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461B1 -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 및 수집방법 - Google Patents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 및 수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461B1
KR102172461B1 KR1020180082799A KR20180082799A KR102172461B1 KR 102172461 B1 KR102172461 B1 KR 102172461B1 KR 1020180082799 A KR1020180082799 A KR 1020180082799A KR 20180082799 A KR20180082799 A KR 20180082799A KR 102172461 B1 KR102172461 B1 KR 102172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factory
analysis
unit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8750A (ko
Inventor
김기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더블유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더블유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더블유엠
Priority to KR1020180082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46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8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5/23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를 개시한다. 이 발명에 의한 공장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는 공장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 센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의 분석을 통해 공장 내 작업자의 위치를 분석하는 작업자 위치 분석부; 작업자 위치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저장하는 작업자 위치 저장부; 공장 내부에 설치된 전력소비장치들의 온 오프 상태를 인지하는 전원상태 확인부; 전원상태 확인부에서 검출되는 온 오프 시간을 차례로 저장하는 온 오프 시간 저장부; 및 온 오프 시간 저장부에 저장된 온 오프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대에 저장된 작업자 위치 저장부에 공장 내 사람의 위치 분석을 통해 작업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는 작업자 행동패턴 분석부;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 및 수집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behavior data of person in the factory for using FEMS}
이 발명은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장 내부의 작업자 또는 작업관리자가 드나드는 동선과 행동 패턴을 카메라 센서와 공장 내부에 설치된 각종 전원 스위치들의 온 오프 상태와 연계하여 분석하여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동선 데이터 수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러 기계나 전자적인 설비 등을 갖춘 일정 규모 이상의 공장에서 상당한 수준의 전력을 소비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공장 설비는 점차 더 현대화가 되면서 전력 사용량은 증가하는 실정이다. 이에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측뿐만 아니라 에너지를 공급하는 공급자 및 관리 당국 등에서는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FEMS,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에 대하여 여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일환으로 개발되어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 및 등록된 10-1749456호, 10-1749457호 등의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한편,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이 적용되어야 할 소정 규모를 갖는 공장은, 각각의 공장 사정은 제각각 다르겠지만, 공장시설의 안전이나 보안 등을 위해 소비되는 전력, 공장에 설비된 직접적인 가동설비의 구동에 소비되는 전력, 조명이나 냉난방 등 가동 설비가 설치된 공간 관리에 소비되는 전력, 가동 설비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나 공장 내부에 있는 작업자 또는 작업관리자의 편의를 위해 소비되는 전력 등 전력의 소비 목적과 특성에 차이가 있게 된다.
또한, 공장은 상시 작업자 또는 작업관리자가 배치되어야 하는 섹터, 상시 작업자 또는 작업관리자의 배치가 있어서는 안 되는 섹터, 상시 작업자 또는 작업관리자의 배치는 필요 없으나 사람이 드나들게 되는 섹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공장의 가동에 필수적으로 상시 전력이 공급이 이루어져야 할 부분 이외에 작업자 또는 작업 관리자의 주의를 통해서도 에너지를 줄일 수 있는 부분이 상당하다. 이에 에너지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홍보나 계도들을 지속적으로 요청함에도 자율적인 반영은 잘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1749456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1812777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1749457호
이 발명은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장 내부의 작업자 또는 작업관리자가 드나드는 동선과 행동 패턴을 카메라 센서와 공장 내부에 설치된 각종 스위치들을 연계하여 분석하여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해 이 출원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는 공장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 센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의 분석을 통해 공장 내 작업자의 위치를 분석하는 작업자 위치 분석부; 작업자 위치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저장하는 작업자 위치 저장부; 공장 내부에 설치된 전력소비장치들의 온 오프 상태를 인지하는 전원상태 확인부; 전원상태 확인부에서 검출되는 온 오프 시간을 차례로 저장하는 온 오프 시간 저장부; 및 온 오프 시간 저장부에 저장된 온 오프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대에 저장된 작업자 위치 저장부에 공장 내 사람의 위치 분석을 통해 작업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는 작업자 행동패턴 분석부;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에서 작업자 행동패턴 분석부는 온 오프 시간 저장부에 저장된 특정 온 오프 시간을 기준으로 사전에 설정된 일정 시간 이전부터의 행동을 분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에서 작업자 행동패턴 분석부에서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1명 이상의 작업자가 위치하는 구역의 빈도 분석과 1명 이상의 작업자의 동선 분석을 통해 작업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에서 작업자 위치 저장부는 온 오프 시간 저장부에 저장되는 공장 내 특정 전력소비장치의 온 오프 상태를 단위별로 저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에서 작업자 위치 분석부는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의 합성 분석을 통해 공장 내부의 전체구역 또는 단위 구역별로 작업자의 위치가 하나의 프레임 상에 처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방법은 공장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의 분석을 통해 공장 내 작업자의 위치를 분석하는 작업자 위치 분석단계; 작업자 위치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결과를 저장하는 작업자 위치 분석결과 저장단계; 공장 내부에 설치된 전력소비장치들의 전원상태를 인지하고 특정 전력소비장치의 전원이 온 오프 된 상황을 시간 순으로 저장하는 단계; 및 특정 전력소비장치의 전원이 온 오프 된 시간대에 대응하는 시간대의 공장 내 사람의 위치 분석을 통해 작업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는 작업자 행동패턴 분석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공장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전력소비장치의 온 오프 상태를 기초하여 공장 내 작업자들의 행동패턴 분석을 하게 되면 관리자의 육안에 의한 분석에 비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여 공장 내 전력소비장치들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장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의 대략적인 구성도.
도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장 내 작업자의 위치 빈도를 설명하기 위한 영상 프레임의 예를 보인 도면.
도3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장 내 작업자의 동선을 설명하기 위한 영상 프레임의 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 발명에 따른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대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며, 도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에서 분석된 공장 내 작업자의 위치 빈도를 보인 프레임의 예이며, 도3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에서 분석된 공장 내 작업자의 동선을 보인 프레임의 예이다
이 발명에 따른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100, 이하에서는 공장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로 약칭할 수 있다)는 도1에서 바와 같이 공장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110), 카메라(110)에서 촬영된 영상의 분석을 통해 공장 내 작업자의 위치를 분석하는 작업자 위치 분석부(120), 작업자 위치 분석부(120)의 분석 결과를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저장하는 작업자 위치 저장부(130), 공장 내부에 설치된 전력소비장치(200)들의 온 오프 상태를 인지하는 전원상태 확인부(140), 전원상태 확인부(140)에서 검출되는 온 오프 시간을 차례로 저장하는 온 오프 시간 저장부(150) 및 온 오프 시간 저장부(150)에 저장된 온 오프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대에 저장된 작업자 위치 저장부(130)에 공장 내 사람의 위치 분석을 통해 작업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는 작업자 행동패턴 분석부(160)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공장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100)에서 카메라(110)는 공장의 면적이나 형태 등에 따라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카메라(110)에서 촬영된 영상들이 공장 내부 전체가 하나의 프레임 상에 처리되도록, 또는 공장의 면적이 넓거나 다른 이유로 인하여 단위 구역별로 하나의 프레임으로 처리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수의 카메라(110)에서 촬영되는 영상들은 영상 합성 과정을 통해서 공장 내부 전체구역이 하나의 프레임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단위 구역별로 하나의 프레임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업자 위치 분석부(120)에서는 전술한 복수의 카메라(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해당 작업자의 위치를 작업자 위치 저장부(130)에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공장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100)에서 사용되는 카메라(110)는 CCD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자외선 카메라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위치를 분석하여 파악할 수 있는 형태의 다른 특수 카메라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공장 내 작업자의 위치 분석 과정에는 카메라(110)에서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는 휴대폰을 포함한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위치감지수단에서 감지되는 위치를 반영될 수 있다. 또한, 공장 작업자 행동패턴 분석을 위해서 일정 기간 작업자들의 신체 등에 부착할 수 있는 칩이 사용될 수도 있다. 작업자의 위치정보는 각종 통신 수단에 의해서 작업자 위치 분석부(120)에 송신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도2는 이 발명에 따른 작업자 위치 분석부(120)에 의해서 분석되어 작업자 위치 저장부(130)에 기록되는 영상 프레임의 한 예를 보인 것이다. 도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작업자 위치 저장부(130)에 기록되는 영상 프레임(310)에는 설정된 시간 간격을 두고 일정 시간대(예를 들어, 오전 10시 00분 ~ 10시 10분)에 공장 내부 전체구역 또는 특정 단위 구역 내에 작업자가 위치되었던 상태를 빈도로 보인 것이다.
도 3은 이 발명에 따른 작업자 위치 분석부(120)에 의해서 분석되어 작업자 위치 저장부(130)에 기록되는 영상 프레임의 한 예를 보인 것이다. 도3에서 보이는 같이 작업자 위치 저장부(130)에 기록되는 영상 프레임(320)에는 설정된 시간 간격을 두고 일정 시간대(예를 들어, 오전 10시 00분 ~ 10시 10분)에 공장 내부 전체구역 또는 특정 단위 구역 내에 특정 작업자 또는 복수의 특정 작업자가 움직인 동선을 보인 것이다.
물론, 복수의 카메라(110)에서 촬영된 영상은 원본 상태의 동영상으로 또는 압축된 상태의 동영상으로도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공장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100)가 적용되는 공장 내에는 여러 형태의 전력소비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다. 공장의 목적에 따라 다르겠지만, 공장의 가동에 필수적으로 전력소비가 필요한 장치, 공장 내부를 조명하는데 필요한 장치, 공장 시설의 경비나 관리에 전력소비가 이루어지는 장치, 공장 내 작업자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공장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100)의 전원상태 확인부(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장 내부에 설치되어 전력소비가 이루어지는 전력소비장치(200)들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되는 상태를 인지하기 위한 것이다. 전원상태 확인부(140)는 공장 내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전력소비장치(200)에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전원상태 확인부(140)에서 확인된 각 전력소비장치(200)가 온 또는 오프 작동된 상태는 시계열적으로 온 오프 시간 저장부(150)에 기록된다.
한편, 공장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100)의 작업자 행동패턴 분석부(160)에서는 온 오프 시간 저장부(150)에 기록된 시간대에 대응하는 시간에 작업자 위치 저장부(130)에 기록된 작업자 위치 데이터를 불러들여 특정 전력소비장치(200)의 온 오프 시에 해당하는 작업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한다. 작업자 행동패턴 분석부(160)에서의 분석은 실시간으로 처리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관리자의 선택과 지시에 의해 분석이 필요한 구간에서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특히, 작업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온 오프 시간 저장부(150)에 기록된 특정 시간의 분석이 요청되면, 작업자 행동패턴 분석부(160)에서는 분석이 요청된 특정 시간(특정 전력소비장치의 온 오프가 이루어진 때)을 기준으로 사전에 설정된 일정 시간 이전부터의 작업자 행동패턴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공장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100)의 작업자 행동패턴 분석부(160)에서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작업자 또는 복수의 작업자들이 위치하는 구역의 빈도 분석과 작업자 또는 작업자들의 동선 분석을 통해서 작업자들의 행동패턴을 분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업자 행동패턴 분석부(160)에서의 작업자 행동분석은 작업자 위치 저장부(130)에 기록되어 있는 작업자 위치 빈도 영상 프레임 및 작업자 동선 영상 프레임들의 시간순으로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한편, 작업자 위치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영상은 특정 전력소비장치(200)의 온 오프 작동할 때는 하나의 단위로 하여 저장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전력소비장치(200)가 온(On) 된 구간 동안의 작업자 행동패턴 분석을 위한 설정과, 특정 전력소비장치(200)가 오프(Off) 된 구간 동안의 작업자 행동패턴 분석을 위한 설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100)는 다음의 단계를 통해서 작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우선, 작업자 위치 분석단계에서 공장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110)에서 촬영된 영상의 분석을 통해 공장 내 작업자의 위치를 분석하고, 작업자 위치 분석결과 저장단계에서 분석된 작업자들의 위치가 저장된다.
그리고 공장 내부에 설치된 전력소비장치들의 전원상태를 인지하고 특정 전력소비장치의 전원이 온 오프 된 상태가 발생한 상황을 시계열적으로 저장하게 된다.
공장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100)의 작업자 행동패턴 분석부(160)에서는 특정 전력소비장치(200)의 전원이 온 오프 된 시간대에 대응하는 시간대의 공장 내 사람의 위치 분석을 통해 작업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는 하게 된다.
위와 같은 장치와 방법에 의해서 분석된 공장 내 작업자의 행동패턴은 공장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전력소비장치와 연계된 분석결과로서 공장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는 과정에서 객관적인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한정 해석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공장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
110 : 카메라 120 : 작업자 위치 분석부
130 : 작업자 위치 저장부 140 : 전원상태 확인부
150 : 온 오프 시간 저장부 160 : 작업자 행동패턴 분석부

Claims (6)

  1. 공장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의 분석을 통해 공장 내 작업자의 위치를 분석하되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의 합성 분석을 통해 공장 내부의 전체구역 또는 단위 구역별로 1명 이상의 작업자의 위치가 공장 내 특정 전력소비장치의 위치와 비교되도록 하나의 영상 프레임 상에 처리되도록 설정되는 작업자 위치 분석부;
    상기 작업자 위치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저장하되 상기 특정 전력소비장치의 온 오프 상태와 연계하여 저장하도록 설정되는 작업자 위치 저장부;
    공장 내부에 설치된 전력소비장치들의 온 오프 상태를 인지하는 전원상태 확인부;
    상기 전원상태 확인부에서 검출되는 온 오프 시간을 차례로 저장하는 온 오프 시간 저장부; 및
    상기 온 오프 시간 저장부에 저장된 온 오프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대에 저장된 작업자 위치 저장부에 공장 내 사람의 위치 분석을 통해 작업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는 작업자 행동패턴 분석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행동패턴 분석부는 상기 온 오프 시간 저장부에 저장된 특정 온 오프 시간을 기준으로 사전에 설정된 일정 시간 이전부터의 행동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행동패턴 분석부에서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1명 이상의 작업자가 위치하는 구역의 빈도 분석과 상기 1명 이상의 작업자의 동선 분석을 통해 작업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82799A 2018-07-17 2018-07-17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 및 수집방법 KR102172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799A KR102172461B1 (ko) 2018-07-17 2018-07-17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 및 수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799A KR102172461B1 (ko) 2018-07-17 2018-07-17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 및 수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750A KR20200008750A (ko) 2020-01-29
KR102172461B1 true KR102172461B1 (ko) 2020-10-30

Family

ID=69322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799A KR102172461B1 (ko) 2018-07-17 2018-07-17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 및 수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4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3872A (ja) * 2007-06-25 2009-01-08 Shibuya Kogyo Co Ltd 行動履歴管理システム
JP2012208613A (ja) * 2011-03-29 2012-10-25 Toshiba Corp 行動状態推定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283B1 (ko) * 2014-12-31 2017-04-06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작업자 행동기반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12777B1 (ko) 2016-04-25 2018-01-30 한국지역난방공사 사물인터넷 기반 지역난방 사용자 시설 모니터링 및 효율 개선 시스템
KR101749456B1 (ko) 2016-05-24 2017-06-26 주식회사 신일이앤씨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749457B1 (ko) 2016-05-24 2017-07-13 주식회사 신일이앤씨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835552B1 (ko) * 2016-07-27 2018-03-08 주식회사 바이테크 스마트 팩토리 작업환경 관제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3872A (ja) * 2007-06-25 2009-01-08 Shibuya Kogyo Co Ltd 行動履歴管理システム
JP2012208613A (ja) * 2011-03-29 2012-10-25 Toshiba Corp 行動状態推定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750A (ko)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21787B (zh) 人員定位追蹤及管理系統及其方法
JP2010272958A (ja) 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プログラム
US20070101382A1 (en) Node management system and node managing program using sensing system
CN209946967U (zh) 门禁设备和门禁控制系统
CN203812304U (zh) 一种民爆器材生产企业门禁定员监控系统
CN206449532U (zh) 人面识别系统及智能路灯
JP2013131159A (ja) エリア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CN110458794B (zh) 用于轨道列车的配件质量检测方法及装置
CN115004270A (zh) 一种工业设备和装置的监控报警系统及方法
CN112101495A (zh) 一种风险监测方法、系统和相关设备
KR102423922B1 (ko) 전력제어를 위한 전자태그를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06439656A (zh) 人面识别系统及智能路灯
CN107730212A (zh) 一种施工项目人员远程实时管理系统
KR102172461B1 (ko) 효율적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작업자 행동 데이터 수집장치 및 수집방법
JP3664784B2 (ja) 広域監視装置
US20120147182A1 (en) Method to monitor an area
JP5343013B2 (ja) 作業実績収集システムおよび作業実績収集方法
CN111914050B (zh) 基于特定场所的可视化3d监控平台
JP6224453B2 (ja) 個人情報認証装置、個人情報認証システム、個人情報認証方法及び個人情報認証プログラム
KR20140119368A (ko) 매장 관리 및 출입 통제 시스템
CN112015134A (zh) 一种贮柜人身安全防护安全系统及其安全控制方法
KR102105356B1 (ko)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에너지 소비 시뮬레이션 데이터 획득장치
KR102072691B1 (ko)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CN115620479A (zh) 一种基于报警联动的智能楼宇监控系统
KR101149820B1 (ko) Cctv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조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