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538B1 - 차량용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538B1
KR102175538B1 KR1020190118852A KR20190118852A KR102175538B1 KR 102175538 B1 KR102175538 B1 KR 102175538B1 KR 1020190118852 A KR1020190118852 A KR 1020190118852A KR 20190118852 A KR20190118852 A KR 20190118852A KR 102175538 B1 KR102175538 B1 KR 102175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mail
terminal
coupl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인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90118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6Riveted connectio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의 조립 과정에서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의 조립 위치가 정위치가 되도록 안내하여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상호 견고하게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차량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의 조립 과정에서 메일단자 및 메일전압단자와 피메일단자 및 피메일전압단자가 상호 견고하게 암수 결합되므로, 메일단자 및 메일전압단자와 피메일단자 및 피메일전압단자가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커넥터 장치{CONNECTOR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용 커넥터에 있어서, 차체와 배터리팩에 연결되는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상호 견고하게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차량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구의 온난화 및 대기 환경 보호와 화석연료 부족 등과 같은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전기자동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복잡한 도심에서의 이송수단과 노령 및 여성 운전자들의 증가 추세로 인하여 편리성과 안정성이 향상된 전기자동차에 대한 연구개발 및 상용화가 추진되고 있다.
전기자동차는 동력원에 따라 내연기관과 전기에너지를 겸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EV;Hybrid Electric Vehicle), 전기에너지만을 사용하는 전기자동차(EV;Electric Vehicle) 및 연료전지를 사용하는 연료 전지 자동차(FCEV;Fuel Cell Electric Vehicle) 등으로 구분되며, 전기자동차는 작동을 위한 전압을 제공하는 배터리가 필요하다.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는 셀(cell), 모듈(module) 및 팩(pack)으로 구성되어 있다. 배터리 셀은 각각이 에너지를 저장했다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 자체만으로 용량이 작기 때문에 이를 한데 묶은 모듈을 만들고, 이를 다시 크게 합쳐 팩을 만든다. 이러한 배터리의 충전 시간은 기존 스탠드형 충전 시 완속 약 5시간, 급속 약 30분의 시간이 소요되며, 1회 충전 시 중형차 기준 약 150 ∼250km를 주행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가 방전되면 운행 도중 다시 충전하기 위해 약 30분에서 5시간을 소모해야 하므로, 긴 대기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배터리에 전원을 직접 충전하지 않고, 배터리 자체를 미리 충전된 배터리로 교환하는 방식이 채택되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차량에 사용되는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배터리 측과 차량 측에 각각 커넥터를 구비하여 이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는 차체(10)에 결합되는 메일하우징(12)과, 배터리팩(20)에 결합되는 피메일하우징(22)과, 피메일하우징(22)을 배터리팩(20)에 고정하는 피메일하우징고정부(24)와, 메일하우징(12)을 차체(10)에 고정하는 위치조절접속부(14)를 포함한다. 그리고 메일하우징(12)과 피메일하우징(22)이 결합될 때 위치조절접속부(14)가 탄성 지지되면서 피메일하우징고정부(24)에 결합된다.
이러한 위치조절접속부(14)는 정확하게 정렬 및 조립을 위하여 별도의 스프링부재(14a)를 구비해야 하므로, 그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과 빈번하게 접촉되는 차량 특성상 방수 구조는 필수적인데, 종래기술은 방수를 위한 별도 구조가 없어, 물로 인한 오작동, 신호 접촉 불량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1088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의 조립 과정에서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의 조립 위치가 정위치가 되도록 안내하여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상호 견고하게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차량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 사이를 실링할 수 있도록 하여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를 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하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와 배터리팩을 상호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메일베이스와, 상기 메일베이스에 돌출 형성되되 일측에 오목하게 메일삽입홈이 형성되는 메일결합부를 갖는 메일하우징과, 상기 메일베이스에 구비되되 상기 메일삽입홈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메일단자를 갖는 메일커넥터; 및 상기 메일베이스와 마주보는 피메일베이스와, 상기 메일결합부와 마주보는 상기 피메일베이스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되 외측에 상기 메일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피메일삽입홈이 형성되는 피메일결합부를 갖는 피메일하우징과, 상기 피메일베이스에 구비되되 상기 메일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메일삽입홈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피메일단자를 갖는 피메일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일결합부가 상기 피메일삽입홈을 따라 삽입될 때, 상기 메일단자와 상기 피메일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일삽입홈의 저면에 한 쌍의 구획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일삽입홈 내부는 한 쌍의 상기 구획부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 사이에 구비되는 제 1 공간부와, 각각의 상기 구획부의 외측과 상기 메일삽입홈의 내주연 사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 2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메일삽입홈의 저면 중앙에는 상기 제 1 공간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단자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삽입홈의 저면 양측에는 상기 제 2 공간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가이드기둥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공간부에 상기 메일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단자안내부에 상기 피메일단자가 삽입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 1 공간부에 상기 단자안내부가 삽입되면 상기 메일단자와 상기 피메일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제 2 공간부에 메일전압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기둥에 피메일전압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공간부에 상기 가이드기둥이 삽입되면 상기 메일전압단자가 상기 가이드기둥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피메일전압단자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기둥의 외주연과 상기 피메일삽입홈의 내주연 사이의 공간부에 상기 메일결합부가 삽입되되, 상기 메일결합부의 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피메일삽입홈의 저면 가장자리에 탄성 재질의 실링부가 끼워지고, 상기 공간부에 상기 메일결합부가 삽입되면 상기 메일결합부의 단부가 상기 실링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공간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메일베이스의 중앙에 안착되는 메일중앙안착부와, 한 쌍의 상기 제 2 공간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메일베이스의 양측에 안착되는 한 쌍의 메일양측안착부와, 상기 메일중앙안착부와 상기 메일양측안착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메일연결부를 갖는 메일결합브라켓; 및 상기 단자안내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피메일베이스의 중앙에 안착되는 피메일중앙안착부와, 한 쌍의 상기 가이드기둥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피메일베이스의 양측에 안착되는 한 쌍의 피메일양측안착부와, 상기 피메일중앙안착부와 상기 피메일양측안착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피메일연결부를 갖는 피메일결합브라켓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일단자는, 상기 메일중앙안착부에 삽입되는 메일결합단자와, 상기 메일결합단자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 공간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메일접촉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피메일단자는, 상기 피메일중앙안착부에 삽입되는 피메일결합단자와, 상기 피메일결합단자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단자안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일접촉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피메일접촉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메일전압단자는 상기 메일양측안착부에 삽입되는 메일결합전압단자와, 상기 메일결합전압단자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2 공간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메일접촉전압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피메일전압단자는, 상기 피메일양측안착부에 삽입되는 피메일결합전압단자와, 상기 피메일결합전압단자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기둥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일접촉전압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피메일접촉전압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일결합브라켓은 상기 메일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피메일결합브라켓은 상기 피메일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메일결합브라켓에 상기 메일베이스에 안착될 때, 상기 메일연결부에는 제 1 메일걸림후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메일베이스에는 상기 제 1 메일걸림후크와 걸림 결합되도록 제 2 메일걸림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결합브라켓이 상기 피메일베이스에 안착될 때, 상기 피메일연결부에는 제 1 피메일걸림후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베이스에는 상기 제 1 피메일걸림후크와 걸림 결합되도록 제 2 피메일걸림후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일베이스의 중앙에 상기 메일중앙안착부가 안착될 때, 상기 메일베이스에는 상기 메일중앙안착부의 길이방향 양측을 가이드하도록 한 쌍의 메일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베이스의 중앙에 상기 피메일중앙안착부가 안착될 때, 상기 피메일베이스에는 상기 피메일중앙안착부의 길이방향 양측을 가이드하도록 한 쌍의 피메일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일안내돌기와 맞닿는 상기 메일중앙안착부의 양측에는 상기 메일결합단자가 끼워지도록 메일끼움홈이 형성되되, 상기 메일끼움홈의 개방된 외측을 통하여 상기 메일결합단자가 끼워진 이후 상기 메일끼움홈의 외측은 상기 메일안내돌기에 의하여 폐쇄되고, 상기 피메일안내돌기와 맞닿는 상기 피메일중앙안착부의 양측에는 상기 피메일결합단자가 끼워지도록 피메일끼움홈이 형성되되, 상기 피메일끼움홈의 개방된 외측을 통하여 상기 피메일결합단자가 끼워진 이후 상기 피메일끼움홈의 외측은 상기 피메일안내돌기에 의하여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피메일단자는 내부에 빈 공간이 구비되도록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자안내부에는 상기 피메일단자가 삽입되도록 단자안내홀이 형성되어, 상기 피메일단자는 상기 단자안내홀에 삽입되되 상기 피메일단자의 외주연은 상기 단자안내홀의 내주연에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공간부에 상기 단자안내부가 삽입되면 상기 메일단자가 상기 피메일단자의 빈 공간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일베이스의 양측에 메일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메일관통홀에 메일플로팅리벳이 삽입된 상태로 걸림 결합되고, 상기 피메일베이스의 양측에 피메일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관통홀에 피메일플로팅리벳이 삽입된 상태로 걸림 결합되고, 상기 메일플로팅리벳의 외주연은 상기 메일관통홀의 내주연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플로팅리벳의 외주연은 상기 피메일관통홀의 내주연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피메일접촉전압단자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피메일접촉전압단자의 내주연에는 피메일접촉전압단자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접촉부가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접촉부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되, 길이방향 양 단부는 상기 피메일접촉전압단자와 밀착되고, 길이방향 중앙으로 갈수록 상기 피메일접촉전압단자의 내주연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메일접촉전압단자 상기 피메일접촉전압단자에 삽입되면, 상기 메일접촉전압단자의 외주연과 상기 접촉부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의 조립 과정에서 메일단자 및 메일전압단자와 피메일단자 및 피메일전압단자가 상호 암수 결합되므로, 메일단자 및 메일전압단자와 피메일단자 및 피메일전압단자가 각각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일플로팅리벳 및 피메일플로팅리벳은 메일하우징 및 피메일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지 아니하고, X축 및 Y축으로 약간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이 상호 결합될 때, 메일하우징 및 피메일하우징이 약간씩 이동되면서 자체적으로 위치를 바로잡아,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이 상호 용이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메일하우징 내부에 실링부를 구비하므로,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 내부가 수밀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일결합부가 피메일삽입홈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탄성재질의 실링부가 흡수하므로,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 간의 체결 과정에서 배터리팩에 가해지는 충격이 최소한으로 제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일단자 및 메일전압단자는 메일결합브라켓에 의하여 한꺼번에 메일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피메일단자 및 피메일전압단자는 피메일결합브라켓에 의하여 한꺼번에 피메일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조립 및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장치의 메일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장치의 메일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장치의 메일결합브라켓에 메일단자와 메일전압단자가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장치의 메일커넥터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장치의 피메일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장치의 피메일결합브라켓에 피메일단자와 피메일전압단자가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장치의 피메일커넥터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장치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장치의 메일전압단자와 피메일전압단자가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장치(1000)는 차체에 구비되는 기판(미도시)과 배터리팩(미도시)을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전기자동차의 기판과 결합되는 메일커넥터(100)와,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교체형 배터리팩과 결합되되 메일커넥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메일커넥터(100)와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피메일커넥터(200)를 포함한다.
메일커넥터(100)는 메일하우징(110), 메일하우징(110)의 중앙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메일단자(120), 메일하우징(110)의 양측에 삽입되는 한 쌍의 메일전압단자(130) 및 메일결합브라켓(140)을 포함한다.
피메일커넥터(200)는 메일하우징(110)과 암수 결합되는 피메일하우징(210), 피메일하우징(210)의 중앙에 삽입되되 메일단자(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피메일단자(220), 피메일하우징(210)의 양측에 삽입되되 메일전압단자(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피메일전압단자(230) 및 피메일결합브라켓(240)을 포함한다.
메일결합브라켓(140)은 메일단자(120) 및 메일전압단자(130)가 메일하우징(110)에 한꺼번에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피메일결합브라켓(240)은 피메일단자(220) 및 피메일전압단자(230)가 피메일하우징(210)에 한꺼번에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메일하우징(110)과 피메일하우징(210)이 상호 암수 결합되면, 메일단자(120) 및 피메일단자(220)가 상호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메일전압단자(130) 및 피메일전압단자(230)가 상호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장치의 메일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장치의 메일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메일커넥터(100)는 메일하우징(110), 메일단자(120), 메일전압단자(130), 메일결합브라켓(140) 및 메일플로팅리벳(150)을 포함한다.
메일하우징(110)은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메일베이스(112)와, 메일베이스(112)의 길이방향 중앙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메일결합부(114)를 포함한다. 메일베이스(112)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메일관통홀(112c)이 형성된다. 메일결합부(114)의 상단에는 오목하게 메일삽입홈(114a)이 형성된다. 그리고 메일삽입홈(114a)의 저면에 한 쌍의 구획부(116)가 돌출 형성되어, 메일삽입홈(114a) 내부는 한 쌍의 구획부(116)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 사이에 구비되는 제 1 공간부(117a)와, 각각의 구획부(116)의 외측과 메일삽입홈(114a)의 내주연 사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 2 공간부(117b)를 포함한다.
메일단자(120)는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후술하는 메일결합브라켓(140)에 결합된 상태로 메일베이스(112)의 중앙에 구비되는 메일결합단자(122)와, 메일결합단자(122)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제 1 공간부(117a) 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일접촉단자(124)를 포함한다.
메일전압단자(130)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메일결합브라켓(140)에 결합된 상태로 메일베이스(112)의 양측에 구비되는 메일결합전압단자(132)와, 메일결합전압단자(132)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제 2 공간부(117b) 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일접촉전압단자(134)를 포함한다. 즉, 메일결합단자(122) 및 메일결합전압단자(132)는 후술하는 메일결합브라켓(140)에 결합된 상태로 메일베이스(112)에 결합된다.
메일결합브라켓(140)은 복수의 메일단자(120) 및 메일전압단자(130)가 결합되는 것으로, 메일결합브라켓(140)이 메일하우징(110)에 결합되면, 복수의 메일단자(120) 및 메일전압단자(130) 한꺼번에 메일하우징(110)에 결합된다. 메일결합브라켓(140)은 후술하기로 한다.
메일플로팅리벳(150)은 메일관통홀(112c)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 결합된다. 이때, 메일플로팅리벳(150)의 외주연은 메일관통홀(112c)의 내주연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메일하우징(110)을 차체의 기판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메일플로팅리벳(150)에 육각볼트 등의 메일결합볼트(152)가 삽입되면, 메일플로팅리벳(150)은 메일하우징(110)의 메일관통홀(112c)에 빈틈없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지 아니하고, X축 및 Y축으로 약간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후술하는 피메일하우징(210)과 메일하우징(110)이 상호 결합될 때, 메일하우징(110)의 위치가 약간 어긋난다 하더라도, 메일하우징(110)이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자체적으로 위치를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하여, 메일하우징(110)과 피메일하우징(210)이 상호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장치의 메일결합브라켓에 메일단자와 메일전압단자가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장치의 메일커넥터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메일결합브라켓(140)은 제 1 공간부(117a)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메일베이스(112)의 중앙에 안착되는 메일중앙안착부(142)와, 한 쌍의 제 2 공간부(117b)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메일베이스(112)의 양측에 안착되는 한 쌍의 메일양측안착부(144)와, 메일중앙안착부(142)와 메일양측안착부(144)를 상호 연결시키는 메일연결부(146)를 포함한다. 메일중앙안착부(142)는 그 길이방향 양측에 복수 개의 메일끼움홈(142a)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각각의 메일결합단자(122)가 각각의 메일끼움홈(142a)에 끼움 결합된다. 메일양측안착부(144)에는 메일결합전압단자(132)가 관통 삽입되어 메일결합브라켓(140)에 결합된다.
그리고 메일베이스(112)의 중앙에 메일중앙안착부(142)가 안착될 때, 메일베이스(112)에는 메일중앙안착부(142)의 길이방향 양측을 가이드하도록 한 쌍의 메일안내돌기(112b)가 돌출 형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메일베이스(112)에 메일안내돌기(112b)가 형성되므로, 메일결합브라켓(140)은 메일안내돌기(112b)에 안내된 상태로 메일단자(120) 및 메일전압단자(130)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제 1 공간부(117a) 및 제 2 공간부(117b)에 정확하게 안내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메일결합브라켓(140)이 메일하우징(110)에 안착되면, 메일중앙안착부(142)가 메일베이스(112)의 중앙에 안착되고, 메일양측안착부(144)가 메일베이스(112)의 양측에 안착된다. 이때, 메일단자(120)의 메일결합단자(122)는 메일삽입홈(114a)의 저면 중앙에 관통되도록 위치되고, 메일접촉단자(124)는 메일결합단자(122)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제 1 공간부(117a)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메일전압단자(130)의 메일결합전압단자(132)는 메일삽입홈(114a)의 저면 양측에 관통되도록 위치되고, 메일접촉전압단자(134)는 메일결합전압단자(132)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제 2 공간부(117b)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위치된다.
한편, 메일결합브라켓(140)에 메일베이스(112)에 안착될 때, 메일결합브라켓(140)은 메일베이스(112)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된다. 이를 위하여 메일연결부(146)에는 탄성을 갖는 후크 형상의 제 1 메일걸림후크(146a)가 돌출 형성되고, 메일베이스(112)에는 제 1 메일걸림후크(146a)와 걸림 결합되도록 탄성을 갖는 후크 형상의 제 2 메일걸림후크(112a)가 형성되어, 제 1 메일걸림후크(146a)가 제 2 메일걸림후크(112a)에 걸림 결합된다. 이처럼 메일결합브라켓(140)은 제 1, 2 메일걸림후크를 구비하므로, 간단한 구조로 메일베이스(1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일단자(120) 및 메일전압단자(130)는 메일결합브라켓(140)에 의하여 한꺼번에 메일하우징(110)에 결합되므로, 메일단자(120) 및 메일전압단자(130)를 일일이 메일하우징(110)에 결합할 필요가 없어, 조립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장치의 피메일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장치의 피메일결합브라켓에 피메일단자와 피메일전압단자가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피메일커넥터(200)는 피메일하우징(210), 실링부(260), 피메일단자(220), 피메일전압단자(230), 피메일결합브라켓(240) 및 피메일플로팅리벳(250)을 포함한다.
피메일하우징(210)은 메일베이스(112)의 상부로 이격된 상태로 메일베이스(112)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며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피메일베이스(212)와, 메일결합부(114)와 마주보는 피메일베이스(212)의 일측 중앙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피메일결합부(214)를 포함한다. 피메일베이스(212)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피메일관통홀(212c)이 형성된다. 메일베이스(112)와 가까이 위치되는 피메일결합부(214)의 외측에는 메일결합부(114)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피메일삽입홈(214a)이 형성된다. 그리고 피메일삽입홈(214a)의 저면 중앙에는 제 1 공간부(117a)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단자안내부(216)가 형성되고, 피메일삽입홈(214a)의 저면 양측에는 제 2 공간부(117b)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가이드기둥(218)이 형성된다. 단자안내부(216)에는 후술하는 피메일단자(220)의 피메일접촉단자(224)가 삽입되도록 단자안내홀(216a)이 형성된다. 가이드기둥(218)의 내부는 후술하는 피메일전압단자(230)의 피메일접촉전압단자(234)가 삽입되도록 빈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기둥(218)의 외주연과 피메일삽입홈(214a)의 내주연 사이의 공간부(219)에 메일결합부(114)가 삽입된다. 이때, 메일결합부(114)의 단부와 마주보는 피메일삽입홈(214a)의 저면 가장자리에 실링부(260)가 끼워진다.
실링부(260)는 고무, 실리콘 등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링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공간부(219)에 메일결합부(114)가 삽입되면 메일결합부(114)의 단부가 실링부(260)에 밀착되어, 메일결합부(114)와 피메일삽입홈(214a) 사이가 수밀하게 유지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실링부(260)를 구비하므로, 메일커넥터(100)와 피메일커넥터(200) 내부가 수밀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일결합부(114)가 피메일삽입홈(214a)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탄성재질의 실링부(260)가 흡수하므로, 메일하우징(110)과 피메일하우징(210) 간의 체결 과정에서 배터리팩에 가해지는 충격이 최소한으로 제한되는 효과가 있다.
피메일단자(220)는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후술하는 피메일결합브라켓(240)에 결합된 상태로 피메일베이스(212)의 중앙에 구비되는 피메일결합단자(222)와, 피메일결합단자(222)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단자안내홀(216a)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메일접촉단자(224)를 포함한다. 그리고 피메일결합단자(222) 및 피메일접촉단자(224)는 내부에 빈 공간이 구비되어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피메일전압단자(230)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피메일결합브라켓(240)에 결합된 상태로 피메일베이스(212)의 양측에 구비되는 피메일결합전압단자(232)와, 피메일결합전압단자(232)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가이드기둥(218)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메일접촉전압단자(234)를 포함한다. 즉, 피메일결합단자(222) 및 피메일결합전압단자(232)는 후술하는 피메일결합브라켓(240)에 결합된 상태로 피메일베이스(212)에 결합된다.
피메일결합브라켓(240)은 복수의 피메일단자(220) 및 피메일전압단자(230)가 결합되는 것으로, 피메일결합브라켓(240)이 피메일하우징(210)에 결합되면, 복수의 피메일단자(220) 및 피메일전압단자(230) 한꺼번에 피메일하우징(210)에 결합된다. 피메일결합브라켓(240)은 후술하기로 한다.
피메일플로팅리벳(250)은 피메일관통홀(212c)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 결합된다. 이때, 피메일플로팅리벳(250)의 외주연은 피메일관통홀(212c)의 내주연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피메일하우징(210)을 배터리팩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피메일플로팅리벳(250)에 피메일결합볼트(252)가 삽입되면, 피메일플로팅리벳(250)은 피메일하우징(210)의 피메일관통홀(212c)에 빈틈없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지 아니하고, X축 및 Y축으로 약간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메일하우징(110)과 피메일하우징(210)이 상호 결합될 때, 메일하우징(110)과 마찬가지로 피메일하우징(210) 또한 약간 이동되면서 자체적으로 위치를 바로잡아, 메일하우징(110)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장치의 피메일커넥터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피메일결합브라켓(240)은 단자안내부(216)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피메일베이스(212)의 중앙에 안착되는 피메일중앙안착부(242)와, 한 쌍의 가이드기둥(218)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피메일베이스(212)의 양측에 안착되는 한 쌍의 피메일양측안착부(244)와, 피메일중앙안착부(242)와 피메일양측안착부(244)를 상호 연결시키는 피메일연결부(246)를 포함한다.
피메일중앙안착부(242)는 그 길이방향 양측에 복수 개의 피메일끼움홈(242a)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각각의 피메일결합단자(222)가 각각의 피메일끼움홈(242a)에 끼움 결합된다. 피메일양측안착부(244)에는 피메일결합전압단자(232)가 관통 삽입되어 피메일결합브라켓(240)에 결합된다.
그리고 피메일베이스(212)의 중앙에 피메일중앙안착부(242)가 안착될 때, 피메일베이스(212)에는 피메일중앙안착부(242)의 길이방향 양측을 가이드하도록 한 쌍의 피메일안내돌기(212b)가 돌출 형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피메일베이스(212)에 피메일안내돌기(212b)가 형성되므로, 피메일결합브라켓(240)은 피메일안내돌기(212b)에 안내된 상태로 피메일단자(220) 및 피메일전압단자(230)를 별다른 어려움 없이 단자안내홀(216a) 및 가이드기둥(218)에 정확하게 삽입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피메일접촉단자(224)가 단자안내홀(216a)에 삽입되면, 피메일접촉단자(224)의 외주연은 단자안내홀(216a)의 내주연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피메일접촉단자(224)가 단자안내홀(216a)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므로, 피메일접촉단자(224)는 외부 충격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임의로 형태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 피메일접촉단자(224)는 메일접촉단자(124)와 접촉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피메일결합브라켓(240)이 피메일하우징(210)에 안착되면, 피메일중앙안착부(242)가 피메일베이스(212)의 중앙에 안착되고, 피메일양측안착부(244)가 피메일베이스(212)의 양측에 안착된다. 이때, 피메일단자(220)의 피메일결합단자(222)는 피메일중앙안착부(242)에 삽입되고, 피메일접촉단자(224)는 피메일결합단자(222)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단자안내홀(216a)에 삽입되도록 단자안내부(216)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피메일전압단자(230)의 피메일결합전압단자(232)는 피메일양측안착부(244)에 삽입되도록 위치되고, 피메일접촉전압단자(234)는 피메일결합전압단자(232)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가이드기둥(218)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위치된다.
한편, 피메일결합브라켓(240)에 피메일베이스(212)에 안착될 때, 피메일결합브라켓(240)은 피메일베이스(212)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된다. 이를 위하여 피메일연결부(246)에는 탄성을 갖는 후크 형상의 제 1 피메일걸림후크(246a)가 돌출 형성되고, 피메일베이스(212)에는 제 1 피메일걸림후크(246a)와 걸림 결합되도록 탄성을 갖는 후크 형상의 제 2 피메일걸림후크(212a)가 형성되어, 제 1 피메일걸림후크(246a)가 제 2 피메일걸림후크(212a)에 걸림 결합된다. 이처럼 피메일결합브라켓(240)은 제 1, 2 피메일걸림후크를 구비하므로, 간단한 구조로 피메일베이스(2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메일단자(220) 및 피메일전압단자(230)는 피메일결합브라켓(240)에 의하여 한꺼번에 피메일하우징(210)에 결합되므로, 피메일단자(220) 및 피메일전압단자(230)를 일일이 피메일하우징(210)에 결합할 필요가 없어, 조립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장치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메일하우징(110)에 메일결합브라켓(140)이 삽입되고, 피메일하우징(210)에 피메일결합브라켓(240)이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메일하우징(110)의 메일결합부(114)가 피메일하우징(210)의 피메일삽입홈(214a)에 삽입되면, 피메일결합부(214)가 제 1 공간부(117a)에 삽입되고, 가이드기둥(218)이 제 2 공간부(117b)에 삽입된다. 그러면, 메일접촉단자(124)가 피메일접촉단자(224)에 삽입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메일접촉전압단자(134)가 가이드기둥(218)을 관통한 상태로 피메일접촉전압단자(234)에 삽입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메일접촉단자(124)와 피메일접촉단자(224)는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메일접촉전압단자(134)와 피메일접촉전압단자(234)는 전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나, 이를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경우에 따라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메일하우징(110)과 피메일하우징(210)의 조립 과정에서 메일단자(120) 및 메일전압단자(130)와 피메일단자(220) 및 피메일전압단자(230)가 상호 견고하게 암수 결합되어, 메일단자(120) 및 메일전압단자(130)와 피메일단자(220) 및 피메일전압단자(230)가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메일끼움홈(142a)의 개방된 외측을 통하여 메일결합단자(122)가 끼워진 이후 메일결합브라켓(140)이 메일안내돌기(112b) 사이로 삽입되면, 메일끼움홈(142a)의 외측은 메일안내돌기(112b)에 의하여 폐쇄된다. 마찬가지로 피메일끼움홈(242a)의 개방된 외측을 통하여 피메일결합단자(222)가 끼워진 이후 피메일결합브라켓(240)이 피메일안내돌기(212b) 사이로 삽입되면, 피메일끼움홈(242a)의 외측은 피메일안내돌기(212b)에 의하여 폐쇄된다. 이처럼 메일결합단자(122) 및 피메일결합단자(222)는 메일끼움홈(142a) 및 피메일끼움홈(242a)에 간단하게 끼움 결합되므로, 조립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일끼움홈(142a) 및 피메일끼움홈(242a)은 메일안내돌기(112b) 및 피메일안내돌기(212b)에 의하여 폐쇄되므로, 메일결합단자(122) 및 피메일결합단자(222)는 메일끼움홈(142a) 및 피메일끼움홈(242a)에 끼움 결합된 상태를 항상 견고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장치의 메일전압단자와 피메일전압단자가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피메일접촉전압단자(234)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피메일접촉전압단자(234)의 내주연에는 피메일접촉전압단자(234)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접촉부(234a)가 방사상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접촉부(234a)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되, 길이방향 양 단부는 피메일접촉전압단자(234)와 밀착되고, 길이방향 중앙으로 갈수록 피메일접촉전압단자(234)의 내주연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메일접촉전압단자(134) 피메일접촉전압단자(234)에 삽입되면, 메일접촉전압단자(134)의 외주연과 접촉부(234a)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견고하게 연결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0: 커넥터 장치
100: 메일커넥터
110: 메일하우징 112: 메일베이스
112a: 제 2 메일걸림후크 112b: 메일안내돌기
112c: 메일관통홀 114: 메일결합부
114a: 메일삽입홈 116: 구획부
117a: 제 1 공간부 117b: 제 2 공간부
120: 메일단자 122: 메일결합단자
124: 메일접촉단자 130: 메일전압단자
132: 메일결합전압단자 134: 메일접촉전압단자
140: 메일결합브라켓 142: 메일중앙안착부
142a: 메일끼움홈 144: 메일양측안착부
146: 메일연결부 146a: 제 1 메일걸림후크
150: 메일플로팅리벳 152: 메일결합볼트
200: 피메일커넥터
210: 피메일하우징 212: 피메일베이스
212a: 제 2 피메일걸림후크 212b: 피메일안내돌기
212c: 피메일관통홀 214: 피메일결합부
214a: 피메일삽입홈 216: 단자안내부
216a: 단자안내홀 218: 가이드기둥
219: 공간부 220: 피메일단자
222: 피메일결합단자 224: 피메일접촉단자
230: 피메일전압단자 232: 피메일결합전압단자
234: 피메일접촉전압단자 234a: 접촉부
240: 피메일결합브라켓 242: 피메일중앙안착부
242a: 피메일끼움홈 244: 피메일양측안착부
246: 피메일연결부 246a: 제 1 피메일걸림후크
250: 피메일플로팅리벳 252: 피메일결합볼트
260: 실링부

Claims (10)

  1. 차체와 배터리팩을 상호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메일베이스와, 상기 메일베이스에 돌출 형성되되 일측에 오목하게 메일삽입홈이 형성되는 메일결합부를 갖는 메일하우징과, 상기 메일베이스에 구비되되 상기 메일삽입홈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메일단자를 갖는 메일커넥터; 및
    상기 메일베이스와 마주보는 피메일베이스와, 상기 메일결합부와 마주보는 상기 피메일베이스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되 외측에 상기 메일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피메일삽입홈이 형성되는 피메일결합부를 갖는 피메일하우징과, 상기 피메일베이스에 구비되되 상기 메일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메일삽입홈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피메일단자를 갖는 피메일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일결합부가 상기 피메일삽입홈을 따라 삽입될 때, 상기 메일단자와 상기 피메일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메일삽입홈의 저면에 한 쌍의 구획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일삽입홈 내부는 한 쌍의 상기 구획부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 사이에 구비되는 제 1 공간부와, 각각의 상기 구획부의 외측과 상기 메일삽입홈의 내주연 사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 2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메일삽입홈의 저면 중앙에는 상기 제 1 공간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단자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삽입홈의 저면 양측에는 상기 제 2 공간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가이드기둥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공간부에 상기 메일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단자안내부에 상기 피메일단자가 삽입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 1 공간부에 상기 단자안내부가 삽입되면 상기 메일단자와 상기 피메일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제 2 공간부에 메일전압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기둥에 피메일전압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공간부에 상기 가이드기둥이 삽입되면 상기 메일전압단자가 상기 가이드기둥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피메일전압단자에 접촉되고,
    상기 제 1 공간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메일베이스의 중앙에 안착되는 메일중앙안착부와, 한 쌍의 상기 제 2 공간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메일베이스의 양측에 안착되는 한 쌍의 메일양측안착부와, 상기 메일중앙안착부와 상기 메일양측안착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메일연결부를 갖는 메일결합브라켓; 및
    상기 단자안내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피메일베이스의 중앙에 안착되는 피메일중앙안착부와, 한 쌍의 상기 가이드기둥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피메일베이스의 양측에 안착되는 한 쌍의 피메일양측안착부와, 상기 피메일중앙안착부와 상기 피메일양측안착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피메일연결부를 갖는 피메일결합브라켓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일단자는, 상기 메일중앙안착부에 삽입되는 메일결합단자와, 상기 메일결합단자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 공간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메일접촉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피메일단자는, 상기 피메일중앙안착부에 삽입되는 피메일결합단자와, 상기 피메일결합단자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단자안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일접촉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피메일접촉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메일전압단자는 상기 메일양측안착부에 삽입되는 메일결합전압단자와, 상기 메일결합전압단자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2 공간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메일접촉전압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피메일전압단자는, 상기 피메일양측안착부에 삽입되는 피메일결합전압단자와, 상기 피메일결합전압단자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기둥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일접촉전압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피메일접촉전압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기둥의 외주연과 상기 피메일삽입홈의 내주연 사이의 공간부에 상기 메일결합부가 삽입되되, 상기 메일결합부의 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피메일삽입홈의 저면 가장자리에 탄성 재질의 실링부가 끼워지고,
    상기 공간부에 상기 메일결합부가 삽입되면 상기 메일결합부의 단부가 상기 실링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결합브라켓은 상기 메일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피메일결합브라켓은 상기 피메일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메일결합브라켓에 상기 메일베이스에 안착될 때, 상기 메일연결부에는 제 1 메일걸림후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메일베이스에는 상기 제 1 메일걸림후크와 걸림 결합되도록 제 2 메일걸림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결합브라켓이 상기 피메일베이스에 안착될 때, 상기 피메일연결부에는 제 1 피메일걸림후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베이스에는 상기 제 1 피메일걸림후크와 걸림 결합되도록 제 2 피메일걸림후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베이스의 중앙에 상기 메일중앙안착부가 안착될 때, 상기 메일베이스에는 상기 메일중앙안착부의 길이방향 양측을 가이드하도록 한 쌍의 메일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베이스의 중앙에 상기 피메일중앙안착부가 안착될 때, 상기 피메일베이스에는 상기 피메일중앙안착부의 길이방향 양측을 가이드하도록 한 쌍의 피메일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안내돌기와 맞닿는 상기 메일중앙안착부의 양측에는 상기 메일결합단자가 끼워지도록 메일끼움홈이 형성되되, 상기 메일끼움홈의 개방된 외측을 통하여 상기 메일결합단자가 끼워진 이후 상기 메일끼움홈의 외측은 상기 메일안내돌기에 의하여 폐쇄되고,
    상기 피메일안내돌기와 맞닿는 상기 피메일중앙안착부의 양측에는 상기 피메일결합단자가 끼워지도록 피메일끼움홈이 형성되되, 상기 피메일끼움홈의 개방된 외측을 통하여 상기 피메일결합단자가 끼워진 이후 상기 피메일끼움홈의 외측은 상기 피메일안내돌기에 의하여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단자는 내부에 빈 공간이 구비되도록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자안내부에는 상기 피메일단자가 삽입되도록 단자안내홀이 형성되어, 상기 피메일단자는 상기 단자안내홀에 삽입되되 상기 피메일단자의 외주연은 상기 단자안내홀의 내주연에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공간부에 상기 단자안내부가 삽입되면 상기 메일단자가 상기 피메일단자의 빈 공간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베이스의 양측에 메일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메일관통홀에 메일플로팅리벳이 삽입된 상태로 걸림 결합되고,
    상기 피메일베이스의 양측에 피메일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관통홀에 피메일플로팅리벳이 삽입된 상태로 걸림 결합되고,
    상기 메일플로팅리벳의 외주연은 상기 메일관통홀의 내주연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플로팅리벳의 외주연은 상기 피메일관통홀의 내주연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접촉전압단자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피메일접촉전압단자의 내주연에는 피메일접촉전압단자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접촉부가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접촉부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되, 길이방향 양 단부는 상기 피메일접촉전압단자와 밀착되고, 길이방향 중앙으로 갈수록 상기 피메일접촉전압단자의 내주연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메일접촉전압단자 상기 피메일접촉전압단자에 삽입되면, 상기 메일접촉전압단자의 외주연과 상기 접촉부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장치.


KR1020190118852A 2019-09-26 2019-09-26 차량용 커넥터 장치 KR102175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852A KR102175538B1 (ko) 2019-09-26 2019-09-26 차량용 커넥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852A KR102175538B1 (ko) 2019-09-26 2019-09-26 차량용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538B1 true KR102175538B1 (ko) 2020-11-06

Family

ID=73572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852A KR102175538B1 (ko) 2019-09-26 2019-09-26 차량용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5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3305A (zh) * 2021-09-23 2022-02-08 北京星航机电装备有限公司 一种用于agv自动充电的对正结构及自动充电系统
CN114744448A (zh) * 2022-04-29 2022-07-12 深圳市捷联通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车充电连接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9454A (ja) * 2003-10-27 2005-05-19 Smk Corp フローティング構造を有するコネクタ
CN106025709A (zh) * 2015-03-31 2016-10-12 泰科电子公司 浮动式连接器
CN207719493U (zh) * 2018-01-10 2018-08-10 深圳乔合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浮动连接器
KR20180123993A (ko) * 2017-05-10 2018-11-20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01088B1 (ko) 2019-03-19 2019-07-18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9454A (ja) * 2003-10-27 2005-05-19 Smk Corp フローティング構造を有するコネクタ
CN106025709A (zh) * 2015-03-31 2016-10-12 泰科电子公司 浮动式连接器
KR20180123993A (ko) * 2017-05-10 2018-11-20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CN207719493U (zh) * 2018-01-10 2018-08-10 深圳乔合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浮动连接器
KR102001088B1 (ko) 2019-03-19 2019-07-18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3305A (zh) * 2021-09-23 2022-02-08 北京星航机电装备有限公司 一种用于agv自动充电的对正结构及自动充电系统
CN114744448A (zh) * 2022-04-29 2022-07-12 深圳市捷联通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车充电连接器
CN114744448B (zh) * 2022-04-29 2024-02-27 深圳市捷联通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车充电连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40776B (zh) 带有具有接合的突出部槽固定装置的轨道的电池盒
KR102175538B1 (ko) 차량용 커넥터 장치
JP6169166B2 (ja) 最適化モジュール抑制システム
US9577228B2 (en) Battery packs for electric tools
US9761856B2 (en) Battery pack
JP2020513664A (ja) 拡張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構造を有するバッテリーパック
US20160248070A1 (en) Sensing Block and Battery Package Including Same
EP3121869B1 (en) Battery cell holder member
KR101783860B1 (ko) 젠더
US20110177372A1 (en) Support Assembly For An Array Of Battery Cells
KR101970250B1 (ko)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KR101916433B1 (ko) 배터리 모듈
CN113659261A (zh) 一种车载动力电池箱
KR102315974B1 (ko) 전장 어셈블리 및 상기 전장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7212163B2 (ja) コネクター、バッテリー管理ユニット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
US20120148903A1 (en) Electric storage apparatus
JP7049591B2 (ja) コネクター
CN109075282A (zh) 电池组
KR20170056306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481777B1 (ko) 충전 인렛 캡
JP7350975B2 (ja) コネクタモジュール、該コネクタモジュール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自動車、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22177823A (ja) 車両用充電コネクタ
KR20220156260A (ko) 자동차 충전 커넥터
KR20170014555A (ko) 배터리 팩
KR102544785B1 (ko)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