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265B1 - 전기 자동차 충전소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 충전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265B1
KR102172265B1 KR1020180160698A KR20180160698A KR102172265B1 KR 102172265 B1 KR102172265 B1 KR 102172265B1 KR 1020180160698 A KR1020180160698 A KR 1020180160698A KR 20180160698 A KR20180160698 A KR 20180160698A KR 102172265 B1 KR102172265 B1 KR 102172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information
power
amoun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2755A (ko
Inventor
장은호
현수영
Original Assignee
(주)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filed Critical (주)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Priority to KR1020180160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265B1/ko
Publication of KR20200072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80Exchanging energy storage elements, e.g. removable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1Photovolta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8Off-site monitoring or control, e.g. remot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휴게 공간이 마련되고, 외부에 충전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휴게 공간으로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 공급부와 연결되며,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전력 공급부에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부와, 상기 전력 공급부와 연결되며, 상기 충전 공간에서 전기 자동차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부 및 상기 전력 공급부 및 상기 태양광 발전부로부터 각각 현재 배터리 잔량 및 현재 발전량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현재 발전량 정보를 미리 저장된 과거 발전량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현재 배터리 잔량 정보에 따른 배터리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도록 형성되는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 충전소{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설치 가능하게 마련되어 계통 전력이 미치지 않는 지역에서도 용이하게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소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 연료의 고갈로 인한 친환경 에너지의 사용이 대두됨에 따라 전기 자동차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데, 이와 함께 전기 자동차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의 보급도 확대되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는 전기 자동차의 보급률에 비해 전기 자동차 충전 인프라 보급률은 저조한 상황이다.
특히, 현재 설치되어 사용중인 전기 자동차용 충전소의 경우, 한대의 전기 자동차는 물론 다수 대의 전기 자동차를 동시에 충전하도록 하는 기능이 마련되어 있지만, 다수 대의 전기 자동차를 동시에 충전하는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부하분산 기능, 피크전력 제어 기능은 미비함에 따라, 계통의 부담을 줄이고 전기 자동차 충전소의 설계 용량을 저감시키기에는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즉, 현재까지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소가 효율적으로 운용되고 있지 않으며, 이는 전기 자동차 인프라 구축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종래의 전기 자동차용 충전소는 단순히 충전의 기능만을 제공할 뿐, 사용자가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지 않으며, 이와 함께 어느 한 위치에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수요에 따라 이동이 불가능하여 사용 빈도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를 그대로 방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전기 자동차용 충전소의 경우, 운용을 위한 전력 소모량 및 발전량 등을 고려, 배터리 잔량에 따른 배터리 교체 등이 이루어져야 하는 시점을 정확하게 산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충전소 운영에 따른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설치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계통 전력이 미치지 않는 지역에서도 용이하게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고, 태양광 발전량 및 설치 구역 내의 실제 습득한 과거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잔량에 따른 교체 시점을 정확하게 추정, 해당하는 정보를 관제 센터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소는 내부에 휴게 공간이 마련되고, 외부에 충전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휴게 공간으로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 공급부와 연결되며,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전력 공급부에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부와, 상기 전력 공급부와 연결되며, 상기 충전 공간에서 전기 자동차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부 및 상기 전력 공급부 및 상기 태양광 발전부로부터 각각 현재 배터리 잔량 및 현재 발전량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현재 발전량 정보를 미리 저장된 과거 발전량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현재 배터리 잔량 정보에 따른 배터리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도록 형성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과거 발전량 정보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날씨, 온도, 강수(우)량을 포함한 일기 예보 정보 및 일조량(일조 시간)을 포함한 태양광 가동 일수 정보를 바탕으로 산출된 월 별, 일 별 평균 발전량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과거 발전량 정보와 함께 미리 저장된 상기 하우징의 운영에 소모되는 과거 운영 전력 소모량을 고려하여 상기 현재 배터리 잔량 정보에 따른 상기 배터리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과거 운영 전력 소모량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날씨, 온도, 강수(우)량을 포함한 일기 예보 정보 및 일조량(일조 시간)을 포함한 태양광 가동 일수 정보를 바탕으로 산출된 월 별, 일 별 평균 운영 전력 소모량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력 공급부는 격벽을 통해 복수의 배터리 장착 공간을 구획하여 상기 배터리 장착 공간에 상기 배터리가 각각 장착되어 형성되는 배터리 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터리는, 각각의 상기 배터리 장착 공간의 내부에서 개별적인 교체가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현재 배터리 잔량 정보를 고려하여 복수의 상기 배터리 장착 공간에 장착된 상기 배터리 중 잔량이 부족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력 공급부는 상기 배터리 장착 공간에 따라 서로 다른 번호가 표시되며, 교체가 필요한 해당 배터리 장착 공간에 대하여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배터리 장착 공간에 대한 점등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배터리의 교체가 이루어져야 하는 해당 배터리 장착 공간의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소는 상기 관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점등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배터리의 교체 명령을 요청하는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알람 및 진동을 통해 상기 점등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가 실시간으로 제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리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된 복수의 상기 하우징과 모두 연결되어 각각에 대한 상기 현재 배터리 잔량 정보에 따른 배터리의 교체 시점을 판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휴게 공간으로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관리부에 의해 원격으로 개폐가 제어된다.
또한, 상기 관리부는 상기 휴게 공간으로의 출입이 가능한 회원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상기 회원 정보 확인 시 상기 도어로 출입 허가 신호를 전송하여 원격으로 개폐가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소.
또한, 상기 하우징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은, 이동 설치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계통 전력이 미치지 않는 지역에서도 용이하게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고, 태양광 발전량 및 설치 구역 내의 실제 습득한 과거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잔량에 따른 교체 시점을 정확하게 추정, 해당하는 정보를 관제 센터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력 공급을 수행하는 배터리가 복수의 배터리 팩 형태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각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가 관제 센터로 전달되게 함으로써, 배터리의 교체 시 상대적으로 소모량이 큰 배터리부터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충전소에 대한 각각의 통합 제어가 가능할 수 있게 통합 관제 시스템을 구축하여 방전된 배터리 교체, 휴게 시설 정비 등을 원활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소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소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공급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공급부에 대한 배터리 장착 공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소의 배터리에 대한 교체 시점 판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소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소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공급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공급부에 대한 배터리 장착 공간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소의 배터리에 대한 교체 시점 판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소는 하우징(100), 전력 공급부(200), 태양광 발전부(300), 충전부(400) 및 관리부(5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그 내부에는 충전을 위해 대기하는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휴게 공간(A)이 마련되고, 휴게 공간(A)의 외부에는 전기 자동차(1) 뿐만 아니라 전기 자전거를 위한 충전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휴게 공간(A)으로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도어(110)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도어(110)는 휴게 공간(A)에 별도로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지 않아도, 관리부(500)에 의해 원격으로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도어(110)는 상기와 같이 관리부(500)에 의해 원격으로 개폐가 제어될 수도 있으나, 휴게 공간(A)으로의 출입이 가능한 회원 정보가 바코드, 지문 등과 같은 형태로 관리부(500)에 미리 저장되어 회원 정보가 확인됨에 따라 도어(110)로 출입 허가 신호를 전송하여 개폐가 제어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게 공간(A)과 함께 냉/난방기, 인터폰, 자판기, 모바일 사진 출력기, 핸드폰 충전기, CCTV 등이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복수의 장비들은 전력 공급부(2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되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하우징(100)은 전력 공급부(2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전력을 공급받아 운영되지 않아도 되며, 따라서 태양광 발전부(300)를 통해 자체적으로 전력 수급 및 공급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위치, 즉 계통 전력이 미치지 않는 위치로도 이동 설치가 가능할 수 있어 설치 위치의 제약 없이 필요한 위치에서 용이하게 전기 자동차(1)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전력 공급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 결합되며, 휴게 공간(A)으로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여기서, 전력 공급부(2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210)을 통해 복수의 배터리 장착 공간(200a)이 구획되어 형성되며, 또한 이러한 배터리 장착 공간(200a)에 배터리(10)가 각각 장착되어 형성되는 배터리 팩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배터리 장착 공간(200a)에 장착된 배터리(10)는 각각의 배터리 장착 공간(200a) 내부에서 개별적인 교체가 가능하게 장착되며, 또한 배터리(10)는 일회성이 아닌 반복 충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충전을 통해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태양광 발전부(300)는 하우징(100)의 외부 천장면에 설치되어 전력 공급부(200)와 연결되며, 그에 따라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력 공급부(200)에 공급한다.
다시 말해, 태양광 발전부(300)는 전력 공급부(20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변환된 전력을 전력 공급부(200)로 공급, 전기 자동차(1) 충전 및 휴게 공간(A)의 운영 시 사용되는 배터리(10)의 충전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 자동차(1) 및 휴게 공간(A)의 내부에 마련된 복수의 장비들의 운영을 위한 전력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충전부(400)는 전력 공급부(200)와 연결되며, 하우징(100) 외부에 마련된 충전 공간에서 전기 자동차(1)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충전부(400)는 상기와 같이 전기 자동차(1)를 충전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하우징(100)의 외부에서 충전을 통해 구동되는 다른 이동 수단을 충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관리부(500)는 전력 공급부(200) 및 태양광 발전부(300)로부터 각각 현재 배터리 잔량 및 현재 발전량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현재 발전량 정보를 미리 저장된 과거 발전량 정보와 비교하여 현재 배터리 잔량 정보에 따른 배터리(10)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도록 형성된다.
즉, 관리부(500)는 회원 정보가 저장되어 원격으로 도어(110)가 개방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과거 발전량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현재 배터리 잔량 정보에 따른 배터리(10) 소모량을 미리 예측함으로써, 배터리(10)의 교체 시점을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관리부(500)에 저장된 과거 발전량 정보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날씨, 온도, 강수(우)량을 포함한 일기 예보 정보 및 일조량(일조 시간)을 포함한 태양광 가동 일수 정보를 바탕으로 산출된 월 별, 일 별 평균 발전량 정보가 미리 저장되며, 그에 따라 과거 발전량 정보를 기초로 현재 배터리(10)에 대한 앞으로의 태양광 발전부(300)를 통한 배터리(10) 충전량을 예측, 배터리(10)의 교체 시점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즉, 현재의 배터리(10)의 잔량이 40%인 것으로 가정하였을 때, 태양광 발전부(300)를 통한 발전량 추이를 고려하여, 40%의 잔량을 가진 배터리(10)에 대한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현재의 시점이 12월인 경우, 미리 설정된 기간, 더 자세하게는 과거 5년으로 설정된 기간 동안의 12월 데이터, 다시 말해 과거 5년 동안의 12월의 날씨, 온도, 강수(우)량을 포함한 일기 예보 정보 및 일조량(일조 시간)을 포함한 태양광 가동 일수 정보를 바탕으로 산출된 평균 발전량 정보를 통해, 태양광 발전부(300)를 통한 배터리(10)의 충전이 어느 정도의 이루질 것인지 그 추이를 예측하여, 만일 현재의 배터리(10) 잔량과 상기와 같이 예측된 배터리(10)의 예상 충전량이 합산된 배터리(10)의 잔량이 전기 자동차(1)의 충전을 위한 전력 소모량 보다 더 작은 경우 배터리(10)의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예상되는 전기 자동차(1)의 충전 횟수 및 충전량은 과거 5년 또는 하우징(100) 운영 기간 동안의 해당되는 월 별, 일 별 평균 충전 횟수 및 충전량인 것으로, 관리부(500)에 저장될 수 있다.
아울러, 관리부(500)에는 상기와 같이 월 별 평균 발전량 정보 뿐만 아니라, 일 별 발전량 정보 또한 함께 미리 저장되는데, 이는 더욱 정확하게 현재의 태양광 발전부(300)를 통한 발전량 추이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만일 예를 들어 현재의 날씨가 흐림이고, 20 도 온도에 해당하는 경우 이와 같은 동일한 조건을 가진 과거 일 별 평균 발전량 정보를 기초로, 현재 배터리(10) 잔량에 태양광 발전부(300)를 통해 앞으로 어느 정도의 충전이 이루질 것인지 발전량 추이를 예측함으로써, 배터리(10)의 교체 시점을 더욱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관리부(500)는 전술된 과거 발전량 정보와 함께 미리 저장된 하우징(100)의 운영에 소모되는 과거 운영 전력 소모량 또한 고려하여 현재 배터리 잔량 정보에 따른 배터리(10)의 교체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력 공급부(200)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전기 자동차(1)의 충전을 위해 사용되지만, 이와 함께 하우징(100) 내부의 냉/난방기, 인터폰, 자판기, 모바일 사진 출력기, 핸드폰 충전기, CCTV 등과 같은 복수의 장비들의 구동을 위해 사용되기도 하기 때문에, 이러한 복수의 장비들의 구동을 위해 사용되는 운영 전력 소모량 또한 배터리 교체 시점을 판단하는데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게 배터리(10)의 교체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부(500)에 저장된 과거 운영 전력 소모량은 과거 발전량 정보와 동일하게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날씨, 온도, 강수(우)량을 포함한 일기 예보 정보 및 일조량(일조 시간)을 포함한 태양광 가동 일수 정보를 바탕으로 산출된 월 별, 일 별 평균 윤영 전력 소모량이 저장되어 형성된다.
즉, 복수의 장비들 중 전력 소모가 상대적으로 큰 냉/난방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봄, 가을 보다는 여름, 겨울에 월 별, 일 별 사용에 따른 운영 전력이 많이 소모되고, 날씨 및 온도(기온)가 낮거나 높음에 따라서도 월 별, 일 별 운영 전력이 많이 소모되기 때문에, 현재의 시점이 12월인 경우, 과거 5년 동안의 12월 데이터, 다시 말해 과거 5년 동안의 12월의 날씨, 온도, 강수(우)량을 포함한 일기 예보 정보 및 일조량(일조 시간)을 포함한 태양광 가동 일수 정보를 바탕으로 산출된 평균 운영 전력 소모량 정보를 통해, 해당 월에 앞으로 어느 정도의 운영 전력 소모가 이루어질 것인지 그 추이를 예측하여, 만일 현재의 배터리(10) 잔량과 전술된 바와 같이 예측된 배터리(10)의 예상 충전량이 합산된 배터리(10)의 잔량이, 예상되는 전기 자동차(1)의 충전에 사용되는 전력 소모량 및 하우징(100)의 운영에 필요한 운영 전력 소모량이 더해진 양 보다 작은 경우 배터리(10)의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소는 전력 공급부(20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예상치 못하게 모두 소모되어 전기 자동차(1)를 충전할 수 없거나, 하우징(100)의 운영이 중단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관리부(500)는 현재 배터리 잔량 정보를 고려하여 복수의 배터리 장착 공간(200a)에 장착된 배터리(10) 중 잔량이 부족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전력 공급부(200)에는 순차적인 교체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배터리 장착 공간(200a)에 따라 서로 다른 번호가 표시될 수 있으며,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체가 필요한 해당 배터리 장착 공간(200a)에 대해 전구(220)의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관리부(500)는 배터리 장착 공간(200a)에 대한 전구(220)의 점등 정보를 제공받아 복수의 배터리 장착 공간(200a) 중 배터리(10) 교체가 이루어져야 하는 해당 배터리 장착 공간(200a)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소는 제어 수단(6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 수단(600)은 관리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구(220)의 점등 정보 및 그에 따른 점등된 배터리 장착 공간(200a)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배터리(10)의 교체 명령을 요청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관리부(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된 복수의 하우징(100)의 전력 공급부(200)와 모두 연결되어 각각에 대한 현재 배터리 잔량 정보에 따른 배터리(10)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도록 하는데, 여기서 제어 수단(600)은 관리부(50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관리부(500)를 통해 교체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교체가 이루어져야 하는 배터리(10)가 복수의 배터리 장착 공간(200a) 중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 것인지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그에 따라 해당 하우징(100) 전력 공급부(200)의 복수의 배터리 장착 공간(200a)에서 배터리(10)의 잔량이 부족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 수단(6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부(500)와 접속할 수 있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W-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어 수단(600)과 관리부(500)의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와 같이 관리부(500)를 통해 만일 복수개의 하우징(100)에 마련된 전력 공급부(200) 중 교체가 이루어져야 하는 배터리(10)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내용, 즉 교체가 이루어져야 하는 배터리(10)가 어느 위치의 하우징(100)에 결합된 것이며, 복수의 배터리 장착 공간(200a) 중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 전달되기 앞서, 먼저 실시간으로 제어 수단(600)으로 알람 및 진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관리자가 해당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효과적으로 배터리(10)의 교체 시점을 놓치지 않을 수 있으며, 또한 적절한 시점에 배터리(10)의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전기 자동차(1)의 충전을 수행함과 동시에, 휴게 공간(A)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 설치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계통 전력이 미치지 않는 지역에서도 용이하게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고, 태양광 발전량 및 설치 구역 내의 실제 습득한 과거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잔량에 따른 교체 시점을 정확하게 추정, 해당하는 정보를 관제 센터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력 공급을 수행하는 배터리가 복수의 배터리 팩 형태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각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가 관제 센터로 전달되게 함으로써, 배터리의 교체 시 상대적으로 소모량이 큰 배터리부터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충전소에 대한 각각의 통합 제어가 가능할 수 있게 통합 관제 시스템을 구축하여 방전된 배터리 교체, 휴게 시설 정비 등을 원활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 : 전기 자동차 10 : 배터리
100 : 하우징 110 : 도어
200 : 공급부 200a : 배터리 장착 공간
210 : 격벽 220 : 전구
300 : 태양광 발전부 400 : 충전부
500 : 관리부 600 : 제어 수단
A : 휴게 공간

Claims (12)

  1. 내부에 휴게 공간이 마련되고, 외부에 충전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휴게 공간으로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 공급부와 연결되며,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전력 공급부에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부;
    상기 전력 공급부와 연결되며, 상기 충전 공간에서 전기 자동차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부; 및
    상기 전력 공급부 및 상기 태양광 발전부로부터 각각 현재 배터리 잔량 및 현재 발전량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현재 발전량 정보를 미리 저장된 과거 발전량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현재 배터리 잔량 정보에 따른 배터리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도록 형성되는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과거 발전량 정보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날씨, 온도, 강수(우)량을 포함한 일기 예보 정보 및 일조량(일조 시간)을 포함한 태양광 가동 일수 정보를 바탕으로 산출된 월 별, 일 별 평균 발전량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리부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과거 발전량 정보와 함께, 미리 저장된 상기 하우징의 운영에 소모되는 과거 운영 전력 소모량을 각각 고려하여 상기 배터리의 예상 충전량 추이를 예측하고, 현재의 배터리 잔량과 상기 예상 충전량이 합산된 배터리 잔량이, 예상되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전력 소모량 및 상기 하우징의 운영에 필요한 운영 전력 소모량이 더해진 양 보다 작아짐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교체 시점으로 판단하도록 하며,
    상기 과거 운영 전력 소모량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날씨, 온도, 강수(우)량을 포함한 일기 예보 정보 및 일조량(일조 시간)을 포함한 태양광 가동 일수 정보를 바탕으로 산출된 월 별, 일 별 평균 운영 전력 소모량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력 공급부는,
    격벽을 통해 복수의 배터리 장착 공간을 구획하여 상기 배터리 장착 공간에 상기 배터리가 각각 장착되어 형성되는 배터리 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터리는, 각각의 상기 배터리 장착 공간의 내부에서 개별적인 교체가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현재 배터리 잔량 정보를 고려하여 복수의 상기 배터리 장착 공간에 장착된 상기 배터리 중 잔량이 부족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전력 공급부는,
    상기 배터리 장착 공간에 따라 서로 다른 번호가 표시되며, 교체가 필요한 해당 배터리 장착 공간에 대하여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배터리 장착 공간에 대한 점등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배터리의 교체가 이루어져야 하는 해당 배터리 장착 공간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관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점등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배터리의 교체 명령을 요청하는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알람 및 진동을 통해 상기 점등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가 실시간으로 제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리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된 복수의 상기 하우징과 모두 연결되어 각각에 대한 상기 현재 배터리 잔량 정보에 따른 배터리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휴게 공간으로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관리부에 의해 원격으로 개폐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소.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휴게 공간으로의 출입이 가능한 회원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상기 회원 정보 확인 시 상기 도어로 출입 허가 신호를 전송하여 원격으로 개폐가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소.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소.
KR1020180160698A 2018-12-13 2018-12-13 전기 자동차 충전소 KR102172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698A KR102172265B1 (ko) 2018-12-13 2018-12-13 전기 자동차 충전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698A KR102172265B1 (ko) 2018-12-13 2018-12-13 전기 자동차 충전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755A KR20200072755A (ko) 2020-06-23
KR102172265B1 true KR102172265B1 (ko) 2020-10-30

Family

ID=71137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698A KR102172265B1 (ko) 2018-12-13 2018-12-13 전기 자동차 충전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2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952B1 (ko) * 2022-08-01 2023-03-02 주식회사 와이비에너지 휴게실 겸용 전기차 충전스테이션
KR102603610B1 (ko) * 2022-12-19 2023-11-21 주식회사 한국에너지서비스 신재생 에너지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2900A (ja) * 2002-08-06 2004-03-04 Mitsubishi Heavy Ind Ltd 電力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および電力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
KR101777150B1 (ko) * 2016-11-28 2017-09-12 디엔비하우징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961B1 (ko) * 2012-05-23 2014-07-31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배터리팩의 배터리 유닛 교체 시스템 및 방법
KR101916176B1 (ko) * 2017-01-05 2018-11-08 김도훈 이동식 전기 충전소 운영 시스템
KR20180118088A (ko) * 2018-10-19 2018-10-30 최창준 교류 상용 전력 연결이 안된 오지에서의 태양광 기반 도로 시선 유도등 시스템의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2900A (ja) * 2002-08-06 2004-03-04 Mitsubishi Heavy Ind Ltd 電力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および電力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
KR101777150B1 (ko) * 2016-11-28 2017-09-12 디엔비하우징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755A (ko)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11299A1 (en) Method for Increasing Safety During Charging of a Vehicle Battery
US9682633B2 (en) Charge control device, battery management device, charge control method, and record medium
US110874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configuration for deployment of a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USRE46166E1 (en) Charging system of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US20130103378A1 (en) Electricity demand prediction
EP3878073B1 (en) Methods, apparatus and machine-readable mediums for mitigating power failur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190009682A1 (en) Mobile charging device, mobile charging system and mobile charging method
JP2013099140A (ja) 電力管理システム、電力管理方法、プログラム
JP5295292B2 (ja) バッテリ充放電システム、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および電動車両
KR102172265B1 (ko) 전기 자동차 충전소
US11121561B2 (en) Utility pole battery storage system
US11588328B2 (en) Energy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plurality of grids for energy demand from supply resource
CN102738854A (zh) 充电控制装置、充电控制方法、程序和系统
JP2024518404A (ja) 電気車両充電電力分配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5611256B2 (ja) バッテリ充放電システムおよび電力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
US10390307B2 (en) Process for controlling electrical energy fluxes in a system for radio access to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ssociated control device
Ustun et al. Energizing microgrids with electric vehicles during emergencies—Natural disasters, sabotage and warfare
JP2011234599A (ja) 走行体運行システム
KR102312946B1 (ko) Ocpp 프로토콜을 적용한 전기 자동차 충전 인프라 운영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210067022A (ko) 이동식 전기자동차 충전 장치
WO2021090915A1 (ja) 充電システム、充電方法、及びプログラム
Mendil et al. Battery aging-aware energy management of green small cells powered by the smart grid
US20230347778A1 (en) Delivery of stored electrical energy from generation sources to nano-grid systems
JP2011103741A (ja) マイクログリッドにおける充電設備管理システム
CA3235014A1 (en) Methods of using bidirectional charging to supply back-up power and increase resiliency of powered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