(20)는 슬라이더본체부(10) 상의 목적한 전후방향 결합위치에 신뢰성있게 배치될 수 있고, 전후방향의 유동이 안정되게 구속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받침턱부(18)에 의해 슬라이더본체부(10)에 대한 이탈방지블럭부(20)의 조립,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블럭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블럭부를 도 9와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의 블럭접합부와, 브라켓접합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블럭부(20)는 이탈방지보강부(21), 굽힘방지보강부(22), 제1다중결합부(23), 블럭접합부(29)를 포함한다.
이탈방지보강부(21)는 이탈하중 작용 시 레일(2)에 걸리며 슬라이더본체부(10)와 함께 이탈하중을 분산시켜 레일(2)에 전달하는 장치부로,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본체부(10)와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보강부(21)는 걸림베이스부(211), 중간보강부(212), 제1이탈방지보강부(213), 제2이탈방지보강부(214)를 포함한다.
걸림베이스부(211)는 전체적으로 납작한 육면체 블럭의 형상을 가지고, 레일(2)의 내부에 배치된다. 걸림베이스부(211)는 레일(2)의 제1가이드부(3)와 제2가이드부(4) 상에 좌측부와 우측부가 배치될 정도의 측방향 너비를 가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이탈방지블럭부(20)를 슬라이더본체부(10)에 조립, 결합한 상태에서 걸림베이스부(211)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는 제1슬라이더부(11), 제2슬라이더부(12)의 전단부, 후단부와 길이방향으로 접한다.
중간보강부(212)는 걸림베이스부(211)의 폭방향(좌우방향) 중간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가이드부(3)와 제2가이드부(4)는 d1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중간보강부(212)는 그보다 작은 w1의 너비를 가지고 제1가이드부(3)와 제2가이드부(4)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이탈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중간보강부(212)는 레일(2)과 간섭되지 않는다.
제1이탈방지보강부(213)와 제2이탈방지보강부(214)는 걸림베이스부(211)의 폭방향 일측과 타측에 각각 중간보강부(212)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이탈방지보강부(213)는 레일(2)의 제1가이드부(3)에 수용되며, 이탈하중의 작용 시 제1이탈방지보강부(213)의 상부는 제1가이드부(3)의 상부에 걸린다. 제2이탈방지보강부(214)는 레일(2)의 제2가이드부(4)에 수용되며, 이탈하중의 작용 시 제2가이드부(4)에 걸린다.
제1이탈방지보강부(213)와 제2이탈방지보강부(214)는 각각 중간보강부(212)와 d2, d3의 폭방향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중간보강부(212)와 제1이탈방지보강부(213)의 사이에는 레일(2)의 제1가이드부(3)가 위치되고, 중간보강부(212)와 제2이탈방지보강부(214)의 사이에는 레일(2)의 제2가이드부(4)가 위치된다.
레일(2)의 제1가이드부(3)와 제2가이드부(4)의 내부는 각각 w2, w3 의 폭방향 너비를 가지며, 제1이탈방지보강부(213)와 제2이탈방지보강부(214)는 이보다 축소된 w2, w1의 너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이탈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제1이탈방지보강부(213)와 제2이탈방지보강부(214)는 레일(2)과 간섭되지 않는다.
제1이탈방지보강부(213)와 제2이탈방지보강부(214)는 각각 제1슬라이더부(11), 제2슬라이더부(12) 중 제1가이드부(3), 제2가이드부(4)에 수용되는 부분의 폭방향 두께보다 확장된 폭방향 너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이탈하중에 대한 자체 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탈하중 작용 시 레일(2)의 제1가이드부(3), 제2가이드부(4)와의 접촉이 보다 확장된 면적에 걸쳐 이루어질 수 있다.
이탈하중 작용 시 제1이탈방지보강부(213)와 제2이탈방지보강부(214)는 제1가이드부(3)와 제2가이드부(4)의 내측에서 상측으로 리프팅되며 제1가이드부(3)와 제2가이드부(4)의 상부를 상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가이드부(3)와 제2가이드부(4)의 폭방향 단부는 도 3 상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중간보강부(212)측으로 젖혀지면서 중간보강부(212)의 측면부와 접하는 변형을 하게된다.
제1이탈방지보강부(213)와 중간보강부(212)간의 이격간격 d2, 제2이탈방지보강부(214)와 중간보강부(212)간의 이격간격 d3을 설정함에 있어서는, 이탈하중의 작용 시 제1가이드부(3), 제2가이드부(4)의 단부가 상기와 같이 중간보강부(212)의 측면부와 접하도록 젖혀지는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걸림베이스부(211)의 상향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턱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제1가이드부(3)와 제2가이드부(4)의 폭방향 두께를 고려하여 그 너비를 설정한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복수회의 실험을 통해, 제1가이드부(3)와 제2가이드부(4)의 폭방향 두께에 대해 1.2~ 1.5배의 너비로 d2, d3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제1가이드부(3)와 제2가이드부(4)의 폭방향 두께가 1.8(mm)인 경우, d2, d3를 2.5(mm)로 설정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3)와 제2가이드부(4)의 폭방향 두께에 대해 1.2~ 1.5배의 너비로 d2, d3를 설정하면, 이탈하중의 작용 시 제1가이드부(3)와 제2가이드부(4)의 단부가 중간보강부(212)측으로 젖혀지며 중간보강부(212), 걸림베이스부(211)와 접하여 굴곡 변형됨과 동시에 제1이탈방지보강부(213)와 중간보강부(212), 제2이탈방지보강부(214)와 중간보강부(212)의 사이에 끼워져 압접되며, 이탈방지보강부(21)의 이탈을 구속하는 작용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굽힘방지보강부(22)는 보강슬롯부(13)에 끼워져 슬라이더본체부(10)의 굽힘 강성을 보강하는 장치부로, 이탈방지보강부(21)에서 슬라이더본체부(10)측으로, 즉 전후방향으로 돌출, 연장되게 형성되고, 보강슬롯부(13)에 전후방향으로 끼워진다. 도 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굽힘방지보강부(22)는 삽입보강부(221), 제1접촉보강부(222), 제2접촉보강부(223)를 포함한다.
삽입보강부(221)는 굽힘방지보강부(22)의 본체를 이루는 장치부로, 걸림베이스부(211)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서 슬라이더본체부(10)측으로 돌출, 연장되게 형성되고, 보강슬롯부(13)에 길이방향(전후방향)으로 끼워진다. 제1접촉보강부(222)는 삽입보강부(221)의 폭방향 일측부에 형성되고, 제2접촉보강부(223)는 삽입보강부(221)의 폭방향 타측부에 형성된다.
제1접촉보강부(222)는 슬라이더본체부(10)의 제1슬라이더부(11)와 측방향으로 면접촉된다. 제2접촉보강부(223)는 슬라이더본체부(10)의 제2슬라이더부(12)와 측방향으로 면접촉된다. 즉, 굽힘방지보강부(22)의 양측면부는 제1슬라이더부(11), 제2슬라이더부(12)와 면접촉된다.
상기와 같이 굽힘방지보강부(22)를 보강슬롯부(13)에 끼운 상태에서, 이탈방지블럭부(20)는 슬라이더본체부(10)에 대한 측방향 조립 위치가 결정, 유지될 수 있고, 굽힘방지보강부(22)는 제1슬라이더부(11), 제2슬라이더부(12)의 굽힘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걸림베이스부(211)와 굽힘방지보강부(22)간의 경계부는 슬라이더본체부(10)에 대한 이탈방지블럭부(20)의 전후방향 조립 위치를 결정하는 걸림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제1다중결합부(23)는 슬라이더본체부(10)의 시트연결부(14)와 적층되게 배치되고, 제1체결부재(27)에 의해 시트프레임(9)과 연결되는 장치부로, 레일(2)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보강부(21), 굽힘방지보강부(22) 중 적어도 일측에서 레일(2)의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다중결합부(23)는 연장블럭부(24), 제1적층보강부(25), 제1체결부(26), 조립턱부(28)를 포함한다.
연장블럭부(24)는 중간보강부(212)에서 상향 연장되게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의 형상을 가지고 레일(2)의 외부에 배치된다. 연장블럭부(24) 중 슬라이더(5)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단부는 공간활용도 향상 및 인접한 다른 부속품과의 간섭 회피를 위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적층보강부(25)는 연장블럭부(24) 상에 편심연장부(16)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경사연장부(17)에 대응되는 형상과 기울기를 가지고 경사연장부(17)와 적층되게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더본체부(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블럭부(20)의 제1적층보강부(25)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고, 경사연장부(17)의 상면부에 안착 및 면접촉된다.
제1체결부(26)는 제1적층보강부(25) 상에 홀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체결부재(27)는 시트프레임(9), 제1체결부(26), 경사연장부(17)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 조립됨으로써, 슬라이더본체부(10), 이탈방지블럭부(20), 시트프레임(9)에 해당되는 3개의 구성품을 일괄하여 상호 결속한다.
이에 따라, 이탈방지블럭부(20)는 블럭접합부(29)와 제1체결부재(27)에 의해 슬라이더본체부(10)에 다중으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시트프레임(9)측의 하중이 제1체결부재(27)와의 결합부를 통해 슬라이더본체부(10) 외에 이탈방지블럭부(20)에도 보다 명확하고 안정되게 분산, 전달될 수 있다. 제1체결부재(27)로는 볼트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조립턱부(28)는 연장블럭부(24)와 제1적층보강부(25)의 경계부에 단턱지게 형성된다. 이탈방지블럭부(20)를 슬라이더본체부(10)에 조립, 결합 시 조립턱부(28)는 슬라이더본체부(10)의 직립연장부(15)와 폭방향(좌우방향)으로 접한다. 제1적층보강부(25)는 슬라이더본체부(10)의 받침턱부(18)에 안착된다. 걸림베이스부(211)와 굽힘방지보강부(22)간의 경계부는 슬라이더본체부(10)의 제1슬라이더부(11), 제2슬라이더부(12)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와 접한다.
이탈방지블럭부(20)를 슬라이더본체부(10)에 조립, 결합 시, 걸림베이스부(211)와 굽힘방지보강부(22)간의 경계부, 받침턱부(18), 조립턱부(28)에 의해, 슬라이더본체부(10)에 대한 이탈방지블럭부(20)의 전후방향, 상하방향, 측방향 위치를 용이하고 정밀하게 결정, 유지할 수 있어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블럭접합부(29)는 이탈방지보강부(21), 굽힘방지보강부(22), 제1다중결합부(23)의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일부를 슬라이더본체부(10)에 용접 등의 접합방법으로 접합하여 형성된다. 도 11의 (a), (b), (c)에는 각각 슬라이더(5)의 측면도, 저면도,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럭접합부(29)는 제1접합부(291), 제2접합부(292), 제3접합부(293)를 포함한다.
제1접합부(291)는 굽힘방지보강부(22)의 가장자리부를 보강슬롯부(13)의 양측에 배치되는 슬라이더본체부(10)의 제1슬라이더부(11)와 제2슬라이더부(12)에 접합하여 형성된다. 제1접합부(291)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굽힘방지보강부(22)의 가장자리부 전체에 걸쳐 제1접합부(291)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목적한 결합강성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면 굽힘방지보강부(22)의 일부에만 제1접합부(29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1접합부(291)를 굽힘방지보강부(22)의 가장자리부 일부에 형성함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개소에 분산하여, 예를 들어,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형성함으로써 굽힘방지보강부(22)의 전반에 걸쳐 결합강성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굽힘방지보강부(22)가 80~90mm의 길이를 가지는 경우, 제1접합부(291)는 굽힘방지보강부(22)의 전후좌우측 4개소에 각각 30m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접합부(292)는 제1이탈방지보강부(213)와 제2이탈방지보강부(214)의 가장자리부를 제1슬라이더부(11)와 제2슬라이더부(12)의 측면부에 접합하여 형성된다. 제2접합부(292)는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으로의 연장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접합부(292)는 상하방향으로의 연장부와 전후방향으로의 연장부가 교대로 연속되는 계단형 구조를 가진다.
제3접합부(293)는 제1적층보강부(25)의 가장자리부를 경사연장부(17)에 접합하여 형성된다. 제1적층보강부(25)는 사각형의 가장자리부 형태를 가지고 경사지게 배치되며, 제3접합부(293)는 이에 대응되는 경사진 사각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거나, 제1적층보강부(25)의 가장자리부 중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블럭부(20)의 하부는 제1접합부(291), 제2접합부(292)에 의해 슬라이더본체부(10)의 하부에 다양한 방향에서 견고하게 접합, 결합될 수 있고, 이탈방지블럭부(20)의 상부는 제3접합부(293)에 의해 슬라이더본체부(10)의 상부에 다양한 방향에서 견고하게 접합,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접합부(291), 제2접합부(292), 제3접합부(293)에 의해 슬라이더본체부(10)와 이탈방지블럭부(20)간의 결합 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면서, 슬라이더본체부(10)와 이탈방지블럭부(20)를 일체로 결합할 수 있고, 이후 제1체결부재(27)를 이용해 시트프레임(9)과 견고하게 조립, 결합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브라켓부(30)는 종연장보강부(31), 횡연장보강부(32), 제2다중결합부(33), 브라켓접합부(39)를 포함한다.
종연장보강부(31)는 전후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고, 슬라이더본체부(10)의 직립연장부(15)와 측방향(폭방향)으로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종연장보강부(31)는 직립연장부(15)와 나란한 방향, 즉 상하방향(종방향)으로 직립되게 배치된다.
횡연장보강부(32)는 종연장보강부(31)의 하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측방향 단부가 직립연장부(15)의 측면부와 접한다. 제2다중결합부(33)는 종연장보강부(31)의 상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편심연장부(16)의 하측에 적층되게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배치에 의해 슬라이더본체부(10)의 시트연결부(14)와 보강브라켓부(30)는 함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종단면 형상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다중결합부(33)는 제2적층보강부(35)와 제2체결부(36)를 포함한다.
제2적층보강부(35)는 종연장보강부(31)의 상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편심연장부(16)의 하측에 적층되게 배치된다. 제2체결부(36)는 제2적층보강부(35) 상에 홀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체결부재(37)는 시트프레임(9), 편심연장부(16), 제2적층보강부(35)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 조립됨으로써, 슬라이더본체부(10), 보강브라켓부(30), 시트프레임(9)에 해당되는 3개의 구성품을 일괄하여 상호 결속한다.
이에 따라, 보강브라켓부(30)는 브라켓접합부(39)와 제2체결부재(37)에 의해 슬라이더본체부(10)에 다중으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시트프레임(9)측의 하중이 제2체결부재(37)와의 결합부를 통해 슬라이더본체부(10) 외에 보강브라켓부(30)에도 보다 명확하고 안정되게 분산, 전달될 수 있다. 제2체결부재(37)로는 볼트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금속판재 중 종연장보강부(31)와 횡연장보강부(32)의 경계부와, 종연장보강부(31)와 제2다중결합부(33)의 경계부에 해당되는 부위를 측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종연장보강부(31), 횡연장보강부(32), 제2다중결합부(33)를 일체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브라켓접합부(39)는 종연장보강부(31), 횡연장보강부(32), 제2다중결합부(33)의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일부를 슬라이더본체부(10)에 용접 등의 접합방법으로 접합하여 형성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접합부(39)는 제4접합부(391), 제5접합부(392), 제6접합부(393)를 포함한다.
제4접합부(391)는 종연장보강부(31)의 상부 가장자리부를 편심연장부(16)에 접합하여 형성된다. 제5접합부(392)는 횡연장보강부(32) 중 직립연장부(15)와 접하는 가장자리부를 직립연장부(15)에 접합하여 형성된다. 제4접합부(391)와 제5접합부(39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종연장보강부(31)의 상부 가장자리부와 횡연장보강부(32)의 가장자리부 전체에 걸쳐 제4접합부(391)와 제5접합부(392)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목적한 결합강성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면 종연장보강부(31)의 상부 가장자리부와 횡연장보강부(32)의 가장자리부 중 일부에만 제4접합부(391)와 제5접합부(392)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4접합부(391)와 제5접합부(392)를 종연장보강부(31)의 상부 가장자리부와 횡연장보강부(32)의 가장자리부 중 일부에 각각 형성함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개소에 분산하여(예를 들어,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형성함으로써 종연장보강부(31)와 횡연장보강부(32)의 전반에 걸쳐 결합강성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연장보강부(31)와 횡연장보강부(32)가 80~90mm의 길이를 가지는 경우, 제4접합부(391)와 제5접합부(392)는 종연장보강부(31)와 횡연장보강부(32)의 전후상하측 4개소에 각각 30m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횡연장보강부(32)는 직립연장부(15)의 측면부에 근접할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슬라이더부(11)와 횡연장보강부(32)의 사이에 제5접합부(392)로부터 이격될수록 너비가 확장되는 개방공간부(S)를 형성할 수 있고, 개방공간부(S)를 통해 용접팁을 제5접합부(392)의 위치까지 용이하게 진입, 도달시킨 상태에서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제6접합부(393)는 종연장보강부(31) 중 경사연장부(17)와 접하는 전단부 또는 후단부를 경사연장부(17)에 접합하여 형성된다. 경사연장부(17)와 종연장보강부(31)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는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제6접합부(393)는 이에 대응되는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4접합부(391), 제5접합부(392), 제6접합부(393)를 다양한 방향에서 슬라이더본체부(10)에 접합, 결합시킴으로써, 슬라이더본체부(10)와 보강브라켓부(30)간의 결합 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면서, 슬라이더본체부(10)와 보강브라켓부(30)를 일체로 결합할 수 있고, 이후 제2체결부재(37)를 이용해 시트프레임(9)과 견고하게 조립,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1)의 슬라이더(7)에 의하면, 레일(2)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본체부(10)의 단부에 이탈방지블럭부(20)를 결합함으로써, 시트프레임(9)을 통해 슬라이더본체부(10)에 작용하게 되는 이탈하중이 슬라이더본체부(10) 뿐만 아니라 이탈방지블럭부(20)에 분산되어 레일(2)과의 접촉부에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탈하중이 슬라이더본체부(10)와 접하는 레일(2)의 일부에 국부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더본체부(10)와 한 쌍의 이탈방지블럭부(20)에 걸쳐 보다 고르게 분산, 분포되어 작용하게 되므로, 이탈하중에 대한 구조적 강성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시트프레임(9)이 슬라이더본체부(10)의 측방향 일측에 편중되게 위치 시, 슬라이더본체부(10)에는 굽힘력, 비틀림 변형을 유발하는 모멘트(M)가 작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더본체부(10)의 측면부에 폐쇄된 도형의 종단면 형상을 이루게 보강브라켓부(30)를 결합함으로써, 슬라이더본체부(10)의 굽힘강성, 비틀림강성을 안정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더본체부(10)에 이탈방지블럭부(20), 보강브라켓부(30)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기존의 슬라이더(7) 구조를 슬라이더본체부(10)에 그대로 적용, 활용하면서도, 3인석의 시트에 작용하게 되는 고하중(1인석, 2인석 시트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고하중)의 이탈하중에 대해 레일(2)에 결속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 강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차량용 시트 트랙 2 : 레일
3 : 제1가이드부 4 : 제2가이드부
7 : 슬라이더 8 : 차체
9 : 시트프레임 10 : 슬라이더본체부
11 : 제1슬라이더부 12 : 제2슬라이더부
13 : 보강슬롯부 14 : 시트연결부
15 : 직립연장부 16 : 편심연장부
17 : 경사연장부 18 : 받침턱부
20 : 이탈방지블럭부 21 : 이탈방지보강부
22 : 굽힘방지보강부 23 : 제1다중결합부
24 : 연장블럭부 25 : 제1적층보강부
26 : 제1체결부 27 : 제1체결부재
28 : 조립턱부 29 : 블럭접합부
30 : 보강브라켓부 31 : 종연장보강부
32 : 횡연장보강부 33 : 제2다중결합부
35 : 제2적층보강부 36 : 제2체결부
37 : 제2체결부재 39 : 브라켓접합부
211 : 걸림베이스부 212 : 중간보강부
213 : 제1이탈방지보강부 214 : 제2이탈방지보강부
221 : 삽입보강부 222 : 제1접촉보강부
223 : 제2접촉보강부 291 : 제1접합부
292 : 제2접합부 293 : 제3접합부
391 : 제4접합부 392 : 제5접합부
393 : 제6접합부

Claims (6)

  1. 차체에 설치되는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시트프레임과 연결되는 슬라이더본체부; 및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의 단부에 결합되고, 이탈하중의 작용 시 상기 레일에 걸려 상기 슬라이더본체부가 상기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구속하는 이탈방지블럭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블럭부는,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와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고, 이탈하중 작용 시 상기 레일에 걸리며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와 함께 이탈하중을 분산시켜 상기 레일에 전달하는 이탈방지보강부; 및
    상기 이탈방지보강부에서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부 상에 슬롯 형상으로 형성된 보강슬롯부에 끼워져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의 굽힘 강성을 보강하는 굽힘방지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굽힘방지보강부는,
    상기 보강슬롯부에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끼워지는 삽입보강부;
    상기 삽입보강부의 폭방향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의 제1슬라이더부와 횡방향으로 면접촉되는 제1접촉보강부; 및
    상기 삽입보강부의 폭방향 타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의 제2슬라이더부와 횡방향으로 면접촉되는 제2접촉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보강부는,
    걸림베이스부;
    상기 걸림베이스부의 폭방향 중간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중간보강부;
    상기 걸림베이스부의 폭방향 일측에 상기 중간보강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레일의 제1가이드부에 수용되며, 이탈하중의 작용 시 상기 제1가이드부에 걸리는 제1이탈방지보강부; 및
    상기 걸림베이스부의 폭방향 타측에 상기 중간보강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레일의 제2가이드부에 수용되며, 이탈하중의 작용 시 상기 제2가이드부에 걸리는 제2이탈방지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
  4. 삭제
  5. 차체에 설치되는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시트프레임과 연결되는 슬라이더본체부; 및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의 단부에 결합되고, 이탈하중의 작용 시 상기 레일에 걸려 상기 슬라이더본체부가 상기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구속하는 이탈방지블럭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블럭부는,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와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고, 이탈하중 작용 시 상기 레일에 걸리며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와 함께 이탈하중을 분산시켜 상기 레일에 전달하는 이탈방지보강부; 및
    상기 이탈방지보강부에서 상기 레일의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와 적층되게 배치되는 제1다중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다중결합부는,
    상기 이탈방지보강부에서 상기 레일의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블럭부;
    상기 연장블럭부 상에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와 적층되게 배치되는 제1적층보강부; 및
    상기 제1적층보강부 상에 홀부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체결부재가 상기 시트프레임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1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의 측면부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와 함께 폐쇄된 도형의 종단면 형상을 이루어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의 굽힘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브라켓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
KR1020200092155A 2020-07-24 2020-07-24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 KR102176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155A KR102176157B1 (ko) 2020-07-24 2020-07-24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155A KR102176157B1 (ko) 2020-07-24 2020-07-24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157B1 true KR102176157B1 (ko) 2020-11-10

Family

ID=73548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155A KR102176157B1 (ko) 2020-07-24 2020-07-24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1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138A (ko) * 2021-07-29 2023-02-07 (주) 씨엠텍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5639A (ja) * 2015-01-23 2016-07-28 矢崎総業株式会社 摺動プロテクタ
KR20180055424A (ko) * 2016-11-17 2018-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레일장치
JP2018188061A (ja) * 2017-05-10 2018-11-2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シート
JP2019001260A (ja) * 2017-06-13 2019-01-10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レ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5639A (ja) * 2015-01-23 2016-07-28 矢崎総業株式会社 摺動プロテクタ
KR20180055424A (ko) * 2016-11-17 2018-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레일장치
JP2018188061A (ja) * 2017-05-10 2018-11-2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シート
JP2019001260A (ja) * 2017-06-13 2019-01-10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レー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138A (ko) * 2021-07-29 2023-02-07 (주) 씨엠텍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
KR102524645B1 (ko) * 2021-07-29 2023-04-24 (주)씨엠텍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0292B2 (en) Vehicle body superstructure
KR100893984B1 (ko) 차량용 시트백의 프레임 구조
EP2223822B1 (en) Seat slide device for vehicle
US8616653B2 (en) Frame structure of seat cushion for vehicle seat
US9481278B2 (en) Frame structures for vehicle seats
CN102328603B (zh) 车辆座椅框架的支撑结构
US20110163571A1 (en) Vehicle side secton structure
US20220274513A1 (en) Energy absorbing mounting structure
KR20090128569A (ko) 테일러 용접된 시트 및 부품들
US10239561B2 (en) Side collision load transmission structure
US20100270822A1 (en)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seat and vehicle that includes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seat
CN109476242B (zh) 纵向调节器和车辆座椅
KR102176157B1 (ko)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
US6422526B1 (en) Structure of support leg member for seat slide device
CN107031739A (zh) 车身底板结构
US10493884B2 (en) Conveyance seat
CN114633672B (zh) 交通工具座椅组件和交通工具座椅支架
CN112977637B (zh) 底板构造
CN110789407B (zh) 车辆用座椅导轨安装结构
KR102524645B1 (ko)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
JP6537560B2 (ja) 乗物用シートの支持構造
CN111591182B (zh) 儿童座椅锚固件安装构造
JP2020069806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3399634B2 (ja) シートレール装置
KR101592779B1 (ko) 자동차의 시트프레임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