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350B1 -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트레이 - Google Patents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350B1
KR102171350B1 KR1020140116979A KR20140116979A KR102171350B1 KR 102171350 B1 KR102171350 B1 KR 102171350B1 KR 1020140116979 A KR1020140116979 A KR 1020140116979A KR 20140116979 A KR20140116979 A KR 20140116979A KR 102171350 B1 KR102171350 B1 KR 102171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in
cell
energy storage
storag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8205A (ko
Inventor
윤승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6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350B1/ko
Publication of KR20160028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로 구성된 배터리 모듈과; 이 배터리 모듈을 수용하고, 이의 일측에 전기 커넥터를 갖춘 채널을 형성하는 케이스; 전기 커넥터의 카드 수용부로 삽입될 제1 인터페이스와 제2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케이스의 채널에 슬라이딩 결합방식으로 삽입장착되는 BMS;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BMS와 전기 커넥터 접속시, 직렬배열된 배터리 셀의 저전위 노드 배선에서부터 고전위 노드배선의 순서대로 접속을 허용한다.

Description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트레이 {Battery tray provided in energy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은 신재생 에너지원에서 발전된 잉여 전력을 저장하거나 계통의 부족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계통에 공급한다. 이러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소용량의 전력 저장용 배터리 랙을 직렬 및/또는 병렬로 조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특히,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배터리의 충전, 방전, 셀 밸런싱(cell balancing) 등의 다양한 변수에 대한 배터리의 효율적인 관리가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이하 BMS)이 에너지 저장 시스템 내에 장착되어야만 한다.
특허문헌 1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복수의 배터리 트레이로 구성된 배터리 랙을 구성하고, 배터리 트레이는 BMS와 트레이 배터리(배터리 모듈)로 이루어져 있다. 즉, 특허문헌 1은 직렬 및/또는 병렬의 조합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진 트레이 배터리 내의 배터리 셀들의 셀 밸런싱을 제어할 수 있는 BMS와 트레이 배터리와의 전기적 결합관계, 즉 데이터 통신망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70346호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트레이 내에 BMS를 장착할 때 전기적으로 안정한 접점을 보장할 수 있는 배터리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배터리 트레이에 BMS 삽입시 전기적으로 안정하게 접점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로 구성된 배터리 모듈과;
이 배터리 모듈을 수용하고, 이의 일측에 전기 커넥터를 갖춘 채널을 형성하는 케이스;
전기 커넥터의 카드 수용부로 삽입될 제1 인터페이스와 제2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케이스의 채널에 슬라이딩 결합방식으로 삽입장착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는 직렬회로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로 구성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BMS는 제1 인터페이스와 회로연결되어 있는 배터리 센싱부와, 제2 인터페이스와 회로연결되어 있는 전원 및 통신부를 포함한다.
제1 인터페이스는 셀 그라운드핀과 하나 이상의 셀 전원핀을 형성하고, 셀 그라운드핀과 하나 이상의 셀 전원핀의 핀 길이가 상호 달리하고 있어 BMS와 전기 커넥터의 접점시 순차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제1 인터페이스의 셀 전원핀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의 직렬 연결 순서에 대응되게 핀 길이를 순차적으로 줄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셀 그라운드핀의 핀 길이가 하나 이상의 셀 전원핀의 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제2 인터페이스는 그라운드핀과 전원핀을 형성하고, 그라운드핀과 전원핀의 핀 길이가 상호 달리한다.
제2 인터페이스의 그라운드핀의 핀 길이가 전원핀의 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한다.
BMS의 셀 그라운드핀이 하나 이상의 셀 전원핀보다 먼저 전기 커넥터에 접속되도록 한다.
이러한 핀 길이의 차별화를 통해, 본 발명은 BMS와 전기 커넥터 접속시, 직렬배열된 배터리 셀의 저전위 노드 배선에서부터 고전위 노드배선의 순서대로 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서 직렬연결된 각각의 배터리 셀의 전지 전압 및 기타 매개변수들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배터리 트레이에 시리얼 통신 방식으로 상호 연결되는 BMS를 구비하며, 이 BMS는 배터리 모듈 내에 배치된 직렬라인에 저전위에서 고전위의 순서대로 데이터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이는 BMS 뿐만 아니라 배터리 트레이의 전기적 안정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BMS의 핀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배터리 트레이와 BMS의 결합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트레이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장점, 특징,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개략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100)는 대용량의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복수의 배터리들을 보관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1)에 구비되는 것이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듯이, 에너지 저장 시스템(1)은 복수의 배터리 트레이(100)의 안착을 돕도록 위치선정하는 랙(10)과, 이 랙(10)의 장착 위치에 정위치되는 배터리 트레이(100), 및 각각의 배터리 트레이(100)를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전력선(200)을 포함한다. 각 배터리 트레이(100)를 통합하는 배터리 랙(10)의 마스터 BMS(미도시)와의 통신망에 대한 배선은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배제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100)는 복수의 배터리 셀(C; C-1, C-2,…, C-N)을 직렬회로로 연결되게 구성된 배터리 모듈(110)과, 이 배터리 모듈(110)을 수용하는 케이스(120), 및 케이스(120)의 일측에 형성된 채널(121)에 삽입장착되는 BMS(130)를 구비한다. 여기서, BMS(130)는 충방전 전류, 각 배터리 셀(C)의 전압, 전류, 온도 등의 전기적 특성값 측정, 각 배터리 셀(C)의 SOC(Stage Of Charge)의 추정, SOH(State Of Health)의 추정, 충·방전과정의 제어, 셀 밸런싱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기재된 BMS(130)는 트레이에 채용되는 슬레이브 BMS일 수 있으며, BMS의 적용 범위를 이에 제한하지는 않는다.
BMS(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 혹은 카드, 예컨대 PCI 카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카드의 상부면 일부분에 배터리 센싱부(131)를 배치하고 카드의 상부면 나머지 부분에 전원 및 통신부(135)를 배치하게 된다. 도시되었듯이, 카드타입의 BMS(130)는 배터리 트레이(100)의 채널(121)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접근 허용되어 전기 커넥터와 체결가능하며, BMS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다.
배터리 센싱부(131)는 BMS(130)의 전면 가장자리 일측에 형성된 제1 인터페이스(132)의 핀(132-G, 132-1, , 132-2, …, 132-N)을 감지회로(sensing circuit)를 통해 반도체 칩 혹은 MCU(Micro Controller Unit)에 연결하여 배터리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전원 및 통신부(135)도 BMS(120)의 전면 가장자리 타측에 형성된 제2 인터페이스(136)의 핀(136-G, 136-1, 136-2)을 반도체 칩 혹은 MCU에 연결되어 BMS(130)의 전원 인가 등의 기타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핀(136-G)은 그라운드(ground)핀의 역할을 위해 제2 인터페이스(136)의 접지선에 전기연통되고, 핀(136-1)은 전원핀의 역할을 위해 제2 인터페이스(136)의 전원선(+극)에 전기연통되는 한편, 핀(136-2)은 기타 신호의 입출력핀으로써 예컨대 통신용 데이터통신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10)은 케이스(120)의 일측에 형성된 채널(121) 근방에 기 설치된 버스바(미도시) 등의 구성부재를 통해 직렬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C; C-1, C-2,…, C-N))의 탭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데, 버스바는 채널(121)의 내측면 상에 배치된 전기 커넥터(140)와 직접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전기 커넥터(140)는 슬롯 혹은 리셉터클(receptacle)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100)는 채널(121)의 안내경로를 따라 삽입된 BMS(130)를 채널(121)의 내측면에 구비된 전기 커넥터(140)에서 오목하게 함몰형성된 카드 수용부(141)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접점가능하게 수용하게 된다.
배터리 트레이의 케이스 내에 내장된 배터리 셀(C)은 직렬방식으로 연결되되, 배터리 모듈(110) 내에서 저전위에 위치된 배터리 셀부터 제1 배터리 셀(C-1), 제2 배터리 셀(C-2),…, 제N 배터리 셀(C-N)로 명명한다.
도 4에서, 각각의 배터리 셀(C-1, C-2,…, C-N)은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 셀의 음극과 양극 사이에 전원 전압(총 전압)을 생성하게 되는데, 음극 라인은 전기 커넥터(140)의 최좌측에 접속된 접지 접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는 배터리 모듈(110)의 각 배터리 셀(C-1, C-2,…, C-N) 마다 셀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BMS(130)를 사용하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각 배터리 셀(C-1, C-2,…, C-N)의 셀 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배터리 셀 사이의 노드로부터 전기커넥터(140)의 각각 대응되는 스프링 아암으로 연결하는 배선을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140)의 각 스프링 아암은 BMS(130)의 제1 인터페이스(132)에 패턴형성된 셀 전원핀(132-1, 132-2,…, 132-N)과 대응되게 접점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는 각 배터리 셀(C-1, C-2,…, C-N)의 노드와 BMS(130)의 제1 인터페이스(132)의 셀 전원핀(132-1, 132-2,…, 132-N)을 1대 1의 대응관계로 접속하고, 바람직하기로 직렬연결된 각 배터리 셀의 노드 배선과 BMS의 셀 전원핀의 접점시 저전위에서 고전위의 순서대로 접속을 허용하도록 한다.
참고로, 전체 전류 경로는 배터리 셀(C-1, C-2,…, C-N)의 순서로 모두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배터리 셀(C; C-1, C-2,…, C-N)은 충전가능한 이차전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배터리 트레이에 적용될 배터리 모듈(110)은 전술된 바와 같이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배터리 셀(C; C-1, C-2,…, C-N)을 포함하는데, 직렬로 접속된 배터리 셀(예컨대 이차전지)이 각각의 배터리 셀에 거의 같은 셀 전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BMS(130)은 예컨대 배터리 셀(C; C-1, C-2,…, C-N)의 배터리 셀 중에서 어느 한 배터리 셀의 셀 전압이 다른 배터리 셀보다 임계 전압 이상으로 높을 경우, 셀 전압이 높은 배터리 셀을 방전시키는 셀 밸런싱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셀 밸런싱은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 셀들이 동일한 충전 상태를 갖도록 수행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BMS(130)는 BMS의 전면 가장자리 일측에 전기 커넥터(140)의 카드 수용부(141)에 삽입되는 제1 인터페이스(132)를 구비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BMS 센싱부(131)는 카드 수용부(141)에 삽입되어 제1 인터페이스(132)를 통해 인가되는 배터리 모듈 및/또는 각 배터리 셀의 정보신호를 입출력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BMS 센싱부(131)와 제1 인터페이스(132) 간의 패턴은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제1 인터페이스(132)는 2개 이상의 핀(132-G, 132-1, 132-2, …, 132-N, 여기서 N≥1 이상의 자연수)에 대한 특정 패턴에 따른 핀 배치도(pinout)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핀(132-G)은 제1 인터페이스(132)의 최좌측에 배열된 셀 그라운드핀으로서 직렬연결된 다수의 배터리 셀(C)의 음극탭과 공유되도록 한다.
셀 그라운드핀(132-G)에 인접해 있는 다수의 핀(132-1, 132-2, …, 132-N)은 직렬연결된 각 배터리 셀(C)의 양극과 전기연통되는 셀 전원핀으로써, 각각의 핀 길이를 달리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 제1 셀 전원핀(132-1)이 핀 길이를 가장 길게 연장하고 있으며 순서대로 제2 셀 전원핀(132-2)의 핀 길이를 두번째로 길게 연장하는 한편, 최우측에 배열된 제N 배터리 셀(C-N)의 양극과 전기연결될 제N 셀 전원핀(132-N)이 가장 짧은 핀 길이를 가지게 된다. 다시 말하자면, 각각의 셀 전원핀의 핀 길이는 배터리 셀의 직렬연결 순서에 대응되게 그 길이를 줄이도록 되어 있다. 특히, 셀 그라운드핀(132-G)이 제1 셀 전원핀(132-1)의 핀 길이보다 길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핀 길이라 함은 BMS의 보드(혹은 카드) 본체로부터 제1 인터페이스의 끝단을 향해 신장된 거리를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셀 그라운핀과 복수의 셀 전원핀이 전기 커넥터에서 대응되는 스프링 아암과의 접점 순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핀 길이가 짧을수록 제1 인터페이스의 가장자리로부터 각각의 핀 사이의 이격거리는 멀리 떨어질 수 있게 배치한다. 즉, 제1 인터페이스(132)의 가장자리로부터 각각의 핀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저전위로부터 고전위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길어지게 한다.
즉, BMS(130)를 전기 커넥터(140)의 카드 수용부(141)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도 4에 도시된 배터리 셀의 전류 흐름방향과 대응되게 셀 그라운드핀(132-G)이 전기 커넥터(140)의 카드 수용부(141)에 최좌측에 구비된 스프링 아암, 특히 음극용 스프링 아암(참조부호 없음)과 최우선적으로 접점될 수 있게 보장한다. 그런 다음에, 핀 길이의 순서(혹은 제1 인터페이스의 가장자리와 각각의 핀 사이의 이격 거리)에 맞춰 제1 셀 전원핀(132-1), 제2 셀 전원핀(132-2), …, 제N 셀 전원핀(132-N)을 스프링 아암, 예컨대 양극용 스프링 아암과 순차적으로 접점될 수 있게 보장한다.
여기서, 스프링 아암은 전기 커넥터(140)의 카드 수용부(141) 내에 탄성가압할 수 있는 구성부재로 BMS(130)의 제1 인터페이스(132)의 핀(132-G, 132-1, …)과제2 인터페이스(136)의 핀(136-G, 136-1,…)의 접점을 보장하는 한편 각 배터리 셀(C)의 탭과 전기적 연통을 가능하게 하여 배터리 셀과 BMS 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인터페이스(132)의 핀 배치도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저전위로부터 고전위의 순서로 접점될 수 있게 전기 커넥터의 카드 수용부 내부로 BMS의 제1 인터페이스(혹은 제2 인터페이스) 장착시, 셀 그라운드핀, 제1 셀 전원핀, 제2 셀 전원핀, …, 제N 셀 전원핀의 순서로 접점하여 BMS(130) 뿐만 아니라 배터리 트레이(100)의 전기적 안정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배터리 셀(C)에서 뻗어 나온 접지 배선을 포함한 노드 배선의 순서가 배터리 셀의 노드 배선에 맞춰 저전위에서 고전위의 순서로 제1 인터페이스의 핀 배치를 구현해야 할 것이다.
덧붙여서, BMS(130)는 BMS의 전면 가장자리 타측에 전기 커넥터(140)의 카드 수용부(141)에 삽입되는 제2 인터페이스(136)를 구비한다. 전원 및 통신부(135)는 카드 수용부(141)에 삽입되어 제2 인터페이스(136)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과 복수의 데이터 통신신호를 입출력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제2 인터페이스(136)는 2개 이상의 핀(136-G, 136-1, 136-2)에 대한 특정 패턴에 따른 핀 배치도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136)에 형성된 각 핀의 핀 길이는 그라운드핀(136-G)을 전원핀(136-1)의 핀 길이보다 길게 하고, 전원핀(136-2)은 기타 핀(136-2)의 핀 길이보다 길게 형성한다. 접점 순서의 유지하기 위해, 핀 길이가 짧을수록 제2 인터페이스의 가장자리로부터 각각의 핀 사이의 이격 거리는 길어지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트레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에너지 저장 시스템,
100 ----- 배터리 트레이,
110 ----- 배터리 모듈,
120 ----- 케이스,
130 -----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140 ----- 전기 커넥터,
C, C-1, C-2,…, C-N ----- 배터리 셀.

Claims (11)

  1.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로 구성된 배터리 모듈과;
    상기 배터리 모듈을 수용하고, 일측에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채널의 내측면에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연통된 전기 커넥터를 배치하고 있는 케이스;
    상기 전기 커넥터의 카드 수용부로 삽입되는 제1 인터페이스 상에 셀 그라운드핀과 하나 이상의 셀 전원핀을 패턴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채널에 슬라이딩 결합방식으로 삽입장착되는 카드타입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포함하는데,
    상기 BMS가 전기적으로 안정하게 상기 전기 커넥터에 접점되도록 상기 제1 인터페이스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각각의 핀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저전위에서 고전위로 갈수록 길어지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트레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은 직렬회로로 연결되어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트레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MS는 제1 인터페이스와 회로연결되어 있는 배터리 센싱부와, 제2 인터페이스와 회로연결되어 있는 전원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트레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 그라운드핀과 하나 이상의 셀 전원핀의 핀 길이가 상호 달리하고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트레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의 셀 전원핀은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의 직렬 연결 순서에 대응되게 핀 길이를 순차적으로 줄이도록 형성된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트레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셀 그라운드핀의 핀 길이가 상기 하나 이상의 셀 전원핀의 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트레이.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그라운드핀과 전원핀을 형성하고, 상기 그라운드핀과 전원핀의 핀 길이가 상호 달리 하고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트레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핀의 핀 길이가 상기 전원핀의 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트레이.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BMS의 셀 그라운드핀이 상기 하나 이상의 셀 전원핀보다 먼저 상기 전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트레이.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BMS와 전기 커넥터 접속시, 직렬배열된 상기 배터리 셀의 저전위 노드 배선에서부터 고전위 노드배선의 순서대로 접속을 허용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트레이.
  11. 삭제
KR1020140116979A 2014-09-03 2014-09-03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트레이 KR102171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979A KR102171350B1 (ko) 2014-09-03 2014-09-03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979A KR102171350B1 (ko) 2014-09-03 2014-09-03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205A KR20160028205A (ko) 2016-03-11
KR102171350B1 true KR102171350B1 (ko) 2020-10-29

Family

ID=55582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979A KR102171350B1 (ko) 2014-09-03 2014-09-03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3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944B1 (ko) * 2016-07-13 2023-07-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커넥팅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172516B1 (ko) 2016-12-14 2020-10-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조립 구조가 개선된 공냉식 배터리 팩
KR102431550B1 (ko) * 2022-01-10 2022-08-12 주식회사 아이윈 복수의 배터리 셀과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접속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6671A (ja) * 1999-12-24 2001-07-06 Mitsubishi Chemicals Corp 電池を使用する機器及び充電器
KR100669669B1 (ko) * 1999-10-20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JP2007280872A (ja) * 2006-04-11 2007-10-25 Sony Corp 電池パックおよびコネクタ
JP2013239454A (ja) * 2011-07-15 2013-11-28 Nec Corp 蓄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3965A (ko) * 2012-05-30 2013-12-10 유얼드림시 주식회사 Hdmi와 mhl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스마트tv용 접속장치
US9172259B2 (en) 2012-11-29 2015-10-27 Samsung Sdi Co., Ltd. Apparatus for managing battery, and energy storage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669B1 (ko) * 1999-10-20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JP2001186671A (ja) * 1999-12-24 2001-07-06 Mitsubishi Chemicals Corp 電池を使用する機器及び充電器
JP2007280872A (ja) * 2006-04-11 2007-10-25 Sony Corp 電池パックおよびコネクタ
JP2013239454A (ja) * 2011-07-15 2013-11-28 Nec Corp 蓄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205A (ko) 2016-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2758B2 (en) Power storage apparatus, power storage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power storage system by using the same
ES2655239T3 (es) Dispositivo móvil y método de carga del mismo
KR102171350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배터리 트레이
TW200638582A (en) Sensing board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module
KR20200024405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EP3002599B1 (en) Method for correcting voltage sensor included in battery rack
US110183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unique number to cell module controller
CN105552978A (zh) 充电电路、可充电电池及用户终端
KR101527546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보호 장치
CN101281417A (zh) 电源切换装置
JP2020521963A (ja) 電圧測定装置及び方法
CN104065116A (zh) 用于电动工具的电池包充放电系统、方法以及电动工具
CN113544895B (zh) 估计电池充电状态的方法以及应用该方法的电池管理系统
US20190123393A1 (en) Battery pack
RU2011129168A (ru) Аккумуляторная батарея для электроинструмента
CN107874319B (zh) 电子烟及其电源结构
CN106025398A (zh) 一种电池配对系统及方法
CN111316526B (zh) 用于对电池充电的方法和系统
US11397200B2 (en) Current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030452B1 (ko) 커넥터의 오삽을 판단하는 차량 제어기
KR102331063B1 (ko) 배터리 모듈
CN110291679A (zh) 电池组和电池组的数据传输方法
CN208705424U (zh) 一种线材顺序检测装置
US977419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ductive charging with multiple terminal constellations
CN114402209A (zh) 电压感测电路、电池组和电池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