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382B1 -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382B1
KR102174382B1 KR1020160065037A KR20160065037A KR102174382B1 KR 102174382 B1 KR102174382 B1 KR 102174382B1 KR 1020160065037 A KR1020160065037 A KR 1020160065037A KR 20160065037 A KR20160065037 A KR 20160065037A KR 102174382 B1 KR102174382 B1 KR 102174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transport robot
logistics transport
terminal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4838A (ko
Inventor
김봉석
박창우
김태근
손현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65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382B1/ko
Publication of KR20170134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5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using batteries, e.g. as a back-up power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류 센터 내에서 충전 시설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운송 로봇용 충전 장치는 일측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물류 운송 로봇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충전 본체, 충전 본체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물류 운송 로봇의 제1 충전 단자와 접촉되어 물류 운송 로봇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Charging device for distribution transport robot and charg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류 센터 내에서 충전 시설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류 센터(Physical distribution center)는, 복수의 공급자와 수요자가 존재하는 상품의 유통 과정에서 공급자와 수요자의 중간에 설치하여 배송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물류 시설을 의미한다.
물류 센터는 유통 과정의 통합, 계획화 및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예컨대, 과거의 경우 공장 등에서 배송 센터로 상품을 직접 송부하였다. 그러나 수송의 효율화, 규모의 경제의 실현 및 배송 지역의 글로벌화에 따라서, 물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물류 센터를 물류 전략적 지역에 설치하고, 물류 센터를 기초로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의 유통을 지원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물류 센터 내에서 수행되어야 할 업무는 예컨대 상품의 입고 및 출고, 물류 센터 내의 이동 또는 보관, 상품의 발송을 위한 처리, 물류 센터 상호간의 운송 처리 등의 다양한 업무가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수의 인력이 물류 센터의 운영을 위해서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물류 센터 내의 물류의 보관과, 공급을 자동화 할 수 있는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물류 센터 내에서 물류의 보관과, 공급을 자동화하기 위한 시설이 차지하는 공간은 비용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물류 센터 자동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시설이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공간의 확보에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실용 제20-2010-0008158호(2010.08.1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류 센터 내에서 충전 시설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장치는 일측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물류 운송 로봇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충전 본체, 상기 충전 본체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의 제1 충전 단자와 접촉되어 상기 물류 운송 로봇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 본체는 개방된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양 내측면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며,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충전 가이드부, 상기 충전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을 정지시키는 충전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충전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류 운송 로봇에 공급할 전원을 발생시키는 충전 모듈, 상기 충전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충전 본체의 하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의 상기 제1 충전 단자와 접촉하는 단자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 모듈은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의 주행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주행 전원 공급부,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의 하드웨어에 전원을 공급하는 하드웨어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자 모듈은,
상기 충전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단자 본체, 상기 단자 본체의 상부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의 상기 제1 충전 단자와 맞닿아 상기 물류 운송 로봇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충전 단자,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이 상기 충전 본체 내부로 완전히 들어오면, 상기 제2 충전 단자를 상승시켜 상기 제1 충전 단자와 맞닿도록 하는 충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충전 단자는 상기 물류 운송 로봇과의 도킹을 유무를 체크하는 제2 도킹 단자, 상기 제2 도킹 단자에 의해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의 도킹이 확인되면, 상기 주행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주행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주행 전원 단자, 상기 제2 도킹 단자에 의해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의 도킹이 확인되면, 상기 하드웨어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하드웨어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하드웨어 전원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 본체는 상부면 상에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이 들어오는 방향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이 도킹 된 것을 감지하기 위한 도킹 감지 장애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은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물품 분류대 또는 팔레트 공급 장치로부터 팔레트를 전달받거나 공급하는 물류 운송 로봇, 일측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충전 본체, 상기 충전 본체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의 제1 충전 단자와 접촉되어 상기 물류 운송 로봇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시스템은 일측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물류 운송 로봇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충전 본체와, 충전 본체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물류 운송 로봇의 제1 충전 단자와 접촉되어 물류 운송 로봇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여, 물류 운송 로봇에 맞추어 충전 장치의 크기를 최적화 하여 설계함으로써, 물류 센터 내에서 충전 시설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시스템은 별도의 매커니즘 및 센서를 추가하지 않고, 물류 운송 로봇에 장착되어 있는 주행부와, 센서를 이용하여 충전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자동화 시스템의 팔레트를 물품 분류대에서 팔레트 공급 장치로 보관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자동화 시스템의 팔레트를 팔레트 공급 장치에서 물류 운송 로봇으로 공급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공급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공급 장치에 물류 운송 로봇이 도킹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공급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공급 장치에서 그리퍼가 팔레트를 파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공급 장치의 상하 이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로봇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로봇의 하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공급 장치를 이용한 팔레트 공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로봇과 충전 장치의 충전 매커니즘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전원 공급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물품 분류대(200)는 팔레트에 적재된 물품을 분류하는 구성으로,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에서 물품을 분류하고, 분류가 완료되어 물품이 적재되지 않은 팔레트를 양 끝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팔레트는 화물을 일정한 수량단위로 모아 하역·보관·수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평면 받침대이다. 이러한 팔레트는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지게차에 형성되는 포크를 밀어 넣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물품 분류대(200)는 팔레트에 적재된 물품을 분류하는 구성으로,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에서 물품을 분류하고, 분류가 완료되어 물품이 적재되지 않은 팔레트를 양 끝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물품 분류대(200)는 양 끝단으로 이동된 팔레트를 팔레트 공급 장치(300)나 물류 운송 로봇(40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물품 분류대(200)는 복수의 지지대(210) 및 분류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분류대는 지지대(210)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팔레트가 길이 방향을 이동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물품 분류대(200)는 양측부에 팔레트 공급 장치(200) 또는 물류 운송 로봇(400)으로 팔레트를 전달받거나 공급하는 분류 컨베이어 벨트(220)를 구비할 수 있다.
팔레트 공급 장치(300)는 분류 컨베이어 벨트(220)를 통해 물품 분류대(200)로부터 팔레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러한 팔레트 공급 장치(300)는 분류 컨베이어 벨트(220)로부터 팔레트가 이동되면, 분류 컨베이어 벨트(220)와 인접하여 구비되는 컨베이어 벨트(15)를 통해 팔레트를 전달받는다.
팔레트를 전달받은 컨베이어 벨트(15)는 팔레트를 팔레트 공급 장치(300) 내부로 운송한다.
팔레트 공급 장치(300)는 물류 분류대(200)로부터 전달받은 팔레트가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 팔레트를 파지하여 상승 시킨 상태로 팔레트를 보관할 수 있다.
여기서 팔레트 공급 장치(300)는 팔레트가 보관된 상태에서 또 다른 팔레트를 물류 분류대(200)로부터 전달받게 되면, 파지하고 있던 팔레트를 하강시켜 또 다른 팔레트의 상부에 적층하게 된다.
그리고 팔레트 공급 장치(300)는 파지하고 있던 팔레트의 파지를 해제시키고, 하강하여 또 다른 팔레트를 파지한 상태로 상승함으로써, 다수의 팔레트를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팔레트 공급 장치(300)는 보관하고 있는 팔레트를 물류 운송 로봇(40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즉 팔레트 공급 장치(300)는 보관하고 있는 팔레트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물류 운송 로봇(400)이 들어와서 도킹이 완료되면, 파지하고 있는 팔레트를 하강시켜 물류 운송 로봇(400)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이때 팔레트 공급 장치(300)는 하강 전에 물류 운송 로봇(400)에 공급할 팔레트의 개수를 요청받게 된다.
그리고 팔레트 공급 장치(300)는 하강하여 파지하고 있는 팔레트의 파지를 해제시키고, 요청 받은 팔레트의 개수를 제외한 나머지 팔레트 중 최하부에 위치한 팔레트를 파지한 상태로 다시 상승할 수 있다.
물류 운송 로봇(400)은 팔레트 공급 장치(300)로부터 팔레트를 전달받게 되면, 도킹을 해제하고 기 설정된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물류 운송 로봇(400)은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를 물품 분류대(200)로 운반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자동화 시스템에서 팔레트를 보관하거나 공급하는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자동화 시스템의 팔레트를 물품 분류대에서 팔레트 공급 장치로 보관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자동화 시스템의 팔레트를 팔레트 공급 장치에서 물류 운송 로봇으로 공급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물류 자동화 시스템(100)에서 팔레트를 보관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팔레트 공급 장치(300)는 물품 분류대(200)로부터 팔레트가 전달해 오면, 보관하고 있는 팔레트 중 최하부에 위치한 팔레트를 파지한 상태로 상승시킨다. 여기서 물품 분류대(200)로부터 전달해 오는 팔레트는 컨베이어 벨트(15)에 의해 팔레트 공급 장치(300)가 파지 한 상태로 상승한 팔레트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팔레트 공급 장치(300)는 물품 분류대(200)로부터 전달받은 팔레트가 파지한 파레트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파지한 팔레트를 상승시켜 물품 분류대(200)로부터 전달받은 팔레트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이때 팔레트 공급 장치(300)는 팔레트를 컨베이어 벨트(15)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보관하거나, 최하부에 있는 팔레트를 파지하여 상승시킨 상태로 팔레트를 보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물류 자동화 시스템(100)에서 팔레트를 공급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팔레트 공급 장치(300)는 물류 운송 로봇(400)이 내부로 들어와 도킹되게 되면, 파지하고 있던 팔레트를 하강시켜 물류 운송 로봇(400)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팔레트 공급 장치(300)는 물류 운송 로봇(400)이 요청한 팔레트의 갯수를 제외한 나머지 팔레트에서 최하부에 위치한 팔레트를 파지한 상태로 다시 상승시킨다.
그리고 물류 운송 로봇(400)은 도킹을 해제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공급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공급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공급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공급 장치에서 그리퍼가 팔레트를 파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공급 장치의 상하 이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공급 장치(300)는 이동 레일부(10), 그리퍼(20), 상하 이동부(30) 및 공급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이동 레일부(10)는 물품 분류대로부터 팔레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레일부(10)는 한 쌍의 제1 프레임(11), 제2 프레임(17), 컨베이어 벨트(15) 및 센서부(16)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프레임(11)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제1 프레임(11)은 사이에 물류 운송 로봇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7)은 한 쌍의 제1 프레임(11)을 연결하여 일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7)은 'ㄷ'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방된 일측면은 물류 운송 로봇이 들어오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제1 프레임(11) 각각의 하부면에는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의 이동 부재(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제1 프레임(11)은 하부면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3)는 이동 부재(12)보다 상승하여 한 쌍의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7)을 이동 부재(12)에 의해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만들거나, 이동 부재(12)보다 하강하여 이동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레일부(10)는 한 쌍의 제1 프레임(11)의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물류 운송 로봇(40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14)는 한 쌍의 제1 프레임(1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폴(14a)과, 복수의 가이드폴(14a) 상에 형성되는 가이드바(14b)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이드바(14b)와 한 쌍의 제1 프레임(11)의 내측면 사이에 스프링(14c)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폴(14a)은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한 쌍의 제1 프레임(11)의 측면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14)는 물류 운송 로봇(400)이 도킹을 위하여 한 쌍의 제1 프레임(11)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레일부(10)는 제2 프레임(17)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가이드부(14)를 따라 이동한 물류 운송 로봇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8)는 한 쌍의 제1 프레임(11) 내부로 들어오는 물류 운송 로봇(400)의 전방 즉, 물류 운송 로봇(400)이 들어오는 방향과 대향하는 위치의 제2 프레임(17)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18)는 가이드부(14)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15)는 한 쌍의 제1 프레임(11) 사이에 형성되어 한 쌍의 제1 프레임(11)에 의해 지지되어, 물품 분류대로부터 전달받은 팔레트를 이동 시킬 수 있다. 즉 컨베이어 벨트(15)는 물품 분류대로부터 팔레트를 전달받게 되면, 전달받은 팔레트를 이동시켜 그리퍼(20)에 위치시킬 수 있다.
센서부(16)는 컨베이어 벨트(15)에 의해 전달받은 팔레트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6)는 PSD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6)는 제1 센서부(16a) 및 제2 센서부(16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센서부(16a)는 물품 분류대 방향으로 컨베이어 벨트(15)의 최전단에 형성되어 물품 분류대로부터 팔레트의 공급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제1 센서부(16a)는 물품 분류대로부터 팔레트가 공급해 오게 되면, 이를 최초로 감지하여 팔레트의 공급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센서부(16b)는 컨베이어 벨트(15)의 제1 센서부(16a)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센서부(16a)에 의해 검출되어 컨베이어 벨트(15)에 의해 이동하는 팔레트가 그리퍼(20)에 위치하는 지점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센서부(16b)는 그리퍼(20)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퍼(20)는 이동 레일부(20)에 안착된 팔레트를 파지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리퍼(20)는 제1 그리퍼(21) 및 제2 그리퍼(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그리퍼(21, 22)는 한 쌍의 제1 프레임(11)의 상부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그리퍼(21, 22)는 컨베이어 벨트(15)의 상부에 위치한 팔레트를 파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그리퍼(21, 22)는 각각 지지폴(28), 그리퍼 몸체(24), 연결부(25), 파지부(26) 및 포토 센서(27)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폴(28)은 이동 레일부(10)의 상부면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폴(28)은 복수로 구비되어 그리퍼 몸체(24)를 사이에 두고 그리퍼 몸체(24)와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퍼 몸체(24)는 지지폴(28)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지지폴(28)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축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그리퍼 몸체(24)는 상하 이동부(30)에 의해 지지폴(28)을 축으로 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그리퍼 몸체(24)는 수평축에 결합되는 연결부(25)를 수평 운동 시킬 수 있다. 여기서 그리퍼 몸체(24)는 리니어 엑추에이터를 통해 연결부(25)를 수평운동 시킬 수 있다.
연결부(25)는 그리퍼 몸체(24)의 수평축에 결합되어 그리퍼 몸체(24)의 수평축을 따라 수평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25)는 파지부(26)와 그리퍼 몸체(24)를 연결하며, 수평 운동 함으로써 파지부(26)를 팔레트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 시킬 수 있다.
파지부(26)는 연결부(25)와 결합되며, 연결부(25)의 수평 운동에 따라 펠레트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여 팔레트를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파지부(26)는 가이드홀(26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이드홀(26a)은 그리퍼 몸체(24)의 수평축과 수직한 굴곡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25)가 수평축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가이드홀(26a)을 따라 이동하면서 연결부(25)의 수평 운동이 수직 운동으로 전환되어 도 8의 (a)와 같이 파지부(26)가 전진하거나 도 8의 (b)와 같이 후진할 수 있다.
즉 그리퍼(20)는 그리퍼 몸체(24), 연결부(25) 및 파지부(26)를 통해 캠(cam)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그리퍼(20)는 포토 센서(27)를 구비하여 파지부(26)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즉 포토 센서(27)는 파지부(26)의 전진 또는 후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그리퍼(20)는 그리퍼 몸체(24)와 결합되는 이동폴(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폴(23)은 상하 이동부(30)의 와이어(33a)와 연결되어, 상하 이동부(30)에 의해 그리퍼(20)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상하 이동부(30)는 그리퍼(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하 이동부(30)는 한쌍의 보관 지지폴(31), 연결바(32) 및 인치웜(33)을 포함할 수 있다.
한쌍의 보관 지지폴(31)은 제1 및 제2 그리퍼(21, 22) 각각의 상부에 지지폴(31)과 평행 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팔레트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한쌍의 보관 지지폴(31)은 각각 중심부에 와이어(33a)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바(32)는 한쌍의 보관 지지폴(31)의 상부를 연결하여 형성된다. 즉 연결바(32)는 인치웜(33)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인치웜(33)은 연결바(32)의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그리퍼(21, 22)의 그리퍼 몸체(24)에 구비된 이동폴(28)과 각각 연결되어 그리퍼 몸체(24)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와이어(33a)와, 와이어(33a)를 감거나 푸는 모터(33b)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33b) 및 와이어(33a)는 한쌍으로 구비되는 제1 및 제2 그리퍼(21, 22)를 각각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1 및 제2 그리퍼(21, 22)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쌍의 모터(33b) 및 와이어(33a)는 동일한 속도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인치웜(33)은 도시되지는 않지만, 최상부에 구비되어 팔레트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초음파 센서는 제1 및 제2 그리퍼(21, 22) 각각의 파지부(26)의 하단에 구비된 PSD 센서를 통해 인식된 그리퍼(20)의 위치와 함께 팔레트의 개수 및 위치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공급 제어부(40)는 이동 레일부(10), 그리퍼(20) 및 상하 이동부(30)를 동작시켜 물품 분류대로부터 전달받은 팔레트를 적층하여 보관하거나, 적층된 팔레트를 물류 운송 로봇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공급 제어부(40)는 이동 레일부(10)를 통해 물품 분류대로부터 팔레트를 전달받고, 이동 레일부(10)를 통해 전달받은 팔레트를 그리퍼(20)를 통해 파지한 상태로 상하 이동부(30)를 통해 상승시켜 보관하거나, 하강시킨 상태에서 그리퍼의 파지를 해제하여 물류 운송 로봇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로봇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로봇을 하부에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로봇(400)은 주행부(410), 리프팅부(420), 컨베이어부(430), 로봇 제어부 및 배터리부를 포함한다.
주행부(410)는 이동을 위한 이동 부재(411)와, 이동 부재(411)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주행부(41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에는 이동 부재(411)와 이동 부재(411)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와, 구동 모터, 리프팅부(420) 및 컨베이어부(430)를 제어하는 로봇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부(410)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리프팅부(420)는 주행부(410)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승강 프레임(421)과, 한 쌍의 승강 프레임(421)의 상부면에 각각 형성되며, 팔레트를 안착하는 안착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승강 프레임(421)은 다수의 축을 두고 교차 결합된 복수의 프레임을 구비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 프레임(421)은 복수의 프레임이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어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X'자 형태로 배치되어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422)는 한 쌍의 승강 프레임(421)의 상부면에 각각 형성되어 승강 프레임(421)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으며, 상부면에 팔레트가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승강 프레임(421)에 각각 형성된 안착부(422) 사이의 거리는 팔레트의 크기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팔레트를 안착할 수 있다.
컨베이어부(430)는 리프팅부(420) 사이 공간에 구비되어 리프팅부로부터 팔레트를 전달받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컨베이어부(430)는 한 쌍의 승강 프레임(42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컨베이어부(430)는 리프팅부(420)의 상부면에 팔레트가 안착된 상태에서 리프팅부(4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리프팅부(420)가 팔레트를 안착한 상태에서 하강하게 되면, 컨베이어부(430)에 팔레트가 안착되게 된다. 그리고 컨베이어부(430)는 리프팅부(420)로부터 팔레트를 전달받으면, 팔레트를 이동시켜 물품 분류대나 팔레트 공급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물류 운송 로봇(400)은 상술한 팔레트 공급 장치의 가이드부(도 4의 14)와 대응되는 가이드 롤러(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440)는 가이드부와 접촉하여 물류 운송 로봇(400)이 팔레트 공급 장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물류 운송 로봇(400)은 팔레트 공급 장치와의 도킹이 완료된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450)는 팔레트 공급 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토킹이 완료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배터리부는 주행부(41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부는 주행부(410), 리프팅부(420), 컨베이어부(430) 및 로봇 제어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배터리부는 주행부(4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주행 배터리와, 리프팅부(420), 컨베이어부(430) 및 로봇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하드웨어 배터리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부는 주행부(410)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주행 배터리 및 하드웨어 배터리와 연결되어 후술할 충전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1 충전 단자(4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충전 단자(414)는 충전 장치와의 도킹 유무를 체크하는 제1 도킹 단자(412), 제1 도킹 단자(412)에 의해 충전 장치와의 도킹이 확인되면, 충전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주행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주행 전원 단자(413), 도1 도킹 단자에 의해 충전 장치와의 도킹이 확인되면, 충전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하드웨어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하드웨어 전원 단자(4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도킹 단자(412)가 충전 장치의 단자에 접촉하게 되면, 충전 장치로부터 제1 주행 전원 단자 및 제1 하드웨어 전원 단자(413)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주행 배터리 및 하드웨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공급 장치를 이용한 팔레트 공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S10 단계에서 팔레트 공급 장치는 물류 운송 로봇에 공급하기 위한 팔레트의 개수를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S20 단계에서 팔레트 공급 장치는 팔레트의 개수를 요청 받게 되면, 보유하고 있는 팔레트의 수량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S30 단계에서 팔레트 공급 장치는 요청받은 팔레트의 개수 이상으로 팔레트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 물류 운송 로봇으로 팔레트 공급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요청(S50)한다.
S30 단계에서 팔레트 공급 장치는 요청받은 팔레트의 개수 만큼 팔레트를 보유하고 있지 않을 경우, 물품 분류대 또는 물류 운송 로봇에 팔레트 반납을 요청(S40)한 후에 물류 운송 로봇으로 팔레트 공급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요청(S50)한다.
S50 단계에서 팔레트 공급 장치는 물류 운송 로봇이 팔레트 공급이 가능한 상태이면 물류 운송 로봇으로 팔레트를 공급(S70)하고, 물류 운송 로봇이 팔레트 공급이 가능하지 않은 상태이면 요청 대기 후 재시도(S60)하여 팔레트를 공급(S70)할 수 있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로봇과 충전 장치의 충전 매커니즘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전원 공급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시스템(600)은 물류 운송 로봇(400) 및 충전 장치(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물류 운송 로봇(400)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물류 운송 로봇(400)은 충전 장치(500)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충전 장치(500)로부터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물류 운송 로봇(400) 충전 장치(500)의 충전 가이드부(511)를 따라 이동하여 충전 장치(500)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물류 운송 로봇(400)은 외측부에 형성된 가이드 롤러(440)를 통해 충전 가이드부(511)와 접촉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충전 장치(500)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물류 운송 로봇(400)은 충전 장치(500) 내부로 들어가는 방향의 측면에 레이저 센서(45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저 센서(450)는 충전 장치(500)에 구비된 도킹감지 장애물(513)을 인식하여 충전 장치(500)와의 도킹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충전 장치(500)는 충전 본체(510) 및 전원 공급부(540)를 포함한다.
충전 본체(510)는 일측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물류 운송 로봇(40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본체(510)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부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충전 본체(510)는 상부면이 개방되어 높이가 높은 물류 운송 로봇(400)을 최소한의 부피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충전 본체(510)는 충전 가이드부(511) 및 충전 스토퍼(5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 가이드부(512)는 충전 본체(5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폴(511a)과, 복수의 가이드폴(511a) 상에 형성되는 가이드바(511c)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이드바(511c)와 충전 본체(510)의 내측면 사이에 스프링(51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폴(511a)은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충전 본체(510)의 측면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충전 가이드부(512)는 물류 운송 로봇(400)이 도킹을 위하여 충전 본체(510) 내부로 들어올 경우, 완충 작용을 하여 물류 운송 로봇(400)이 안정적으로 도킹 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충전 스토퍼(512)는 충전 본체(510) 내부로 들어오는 물류 운송 로봇(400)의 전방 즉, 물류 운송 로봇(400)이 들어오는 방향과 대향하는 위치의 충전 본체(510)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스토퍼(512)는 충전 가이드부(511)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540)는 충전 본체(510)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물류 운송 로봇(40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충전 단자(414)와 접촉되어 물류 운송 로봇(4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540)는 충전 모듈(530) 및 단자 모듈(520)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모듈(530)은 충전 본체(5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류 운송 로봇(400)에 공급할 전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충전 모듈(530)은 물류 운송 로봇(400)의 주행 배터리(461)에 전원을 공급하는 주행 전원 공급부(531)와, 물류 운송 로봇(400)의 하드웨어에 전원을 공급하는 하드웨어 전원 공급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 모듈(520)은 충전 모듈(530)과 연결되고, 충전 본체(410)의 하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물류 운송 로봇(400)의 제1 충전 단자(414)와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단자 모듈(520)은 단자 본체(521), 제2 충전 단자(522) 및 충전 스위치(5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자 본체(521)는 충전 모듈(530)과 제2 충전 단자(522)를 연결하기 위한 통로로 도시되지는 않지만, 제2 충전 단자(522)와 충전 모듈(5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충전 단자(522)는 단자 본체(521)의 상부면 상에 형성되어, 물류 운송 로봇의 제1 충전 단자(414)와 맞닿아 물류 운송 로봇(4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충전 단자(522)는 물류 운송 로봇(400)과의 도킹 유무를 체크하는 제2 도킹 단자(522a)와, 제2 도킹 단자(522a)에 의해 물류 운송 로봇(400)의 도킹이 확인되면, 주행 전원 공급부(531) 및 하드웨어 전원 공급부(532)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주행 배터리(461) 및 하드웨어 배터리(46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주행 전원 단자 및 제2 하드웨어 전원 단자(522b)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스위치(523)는 물류 운송 로봇(400)이 충전 본체(510) 내부로 완전이 들어와서 도킹이 완료되면, 제2 충전 단자(522)를 상승시켜 제1 충전 단자(414)와 맞닿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스위치(523)는 스프링과 댐퍼로 형성되어, 물류 운송 로봇(400)이 도킹되게 되면서 댐퍼의 상부를 누르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물류 운송 로봇(400)이 도킹이 완료되어 댐퍼의 상부를 압박하게 되면, 댐퍼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충전 단자(522)가 상승하면서 제1 충전 단자(414)와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로봇(400)의 충전 시스템(600)은 일측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물류 운송 로봇(40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충전 본체(510)와, 충전 본체(510)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물류 운송 로봇(400)의 제1 충전 단자(414)와 접촉되어 물류 운송 로봇(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540)를 포함하여, 물류 운송 로봇(400)에 맞추어 충전 장치(500)의 크기를 최적화하여 설계함으로써, 물류 센터 내에서 충전 시설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운송 로봇(400)의 충전 시스템(600)은 별도의 매커니즘 및 센서를 추가하지 않고, 물류 운송 로봇(400)에 장착되어 있는 주행부(200)와, 센서를 이용하여 충전 시스템(600)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이동 레일부 11 : 몸체부
12, 411 : 이동 부재 13 : 지지부재
14 : 가이드부 14a : 가이드폴
14b : 가이드바 14a : 스프링
15 : 컨베이어 벨트 16 : 센서부
16a : 제1 센서부 16b : 제2 센서부
20 : 그리퍼 21 : 제1 그리퍼
22 : 제2 그리퍼 23 : 지지폴
24 : 그리퍼 몸체 25 : 연결부
26 : 파지부 26a : 가이드홀
27 : 포토센서 28 : 이동폴
30 : 상하 이동부 31 : 보관 지지폴
32 : 연결바 33 : 인치웜
33a : 와이어 33b : 구동모터
100 : 물류 자동화 시스템 200 : 물품 분류대
210 : 지지대 220 : 분류 컨베이어 벨트
300 : 팔레트 공급 장치 400 : 물류 운송 로봇
410 : 로봇 본체 420 : 리프팅부
421 : 승강 프레임 422 : 안착부
430 : 컨베이어부 500 : 충전 장치
510 : 충전 본체 511 : 충전 가이드부
512 : 충전 스토퍼 513 : 도킹감지 장애물
520 : 단자 모듈 521 : 단자 본체
522 : 제2 충전 단자 530 : 충전 모듈
531 : 주행 전원 공급부 532 : 하드웨어 전원 공급부
600 : 충전 시스템

Claims (8)

  1. 일측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물류 운송 로봇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충전 본체;
    상기 충전 본체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의 제1 충전 단자와 접촉되어 상기 물류 운송 로봇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충전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류 운송 로봇에 공급할 전원을 발생시키는 충전 모듈;
    상기 충전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충전 본체의 하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의 상기 제1 충전 단자와 접촉하는 단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모듈은,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의 주행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주행 전원 공급부;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의 하드웨어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하드웨어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본체는,
    개방된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양 내측면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며,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충전 가이드부;
    상기 충전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을 정지시키는 충전 스토퍼;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모듈은,
    상기 충전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단자 본체;
    상기 단자 본체의 상부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의 상기 제1 충전 단자와 맞닿아 상기 물류 운송 로봇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충전 단자;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이 상기 충전 본체 내부로 완전히 들어오면, 상기 제2 충전 단자를 상승시켜 상기 제1 충전 단자와 맞닿도록 하는 충전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전 단자는,
    상기 물류 운송 로봇과의 도킹을 유무를 체크하는 제2 도킹 단자;
    상기 제2 도킹 단자에 의해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의 도킹이 확인되면, 상기 주행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주행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주행 전원 단자;
    상기 제2 도킹 단자에 의해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의 도킹이 확인되면, 상기 하드웨어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하드웨어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하드웨어 전원 단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본체는,
    상부면 상에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이 들어오는 방향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이 도킹 된 것을 감지하기 위한 도킹 감지 장애물;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장치.
  8.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물품 분류대 또는 팔레트 공급 장치로부터 팔레트를 전달받거나 공급하는 물류 운송 로봇;
    일측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충전 본체, 상기 충전 본체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의 제1 충전 단자와 접촉되어 상기 물류 운송 로봇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장치는
    일측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물류 운송 로봇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충전 본체;
    상기 충전 본체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의 제1 충전 단자와 접촉되어 상기 물류 운송 로봇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충전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류 운송 로봇에 공급할 전원을 발생시키는 충전 모듈;
    상기 충전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충전 본체의 하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의 상기 제1 충전 단자와 접촉하는 단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모듈은,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의 주행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주행 전원 공급부;
    상기 물류 운송 로봇의 하드웨어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하드웨어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장치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KR1020160065037A 2016-05-26 2016-05-26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KR102174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037A KR102174382B1 (ko) 2016-05-26 2016-05-26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037A KR102174382B1 (ko) 2016-05-26 2016-05-26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838A KR20170134838A (ko) 2017-12-07
KR102174382B1 true KR102174382B1 (ko) 2020-11-05

Family

ID=60920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037A KR102174382B1 (ko) 2016-05-26 2016-05-26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3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73254B2 (en) * 2019-01-02 2023-06-13 Lg Electronics Inc. Porter module and robot hav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2450A (ja) * 2006-05-16 2007-11-29 Murata Mach Ltd ロボットの充電装置
KR101428846B1 (ko) * 2009-06-30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의 충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110B1 (ko) * 2008-04-21 2014-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00008158U (ko) 2009-02-06 2010-08-16 서영철 물류 자동화 장비의 그리핑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2450A (ja) * 2006-05-16 2007-11-29 Murata Mach Ltd ロボットの充電装置
KR101428846B1 (ko) * 2009-06-30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의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838A (ko)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554B1 (ko) 팔레트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류 자동화 시스템
KR102121354B1 (ko) 물류 운송 로봇 및 이를 위한 충전 시스템
US10513394B2 (en) Method of use of a robotic frame and power transfer device
KR101825853B1 (ko) 적층 가능한 저장 용기용 저장 장치
KR101857347B1 (ko) 롤 운반용 무인운반차
WO2021042728A1 (zh) 一种支架、搬运系统及搬运方法
JP6200846B2 (ja) 電池搬送装置、電池ランク仕分け搬送装置
US11008184B2 (en) Palletizer-depalletizer system for distribution facilities
JP2017095282A (ja) 物品移載装置
KR102441880B1 (ko) 컨테이너 승강 반송 장치
CN101003330A (zh) 托盘搬送系统
EP2476635B1 (en) Storage rack with movable shelves
CN111392302A (zh) 一种智能仓储系统及其使用方法
KR102174382B1 (ko) 물류 운송 로봇의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KR101312934B1 (ko) 클램프식 캔 적치장치
TW201710044A (zh) 儲存系統
JP6610518B2 (ja) 検査装置
JP2008260075A (ja) トレイ移送式部品組み立てシステム
CN212244815U (zh) 一种智能仓储系统
JP7213765B2 (ja) コンテナ保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ナ
CN110525866B (zh) 自动化货架搬运系统及其搬运方法
CN113277147A (zh) 一种入托装箱机
JP2022032639A (ja) 荷役装置、制御装置、及び荷役システム
CN117003019B (zh) 一种智能装车系统和装车方法
KR102251311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