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742B1 - Direct sink water purifier for pets with undersink water purification - Google Patents
Direct sink water purifier for pets with undersink water purific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3742B1 KR102173742B1 KR1020200073430A KR20200073430A KR102173742B1 KR 102173742 B1 KR102173742 B1 KR 102173742B1 KR 1020200073430 A KR1020200073430 A KR 1020200073430A KR 20200073430 A KR20200073430 A KR 20200073430A KR 102173742 B1 KR102173742 B1 KR 1021737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drinking water
- undersink
- case
- drinking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9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7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4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BOTDANWDWHJENH-UHFFFAOYSA-N Tetraethyl orthosilicate Chemical compound CCO[Si](OCC)(OCC)OCC BOTDANWDWHJEN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4656 Contus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BZHJMEDXRYGGRV-UHFFFAOYSA-N Vi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 BZHJMEDXRYGGR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25 asbesto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81 deodor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02 health probl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95 riebeck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07—Transportable fodder pails or trough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언더싱크 정수 방식의 반려동물용 직수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언더싱크 필터를 통해 정수된 물을 급수관을 통해 물그릇으로 공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컨트롤러를 통해 정수된 물의 공급 및 낙하된 물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언더싱크 정수 방식의 반려동물용 직수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of an undersink water purification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it is based on supplying water purified through an undersink filter to a water bowl through a water supply pipe, and supplying and dropping purified water through a controller. It relates to a direct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of the undersink water purification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water.
현대 사회에서 반려동물은 현대인들의 가족과 같은 존재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나 회사생활, 여행, 출장 등으로 바쁜 일상으로 인해 반려동물을 케어할 수 있는 시간과 여건이 부족해지는 현상이 빈번해지고 있다.In modern society, companion animals are positioned as being like the family of modern people, but due to busy daily life due to company life, travel, business trips, etc., time and conditions for caring for companion animals are becoming insufficient.
이에 따라, 반려동물이 혼자만의 시간을 가지는 상황이 증가하여 반려동물에게 식사, 식수 등을 때에 맞춰 제공할 수 없는 상황 또한 증가하고 있다.Accordingly, the situation in which the companion animal has time alone is increasing, and the situation in which it is impossible to provide the companion animal with meals, drinking water, etc. in time is also increasing.
이러한 현상에 따라서 반려동물 식사, 식수 공급, 놀이, 산책, 샤워 등의 반려동물 케어를 위한 펫 산업이 급속도로 증가 및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According to this phenomenon, the pet industry for companion animal care such as meal, drinking water supply, play, walk, shower, etc. is rapidly increasing and developing.
이때, 반려동물의 정수기에 관련된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 특허 제 10-2057934호(발명의 명칭 : 무선전력을 이용한 동물용 정수기)가 등록되어 있다.At this tim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57934 (name of invention: water purifier for animals using wireless power) has been registered as a prior art related to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상기 선행기술은 무선전력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이나 애완동물의 음용수를 제공하기 위한 정수기로서, 받침대 역할을 하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해주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내장된 크래들;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크래들에 안착되는 정수통;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여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고, 상기 정수통에 내장되는 정수 모듈; 및 상기 정수 모듈을 통해 정수된 물을 공급해주는 그릇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래들에는 무게 중심을 유지하기 위한 무게 중심 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크래들은 평판의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정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정수 모드 선택스위치; 상기 받침판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 상기 받침판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정수 모드 선택스위치에서 선택된 정수 모드와 상기 동작감지센서의 동작 감지 결과를 기초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정수 모드가 스마트 모드일 경우, 온/오프 주기로 전원 공급을 제어하다가, 오프 주기에서 상기 동작감지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즉시 온 주기로 전환하여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그릇부는 상기 정수통의 단면에 안착되어 정수 물을 수용하는 물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 수용부는 중앙에 상기 정수 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토출하는 토출공이 마련되며, 상기 물 수용부의 하단에는 상기 정수통에 형성된 결합 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물 수용부의 직경은 상기 정수통의 결합 홈이 형성된 내면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그릇부를 상기 정수통에 안착시킬 때 틈을 발생하여, 상기 그릇부에서 수용을 하지 못하는 정수가 다시 상기 정수통으로 자연스럽게 흘러 피드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을 이용한 동물용 정수기를 제시하고 있다.The prior art is a water purifier for providing drinking water for companion animals or pets using wireless power, a cradle with a built-in wireless power transmitter that serves as a base and supplies power wirelessly; A water purifying container provided with a space for receiving water therein and seated in the cradle; A water purification module that receives power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uses it as a driving power source, and is built into the water bottle; And a bowl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through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wherein the cradle is provided with a center of gravity device for maintaining a center of gravity, and the cradle includes a support plate of a flat plate; A water-purifying mode selection switch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late to select a water-purifying mode; A motion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late to detect motion; A power supply unit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late to control power supply based on a water purification mode selected by the water purification mode selection switch and a motion detection result of the motion sensor, and the power supply unit when the water purification mode is a smart mode , Power supply is controlled in an on/off cycle, and when motion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in an off cycle, power is immediately switched to an on cycle, and the bowl part is seated on the end face of the water bottle to receive purified water. It includes a water receiving portion, wherein the water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in the center, and a lower end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fitt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water bottle, The diameter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upling groove of the water container, so that a gap is generated when the bowl part is seated in the water container, so that water that cannot be accommodated in the bowl part naturally returns to the water container. It proposes a water purifier for animals using wireless power, characterized in that flow feedback.
상기 선행기술은 무선전력을 이용하여 동물용 정수기를 구현하여 편이성을 증가시켰지만, 정수기의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정수통으로 부터 물을 공급하여 신선하고 깨끗하게 정수된 물을 공급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Although the prior art has improved convenience by implementing a water purifier for animals using wireless pow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supply fresh and cleanly purified water by supplying water from a water purifier containing water inside the water purifier.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언더싱크 필터를 통해 정수된 물을 제공하여 물의 정수에 필요한 전기세를 절약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물탱크 등과 같은 부가적인 구성이 필요하지 않아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내부 세척과 같은 별도의 관리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편이성이 증대될 수 있는, 언더싱크 정수 방식의 반려동물용 직수 정수기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possible to save space by providing purified water through the undersink filter to save the electricity bill required for water purification, and it is economical and does not require additional configurations such as a water tank.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direct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with an undersink water purification method that can increase convenience because it does not require separate management such as.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언더싱크 필터를 통해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컨트롤러를 통해 정수된 물의 공급 및 낙하된 물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직수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 technology, and is based on supplying purified water through an undersink filter, and a direct water purifi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supply of purified water and the discharge of dropped water through a controller.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 상면 주변에 마이크를 포함하여 반려동물의 식수 여부 및 식수량을 예측한 식수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유저 단말에 전송할 수 있는 직수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rect water purifier capable of generating drinking water information predicting the amount of drinking water and whether or not a companion animal is drinking, including a microphone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ransmitting it to a user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기 설정부가 주기 설정 스위치 및 근접 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유저로부터 주기를 직접 입력받거나 반려동물의 근접을 감지하여 물을 자동으로 급수할 수 있는 직수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rect water purifier capable of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by receiving a period directly from a user or sensing the proximity of a companion animal by comprising a period setting unit of one of a period setting switch and a proximity sensor.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식수 정보를 통해 식수 패턴을 생성하고 식수 예측 시간을 설정하여 솔레노이드 밸브 및 배수 펌프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직수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rect water purifi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driving of a solenoid valve and a drain pump by generating a drinking water pattern through drinking water information and setting a drinking water prediction time.
본 발명의 다른 추가 목적은, 본체의 표면에 TEOS(Tetraethyl orthosilicate)를 포함하는 탈취 코팅제를 도포하여 탈취 코팅층이 형성된 직수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rect water purifier having a deodorizing coating layer formed by applying a deodorizing coating agent containing TEOS (Tetraethyl orthosilicate) on the surface of the bod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언더싱크 정수 방식의 반려동물용 직수 정수기는 수도관과 연결되어 물을 정수 처리하는 언더싱크 필터;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irect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of the undersink water pu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ndersink filter connected to a water pipe to purify water;
상면에 배수공이 관통된 물그릇을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언더싱크 필터에서 정수된 물을 입수관을 매개로 공급받아 급수관으로 공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이르도록 기립되어 상기 물 공급 영역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과,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공으로 낙하된 물을 임시 저장하는 탱크 및, 상기 탱크에 저장된 물을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펌프를 구비한 본체; 주기 설정부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및 배수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ase having a water bowl through which a drain hole is passed on the upper surface, a solenoid valve installed in the case to receive water purified from the undersink filter through an inlet pipe and supply it to a water supply pipe, and a solenoid valve to reach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A water supply pipe standing up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supply area, a tank installed in the case to temporarily store water dropped into the drain hole, and a drain pump for discharging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to the outside through a drain pipe. main bod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solenoid valve and the drain pump by a period setting unit.
또한, 상기 주기 설정부는, 주기 설정 스위치 및 근접 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eriod set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ny one of a period setting switch and a proximity sensor.
더하여, 상기 물그릇은, 하방으로 라운딩 처리된 돔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ter bow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achably install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a state made in a dome shape rounded downward.
본 발명에 따른 언더싱크 정수 방식의 반려동물용 직수 정수기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direct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of the undersink water pu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언더싱크 필터를 통해 물을 정수하고 컨트롤러를 통해 정수된 물의 공급 및 낙하된 물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직수 정수기를 제공하여 설정한 주기에 따라 물이 자동적으로 공급될 수 있고,1) Water can be purified through an undersink filter, and a direct water purifier that can control the supply of purified water and discharge of dropped water through the controller can be suppli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a set cycle.
2) 주기 설정부가 주기 설정 스위치 및 근접 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으로써 유저로부터 주기를 직접 입력받거나 반려동물의 근접을 감지하여 물을 자동으로 급수할 수 있으며,2) As the cycle setting unit is made of one of a cycle setting switch and a proximity sensor, the user can directly input the cycle or detect the proximity of a companion animal to automatically supply water.
3) 마이크를 포함하여 반려동물의 식수 여부 및 식수량을 예측한 식수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유저 단말에 전송하여 반려동물의 식수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3) Not only can the drinking water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be more accurately identified by generating the drinking water information, including the microphone, which predicts the drinking water and the amount of drinking water for the companion anim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user terminal.
4) 식수 정보를 통해 식수 패턴을 생성하고 식수 예측 시간을 설정하여 솔레노이드 밸브 및 배수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여 반려동물의 식수 습관을 파악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반려동물에게 물을 제공할 수 있고,4) By generating a drinking water pattern through drinking water information and setting the drinking water prediction time,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and the drainage pump is controlled to understand the drinking water habit of the companion animal, and water can be provided to the companion animal more efficiently.
5) 본체의 표면에 TEOS(Tetraethyl orthosilicate)를 포함하는 탈취 코팅제를 도포하여 탈취 코팅층을 형성하여 반려동물의 접촉 및 수분으로 인해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5) By applying a deodorizing coating containing TEOS (Tetraethyl orthosilicate) on the surface of the body to form a deodorizing coating laye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odors that are inevitable due to contact and moisture of companion animals.
도 1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직수 정수기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물그릇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식수 정보를 유저 단말에 전송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탈취 코팅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direct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water bowl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drinking wat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user terminal.
Figure 6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odorant coating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refer to the sam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직수 정수기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물그릇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direct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water bow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언더싱크 정수 방식의 반려동물용 직수 정수기(1)는 언더싱크 필터(10)를 통해 정수된 물을 급수관을 통해 물그릇(22)으로 공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컨트롤러(30)를 통해 정수된 물의 공급 및 낙하된 물의 배출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1, the direct water purifier 1 for companion animals of the undersink pur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supplying water purified through the
이러한 직수 정수기(1)는 사람이 사용할 수도 있지만 컨트롤러(30)를 통해 물 공급의 주기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한 주기에 따라 물이 자동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특히 직접 물을 따라 먹을 수 없는 반려동물용으로 사용하기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반려동물은 정수기의 작동 소리에 민감한 경우가 많아 반려동물이 정수기를 통해 물을 마실 때 정수기가 작동되면 두려움을 느껴 정수기 사용을 거부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식수 음용시간을 미리 예측하여 정수된 물을 담수해놓음으로써 반려동물의 정수기(1) 사용에 대한 거부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lthough the direct water purifier 1 can be used by humans, the cycle of water supply can be set through the
여기서, 반려동물은 강아지, 고양이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직수 정수기(1)의 크기는 반려동물의 크기에 맞추어 일반적인 정수기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companion animal may be a dog or a cat, and accordingly, the size of the direct water purifi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ize of a gener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mpanion animal.
본 발명의 직수 정수기(1)는 기본적으로 언더싱크 필터(10), 본체(20), 컨트롤러(3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direct water purifi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onsists of an
언더싱크 필터(10)는 수도관과 연결되어 물을 정수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바, 수도관과 연결되기 위해 본 발명의 직수 정수기(1)는 수도관이 위치하는 부엌, 화장실, 베란다 등에 위치할 수 있다.The
여기서, 언더싱크 필터(10)는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을 그대로 언더싱크 필터(10) 내부로 통과시킴으로써 물을 정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존의 정수기와 달리 물의 정수에 필요한 전기세를 절약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물탱크 등과 같은 부가적인 구성이 필요하지 않아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내부 세척과 같은 별도의 관리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편이성이 증대되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언더싱크 필터(10)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 및 작용 원리는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the
이러한 언더싱크 필터(10)는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복수의 언더싱크 필터(10)에 의해 물을 정수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렇게 언더싱크 필터(10)를 통해 정수된 물은 후술할 본체(20)의 구성들에 의해 물그릇(22)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Although the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체(20)는 케이스(21), 솔레노이드 밸브(23), 급수관(24), 탱크(25), 배수 펌프(26)를 구비한다.As can be seen from FIG. 2, the
케이스(21)는 상면에 배수공이 관통된 물그릇(22)을 구비한 것으로, 상면은 하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져 물을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내부에 후술할 솔레노이드 밸브(23), 급수관(24), 탱크(25), 배수 펌프(26)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The
이때, 케이스(21)는 플라스틱, 세라믹, 유리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려동물의 입이 직접 닿게 되므로 반려동물에게 유해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물그릇(22)은 케이스(21)와 일체형으로 존재할 수도 있지만, 도 3과 같이 상황에 따라 케이스(21)와 따로 분리할 수 있는 분리형일 수도 있으며, 직수 정수기(1)의 세척 시 물그릇(22)만 따로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으므로 유저의 편이성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더하여, 물그릇(22)의 일 측에는 수분 센서가 부착되어 물그릇 상의 수위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23)는 상기 케이스(21) 내에 설치되어 상기 언더싱크 필터(10)에서 정수된 물을 입수관을 매개로 공급받아 급수관(24)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A
여기서, 솔레노이드 밸브(23)는 전기가 통하면 플랜지가 올라가 밸브가 열리고 전기가 차단되면 플랜지 무게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밸브가 닫히는 원리를 통해 입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된 물을 급수관(24)으로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입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조절하는 장치는 솔레노이드 밸브(23)에만 한정하지 않으며 솔레노이드 밸브(23)를 대체하여 별도의 입수 펌프 등의 구성이 구비될 수도 있다.Here, the
급수관(24)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이르도록 기립되어 상기 물 공급 영역에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급수관(24)은 케이스(21)의 일 측면에 부착되거나 케이스(21)의 주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염화비닐, 석면 시멘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도 1을 참조하면, 본체(20) 내에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23)로부터 공급된 물이 하방(케이스 내부)에서 상방(물 공급 영역)을 향해 이동된 후 하방에 위치한 케이스(21)의 물그릇(22)을 향해 공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fter the water supplied from the
탱크(25)는 상기 케이스(21)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공으로 낙하된 물을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반려동물이 다 음용하지 못하고 잔여한 물에는 반려동물의 털, 먼지 등이 유입되어 있을 수 있어 반려동물이 이를 식수하였을 때 건강상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잔여한 물을 임시적으로 저장하여, 새로운 물이 공급되었을 때 기존에 잔여한 물과 혼합되지 않고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The
이때, 공급된 물을 바로 배수공을 통해 낙하시킬 경우 물의 낭비가 지나칠 수 있으므로, 배수공에는 별도의 스펀지, 가림막 등의 장치를 구비하여 물이 탱크로 낙하되는 속도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if the supplied water is dropped directly through the drain hole, the waste of water may be excessive, so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ate at which water falls into the tank by providing a separate sponge or screen in the drain hole.
배수 펌프(26)는 상기 탱크에 저장된 물을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배수 펌프(26)는 수중 모터펌프와 탱크내장형의 세움축 펌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이때, 배수 펌프(26)의 작동은 탱크(25)로 물이 공급될 때마다 진행될 수도 있고, 탱크(25)에 일정량 이상의 물이 공급되었을 경우 진행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컨트롤러(30)는 주기 설정부(31)를 포함하며, 주기 설정부(31)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3) 및 배수 펌프(26)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컨트롤러의(30) 주기 설정부(31)는 솔레노이드의 밸브(23)의 구동을 제어하여 입수되는 물의 양, 물의 공급 시점 등을 제어할 수 있고, 배수 펌프(26)의 구동을 제어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시점,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양 등을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ycle setting unit 31 of the
이때, 컨트롤러(30)는 본 발명의 직수 정수기(1)와 연동된 유저(이때, 유저라 함은 반려동물의 보호자일 수 있다.)의 단말(2)을 통해 설정하거나, 직수 정수기(1)에 구비된 입력 수단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예를 들어, 4시간 마다 100ml씩 물이 공급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23)를 제어하고, 탱크(25)가 80% 찼을 때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수 펌프(26)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직수 정수기(1)는 언더싱크 필터(10)를 포함하여 정수를 위한 전기세를 절약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공간 절약의 효과가 있고, 컨트롤러(30)를 통해 솔레노이드 밸브(23) 및 배수 펌프(26)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어 반려동물에게 편리하게 식수를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The direct water purifi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ncludes an
더하여, 주기 설정부(31)는 주기 설정 스위치 및 근접 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물 공급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ycle setting unit 31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cycle setting switch and a proximity sensor, through which a water supply cycle can be set.
주기 설정 스위치는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되거나, 본체와 별도의 기기로서 구비될 수 있으며, 유저로부터 주기를 입력받기 위해 버튼, 터치 패드 등의 입력 수단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함께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주기 설정 스위치를 통해 물 공급 주기를 직접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ycle setting switch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r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device from the main body, and an input means such as a button, a touch pad, and a display device may be provided together to receive a cycle from the user. Therefore, the user can directly set the water supply cycle through the cycle setting switch.
근접 센서 또한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이 직수 정수기(1)에 근접할 때 이를 파악하여 솔레노이드 밸브(23)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A proximity sensor may also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when a companion animal approaches the direct water purifier 1, it can be detect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구체적으로, 근접 센서는 고주파, 온도 감지, 진동 감지 등을 통해 반려동물의 근접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반려동물의 근접 시 직수 정수기가 물을 자동적으로 급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ximity sensor may determine the proximity of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high frequency, temperature detection, vibration detection, and the like, and through this, a direct water purifier may be set to automatically supply water when the companion animal approaches.
더하여, 이러한 반려동물의 근접으로 인한 솔레노이드 밸브(23) 제어 빈도를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물 공급 주기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를 통해 반려동물의 직수 정수기(1)로의 근접 빈도를 파악한 결과 반려동물이 약 3시간에 한번 씩 직수 정수기(1)로 근접한다고 할 때, 주기 설정부(31)는 이를 주기로 파악하여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equency of controlling the
다른 실시예로서, 물그릇(22)은 하방으로 라운딩 처리된 돔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본체(20)의 상면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the
즉, 물그릇(22)의 횡단면은 정원 또는 타원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물그릇에 모서리를 포함하지 않게 되어 반려동물의 물을 음용하고자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타박상 및 충격 등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ross section of the
더하여, 물그릇(22)이 본체(20) 상에 안착되었을 때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위해 물그릇(22)의 저면 테두리에는 물그릇(22)이 안착되는 홈의 크기와 상응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be more stably fixed when the
도 5는 식수 정보를 유저 단말에 전송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drinking wat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user terminal.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체(20)는 상면 주변에 설치된 마이크를 포함하고, 컨트롤러(30)는 식수 정보 생성부(32)와 유저 단말 연동부(33)를 포함하여 반려동물의 식수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이때, 마이크는 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주는 장치로서 본체(20) 자체에 설치되거나 본체(20) 주변에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마이크를 본체(20)의 상면 주변에 설치함으로써 반려동물이 식수할 때의 소리를 마이크를 통해 수집하여 식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icrophone is a device that converts soun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may be installed in the
식수 정보 생성부(32)는 상기 마이크에서 송출된 소리를 통해 반려동물의 식수 여부 및 식수량을 예측한 식수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drinking water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2 provides a function of generating drinking water information predicting whether the companion animal is drinking water and the amount of drinking water through the sound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구체적으로, 마이크를 통해 소리를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식수 여부, 식수 주기, 식수 시간, 물 공급과 식수 사이의 기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에서 송출된 소리를 분석하여 평균적으로 반려동물이 물이 공급된 후 10분 뒤에 식수를 음용하며, 4시간에 한 번씩, 15초 동안 식수 한다고 파악할 수 있다.Specifically, by analyzing sound through a microphon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companion animal is drinking water, a drinking water cycle, a drinking water time, and a period between water supply and drinking water. For example, by analyzing the sound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on averag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ompanion animal
유저 단말 연동부(33)는 통신 수단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식수 정보를 유저가 소지한 유저 단말(2)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user terminal linking unit 33 serves to transmit the drinking water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 possessed by the user in a state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eans.
이때, 식수 정수기(1)가 유저 단말(2)과 공유기를 매개로 한 무선랜(wireless lan)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방식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으며, 유저의 단말에 텍스트 또는 표와 그래프 등의 통계적인 자료로서 식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식수 정보를 본 발명의 직수 정수기(1)와 연동된 웹 또는 앱, SMS 등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inking water purifier 1 can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2 through a wireless LAN method, a Bluetoot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method, etc. through a router, and text to the user's terminal. Alternatively, drinking water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as statistical data such as tables and graphs. In addition, the user can receive drinking water information through a web, an app, or SMS linked to the direct water purifi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더하여, 컨트롤러(30)는 식수 패턴 생성부(34), 식수 예측 시간 설정부(35), 예측 구동부(36)를 추가로 포함하여 반려동물의 식수를 패턴으로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식수 시간을 예측하여 식수 정수기(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식수 패턴 생성부(34)는 상기 식수 정보를 통해 시간별 식수 상황을 기록한 식수 패턴을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drinking water pattern generation unit 34 provides a function of generating a drinking water pattern recording drinking water conditions by time through the drinking water information.
예를 들어, 시간 별로 반려동물의 식수 여부를 파악하여 이를 데이터화 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반려동물의 식수 패턴을 표, 그래프 등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식수 정보를 패턴화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식수 습관을 파악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반려동물에게 물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ompanion animal is drinking water by time and convert it into data, and based on this, the drinking water pattern of the companion animal can be generated as a table or graph. By patterning drinking water information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provide water to companion animals by grasping the drinking water habits of companion animals.
식수 예측 시간 설정부(35)는 상기 식수 패턴을 통해 반려동물이 식수를 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점 전의 시간인 식수 예측 시간을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예측 구동부(36)는 상기 식수 예측 시간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3) 및 배수 펌프(26)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drinking water prediction time setting unit 35 serves to set the drinking water prediction time, which is a time before the time when the companion animal is predicted to drink water through the drinking water pattern, and the prediction driving unit 36 sets the drinking water prediction time. It provide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예를 들어, 반려동물이 9시, 13시, 17시, 21시에 식수를 할 것이라고 예측되었다고 할 때, 예측되는 시점의 5분 전의 시간을 식수 예측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식수 예측 시간이 설정되면 솔레노이드 밸브(23)가 작동되어 물이 공급될 수 있고 배수 펌프(26)가 구동되어 탱크(25) 내에 잔여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반려동물에게 새로운 물을 공급할 준비가 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it is predicted that the companion animal will drink water at 9 o'clock, 13 o'clock, 17 o'clock, or 21 o'clock, the time 5 minutes before the predicted time may be set as the drinking water prediction time. When the drinking water prediction time is set in this way, the
다른 실시예로서, 컨트롤러(30)는 필터 교체주기 설정부(37)를 포함하여 반려동물에게 양질의 물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the
필터 교체주기 설정부(37)는 상기 언더싱크 필터(10)의 교체주기를 설정하여 유저가 소지한 유저 단말(2)에 상기 교체주기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ilter replacement cycle setting unit 37 sets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구체적으로, 유저는 본 발명의 직수 정수기(1)과 연동된 웹 또는 앱을 통해 언더싱크 필터(10)를 처음 설치한 날짜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필터 교체주기가 유저 단말(2)에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언더싱크 필터(10)의 종류마다 교체 주기가 다르므로 필터의 교체 날짜와 함께 필터의 종류 및 상표명을 함께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user can input the date of first installation of the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체(20)의 표면에는 TEOS(Tetraethyl orthosilicate)를 포함하는 탈취 코팅제가 도포된 후 450 내지 55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탈취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 deodorizing coating layer including TEOS (tetraethyl orthosilicate)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이때, 본체(20)의 표면이라 함은 구체적으로 케이스(21)와 물그룻(22)의 표면을 의미하며, 이러한 탈취 코팅층이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접촉 및 수분으로 인해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언더싱크 정수 방식의 반려동물용 직수 정수기를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surface of the
As described so far, the direct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of the undersink water pu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ress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change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1: 직수 정수기 2: 유저 단말
10: 언더싱크 필터 20: 본체
21: 케이스 22: 물그릇
23: 솔레노이드 밸브 24: 급수관
25: 탱크 26: 배수 펌프
30: 컨트롤러 31: 주기 설정부
32: 식수 정보 생성부 33: 유저 단말 연동부
34: 식수 패턴 생성부 35: 식수 예측 시간 설정부
36: 예측 구동부 37: 필터 교체주기 설정부1: direct water purifier 2: user terminal
10: undersink filter 20: main body
21: case 22: water bowl
23: solenoid valve 24: water supply pipe
25: tank 26: drain pump
30: controller 31: cycle setting unit
32: drinking water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3: user terminal interworking unit
34: drinking water pattern generation unit 35: drinking water prediction time setting unit
36: predictive driving unit 37: filter replacement cycle setting unit
Claims (10)
수도관과 연결되어 물을 정수 처리하는 언더싱크 필터;
상면에 배수공이 관통된 물그릇을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언더싱크 필터에서 정수된 물을 입수관을 매개로 공급받아 급수관으로 공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이르도록 기립되어 상기 물 공급 영역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과,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공으로 낙하된 물을 임시 저장하는 탱크 및, 상기 탱크에 저장된 물을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펌프를 구비한 본체;
주기 설정부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및 배수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표면에는, TEOS(Tetraethyl orthosilicate)를 포함하는 탈취 코팅제가 도포된 후 450 내지 55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탈취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직수 정수기.As a direct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using undersink water purification,
An undersink filter connected to a water pipe to purify water;
A case having a water bowl through which a drain hole is passed on the upper surface, a solenoid valve installed in the case to receive water purified from the undersink filter through an inlet pipe and supply it to a water supply pipe, and a solenoid valve to reach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A water supply pipe standing up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supply area, a tank installed in the case to temporarily store water dropped into the drain hole, and a drain pump for discharging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to the outside through a drain pipe. main body;
Includ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solenoid valve and the drain pump by a cycle setting unit,
Direct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odorizing coating layer is formed by heating at 450 to 550° C. for 1 to 3 hours after applying a deodorizing coating agent containing TEOS (Tetraethyl orthosilicate) on the surface of the body.
상기 주기 설정부는,
주기 설정 스위치 및 근접 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직수 정수기.The method of claim 1,
The period setting unit,
A direct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y one of a cycle setting switch and a proximity sensor.
상기 물그릇은,
하방으로 라운딩 처리된 돔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직수 정수기.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bowl,
A direct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achably install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a state made of a dome shape rounded downward.
상기 본체는,
상기 케이스의 상면 주변에 설치된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마이크에서 송출된 소리를 통해 반려동물의 식수 여부 및 식수량을 예측한 식수 정보를 생성하는 식수 정보 생성부와,
통신 수단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식수 정보를 유저가 소지한 유저 단말에 전송하는 유저 단말 연동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직수 정수기.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Including a microphone installed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The controller,
A drinking water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drinking water information predicting whether a companion animal is drinking water and an amount of drinking water through the sound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A direct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comprising a user terminal linking unit that transmits the drinking water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while the communication means is provided.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식수 정보를 통해 시간별 식수 상황을 기록한 식수 패턴을 생성하는 식수 패턴 생성부와,
상기 식수 패턴을 통해 반려동물이 식수를 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점 전의 시간인 식수 예측 시간을 설정하는 식수 예측 시간 설정부 및,
상기 식수 예측 시간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및 배수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예측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직수 정수기.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ler,
A drinking water patter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drinking water pattern recording drinking water conditions by time through the drinking water information,
A drinking water prediction time setting unit for setting a drinking water prediction time, which is a time before the time when the companion animal is predicted to drink water through the drinking water pattern, and
A direct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dictive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solenoid valve and the drain pump at the predicted drinking water time.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언더싱크 필터의 교체주기를 설정하여 유저가 소지한 유저 단말에 상기 교체주기를 전송하는 필터 교체주기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직수 정수기.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And a filter replacement cycle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undersink filter and transmit the replacement cycle to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3430A KR102173742B1 (en) | 2020-06-17 | 2020-06-17 | Direct sink water purifier for pets with undersink water purific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3430A KR102173742B1 (en) | 2020-06-17 | 2020-06-17 | Direct sink water purifier for pets with undersink water purific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73742B1 true KR102173742B1 (en) | 2020-11-03 |
Family
ID=73197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3430A KR102173742B1 (en) | 2020-06-17 | 2020-06-17 | Direct sink water purifier for pets with undersink water purific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374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615596A (en) * | 2021-09-01 | 2021-11-09 | 重庆市畜牧科学院 | Water drinking system for fattening pig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3043B1 (en) * | 2013-11-14 | 2014-07-14 | 신태식 | Pet care system and method using realtime two-way communication |
KR20170142434A (en) * | 2016-06-17 | 2017-12-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ter purifier |
KR20200012166A (en) * | 2018-07-26 | 2020-02-05 | 태형물산 주식회사 | Pet-only water purifier |
KR20200064717A (en) * | 2018-11-29 | 2020-06-08 | 고은주 | Device for suppling drinking water for pets |
-
2020
- 2020-06-17 KR KR1020200073430A patent/KR10217374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3043B1 (en) * | 2013-11-14 | 2014-07-14 | 신태식 | Pet care system and method using realtime two-way communication |
KR20170142434A (en) * | 2016-06-17 | 2017-12-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ter purifier |
KR20200012166A (en) * | 2018-07-26 | 2020-02-05 | 태형물산 주식회사 | Pet-only water purifier |
KR20200064717A (en) * | 2018-11-29 | 2020-06-08 | 고은주 | Device for suppling drinking water for pet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615596A (en) * | 2021-09-01 | 2021-11-09 | 重庆市畜牧科学院 | Water drinking system for fattening pig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254323A1 (en) | Systems to Monitor a Toilet Bowl and to Determine a Bowl Status | |
CN107949276B (en) | Modular pet defecation device cleaning device | |
TWI669051B (en) | Excrement collection device and intelligent excrement collection system using the same | |
WO2020248799A1 (en) | Waste container and waste management method therefor | |
US6526916B1 (en) | Pet fountain | |
CN1195928C (en) | Full-automatic intelligent water-closet pan | |
CN101501279B (en) | Urinal | |
KR20170102122A (en) | Apparatus for excrement of pet | |
KR102173742B1 (en) | Direct sink water purifier for pets with undersink water purification | |
US20170273273A1 (en) | Toilet for cat | |
CN111620387A (en) | Animal water purifier using wireless power | |
TWM564324U (en) | Excretment collection device and intelligent excrement collection system using the same | |
CN213625898U (en) | Multifunctional intelligent closestool | |
CN110367137B (en) | Intelligent pet cage | |
KR101415871B1 (en) | An excrement prop for a pet | |
KR102709258B1 (en) |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 |
KR20200117413A (en) | Automatic Displacement Processing Pad for companion animals | |
CN109124448A (en) | Small incidental expenses aquatic organism self-degradation environment protection water closet | |
KR102261861B1 (en) | Smart toilet seat and smart ventila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 |
KR101849070B1 (en) | Residential facility of Pets | |
KR102110189B1 (en) | Smart device for water closet toilet bowl | |
CN208387579U (en) | A kind of Pet drinking machine based on infrared sensor induction | |
CN217089116U (en) | Automatic induction pet drinking device | |
KR101527007B1 (en) | Toilet for cats | |
CN110402823B (en) | Intelligent closestool for cat and control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