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116B1 - 제동부를 갖는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제동부를 갖는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116B1
KR102175116B1 KR1020200068957A KR20200068957A KR102175116B1 KR 102175116 B1 KR102175116 B1 KR 102175116B1 KR 1020200068957 A KR1020200068957 A KR 1020200068957A KR 20200068957 A KR20200068957 A KR 20200068957A KR 102175116 B1 KR102175116 B1 KR 102175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winding drum
stage equipment
driving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귀옥
Original Assignee
안귀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귀옥 filed Critical 안귀옥
Priority to KR1020200068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1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24Operating devices
    • B66D5/30Operating device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2001/02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wound up when not in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동부를 갖는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대설비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와이어로프를 외주면에 권취시켜, 구동모터의 구동에 대응되게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와이어로프를 풀림 및 감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과 구동모터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감속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감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의 감속기가 고장이 발생되었을 때, 권취드럼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감속기 손상에 따른 권취드럼의 회전으로 권취된 와이어로프가 풀림되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제동부를 갖는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Wire rope winding device for stage equipment having a braking part}
본 발명은 제동부를 갖는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대설비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와이어로프를 외주면에 권취시켜, 구동모터의 구동에 대응되게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와이어로프를 풀림 및 감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과 구동모터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감속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감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의 감속기가 고장이 발생되었을 때, 권취드럼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감속기 손상에 따른 권취드럼의 회전으로 권취된 와이어로프가 풀림되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제동부를 갖는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대의 와이어 구동장치는 방송 스튜디오, 공연, 연극, 오페라 등 각종 무대 활동에서 무대효과 연출을 위한 조명기구는 물론, 각종 기구장치 및 무대를 객석으로부터 차폐하는 암막 등의 무대 시설물들을 와이어로 연결하여 승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다양한 무대의 와이어 구동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아래 제시된 선행기술문헌들에서 이들의 구조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제시된 종래 무대용 와이어 구동 장치들은 개선해야 할 기술적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살펴보면, 기존 와이어 구동 장치의 경우 드럼에 감긴 와이어가 인출되면서 발생하는 하중으로 와이어 가이드를 끌어서 점진적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수동적인 구조를 갖기 때문에 와이어의 인출 속도에 비하여 가이드의 슬라이드 속도가 한 템포 느려 결과적으로 와이어가 사선방향으로 꺾이면서 인출되면서 드럼으로부터 와이어가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선 등록된 와이어 구동 장치가 제시되었으며, 그 와이어 구동 장치의 경우, 와이어를 지지하는 안내활차를 이동하기 위해, 가이드 롤러와 드럼이 웜 기어 형태의 체결방식으로 맞물려 이동 동력을 발생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가이드 롤러와 드럼이 기어체결방식으로 맞물린 부위가 쉽게 마모되거나 기어 이가 파손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은 구조적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15-0098843호에 볼나사를 이용한 무대 설비의 와이어 구동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살펴보면, 상기한 볼나사를 이용한 무대 설비의 와이어 구동장치는, 무대 설비의 조명기구 또는 기타 기구들을 와이어로 연결하여 승강 작동하기 위한 와이어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대향된 한 쌍의 측판이 임의 간격으로 각각 무대에 고정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측판 사이에 회전축에 의해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력으로 제자리 회전하며, 나선으로 형성된 와이어홈에 여러 가닥의 와이어가 각각 감기는 드럼과, 상기 측판 사이로 드럼에 인접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마련된 다수의 안내활차로 상기 와이어를 각각 지지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하측에 볼 나사가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되, 그 볼 나사가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전달되는 드럼의 구동력으로 나선회전함과 더불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가이드를 와이어가 풀리거나 감기는 방향을 따라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드럼의 하측에 인접하게 위치하되, 상기 한 쌍의 측판 사이에서 수평으로 왕복 이동작동하는 이송플레이트와,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여러 가닥의 와이어가 인출되는 위치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그 와이어를 지지하는 다수의 안내활차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측판 사이에서 드럼의 하측에 평행하게 결합되는 레일바와, 상기 레일바에 가이드부쉬를 이용해 체결되되, 상기 가이드가 상측에 고정결합되고, 내측 중앙에 강구너트가 마련된 작동몸체와, 상기 작동몸체의 타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바에 가이드부쉬를 이용해 체결되되, 상기 가이드가 상측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작동몸체와 더불어 가이드를 이송시키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강구너트의 중앙에 관통되되, 외주에 형성된 강구홈에 의해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며, 일단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드럼의 구동력이 전달되면 제자리 회전하는 볼 나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볼 나사가 제자리 회전하면, 상기 강구너트가 강구홈을 따라 나선으로 안내되어 상기 작동몸체가 레일바를 따라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며, 상기 볼 나사는, 회전축에 벨트, 체인, 기어 방식 중 어느 하나로 선택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드럼의 일측에 평행하게 결합되되, 드럼에 감긴 와이어의 일면을 탄성 지지하여 그 와이어가 드럼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강구너트는, 내부에 다수의 강구가 마련됨과 더불어, 그 강구의 일부분이 노출되는 관통구멍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강구가 노출되는 관통 구멍에 볼 나사가 관통 삽입되면서 볼 나사의 외주에 상기 강구가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상면으로 와이어가 감지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가 절단되는 것을 감지하는 파단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측판 사이에서 드럼의 하측에 평행하게 결합되는 레일바에 체결되되, 상기 작동수단의 가이드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된 위치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몸체의 일면이 접촉되면 이를 감지하는 안전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볼나사를 이용한 무대 설비의 와이어 구동장치는, 모터 상부에 모터 제동을 위한 제동부가 갖추어져 있어서, 모터이상시 드럼이 회전하여 권취된 와이어가 풀림되는 것에 의해 무대설비의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나, 모터의 동력을 드럼에 전달할 수 있도록 모터에 구비된 감속기가 고장이 날 경우, 드럼의 회전을 제동시킬 수 없어서 권취된 와이어가 풀리는 것에 의해 무대설비의 추락으로 대형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출원번호 10-2015-0098843호, 출원일; 2015년07월13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무대설비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와이어로프를 외주면에 권취시켜, 구동모터의 구동에 대응되게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와이어로프를 풀림 및 감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과 구동모터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감속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감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의 감속기가 고장이 발생되었을 때, 권취드럼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감속기 손상에 따른 권취드럼의 회전으로 권취된 와이어로프가 풀림되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제동부를 갖는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동부를 갖는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는, 무대설비에 고정 설치되도록 고정홀이 복수개 형성되어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2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의 외측면에 감속기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상기 제1고정부재를 관통하여 내측으로 돌출되어 제어부의 조작버튼을 조작하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상기 감속기를 통하여 정,역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모터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를 제동시키기 위해구비되는 구동모터제동부와, 상기 제1,2고정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일단은 상기 제1고정부재를 관통하여 돌출된 구동부의 구동축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제2고정부재에 베어링을 개재시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외주면에는 일정 구간에 복수의 와이어로프를 각각 권취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제1고정부재의 타단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감속기의 고장시 상기 권취드럼을 제동시켜 복수의 와이어로프가 풀림되어 무대설비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권취드럼제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제1,2고정부재는 서로에 대하여 이격 거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연결바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동부를 갖는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에 따르면, 무대설비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와이어로프를 외주면에 권취시켜, 구동모터의 구동에 대응되게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와이어로프를 풀림 및 감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과 구동모터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감속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감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의 감속기가 고장이 발생되었을 때, 권취드럼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감속기 손상에 따른 권취드럼의 회전으로 권취된 와이어로프가 풀림되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동부를 갖는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를 일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부를 갖는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를 타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동부를 갖는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의 권취드럼제동부를 평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부를 갖는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의 권취드럼제동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부를 갖는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부를 갖는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100)는, 무대설비에 고정 설치되도록 고정홀이 복수개 형성되어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2고정부재(110,120)와, 상기 제1고정부재(110)의 외측면에 감속기(131)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구동모터(132)의 구동축(133)이 상기 제1고정부재(110)를 관통하여 내측으로 돌출되어 제어부(미도시함)의 조작버튼을 조작하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구동모터(132)의 구동축(133)이 상기 감속기(131)를 통하여 정,역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부(130)와,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모터(132)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132)를 제동시키기 위해구비되는 구동모터제동부(140)와, 상기 제1,2고정부재(110,120) 사이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일단은 상기 제1고정부재(110)를 관통하여 돌출된 구동부(130)의 구동축(133)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제2고정부재(120)에 베어링을 개재시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외주면에는 일정 구간에 복수의 와이어로프(미도시함)를 각각 권취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권취드럼(150)과, 상기 제1고정부재(110)의 타단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감속기(131)의 고장시 상기 권취드럼(150)을 제동시켜 복수의 와이어로프가 풀림되어 무대설비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권취드럼제동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제1,2고정부재(110,120)는 서로에 대하여 이격 거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연결바(170)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구동부(130)의 감속기 일측에는 구동축(133) 상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130)가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구동하여 상기 권취드럼(150)에 각각의 와이어로프가 감김 및 풀림되는 거리를 제어가능하도록 제1,2리미트스위치(미도시함)가 내설된 위치결정용 리미트 스위치부(180)가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제동부를 갖는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제동부를 갖는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100)의 제1,2고정부재(110,120)는 부대설비에 고정 설치되어 구동부(130)와,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축(133)에 연결되는 권취드럼(150)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권취드럼제동부(160)를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제1,2고정부재(110,120)는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각 일단이 복수의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무대설비에 각각 고정되도록 고정홀이 복수개 형성되고, 타단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2절곡편(도면부호 생략)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제1고정브라켓 및 제2고정브라켓(111,121)과, 상기 제1고정브라켓(111)의 제1절곡편 사이에 일단이 삽입되어 복수의 고정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고정되는 판상으로 형성되되, 판상에는 구동축(133)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관통홀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제1설치판(112)과, 상기 제2고정브라켓(121)의 제2절곡편(도면부호 생략)이 사이에 일단이 삽입되어 복수의 고정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고정되는 판상으로 형성되되, 판상에는 베어링을 개재시켜 상기 권취드럼(150)의 타단을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2설치판(122)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동부(130)는 제1고정부재(110)의 제1설치판(111)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구동축(133)이 상기 제1설치판(111)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돌출되어 제어부의 조작버튼을 조작하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구동축(133)이 정,역구동가능하여 권취드럼(150)을 정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구동부(130)는 상기 제1고정부재(110)의 제1설치판(111) 외측면에 복수의 스크류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어 구비되는 감속기(131)와, 상기 감속기(131)를 횡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감속기(131)의 일면을 통하여 제1설치판(111)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는 것에 의해 내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감속기(131)의 타면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축(133)과, 상기 감속기(131)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조작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상기 구동축(133)을 정방향 및 역방향의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동모터(132)로 구성된다.
상기한 권취드럼(150)은 상기 구동축(133)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제2고정부재(120)의 제2설치판(121)에 형성된 설치홀에 베어링을 개재시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구동부(130)의 구동모터(132)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일정 구간에 복수의 와이어로프를 각각 감김 및 풀림시킬 수 있도록 권취용 홈(151)의 일정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권취드럼제동부(160)는 상기 제1고정부재(110)의 타단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130)의 감속기(131)의 고장시 상기 권취드럼(150)을 제동시켜 복수의 와이어로프가 풀림되어 무대설비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권취드럼제동부(160)는 구동부(130)의 감속기(131) 고장에 따른 권취드럼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권취드럼(150)의 외주면 일단에 형성된 제동용 플랜지부(161)와, 상기 제1고정부재(110)의 제1설치판(111) 양측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는 것에 의해 타단은 상기 제1설치판(111)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구동하여 상기 제동용 플랜지부(161)를 각각 가압 고정가능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전자기브레이크(162)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권취드럼제동부는 권취드럼의 외주면 일단에 형성된 제동용 플랜지부만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권취드럼 양측을 모두 제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한 권취드럼제동부는 상기 권취드럼의 외주면 일단에 형성된 제1,2제동용 플랜지부와, 상기 제1고정부재의 제1설치판 양측과 제2고정부재의 제2설치판 양측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는 것에 의해 각 타단은 상기 제1설치판 내측면과 제2설치판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동시에 구동하여 상기 제1,2제동용 플랜지부를 각각 가압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2전자기브레이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동부를 갖는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를 무대설비에 설치하여 와이어로프를 감김시켜 조명을 상승시키고자 할 경우, 제어부의 조작버튼을 누름시킨다.
상기 조작버튼의 누름으로 구동부(130)의 구동모터(132)가 구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133)의 구동으로 감속기(131)를 통하여 구동축(133)이 회전하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구동축(133)에 일단이 고정 연결된 권취드럼(150)이 제1,2고정부재(110,120) 사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권취드럼(150)의 회전으로 와이어로프가 권취용 홈(151)을 따라 감김되는 것에 의해 조명이 상승된다.
이때, 위치결정용 리미트 스위치부(180)가 상기 구동모터(132)의 구동과 동시에 구동하는 중에 제1리미트스위치가 작동되면 이를 제어부측으로 인가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측으로 인가된 신호에 의해 제어부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것에 의해 구동모터(132)의 구동이 정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하는 중에 구동모터(132)가 고장이 발생될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132)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제동부(140)가 구동하여 구동모터(132)의 구동축(133)이 회전하는 것을 차단시키게 된다.
그로 이해, 상기 권취드럼(150)을 제동시킬 수 있어서, 와이어로프에 연결된 무대설비가 추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하는 중에 상기 구동부(130)의 감속기(131)가 고장이 나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권취드럼제동부(160)의 전자기브레이크(162)가 구동하여 권취드럼(150) 일단에 형성된 제동용 플랜지부(161)를 제동시키게 된다.
그로 인해, 상기 권취드럼의 회전을 제동시키게 되므로 화이어로프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와이어로프에 연결된 무대설비가 추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제동부를 갖는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
110 ; 제1고정부재 120 ; 제2고정부재
130 ; 구동부 140 ; 구동모터제동부
150 ; 권취드럼 160 ; 권취드럼제동부
170 ; 연결바 180 ; 위치결정용 리미트 스위치부

Claims (3)

  1. 제동부를 갖는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는,
    무대설비에 고정 설치되도록 고정홀이 복수개 형성되어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2고정부재(110,120)와;
    상기 제1고정부재(110)의 외측면에 감속기(131)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구동모터(132)의 구동축(133)이 상기 제1고정부재(110)를 관통하여 내측으로 돌출되어 제어부의 조작버튼을 조작하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구동모터(132)의 구동축(133)이 상기 감속기(131)를 통하여 정,역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부(130)와;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모터(132)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132)를 제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구동모터제동부(140)와;
    상기 제1,2고정부재(110,120) 사이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일단은 상기 제1고정부재(110)를 관통하여 돌출된 구동부(130)의 구동축(133)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제2고정부재(120)에 베어링을 개재시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외주면에는 일정 구간에 복수의 와이어로프를 각각 권취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권취드럼(150)과;
    상기 제1고정부재(110)의 타단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감속기(131)의 고장시 상기 권취드럼(150)을 제동시켜 복수의 와이어로프가 풀림되어 무대설비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권취드럼제동부(160)를 포함하되,
    상기 제1,2고정부재(110,120)는 서로에 대하여 이격 거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연결바(170)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권취드럼제동부(160)는, 구동부(130)의 감속기(131) 고장에 따른 권취드럼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권취드럼(150)의 외주면 일단에 형성된 제동용 플랜지부(161)와, 상기 제1고정부재(110)의 제1설치판(111) 양측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는 것에 의해 타단은 상기 제1설치판(111)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구동하여 상기 제동용 플랜지부(161)를 각각 가압 고정가능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전자기브레이크(16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부를 갖는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00068957A 2020-06-08 2020-06-08 제동부를 갖는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 KR102175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957A KR102175116B1 (ko) 2020-06-08 2020-06-08 제동부를 갖는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957A KR102175116B1 (ko) 2020-06-08 2020-06-08 제동부를 갖는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116B1 true KR102175116B1 (ko) 2020-11-05

Family

ID=73249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957A KR102175116B1 (ko) 2020-06-08 2020-06-08 제동부를 갖는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1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832Y1 (ko) * 2007-06-08 2008-07-03 (주)삼주스테이지 무대소품 승강장치
KR100950436B1 (ko) * 2009-12-04 2010-04-02 (주)유성스테이지 무대기계용 와이어로프의 안전장치 및 안내유도장치
KR200468875Y1 (ko) * 2013-04-25 2013-09-04 이형열 무대설비용 승·하강장치
KR20150098843A (ko) 2014-02-21 2015-08-31 주식회사 넥스다임 애플리케이션 개발 환경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945674B1 (ko) * 2018-08-24 2019-04-17 배명종 승하강장치의 비상브레이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832Y1 (ko) * 2007-06-08 2008-07-03 (주)삼주스테이지 무대소품 승강장치
KR100950436B1 (ko) * 2009-12-04 2010-04-02 (주)유성스테이지 무대기계용 와이어로프의 안전장치 및 안내유도장치
KR200468875Y1 (ko) * 2013-04-25 2013-09-04 이형열 무대설비용 승·하강장치
KR20150098843A (ko) 2014-02-21 2015-08-31 주식회사 넥스다임 애플리케이션 개발 환경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945674B1 (ko) * 2018-08-24 2019-04-17 배명종 승하강장치의 비상브레이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7243B2 (en) Platform lifting mechanism provided with a driving pulley and corresponding driving system
US5361565A (en) Elevating system
EP2084094B1 (en) Elevator speed limiter
GB2179916A (en) Elevator system
CN110552544B (zh) 钢丝索制动装置以及包含上述钢丝索制动装置的竖杆升降系统
CA2875952C (en) Safety brake for an escalator or for a travelator
KR20130000237U (ko) 고하중용 에스컬레이터의 디스크 유압캘리퍼식 비상정지 안전 브레이크 제어장치
EP2359911A2 (de) Sicherungsvorrichtung, insbesondere Seilsicherung
CN101704463B (zh) 电梯门区保全保护系统
KR102175116B1 (ko) 제동부를 갖는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
KR20170113868A (ko)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
KR100797536B1 (ko) 윈치형 리깅장치
WO2015081423A1 (en) An elevator system (for silos, reservoirs, wind aeolian structures, electric towers, radio towers and frequency signals transmission towers, any other towers and any other high structures) with two emergency breaking safety device, a shock-proof system, a motorised (or engine or electric) winch and two lateral guiding tracks
KR101578371B1 (ko) 무대장치용 구동부의 비상제동장치
CN111071900A (zh) 一种无底坑电梯
CN110885027A (zh) 导轨式升降机
KR102147535B1 (ko)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
KR20170070617A (ko)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
CN112794233B (zh) 一种斜向运输安全装置
KR102013738B1 (ko) 무대설비 승강용 와이어로프의 활차
US3469678A (en) Emergency brake for conveyors
KR20220070772A (ko) 무대시설용 드럼 비상브레이크장치
KR100454158B1 (ko)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CA2929427A1 (en) Elevator drive
CN116873794B (zh) 一种塔式起重机过载防护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