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922B1 - 회전각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롤형 헤어브러시 - Google Patents

회전각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롤형 헤어브러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922B1
KR102175922B1 KR1020200021558A KR20200021558A KR102175922B1 KR 102175922 B1 KR102175922 B1 KR 102175922B1 KR 1020200021558 A KR1020200021558 A KR 1020200021558A KR 20200021558 A KR20200021558 A KR 20200021558A KR 102175922 B1 KR102175922 B1 KR 102175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ctile
handle
main
tactile portio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협
Original Assignee
문상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상협 filed Critical 문상협
Priority to KR1020200021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3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hair brushes, e.g. hair treatment, dyeing, st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4Multi-part combs
    • A45D24/10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 A45D24/14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with handle designed to be attached to the hand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85Brushes provided with an identification, marking device or desig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Hair brush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머리카락의 스타일을 형성하는 경우 손잡이의 일면에 회전각을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여 직접 바라보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감각으로 회전각을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롤형 헤어브러시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파지 공간을 제공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 시 손잡이부에 파지된 손가락의 감각에 의해 회전각도가 인지될 수 있도록 손잡이부에 구비된 회전감지수단을 포함하는 롤형 헤어브러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헤어브러시를 바라보지 않고도 손가락의 감각을 통해 회전각도를 인지하여 웨이브, 컬, 볼륨 등에 적합한 회전각도로 정확히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스스로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완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각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롤형 헤어브러시{ROLL TYPE HAIR BRUSH FOR EASY IDENTIFICATION OF ROTATION ANGLE}
본 발명은 모발의 컬링 과정 중에 회전각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롤형 헤어브러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머리카락의 스타일을 형성하는 경우 손잡이의 일면에 회전각을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여 직접 바라보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감각으로 회전각을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롤형 헤어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헤어브러시는 머리를 빗거나 모발을 감아 머리 미용을 위해 사용되는 미용 도구의 일종으로, 머리 형태 및 사용 목적에 따라 구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머리카락이 직선 상태로 이루어지는 생머리의 경우 또는 머리카락을 웨이브지게 한 파마머리를 빗을 때의 헤어브러시가 각각 다르게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머리카락을 일반적으로 빗어 내리는 헤어브러시와 머리카락을 드라이할 때 사용하는 헤어브러시로 각각 구분되는 등, 사용자의 머리카락 상태 및 사용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헤어브러시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사용 형태에서 생머리 또는 통상적으로 빗어 내리는 헤어브러시는 대부분 판상에 다수의 빗살이 형성된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머리카락을 웨이브지게 하거나 드라이를 하는 경우에는 원통체의 몸체 외면에 다수의 브러시 모가 돌출된 것이 사용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롤형 헤어브러시는 가정 또는 미용실 등에서 여성들의 긴 머리 또는 파마 머리를 손질할 때 사용 가능하며, 그 통상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손잡이부(10)와, 상기 손잡이부(10)의 상단에 구비되고 통공이 무수히 천공되는 원통형체로 형성된 몸체부(20), 및 몸체부(20)의 통공에 설치되는 브러시 모(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롤형 헤어브러시는 통상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갖는 브러시 설치부(20)에서 방사상으로 다수의 빗살이 형성된 브러시 모(3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엉킨 머리카락이나 열펌, 컬링 등을 하기 위해 미용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롤형 헤어브러시는 머리카락을 웨이브지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 회전수를 정확히 체크하기가 어렵고, 회전수를 체크하면서 머리카락을 손질하면 머리카락에 엉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롤형 헤어브러시는 사용자가 원하는 회전수로 정확히 회전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목적하는 것과 다른 웨이브 컬이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모터를 사용해 자동으로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수 조절형 헤어아이론이 발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헤어아이론은 모터와, 상기 모터에 형성된 모터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선기어와, 상기 선기어에 연동되어 회전하되 지지부에 형성된 유성기어 고정축을 축으로 회전하는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에 연동되어 회전되고 링기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주사용자인 여성이 소정시간동안 사용하기가 무겁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모터에 동력을 제공해야 하므로 상용전원을 제공받기 어려운 환경에서는 사용하기 어렵고, 배터리 등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조비용이 늘러날 뿐만 아니라 배터리로 인해 전체 무게가 더욱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5409호(2016.03.22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4501호(2012.03.15 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5984호(2013.10.15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7697호(2019.10.01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직접 바라보면서 회전시키기 않더라도 손가락의 감각을 이용해 회전각도를 쉽게 파악하여 원하는 셀프 스타일링을 완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롤형 헤어브러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파지 공간을 제공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 시 손잡이부에 파지된 손가락의 감각에 의해 회전각도가 인지될 수 있도록 손잡이부에 구비된 회전감지수단을 포함하는 롤형 헤어브러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헤어브러시를 바라보지 않고도 손가락의 감각을 통해 회전각도를 인지하여 웨이브, 컬, 볼륨 등에 적합한 회전각도로 정확히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원하는 셀프 스타일링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심자도 회전각도보다 머리카락의 텐션을 유지하는데 시선을 집중할 수 있으므로, 머리카락의 엉킴이 발생하지 않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수동 회전 시 손가락의 감각을 이용해 회전각도를 인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가볍기 때문에 여성도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롤형 헤어브러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형 헤어브러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형 헤어브러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롤형 헤어브러시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회전각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롤형 헤어브러시(이하, '롤형 헤어브러시'라고 약칭함)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형 헤어브러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롤형 헤어브러시는 사용자의 손에 파지될 수 있도록 파지 공간을 제공하는 손잡이부(100)와, 상기 손잡이부(100)의 회전각도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인지될 수 있도록 손잡이부(100)에 구비된 회전감지수단과, 상기 손잡이부(100)의 상단에 구비되는 몸통부(300), 및 상기 몸통부(300)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브러시 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롤형 헤어브러시는 사용자의 머리카락 길이와 세팅하고자 하는 헤어스타일에 따라 동영상이나 팜플릿 등을 통해 설명된 회전각도로 머리카락이 감기도록 회전시켜 사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롤형 헤어브러시는 손잡이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100)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파지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쥘 수 있도록 상하 길이 방향에 따라 변화된 외경을 갖는 구간이 형성된 원기둥 구조를 가지며, 10 내지 20㎝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부(100)는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5개가 형성된 조립홈(11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홈(110)은 사용자의 손 크기에 따라 후술하는 메인 촉감부(210)의 내삽봉(212)이 조립될 위치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롤형 헤어브러시는 몸통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몸통부(300)는 브러시 모듈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도록 손잡이부(100)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손잡이부(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손잡이부(100)와 별도로 제작된 후 손잡이부(100)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몸통부(300)는 상단에 개방구(미도시)가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는 상기 개방구에 연통된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방구는 브러시 모듈이 내삽된 이후에 마감캡(미도시)이 조립되어 폐쇄된다. 그리고 마감캡은 브러시 모듈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개방구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아울러, 몸통부(300)는 외주면을 따라 브러시 모듈의 솔이 몸통부의 내부에서 몸통부의 외부로 관통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미도시)이 천공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롤형 헤어브러시는 브러시 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브러시 모듈은 사용자의 모발이 몸통부(300)의 외주면을 따라 원하는 형태로 감겨질 수 있도록 일단이 몸통부(300)의 중공을 통해 몸통부(300)로 내삽되어 몸통부(300)와 결합되고,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몸통부(300)의 외부로 노출되어 모발과 접촉된다.
이러한 브러시 모듈은 몸통부(300)에 방사형으로 결합된 복수개의 솔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몸통부(300)의 내부로 내삽되는 브러시 지지대 및 상기 브러시 지지대에 일단이 방사상으로 결합되며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몸통부(300)의 통공을 통과하여 몸통부(3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개의 솔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솔은 머리카락을 빗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스타일로 컬(curl)을 만들 수 있게 한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스타일로 컬을 만들기 위해 브러시 모듈이 구비된 헤어브러시의 외주면에 머리카락을 감고 외부적인 열을 가해주거나 머리카락을 굳혀주는 제품(스프레이 또는 젤, 무스 등)을 묻혀서 원하는 스타일로 세팅한다.
이러한 솔은 동물의 털로 구성되거나, 합성수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브러시 모듈은 솔과 같이 일단이 몸통부(300)에 결합되며,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몸통부(300)의 외부로 노출되어 모발과 접촉하는 복수개의 가시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 모듈에 브러시 지지대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가시롤의 일단이 브러시 지지대에 결합된다.
또한, 가시롤은 솔보다 적은 개수로 몸통부(300)에 설치되고, 말단이 머리카락을 잘 잡아줄 수 있도록 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합성수지재를 사용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형 헤어브러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롤형 헤어브러시는 회전감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감지수단은 상기 손잡이부(100)의 회전 시 손잡이부(100)에 파지된 손가락의 감각에 의해 회전각도가 인지될 수 있도록 손잡이부(100)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떤 외형을 갖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감지수단은 손잡이부(100)에 파지된 손가락에 의해 360ㅀ의 회전각도가 인지될 수 있도록 손잡이부(100)에 구비된 메인 촉감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촉감부(201)는 손잡이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블록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메인 촉감부(210)는 반구형이나, 원기둥형, 또는 다각기둥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각기둥형은 사각기둥형, 삼각기둥형, 오각기둥형, 육각기둥형 등을 의미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부(100)에 구비된 메인 촉감부(210)에 엄지손가락이 안착되도록 손잡이부(100)를 파지하고, 상기 손잡이부(100)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엄지손가락에서 시작할 때 느꼈던 메인 촉감부(210)의 촉감이 다시 식별되면 롤형 헤어브러시가 1회전한 것으로 인지한다.
다시 말해, 메인 촉감부(210)는 사용자가 손잡이부(100)에 파지된 손가락에 의해 360°(1회전), 720°(2회전), 1080°(3회전) 등의 회전각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메인 촉감부(210)는 손잡이부(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손잡이부(100)에 형성된 복수개의 조립홈(110) 중 한 개의 조립홈에 내삽되어 손잡이부(1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내삽봉(2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삽봉(212)은 일단이 조립홈(110)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손잡이부(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내삽봉(212)은 조립홈(110)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조립홈(110)의 내경보다 축소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내삽봉(212)은 조립홈(110)의 내경보다 축소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경우에 일단이 조립홈(110)의 내부에 끼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 전체에 마찰코팅층이 구비되거나, 조립홈(110)에 내삽되는 부분의 외주면에 마찰링이 구비된다. 이때, 마찰코팅층과 마찰링의 두께는 조립홈(110)의 내부로 내삽된 내삽봉(212)과 조립홈(110)의 사이에서 조립홈(110)의 내부면과 마찰력이 발생될 수 있는 수준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마찰코팅층과 마찰링은 실리콘, 고무, 우레탄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촉감부(201)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착되는 손잡이부(100)의 표면에 구비되며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제1 코팅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코팅층은 손잡이부(100)와 다른 촉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실리콘 또는 고무로 구성되거나,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촉감부(201)는 손잡이부(100)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원기둥형 또는 다각기둥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감지수단은 시작점 인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작점 인지부는 손잡이부(100)에 파지된 손바닥의 감각에 의해 메인 촉감부(210)와 보조 촉감부(220)를 구분하여 메인 촉감부(210)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으로, 손잡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메인 촉감부(210)와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시작점 인지부는 손바닥의 감각에 의해 구분될 수 있도록 손바닥이 접촉되는 손잡이부(100) 상에 구비되며, 전술한 메인 촉감부(201)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작점 인지부는 손잡이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블록 구조로 형성되거나, 손잡이부(100)의 표면에 구비되며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코팅층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손잡이부(100)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손가락의 감각만으로 메인 촉감부(210)와 보조 촉감부(220)를 구분하기 어려워하는 사용자라도, 시작점 인지부는 손가락과 손바닥에 특이한 촉감이 한꺼번에 느껴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므로, 사용자가 메인 촉감부(210)의 위치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바닥과 손가락에 특이한 촉감이 함께 느껴지면 손가락에 촉감을 제공하는 구성이 회전의 시작점인 메인 촉감부(210)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2의 롤형 헤어브러시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감지수단은 메인 촉감부(210)와의 사이에 180°의 내각을 갖도록 상기 손잡이부(100)를 기준으로 메인 촉감부(210)의 반대측에 구비된 보조 촉감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촉감부(220)는 사용자가 손잡이부(100)에 파지된 손가락에 의해 180°(0.5회전), 540°(1.5회전), 900°(2.5회전) 등의 회전각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상기 보조 촉감부(220)는 메인 촉감부(210)와 구분되는 촉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촉감부(220)는 손잡이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블록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메인 촉감부(210)도 손잡이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블록 구조로 형성되면, 보조 촉감부(220)는 메인 촉감부(210)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보조 촉감부(220)는 메인 촉감부(210)와 다른 촉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메인 촉감부(210)와 다른 블록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조 촉감부(220)는 반구형이나, 원기둥형, 또는 다각기둥형 중 메인 촉감부(210)와 다른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촉감부(22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착되는 손잡이부(100)의 표면에 구비되며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제2 코팅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코팅층은 손잡이부(100) 및 메인 촉감부(210)와 다른 촉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실리콘 또는 고무로 구성되거나,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촉감부(220)는 손잡이부(100)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함몰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촉감부(220)는 손잡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구조를 갖는 함몰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원기둥형 또는 다각기둥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보조 촉감부(220)는 후술하는 제1 측면 촉감부와 제2 측면 촉감부가 1줄의 직선 구조를 갖는 함몰홈으로 형성되면, 제1 측면 촉감부와 제2 측면 촉감부와 구분될 수 있도록 여러 줄, 바람직하게는 2줄의 직선 구조를 갖는 함몰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감지수단은 사용자가 메인 촉감부(210)와 보조 촉감부(220) 사이에 위치한 회전각을 식별할 수 있도록 제1 측면 촉감부(230)와 제2 측면 촉감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촉감부(230)는 사용자가 손잡이부(100)에 파지된 손가락에 의해 90°(0.25회전), 450°(1.25회전), 810°(2.25회전) 등의 회전각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를 위해, 제1 측면 촉감부(230)는 메인 촉감부(210)와 보조 촉감부(220) 사이에서 메인 촉감부(210) 및 보조 촉감부(220)와 90°의 내각을 갖도록 손잡이부(100)를 기준으로 메인 촉감부(210)의 좌측에 구비되며, 메인 촉감부(210) 및 보조 촉감부(220)와 구분되는 촉감을 제공하도록 손잡이부(100)의 표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각도는 시계 방향의 회전을 기준으로 한다.
제1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측면 촉감부(230)는 손잡이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블록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측면 촉감부(230)는 메인 촉감부(210) 및 보조 촉감부(220)와 다른 촉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메인 촉감부(210) 및 보조 촉감부(220)와 다른 블록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측면 촉감부(230)는 반구형이나, 원기둥형, 또는 다각기둥형 중 메인 촉감부(210) 및 보조 촉감부(220)와 다른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측면 촉감부(23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착되는 손잡이부(100)의 표면에 구비되며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제3 코팅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코팅층은 손잡이부(100) 및 메인 촉감부(210) 및 보조 촉감부(220)와 다른 촉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실리콘 또는 고무로 구성되거나,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측면 촉감부(230)는 손잡이부(100)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함몰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측면 촉감부(230)는 손잡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구조를 갖는 함몰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원기둥형 또는 다각기둥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측면 촉감부(240)는 사용자가 손잡이부(100)에 파지된 손가락에 의해 270°(0.75회전), 630°(1.75회전), 990°(2.75회전) 등의 회전각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측면 촉감부(240)는 메인 촉감부(210)와 보조 촉감부(220) 사이에서 메인 촉감부(210) 및 보조 촉감부(220)와 90°의 내각을 갖도록 손잡이부(100)를 기준으로 메인 촉감부(210)의 우측에 구비되며, 메인 촉감부(210) 및 보조 촉감부(220)와 구분되는 촉감을 제공하도록 손잡이부(100)의 표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각도는 시계 방향의 회전을 기준으로 한다.
제1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측면 촉감부(240)는 손잡이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블록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측면 촉감부(240)는 메인 촉감부(210) 및 보조 촉감부(220)와 다른 촉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메인 촉감부(210) 및 보조 촉감부(220)와 다른 블록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측면 촉감부(240)는 반구형이나, 원기둥형, 또는 다각기둥형 중 메인 촉감부(210) 및 보조 촉감부(220)와 다른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측면 촉감부(24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착되는 손잡이부(100)의 표면에 구비되며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제4 코팅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4 코팅층은 손잡이부(100) 및 메인 촉감부(210) 및 보조 촉감부(220)와 다른 촉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실리콘 또는 고무로 구성되거나,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측면 촉감부(240)는 손잡이부(100)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함몰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측면 촉감부(240)는 손잡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구조를 갖는 함몰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원기둥형 또는 다각기둥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감지수단은 손잡이부(100)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보조 촉감부(220)와 제1 측면 촉감부(230) 및 제2 측면 촉감부(240)를 함몰홈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이러한 제1 측면 촉감부(230) 및 제2 측면 촉감부(240)는 손잡이부(100)의 외주면과 동일 선상을 갖도록 손잡이부(100)의 외주면에 조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조각은 함몰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돌출구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손잡이부 110 : 조립홈
210 : 메인 촉감부 212 : 내삽봉
220 : 보조 촉감부 230 : 제1 측면 촉감부
240 : 제2 측면 촉감부 300 : 몸통부

Claims (7)

  1.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파지 공간을 제공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 시 손잡이부에 파지된 손가락의 감각에 의해 회전각도가 인지될 수 있도록 손잡이부에 구비된 회전감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감지수단은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된 메인 촉감부와, 상기 메인 촉감부와의 사이에 180°의 내각을 갖도록 상기 손잡이부를 기준으로 메인 촉감부의 반대측에 구비되며 메인 촉감부와 구분되는 촉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보조 촉감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파지된 손바닥의 감각에 의해 상기 메인 촉감부와 보조 촉감부를 구분하여 메인 촉감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메인 촉감부와 동일 선상에 배치된 시작점 인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헤어브러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사용자의 손 크기에 따라 조립될 위치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 조립홈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 촉감부는 복수개의 조립홈 중 한 개의 조립홈에 내삽되어 손잡이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내삽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헤어브러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감지수단은
    상기 메인 촉감부와 보조 촉감부 사이에서 메인 촉감부 및 보조 촉감부와 90°의 내각을 갖도록 상기 손잡이부를 기준으로 메인 촉감부의 좌측에 구비되며, 메인 촉감부 및 보조 촉감부와 구분되는 촉감을 제공하도록 손잡이부의 표면에 형성된 제1 측면 촉감부, 및
    상기 메인 촉감부와 보조 촉감부 사이에서 메인 촉감부 및 보조 촉감부와 90°의 내각을 갖도록 상기 손잡이부를 기준으로 메인 촉감부의 우측에 구비되며, 메인 촉감부 및 보조 촉감부와 구분되는 촉감을 제공하도록 손잡이부의 표면에 형성된 제2 측면 촉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헤어브러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촉감부와 제1 측면 촉감부 및 제2 측면 촉감부는 함몰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헤어브러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촉감부와 제1 측면 촉감부 및 제2 측면 촉감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구조를 갖는 함몰홈으로 형성되되, 상기 보조 촉감부는 제1 측면 촉감부 및 제2 측면 촉감부와 구분될 수 있도록 여러 줄의 직선 구조를 갖는 함몰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헤어브러시.
KR1020200021558A 2020-02-21 2020-02-21 회전각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롤형 헤어브러시 KR102175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558A KR102175922B1 (ko) 2020-02-21 2020-02-21 회전각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롤형 헤어브러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558A KR102175922B1 (ko) 2020-02-21 2020-02-21 회전각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롤형 헤어브러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922B1 true KR102175922B1 (ko) 2020-11-09

Family

ID=73429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558A KR102175922B1 (ko) 2020-02-21 2020-02-21 회전각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롤형 헤어브러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92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525Y1 (ko) * 1999-10-25 2000-03-15 이규만 헤어 롤브러쉬
KR200358529Y1 (ko) * 2004-04-29 2004-08-11 양현철 헤어 롤 브러시
KR101075623B1 (ko) * 2010-12-07 2011-10-21 이재룡 헤어 브러시
KR101124501B1 (ko) 2009-03-10 2012-03-15 황송엽 회전형 헤어 브러쉬
KR20130005984U (ko) 2012-04-05 2013-10-15 윤범수 지압용 손잡이가 구비된 헤어브러쉬
KR101605409B1 (ko) 2014-05-30 2016-03-22 박창수 롤브러쉬를 갖는 회전수 조절형 헤어아이론
KR102027697B1 (ko) 2018-05-03 2019-10-01 이근태 헤어 브러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525Y1 (ko) * 1999-10-25 2000-03-15 이규만 헤어 롤브러쉬
KR200358529Y1 (ko) * 2004-04-29 2004-08-11 양현철 헤어 롤 브러시
KR101124501B1 (ko) 2009-03-10 2012-03-15 황송엽 회전형 헤어 브러쉬
KR101075623B1 (ko) * 2010-12-07 2011-10-21 이재룡 헤어 브러시
KR20130005984U (ko) 2012-04-05 2013-10-15 윤범수 지압용 손잡이가 구비된 헤어브러쉬
KR101605409B1 (ko) 2014-05-30 2016-03-22 박창수 롤브러쉬를 갖는 회전수 조절형 헤어아이론
KR102027697B1 (ko) 2018-05-03 2019-10-01 이근태 헤어 브러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1981B2 (en) Electric mascara
US20110056505A1 (en) Hair brush
JP5354644B2 (ja) 液塗布具
CA1081077A (en) Hair styler
US5911226A (en) Temperature indicating hair brush
EP1855561B1 (en) Mascara brush
US20180049530A1 (en) Styler for Eyelashes
US5492136A (en) Eyelash-curling apparatus
US11957227B2 (en) Hair styling device
US20210204668A1 (en) Hand-held hair styling device
US5725000A (en) Hair twisting device
KR102175922B1 (ko) 회전각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롤형 헤어브러시
US6915543B2 (en) Ultimate brush
US5318052A (en) Hair curling device
US6438785B1 (en) Styling brush
WO2012039519A2 (en) Hair grooming device
US7264004B2 (en) Hair drying/styling device
GB2537135A (en) A brush device
JP5740141B2 (ja) まつ毛用化粧料塗布具
EP2004004B1 (en) Brush for hair dressing
US20220346536A1 (en) High Definition Curl Brush
JP2005319004A (ja) 液体化粧料用塗布具
KR200469820Y1 (ko) 헤어 브러시의 배럴
KR200375816Y1 (ko) 마스카라 도포구
KR102597030B1 (ko) 앞머리 컬 스타일링이 용이한 이미용 머리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