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833B1 - 탈선복구장치 - Google Patents

탈선복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833B1
KR102172833B1 KR1020200066809A KR20200066809A KR102172833B1 KR 102172833 B1 KR102172833 B1 KR 102172833B1 KR 1020200066809 A KR1020200066809 A KR 1020200066809A KR 20200066809 A KR20200066809 A KR 20200066809A KR 102172833 B1 KR102172833 B1 KR 102172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member
support
train
lateral directio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필
Original Assignee
한동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필 filed Critical 한동필
Priority to KR1020200066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5/00Apparatus for placing vehicles on the track; Derailers; Lifting or lowering rail vehicle axle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가 레일에서 탈선한 경우, 열차를 효과적으로 레일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탈선복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선복귀장치는 탈선사고가 발생되면 사고발생지점으로 이동킨 후, 간단히 설치하여 열차(1)를 복귀시킬 수 있음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열차(1)를 효율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탈선복구장치{restoration apparatus for derailed train}
본 발명은 열차가 레일에서 탈선한 경우, 열차를 효과적으로 레일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탈선복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에 구비된 휠이 상호 측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도록 구비된 한 쌍의 레일(2)에 올려진 상태에서 레일(2)을 따라 운행을 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열차(1)의 경우, 운행중에 다양한 이유로 레일(2)에서 탈선을 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열차(1)가 탈선될 경우, 탈선된 열차(1) 뿐 아니라 후속 열차(1)의 운행에도 지장이 발생됨으로, 탈선된 열차(1)를 빠른 시간내에 레일(2)로 복귀시켜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열차(1)가 탈선한 경우, 유압자키를 이용하여 열차를 들어 올린 후, 별도의 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열차를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열차를 레일(2)로 복귀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열차(1)의 전단부에는 지지부(1a)가 형성되어, 상기 유압자키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부(1a)를 상측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열차(1)를 상측으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등록실용신안 20-0322460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차(1)가 레일(2)에서 탈선한 경우, 열차(1)를 효과적으로 레일(2)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탈선복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레일(2)의 상측에 레일(2)과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인접면에는 고정브라켓(21)이 구비된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20)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고정브라켓(21)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2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간격조절바(3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면 일측에 구비된 지지블록(40)과, 상기 지지블록(40)과 일측의 슬라이드부재(20)의 사이에 위치되며 신축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재(20)를 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푸시실린더(50)와, 상기 슬라이드부재(20)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신축시 상단이 탈선된 열차(1)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들어 올리는 한 쌍의 상승실린더(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선복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10)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레일(2)의 상측에 배치되며 중앙부에는 힌지브라켓(13)이 구비된 하부지지바(12)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중간부가 상기 힌지브라켓(13)에 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부지지바(14)와, 상기 상부지지바(14)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지지바(14)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15)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하부지지바(12)와 상부지지바(14)의 사이에 구비되어 신축에 따라 상부지지바(14)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회동실린더(16)와, 상기 기울기센서(15)의 신호를 피드백하여 상기 회동실린더(16)의 신축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상부지지바(14)가 수평을 이루도록 조절하는 제어수단(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선복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부재(20)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핀(24)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핀(24)의 상면 중앙부에는 탄성부재(25a)에 의해 돌출핀(24)의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도록 가압되는 지지볼(25)이 구비되며, 상기 상승실린더(60)의 하측면 중앙부에는 내경이 상기 돌출핀(24)의 외경에 비해 크게 구성되어 내부에 상기 돌출핀(24)이 삽입되는 삽입홈(6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61)의 상부면은 중앙부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구성되어, 상기 상승실린더(60)를 슬라이드부재(20)의 상면에 올려놓으면, 상기 지지볼(25)이 삽입홈(61)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상승실린더(60)가 상기 돌출핀(24)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탄성적으로 측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20)의 내부에는 공간부(26)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20)의 상면에는 상기 공간부(26)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배출공(27)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26)에는 공간부(26)의 내부로 고압의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공급수단(28)이 연결되어, 상기 상승실린더(60)가 상측으로 상승되어 열차(1)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상기 윤활유공급수단(28)을 이용하여 공간부(26)의 내부로 윤활유를 공급하면, 윤활유가 상기 배출공(27)을 통해 슬라이드부재(20)의 상면과 상승실린더(60)의 하측면 사이로 공급되어, 슬라이드부재(20)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때, 상기 상승실린더(60)가 적절히 유동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선복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선복귀장치는 탈선사고가 발생되면 사고발생지점으로 이동킨 후, 간단히 설치하여 열차(1)를 복귀시킬 수 있음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열차(1)를 효율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레일과 열차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선복구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선복구장치의 유압계통을 도시한 참고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탈선복구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탈선복구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선복구장치의 제2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선복구장치의 제2 실시예의 유압계통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선복구장치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탈선복구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탈선복구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레일(2)의 상측에 레일(2)과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인접면에는 고정브라켓(21)이 구비된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20)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고정브라켓(21)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2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간격조절바(3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면 일측에 구비된 지지블록(40)과, 상기 지지블록(40)과 일측의 슬라이드부재(20)의 사이에 위치되며 신축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재(20)를 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푸시실린더(50)와, 상기 슬라이드부재(20)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신축시 상단이 탈선된 열차(1)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들어 올리는 한 쌍의 상승실린더(6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0)는 강도가 높은 금속재의 사각관체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면에는 다수개의 결합공(11)이 상호 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재의 사각블록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전후단에는 상기 지지대(10)의 전후단에 걸리는 걸림턱(22)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도시 안된 지지로울러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10)의 상면에 올려진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간격조절바(30)는 2개의 관체를 길이조절가능하게 나사결합하여 구성된 것으로, 양단에는 상기 고정브라켓(21)에 고정되는 헤드부(31)가 결합되어 간격조절바(30)의 길이를 조절한 후, 양단을 상기 고정브라켓(21)에 삽입결합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20)의 간격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블록(40)은 하측면에 구비된 고정핀(41)이 상기 지지대(10)의 결합공(11)에 삽입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블록(40)이 삽입되는 결합공(11)을 선택하여, 지지블록(40)의 측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푸시실린더(50)는 일단은 상기 지지블록(40)에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재(20)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신장되면 상기 슬라이드부재(20)를 측방향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승실린더(60)는 3단으로 신장되는 텔레스코픽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하측면이 슬라이드부재(20)의 상면 중앙부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푸시실린더(50)와 상승실린더(60)에는 유압호스(72)를 통해 유압펌프(71)가 연결되고, 상기 유압호스(72)의 중간부에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푸시실린더(50)와 상승실린더(60)에 공급되는 오일의 흐름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제어밸브(73)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제어밸브(73)를 조작하여 푸시실린더(50)와 상승실린더(60)의 신축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탈선복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선사고가 발생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지지대(10)를 탈선한 열차(1)의 단부 하측에 위치되도록 배치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10)는 레일(2) 양측의 지면에 배치된 높이조절블록(18)의 상면에 양단이 올려져, 지지대(10)의 하측면이 레일(2)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지지대(10)를 설치할 때는 상기 높이조절블록(18)의 높이를 조절하여, 지지대(10)의 상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대(10)의 상면이 일측으로 기울어질 경우, 상기 슬라이드부재(20)에 올려진 상승실린더(60)가 수직을 이루지 못하고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상승실린더(60)가 수직을 이루지 못한 상태에서 상승실린더(60)가 신장되어 매우 무거운 열차(1)를 들어 올릴 경우, 상승실린더(60)가 불안한 상태가 되며 심할 경우, 상승실린더(60)가 일측으로 쓰러지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음으로, 상기 지지대(10)는 상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지지대(10)의 상면에 상기 슬라이드부재(20)를 올려놓고, 상기 슬라이드부재(20)의 간격을 상기 열차(1)의 전단부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1a)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조절한 후, 상기 간격조절바(30)를 슬라이드부재(20)의 고정브라켓(21)에 결합하여 슬라이드부재(20)의 간격을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재(20)의 상면에 상기 상승실린더(60)를 올려놓고, 상기 상승실린더(60)가 열차(1)의 지지부(1a)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슬라이드부재(20)의 위치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0)에 지지블록(40)을 고정하고, 지지블록(40)과 슬라이드부재(20)의 사이에 상기 푸시실린더(50)를 배치한 후, 상기 푸시실린더(50)와 상승실린더(60)에 상기 유압호스(72)를 연결하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압펌프(71)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어밸브(73)를 조작하여 상기 상승실린더(60)를 상승시키면 상기 상승실린더(60)가 열차(1)의 지지부(1a)를 상측으로 밀어 올려 열차(1)가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제어밸브(73)를 조작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푸시실린더(50)를 신장시키면, 상기 슬라이드부재(20)와 간격조절바(30) 및 상승실린더(60)가 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열차(1)의 휠이 레일(2)의 상부에 위치되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밸브(73)를 조작하여 상승실린더(60)를 축소시키면, 열차(1)의 후리에 레일(2)의 상부에 올려져 열차(1)가 복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탈선복귀장치는 탈선사고가 발생되면 사고발생지점으로 이동킨 후, 간단히 설치하여 열차(1)를 복귀시킬 수 있음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열차(1)를 효율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지지대(10)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레일(2)의 상측에 배치되며 중앙부에는 힌지브라켓(13)이 구비된 하부지지바(12)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중간부가 상기 힌지브라켓(13)에 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부지지바(14)와, 상기 상부지지바(14)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지지바(14)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15)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하부지지바(12)와 상부지지바(14)의 사이에 구비되어 신축에 따라 상부지지바(14)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회동실린더(16)와, 상기 기울기센서(15)의 신호를 피드백하여 상기 회동실린더(16)의 신축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7)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지지바(14)와, 하부지지바(12)는 강도가 높은 사각관체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공(11)은 상기 하부지지바(12)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부지지바(14)의 상면에 상기 지지블록(40)을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20)를 상부지지바(14)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기울기센서(15)는 상기 상부지지바(14)가 수평방향에 비해 일측으로 기울면 상부지지바(14)가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수단(17)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실린더(16)는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하단이 상기 하부지지바(12)와 상부지지바(14)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보조유압호스(74)를 통해 상기 유압펌프(71)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유압호스(74)에는 보조제어밸브(75)가 구비되어, 보조제어밸브(75)를 조작하여 좌우측의 회동실린더(16)가 반대방향으로 신축하도록 제어하면, 상기 상부지지바(14)가 측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제어수단(17)은 상기 기울기센서(1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부지지바(14)가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일측으로 기울어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보조제어밸브(75)를 제어하여 회동실린더(16)가 신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지지바(14)가 수평을 이루도록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재(20)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핀(24)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핀(24)의 상면 중앙부에는 탄성부재(25a)에 의해 돌출핀(24)의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도록 가압되는 지지볼(25)이 구비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승실린더(60)의 하측면 중앙부에는 삽입홈(6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61)은 내경이 상기 돌출핀(24)의 외경에 비해 크게 구성되어 내부에 상기 돌출핀(24)이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부면은 중앙부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61)의 중앙부의 높이는 상기 지지볼(25)의 상단부의 높이에 비해 미세하게 높게 구성되고, 둘레부의 높이는 상기 지지볼(25)의 상단부의 높이에 비해 낮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부재(20)의 상면에 상기 상승실린더(60)를 올려놓으면, 상기 삽입홈(61)과 지지볼(25)의 작용에 의해 지지볼(25)이 삽입홈(61)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상승실린더(60)가 위치된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실린더(60)가 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지지볼(25)이 하측으로 가압됨으로, 상기 상승실린더(60)가 상기 돌출핀(24)의 중앙부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승실린더(60)가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재(20)의 내부에는 공간부(26)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20)의 상면에는 상기 공간부(26)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배출공(27)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27)은 상기 돌출핀(24)의 둘레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26)에는 공간부(26)의 내부로 고압의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공급수단(28)이 연결된다.
상기 윤활유공급수단(28)은 공급관(28a)을 통해 상기 공간부(26)에 연결되며 도시 안된 저장통에 저장된 윤활유를 가압하여 상기 공간부(26)로 공급하는 윤활유펌프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탈선복구장치는 상기 지지대(10)를 레일(2)의 상측에 배치하면, 상기 기울기센서(15)가 상부지지바(14)의 기울기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수단(17)이 기울기센서(15)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회동실린더(16)를 신축제어함으로써, 상기 상부지지바(14)가 수형을 이루도록 조절함으로써, 상기 상승실린더(60)로 열차(1)를 들어 올릴 때,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대(10)를 설치할 때는 지지대(10)의 상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하여야 하는데,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10)를 지지하기 위한 높이조절블록(18)을 설치할 바닥면이 일측으로 경사진 경우가 자주 발생되며, 이러한 경우, 지지대(10)가 일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울기센서(15)와 제어수단(17) 및 회동실린더(16)에 의해 상부지지바(14)가 회동되어, 상기 지지대(10)가 기울어진 바닥면에 설치되더라도 상부지지바(14)의 상면이 자동으로 수평을 이루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재(20)에 올려진 상승실린더(60)가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됨으로, 상승실린더(60)가 열차(1)를 들어 올릴 때, 열차(1)를 더욱 안정적으로 들어 올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승실린더(60)를 신장시켜 열차(1)를 들어 올리고 상기 푸시실린더(50)를 이용하여 슬라이드부재(20)를 측방향으로 밀 때, 상기 윤활유공급수단(28)을 이용하여 공간부(26)의 내부로 윤활유를 공급하면, 상기 윤활유가 배출공(27)을 통해 슬라이드부재(20)와 상승실린더(60)의 사이로 유입되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실린더(60)가 원활히 전후방향이나 측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승실린더(60)는 상기 삽입홈(61)에 삽입된 돌출핀(24)과 지지볼(25)에 의해 탄성적으로 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지지됨으로, 슬라이드부재(20)를 측방향으로 밀어 열차(1)를 레일(2)로 복귀시킬 때 상승실린더(60)와 열차(1)의 사이에 발생되는 움직임의 오차가 발생될 경우, 상승실린더(60)가 적절히 전후 및 측방향으로 유동되어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슬라이드부재(20)를 측방향으로 밀 때, 상기 상승실린더(60)는 슬라이드부재(20)와 함께 상기 지지대(10)를 따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데, 상기 상승실린더(60)에 들어 올려진 열차(1)의 전단부는 후단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을 그리도록 측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승실린더(60)와 열차(1)의 사이에 움직임의 오차가 발생되며, 이러한 경우, 상승실린더(60)와 열차(1)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거나, 상승실린더(60)가 쓰러지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이러한 오차에 대응되도록 상승실린더(60)가 슬라이드부재(20)의 상면에서 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슬라이드되어, 이러한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지지대 20. 슬라이드부재
30. 간격조절바 40. 지지블록
50. 푸시실린더 60. 상승실린더

Claims (3)

  1.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레일(2)의 상측에 레일(2)과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인접면에는 고정브라켓(21)이 구비된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20)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고정브라켓(21)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2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간격조절바(3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면 일측에 구비된 지지블록(40)과,
    상기 지지블록(40)과 일측의 슬라이드부재(20)의 사이에 위치되며 신축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재(20)를 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푸시실린더(50)와,
    상기 슬라이드부재(20)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신축시 상단이 탈선된 열차(1)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들어 올리는 한 쌍의 상승실린더(6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10)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레일(2)의 상측에 배치되며 중앙부에는 힌지브라켓(13)이 구비된 하부지지바(12)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중간부가 상기 힌지브라켓(13)에 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부지지바(14)와,
    상기 상부지지바(14)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지지바(14)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15)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하부지지바(12)와 상부지지바(14)의 사이에 구비되어 신축에 따라 상부지지바(14)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회동실린더(16)와,
    상기 기울기센서(15)의 신호를 피드백하여 상기 회동실린더(16)의 신축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상부지지바(14)가 수평을 이루도록 조절하는 제어수단(17)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20)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핀(24)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핀(24)의 상면 중앙부에는 탄성부재(25a)에 의해 돌출핀(24)의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도록 가압되는 지지볼(25)이 구비되며,
    상기 상승실린더(60)의 하측면 중앙부에는 내경이 상기 돌출핀(24)의 외경에 비해 크게 구성되어 내부에 상기 돌출핀(24)이 삽입되는 삽입홈(6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61)의 상부면은 중앙부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구성되어,
    상기 상승실린더(60)를 슬라이드부재(20)의 상면에 올려놓으면, 상기 지지볼(25)이 삽입홈(61)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상승실린더(60)가 상기 돌출핀(24)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탄성적으로 측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20)의 내부에는 공간부(26)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20)의 상면에는 상기 공간부(26)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배출공(27)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26)에는 공간부(26)의 내부로 고압의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공급수단(28)이 연결되어,
    상기 상승실린더(60)가 상측으로 상승되어 열차(1)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상기 윤활유공급수단(28)을 이용하여 공간부(26)의 내부로 윤활유를 공급하면, 윤활유가 상기 배출공(27)을 통해 슬라이드부재(20)의 상면과 상승실린더(60)의 하측면 사이로 공급되어, 슬라이드부재(20)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때, 상기 상승실린더(60)가 적절히 유동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선복구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00066809A 2020-06-03 2020-06-03 탈선복구장치 KR102172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809A KR102172833B1 (ko) 2020-06-03 2020-06-03 탈선복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809A KR102172833B1 (ko) 2020-06-03 2020-06-03 탈선복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833B1 true KR102172833B1 (ko) 2020-11-02

Family

ID=7339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809A KR102172833B1 (ko) 2020-06-03 2020-06-03 탈선복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83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6130A (en) * 1981-02-25 1985-01-29 Jun Toyama Support device
JPH08119104A (ja) * 1994-10-26 1996-05-14 Universal Kiki Kk 鉄道車両の脱線復旧用横送り装置
JP2000289994A (ja) * 1999-04-05 2000-10-17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ジャッキ装置
KR200322460Y1 (ko) 2003-05-23 2003-08-09 문실태 탈선 열차 복귀장치
KR101855829B1 (ko) * 2017-12-11 2018-05-09 주식회사 뉴코애드윈드 경사 조절가능한 카트장치
KR101940454B1 (ko) * 2018-07-02 2019-01-18 주식회사 브리텍 지진 격리용 면진받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6130A (en) * 1981-02-25 1985-01-29 Jun Toyama Support device
JPH08119104A (ja) * 1994-10-26 1996-05-14 Universal Kiki Kk 鉄道車両の脱線復旧用横送り装置
JP2000289994A (ja) * 1999-04-05 2000-10-17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ジャッキ装置
KR200322460Y1 (ko) 2003-05-23 2003-08-09 문실태 탈선 열차 복귀장치
KR101855829B1 (ko) * 2017-12-11 2018-05-09 주식회사 뉴코애드윈드 경사 조절가능한 카트장치
KR101940454B1 (ko) * 2018-07-02 2019-01-18 주식회사 브리텍 지진 격리용 면진받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4134A (en) Vehicle wheel lift and stand apparatus
US4084790A (en) Multi-purpose vehicle service hoist
KR100986478B1 (ko)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자동압출장치
US6845848B1 (en) Vehicle lift with adjustable outriggers
EP0026779A1 (en) DEVICE FOR LIFTING AND MOVING.
US6419292B1 (en) Truck bed conversion
AU2019363715B2 (en) Railway wagon for transportation of semitrailers and the like
CN201102875Y (zh) 组合液压千斤顶
KR102172833B1 (ko) 탈선복구장치
US5090549A (en) Conveyor system
US5941347A (en) Portable lift
CN108298466A (zh) 一种自动化升降机构
US6695287B1 (en) Portable hydraulic vehicle lift
US3998340A (en) Conveyor cross
KR102201985B1 (ko) 철도차량 탈선복귀장치
CN107814143B (zh) 一种用于伸缩皮带输送机上的操作站台
JP2007320491A (ja) 保守車両昇降装置および保守車両昇降方法
US4746262A (en) Apparatus for handling and transporting double frame structures
KR102521559B1 (ko) 철도차량 탈선 복귀 장치
CN111994800B (zh) 一种可换轨的门式起重机
CN205135473U (zh) 修井用排管架
CN108298457A (zh) 一种自动顶升设备
US3433447A (en) Stabilizing assembly for hoist
CN106218666B (zh) 液压复轨器
RU229035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