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625B1 -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 및 디바이스,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Google Patents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 및 디바이스,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625B1
KR102171625B1 KR1020197018549A KR20197018549A KR102171625B1 KR 102171625 B1 KR102171625 B1 KR 102171625B1 KR 1020197018549 A KR1020197018549 A KR 1020197018549A KR 20197018549 A KR20197018549 A KR 20197018549A KR 102171625 B1 KR102171625 B1 KR 102171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overexposed
blurred
focused
present dis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9035A (ko
Inventor
지안보 순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16/111149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112764A1/zh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16/111147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112763A1/zh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89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5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 H04N23/951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by using two or more images to influence resolution, frame rate or aspect ratio
    • G06T5/00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4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histogram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0Denoising; Smoot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1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creasing the dynamic range of the image compared to the dynamic range of the electronic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3Bracketing, i.e. taking a series of images with varying exposure conditions
    • H04N5/23232
    • H04N5/235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72Graph-based image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72Image enhancement details
    • G06T2207/20182Noise reduction or smoothing in the temporal domain; Spatio-temporal filt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1Image fusion; Image me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은 (a) 제 1 포토그래피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제 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이미지와 동일한 씬(scene)을 가지는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 2 이미지는 제 2 포토그래피 파라미터에 대응함 -; (c) 상기 제 1 이미지를 블러링하여 블러링된 제 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d) 상기 블러링된 제 1 이미지의 교체되어야 하는(to-be-replaced) 부분을 정의하는 단계 - 상기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은 상기 제 1 이미지의 과노출된(overexposed) 부분에 대응함 -; (e) 상기 제 2 이미지의 교체 부분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교체 부분은 상기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에 대응함 -; (f) 상기 블러링된 제 1 이미지의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을 상기 제 2 이미지의 상기 교체 부분으로 교체하여 병합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 및 디바이스,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본 개시는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인물 사진의 배경을 블러링하는 것과 같은, 기존의 블러(blur) 알고리즘들에서, 블러링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은 통상적으로 사진 상에 광원을 블러링하는데 있어서 퍼지(fuzzy)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상기 퍼지 알고리즘은 광원의 픽셀 밝기를 평균화하는 연산이다. 광원은 사진 상에 어둡게 나타나, 나쁜 영향을 일으킨다.
본개시의 실시예들은 적어도 어느 정도 관련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술적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개시는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a) 제 1 포토그래피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제 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이미지와 동일한 씬(scene)을 가지는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 2 이미지는 제 2 포토그래피 파라미터에 대응함 -;
(c) 상기 제 1 이미지를 블러링하여 블러링된 제 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d) 상기 블러링된 제 1 이미지의 교체되어야 하는(to-be-replaced) 부분을 정의하는 단계 - 상기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은 상기 제 1 이미지의 과노출된(overexposed) 부분에 대응함 -;
(e) 상기 제 2 이미지의 교체 부분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교체 부분은 상기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에 대응함 -; 및
(f) 상기 블러링된 제 1 이미지의 상기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을 상기 제 2 이미지의 상기 교체 부분으로 교체하여 병합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는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는 메모리 - 상기 메모리는 일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복수의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함 -;
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a) 제 1 포토그래피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제 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이미지와 동일한 씬을 가지는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 2 이미지는 제 2 포토그래피 파라미터에 대응함 -;
(c) 상기 제 1 이미지를 블러링하여 블러링된 제 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d) 상기 블러링된 제 1 이미지의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을 정의하는 단계 - 상기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은 상기 제 1 이미지의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함 -;
(e) 상기 제 2 이미지의 교체 부분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교체 부분은 상기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에 대응함 -; 및
(f) 상기 블러링된 제 1 이미지의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을 상기 제 2 이미지의 상기 교체 부분으로 교체하여 병합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는 저장된 명령들을 가지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전자 디바이스가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명령들을 실행하는 경우, 상술한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이 수행된다.
본 개시에 따른 이미징 프로세싱 방법 및 디바이스의 일 양상에서, 2개의 이미지가 촬영되고, 하나는 포커싱된 이미지이고, 다른 하나는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이며, 포커싱된 이미지의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의 재료 부분이 추출되어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 내로 병합되어, 리얼한 플레어 효과(flare effect)를 가지는 병합된 이미지를 획득한다. 플레어 효과는 훌륭하다.
본 개시에 따른 이미징 프로세싱 방법 및 디바이스의 다른 양상에서, 2개의 이미지가 촬영되고, 하나는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이고, 다른 하나는 저노출된 이미지이며, 2개의 이미지들 둘 다는 블러링되어,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의 밝기가 증가되고, 대응하는 가짜 과노출된 부분이 추출되고, 그리고 블러링되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의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이 가짜 과노출된 부분으로 교체되어 리얼한 플레어 효과를 가지는 블러링된 이미지 내로 병합된다. 플레어 효과는 훌륭하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양상들 및 이점들이 이하와 같이 부분적으로 설명될 것이며, 이하의 설명들로부터 부분적으로 명백해지거나, 또는 본 개시를 구현함으로써 획득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상술한 양상들 및 이점들 및/또는 추가적인 양상들 및 이점들이 도면들과 함께 이하의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들로부터 명백해지고 그리고 보다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의 이미징 프로세싱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의 제어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의 이미징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의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도시되는 전자 디바이스의 물리적 제품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워크플로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의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포커싱된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의 제어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의 이미징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의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제 3 실시예의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제 3 실시예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제 3 실시예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제 3 실시예의 제어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제 3 실시예의 이미징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제 3 실시예의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제 4 실시예의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제 4 실시예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제 4 실시예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제 4 실시예의 제어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7은 본 개시의 제 4 실시예의 이미징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8은 본 개시의 제 4 실시예의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동일한 씬에 대한 포커싱된 이미지 및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 이미징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모듈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1은 본 개시의 제 5 실시예의 이미징 프로세싱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2는 본 개시의 제 5 실시예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3은 본 개시의 제 5 실시예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4는 본 개시의 제 5 실시예의 제어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5는 본 개시의 제 5 실시예의 이미징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6은 본 개시의 제 5 실시예의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7은 본 개시의 전자 디바이스의 워크플로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8은 본 개시의 제 6 실시예의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9는 본 개시의 제 6 실시예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0은 본 개시의 제 6 실시예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1은 본 개시의 제 6 실시예의 제어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2는 본 개시의 제 6 실시예의 이미징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3은 본 개시의 제 6 실시예의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4는 본 개시의 제 7 실시예의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5는 본 개시의 제 7 실시예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6은 본 개시의 제 7 실시예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7은 본 개시의 제 7 실시예의 제어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8은 본 개시의 제 7 실시예의 이미징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9는 본 개시의 제 7 실시예의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0은 본 개시의 제 8 실시예의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1은 본 개시의 제 8 실시예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2는 본 개시의 제 8 실시예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3은 본 개시의 제 8 실시예의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4는 본 개시의 제 8 실시예의 이미징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5는 본 개시의 제 8 실시예의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6은 본 개시의 몇몇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일한 씬에 대한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 및 저노출된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 이미징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7은 본 개시의 몇몇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모듈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8은 본 개시의 몇몇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일한 씬에 대한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 및 저노출된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 이미징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흐름도이다.
도 59는 본 개시의 몇몇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모듈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에서 도시되고, 여기서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전반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엘리먼트들 또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들을 가지는 엘리먼트들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리고 단지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고,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개시의 설명에서, "제 1" 및 "제 2"와 같은 관계 용어들은 설명의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며,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중대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암시하거나, 또는 지칭되는 기술적 특징들의 숫자를 암시하려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엔티티들 및 동작들 간에 이러한 종류의 임의의 실제적인 관계 또는 순서가 존재하는 것이 반드시 요구되거나 암시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에 의해 정의되는 특징은 하나 이상의 이러한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설명에서, "복수"라는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2 개 또는 2 개 이상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설명에서, 달리 명시되거나 제한되지 않는 한, "장착된", "연결된", "결합된", "고정된" 등의 용어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예를 들어 고정 연결, 분리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형 연결일 수도 있으며; 기계적 또는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 연결 또는 중간 구조를 통한 간접 연결일 수도 있으며; 두 엘리먼트들의 내부 통신일 수도 있으며, 상기 용어들은 특정 상황에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다.
이하의 개시는 본 개시의 상이한 구조들을 구현하기 위해 다수의 상이한 실시예들 또는 예시들을 제공한다. 본 개시를 단순화하기 위해서, 특정 예시들의 컴포넌트들 및 배치들이 이하에서 설명된다. 명백하게, 이들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함이 아니다. 또한, 참조 번호들 및/또는 문자들은 단순화 및 명확화를 위한 목적으로 본 개시의 상이한 예시들에서 반복될 수 있고, 논의되는 실시예들 및/또는 배치들 사이의 관계들을 지칭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개시는 다양한 특정 프로세스들 및 재료들의 예시들을 제공하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다른 프로세스의 이용가능성 및/또는 다른 재료들의 사용을 알 수 있다.
본 개시는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복수의 실시예들, 제어 방법의 복수의 실시예들,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복수의 실시예들, 제어 디바이스의 복수의 실시예들, 이미징 디바이스의 복수의 실시예들, 및 전자 디바이스의 복수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복수의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제어 방법의 복수의 실시예들,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복수의 실시예들, 제어 디바이스의 복수의 실시예들, 이미징 디바이스의 복수의 실시예들, 및 전자 디바이스의 복수의 실시예들이 연속적인 번호로 이하에서 설명된다.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각각의 실시예는 제어 방법의 실시예,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실시예, 제어 디바이스의 실시예, 이미징 디바이스의 실시예, 및 전자 디바이스의 실시예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1 실시예는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제 1 실시예, 제어 디바이스의 제 1 실시예, 이미징 디바이스의 제 1 실시예, 및 전자 디바이스의 제 1 실시예에 대응하고;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2 실시예는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제 2 실시예, 제어 디바이스의 제 2 실시예, 이미징 디바이스의 제 2 실시예, 및 전자 디바이스의 제 2 실시예에 대응한다.
본 개시는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은: (a) 제 1 포토그래피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제 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이미지와 동일한 씬(scene)을 가지는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 2 이미지는 제 2 포토그래피 파라미터에 대응함 -; (c) 상기 제 1 이미지를 블러링하여 블러링된 제 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d) 상기 블러링된 제 1 이미지의 교체되어야 하는(to-be-replaced) 부분을 정의하는 단계 - 상기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은 상기 제 1 이미지의 과노출된(overexposed) 부분에 대응함 -; (e) 상기 제 2 이미지의 교체 부분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교체 부분은 상기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에 대응함 -; 및 (f) 상기 블러링된 제 1 이미지의 상기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을 상기 제 2 이미지의 상기 교체 부분으로 교체하여 병합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어 방법은 이미징 디바이스를 제어하는데 활용된다. 상기 제어 방법은 동일한 씬에 대한 포커싱된 이미지 및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이미징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포커싱된 이미지 및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를 처리하도록 상술한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을 활용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는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와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일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프로세스에 의해 실행가능한 복수의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a) 제 1 포토그래피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제 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이미지와 동일한 씬을 가지는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 2 이미지는 제 2 포토그래피 파라미터에 대응함 -; (c) 상기 제 1 이미지를 블러링하여 블러링된 제 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d) 상기 블러링된 제 1 이미지의 교체되어야 하는(to-be-replaced) 부분을 정의하는 단계 - 상기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은 상기 제 1 이미지의 과노출된(overexposed) 부분에 대응함 -; (e) 상기 제 2 이미지의 교체 부분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교체 부분은 상기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에 대응함 -; 및 (f) 상기 블러링된 제 1 이미지의 상기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을 상기 제 2 이미지의 상기 교체 부분으로 교체하여 병합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는 제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제어 디바이스는 이미징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활용된다. 제어 디바이스는 동일한 씬에 대한 포커싱된 이미지 및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 이미지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 및 제어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술한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개시는 이미징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미징 디바이스는 카메라 렌즈; 동일한 씬에 대한 포커싱된 이미지 및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 카메라 렌즈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렌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모듈; 및 제어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술한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개시는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기 디바이스는 상술한 이미징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개시는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자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및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저장 장치는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상술한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 또는 상술한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장치에 저장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판독함으로써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들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본 개시는 저장된 명령들을 가지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관한 것으로, 전자 디바이스가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명령들을 실행하는 경우, 상술한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 또는 상술한 제어 방법이 수행된다.
도 1에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은 블록들에서의 이하의 동작들을 포함한다.
블록 S1에서 제 1 포토그래피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제 1 이미지가 획득된다.
블록 S2에서, 제 1 이미지와 동일한 씬을 가지는 제 2 이미지가 획득된다. 제 2 이미지는 제 2 포토그래피 파라미터에 대응한다.
블록 S3에서, 제 1 이미지가 블러링되어 블러링된 제 1 이미지를 획득한다.
블록 S4에서,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이 블러링된 제 1 이미지에서 정의된다.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은 제 1 이미지의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한다.
블록 S5에서, 제 2 이미지의 교체 부분이 획득된다. 교체 부분은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에 대응한다.
블록 S6에서, 블러링된 이미지의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이 제 2 이미지의 교체 부분으로 교체되어 병합된 이미지를 획득한다.
기존의 기술들에서, 사진의 배경(예를 들어, 인물 사진의 배경)을 블러링하기 위해 블러링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이 사용된다. 광원이 배경에 존재하는 경우, 블러링된 사진 상의 광원은 어둡게 나타나게 된다.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은 리얼한 플레어 효과를 가지는 블러링된 사진 상의 광원을 교체할 수 있다. 실제 사용에서, 블러링된 제 1 이미지는 블러링된 배경을 가지는 이미지일 수 있다. 블러링된 제 1 이미지의 광원(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함)은 제 2 이미지의 교체 부분으로 교체된다. 제 2 이미지는 광원에 대해 더 나은 광 효과를 가지도록 처리된다. 따라서, 병합된 이미지는 리얼한 플레어 효과와 함께 개선된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서, 제 1 포토그래피 파라미터 및 제 2 포토그래피 파라미터는 포커스 또는 아웃 포커스에 관한 파라미터일 수 있다. 즉, 제 1 이미지는 포커싱된 이미지일 수 있고 그리고 제 2 이미지는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서, 제 1 포토그래피 파라미터 및 제 2 포토그래피 파라미터는 노출(exposure)에 관한 파라미터일 수 있다. 즉, 제 1 이미지는 조명 환경에 매칭하는 제 1 노출값을 이용하여 획득되는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일 수 있고, 그리고 제 2 이미지는 상기 제 1 노출값 보다 작은 제 2 노출값을 이용하여 획득되는 저노출된 이미지일 수 있다. 두 양상들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의 개념들이 두 양상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블록들에서의 상술한 동작들에 의해,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은 리얼한 플레어 효과를 가지는 병합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플레어 효과는 훌륭한다.
제 1 이미지가 포커싱된 이미지이고 그리고 제 2 이미지가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인 상황에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1 실시예는 이하의 블록에서의 동작들을 포함한다.
블록 S11에서, 포커싱된 이미지가 포커스 상태에서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지 여부가 식별된다.
블록 S12에서, 포커싱된 이미지가 블러링되어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를 획득한다.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는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을 포함한다.
블록 S13에서, 포커싱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에 응답하여, 포커싱된 이미지와 동일한 씬을 가지는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가 획득되고, 그리고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가 처리되어 포커싱된 이미지의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재료 부분(material portion)을 획득한다.
블록 S14에서,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이 재료 부분으로 교체되어 병합된 이미지를 획득한다.
포커싱된 이미지를 블러링하여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가우시안 블러 알고리즘(Gaussian blur algorithm)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포커싱된 이미지는 최대 피사도 심계(full depth of field)를 이용하여 포커스 상태에서 촬영된다. 재료 부분을 블러링하는 정도는 과노출된 부분을 블러링하는 정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1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1 실시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1 실시예는 식별 모듈(1111), 블러링 모듈(1112), 프로세싱 모듈(1113), 및 병합 모듈(1114)을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블록 S11 내지 S14에서의 동작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식별 모듈(1111)은 포커싱된 이미지가 포커스 상태에서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지 여부를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블러링 모듈(1112)은 포커싱된 이미지를 블러링하여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모듈(1113)은 포커싱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에 응답하여, 포커싱된 이미지와 동일한 씬을 가지는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를 획득하고 그리고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를 처리하여 포커싱된 이미지의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재료 부분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병합 모듈(1114)은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을 재료 부분으로 교체하여 병합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블러링 모듈(1112)은 가우시안 블러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포커싱된 이미지를 블러링함으로써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를 획득한다. 포커싱된 이미지는 최대 피사계 심도를 이용하여 포커스 상태에서 촬영된다. 재료 부분을 블러링하는 정도는 과노출된 부분을 블러링하는 정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4 및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는 이미징 디바이스(10)를 제어하기 위해 활용된다. 제어 방법은 다음의 블록들에서의 동작들을 포함한다.
블록 S16에서, 이미징 디바이스(10)는 동일한 씬에 대한 포커싱된 이미지 및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된다.
블록 S11에서, 포커싱된 이미지가 포커스 상태에서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지 여부가 식별된다.
블록 S12에서, 포커싱된 이미지가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블러링된다.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는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을 포함한다.
블록 S13에서, 포커싱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에 응답하여, 포커싱된 이미지와 동일한 씬을 가지는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가 획득되고, 그리고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가 처리되어 포커싱된 이미지의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재료 부분을 획득한다.
블록 S14에서,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이 재료 부분으로 교체되어 병합된 이미지를 획득한다.
포커싱된 이미지를 블러링하여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가우시안 블러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된다. 포커싱된 이미지는 최대 피사체 심도를 이용하여 포커스 상태에서 촬영된다. 재료 부분을 블러링하는 정도는 과노출된 부분을 블러링하는 정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는 본 개시의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1 실시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1 실시예에서, 제어 디바이스(11)는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 및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모듈(112)을 포함한다.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는 블록 S11 내지 S14에서의 동작들을 실행하도록 구현된다. 제어 모듈(112)은 블록 S16을 실행하도록 구현된다.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구조는 상술한 제 1 실시예로 설명되고, 여기서 자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제어 모듈(112)은 동일한 씬에 대한 포커싱된 이미지 및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 이미징 디바이스(10)(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됨)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제 1 실시예는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1); 및 제어 디바이스(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렌즈(12)를 포함한다. 환언하면, 본 실시예의 이미징 디바이스(10)는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 제어 모듈(112); 및 카메라 렌즈(12)를 포함한다. 제어 모듈(112), 카메라 렌즈(12), 및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는 모두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 1 실시예는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징 디바이스(10)를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휴대폰들, 태블릿들, 노트북 컴퓨터들, 스마트 시계들, 스마트 링들, 스마트 헬멧들, 스마트 글라스들, 기타 VR(가상현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기타 AR(증강현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등과 같은 촬영 기능을 가지는 임의의 유형의 단말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수가 하나인 경우, 이미징 디바이스(10)는 전면 카메라 또는 후면 카메라일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수가 2개인 경우, 2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들은 각각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이거나; 또는 2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들 둘 다가 전면 카메라들이거나; 또는 2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들 둘 다가 후면 카메라들일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수가 2 보다 큰 경우, 이미징 디바이스(10)는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를 제외한 상단 카메라, 하단 카메라, 및 측면 카메라와 같은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 카메라일 수 있다.
도 9와 함께, 예를 들어, 카메라 렌즈(12)는 동일한 씬에 대한 포커싱된 이미지(도 9의 좌측 상단 부분에 도시됨) 및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도 9의 우측 상단에 도시됨)를 촬영한다. 포커싱된 이미지는 최대 피사계 심도를 이용하여 포커스 상태에서 촬영된다. 식별 이후에, 포커싱된 이미지는 과노출된 부분, 즉, 상단 구석 상의 긴 튜브를 가지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포커싱된 이미지는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도 9의 좌측 하단에 도시됨)를 획득하기 위해 블러링된다. 이러한 예시에서, 포커싱된 이미지의 배경이 블러링된다. 포커싱된 이미지의 과노출된 부분(긴 튜브)이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긴 튜브)를 획득하기 위해 블러링된다. 포커싱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경우,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는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재료 부분(긴 튜브)를 획득하기 위해 처리된다. 이러한 예시에서,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는 초점이 맞지 않는 씬을 촬영함으로써 획득된다.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은 재료 부분으로 교체되어 병합된 이미지(도 9의 우측 하단에 도시됨)를 획득한다.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 제어 방법, 제어 디바이스(11), 이미징 디바이스(10), 및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2개의 이미지들이 촬영되고, 하나는 포커싱된 이미지이고, 다른 하나는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이며, 포커싱된 이미지의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의 재료 부분이 추출되어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 내에 병합됨으로써 리얼한 플레어 효과를 가지는 병합된 이미지를 획득한다. 플레어 효과는 훌륭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2 실시예는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포커싱된 이미지가 포커스 상태에서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가 다음의 블록들에서의 동작들을 더 포함한다.
블록 S111에서,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가 포커싱된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을 따라 결정된다. 과노출된 픽셀들의 픽셀값들은 사전결정된 픽셀값 보다 크거나 또는 같다.
블록 S112에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것에 응답하여, 포커싱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으로 결정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2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2 실시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는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이들의 차이점은 제 2 실시예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식별 모듈(1111)이 제 1 판정 서브-모듈(11111) 및 제 2 결정 서브-모듈(11112)을 포함하고, 이들이 블록 S111 및 S112에서의 동작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다. 즉, 제 1 판정 서브-모듈(11111)은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포커싱된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에 따라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과노출된 픽셀들의 픽셀값들은 사전결정된 픽셀값 보다 크거나 또는 같다. 제 1 결정 서브-모듈(11112)은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것에 응답하여 포커싱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말해서, 픽셀값(회색값)은 포커싱된 이미지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수평축을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증가되고, 그리고 특정 픽셀값(회색값)의 픽셀들의 개수는 포커싱된 이미지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수직축을 따라 하단에서 상단으로 증가된다. 픽셀값(회색값)의 범위는 0 내지 255, 즉, 흑색에서 백색 사이이다. 피크가 높을수록, 주어진 픽셀값(회색값)의 픽셀들의 개수가 더 커진다.
제 1 사전결정된 개수는 히스토그램의 우측 경계에 가까운 픽셀들, 즉,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이어야 한다. 제 1 사전결정된 개수는 전체 픽셀들의 1/3로 설정될 수 있고, 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리고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는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포커싱된 이미지가 포커싱된 상태에서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가 다음의 블록들에서의 동작들을 더 포함한다.
블록 S111에서,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가 포커싱된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에 따라 결정된다. 과노출된 픽셀들의 픽셀값들은 사전결정된 픽셀값 보다 크거나 또는 같다.
블록 S112에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것에 응답하여, 포커싱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으로 결정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는 본 개시의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2 실시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1)는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그리고 이들의 차이점은 제 2 실시예의 제어 디바이스(11)의 식별 모듈(1111)이 제 1 판정 서브-모듈(11111) 및 제 1 결정 서브-모듈(11112)을 포함하고, 이들이 블록 S111 및 S112에서의 동작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다. 즉, 제 1 판정결정 서브-모듈(11111)은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포커싱된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에 따라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과노출된 픽셀들의 픽셀값들은 사전 결정된 픽셀값 보다 크거나 또는 같다. 제 1 결정 서브-모듈(11112)은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것에 응답하여 포커싱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말해서, 픽셀값(회색값)은 포커싱된 이미지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수평축을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증가되고, 특정 픽셀값(회색값)의 픽셀들의 개수는 포커싱된 이미지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수직축을 따라 하단에서 상단으로 증가된다. 픽셀값(회색값)의 범위는 0 내지 255, 즉, 흑백에서 백색 사이에 있다. 피크가 높아질수록, 주어진 픽셀값(회색값)의 픽셀값들의 개수가 더 커진다.
제 1 사전결정된 개수는 히스토그램의 우측 경계에 가까운 픽셀들, 즉,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일 수 있다. 제 1 사전결정된 개수는 전체 픽셀들의 1/3로 설정될 수 있고, 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리고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제 2 실시예는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1); 및 제어 디바이스(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렌즈(12)를 포함한다. 환언하면, 본 개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는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 제어 모듈(112); 및 카메라 렌즈(12)를 포함한다. 제어 모듈(112), 카메라 렌즈(12), 및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는 모두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 2 실시예는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징 디바이스(10)를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휴대폰들, 태블릿들, 노트북 컴퓨터들, 스마트 시계들, 스마트 링들, 스마트 헬멧들, 스마트 글래스들, 기타 VR(가상현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기타 AR(증강현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등과 같은 촬영 기능을 가지는 임의의 유형의 단말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수가 하나인 경우, 이미징 디바이스(10)는 전면 카메라 또는 후면 카메라일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수가 2개인 경우, 2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들은 각각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이거나; 또는 2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들 둘 다가 전면 카메라들이거나; 또는 2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들 둘 다가 후면 카메라들일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수가 2 보다 큰 경우, 이미징 디바이스(10)는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를 제외한 상단 카메라, 하단 카메라, 및 측면 카메라와 같은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 카메라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 제어 방법, 제어 디바이스(11), 이미징 디바이스(10), 및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2개의 이미지들이 촬영되고, 하나는 포커싱된 이미지이고, 다른 하나는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이며, 포커싱된 이미지의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의 재료 부분이 추출되어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 내에 병합됨으로써 리얼한 플레어 효과를 가지는 병합된 이미지를 획득한다. 플레어 효과는 훌륭하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3 실시예는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포커싱된 이미지가 포커스 상태에서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는 다음의 블록들에서의 동작들을 더 포함한다.
블록 S111에서,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가 포커싱된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을 따라 결정된다. 과노출된 픽셀들의 픽셀값들은 사전결정된 픽셀값 보다 크거나 또는 같다.
블록 S112에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것에 응답하여, 포커싱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으로 결정된다.
블록 S113에서,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2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블록 S114에서,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존재한다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과노출된 부분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3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3 실시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는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그리고 이들의 차이점은 제 3 실시예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식별 모듈(1111)이 제 1 판정 서브-모듈(11111), 제 1 결정 서브-모듈(11112), 제 2 판정 서브-모듈(11113), 및 제 2 결정 서브-모듈(11114)을 포함하고, 이들이 블록 S111, S112, S113, 및 S114에서의 동작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다. 즉, 제 1 판정 서브-모듈(11111)은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포커싱된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에 따라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과노출된 픽셀들의 픽셀값들은 사전결정된 픽셀값 보다 크거나 또는 같다. 제 1 결정 서브-모듈(11112)은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것에 응답하여 포커싱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2 판정 서브-모듈(11113)은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2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2 결정 서브-모듈(11114)은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존재한다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과노출된 부분에 속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사전결정된 개수가 노이즈 지점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커싱된 이미지가 복수의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을 포함(예를 들어, 발산하는 광선들을 가지는 복수의 광원들이 존재하고, 이들이 함께 과노출된 부분에 기여)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제 2 사전결정된 개수는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작아야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말해서, 픽셀값(회색값)은 포커싱된 이미지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수평축을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증가되고, 그리고 특정 픽셀값(회색값)의 픽셀들의 개수는 포커싱된 이미지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수직축을 따라 하단에서 상단으로 증가된다. 픽셀값(회색값)의 범위는 0 내지 255, 즉, 흑색에서 백색 사이이다. 피크가 높을수록, 주어진 픽셀값(회색값)의 픽셀들의 개수가 더 커진다.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및 제 2 사전결정된 개수는 히스토그램의 우측 경계에 가까운 픽셀들, 즉,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이어야 한다. 제 1 사전결정된 개수는 전체 픽셀들의 1/3로 설정될 수 있고 그리고 제 2 사전결정된 개수는 전체 픽셀들의 1/4로 설정될 수 있고, 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리고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예는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포커싱된 이미지가 포커스 상태에서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가 다음의 블록들에서의 동작들을 더 포함한다.
블록 S111에서,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가 포커싱된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에 따라 결정된다. 과노출된 픽셀들의 픽셀값들은 사전결정된 픽셀값 보다 크거나 또는 같다.
블록 S112에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것에 응답하여, 포커싱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으로 결정된다.
블록 S113에서,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2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블록 S114에서,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존재한다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과노출된 부분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예는 본 개시의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3 실시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1)는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그리고 이들의 차이점은 제 3 실시예의 제어 디바이스(11)의 식별 모듈(1111)이 제 1 판정 서브-모듈(11111), 제 1 결정 서브-모듈(11112), 제 2 판정 서브-모듈(11113), 및 제 2 결정 서브-모듈(11114)을 포함하고, 이들이 블록 S111, S112, s113, 및 s114에서의 동작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다. 즉, 제 1 판정 서브-모듈(11111)은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포커싱된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에 따라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과노출된 픽셀들의 픽셀값들은 사전결정된 픽셀값 보다 크거나 또는 같다. 제 1 결정 서브-모듈(11112)은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것에 응답하여 포커싱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2 판정 서브-모듈(11113)은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2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2 결정 서브-모듈(11114)은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존재한다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과노출된 부분에 속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사전결정된 개수가 노이즈 지점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커싱된 이미지가 복수의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을 포함(예를 들어, 발산하는 광선들을 가지는 복수의 광원들이 존재하고, 이들이 함께 과노출된 부분에 기여)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제 2 사전결정된 개수는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작아야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말해서, 픽셀값(회색값)은 포커싱된 이미지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수평축을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증가되고, 그리고 특정 픽셀값(회색값)의 픽셀들의 개수는 포커싱된 이미지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수직축을 따라 하단에서 상단으로 증가된다. 픽셀값(회색값)의 범위는 0 내지 255, 즉, 흑색에서 백색 사이이다. 피크가 높을수록, 주어진 픽셀값(회색값)의 픽셀들의 개수가 더 커진다.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및 제 2 사전결정된 개수는 히스토그램의 우측 경계에 가까운 픽셀들, 즉,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이어야 한다. 제 1 사전결정된 개수는 전체 픽셀들의 1/3로 설정될 수 있고 그리고 제 2 사전결정된 개수는 전체 픽셀들의 1/4로 설정될 수 있고, 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리고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1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제 3 실시예는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1); 및 제어 디바이스(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렌즈(12)를 포함한다. 환언하면, 본 개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는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 제어 모듈(112); 및 카메라 렌즈(12)를 포함한다. 제어 모듈(112), 카메라 렌즈(12), 및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는 모두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 3 실시예는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징 디바이스(10)를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휴대폰들, 태블릿들, 노트북 컴퓨터들, 스마트 시계들, 스마트 링들, 스마트 헬멧들, 스마트 글래스들, 기타 VR(가상현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기타 AR(증강현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등과 같은 촬영 기능을 가지는 임의의 유형의 단말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수가 하나인 경우, 이미징 디바이스(10)는 전면 카메라 또는 후면 카메라일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수가 2개인 경우, 2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들은 각각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이거나; 또는 2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들 둘 다가 전면 카메라들이거나; 또는 2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들 둘 다가 후면 카메라들일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수가 2 보다 큰 경우, 이미징 디바이스(10)는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를 제외한 상단 카메라, 하단 카메라, 및 측면 카메라와 같은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 카메라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 제어 방법, 제어 디바이스(11), 이미징 디바이스(10), 및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2개의 이미지들이 촬영되고, 하나는 포커싱된 이미지이고, 다른 하나는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이며, 포커싱된 이미지의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의 재료 부분이 추출되어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 내에 병합됨으로써 리얼한 플레어 효과를 가지는 병합된 이미지를 획득한다. 플레어 효과는 훌륭하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4 실시예는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4 실시예는 다음의 블록들에서의 동작들을 더 포함한다.
블록 S17에서, 포커싱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진다고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병합된 이미지가 출력된다.
블록 S18에서, 포커싱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지 않는다고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가 출력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4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4 실시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는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그리고 이들의 차이점은 제 4 실시예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가 제 1 출력 모듈(1117) 및 제 2 출력 모듈(1118)을 더 포함하고, 이들이 블록 S17, 및 s18에서의 동작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다. 즉, 제 1 출력 모듈(1117)은 포커싱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진다고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병합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출력 모듈(1118)은 포커싱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지 않는다고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도 2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어 방법의 제 4 실시예는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제어 방법의 제 4 실시예는 다음의 블록들에서의 동작들을 더 포함한다.
블록 S17에서, 포커싱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진다고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병합된 이미지가 출력된다.
블록 S18에서, 포커싱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지 않는다고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가 출력된다.
도 26을 참조하면, 제어 방법의 제 4 실시예는 본 개시의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4 실시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1)는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그리고 이들의 차이점은 제 4 실시예의 제어 디바이스(11)가 제 1 출력 모듈(1117) 및 제 2 출력 모듈(1118)을 더 포함하고, 이들이 블록 S17 및 s18에서의 동작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다. 즉, 제 1 출력 모듈(1117)은 포커싱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진다고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병합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출력 모듈(1118)은 포커싱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지 않는다고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제 4 실시예는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1); 및 제어 디바이스(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렌즈(12)를 포함한다. 환언하면, 본 개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는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 제어 모듈(112); 및 카메라 렌즈(12)를 포함한다. 제어 모듈(112), 카메라 렌즈(12), 및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는 모두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 4 실시예는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미징 디바이스(10)를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휴대폰들, 태블릿들, 노트북 컴퓨터들, 스마트 시계들, 스마트 링들, 스마트 헬멧들, 스마트 글래스들, 기타 VR(가상현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기타 AR(증강현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등과 같은 촬영 기능을 가지는 임의의 유형의 단말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수가 하나인 경우, 이미징 디바이스(10)는 전면 카메라 또는 후면 카메라일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수가 2개인 경우, 2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들은 각각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이거나; 또는 2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들 둘 다가 전면 카메라들이거나; 또는 2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들 둘 다가 후면 카메라들일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수가 2 보다 큰 경우, 이미징 디바이스(10)는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를 제외한 상단 카메라, 하단 카메라, 및 측면 카메라와 같은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 카메라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 제어 방법, 제어 디바이스(11), 이미징 디바이스(10), 및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2개의 이미지들이 촬영되고, 하나는 포커싱된 이미지이고, 다른 하나는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이며, 포커싱된 이미지의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의 재료 부분이 추출되어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 내에 병합됨으로써 리얼한 플레어 효과를 가지는 병합된 이미지를 획득한다. 플레어 효과는 훌륭하다.
블록 S17 및 S18은 또한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2 실시예 및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응하여, 제 1 출력 모듈(1117) 및 제 2 출력 모듈(1118)은 또한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제 2 실시예, 제어 디바이스의 제 2 실시예,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제 2 실시예, 및 전자 디바이스의 제 2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다. 블록 S17 및 S18은 또한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3 실시예 및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다. 상응하여, 제 1 출력 모듈(1117) 및 제 2 출력 모듈(1118)은 또한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제 3 실시예, 제어 디바이스의 제 3 실시예,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제 3 실시예, 및 전자 디바이스의 제 3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 1 내지 제 4 실시예들에 따른 상술한 제어 방법에서, 동일한 씬에 대한 포커싱된 이미지 및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이미징 디바이스(10)를 제어하는 단계(블록 S16)는 다음의 블록들에서의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S161에서, 이미징 디바이스가 포커싱하도록 제어되어 포커싱된 이미지를 획득한다.
블록 162에서, 이미징 디바이스가 리포커싱하고 그리고 포커스 상태와 상이한 리포커싱된 상태에서 이미징 디바이스에 의해 출력된 버퍼 이미지를 처리하도록 제어되어 대응하는 블러링 정도를 획득한다.
블록 S163에서, 포커싱된 이미지를 블러링하는 정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블러링 정도를 가지는 버퍼 이미지가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로 보존된다.
상응하여, 도 30을 참조하면, 제 1 내지 제 4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1)의 제어 모듈(112)은 포커싱 서브-모듈(1121), 리포커싱 서브-모듈(1122), 및 보존 서브-모듈(1123)을 포함하고, 이들은 블록 S161, S162, 및 S163에서의 동작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포커싱 서브-모듈(1121)은 이미지 디바이스가 포커싱하도록 제어되어 포커싱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리포커싱 서브-모듈(1122)은 이미징 디바이스가 리포커싱하고 그리고 포커스 상태와 상이한 리포커싱된 상태에서 이미징 디바이스에 의해 출력된 버퍼 이미지를 처리하도록 제어되어 대응하는 블러링 정도를 획득한다. 보존 서브-모듈(1123)은 포커싱된 이미지를 블러링하는 정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블러링 정도를 가지는 버퍼 이미지가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로 보존되도록 구성된다.
상응하여, 제 1 내지 제 4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 및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제어 모듈(112)은 포커싱 서브-모듈(1121), 리포커싱 서브-모듈(1122), 및 보존 서브-모듈(1123)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들의 구조들 및 기능들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그리고 여기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제 1 이미지가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이고 제 2 이미지가 저노출된(underexposed) 이미지인 상황에서, 도 3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5 실시예는 다음의 블록들에서의 동작들을 포함한다.
블록 S21에서, 조명 환경에 매칭하는 제 1 노출값을 이용하는 노출에 의해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획득된다.
블록 S22에서,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블러링되어 블러링되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를 획득한다. 블러링되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는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을 포함한다.
블록 S23에서,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에 응답하여, 제 2 노출값을 이용하는 노출에 의해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와 동일한 씬을 가지는 저노출된 이미지가 획득되고, 그리고 저노출된 이미지를 블러링하여 블러링되고 저노출된 이미지를 획득하며, 여기서 저노출된 이미지는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재료 부분을 포함하고, 블러링되고 저노출된 이미지는 상기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블러링된 재료 부분을 포함하고, 그리고 제 2 노출값은 제 1 노출값 보다 작다.
블록 S24에서, 블러링된 재료 부분의 밝기가 증가되어 가짜 과노출된 부분을 획득한다.
블록 S25에서, 블러링되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의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이 가짜 과노출된 부분으로 교체되어 병합된 이미지를 획득한다.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를 블러링하여 블러링되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가우시안 블러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되고; 그리고/또는 저노출된 이미지를 블러링하여 블러링되고 저노출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가우시안 블러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된다. 블러링된 재료 부분의 밝기를 증가시켜 가짜 과노출된 부분을 획득하는 단계는 블러링되고 저노출된 이미지의 밝기를 N배로 증가시켜 가짜 과노출된 부분을 획득하는 단계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여기서 N은 제 1 노출값 대 제 2 노출값의 비이다.
도 32을 참조하면,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5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5 실시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5 실시예는 식별 모듈(1111), 제 1 블러링 모듈(11121), 제 2 블러링 모듈(11122), 밝기 증가 모듈(1116), 및 병합 모듈(1115)을 포함하고, 이들은 각각 블록 S21 내지 S25에서의 동작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식별 모듈(1111)은 조명 환경에 매칭하는 제 1 노출값을 이용하는 노출에 의해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를 획득하고, 그리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지 여부를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블러링 모듈(11121)은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블러링되어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블러링되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에 응답하여, 제 2 블러링 모듈(11122)은 제 2 노출값을 이용하는 노출에 의해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와 동일한 씬을 가지는 저노출된 이미지를 획득하고, 그리고 저노출된 이미지를 블러링하여 블러링되고 저노출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저노출된 이미지는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재료 부분을 포함하고, 블러링되고 저노출된 이미지는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블러링된 재료 부분을 포함하고, 그리고 제 2 노출값은 제 1 노출값 보다 작다. 밝기 증가 모듈(1116)은 블러링된 재료 부분의 밝기를 증가시켜 가짜 과노출된 부분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병합 모듈(1115)은 블러링되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의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을 가짜 과노출된 부분으로 교체하여 병합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블러링 모듈(11121)은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를 블러링하여 블러링되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가우시안 블러 알고리즘을 채용하고; 그리고/또는 제 2 블러링 모듈(11122)은 저노출된 이미지를 블러링하여 블러링되고 저노출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가우시안 블러 알고리즘을 채용한다. 블러링된 재료 부분의 밝기를 증가시켜 가짜 과노출된 부분을 획득하는 단계에서, 밝기 증가 모듈(1116)은 블러링되고 저노출된 이미지의 밝기를 N배로 증가시켜 가짜 과노출된 부분을 획득할 수 있고, 여기서 N은 제 1 노출값 대 상기 제 2 노출값의 비이다.
도 33 및 도 35 내지 도 3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어 방법의 제 5 실시예는 이미지 디바이스(10)를 제어하기 위해 활용된다. 상기 제어 방법은 다음의 블록들에서의 동작들을 포함한다.
블록 S26에서, 이미징 디바이스(10)는 동일한 씬에 대한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 및 저노출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된다.
블록 S21에서, 조명 환경에 매칭하는 제 1 노출값을 이용하는 노출에 의해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획득되고, 그리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지 여부가 식별된다.
블록 S22에서,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블러링되어 블러링되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를 획득한다. 블러링되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는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을 포함한다.
블록 S23에서,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에 응답하여, 제 2 노출값을 이용하는 노출에 의해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와 동일한 씬을 가지는 저노출된 이미지가 획득되고, 그리고 저노출된 이미지 블러링하여 블러링되고 저노출된 이미지를 획득하며, 여기서 저노출된 이미지는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재료 부분을 포함하고, 블러링되고 저노출된 이미지는 상기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블러링된 재료 부분을 포함하고, 그리고 제 2 노출값은 제 1 노출값 보다 작다.
블록 S24에서, 블러링된 재료 부분의 밝기가 증가되어 가짜 과노출된 부분을 획득한다.
블록 S25에서, 블러링되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의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이 가짜 과노출된 부분으로 교체되어 병합된 이미지를 획득한다.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를 블러링하여 블러링되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가우시안 블러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되고; 그리고/또는 저노출된 이미지를 블러링하여 블러링되고 저노출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가우시안 블러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된다. 블러링된 재료 부분의 밝기를 증가시켜 가짜 과노출된 부분을 획득하는 단계는 블러링되고 저노출된 이미지의 밝기를 N배로 증가시켜 가짜 과노출된 부분을 획득하는 단계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여기서 N은 제 1 노출값 대 제 2 노출값의 비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제어 방법의 제 5 실시예는 본 개시의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5 실시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5 실시예에서, 제어 디바이스(11)는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 및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모듈(112)을 포함한다.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는 블록 S21 내지 S25에서의 동작들을 실행하도록 구현된다. 제어 모듈(112)은 블록 S26을 실행하도록 구현된다.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구조는 상술한 제 5 실시예로 설명되고, 여기서 자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제어 모듈(112)은 동일한 씬에 대한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 및 저노출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이미징 디바이스(10)(도 35 내지 도 35에서 도시됨)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도 35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제 5 실시예는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1); 및 제어 디바이스(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렌즈(12)를 포함한다. 환언하면, 본 실시예의 이미징 디바이스(10)는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 제어 모듈(112); 및 카메라 렌즈(12)를 포함한다. 제어 모듈(112), 카메라 렌즈(12), 및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는 모두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6 내지 도 3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 5 실시예는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이미징 디바이스(10)를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휴대폰들, 태블릿들, 노트북 컴퓨터들, 스마트 시계들, 스마트 링들, 스마트 헬멧들, 스마트 글래스들, 기타 VR(가상현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기타 AR(증강현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등과 같은 촬영 기능을 가지는 임의의 유형의 단말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수가 하나인 경우, 이미징 디바이스(10)는 전면 카메라 또는 후면 카메라일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수가 2개인 경우, 2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들은 각각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이거나; 또는 2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들 둘 다가 전면 카메라들이거나; 또는 2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들 둘 다가 후면 카메라들일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수가 2 보다 큰 경우, 이미징 디바이스(10)는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를 제외한 상단 카메라, 하단 카메라, 및 측면 카메라와 같은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 카메라일 수 있다.
도 37과 함께, 예를 들어, 카메라 렌즈(12)는 동일한 씬에서의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 및 저노출된 이미지를 촬영하는데 사용된다.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2개의 실제로 촬영된 이미지들이 도 37에서 도시된다. 2개의 이미지들의 씬들은 완전히 동일하지 않다. 그러나, 본 개시의 구현에서,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 및 저노출된 이미지를 촬영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매우 짧으며, 그리고 완전하게 동일한 씬이 연출될 수 있다. 조명 환경에 매칭하는 제 1 노출값을 이용하는 노출에 의해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획득된다. 제 1 노출값 보다 작은 제 2 노출값을 이용하는 노출에 의해 저노출된 이미지가 획득된다. 식별 이후,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 즉, 오른쪽 상의 원형 광원을 가지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저노출된 이미지는 과노출된 부분(원형 광원)에 대응하는 재료 부분(원형 광원)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는 블러링되어 블러링되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러한 예시에서,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의 배경이 블러링된다. 도 37에서 도시되는 것은 주로 배경 부분이며, 전체 이미지는 아니다. 저노출된 이미지가 블러링되어 블러링되고 저노출된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러한 예시에서, 저노출된 이미지를 블러링하기 위해 채용되는 접근법은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를 블러링하기 위해 채용되는 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블러링되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의 과노출된 부분(원형 광원)이 블러링되어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원형 광원)을 획득한다. 블러링되고 저노출된 이미지의 재료 부분(원형 광원)이 블러링되어 블러링된 재료 부분(원형 광원)을 획득한다. 블러링된 재료 부분의 밝기가 증가되어 가짜 과노출된 부분을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서, 블러링되고 저노출된 이미지의 밝기는 전체적으로 증가될 수 있고, 반면에 블러링된 재료 부분의 밝기도 증가된다. 대안적으로, 이는 블러링된 재료 부분의 밝기만을 증가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블러링되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의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은 가짜 과노출된 부분으로 교체되어 병합된 이미지를 획득한다.
본 개시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 제어 방법, 제어 디바이스(11), 이미징 디바이스(10), 및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2개의 이미지들이 촬영되고, 하나는 균일하게-노출된 이미지이고, 다른 하나는 저노출된 이미지이며, 2개의 이미지들 둘 다는 블러링되어,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의 밝기가 증가되고, 대응하는 가짜 과노출된 부분이 추출되며, 그리고 블러링되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의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이 가짜 과노출된 부분으로 교체되어 리얼한 플레어 효과를 가지는 블러링된 이미지 내로 병합시킨다. 플레어 효과는 훌륭하다.
도 3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6 실시예는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5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가 다음의 블록들에서의 동작들을 더 포함한다.
블록 S211에서,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가 균일하게-노출된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에 따라 결정된다. 과노출된 픽셀들의 픽셀값들은 사전결정된 픽셀값 보다 크거나 또는 같다.
블록 S212에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것에 응답하여,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으로 결정된다.
도 39를 참조하면,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6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6 실시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는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5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이들의 차이점은 제 6 실시예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식별 모듈(1111)이 제 1 판정 서브-모듈(11111) 및 제 2 결정 서브-모듈(11112)을 포함하고, 이들이 블록 S211 및 S212에서의 동작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다. 즉, 제 1 판정 서브-모듈(11111)은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에 따라,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과노출된 픽셀들의 픽셀값들은 사전결정된 픽셀값 보다 크거나 또는 같다. 제 1 결정 서브-모듈(11112)은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것에 응답하여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말해서, 픽셀값(회색값)은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수평축을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증가되고, 그리고 특정 픽셀값(회색값)의 픽셀들의 개수는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수직축을 따라 하단에서 상단으로 증가된다. 픽셀값(회색값)의 범위는 0 내지 255, 즉, 흑색에서 백색 사이이다. 피크가 높을수록, 주어진 픽셀값(회색값)의 픽셀들의 개수가 더 커진다.
제 1 사전결정된 개수는 히스토그램의 우측 경계에 가까운 픽셀들, 즉,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이어야 한다. 제 1 사전결정된 개수는 전체 픽셀들의 1/3로 설정될 수 있고, 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리고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0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어 방법의 제 6 실시예는 제어 방법의 제 5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가 다음의 블록들에서의 동작들을 더 포함한다.
블록 S211에서,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가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에 따라 결정된다. 과노출된 픽셀들의 픽셀값들은 사전결정된 픽셀값 보다 크거나 또는 같다.
블록 S212에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것에 응답하여,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으로 결정된다.
도 41을 참조하면, 제어 방법의 제 6 실시예는 본 개시의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6 실시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1)는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5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그리고 이들의 차이점은 제 6 실시예의 제어 디바이스(11)의 식별 모듈(1111)이 제 1 판정 서브-모듈(11111) 및 제 2 결정 서브-모듈(11112)을 포함하고, 이들이 블록 S211 및 S212에서의 동작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다. 제 1 판정 서브-모듈(11111)은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에 따라,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과노출된 픽셀들의 픽셀값들은 사전결정된 픽셀값 보다 크거나 또는 같다. 제 1 결정 서브-모듈(11112)은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것에 응답하여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말해서, 픽셀값(회색값)은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수평축을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증가되고, 특정 픽셀값(회색값)의 픽셀들의 개수는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수직축을 따라 하단에서 상단으로 증가된다. 픽셀값(회색값)의 범위는 0 내지 255, 즉, 흑백에서 백색 사이에 있다. 피크가 높아질수록, 주어진 픽셀값(회색값)의 픽셀값들의 개수가 더 커진다.
제 1 사전결정된 개수는 히스토그램의 우측 경계에 가까운 픽셀들, 즉,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일 수 있다. 제 1 사전결정된 개수는 전체 픽셀들의 1/3로 설정될 수 있고, 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리고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제 6 실시예는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1); 및 제어 디바이스(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렌즈(12)를 포함한다. 환언하면, 본 개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는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 제어 모듈(112); 및 카메라 렌즈(12)를 포함한다. 제어 모듈(112), 카메라 렌즈(12), 및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는 모두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 6 실시예는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미징 디바이스(10)를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휴대폰들, 태블릿들, 노트북 컴퓨터들, 스마트 시계들, 스마트 링들, 스마트 헬멧들, 스마트 글래스들, 기타 VR(가상현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기타 AR(증강현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등과 같은 촬영 기능을 가지는 임의의 유형의 단말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수가 하나인 경우, 이미징 디바이스(10)는 전면 카메라 또는 후면 카메라일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수가 2개인 경우, 2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들은 각각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이거나; 또는 2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들 둘 다가 전면 카메라들이거나; 또는 2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들 둘 다가 후면 카메라들일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수가 2 보다 큰 경우, 이미징 디바이스(10)는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를 제외한 상단 카메라, 하단 카메라, 및 측면 카메라와 같은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 카메라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 제어 방법, 제어 디바이스(11), 이미징 디바이스(10), 및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2개의 이미지들이 촬영되고, 하나는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이고, 다른 하나는 저노출된 이미지이며, 2개의 이미지들 둘 다가 블러링되어,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의 밝기가 증가되고, 대응하는 가짜 과노출된 부분이 추출되고, 블러링되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의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이 가짜 과노출된 부분으로 교체되어 리얼한 플레어 효과를 가지는 블러링된 이미지 내로 병합시킨다. 플레어 효과는 훌륭하다.
도 4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7 실시예는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5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는 다음의 블록들에서의 동작들을 더 포함한다.
블록 S211에서,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가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을 따라 결정된다. 과노출된 픽셀들의 픽셀값들은 사전결정된 픽셀값 보다 크거나 또는 같다.
블록 S212에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것에 응답하여,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으로 결정된다.
블록 S213에서,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2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서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블록 S214에서,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서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존재한다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과노출된 부분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도 45를 참조하면,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7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7 실시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는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5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그리고 이들의 차이점은 제 7 실시예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식별 모듈(1111)이 제 1 판정 서브-모듈(11111), 제 1 결정 서브-모듈(11112), 제 2 판정 서브-모듈(11113), 및 제 2 결정 서브-모듈(11114)을 포함하고, 이들이 블록 S211, S212, S213, 및 S214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다.
즉, 제 1 판정 서브-모듈(11111)은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에 따라,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과노출된 픽셀들의 픽셀값들은 사전결정된 픽셀값 보다 크거나 또는 같다. 제 1 결정 서브-모듈(11112)은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것에 응답하여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2 판정 서브-모듈(11113)은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2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서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2 결정 서브-모듈(11114)은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서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존재한다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과노출된 부분에 속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사전결정된 개수가 노이즈 지점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복수의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을 포함(예를 들어, 발산하는 광선들을 가지는 복수의 광원들이 존재하고, 이들이 함께 과노출된 부분에 기여)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제 2 사전결정된 개수는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작아야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말해서, 픽셀값(회색값)은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수평축을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증가되고, 그리고 특정 픽셀값(회색값)의 픽셀들의 개수는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수직축을 따라 하단에서 상단으로 증가된다. 픽셀값(회색값)의 범위는 0 내지 255, 즉, 흑색에서 백색 사이이다. 피크가 높을수록, 주어진 픽셀값(회색값)의 픽셀들의 개수가 더 커진다.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및 제 2 사전결정된 개수는 히스토그램의 우측 경계에 가까운 픽셀들, 즉,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이어야 한다. 제 1 사전결정된 개수는 전체 픽셀들의 1/3로 설정될 수 있고 그리고 제 2 사전결정된 개수는 전체 픽셀들의 1/4로 설정될 수 있고, 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리고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어 방법의 제 7 실시예는 제어 방법의 제 5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가 다음의 블록들에서의 동작들을 더 포함한다.
블록 S211에서,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가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에 따라 결정된다. 과노출된 픽셀들의 픽셀값들은 사전결정된 픽셀값 보다 크거나 또는 같다.
블록 S212에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것에 응답하여,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으로 결정된다.
블록 S213에서,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2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서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블록 S214에서,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서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존재한다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과노출된 부분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도 47을 참조하면, 제어 방법의 제 7 실시예는 본 개시의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7 실시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1)는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5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그리고 이들의 차이점은 제 7 실시예의 제어 디바이스(11)의 식별 모듈(1111)이 제 1 판정 서브-모듈(11111), 제 1 결정 서브-모듈(11112), 제 2 판정 서브-모듈(11113), 및 제 2 결정 서브-모듈(11114)을 포함하고, 이들이 블록 S211, S212, s213, 및 s114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다. 즉, 제 1 판정 서브-모듈(11111)은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에 따라,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과노출된 픽셀들의 픽셀값들은 사전결정된 픽셀값 보다 크거나 또는 같다. 제 1 결정 서브-모듈(11112)은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것에 응답하여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2 판정 서브-모듈(11113)은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2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서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2 결정 서브-모듈(11114)은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서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존재한다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과노출된 부분에 속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사전결정된 개수가 노이즈 지점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복수의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을 포함(예를 들어, 발산하는 광선들을 가지는 복수의 광원들이 존재하고, 이들이 함께 과노출된 부분에 기여)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제 2 사전결정된 개수는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작아야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말해서, 픽셀값(회색값)은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수평축을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증가되고, 그리고 특정 픽셀값(회색값)의 픽셀들의 개수는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수직축을 따라 하단에서 상단으로 증가된다. 픽셀값(회색값)의 범위는 0 내지 255, 즉, 흑색에서 백색 사이이다. 피크가 높을수록, 주어진 픽셀값(회색값)의 픽셀들의 개수가 더 커진다.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및 제 2 사전결정된 개수는 히스토그램의 우측 경계에 가까운 픽셀들, 즉,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이어야 한다. 제 1 사전결정된 개수는 전체 픽셀들의 1/3로 설정될 수 있고 그리고 제 2 사전결정된 개수는 전체 픽셀들의 1/4로 설정될 수 있고, 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리고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8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제 7 실시예는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1); 및 제어 디바이스(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렌즈(12)를 포함한다. 환언하면, 본 개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는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 제어 모듈(112); 및 카메라 렌즈(12)를 포함한다. 제어 모듈(112), 카메라 렌즈(12), 및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는 모두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 7 실시예는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이미징 디바이스(10)를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휴대폰들, 태블릿들, 노트북 컴퓨터들, 스마트 시계들, 스마트 링들, 스마트 헬멧들, 스마트 글래스들, 기타 VR(가상현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기타 AR(증강현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등과 같은 촬영 기능을 가지는 임의의 유형의 단말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수가 하나인 경우, 이미징 디바이스(10)는 전면 카메라 또는 후면 카메라일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수가 2개인 경우, 2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들은 각각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이거나; 또는 2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들 둘 다가 전면 카메라들이거나; 또는 2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들 둘 다가 후면 카메라들일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수가 2 보다 큰 경우, 이미징 디바이스(10)는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를 제외한 상단 카메라, 하단 카메라, 및 측면 카메라와 같은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 카메라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 제어 방법, 제어 디바이스(11), 이미징 디바이스(10), 및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2개의 이미지들이 촬영되고, 하나는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이고, 다른 하나는 저노출된 이미지이며, 2개의 이미지들 둘 다가 블러링되어,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의 밝기가 증가되고, 대응하는 가짜 과노출된 부분이 추출되고, 그리고 블러링되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의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이 가짜 과노출된 부분으로 교체되어 리얼한 플레어 효과를 가지는 블러링된 이미지 내로 병합시킨다. 플레어 효과는 훌륭하다.
도 50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8 실시예는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5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8 실시예는 다음의 블록들에서의 동작들을 더 포함한다.
블록 S27에서,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진다고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병합된 이미지가 출력된다.
블록 S28에서,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지 않는다고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가 출력된다.
도 51를 참조하면,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8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8 실시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는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5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그리고 이들의 차이점은 제 8 실시예의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가 제 1 출력 모듈(1117) 및 제 2 출력 모듈(1118)을 더 포함하고, 이들이 블록 S17, 및 s18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다. 즉, 제 1 출력 모듈(1117)은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진다고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병합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출력 모듈(1118)은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지 않는다고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블러링되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도 5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어 방법의 제 8 실시예는 제어 방법의 제 5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제어 방법의 제 8 실시예는 다음의 블록들에서의 동작들을 더 포함한다.
블록 S27에서,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진다고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병합된 이미지가 출력된다.
블록 S28에서,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지 않는다고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블러링되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출력된다.
도 53을 참조하면, 제어 방법의 제 8 실시예는 본 개시의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8 실시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1)는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5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그리고 이들의 차이점은 제 8 실시예의 제어 디바이스(11)가 제 1 출력 모듈(1117) 및 제 2 출력 모듈(1118)을 더 포함하고, 이들이 블록 S27 및 S28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다. 즉, 제 1 출력 모듈(1117)은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진다고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병합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출력 모듈(1118)은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지 않는다고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블러링되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도 5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제 8 실시예는 제어 디바이스(11)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1); 및 제어 디바이스(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렌즈(12)를 포함한다. 환언하면, 본 개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는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 제어 모듈(112); 및 카메라 렌즈(12)를 포함한다. 제어 모듈(112), 카메라 렌즈(12), 및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는 모두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5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 8 실시예는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이미징 디바이스(10)를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휴대폰들, 태블릿들, 노트북 컴퓨터들, 스마트 시계들, 스마트 링들, 스마트 헬멧들, 스마트 글래스들, 기타 VR(가상현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기타 AR(증강현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등과 같은 촬영 기능을 가지는 임의의 유형의 단말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수가 하나인 경우, 이미징 디바이스(10)는 전면 카메라 또는 후면 카메라일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수가 2개인 경우, 2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들은 각각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이거나; 또는 2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들 둘 다가 전면 카메라들이거나; 또는 2개의 이미징 디바이스(10)들 둘 다가 후면 카메라들일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수가 2 보다 큰 경우, 이미징 디바이스(10)는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를 제외한 상단 카메라, 하단 카메라, 및 측면 카메라와 같은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 카메라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111), 제어 방법, 제어 디바이스(11), 이미징 디바이스(10), 및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2개의 이미지들이 촬영되고, 하나는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이고, 다른 하나는 저노출된 이미지이며, 2개의 이미지들 둘 다가 블러링되어,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의 밝기가 증가되고, 대응하는 가짜 과노출된 부분이 추출되고, 그리고 블러링되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의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이 가짜 과노출된 부분으로 교체되어 리얼한 플레어 효과를 가지는 블러링된 이미지 내로 병합시킨다. 플레어 효과는 훌륭하다.
블록 S27 및 S28은 또한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6 실시예 및 제어 방법의 제 6 실시예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응하여, 제 1 출력 모듈(1117) 및 제 2 출력 모듈(1118)은 또한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제 6 실시예, 제어 디바이스의 제 6 실시예,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제 6 실시예, 및 전자 디바이스의 제 6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다. 블록 S27 및 S28은 또한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의 제 6 실시예 및 제어 방법의 제 6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다. 상응하여, 제 1 출력 모듈(1117) 및 제 2 출력 모듈(1118)은 또한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제 6 실시예, 제어 디바이스의 제 6 실시예,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제 6 실시예, 및 전자 디바이스의 제 6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다.
도 56을 참조하면, 제 5 내지 제 8 실시예들에 따른 상술한 제어 방법에서, 동일한 씬에 대한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 및 저노출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이미징 디바이스(10)를 제어하는 단계(블록 S26)는 다음의 블록들에서의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S261에서, 제 1 노출값이 조명 환경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블록 S262에서, 제 2 노출값이 과노출된 부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블록 S263에서, 카메라 렌즈가 제 1 노출값 및 제 2 노출값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노출들을 수행하도록 제어되어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 및 저노출된 이미지를 획득한다.
상응하여, 도 57을 참조하면, 제 5 내지 제 8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1)의 제어 모듈(112)은 제 1 노출 결정 유닛(1131), 제 2 노출 결정 유닛(1132), 및 제 1 제어 유닛(1133)을 포함하고, 이들은 블록 S261, S262, 및 S263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 1 노출 결정 유닛(1131)은 조명 환경에 기초하여 제 1 노출값을 결정하도록 결정된다. 제 2 노출 결정 유닛(1132)은 과노출된 부분에 기초하여 제 2 노출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제어 유닛(1133)은 제 1 노출값 및 제 2 노출값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노출들을 수행하도록 카메라를 제어하여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 및 저노출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상응하여, 제 5 내지 제 8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 및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제어 모듈(112)은 또한 제 1 노출 결정 유닛(1131), 제 2 노출 결정 유닛(1132), 및 제 1 제어 유닛(1133)을 포함할 수 있고, 이의 기능들 및 구조들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고 여기서 자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도 58을 참조하면, 제 5 내지 제 8 실시예들에 따른 상술한 제어 방법에서, 제어 방법을 이용하여 제어되는 이미징 디바이스가 제 1 카메라 렌즈 및 제 2 카메라 렌즈를 포함하는 경우, 동일한 씬(블록 S26)에 대한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 및 저노출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이미징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다음의 블록들에서의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S261에서, 제 1 노출값이 조명 환경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블록 S262에서, 제 2 노출값이 과노출된 부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블록 S264에서, 제 1 카메라 렌즈 및 제 2 카메라 렌즈는 각각 제 1 노출값 및 제 2 노출값을 이용하는 노출을 수행하도록 제어되어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 및 저노출된 이미지를 획득한다.
상응하여, 도 59을 참조하면, 제 5 내지 제 8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1)의 제어 모듈(112)은 제 1 노출 결정 유닛(1131), 제 2 노출 결정 유닛(1132), 및 제 2 제어 유닛(1134)을 포함하고, 이들은 블록 S261, S262, 및 S264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 1 노출 결정 유닛(1131)은 조명 환경에 기초하여 제 1 노출값을 결정하도록 결정된다. 제 2 노출 결정 유닛(1132)은 과노출된 부분에 기초하여 제 2 노출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제어 유닛(1134)은 각각 제 1 노출값 및 제 2 노출값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노출들을 수행하도록 제 1 카메라 렌즈 및 제 2 카메라 렌즈를 제어하여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 및 저노출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상응하여, 제 5 내지 제 8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 및 이미징 디바이스(10)의 제어 모듈(112)은 또한 제 1 노출 결정 유닛(1131), 제 2 노출 결정 유닛(1132), 및 제 2 제어 유닛(1134)을 포함할 수 있고, 이의 기능들 및 구조들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고 여기서 자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몇몇의 실시예들은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전자 디바이스는 하우징, 프로세서, 저장 장치, 회로 기판 및 전력 회로를 포함한다. 회로 기판은 하우징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 내에 배치된다. 프로세서 및 저장 장치는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된다. 전력 회로는 전자 디바이스의 각각의 회로 또는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저장 장치는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저장 장치에 저장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판독함으로써, 프로세서는 상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 또는 상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들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전자 디바이스는 휴대폰,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시계, 스마트 링, 스마트 헬멧, 및 스마트 글래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또한 그 안에 저장된 명령들을 가지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전자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명령들이 실행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상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상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한다.
"일 실시예", "몇몇의 실시예들", "하나의 실시예", "다른 예시, "일례", "특정 예시" 또는 "몇몇의 예시들"에 대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언급은, 실시예 또는 예시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특정한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이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다양한 장소들에서의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실시예에서", "일 실시예에서", "다른 예시에서", "일 예시에서", "특정 예시에서", 또는 "몇몇의 예시들에서"와 같은 문구들의 출현들은 반드시 본 개시의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정한 특징들, 구조들, 재료들 또는 특성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 또는 예시들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도 있다.
흐름도에서 설명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들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프로세스 또는 방법은 프로세스에서 특정한 논리적 기능들 또는 단계들을 구현하기 위한 실행가능한 명령들의 코드들의 하나 이상의 모듈들, 세그먼트들 또는 부분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서 논의되거나 나타난 순서와 반드시 일치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관련 기능들의 동일하거나 또는 반대의 순서를 포함하는 다른 구현들을 포함하고,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흐름도에서 도시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들로 설명되는 로직 및/또는 단계들(예를 들어, 논리적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실행가능한 명령들의 특정한 시퀀스 테이블)은 명령 실행 시스템, 디바이스 또는 장비(컴퓨터들에 기초하는 시스템과 같은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프로세서들 또는 명령 실행 시스템, 디바이스 및 장비로부터 명령을 획득하고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는 다른 시스템을 포함함)에 의해 사용되거나, 명령 실행 시스템, 디바이스 및 장비와 함께 사용되도록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구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명령 실행 시스템, 디바이스 또는 장비에 의해 또는 함께 사용되도록 프로그램들을 포함, 저장, 통신, 전파, 또는 전송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보다 구체적인 예시들은: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을 가지는 전자 연결부(전자 디바이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리드-온리 메모리(ROM), 소거가능 프로그램가능 리드-온리 메모리(EPROM 또는 플래쉬 메모리), 또는 광섬유 디바이스 및, 포터블 컴팩트 디스크 리드-온리 메모리(CDROM)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종이 또는 프로그램들을 인쇄할 수 있는 다른 적합한 매체일 수도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종이 또는 다른 적합한 매체가 광학적으로 스캐닝되어 필요한 경우 다른 적합한 방법들로 편집, 해독, 또는 처리되어 전기적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획득하여, 프로그램이 컴퓨터 메모리들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개시의 각각의 부분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단계들 또는 방법들은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에 의해 실현되며 그리고 적합한 명령 실행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경우, 다른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단계들 또는 방법들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음의 기술들 중 하나 또는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데이터 신호의 논리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 게이트 회로를 가지는 이산 논리 회로, 적절한 조합 논리 게이트 회로를 가지는 주문형 집적회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PGA),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방법에서의 전체 또는 일부의 단계들이 관련된 하드웨어를 프로그램들로 명령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프로그램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그리고 프로그램들은 컴퓨터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방법에서의 단계들 중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각각의 기능 셀은 프로세싱 모듈에서 통합되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셀들은 별개의 물리적 존재일 수 있거나, 또는 2개 이상의 셀들이 프로세싱 모듈에 통합되어 있다. 통합 모듈은 하드웨어의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들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통합 모듈이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태로 구현되고 그리고 단독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되는 경우, 통합 모듈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저장 매체는 리드-온리 메모리들, 자기 디스크들 또는 CD 등일 수 있다. 비록 설명을 위한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상술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고, 그리고 본 개시의 사상, 원리들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예들에서 변경들, 대안들, 및 수정들을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Claims (15)

  1.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제 1 포토그래피 파라미터(first photography parameter)에 대응하는 제 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이미지와 동일한 씬(scene)을 가지는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 2 이미지는 제 2 포토그래피 파라미터(second photography parameter)에 대응함 -;
    (c) 상기 제 1 이미지를 블러링하여 블러링된 제 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d) 상기 블러링된 제 1 이미지의 교체되어야 하는(to-be-replaced) 부분을 정의하는 단계 - 상기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은 상기 제 1 이미지의 과노출된 부분(overexposed part)에 대응함 -;
    (e) 상기 제 2 이미지의 교체 부분(replacing part)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교체 부분은 상기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에 대응함 -; 및
    (f) 상기 블러링된 제 1 이미지의 상기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을 상기 제 2 이미지의 상기 교체 부분으로 교체하여 병합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미지는 포커싱된(focused)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이미지는 아웃 포커싱된(out-of-focus) 이미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단계 (a) 내지 (f)는:
    상기 포커싱된 이미지가 포커스 상태(focus state)에서 상기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포커싱된 이미지를 블러링하여 블러링되고 포커싱된(blurred focused)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는 상기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을 포함함 -;
    상기 포커싱된 이미지가 상기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포커싱된 이미지와 동일한 씬을 가지는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를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포커싱된 이미지의 상기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재료 부분(material portion)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을 상기 재료 부분으로 교체하여 상기 병합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된 이미지가 상기 포커스 상태에서 상기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포커싱된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에 따라, 상기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과노출된 픽셀들의 픽셀값들은 사전결정된 픽셀값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음 -; 및
    상기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상기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포커싱된 이미지가 상기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된 이미지가 상기 포커스 상태에서 상기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는: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adjacent overexposed pixel)들이 제 2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상기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상기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존재한다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상기 과노출된 부분에 속한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된 이미지를 블러링하여 상기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가우시안 블러 알고리즘(Gaussian blur algorithm)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부분을 블러링하는 정도는 상기 과노출된 부분을 블러링하는 정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된 이미지가 상기 과노출된 부분을 가진다고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병합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포커싱된 이미지가 상기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지 않는다고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미지는 균일하게 노출된(equally-exposed)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이미지는 저노출된(underexposed)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들 (a) 내지 (f)는:
    조명 환경에 매칭하는 제 1 노출값을 이용하는 노출(exposure)에 의해 상기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를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상기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를 블러링하여 상기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블러링되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상기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에 응답하여, 제 2 노출값을 이용하는 노출에 의해 상기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와 동일한 씬을 가지는 상기 저노출된 이미지를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저노출된 이미지를 블러링하여 블러링되고 저노출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저노출된 이미지는 상기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재료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블러링되고 저노출된 이미지는 상기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블러링된 재료 부분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노출값은 상기 제 1 노출값 보다 작음 -;
    상기 블러링된 재료 부분의 밝기를 증가시켜 가짜(fake) 과노출된 부분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블러링되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의 상기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을 상기 가짜 과노출된 부분으로 교체하여 상기 병합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상기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에 따라, 상기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과노출된 픽셀들의 픽셀값들은 사전결정된 픽셀값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음 -; 및
    상기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상기 제 1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상기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상기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는: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의 개수가 제 2 사전결정된 개수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서 상기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에서 상기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존재한다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인접한 과노출된 픽셀들이 상기 과노출된 부분에 속한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를 블러링하여 상기 블러링되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가우시안 블러 알고리즘에 의해 구현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저노출된 이미지를 블러링하여 상기 블러링되고 저노출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가우시안 블러 알고리즘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러링된 재료 부분의 밝기를 증가시켜 상기 가짜 과노출된 부분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블러링되고 저노출된 이미지의 밝기를 N배로 증가시켜 상기 가짜 과노출된 부분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N은 상기 제 1 노출값 대 상기 제 2 노출값의 비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상기 노출된 부분을 가진다고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병합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가 상기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지 않는다고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블러링되고 균일하게 노출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는 메모리 - 상기 메모리는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복수의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함 -;
    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a) 제 1 포토그래피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제 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이미지와 동일한 씬을 가지는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 2 이미지는 제 2 포토그래피 파라미터에 대응함 -;
    (c) 상기 제 1 이미지를 블러링하여 블러링된 제 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d) 상기 블러링된 제 1 이미지의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을 정의하는 단계 - 상기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은 상기 제 1 이미지의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함 -;
    (e) 상기 제 2 이미지의 교체 부분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교체 부분은 상기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에 대응함 -; 및
    (f) 상기 블러링된 제 1 이미지의 교체되어야 하는 부분을 상기 제 2 이미지의 상기 교체 부분으로 교체하여 병합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미지는 포커싱된(focused)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이미지는 아웃 포커싱된(out-of-focus) 이미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단계 (a) 내지 (f)는:
    상기 포커싱된 이미지가 포커스 상태(focus state)에서 상기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포커싱된 이미지를 블러링하여 블러링되고 포커싱된(blurred focused)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는 상기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을 포함함 -;
    상기 포커싱된 이미지가 상기 과노출된 부분을 가지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포커싱된 이미지와 동일한 씬을 가지는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를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아웃 포커싱된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포커싱된 이미지의 상기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재료 부분(material portion)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블러링되고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과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블러링되고 과노출된 부분을 상기 재료 부분으로 교체하여 상기 병합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
  15. 저장된 명령을 가지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전자 디바이스가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명령들을 실행하는 경우, 제 1 항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97018549A 2016-12-20 2017-12-19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 및 디바이스,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2171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PCT/CN2016/111149 2016-12-20
CNPCT/CN2016/111147 2016-12-20
PCT/CN2016/111149 WO2018112764A1 (zh) 2016-12-20 2016-12-20 图像处理方法与装置、控制方法与装置、成像与电子装置
PCT/CN2016/111147 WO2018112763A1 (zh) 2016-12-20 2016-12-20 图像处理方法与装置、控制方法与装置、成像与电子装置
PCT/CN2017/117289 WO2018113685A1 (en) 2016-12-20 2017-12-19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035A KR20190089035A (ko) 2019-07-29
KR102171625B1 true KR102171625B1 (ko) 2020-10-30

Family

ID=6067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549A KR102171625B1 (ko) 2016-12-20 2017-12-19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 및 디바이스,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692199B2 (ko)
EP (1) EP3340608B1 (ko)
JP (1) JP6803473B2 (ko)
KR (1) KR102171625B1 (ko)
AU (1) AU2017379019B2 (ko)
ES (1) ES2761593T3 (ko)
TW (1) TWI626620B (ko)
WO (1) WO2018113685A1 (ko)
ZA (1) ZA2019041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45130B (zh) * 2019-12-06 2023-05-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US11800056B2 (en) 2021-02-11 2023-10-24 Logitech Europe S.A. Smart webcam system
US11800048B2 (en) 2021-02-24 2023-10-24 Logitech Europe S.A. Image generating system with background replacement or modification capabiliti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7059A (ja) 2006-02-14 2009-07-23 フォトネーション アイルランド リミテッド 画像ぼかし処理
JP2013172213A (ja) * 2012-02-17 2013-09-02 Canon Inc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314568A1 (en) 2011-02-18 2013-11-28 DigitalOptics Corporation Europe Limited Dynamic Range Extension by Combining Differently Exposed Hand-Held Device-Acquired Images
JP2015095880A (ja) 2013-11-14 2015-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91331B2 (ja) * 2006-11-15 2011-10-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露出制御方法
US7729602B2 (en) * 2007-03-09 2010-06-01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using multiple lenses and image sensors operable in a default imaging mode
US7859588B2 (en) * 2007-03-09 2010-12-28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dual lens camera to augment an image
JP4306752B2 (ja) 2007-03-19 2009-08-0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測光方法、輝度算出方法、プログラム
US20080231726A1 (en) * 2007-03-23 2008-09-25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color correction in a portable device
CN101399924B (zh) * 2007-09-25 2010-05-19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基于亮度直方图的自动曝光方法和装置
JP4416825B2 (ja) * 2008-07-02 2010-02-1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検査処理装置、画像検査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229244B2 (en) * 2009-03-30 2012-07-24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ulti-image deblurring
US8553106B2 (en) * 2009-05-04 2013-10-08 Digitaloptics Corporation Dual lens digital zoom
JP5545596B2 (ja) * 2010-07-21 2014-07-0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入力装置
JP5787648B2 (ja) 2011-07-11 2015-09-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TW201320733A (zh) * 2011-11-07 2013-05-16 Altek Corp 人臉過曝的影像處理方法及其影像擷取裝置
JP2013157965A (ja) * 2012-01-31 2013-08-15 Oki Data Corp 画像処理装置
CN102740564B (zh) * 2012-06-28 2015-04-22 上海新进半导体制造有限公司 一种led驱动电路和led的控制方法
CN113472989A (zh) * 2012-11-28 2021-10-01 核心光电有限公司 多孔径成像系统以及通过多孔径成像系统获取图像的方法
CN203120316U (zh) 2013-01-25 2013-08-0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手机、平板电脑及其镜片与电子设备壳体装配结构
US9736956B2 (en) 2013-03-12 2017-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module
US9615012B2 (en) * 2013-09-30 2017-04-04 Google Inc. Using a second camera to adjust settings of first camera
EP3079010B1 (en) * 2013-12-06 2018-09-12 Huawei Device (Dongguan) Co., Ltd. Photographing method for dual-camera device and dual-camera device
JP6090820B2 (ja) 2014-06-27 2017-03-08 エスゼット ディージェイアイ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z Dji Technology Co.,Ltd バイヤーカラーフィルタアレイに基づくハイダイナミックレンジの動画録画方法及び装置
KR102157675B1 (ko) * 2014-07-25 2020-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장치 및 그 촬영 방법
CN104125384B (zh) 2014-08-11 2017-08-04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摄像头模组及包括其的移动终端
CN104333708B (zh) 2014-11-28 2017-10-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拍照方法、拍照装置及终端
JP6003974B2 (ja) * 2014-12-26 2016-10-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600741B1 (en) * 2015-03-18 2017-03-21 Amazon Technologies, Inc. Enhanced image generation based on multiple images
CN105979165B (zh) 2016-06-02 2019-02-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虚化照片生成方法、装置和移动终端
CN206135994U (zh) 2016-08-31 2017-04-2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移动终端
CN106210205B (zh) 2016-08-31 2019-10-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移动终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7059A (ja) 2006-02-14 2009-07-23 フォトネーション アイルランド リミテッド 画像ぼかし処理
US20130314568A1 (en) 2011-02-18 2013-11-28 DigitalOptics Corporation Europe Limited Dynamic Range Extension by Combining Differently Exposed Hand-Held Device-Acquired Images
JP2013172213A (ja) * 2012-02-17 2013-09-02 Canon Inc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5095880A (ja) 2013-11-14 2015-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26620B (zh) 2018-06-11
EP3340608A1 (en) 2018-06-27
ZA201904191B (en) 2020-12-23
TW201824185A (zh) 2018-07-01
WO2018113685A1 (en) 2018-06-28
AU2017379019A1 (en) 2019-07-11
US20180174285A1 (en) 2018-06-21
ES2761593T3 (es) 2020-05-20
EP3340608B1 (en) 2019-10-30
JP2020502689A (ja) 2020-01-23
AU2017379019B2 (en) 2020-08-06
JP6803473B2 (ja) 2020-12-23
US10692199B2 (en) 2020-06-23
KR20190089035A (ko) 201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8776B1 (ko) 이미지 처리 방법, 기기, 및 장치
US11044410B2 (en) Imag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166941B1 (ko) 듀얼-코어 포커싱 이미지 센서, 이의 포커싱 제어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dual-core focusing image sensor, focusing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US10630906B2 (en) Imaging control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10951833B2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between cameras, and terminal
US8854489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CN108810413B (zh) 图像处理方法和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9085603A1 (en) Method for image-processing and mobile terminal using dual cameras
KR20200017072A (ko) 이미지 분석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영상과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과 관련하여 알림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9072190A1 (zh) 图像处理方法、电子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4902182B (zh) 一种实现连续自动对焦的方法和装置
KR102171625B1 (ko)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 및 디바이스,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5187728B (zh) 拍照方法和装置
US10708499B2 (en) Method and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constant automatic focusing when exposure changes
US20210274108A1 (en) A Device Having Exactly Two Cameras and a Method of Generating Two Images Using the Device
CN110276730B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
JP2018182700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16092513A (ja) 画像取得装置、ブレ軽減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112763A1 (zh) 图像处理方法与装置、控制方法与装置、成像与电子装置
CN114762313B (zh) 图像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WO2018112764A1 (zh) 图像处理方法与装置、控制方法与装置、成像与电子装置
KR102133533B1 (ko) 촬상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촬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