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043B1 - Game controller - Google Patents
Game control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5043B1 KR102175043B1 KR1020200079009A KR20200079009A KR102175043B1 KR 102175043 B1 KR102175043 B1 KR 102175043B1 KR 1020200079009 A KR1020200079009 A KR 1020200079009A KR 20200079009 A KR20200079009 A KR 20200079009A KR 102175043 B1 KR102175043 B1 KR 1021750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ure sensor
- adjustment bar
- wire
- motor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63F13/245—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game, e.g. steering whee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Remote Sen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게임 조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가상 현실 게임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me manipul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rtual reality game manipulation device using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종래의 일반적인 게임 시스템에서는 유저가 좌석에 앉아 화면상에서 벌어지는 상황에 따라 게임 콘트롤러에 구비된 버튼 또는, 간단한 조작기구를 사용함으로써 게임을 진행하는 형태이다. In a conventional general game system, a game is played by using a button provided in a game controller or a simple operation mechanism according to a situation in which a user sits in a seat and on a screen.
이러한 형태의 게임 시스템은 유저에게 시각과 청각 이외의 체험을 제공하는 기능은 구현할 수 없었으며, 보다 다양한 공감각적인 체험을 하고자 하는 유저들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최근에는 유저의 행위를 감지하여 게임에 반영하는 모션 동작인식 센서 등이 탑재된 다양한 형태의 체감형 게임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This type of game system could not implement a function that provides users with experiences other than visual and auditory experiences, and as the demands of users for more diverse synesthesia experiences increase, recently it detects the user's actions and Various types of haptic game systems equipped with reflective motion motion recognition sensors have been proposed.
특히 1인칭 슈팅 (fist person shooting, FPS) 게임의 경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와 같은 기기를 착용하고 가상 현실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시스템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first person shooting (FPS) game, a tangible game system using a virtual reality device wearing a device such as a head mounted display is widely us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3836호, '게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에서는 한정된 공간 내에서 유저의 동작 체감형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게임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93836,'Game control device and virtual reality game system including the same,' provides a game control device capable of enjoying a user's motion tangible game within a limited space.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게임 유저가 공중에서 조작하는 게임에는 적용하기 어려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game operated by a game user in the air.
본 발명은 게임 유저의 조작에 따라 유저의 몸을 상하좌우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게임 조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me control device capable of freely adjusting the user's body up, down,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game user's manipulation.
본 발명에 게임 조작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고 유저가 탑승하는 탑승부; 상기 탑승부와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모터; 및 상기 탑승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승부는,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 동작에 의해 상기 프레임 내에서 움직이고, 유저가 매달릴 수 있는 고정 유닛이 부착된 탑승 유닛; 상기 탑승 유닛에 고정되고 유저가 잡고 균형을 유지하면서 탑승 유닛의 움직임을 조정하는 조정바; 상기 조정바에 부착되어 유저의 움직임에 따라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ame operation device comprises: a frame; A board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frame and on which a user boards; A motor connected to the boarding part by a wir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wir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motor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boarding part, wherein the boarding part is connected to the wire to move within the frame by winding and unwinding the wire, and a fixed unit capable of being suspended by a user. A boarding unit attached thereto; An adjustment bar fixed to the boarding unit and adjusting the movement of the boarding unit while holding and maintaining a balance by the user; And a detection unit including a pressure sensor attached to the adjustment bar to sense pressure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the pressure sensor and controls the motor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to wind or pull the wi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to b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조정바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 및 하부에 부착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조정바를 관통하면서 상기 조정바를 하우징에 축 고정하여, 조정바가 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움직이도록 상기 조정바를 고정하는 고정축;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바는 상기 감지 유닛의 오른쪽에서 결합되는 제1 조정바 및 상기 감지 유닛의 왼쪽에서 결합되는 제2 조정바로 구성되어 제1 조정바와 제2 조정바는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includes: a housing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adjustment bar is coupled; A pressure sensor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using; And a fixed shaft for fixing the adjustment bar so that the adjustment bar is axially fixed to the housing while passing through the adjustment bar so that the adjustment bar moves vertically around the axis, wherein the adjustment bar is a first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sensing unit. Consisting of an adjustment bar and a second adjustment bar coupled to the left of the sensing unit, the first adjustment bar and the second adjustment bar can independently mov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부착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부착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에 각각 안착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압력 센서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핀 및 상기 가압핀이 안착되는 안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ncludes a body in which the through hole is formed, an upper plate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a lower plate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pressure sensor includes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Each is seated on the body, a pressure pin for pressing the pressure sensor and a mounting hole in which the pressure pin is mounted may be 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조정바의 상부에 배치된 제1 압력 센서; 상기 제1 조정바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압력 센서; 상기 제2 조정바의 상부에 배치된 제3 압력 센서; 및 상기 제2 조정바의 하부에 배치된 제4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정바의 조작에 따라 제1 압력 센서와 제2 압력 센서 중 어느 하나가 가압되고, 상기 제2 조정바의 조작에 따라 제3 압력 센서와 제4 압력 센서 중 어느 하나가 가압되고, 상기 제어부는 가압되는 압력 센서에 대응하는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sensor may include a first pressure sensor disposed above the first adjustment bar; A second pressure sensor disposed under the first adjustment bar; A third pressure sensor disposed above the second adjustment bar; And a fourth pressure sensor disposed below the second adjustment bar, wherein one of the first pressure sensor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is pres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adjustment bar, and One of the third pressure sensor and the fourth pressure sensor is pressuriz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an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motor so that the wir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ized pressure sensor is shorte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는 상기 탑승 유닛의 전방 오른쪽 측면에 연결된 제1 와이어를 조절하는 제1 모터; 상기 탑승 유닛의 후방 오른쪽 측면에 연결된 제2 와이어를 조절하는 제2 모터; 상기 탑승 유닛의 전방 왼쪽 측면에 연결된 제3 와이어를 조절하는 제3 모터; 및 상기 탑승 유닛의 후방 왼쪽 측면에 연결된 제4 와이어를 조절하는 제4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압력 센서로부터 가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가압 신호에 따라 제1 모터 내지 제4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 includes a first motor for adjusting a first wire connected to the front right side of the boarding unit; A second motor for adjusting a second wire connected to the rear right side of the boarding unit; A third motor for adjusting a third wire connected to the front left side of the boarding unit; And a fourth motor controlling a fourth wire connected to the rear left side of the board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a pressing signal from the first to fourth pressure sensors, and the first motor to the first motor according to the pressing signal Can control the fourth moto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압력 센서가 가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상기 제1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압력 센서가 가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상기 제2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3 압력 센서가 가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상기 제3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4 압력 센서가 가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상기 제4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pressure sensor is presse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motor to shorten the first wire, and when the second pressure sensor is pressed, the controller When the second motor is controlled to shorten and the third pressure sensor is presse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third motor to shorten the third wire, and when the fourth pressure sensor is pressed, the controller is The fourth motor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fourth wire is shortened.
본 발명에 의하면, 게임 유저가 이동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게임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ame user can freely adjust the moving direction, thereby increasing the degree of immersion in the gam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게임 유저가 프레임에 매달려 있어 실제 하늘을 나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ame user can feel like flying in the sky because it is hung on the fr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조작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승부(2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정부 및 감지 유닛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 유닛(230)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임 조작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의 고정 레일(120) 및 이동 유닛(130)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 예를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 game op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3 shows an adjustment unit and a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5 shows a game op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the
7 shows an example of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조작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1 shows the main configuration of a gam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조작 장치(1000)는 프레임(100),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고 유저가 탑승하는 탑승부(200), 상기 탑승부(200)의 조정하기 위한 모터(300), 및 상기 모터(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상기 프레임(100)은 게임 유저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로써 금속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100)의 전체적인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실시예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삼각 기둥 형상일 수도 있으며 육면체 형상일 수도 있다. The
상기 탑승부(200)는 프레임(100) 내부에 설치되고, 와이어(10)에 의해 지지된다. 즉, 탑승부(200)는 와이어(10)에 의해 프레임(100)에 매달려 있다. The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는 와이어(10)가 잘 움직일 수 있도록 도르레(20)가 장착될 수 있다. A pulley 20 may b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도 2는 탑승부(200)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2 shows th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탑승부(200)는 상기 와이어(10)에 연결되어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 동작에 의해 상기 프레임 내에서 움직이고, 유저가 매달릴 수 있는 고정 유닛이 부착된 탑승 유닛(210), 상기 탑승 유닛에 고정되고 유저가 잡고 균형을 유지하면서 게임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가 부착된 조정바(220), 및 상기 조정바에 부착되어 유저의 움직임에 따라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 유닛(23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상기 탑승 유닛(210)은 유저가 탑승할 때 유저를 지지하고 뼈대 역할을 하는 중심바(212)와 상기 중심바(212)에 날개 모양으로 교차하면서 유저를 고정하기 위한 벨트가 부착된 크로스바(214)가 전방과 후방에 부착될 수 있다. 전방에 부착되는 크로스바는 유저가 탑승했을 때 복부 부분을 고정할 수 있도록 위치하고 후방에 부착되는 크로스바는 다리 부분을 고정할 수 있도록 위치한다. The
본 발명에서 전방은 탑승부(200)에 게임 유저가 탑승했을 때 유저가 바라보는 방향이 전방이다. 본 발명에서 방향을 나타낼 때는 유저를 기준으로 나타낸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ame user boards the
상기 크로스바(214)의 상부에는 와이어(10)를 체결하기 위한 고리 모양의 체결부(215)가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215)는 와이어(10)를 체결하기 위한 것이므로 고리 모양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A ring-
상기 중심바(212)의 전방 끝단에는 조정바(220)를 고정하기 위한 조정바 고정 기둥(216)이 형성될 수 있다. An adjustment
상기 중심바(212)를 중심으로 크로스바(214)는 아래 방향으로 고정되고, 조정바 고정기둥(216)은 위쪽 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조정바(220)는 조정바 고정 기둥(216)에 연결부재(217)에 의해 체결되어 탑승 유닛(210)에 고정된다. The
상기 조정바(220)는 유저가 잡고 균형을 유지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게임 컨텐츠를 제어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상기 조정바(220)에는 손잡이(222)가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에는 게임 컨텐츠를 조작하는 버튼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슈팅 게임의 경우 발사 버튼이 장착될 수 있다. The
상기 연결부재(217)는 연결부재의 길이 조절을 위한 길이 조절부(218) 및 각도 조절부(219)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길이 조절부(218) 및 각도 조절부(219)의 상세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확인할 수 있다.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상기 길이 조절부(218)는 조임 나사(B1)를 풀어서 상부에 끼워지는 연결 부재를 넣거나 빼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219)는 두 개의 연결 부재가 조임 나사(B2)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고, 조임 나사(B2)를 풀어서 두 연결 부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상기 감지 유닛(230)은 조정바(220)의 가운데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The
상기 조정바(220)는 감지 유닛(230)의 오른쪽에서 결합되는 제1 조정바(221) 및 상기 감지 유닛(230)의 왼쪽에서 결합되는 제2 조정바(222)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 조정바(221)와 제2 조정바(222)는 서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오른쪽과 왼쪽은 유저를 기준으로 오른쪽과 왼쪽을 의미한다. The
상기 감지 유닛(230)은 상기 조정바(220)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관통홀(H)이 형성된 하우징(231), 상기 하우징(231)의 내측 상부 및 하부에 부착되는 압력 센서(240), 및 상기 조정바(220)를 관통하면서 상기 조정바를 하우징에 축 고정하여, 조정바가 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움직이도록 상기 조정바를 고정하는 고정축(238)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하우징(231)은 상기 압력 센서(240)가 부착되는 상부 플레이트(232)와 하부 플레이트(234)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조정바(220)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 몸체(233)를 포함한다. The
상기 상부 플레이트(232)와 하부 플레이트(234)에는 압력 센서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235)이 형성될 수 있다. A mounting
상기 조정바(220)는 제1 조정바(221)와 제2 조정바(222)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231)을 중심으로 양쪽에서 관통홀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The
상기 압력 센서(240)는 상부 플레이트(232)에 2개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하부 플레이트(234)에 2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wo of the pressure sensors 240 may be disposed on the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 센서(240)는 상기 제1 조정바(221)의 상부에 배치된 제1 압력 센서(241), 상기 제1 조정바(221)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압력 센서(242), 상기 제2 조정바(222)의 상부에 배치된 제3 압력 센서(243), 및 상기 제2 조정바(222)의 하부에 배치된 제4 압력 센서(244)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pressure sensor 240 includes a
상기 모터(300)는 상기 제1 내지 제4 압력 센서에 대응되는 제1 모터 내지 제4 모터(301, 302, 303, 30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tor 300 may include first to
상기 제1 모터(301)는 유저 상체쪽 크로스바의 오른쪽과 연결되고, 제2 모터(320)는 유저 하체쪽 크스로바의 오른쪽과 연결되고, 제3 모터는 유저 상체쪽 크르스바의 왼쪽과 연결되고, 제4 모터는 유저 하체쪽 크로스바의 왼쪽과 연결된다. The
상기 몸체(233)에는 압력 센서(240)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핀(236) 및 상기 가압핀을 안착하기 위한 안착홀(237)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핀(236)은 중앙 부분에 리브가 돌출되어 있고, 안착홀(237)은 상기 리브(L)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단턱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The
상기 가압핀(236)은 상기 제1 내지 4 압력 센서들(241, 242, 243, 244)을 가압할 수 있도록 이들 센서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센서들(241, 242, 243, 244) 바로 아래 또는 바로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핀(236)은 센서의 개수와 동일하게 4개가 형성될 수 있지만, 기능과 모양이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었다. The
상기 몸체(233)의 일측면에는 상기 조정바(220)를 축 고정하기 위한 고정축(238)이 결합된다. 상기 고정축(238)을 중심으로 조정바(220)는 시소와 운동과 같은 형태로 움직일 수 있다. A fixed
상기 몸체(233)에 형성된 관통홀(H)은 조정바(220)의 지름보다 넓게 형성되고, 조정바(22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링(239)이 결합될 수 있다. The through hole H formed in the
관통홀(H1)은 조정바(220) 보다 지름이 크므로, 유저가 조정바(220)를 누르게 되면 고정축(238)이 힌지 역할을 하면서 고정축(238) 반대편이 올라가게 된다. 조정바가 올라가면서 가압핀(236)을 밀어 올리게 되고, 가압핀(236)은 상부 플레이트에 있는 압력 센서(241)를 가압하게 된다. 반대로 유저가 조정바(220)를 들어올리게 되면 고정축(238) 반대편이 내려가게 되고 가압핀(236-1)을 아래로 밀게 되고, 가압핀(236-1)은 압력 센서(242)를 가압하게 된다. Since the through hole H1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상기 제어부(400)는 압력 센서(240)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모터(300)를 제어한다. 모터(300)의 동작에 따라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탑승부(20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The
상기 제어부(400)는 가압되는 압력 센서에 대응하는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모터를 제어한다. The
예를 들어, 유저가 왼쪽으로 몸을 회전하고자 하는 경우, 3차원 공간에서는 상체만 왼쪽으로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몸 전체가 왼쪽으로 기울어지면서 회전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유저는 왼쪽 조정바 즉,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의 제2 조정바(222)를 누르고 반대쪽의 제1 조정바(221)를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제2 조정바(222)가 눌려지면 고정축을 중심으로 반대편의 제2 조정바(222)가 상승하면서 상부 플레이트(232)의 왼쪽에 위치한 제3 압력 센서(243)가 가압되고, 제1 조정바(221) 들어 올려지면 고정축을 중심으로 반대편의 제1 조정바(221)가 하강하며서 하부 플레이트(234)의 오른쪽에 위치한 제2 압력 센서(242)가 가압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wants to rotate the body to the left, it is necessary to rotate while the entire body tilts to the left, not only the upper body in a 3D space. In this case, the user presses the left adjustment bar, that is, the
제어부(400)는 이러한 신호를 센서로부터 수신하여 유저가 좌회전함을 인식하고 제2 모터(302)와 제3 모터(303)에 연결된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하고, 제1 모터(301)와 제4 모터(304)에 연결된 와이어가 길어지도록 제어한다. The
상기 제어부(400)는 압력 센서에 가압되는 압력이 크면 모터의 구동력을 크게 제어하여 탑승부가 빨리 움직일 수 있도록 제어한다. 구동 정도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4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압력 센서 값과 그에 대응되넌 모터 구동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ressure sensor is large, the
도 4에서 부호(H2)은 연결부재(217)를 결합하기 위한 홀을 표시한 것이다. In FIG. 4, reference numeral H2 denotes a hole for coupling the connecting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임 조작 장치(2000)를 나타낸 것으로, 프레임(100)에 고정 레일(120)을 추가한 실시예이다. 5 shows a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조작 장치(2000)는 고정 레일(120)을 포함하고 있어 유저가 프레임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이동할 수 있다. The
상기 고정 레일(120)은 프레임(100)의 뒤쪽 부분에 상하 세로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탑승부(200)를 상기 고정 레일(120)에 결합하여 탑승부(200)가 고정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레일(120)은 도시된 것과 같이 곡선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xing
고정 레일(120) 없이 탑승부(200)가 와이어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경우에는 원하지 않은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와 같이 고정 레일(120)을 추가하고, 탑승부(200)를 고정 레일(120)에 결합하는 경우 탑승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f the
도 6은 고정 레일(120)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6 shows the fixed
상기 고정 레일(120)에는 고정 레일(12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 유닛(130)이 결합될 수 있다. A moving
상기 이동 유닛(130)는 고정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부(131), 상기 탑승부(200)와 결합하여 탑승부를 고정하는 고정부(132), 및 상기 이동부(131)와 고정부(132)를 연결하되, 고정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133)를 포함한다. The moving
상기 연결부(133)에 의해 고정부(13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탑승부(200)가 고정 레일(120)에 결합되도라도 중심바(212)를 중심으로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Since the fixing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게임 유저는 프레임(100) 공간 내에서 좌우, 상하, 앞뒤로 모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game user can freely move left and right, up and down, and back and forth within the space of the
도 7은 구체적인 동작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왼쪽은 게임 조작 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오른쪽은 유저가 착용한 HMD(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보이는 게임 콘텐츠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a)는 유저가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의 (b)는 유저가 직하강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7 shows an example of a specific operation, the left side shows the game control device and the right side shows the game contents shown on the HMD (head mounted display) worn by the user. 7A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user moves to the right, and FIG. 7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user descends directly.
도 7의 (a)에서와 같이 유저가 오른쪽으로 움직이고자 할 경우에, 유저는 오른쪽 조정바 즉,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의 제1 조정바(221)를 누르고 반대쪽의 제2 조정바(222)를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제1 조정바(221)가 눌려지면 고정축을 중심으로 반대편의 제1 조정바(221)가 상승하면서 상부 플레이트(232)의 오른쪽에 위치한 제1 압력 센서(241)가 가압되고, 제2 조정바(222) 들어올려지면 고정축을 중심으로 반대편의 제2 조정바(222)가 하강하며서 하부 플레이트(234)의 왼쪽에 위치한 제4 압력 센서(244)가 가압된다. When the user wants to move to the right as shown in (a) of FIG. 7, the user presses the right adjustment bar, that is, the
제어부(400)는 이러한 신호를 센서로부터 수신하여 유저가 오른쪽으로 축회전 함을 인식하고 제1 모터(301)와 제4 모터(304)에 연결된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하고, 제2 모터(302)와 제3 모터(303)에 연결된 와이어가 길어지도록 제어한다. The
따라서 상체는 오른쪽으로 움직이고 하체의 오른쪽은 아래로, 왼쪽은 위로 움직이면서 몸이 오른쪽으로 기울어지면서 회전하게 된다. Therefore, the upper body moves to the right, the right side of the lower body moves down, and the left side moves upward, and the body tilts to the right and rotates.
도 7의 (b)에서와 같이 유저가 급하강하고자 할 경우에, 유저는 제1 조정바(221)와 제2 조정바(222)를 동시에 들어올리게 된다. 양쪽이 동시에 당겨지면서 하부 플레이트의 제2 압력 센서(242)와 제4 압력센서(244)가 가압된다. When the user wants to descend rapidly as shown in (b) of FIG. 7, the user lifts the
제어부(400)를 가압 신호를 하부플레이트에 있는 두 개의 센서가 동시에 가압되는 경우 급하강으로 판단하여 제2 모터(302)와 제4 (304)는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제어하고, 제1 모터(301)와 제3 모터(303)는 와이어가 길어지도록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앞쪽의 와이어는 길어지면서 상체가 아래로 내려가게 되고, 뒤쪽 하체의 와이어는 짧아지면서 하체는 올라가게 되면서 유저는 급하강하게 된다. When the
이와 같은 방법으로 유저는 제1 조정바와 제2 조정바를 밀거나(누름) 당기면서(들어올림)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user can freely change the direction in a desired direction while pushing (pressing) or pulling (lifting) the first adjustment bar and the second adjustment bar.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se are only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re not exemplifi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seen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And differences related to these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0 : 프레임 120 : 고정 레일
130 : 이동 유닛 200 : 탑승부
210 : 탑승 유닛 220 : 조정바
230 : 감지 유닛 231 : 하우징
232 : 상부 플레이트 233 : 몸체
234 : 하부 플레이트 240 : 압력 센서
236 : 가압핀 237 : 안착홀
300 : 모터 400 : 제어부100: frame 120: fixed rail
130: mobile unit 200: boarding unit
210: boarding unit 220: adjustment bar
230: detection unit 231: housing
232: upper plate 233: body
234: lower plate 240: pressure sensor
236: pressure pin 237: mounting hole
300: motor 400: control unit
Claims (6)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고 유저가 탑승하는 탑승부;
상기 탑승부와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모터; 및
상기 탑승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승부는,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 동작에 의해 상기 프레임 내에서 움직이고, 유저가 매달릴 수 있는 고정 유닛이 부착된 탑승 유닛;
상기 탑승 유닛에 고정되고 유저가 잡고 균형을 유지하면서 탑승 유닛의 움직임을 조정하는 조정바;
상기 조정바에 부착되어 유저의 움직임에 따라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조정바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 및 하부에 부착되는 압력 센서;
상기 조정바를 관통하면서 상기 조정바를 하우징에 축 고정하여, 조정바가 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움직이도록 상기 조정바를 고정하는 고정축;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바는 상기 감지 유닛의 오른쪽에서 결합되는 제1 조정바 및 상기 감지 유닛의 왼쪽에서 결합되는 제2 조정바로 구성되어 제1 조정바와 제2 조정바는 독립적으로 움직이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부착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부착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에 각각 안착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압력 센서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핀 및 상기 가압핀이 안착되는 안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조작 장치.
frame;
A board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frame and on which a user boards;
A motor connected to the boarding part by a wir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wire; And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boarding unit to control the motor,
The boarding unit,
A boarding unit connected to the wire, moving within the frame by winding and unwinding the wire, and having a fixed unit attached to the user to be suspended;
An adjustment bar fixed to the boarding unit and adjusting the movement of the boarding unit while being held and balanced by the user;
It includes a detection unit including a pressure sensor attached to the adjustment bar to sense pressure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The control unit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a pressure sensor and controls the motor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so that the wire is wound or unwound,
The detection unit
A housing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adjustment bar is coupled;
A pressure sensor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using;
Including; a fixed shaft for fixing the adjustment bar so that the adjustment bar is axially fixed to the housing while penetrating the adjustment bar, so that the adjustment bar moves up and down around an axis,
The adjustment bar is composed of a first adjustment bar coupled from the right side of the detection unit and a second adjustment bar coupled from the left side of the detection unit, so that the first adjustment bar and the second adjustment bar independently move,
The housing includes a body in which the through hole is formed, an upper plate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a lower plate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The pressure sensor is mounted o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respectively,
A game op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has a pressing pin for pressing the pressure sensor and a seating hole in which the pressing pin is seated.
상기 제1 조정바의 상부에 배치된 제1 압력 센서;
상기 제1 조정바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압력 센서;
상기 제2 조정바의 상부에 배치된 제3 압력 센서; 및
상기 제2 조정바의 하부에 배치된 제4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정바의 조작에 따라 제1 압력 센서와 제2 압력 센서 중 어느 하나가 가압되고,
상기 제2 조정바의 조작에 따라 제3 압력 센서와 제4 압력 센서 중 어느 하나가 가압되고,
상기 제어부는 가압되는 압력 센서에 대응하는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조작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essure sensor
A first pressure sensor disposed above the first adjustment bar;
A second pressure sensor disposed under the first adjustment bar;
A third pressure sensor disposed above the second adjustment bar; And
Including a fourth pressure sensor disposed under the second adjustment bar,
Any one of the first pressure sensor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is pressuriz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adjustment bar,
Any one of the third pressure sensor and the fourth pressure sensor is pressuriz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djustment ba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tor so that the wir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sensor to be pressurized is shortened.
상기 탑승 유닛의 전방 오른쪽 측면에 연결된 제1 와이어를 조절하는 제1 모터;
상기 탑승 유닛의 후방 오른쪽 측면에 연결된 제2 와이어를 조절하는 제2 모터;
상기 탑승 유닛의 전방 왼쪽 측면에 연결된 제3 와이어를 조절하는 제3 모터; 및
상기 탑승 유닛의 후방 왼쪽 측면에 연결된 제4 와이어를 조절하는 제4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압력 센서로부터 가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가압 신호에 따라 제1 모터 내지 제4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조작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otor
A first motor for adjusting a first wire connected to the front right side of the boarding unit;
A second motor for adjusting a second wire connected to the rear right side of the boarding unit;
A third motor for adjusting a third wire connected to the front left side of the boarding unit; And
A fourth motor for adjusting a fourth wire connected to the rear left side of the boarding unit,
The control unit
A game operating apparatus, comprising: receiving a pressing signal from the first to fourth pressure sensors, and controlling the first to fourth motors according to the pressing signal.
상기 제1 압력 센서가 가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상기 제1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압력 센서가 가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상기 제2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3 압력 센서가 가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상기 제3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4 압력 센서가 가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와이어가 짧아지도록 상기 제4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조작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first pressure sensor is press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motor so that the first wire is shortened,
When the second pressure sensor is press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econd motor so that the second wire is shortened,
When the third pressure sensor is press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hird motor so that the third wire is shortened,
When the fourth pressure sensor is press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ourth motor to shorten the fourth wi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9009A KR102175043B1 (en) | 2020-06-29 | 2020-06-29 | Game control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9009A KR102175043B1 (en) | 2020-06-29 | 2020-06-29 | Game controll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75043B1 true KR102175043B1 (en) | 2020-11-05 |
Family
ID=73249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9009A KR102175043B1 (en) | 2020-06-29 | 2020-06-29 | Game controll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5043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00515A (en) * | 2012-03-02 | 2013-09-11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Simul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cess |
KR20180106351A (en) * | 2017-03-20 | 2018-10-01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Directional control device for walking assistance |
KR101993836B1 (en) | 2017-02-03 | 2019-06-28 | 옥철식 | Game control device and virtual reality game system including the same |
KR20190136098A (en) * | 2017-04-25 | 2019-12-09 |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 Motion Simulation Amusement Park Attractions |
-
2020
- 2020-06-29 KR KR1020200079009A patent/KR10217504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00515A (en) * | 2012-03-02 | 2013-09-11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Simul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cess |
KR101993836B1 (en) | 2017-02-03 | 2019-06-28 | 옥철식 | Game control device and virtual reality game system including the same |
KR20180106351A (en) * | 2017-03-20 | 2018-10-01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Directional control device for walking assistance |
KR20190136098A (en) * | 2017-04-25 | 2019-12-09 |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 Motion Simulation Amusement Park Attraction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582332B (en) | Seat type sports simulation amusement park scenery spot | |
US10809535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dividualized virtual reality for an amusement attraction | |
JP2008036099A (en) | Swinging system and swinging device controlling method | |
JP2023123551A (en) | Interactive animated character head systems and methods | |
CN104067160A (en) | Method of using eye-tracking to center image content in a display | |
TWI723239B (en) | Optical image stabilizer | |
EP3883429B1 (en) | Collapsible hanging chair and virtual reality simulator comprising such hanging chair | |
JP4074101B2 (en) | Game machine and game system | |
KR101869220B1 (en) | VR Based Swimming Assist System Using Head Mount Display | |
JP2009247411A (en) | Mobile gait training machine and walking assist machine | |
KR102175043B1 (en) | Game controller | |
KR102175048B1 (en) | Game controller | |
CN103186989B (en) | Warning system, pilot's headset and corresponding control method for pilot | |
US20170371157A1 (en) | Virtual reality control device | |
EP3538233A1 (en) | Trackless amusement ride | |
JP6316385B1 (en) | Production output toy | |
US20230397737A1 (en) | Immersive couch | |
JP4579948B2 (en) | Game machine | |
KR102328405B1 (en) | 4d vr simulation system with increased flying feel | |
JP4261882B2 (en) | Ferris wheel gondola | |
JP6845824B2 (en) | Directing output toys | |
JP2021079199A (en) | Performance output toy | |
CN113813598A (en) | VR is mutual with human location auxiliary device | |
JP4815606B2 (en) | Motion sickness training equipment | |
US6427370B1 (en) | Picture frame with sound and motion producing mea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