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758B1 - 출장 세차시스템 - Google Patents

출장 세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758B1
KR102173758B1 KR1020190020309A KR20190020309A KR102173758B1 KR 102173758 B1 KR102173758 B1 KR 102173758B1 KR 1020190020309 A KR1020190020309 A KR 1020190020309A KR 20190020309 A KR20190020309 A KR 20190020309A KR 102173758 B1 KR102173758 B1 KR 102173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unit
washing
ai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2120A (ko
Inventor
부대범
Original Assignee
부대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대범 filed Critical 부대범
Priority to KR1020190020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758B1/ko
Publication of KR20200102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수를 분사하여 차를 세척하고 외부 먼지를 흡입 포집하며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으며 각종 세차용품을 효율적으로 수납하고 어두운 장소에서도 세차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출장 세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 내부의 후부에 세팅되는 본체;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세차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기; 전원공급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세척수를 분사하여 차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기; 전원공급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진공 흡입하여 청소하기 위한 진공청소기; 전원공급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공기를 압축시켜 압축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에어발생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출장 세차시스템{System for Car washing}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출장 세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척수를 분사하여 차를 세척하고 외부 먼지를 흡입 포집하며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으며 각종 세차용품을 효율적으로 수납하고 어두운 장소에서도 세차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출장 세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출장 세차시스템은 차량의 내/외부가 오염 되었을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해 차량용 진공청소기 및 손걸레 등을 사용하거나 외부세차장 등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유지 및 관리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40888호(1998.12.28 등록)는 운전자가 직접 일정 이상의 압력으로 물을 차량에 분사시키면서 세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식 세차시스템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물주입구를 통해 내부에 물이 채워지고 외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가 구비되는 물탱크와, 물탱크에 채워진 물을 가압하여 전달하는 가압펌프와, 가압펌프에서 가압되어 전달된 물을 분사시키는 분사노즐을 포함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39195호(2015.07.17 등록)는 출장 세차 전용 카트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한 쌍의 앞바퀴가 장착되는 제1 차체부; 한 쌍의 뒷바퀴가 장착되는 제2 차체부; 제1 차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짐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 적재부에 연결 형성되어, 제1 차체부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손잡이부; 및 제1 차체부와 상기 제2 차체부 사이가 회동되도록 설치하며, 손잡이부의 방향 전환에 따라 제1차체부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좌우 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출장 세차시스템은 각종 세차도구 및 세차용품의 수납공간이 협소할뿐만 아니라 어두운 장소에서 세차를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작업등을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4088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3919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차를 세척하고 외부 먼지를 흡입 포집하며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으며 각종 세차용품을 효율적으로 수납하고 어두운 장소에서도 세차가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도록 구현한 출장 세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차량 내부의 후부에 세팅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세차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기;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세척수를 분사하여 차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기;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진공 흡입하여 청소하기 위한 진공청소기;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공기를 압축시켜 압축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에어발생기를 포함하는 출장 세차시스템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출장 세차시스템은, 차량의 트렁크리드 일측 또는 차량내부의 후부 일측 중 적어도 어느 한측에 형성되어, 차량 배터리 또는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세차시에 세차공간을 조명하는 조명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출장 세차시스템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차량 배터리 또는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세척기, 상기 진공청소기, 상기 에어발생기 및 상기 조명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패널기는, 상기 세척기, 상기 진공청소기, 상기 에어발생기 및 상기 조명기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세척기, 상기 진공청소기, 상기 에어발생기 및 상기 조명기의 전원을 각각 제어하는 스위치부; 상기 세척기의 일측에 연결되어, 세척수의 압력상태을 표시하고 세척수의 압력을 조절하는 세척수압력조절부; 상기 에어발생기의 일측에 연결되어, 압축공기의 압력상태을 표시하고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공기압력조절부; 및 상기 전원공급기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기의 출력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전원공급기의 출력전압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전압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출장 세차시스템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세차용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공급기는, 세차에 필요한 전원을 충전하였다가 공급하기 위한 세차용 배터리부; 상기 세차용 배터리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세척기, 상기 진공청소기 및 상기 에어발생기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하는 인버터부; 및 상기 세차용 배터리부와 상기 인버터부 사이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세차용 배터리부로부터 인버터부로 흐르는 이상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인버터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세차용 배터리부는, 차량의 전원발생기(제너레이터) 또는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기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세척수저장부; 상기 세척수저장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세척수저장부의 세척수를 가압하는 세척수가압부; 상기 세척수가압부에 연결 형성되어, 가압된 세척수를 이송하는 세척수이송부; 및 상기 세척수이송부에 연결 형성되어, 가압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기는, 상기 세척수분사부에 연결 형성되어, 세척제를 저장하고 세척제를 세척수분사부로 공급하는 세척제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수저장부는, 세척수수위감지센서 및 제1세척수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기는, 세척수저장부에 저장된 세척수를 가열하거나 세척수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세척수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수가열부는, 세척수저장부에 저장된 세척수를 가열하는 제1가열수단; 및 세척수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제2가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가열수단은, 차량 엔진에서 열교환 된 냉각수를 상기 세척수저장부에 저장된 세척수와 열교환하기 위한 가열부재; 차량 엔진에서 열교환 된 냉각수가 차량의 라디에이터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관의 일측과 상기 가열부재의 일측 사이에 연결 형성되어, 차량 엔진에서 열교환 된 냉각수를 상기 가열부재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관부재; 상기 유입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부재를 개폐하기 위한 전자밸브부재; 및 유입관의 다른 일측과 상기 가열부재의 다른 일측 사이에 연결 형성되어, 순환펌프를 구비하여 상기 세척수저장부에서 열교환 된 냉각수를 유입관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가열수단은, 상기 세척수이송부의 세척수를 유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에 세척수를 가열하기 위한 코일이 형성된 본체부재; 상기 본채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이송부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이송부의 세척수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연결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이송부의 다른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재에서 가열된 세척수를 배출 하기 위한 배출연결부재; 상기 세척수이송부의 다른 일측과 상기 배출연결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가열된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1체크밸브부재; 및 상기 세척수이송부의 일측과 상기 유입연결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가열된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2체크밸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수이송부는, 상기 제2가열수단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세척수온도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수이송부는, 상기 세척수가압부에 연결 형성되어, 가압된 세척수를 이송하는 세척수호스수단; 및 상기 세척수호스수단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세척수호스수단을 권취하여 상기 세척수호스수단의 길이를 조정하는 세척수호스권취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수호스권취수단은, 상기 세척수호스권취수단을 차량의 일측에 고정할 수 있도록 세척수호스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수이송부는, 상기 세척수호스권취수단의 일측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세척수호스권취수단에 권취된 상기 세척수호스수단에 열을 가하는 세척수호스가열수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수호스가열수단은, 상기 전원공급기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배출관을 통해 열풍을 발생하는 세척수호스열풍부재; 상기 세척수호스열풍부재의 배출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세척수호스열풍부재에서 발생한 열풍을 상기 세척수호스권취수단에 권취된 상기 세척수호스수단으로 안내하는 세척수호스열풍안내부재; 및 상기 세척수호스열풍안내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세척수호스권취수단의 일측에서 상기 세척수호스가열수단을 탈착하는 세척수호스탈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수호스열풍안내부재는, 일측이 상기 세척수호스열풍부재의 배출관에 연결 되는 세척수호스연결관; 내부가 중공되며 일측이 상기 세척수호스연결관의 다른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세척수호스열풍부재에서 발생한 열풍을 유입하는 세척수호스본체; 및 상기 세척수호스본체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며 외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세척수호스본체의 열풍을 상기 세척수호스권취수단에 권취된 상기 세척수호스수단으로 안내하는 복수개의 세척수호스열풍안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에어발생기는,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부; 상기 공기저장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공기저장부의 공기를 가압하는 공기가압부; 상기 공기가압부에 연결 형성되어, 가압된 압축공기를 이송하는 압축공기이송부; 및 상기 압축공기이송부에 연결 형성되어, 가압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패널기는, 상기 세척기, 상기 진공청소기, 상기 에어발생기 및 상기 조명기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세척기, 상기 진공청소기, 상기 에어발생기 및 상기 조명기의 전원을 각각 제어하는 스위치부; 상기 세척기의 일측에 연결되어, 세척수의 압력상태을 표시하고 세척수의 압력을 조절하는 세척수압력조절부; 상기 에어발생기의 일측에 연결되어, 압축공기의 압력상태을 표시하고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공기압력조절부; 및 상기 전원공급기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기의 출력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전원공급기의 출력전압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전압확인부; 세척수의 온도를 확인하고 원하는 온도를 입력하는 세척수온도확인입력부; 세척수의 잔량을 확인하는 세척수잔량확인부; 세척제의 잔량을 확인하는 세척제잔량확인부; 사용자가 입력한 온도로 세척수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전자밸브부재 및 제2가열수단의 코일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출장 세차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각종 세차도구 및 세차용품을 다양하게 수납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어두운 장소에서도 쉽게 세차가 가능하기 때문에 장소에 구애받지않고 간편하게 이동하여 출장세차를 할 수 있으며 세차제나 왁스,코팅작업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세차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장 세차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조명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제어패널기를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전원공급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세척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는 도 5에 있는 세척수가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의 (a)는 제1가열수단을 설명하는 것이며, 도 6의 (b)는 제2가열수단을 설명하는 것이다.
도 7은 도 5에 있는 세척수이송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있는 에어발생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있는 수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있는, 제어패널기를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장 세차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장 세차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출장 세차시스템(10)은, 본체(100), 전원공급기(200), 세척기(300), 진공청소기(400), 에어발생기(5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차량 내부의 후부에 세팅된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100)는, 차량의 트렁크 내부공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상부 일측면에 세척기(300) 및 에어발생기(500)를 구비하고 본체(100)의 상부 다른 일측면에 진공청소기(400)를 구비하여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된 전원공급기(20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원공급기(200)는,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세차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세척기(300)는, 전원공급기(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세척수를 분사하여 차를 세척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진공청소기(400)는, 전원공급기(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의 먼지 또는 이물질을 진공 흡입하여 청소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진공청소기(400)는, 외부의 먼지 또는 이물질을 진공 흡입하여 청소하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에 진공청소기(400)를 온/오프하는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에어발생기(500)는, 전원공급기(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공기를 압축시켜 압축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출장 세차시스템(10)은, 조명기(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기(600)는, 차량의 트렁크리드 일측, 차량내부의 후부 일측 중 어느 한 측 이상에 형성되어, 차량 배터리 또는 전원공급기(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세차시에 세차공간을 조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출장 세차시스템(10)은, 제어패널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패널기(700)는,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차량 배터리 또는 전원공급기(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세척기(300), 진공청소기(400), 에어발생기(500) 및 조명기(6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출장 세차시스템(10)은, 수납기(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납기(800)는, 본체(100)에 형성되어, 세차용품을 수납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출장 세차시스템(10)은, 각종 세차도구 및 세차용품을 다양하게 수납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어두운 장소에서도 쉽게 세차가 가능하기 때문에 장소에 구애받지않고 간편하게 이동하여 출장세차를 할 수 있으며 세차제나 왁스,코팅작업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세차작업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조명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조명기(600)는, 차량의 트렁크리드(T)의 좌우 일측에 형성되어, 차량의 트렁크리드(T)를 오픈한 상태에서 차량의 트렁크리드(T)에 형성된 조명기(600)를 동작시켜 세차 장소를 조명하기 때문에 어두운 장소에서의 세차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명기(600)는, 차량 내부의 조명과 연결되어 차량 배터리로부터 바로 전원을 공급받아 온/오프 할 수 있으며 전원공급기(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 내부의 조명과 별도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명기(600)는, 차량내부의 후부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명기(600)는, 차량의 트렁크리드 내부 중앙측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차량 트렁크리드를 열었을 때 조명기(600)의 조사방향이 지면을 향하도록 하고, 조명기(600)에 필름을 부착하여 조명기(600)에서 빛이 조사될 시에'작업중'또는'회사로고'등이 지면에 나타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제어패널기를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제어패널기(700)는, 스위치부(710), 세척수압력조절부(720), 공기압력조절부(730), 전압확인부(740)를 포함한다.
스위치부(710)는, 세척기(300), 진공청소기(400), 에어발생기(500) 및 조명기(60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어, 세척기(300), 진공청소기(400), 에어발생기(500) 및 조명기(600)의 전원을 각각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세척수압력조절부(720)는, 세척기(3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세척수의 압력상태을 표시하고 세척수의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공기압력조절부(730)는, 에어발생기(5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압축공기의 압력상태을 표시하고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압확인부(740)는, 전원공급기(200)에 연결되어, 전원공급기(200)의 출력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원공급기(200)의 출력전압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압확인부(740)는, 전원공급기(20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원공급기(200)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출력검출수단(미도시)과, 출력검출수단(미도시)으로 부터 검출된 전원공급기(200)의 아날로그출력전압을 A/D컨버터수단(미도시)을 통해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전압확인수단(741)을 통해 사용자는 전원공급기(200)의 현재 전압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전원공급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원공급기(200)는, 세차용 배터리부(210), 인버터부(220), 차단부(230)를 포함한다.
세차용 배터리부(210)는, 세차에 필요한 전원을 충전하였다가 공급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인버터부(220)는, 세차용 배터리부(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세척기(300), 진공청소기(400), 에어발생기(500)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인버터부(220)는, 조명기(600)가 전원공급기(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 내부의 조명과 별도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경우에는, 세차용 배터리부(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조명기(600)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차단부(230)는, 세차용 배터리부(210)와 인버터부(220) 사이에 연결 형성되어, 세차용 배터리부(210)에서 인버터부(220)로 흐르는 이상전류를 검출하고 인버터부(2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차단부(230)는 트립동작에 의해 차량 배터리로부터 세차용 배터리부(210)로 흐르는 이상전류를 검출하고 세차용 배터리부(2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직류차단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트립동작이란 회로 차단기에 이상전류 발생시 차단기를 인위적으로 개폐하는 것이 아니라 이상전류를 차단기 자체에서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동작을 말한다.
일 실시 예에서, 차단부(230)는, 차단부(230)를 트립(Trip)시키는 방식에 따라 바이메탈(Bi-metal)의 만곡 특성과 고정 및 가동철심을 이용하는 열동 전자식, 실리콘 오일의 점도를 이용하는 완전 전자식 또는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는 전자식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차단부(230)는, 운전석 일측에 스위치를 형성하여 수동으로 전원 차단이 가능하게 설계함이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서, 세차용 배터리부(210)는, 차량의 전원발생기(제너레이터) 또는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충전할 수 있도록 설계함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차단부(230)는, 낙뢰 또는 외란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과전류를 포함하는 이상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전원공급기(200)뿐만 아니라, 세척기(300), 진공청소기(400), 에어발생기(500), 조명기(600) 및 제어패널기(700)를 포함하는 전원공급기(200)의 전력계통까지 보호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세척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세척기(300)는, 세척수저장부(310), 세척수가압부(320), 세척수이송부(330), 세척수분사부(340)를 포함한다.
세척수저장부(310)는, 세척수를 저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세척수저장부(310)는, 내부에 세척수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하여 본체(200)의 일측에 고정결합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세척수저장부(310)는, 세척수수위감지센서(311) 및 제1세척수온도센서(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가압부(320)는, 세척수저장부(310)에 연결 형성되어, 세척수저장부(310)의 세척수를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세척수가압부(320)는, 다이아프램(Diaphragm)방식의 용적형 펌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세척수가압부(320)는, 동형의 복수개의 기어가 케이싱 속에서 맞물려서 회전하여 세척수를 수송하는 펌프 형태로 설계할 수 있다.
세척수이송부(330)는, 세척수가압부(320)에 연결 형성되어, 가압된 세척수를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세척수분사부(340)는, 세척수이송부(330)에 연결 형성되어, 가압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세척기(300)는, 세척제공급부(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제공급부(350)는, 세척수분사부(340)에 연결 형성되어, 세척제를 저장하고 세척제를 세척수분사부(340)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세척제공급부(350)는, 일정한 양이 일정한 속도로 세척수분사부(340)로 공급되어 세척수분사부(340)로 토출되도록 노즐형태로 형성되어 세척수분사부(340)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세척제공급부(350)는, 세척제공급부(350)에 구비되는 세척제의 잔량을 확인하는 세척제수위센서(35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세척기(300)는, 세척수가열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가열부(360)는, 세척수 저장부(310)에 저장된 세척수를 가열하거나 세척수이송부(330)를 통해 이송되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6는 도 5에 있는 세척수가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의 (a)는 제1가열수단을 설명하는 것이며, 도 6의 (b)는 제2가열수단을 설명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도 5 및 도 6의 (a),(b)를 참조하면, 세척수가열부(360)는, 제1가열수단(361), 제2가열수단(362)를 포함한다.
제1가열수단(361)은, 세척수저장부(310)에 저장된 세척수를 가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가열수단(362)은, 세척수이송부(330)를 통해 이송되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가열수단(361)은, 가열부재(361a), 유입관부재(361b), 전자밸브부재(361c), 배출관부재(361d)를 포함한다.
가열부재(361a)는, 차량 엔진에서 열교환 된 냉각수를 세척수저장부(310)에 저장된 세척수와 열교환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유입관부재(361b)는 ,차량 엔진에서 열교환 된 냉각수가 차량의 라디에이터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관(P)의 일측과 가열부재(361a)의 일측 사이에 연결 형성되어, 차량 엔진에서 열교환 된 냉각수를 가열부재(361a)로 유입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전자밸브부재(361c)는, 유입관부재(361b)에 설치되어, 유입관부재(361b)를 개폐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배출관부재(361d)는, 유입관(P)의 다른 일측과 가열부재(361a)의 다른 일측 사이에 연결 형성되어, 순환펌프(PP)를 구비하여 세척수저장부(310)에서 열교환 된 냉각수를 유입관(P)으로 배출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가열수단(362)은, 본체부재(362a), 유입연결부재(362b) , 배출연결부재(362c), 제1체크밸브부재(362d), 제2체크밸브부재(362e)를 포함한다.
본체부재(362a)는, 세척수이송부(330)의 세척수를 유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에 세척수를 가열하기 위한 코일이 형성되며, 코일은 세차용배터리부(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유입연결부재(362b)는, 본체부재(362a)의 일측에 형성되며, 세척수이송부(330)의 일측과 연결되어, 세척수이송부(330)의 세척수를 유입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배출연결부재(362c)는, 본체부재(362a)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며, 세척수이송부(330)의 다른 일측과 연결되어, 본체부재(362a)에서 가열된 세척수를 배출 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제1체크밸브부재(362d)는, 세척수이송부(330)의 다른 일측과 배출연결부재(362c) 사이에 형성되어, 가열된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제2체크밸브부재(362e)는, 세척수이송부(330)의 일측과 유입연결부재(362b)사이에 형성되어, 가열된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세척수이송부(330)는, 제2가열수단(362)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세척수온도센서(3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도 5에 있는 세척수이송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세척수이송부(330)는, 세척수호스수단(331), 세척수호스권취수단(332)을 포함한다.
세척수호스수단(331)은, 세척수가압부(320)에 연결 형성되어, 가압된 세척수를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세척수호스권취수단(332)은, 세척수호스수단(331)의 일측에 형성되어, 세척수호스수단(331)을 권취하여 세척수호스수단(331)의 길이를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세척수호스권취수단(332)은,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세척수호스수단(331)을 권출하고 사용자가 힘을 가하지 않을 경우에는 세척수호스권취수단(332)에 자동으로 권취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세척수호스권취수단(332)은, 차량의 일측에 고정할 수 있도록 세척수호스고정부재(332a)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세척수이송부(330)는, 세척수호스가열수단(3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호스가열수단(333)은, 세척수호스권취수단(332)의 일측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세척수호스권취수단(332)에 권취된 세척수호스수단(331) 열을 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세척수호스가열수단(333)은, 세척수호스열풍부재(333a), 세척수호스열풍안내부재(333b), 세척수호스탈착부재(333c)를 포함한다.
세척수호스열풍부재(333a)는, 전원공급기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배출관(333a1)을 통해 열풍을 발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세척수호스열풍부재(333a)는, 내부 후방에 회전하여 바람을 발생시키는 회전팬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 형성되며, 회전팬의 일측에 회전팬을 구동하는 팬모터는 배출관(333a1)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니크롬선과 병렬로 연결되어 세차용 배터리부(210)에 연결되어 세차용 배터리부(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열풍을 발생시킨다.
세척수호스열풍안내부재(333b)는, 세척수호스열풍부재(333a)의 배출관(333a1)에 외부에 연결 형성되어, 세척수호스열풍부재(333a)에서 발생한 열풍을 세척수호스권취수단(332)에 권취된 세척수호스수단(331)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세척수호스탈착부재(333c)는, 세척수호스열풍안내부재(333b)의 일측에 형성되어, 세척수호스권취수단(332)의 일측에서 세척수호스가열수단(333)을 탈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세척수호스탈착부재(333c)는, 세척수호스고정부재(332a)에 고정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세척수호스열풍안내부재(333b)는, 세척수호스연결관(333b1), 세척수호스본체(333b2), 세척수호스열풍안내관(333b3)을 포함한다.
세척수호스연결관(333b1)은, 일측이 세척수호스열풍부재(333a)의 배출관(333a1)에 연결 된다.
세척수호스본체(333b2)는, 내부가 중공되며 일측이 세척수호스연결관(333b1)의 다른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세척수호스열풍부재(333a)에서 발생한 열풍을 유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세척수호스열풍안내관(333b3)은, 세척수호스본체(333b2)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며 외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세척수호스본체(333b2)로 유입된 열풍을 세척수호스권취수단(332)에 권취된 세척수호스수단(331)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복수개가 구비된다.
일 실시 예에서, 세척수호스탈착부재(333c)는, 세척수호스본체(333b2)의 다른 일측 외부에 축결합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세척수호스탈착부재(333c)가 세척수호스고정부재(332a)에 고정된 경우에 세척수호스본체(333b2)는 회동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세척수호스수단(331)이 세척수호스권취수단(332)에 권취되거나 권출될 시에, 세척수호스본체(333b2)에 형성된 복수개의 세척수호스열풍안내관(333b3)이 세척수호스수단(331)에 간섭되지 않도록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세척수이송부(330)는, 세척수호스권취수단(332)에 권취된 세척수호스수단(331)이 외부온도가 낮을 경우 동결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있는 에어발생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에어발생기는, 공기저장부(510), 공기가압부(520), 압축공기이송부(530), 압축공기분사부(540)를 포함한다.
공기저장부(510)는, 공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공기저장부(510)에 저장되는 공기는 공기가압부(520)를 통해 가압되어 압축공기이송부(530)를 통해 압축공기분사부(540)에서 분사된다.
공기가압부(520)는, 공기저장부(510)에 연결 형성되어, 공기저장부(510)의 공기를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공기저장부(510) 및 공기가압부(520)는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압축공기이송부(530)는, 공기가압부(520)에 연결 형성되어, 가압된 압축공기를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압축공기이송부(53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힘을 가해서 신장되고 사용자가 힘을 주지 않았을 때에는 원래의 길이로 복귀하도록 탄성복원력이 뛰어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압축공기분사부(540)는, 압축공기이송부(530)에 연결 형성되어, 가압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9는 도 1에 있는 수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수납기(800)는, 레일을 구비하는 서랍형으로 형성하여 공간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체(100)의 일측에 홈을 형성하여 각종 세차도구 및 세차용품을 다양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상부에 걸이대를 형성하여 다양한 세차용품을 걸어 놓을 수 있게 구성함이 가능하다.
도 10은 도 1에 있는, 제어패널기를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제어패널기(700)는, 스위치부(710), 세척수압력조절부(720), 공기압력조절부(730), 전압확인부(740), 세척수온도확인입력부(750), 세척수잔량확인부(760), 세척제잔량확인부(770), 제어부(780)를 포함한다.
스위치부(710)는, 세척기(300), 진공청소기(400), 에어발생기(500) 및 조명기(60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어, 세척기(300), 진공청소기(400), 에어발생기(500) 및 조명기(600)의 전원을 각각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세척수압력조절부(720)는, 세척기(3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세척수의 압력상태을 표시하고 세척수의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공기압력조절부(730)는, 에어발생기(5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압축공기의 압력상태을 표시하고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압확인부(740)는, 전원공급기(200)에 연결되어, 전원공급기(200)의 출력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원공급기(200)의 출력전압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압확인부(740)는, 전원공급기(20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원공급기(200)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출력검출수단(미도시)과, 출력검출수단(미도시)으로 부터 검출된 전원공급기(200)의 아날로그출력전압을 A/D컨버터수단(미도시)을 통해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전압확인수단(741)을 통해 사용자는 전원공급기(200)의 현재 전압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세척수온도확인조절부(750)는, 세척수의 온도를 확인하고 원하는 세척수의 온도를 입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세척수온도확인조절부(750)는, 세척수저장부(310)의 제1세척수온도센서(312) 및 세척수이송부(330)의 제2세척수온도센서(334)와 연결되어 현재 세척수저장부(310)의 세척수 온도 및 세척수이송부(330)에서 이송되고 있는 세척수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세척수저장부(310)에 저장되는 세척수 및 세척수이송부(330)를 통해 이송되고있는 세척수의 희망온도를 각각 입력하여 제어부(780)을 통해 제어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세척수잔량확인부(760)는, 세척수저장부(310)의 세척수수위감지센서(311)와 연결되어 세척수의 잔량을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세척제잔량확인부(770)는, 세척제공급부(350)의 세척제수위센서(351)와 연결되어 세척제의 잔량을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780)는, 사용자가 입력한 온도로 세척수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전자밸브부재(361c) 및 제2가열수단(362)의 코일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세척수온도확인조절부(750)를 통해 세척수저장부(310)에 저장되어있는 세척수의 온도를 확인하고 희망온도를 30℃로 설정하게 되면, 제어부(780)는, 현재 세척수저장부(310)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의 온도가 30℃미만일 경우 전자밸브부재(361c)를 개방하여 제1가열수단(361)으로 엔진에서 열교환되어 일정온도 상승한 냉각수가 유입되고, 세척수저장부(310)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와 열교환하여 세척수저장부(310)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반대로, 현재 세척수저장부(310)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의 온도가 30℃이상일 경우 전자밸브부재(361c)를 폐쇄하여 엔진에서 열교환되어 일정온도 상승한 냉각수가 유입을 차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세척수온도확인조절부(750)를 통해 세척수이송브(330)에 저장되어있는 세척수의 온도를 확인하고 희망온도를 70내지80℃로 설정하게 되면, 세척수온도확인조절부(750)에서 제2가열수단(362)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세척수온도센서(334)를 통해 세척수이송부(330)에서 세척수분사부(340)로 이송되는 세척수의 온도를 확인하고, 제어부(780)는, 현재 세척수이송부(330)에서 세척수분사부(340)로 이송되는 세척수의 온도가 70내지80℃ 미만일 경우 제2가열수단(362)의 코일을 ON하여 세척수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현재 세척수이송부(330)에서 세척수분사부(340)로 이송되는 세척수의 온도가 70내지80℃ 이상일 경우 제2가열수단(362)의 코일을 OFF하여 세척수의 온도를 하강시켜, 세척수분사부(340)로 이송되는 세척수의 온도가 70내지80℃가 유지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패널기(700)는, 세차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7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90)는, 스위치부(710), 세척수압력조절부(720), 공기압력조절부(730), 전압확인부(740), 세척수온도확인입력부(750), 세척수잔량확인부(760), 세척제잔량확인부(770) 및 제어부(780)가 연동되어 세차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재상황을 디스플레이하고 조건을 변경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출장 세차시스템
100 : 본체
200 : 전원공급기
300 : 세척기
400 : 진공청소기
500 : 에어발생기
600 : 조명기
700 : 제어패널기
800 : 수납기

Claims (5)

  1. 차량 내부의 후부에 세팅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세차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기;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세척수를 분사하여 차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기;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진공 흡입하여 청소하기 위한 진공청소기;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공기를 압축시켜 압축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에어발생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전원공급기는,
    세차에 필요한 전원을 충전하였다가 공급하기 위한 세차용 배터리부;
    상기 세차용 배터리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세척기, 상기 진공청소기 및 상기 에어발생기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하는 인버터부; 및
    상기 세차용 배터리부와 상기 인버터부 사이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세차용 배터리부로부터 인버터부로 흐르는 이상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인버터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기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세척수저장부;
    상기 세척수저장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세척수저장부의 세척수를 가압하는 세척수가압부;
    상기 세척수가압부에 연결 형성되어, 가압된 세척수를 이송하는 세척수이송부; 및
    상기 세척수이송부에 연결 형성되어, 가압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기는, 세척수저장부에 저장된 세척수를 가열하거나 세척수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세척수가열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세척수가열부는,
    세척수저장부에 저장된 세척수를 가열하는 제1가열수단;
    세척수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제2가열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제1가열수단은,
    차량 엔진에서 열교환 된 냉각수를 상기 세척수저장부에 저장된 세척수와 열교환하기 위한 가열부재;
    차량 엔진에서 열교환 된 냉각수가 차량의 라디에이터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관의 일측과 상기 가열부재의 일측 사이에 연결 형성되어, 차량 엔진에서 열교환 된 냉각수를 상기 가열부재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관부재;
    상기 유입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부재를 개폐하기 위한 전자밸브부재;
    유입관의 다른 일측과 상기 가열부재의 다른 일측 사이에 연결 형성되어, 순환펌프를 구비하여 상기 세척수저장부에서 열교환 된 냉각수를 유입관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열수단은,
    상기 세척수이송부의 세척수를 유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에 세척수를 가열하기 위한 코일이 형성된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이송부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이송부의 세척수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연결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이송부의 다른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재에서 가열된 세척수를 배출 하기 위한 배출연결부재;
    상기 세척수이송부의 다른 일측과 상기 배출연결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가열된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1체크밸브부재;
    상기 세척수이송부의 일측과 상기 유입연결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가열된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2체크밸브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장 세차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발생기는,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부;
    상기 공기저장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공기저장부의 공기를 가압하는 공기가압부;
    상기 공기가압부에 연결 형성되어, 가압된 압축공기를 이송하는 압축공기이송부; 및
    상기 압축공기이송부에 연결 형성되어, 가압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장 세차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트렁크리드 일측, 차량내부의 후부 일측 중 어느 한 측 이상에 형성되어, 차량 배터리 또는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세차시에 세차공간을 조명하는 조명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장 세차시스템.
KR1020190020309A 2019-02-21 2019-02-21 출장 세차시스템 KR102173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309A KR102173758B1 (ko) 2019-02-21 2019-02-21 출장 세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309A KR102173758B1 (ko) 2019-02-21 2019-02-21 출장 세차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120A KR20200102120A (ko) 2020-08-31
KR102173758B1 true KR102173758B1 (ko) 2020-11-03

Family

ID=72234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309A KR102173758B1 (ko) 2019-02-21 2019-02-21 출장 세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7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459Y1 (ko) * 2006-05-24 2006-08-08 권구완 자동차 청소를 위한 이동차량.
KR101888513B1 (ko) * 2018-03-14 2018-08-14 양영제 스팀 세척기가 장착된 자동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119A (ko) * 1994-07-14 1996-02-23 손성국 세차 및 경정비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JP3314591B2 (ja) * 1995-08-31 2002-08-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自動車用電源装置
KR200140888Y1 (ko) 1996-07-04 1999-04-15 박병재 이동식 세차장치
KR101539195B1 (ko) 2015-01-07 2015-07-27 (주) 유진오토라이프 출장 세차 전용 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459Y1 (ko) * 2006-05-24 2006-08-08 권구완 자동차 청소를 위한 이동차량.
KR101888513B1 (ko) * 2018-03-14 2018-08-14 양영제 스팀 세척기가 장착된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120A (ko) 202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056B1 (ko) 로봇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2834037B (zh) 直立式深度清洁器和方法
US5871152A (en) Remote controlled carpet cleaner
US4862551A (en) Self-contained cleaning system
CN110338720A (zh) 湿式清洁设备
CN108286219A (zh) 电子标线机
KR102173758B1 (ko) 출장 세차시스템
EP1970270B1 (en) Mobile cleaning device
GB2210775A (en) Vehicle vacuum cleaning system
CN205554144U (zh) 一种多功能上门服务车
CN208195139U (zh) 多功能清洗机
US10293383B2 (en) Mobile high-pressure cleaning apparatus
CN208466655U (zh) 一种便携式空调清洗装置
KR102219448B1 (ko) 일체형 이동식 세차 장치 및 세차 장치 일체형 세차 전용 이동 수단
CN201245137Y (zh) 一种移动加热式清洗设备
KR102411839B1 (ko) 유선 청소기 탈착식 차량용 청소 보조 장치
CN109821803B (zh) 蒸汽清洗机
CN217610862U (zh) 一种表面清洁设备及表面清洁系统
GB2181705A (en) Vehicle washing apparatus
KR102110075B1 (ko) 셀프 스팀세차 장치
US20240100551A1 (en) Battery-powered skid sprayer assembly and method thereof
KR20220150664A (ko) 일체형 이동식 세차 장치 수단
JPS596144A (ja) サ−ビスカ−
CN214017402U (zh) 一种充电座及扫地机系统
CN108674385B (zh) 自助式汽车美容机及其支付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