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522B1 -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522B1
KR102173522B1 KR1020180156886A KR20180156886A KR102173522B1 KR 102173522 B1 KR102173522 B1 KR 102173522B1 KR 1020180156886 A KR1020180156886 A KR 1020180156886A KR 20180156886 A KR20180156886 A KR 20180156886A KR 102173522 B1 KR102173522 B1 KR 102173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location
smartphone
module
virtual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0479A (ko
Inventor
김승일
김태수
Original Assignee
(주)하나텍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나텍시스템 filed Critical (주)하나텍시스템
Priority to KR1020180156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522B1/ko
Publication of KR20200070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on portable or mobile units,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주차공간의 실제 위치 및 구조에 대응되는 가상맵들이 현장에 설치된 키오스크에 기 제작되어 저장됨과 동시에 스마트폰이 키오스크로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주차면의 고유ID를 전송한 후, 전송된 고유ID에 대응되는 가상맵을 전송받아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방대한 수량의 주차장들 각각에 대한 가상맵을 현장에서 쉽게 제공받을 수 있어 데이터 저장 및 통신 부하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으며, 스마트폰에 설치된 주차어플리케이션이 가상맵을 전송받으면, 가상맵 상에서 현재 위치로부터 주차위치까지의 복귀경로를 검출한 후, 전송받은 가상맵에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를 맵핑시킨 위치안내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스마트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주차위치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인지할 수 있는키오스크를 이용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Parking location and path providing system using KIOSK}
본 발명은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운전자의 스마트폰으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함과 동시에 키오스크를 활용하여 데이터 저장 및 통신 부하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장은 제한된 공간에 다수의 주차공간을 제공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최근 들어 차량이 증가하고 도심이 발달함에 따라 관공서, 쇼핑몰, 백화점 등의 대형 건물이 증가하였고, 이러한 대형 건물은 일반적으로 유동 차량수가 많기 때문에 다수의 차량들에게 주차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넓은 대형주차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형주차장은 복수층의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한 후 방문목적의 행위를 마치고 난 이후 자신의 주차위치로 복귀할 때, 주차위치를 잊거나 또는 주차위치를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하여 시간을 허비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의 스마트폰으로 해당 운전자의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편리하게 주차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주차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226593호(발명의 명칭 : 이동통신 단말기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를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및 이를 이용한 주차위치 제공시스템)에 개시된 주차위치 제공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의 주차위치 제공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은 도 1의 주차시스템(100)(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은 주차공간(S1), ..., (Sn)들 각각에 설치되어 주차위치정보를 태그로 저장하는 주차정보 단말기(105-1), ..., (105-N)들과, 주차정보 단말기(105-1), ..., (105-N)들을 제어하는 관리서버(107)와,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폰(101)과, 스마트폰(101)에 설치되어 주차정보 단말기들로부터 주차정보를 전송받아 스마트폰(101)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응용 프로그램(102)으로 이루어진다.
주차정보 단말기(105-1), ..., (105-N)들은 NFC 통신기능이 지원되는 디지털 디바이스이며, 해당 주차면의 주차위치를 태그에 저장한다.
스마트폰(101)은 태그 리더부를 포함하여 태그 리더부를 이용하여 주차정보 단말기들의 태그에 저장된 주차위치정보들을 수집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1)에는 응용 프로그램(102)이 설치되고, 응용 프로그램(102)은 수집된 주차위치정보 및 사용자 현재 위치를 활용 및 분석하여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를 검출한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102)에는 해당 주차장 및 각 주차면의 실제 위치에 대응되는 기 제작된 가상맵이 저장되고, 이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102)은 가상맵에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를 맵핑시킨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스마트폰(101)의 모니터에 전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하게 자신의 주차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해당 주차장에 대한 가상맵이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단순히 텍스트 위주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를 제공해야하기 때문에 정보전달성이 떨어지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다수의 주차장들과 연동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주차장들 각각에 대한 가상맵들과, 각 주차장의 주차정보 단말기들 각각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들이 기 설정되어 저장되어야 하나, 이러한 경우 주차장의 수량이 매우 방대하기 때문에 스마트폰(101)에 불필요한 데이터 저장 공간을 소모하여 현실적으로 구현이 불가능한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관리서버(107)가 각 주차장의 가상맵들을 저장하여 요청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102)으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가 맵핑된 가상맵을 전송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관리서버(107)에서 집중적으로 방대한 연산처리가 필요함과 동시에 데이터 저장 및 통신 부하를 유발하며, 관리서버(107)에 해킹이 이루어지는 경우 서비스 복구가 불가능한 단점을 갖는다.
한편, 최근에는 공항, 영화관, 주차장, 관공서 등의 공공장소에 설치되며, 터치스크린, 사운드, 그래픽 및 통신 등 첨단 멀티미디어 기기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장소에 관련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로부터 요청에 따라 연산을 처리한 후, 요청에 따른 결과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키오스크(KIOSK)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주차장에 설치되는 키오스크는 주차장 이용방법 및 절차 정보 제공, 주차위치 및 복귀 경로 제공, 주차요금 정산 및 결제 등의 주차장 이용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주차장 키오스크는 해당 주차장의 자동주차설비와 연동하며, 각 층의 주차장의 실제 위치 및 구조에 대응되는 가상맵을 저장하여 사용자로부터 식별정보(일반적으로 차량 번호)를 입력받으면, 입력된 식별정보에 따른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를 검출한 후, 검출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를 가상맵에 맵핑시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는 전시되는 가상맵을 열람하여 자신의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를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주차장 키오스크는 사용자로부터 차량번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차량의 주차관련정보,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개인정보가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범죄자가 특정 사용자의 차량번호를 인식한다고 하는 경우, 주차장 키오스크를 활용하여 주차위치, 주차시간패턴 등의 개인정보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 범죄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주차장 키오스크는 사용자가 키오스크가 설치된 장소에서만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를 열람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실시간 열람이 불가능한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즉 1)데이터 저장 및 통신 부하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면서 2)방대한 수량의 주차장들 각각에 대한 가상맵을 기반으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3)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 열람이 가능한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각 주차공간의 실제 위치 및 구조에 대응되는 가상맵들이 현장에 설치된 키오스크에 기 제작되어 저장됨과 동시에 스마트폰이 키오스크로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주차면의 고유ID를 전송한 후, 전송된 고유ID에 대응되는 가상맵을 전송받아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방대한 수량의 주차장들 각각에 대한 가상맵을 현장에서 쉽게 제공받을 수 있어 데이터 저장 및 통신 부하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주차어플리케이션이 가상맵을 전송받으면, 가상맵 상에서 현재 위치로부터 주차위치까지의 복귀경로를 검출한 후, 전송받은 가상맵에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를 맵핑시킨 위치안내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스마트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주차위치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인지할 수 있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주차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따른 위치안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 따른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를 쉽게 열람할 수 있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주차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로부터 최초 주차위치 안내를 요청받을 때 스마트폰의 근거리통신 인터페이스모듈을 활성화시키되, 임계시간이 경과되면 스마트폰의 근거리통신 인터페이스모듈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데이터전송의 오류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사용자의 주차위치 및 주차정보가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서만 열람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개인정보가 외부로 노출됨과 동시에 차량번호를 키워드로 하여 타인의 주차정보가 노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각 주차장에 설치되며, 해당 주차장의 각 주차면의 위치 및 고유ID정보와, 주차장의 공간들 중 자신에게 할당된 주차공간(S)의 실제 위치 및 구조에 대응되는 가상맵들이 기 제작되어 저장되며,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된 스마트폰으로부터 주차가 이루어진 주차면의 고유ID를 포함하는 제1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기 저장된 가상맵들을 탐색하여 전송받은 제1 요청데이터의 고유ID의 주차면을 포함하는 가상맵을 추출한 후,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추출된 가상맵을 해당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키오스크들; 상기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통신 인터페이스모듈과, GPS모듈을 포함하며, 주차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주차어플리케이션은 주차 시 주차가 이루어진 주차면 고유ID를 전송받아 저장하며, 사용자로부터 주차위치를 요청받으면,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모듈을 활성화시킨 후, 상기 제1 요청데이터를 접속된 키오스크로 전송하고, 접속된 키오스크로부터 제1 요청데이터에 대응되는 가상맵을 전송받으면, 가상맵에 주차위치를 맵핑시킨 위치안내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위치안내 인터페이스 생성 시, 기 설정된 복귀경로 검출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주차위치까지의 복귀경로를 검출한 후, 검출된 복귀경로를 가상맵에 맵핑시키고, 상기 주차어플리케이션은 제어모듈; 구동 시, 사용자로부터 주차위치를 요청받기 위한 터치버튼이 노출되는 기본 인터페이스를 상기 스마트폰의 모니터에 전시하는 인터페이스 처리모듈; 상기 기본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버튼이 터치될 때,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근거리통신 인터페이스모듈을 활성화시키는 근거리통신 제어모듈; 상기 근거리통신 제어모듈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근거리통신 인터페이스모듈이 활성화될 때 구동되며, 상기 제1 요청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요청데이터 생성모듈;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접속된 키오스크로부터 가상맵을 전송받을 때 구동되며, 상기 복귀경로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GPS모듈에 의해 검출된 현재 위치 및 주차위치를 활용하여 가상맵 상에서 복귀경로를 검출하는 복귀경로 검출모듈; 상기 위치안내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맵핑 및 위치안내 인터페이스 생성모듈; 상기 위치안내 인터페이스를 상기 스마트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전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어플리케이션은 주차가 이루어진 주차면을 포함하는 할당받은 키오스크의 근거리 통신영역 이내에 상기 스마트폰이 위치할 때, 해당 키오스크로 상기 제1 요청데이터를 전송한 후, 해당 키오스크로부터 주차가 이루어진 주차면을 포함하는 가상맵을 전송받도록 구성됨으로써 가상맵을 별도로 저장하지 않아도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주차가 이루어진 주차면을 포함하는 가상맵을 현장에서 수신받는 것이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근거리통신 제어모듈은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근거리통신 인터페이스모듈이 활성화된 이후 임계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근거리통신 인터페이스모듈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근거리통신 제어모듈에 의해 상기 근거리통신 인터페이스모듈이 활성화된 이후부터 기 설정된 주기(T) 동안 상기 기본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버튼의 재터치가 이루어지면, 상기 복귀경로 검출모듈을 구동시키고, 상기 복귀경로 검출모듈은 상기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 및 주차위치를 활용하여 복귀경로를 재검출하고, 상기 맵핑 및 위치안내 인터페이스 생성모듈은 상기 복귀경로 검출모듈에 의해 재검출된 복귀경로를 활용하여 상기 위치안내 인터페이스를 재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주차공간의 실제 위치 및 구조에 대응되는 가상맵들이 현장에 설치된 키오스크에 기 제작되어 저장됨과 동시에 스마트폰이 키오스크로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주차면의 고유ID를 전송한 후, 전송된 고유ID에 대응되는 가상맵을 전송받아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방대한 수량의 주차장들 각각에 대한 가상맵을 현장에서 쉽게 제공받을 수 있어 데이터 저장 및 통신 부하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에 설치된 주차어플리케이션이 가상맵을 전송받으면, 가상맵 상에서 현재 위치로부터 주차위치까지의 복귀경로를 검출한 후, 전송받은 가상맵에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를 맵핑시킨 위치안내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스마트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주차위치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차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따른 위치안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 따른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를 쉽게 열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차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로부터 최초 주차위치 안내를 요청받을 때 스마트폰의 근거리통신 인터페이스모듈을 활성화시키되, 임계시간이 경과되면 스마트폰의 근거리통신 인터페이스모듈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데이터전송의 오류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주차위치 및 주차정보가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서만 열람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개인정보가 외부로 노출됨과 동시에 차량번호를 키워드로 하여 타인의 주차정보가 노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226593호(발명의 명칭 : 이동통신 단말기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를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및 이를 이용한 주차위치 제공시스템)에 개시된 주차위치 제공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도 2의 스마트폰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2의 키오스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2의 주차어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인터페이스 처리모듈에서 제공되는 기본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맵핑 및 위치안내 인터페이스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위치안내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1)은 사용자에게 자신의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를 해당 주차장의 실제 형상 및 구조에 대응되는 가상맵에 맵핑시킨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익스피어런스(GUX, Graphic User Experience)를 제공하되, 해당 주차장에 설치된 주차장 키오스크(5)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GUI를 전송받아 방대한 수량의 주차장들 각각에 연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 저장 및 통신 부하를 절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2)과, 주차어플리케이션(3), 키오스크(5)들, 주차장설비 로컬서버(7)들, 주차관리서버(9), 근거리 통신망(10), 통신망(20)으로 이루어진다.
근거리 통신망(10)은 스마트폰(2) 및 키오스크(5)들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상세하게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로는 스마트폰(2)에서 지원 가능하며 일대일 접속이 가능한 NFC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망(20)은 주차관리서버(9), 스마트폰(2) 및 주차장설비 로컬서버(7)들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상세하게로는 광역 통신망(WAN)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주차장설비 로컬서버(7)들은 각 주차장에 설치되어 해당 주차장으로 진입 및 진출하는 차량에게 효율적인 주차관련 서비스를 제공 및 관리하는 설비이며, 상세하게로는 각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주차면 안내기(미도시)들을 포함하여 주차면 안내기들에 의해 차량 주차가 이루어지면 해당 주차면의 고유ID를 포함하는 주차관련정보를 주차관리서버(9)로 전송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주차면 안내기들은 차량이 감지되면 기 설정된 시간동안 활성화되어 근거리 통신망(10)을 통해 운전자의 주차 어플리케이션(3)으로 해당 주차면의 고유ID를 전송함과 동시에 통신망(20)을 통해 주차관리서버(9)로 고유ID를 전송하고, 주차 어플리케이션(3)은 주차면 안내기로부터 고유ID를 전송받으면 스마트폰(2)의 식별정보 및 주차면 고유ID를 주차관리서버(9)로 전송하고, 주차관리서버(9)는 주차면 안내기로부터 전송받은 고유ID와, 주차 어플리케이션(3)으로부터 전송받은 고유ID 및 스마트폰 식별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주차면의 위치, 차량번호를 검출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주차면 안내기(미도시) 및 주차관리서버(9)의 동작 과정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특허 등록된 국내등록특허 제10-1779521호(발명의 명칭 :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차정보처리장치)를 적용하였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주차장설비 로컬서버(7)는 주차시스템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키오스크(5)들은 각 주차장에 단일 또는 복수개로 설치된다.
또한 키오스크(5)들에는 자신에게 할당된 주차공간(S)들 각각에 대한 가상맵들이 기 제작되어 저장된다. 이때 주차공간(S)은 전체 주차장, 각 층의 주차공간 또는 복수개로 분할된 주차장 영역일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5)들에는 각 주차면의 고유ID 값들이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
또한 키오스크(5)들은 근거리 통신망(10)을 통해 접속된 스마트폰(2)으로부터 주차면 고유ID를 포함하는 제1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저장된 가상맵들을 탐색하여 입력된 고유ID를 포함하는 가상맵을 추출한다.
또한 키오스크(5)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2)의 제1 요청데이터에 대응되는 가상맵을 추출하면, 추출된 가상맵을 근거리 통신망(10)을 통해 해당 스마트폰(2)으로 전송한다.
스마트폰(2)은 운전자가 소지한 디지털 디바이스며,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2)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운전자 휴대가 가능하면서 근거리 통신망(10)과의 접속이 가능한 공지된 단말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2)은 근거리 통신망(10)과의 접속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구비한다.
또한 스마트폰(2)에는 주차어플리케이션(3)이 설치된다.
주차어플리케이션(3)은 스마트폰(2)에 설치되어 키오스크(5)에 접속하여 차량위치 및 복귀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또한 주차어플리케이션(3)은 주차요금 정산 및 결제 안내, 주차장 정보 제공, 해당 사용자의 주차관련정보 제공 등의 공지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나, 이러한 서비스 제공은 주차관련 어플리케이션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주차어플리케이션(3)에는 사용자의 차량번호인 차량식별정보가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
또한 주차어플리케이션(3)은 스마트폰(2)의 모니터에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를 요청받기 위한 위젯버튼(P)을 전시하며, 사용자로부터 위젯버튼(P)이 터치되면 스마트폰(2)의 근거리 통신모듈을 활성화 시키며, 스마트폰(2)의 근거리 통신모듈이 활성화되면 근거리 통신망(10)을 통해 인접한 키오스크(5)에 접속한 후 기 저장된 주차면의 고유ID를 포함하는 제1 요청데이터를 해당 키오스크(5)로 전송한다.
또한 주차어플리케이션(3)은 키오스크(5)로부터 제1 요청데이터에 대응되는 가상맵을 전송받으면, 기 설정된 복귀경로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스마트폰(2)의 현재 위치 및 주차위치를 분석하여 가상맵 상에서 현재위치로부터 주차위치까지의 복귀경로를 검출한다.
또한 주차어플리케이션(3)은 복귀경로가 검출되면, 가상맵에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를 맵핑(Mapping) 시킨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이하 위치안내 어플리케이션라고 함)를 생성하여 이를 스마트폰(2)의 모니터에 전시한다.
또한 주차어플리케이션(3)은 키오스크(5)로부터 가상맵을 전송받은 이후에도, 사용자로부터 위젯버튼(P)이 터치되면, 현재 위치를 반영한 위치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2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방법(S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젯버튼 터치단계(S10)와, 스마트폰 근거리 통신모듈 활성화단계(S20), 제1 요청데이터 전송단계(S30), 데이터 탐색 및 가상맵 추출단계(S40), 가상맵 수신단계(S50), 복귀경로 검출단계(S60), 맵핑단계(S70), 디스플레이 단계(S80), 스마트폰 근거리 통신모듈 비활성화단계(S90)로 이루어진다.
위젯버튼 터치단계(S10)는 주차어플리케이션(3)에 의해 스마트폰(2)의 모니터에 전시되는 위젯버튼(P)이 사용자로부터 터치되는 단계이다.
스마트폰 근거리 통신모듈 활성화단계(S20)는 위젯버튼 터치단계(S10)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위젯버튼(P)이 터치될 때 진행되며, 차량어플리케이션(3)이 스마트폰(2)의 근거리 통신모듈을 활성화시키는 단계이다.
제1 요청데이터 전송단계(S30)는 주차어플리케이션(3)이 기 저장된 주차면 고유ID를 포함하는 제1 요청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망(10)에 접속된 키오스크(5)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데이터 탐색 및 가상맵 추출단계(S40)는 키오스크(5)가 기 제작된 가상맵들을 탐색하여 제1 요청데이터 전송단계(S30)를 통해 전송받은 제1 요청데이터의 고유ID의 주차면을 포함하는 가상맵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가상맵 수신단계(S50)는 주차 어플리케이션(3)이 근거리 통신망(10)을 통해 키오스크(5)로부터 제1 요청데이터에 대응되는 가상맵을 수신 받는 단계이다.
복귀경로 검출단계(S60)는 주차어플리케이션(3)이 기 설정된 복귀경로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스마트폰(2)의 현재위치 및 주차면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가상맵 상에서 현재위치로부터 주차위기까지의 복귀경로를 검출하는 단계이다.
맵핑단계(S70)는 주차어플리케이션(3)이 전송받은 가상맵에 주차위치 및 검출된 복귀경로를 맵핑시킨 위치안내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디스플레이 단계(S80)는 주차어플리케이션(3)이 생성된 위치안내 인터페이스를 스마트폰(2)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이다.
스마트폰 근거리 통신모듈 비활성화단계(S90)는 디스플레이 단계(S80)에 의해 위치안내 인터페이스가 전시될 때 진행되며, 스마트폰(2)의 근거리 통신모듈을 비활성화 시키는 단계이다.
도 5는 도 2의 스마트폰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어플리케이션(3) 등의 파일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21)와, 주차어플리케이션(3)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들이 전시되는 디스플레이 수단(22)과, 근거리 통신망(1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모듈(23)과, 스마트폰(2)의 O.S(Operating System)를 담당하는 제어모듈(24)과, GPS 위성으로부터 현재 위치를 수신 받는 GPS모듈(25)과, 후술되는 도 7의 주차어플리케이션(25)과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모듈(26)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도 2의 키오스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키오스크(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51)과, 메모리(52), 통신모듈(53), 기타서비스 관리모듈(54), 가상맵 탐색 및 추출모듈(55)로 이루어진다.
제어모듈(51)은 키오스크(5)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51), (52), (53), (54), (55)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모듈(51)은 실시간으로 근거리 통신모듈(53)을 크롤링(Crawling) 하여 근거리 통신망(10)에 접속된 스마트폰(2)의 주차어플리케이션(3)으로부터 제1 요청데이터를 전송받는지를 탐색하며, 만약 제1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가상맵 탐색 및 추출모듈(55)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모듈(51)은 가상맵 탐색 및 추출모듈(55)에 의해 제1 요청데이터에 대응되는 가상맵이 추출되면, 근거리 통신모듈(53)을 제어하여 추출된 가상맵이 해당 스마트폰(2)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52)에는 해당 주차장에 할당된 주차공간(S)의 위치 및 식별정보와, 해당 주차공간(S)에 포함되는 주차면들 각각의 위치 및 고유ID정보들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52)에는 해당 주차장의 각 주차공간(S)의 실제 위치 및 구조에 대응되는 가상맵들이 기 제작되어 저장된다.
근거리 통신모듈(53)은 근거리 통신망(1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기타서비스 관리모듈(54)은 공지된 주차장 키오스크에서 제공하는 일반적인 서비스를 관리 및 제어한다.
가상맵 탐색 및 추출모듈(55)은 근거리 통신모듈(53)을 통해 접속된 스마트폰(2)의 주차어플리케이션(3)으로부터 주차면 고유ID를 포함하는 제1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을 때 동작하며, 메모리(52)에 저장된 가상맵들을 탐색하여 전송받은 고유ID의 주차면을 포함하는 가상맵을 추출한다.
이때 가상맵 탐색 및 추출모듈(55)에 의해 추출된 가상맵은 제어모듈(51)의 제어에 따라 근거리 통신모듈(53)을 통해 해당 스마트폰(2)으로 전송된다.
도 7은 도 2의 주차어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주차어플리케이션(3)은 스마트폰(2)에 설치되어 주차위치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또한 주차어플리케이션(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30)과, 데이터 입출력모듈(31), 인터페이스 처리모듈(32), 기타서비스 관리모듈(33), 근거리통신 제어모듈(34), 제1 요청데이터 생성모듈(35), 복귀경로 검출모듈(36), 맵핑 및 위치안내 인터페이스 생성모듈(37)맵핑 및 위치안내 인터페이스 생성모듈(37), 전시모듈(38)로 이루어진다.
제어모듈(30)은 주차어플리케이션(3)의 전반적인 동작을 관리 및 제어하며, 제어대상(31), (32), (33), (34), (35), (36), (37), (38)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모듈(30)은 데이터 입출력모듈(31)을 통해 스마트폰(2)으로부터 위젯버튼이 터치되었다는 터치데이터를 입력받으면, 근거리통신 제어모듈(34)을 구동시킨다.
이때 제어모듈(30)은 최초 터치데이터를 입력받은 이후, 기 설정된 주기(T) 이내에 터치데이터를 재입력 받는 경우, 근거리통신 제어모듈(34)을 구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복귀경로 검출모듈(36)을 재구동시킨다.
또한 제어모듈(30)은 데이터 입출력모듈(31)을 통해 스마트폰(2)으로부터 주차위치 및 가상맵이 입력되면 입력된 주차위치 및 가상맵을 스마트폰(2)의 메모리(21)에 저장함과 동시에 복구경로 검출모듈(36)와 맵핑 및 위치안내 인터페이스 생성모듈(37)로 입력한다.
데이터 입출력모듈(31)은 스마트폰(2)과 데이터를 입출력한다.
도 8은 도 7의 인터페이스 처리모듈에서 제공되는 기본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인터페이스 처리모듈(32)은 기 제작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익스피어런스(GUX)를 스마트폰(2)의 모니터에 전시하며, 전시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요청받으면 이에 대응되는 연산처리를 수행한 후, 연산처리된 결과값을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처리모듈(3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어플리케이션(3)이 구동될 때, 스마트폰(2)의 디스플레이 수단(21)으로 위젯버튼(P)이 노출되는 기본 인터페이스(800)를 스마트폰(2)의 디스플레이 수단(21)에 전시한다.
이때 위젯버튼(P)은 사용자로부터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안내를 요청받기 위한 터치버튼 또는 아이콘을 의미하고, 사용자에 의해 위젯버튼(P)이 터치되면 제어모듈(30)의 제어에 따라 근거리통신 제어모듈(34)이 구동된다.
기타서비스 관리모듈(33)은 공지된 주차관련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주차요금 정산 및 결제 안내, 주차장 정보 제공, 해당 사용자의 주차관련정보 제공 등의 일반적인 서비스를 관리한다.
이때 기타서비스 관리모듈(33)은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차량의 주차가 이루어질 때, 해당 주차면의 주차면 안내기(미도시)로부터 해당 주차면의 고유ID를 전송받으며, 전송받은 고유ID를 스마트폰(2)의 메모리에 저장함과 동시에 전송받은 고유ID 및 스마트폰의 식별정보를 주차관리서버(9)로 전송한다.
근거리통신 제어모듈(34)은 기본 인터페이스(80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위젯버튼(P)이 터치될 때 구동되며, 스마트폰(2)의 통신 인터페이스모듈(23)을 활성화 시킨다.
또한 근거리통신 제어모듈(34)은 차후, 전시모듈(38)에 의해 위치안내 인터페이스의 전시가 이루어지고 나면, 스마트폰(2)의 통신 인터페이스모듈(23)을 비활성화 시킨다.
제1 요청데이터 생성모듈(35)은 근거리통신 제어모듈(34)에 의해 스마트폰(2)의 통신 인터페이스모듈(23)이 활성화 될 때 구동되며, 기 저장된 주차면 고유ID를 포함하는 제1 요청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제1 요청데이터 생성모듈(35)에 의해 생성된 제1 요청데이터는 제어모듈(30)의 제어에 따라 스마트폰(2)을 통해 접속된 키오스크(5)로 전송된다.
복귀경로 검출모듈(36)은 키오스크(5)로부터 가상맵을 전송받을 때 구동되며, 기 설정된 복귀경로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스마트폰(2)의 GPS모듈(25)에 의해 검출된 현재 위치 및 주차위치를 활용하여 가상맵 상에서 현재위치로부터 주차위치까지의 복귀경로를 검출한다. 이때 복귀경로 검출 알고리즘은 공지된 경로안내 시스템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복귀경로 검출모듈(36)은 위젯버튼(P)이 최초 입력된 이후 기 설정된 주기(T) 이내에 터치될 때 제어모듈(3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며, 기 설정된 복귀경로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스마트폰(2)의 GPS모듈(25)에 의해 검출된 현재 위치로부터 주차위치까지의 복귀경로를 재검출한다.
도 9는 도 7의 맵핑 및 위치안내 인터페이스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위치안내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맵핑 및 위치안내 인터페이스 생성모듈(37)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오스크(5)로부터 전송받은 가상맵(910)에, 주차위치(920) 및 검출된 복귀경로(930)를 맵핑시킨 위치안내 인터페이스(900)를 생성한다.
또한 맵핑 및 위치안내 인터페이스 생성모듈(37)은 복귀경로 검출모듈(36)에 이해 복귀경로가 재검출되면, 재검출된 복귀경로 및 현재위치를 적용한 위치안내 인터페이스(900)를 다시 생성한다.
전시모듈(38)은 맵핑 및 위치안내 인터페이스 생성모듈(37)에 의해 생성된 위치안내 인터페이스(900)를 스마트폰(2)의 디스플레이 수단(22)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1)은 각 주차공간의 실제 위치 및 구조에 대응되는 가상맵들이 현장에 설치된 키오스크에 기 제작되어 저장됨과 동시에 스마트폰이 키오스크로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주차면의 고유ID를 전송한 후, 전송된 고유ID에 대응되는 가상맵을 전송받아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방대한 수량의 주차장들 각각에 대한 가상맵을 현장에서 쉽게 제공받을 수 있어 데이터 저장 및 통신 부하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1)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주차어플리케이션이 가상맵을 전송받으면, 가상맵 상에서 현재 위치로부터 주차위치까지의 복귀경로를 검출한 후, 전송받은 가상맵에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를 맵핑시킨 위치안내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스마트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주차위치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1)은 주차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따른 위치안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 따른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를 쉽게 열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1)은 주차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로부터 최초 주차위치 안내를 요청받을 때 스마트폰의 근거리통신 인터페이스모듈을 활성화시키되, 임계시간이 경과되면 스마트폰의 근거리통신 인터페이스모듈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데이터전송의 오류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1)은 사용자의 주차위치 및 주차정보가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서만 열람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개인정보가 외부로 노출됨과 동시에 차량번호를 키워드로 하여 타인의 주차정보가 노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1: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 2:스마트폰
3:주차어플리케이션 5:키오스크 7:주차장설비 로컬서버
10:근거리 통신망 30:제어모듈 31:데이터 입출력모듈
32:인터페이스 처리모듈 33:기타서비스 관리모듈
34:근거리통신 제어모듈 35:제1 요청데이터 생성모듈
36:복귀경로 검출모듈 37:맵핑 및 위치안내 인터페이스 생성모듈
38:전시모듈 800:기본 인터페이스
900:위치안내 인터페이스

Claims (7)

  1. 각 주차장에 설치되며, 해당 주차장의 각 주차면의 위치 및 고유ID정보와, 주차장의 공간들 중 자신에게 할당된 주차공간(S)의 실제 위치 및 구조에 대응되는 가상맵들이 기 제작되어 저장되며,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된 스마트폰으로부터 주차가 이루어진 주차면의 고유ID를 포함하는 제1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기 저장된 가상맵들을 탐색하여 전송받은 제1 요청데이터의 고유ID의 주차면을 포함하는 가상맵을 추출한 후,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추출된 가상맵을 해당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키오스크들;
    상기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통신 인터페이스모듈과, GPS모듈을 포함하며, 주차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주차어플리케이션은
    주차 시 주차가 이루어진 주차면 고유ID를 전송받아 저장하며, 사용자로부터 주차위치를 요청받으면,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모듈을 활성화시킨 후, 상기 제1 요청데이터를 접속된 키오스크로 전송하고, 접속된 키오스크로부터 제1 요청데이터에 대응되는 가상맵을 전송받으면, 가상맵에 주차위치를 맵핑시킨 위치안내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며, 상기 위치안내 인터페이스 생성 시, 기 설정된 복귀경로 검출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주차위치까지의 복귀경로를 검출한 후, 검출된 복귀경로를 가상맵에 맵핑시키고,
    상기 주차어플리케이션은
    제어모듈;
    구동 시, 사용자로부터 주차위치를 요청받기 위한 터치버튼이 노출되는 기본 인터페이스를 상기 스마트폰의 모니터에 전시하는 인터페이스 처리모듈;
    상기 기본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버튼이 터치될 때,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근거리통신 인터페이스모듈을 활성화시키는 근거리통신 제어모듈;
    상기 근거리통신 제어모듈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근거리통신 인터페이스모듈이 활성화될 때 구동되며, 상기 제1 요청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요청데이터 생성모듈;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접속된 키오스크로부터 가상맵을 전송받을 때 구동되며, 상기 복귀경로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GPS모듈에 의해 검출된 현재 위치 및 주차위치를 활용하여 가상맵 상에서 복귀경로를 검출하는 복귀경로 검출모듈;
    상기 위치안내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맵핑 및 위치안내 인터페이스 생성모듈;
    상기 위치안내 인터페이스를 상기 스마트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전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어플리케이션은
    주차가 이루어진 주차면을 포함하는 할당받은 키오스크의 근거리 통신영역 이내에 상기 스마트폰이 위치할 때, 해당 키오스크로 상기 제1 요청데이터를 전송한 후, 해당 키오스크로부터 주차가 이루어진 주차면을 포함하는 가상맵을 전송받도록 구성됨으로써 가상맵을 별도로 저장하지 않아도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주차가 이루어진 주차면을 포함하는 가상맵을 현장에서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통신 제어모듈은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근거리통신 인터페이스모듈이 활성화된 이후 임계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근거리통신 인터페이스모듈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근거리통신 제어모듈에 의해 상기 근거리통신 인터페이스모듈이 활성화된 이후부터 기 설정된 주기(T) 동안 상기 기본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버튼의 재터치가 이루어지면, 상기 복귀경로 검출모듈을 구동시키고,
    상기 복귀경로 검출모듈은 상기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 및 주차위치를 활용하여 복귀경로를 재검출하고,
    상기 맵핑 및 위치안내 인터페이스 생성모듈은 상기 복귀경로 검출모듈에 의해 재검출된 복귀경로를 활용하여 상기 위치안내 인터페이스를 재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은 각 주차면에 설치되는 주차면 안내기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면 안내기들은
    차량을 감지하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만 근거리 통신수단을 활성화시켜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으로 해당 주차면의 고유ID를 전송함과 동시에 고유ID를 외부 주차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주차면 안내기로부터 전송받은 고유ID와 스마트폰 정보를 상기 주차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
  7. 삭제
KR1020180156886A 2018-12-07 2018-12-07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 KR102173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886A KR102173522B1 (ko) 2018-12-07 2018-12-07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886A KR102173522B1 (ko) 2018-12-07 2018-12-07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479A KR20200070479A (ko) 2020-06-18
KR102173522B1 true KR102173522B1 (ko) 2020-11-04

Family

ID=71143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886A KR102173522B1 (ko) 2018-12-07 2018-12-07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5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08517B (zh) * 2020-09-03 2021-11-02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自动泊车系统的目标车位选择方法及其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698B1 (ko) * 2006-12-08 2007-12-03 주식회사 인프라밸리 주차 위치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127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도로정보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와 그 방법
KR101521444B1 (ko) * 2013-08-07 2015-05-20 한국주차설비공업협동조합 주차 복귀경로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 및 이를 이용한 주차장 복귀경로 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698B1 (ko) * 2006-12-08 2007-12-03 주식회사 인프라밸리 주차 위치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479A (ko)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153B1 (ko) 주차 안내 및 주차장 관리를 위한 통합 시스템
KR101505871B1 (ko) 주차 위치 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위치 확인방법
US9827983B2 (en) Automated vehicle parking
US11747165B2 (en) Inconvenience for passenger pickups and drop offs for autonomous vehicles
US20170313353A1 (en) Parking Space Determining Method and Apparatus, Parking Space Navig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US20130176147A1 (en) Managing parking space availability
Elsonbaty et al. The smart parking management system
JP5681233B2 (ja) 知能型映像管制システム及び方法
CN103942973A (zh) 用于在停车场寻找车位的方法
KR102187187B1 (ko)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 및 장치
Idris et al. Smart parking system usin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CN115497331B (zh) 一种泊车方法、装置、设备及车辆
EP3974931A1 (en) Semantic identification of pickup locations
CN112802363A (zh) 基于全景视频和人脸识别技术的智能引导系统和方法
KR102268014B1 (ko) 공유 주차면 요금 결제시스템
KR102173522B1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
US10043388B1 (en) Parking system
US20190318624A1 (en) Boarding information guiding system and method, and procedur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KR200448715Y1 (ko) 주차 위치 안내가 가능한 엘리베이터
KR1012265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를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및 이를 이용한 주차위치 제공시스템
KR102086781B1 (ko) 비콘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42360B1 (ko) 핫코드를 이용한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49328B1 (ko) 유저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주차정보 제공시스템
WO2022239268A1 (ja) 地図表示システムおよび地図表示方法
CN117496755B (zh) 内部路线自动规划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