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279B1 - 우레탄계 방열 접착 조성물을 보관하는 용기 - Google Patents

우레탄계 방열 접착 조성물을 보관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279B1
KR102171279B1 KR1020180035747A KR20180035747A KR102171279B1 KR 102171279 B1 KR102171279 B1 KR 102171279B1 KR 1020180035747 A KR1020180035747 A KR 1020180035747A KR 20180035747 A KR20180035747 A KR 20180035747A KR 102171279 B1 KR102171279 B1 KR 102171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resin
container
pouch
container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3277A (ko
Inventor
조윤경
양세우
강양구
박은숙
김현석
박형숙
박상민
양영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35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279B1/ko
Publication of KR20190113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5/00Polyureas;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원은 우레탄계 접착 조성물 또는 그 구성 성분을 보관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을 보관 및 이송하는데 요구되는 강도와 수분 차단성이 우수한 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우레탄계 방열 접착 조성물을 보관하는 용기{A container for storing an urethane based heat dissipation and adhesive composition}
본 출원은 우레탄 방열 접착 조성물을 보관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은 우레탄계 방열 접착 조성물 또는 그 구성 성분을 보관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에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또는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고, 대표적인 것은 리튬 이차 전지이다.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 산화물과 탄소 소재를 각각 양극 및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를 포함하는데, 외장재의 형상에 따라 캔형 이차 전지와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단일의 이차 전지는 배터리셀로 호칭될 수 있다.
자동차나 전력저장장치와 같은 중대형 장치의 경우에는, 용량 및 출력을 높이기 위해 많은 수의 배터리 셀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 모듈이 사용되거나 그러한 배터리 모듈이 복수 개 연결된 배터리 팩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 모듈이나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방법 중 하나는, 복수의 배터리 셀을 배터리 모듈 내부에 고정 시킬 수 있는 접착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접착 소재는, 배터리 모듈 표면에 형성된 접착 소재 주입홀을 통해 배터리 모듈 내부에 주입될 수 있다. 주입을 위해 액상의 실리콘계가 주로 사용되는데, 실리콘 계의 경우에는 접착력이 충분치 않거나 저분자량 실록산으로 인해 경화 후에도 접점 불량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접착 이슈를 해소하고자, 이액형인 상온 경화형 우레탄계 방열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나, 그 성분 중 하나인 이소시아네이트는 수분에 매우 취약한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의 일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상기 목적 및 기타 그 밖의 목적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출원에 의해 모두 해결될 수 있다.
본 출원에 관한 일례에서, 본 출원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용기는, 우레탄 방열 접착 조성물 및/또는 상기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을 보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기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출원에서 우레탄 조성물은 이액형 우레탄계 조성물일 수 있고, 우레탄계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이란 주제 조성물부 및/또는 경화제 조성물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파우치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파우치가 본체 내부에 수용된다는 것은, 점착 또는 접착 재료를 통해 파우치가 본체의 내벽과 부착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파우치가 본체 내부에 수용된다는 것은 하기와 같은 적층 구성의 파우치가 본체의 내부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본체 내벽과 밀착하여 수용될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본체는 원기둥 또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원기둥 또는 원통 형상을 형성하는 2개의 원형면 중 어느 한 부분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터로 연장되어 본체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바닥부의 반대 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에 포함되는 파우치는, 하기 설명되는 우레탄계 조성물 및 그 성분을 보관하는데 적합한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우치는 보관 중인 조성물이나 그 성분에 대한 수분 또는 습기 등의 침투를 방지하고, 보관물에 대한 저장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파우치는 0.03 g/m2·day 미만의 상대 투습도(WVTR: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대 투습도는 단위면적 시간당 수분의 투과된 양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ASTM F1429에 따라 500 ㎛ 이하 두께의 파우치에 대하여 측정된 값일 수 있다. 상기 투습도를 만족하고자, 상기 파우치는 소정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파우치는 복수의 박막이 적층된 것으로, 금속박층과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우치는 제1 수지층, 금속박층 및 제2 수지층을 순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지층은 상기 금속박층이나 제2 수지층에 대한 보호역할 또는 기재(지지체) 역할을 하는 층으로서,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수지층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및 아크릴 수지를 필름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성형성, 내열성, 내구성 및 내화학성 등을 고려할 때, 상기 제1 수지층에 사용되는 상기 수지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이거나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필름은 1축 또는 2축 연신된 필름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1 수지층은 상기 나열된 수지들이 각각 별도의 층을 형성할 수 있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수지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5 내지 100 ㎛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금속박층은 파우치에 적정 수준의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면서 수분이나 산소가 파우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층이다. 상기 금속박층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 등과 같은 각종 금속박을 포함할 수 있다. 가공성이나 비중 등을 고려할 때, 알루미늄박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 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박은, 상기 금속박층이 알루미늄만을 포함하는 경우뿐 아니라 알루미늄의 합금, 또는 그 외 성분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알루미늄 외에 포함되는 성분으로는 철 또는 실리콘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전체 금속박층 성분을 기준으로 약 10 질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금속박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20 내지 120 ㎛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수지층은 열접착성을 갖는 층으로서, 보관하고자 하는 조성물이 파우치 내에 주입된 후에 실링재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수지층은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2 수지층은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2 수지층은 상기 나열된 수지들이 각각 별도의 층을 형성할 수 있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2 수지층은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층과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asted polypropylene)을 포함하는 층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수지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20 내지 100 ㎛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2 수지층은, 파우치의 내벽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파우치는 제2 수지층이 파우치에 보관되는 조성물 성분과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제1 수지층, 금속박층 및 제2 수지층의 적층 순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파우치는 제2 수지층 성분에 대한 가열을 통해 외부의 수분 또는 습기로부터 조성물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주입구를 갖는 파우치에 보관하고자 하는 조성물 구성을 주입하고, 상기 제2 수지층 성분에 대한 가열 또는 가온 처리를 통해 제2 수지층에 열 접착성을 부여하고, 상기 제2 수지층을 매개로 상기 파우치의 주입구를 밀폐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파우치의 내부는 진공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진공 상태를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기술 등을 통하여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적절히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소 퍼징(N2 purging)을 통해 파우치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조성물 또는 그 성분을 파우치 내에 주입한 후 진공 포장하기 전에, 조성물의 표면 상에 덮개를 덮을 수 있다. 덮개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분 차단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파우치에서 설명된 금속 및/또는 수지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파우치에서 설명된 금속박 및/또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성의 덮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파우치 내에 주입되는 조성물 구성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체 파우치의 용량 기준, 약 80 내지 95 부피% 범위로 조성물 또는 그 구성 성분이 파우치 내로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파우치를 본체 내부에 수용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파우치는 소정의 조성물이 주입된 이후에 용기 본체에 접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구가 밀폐된 파우치의 외측에 가열시 열접착성을 갖는 수지로부터 형성되는 소정의 띠를 형성하고, 상기 띠를 가열함으로써 열 접착성을 부여하고, 상기 열접착성 띠 부분을 상기 본체의 측벽부 적당한 위치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통해 상기 파우치를 본체 내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용기는 덮개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본체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덮개부와 개구부를 체결할 수 있는 수단이나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가 공지된 방법 또는 수단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조성물 구성이 용기 내에 보관되는 동안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로써, 조성물 구성을 보관하는 파우치를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조성물이나 파우치가 외부 환경과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용기는 보관중인 조성물 성분을 목적하는 곳에 이송시키는데 적합한 용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기에 보관되는 조성물 성분이 이차전지용 배터리 모듈에 방열 접착제로서 사용되는 경우, 디스펜싱 장비를 통해 상기 조성물을 이송할 수 있는데, 본 출원의 용기는 디스펜싱 장비를 통한 조성물 이송에 적합한 재료와 특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용기로부터 디스펜싱 장비에 조성물 성분을 이송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용기의 본체로부터 덮개부가 제거된 후, 측벽부의 내측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형의 플레이트로 상기 파우치를 가압하면서, 조성물이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는 그 중앙부에 원형의 개구부를 가질 수 있는데, 가압과 동시에 또는 가압 전에, 플레이트 중앙의 원형 개구부를 통해 파우치의 대응하는 영역에 대해서도 절개를 수행하고, 상기 플레이트 중앙의 개구부와 절개된 파우치의 원형 부분을 관통하도록 흡입관을 삽입한 후, 파우치에 대한 플레이트의 가압을 유지하면서 상기 흡입관을 통해 조성물 또는 그 구성성분을 디스펜싱 장비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공정에 관한 적합성과 관련하여, 본 출원의 용기는 개구부, 바닥부 및 중앙부의 지름이 동일할 수 있다. 중앙부의 지름이란 개구부와 바닥부 사이의 어느 지점에서 측정된 지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비교되는 각 부위의 지름은 동일하게 내경이거나 외경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저장 용기는 배송량의 증가나 적재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용기들끼리 포개어질 수 있도록, 덮개부가 결합되는 개구부와 바닥부의 지름을 상이하게 갖는다. 그러나, 디스펜싱 장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개구부, 바닥부 및 중앙부의 지름이 동일해야 한다. 본 출원에서 개구부, 바닥부 및 중앙부의 지름이 동일하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개구부, 바닥부 및 중앙부가 갖는 지름의 차이가 0 mm 이거나, 현실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고려할 때는 20 mm 이하, 10 mm 이하, 또는 5 mm 이하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의 지름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파우치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용기 개구부와의 관계에서 적절한 정도의 지름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용기 및 파우치는 약 15 내지 25 L (liter)의 조성물 또는 그 구성 성분을 수용 또는 보관할 수 있을 만큼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설명되는 조성물 또는 그 성분을 보관하는 용기의 경우, 바닥부, 개구부 및 중앙부는 약 25 내지 40 cm 범위의 지름(외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의 높이, 즉 개구부의 일 말단에서 바닥부 말단까지의 거리는 약 30 내지 50 cm 범위일 수 있다.
지름과 관련된 상기와 같은 조건은, 소정량의 조성물 또는 그 성분이 용기 중에 보관중인 경우나 보관 중인 채로 이동 중인 경우, 그리고 보관된 조성물을 디스펜싱 장비로 이송하는 경우에도 역시 유지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하기 설명되는 우레탄계 조성물 또는 그 성분은 약 2 내지 3 Kg/L 범위의 밀도를 갖는데, 예를 들어, 약 20 L의 조성물 또는 그 성분이 파우치에 보관된 경우 상기 용기는 약 60 Kg의 하중을 받게 되고, 용기의 외관이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상기 용기의 본체는 소정의 강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용기는 금속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의 본체는 금속성분으로서 철(Fe)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가 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용기 본체의 두께는 약 0.2 mm 이상, 0.3 mm 이상, 0.4 mm 이상, 0.5 mm 이상일 수 있다.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용기 본체 두께의 상한은 2 mm 이하, 1.5 mm 이하, 또는 1 mm 이하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용기는 플라스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의 본체는 플라스틱 성분으로서 PP(polypropylene)이나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가 플라스틱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용기 본체의 두께는 적어도 2 mm 이상일 수 있다. 그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5 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덮개부의 재료나 그 밖의 특성은, 상기 본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용기에 보관 또는 저장될 수 있는 접착 조성물은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팩에서, 방열 접착제로서 사용가능한 우레탄계 조성물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배터리 모듈의 케이스 내부로 주입되고, 배터리 모듈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과 접촉하여 배터리 셀을 모듈 케이스 내에서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이액형 우레탄계 조성물이다. 이액형 우레탄은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폴리올계 화합물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폴리우레탄을 의미하는 것으로, 단일 조성 내에 우레탄기를 갖는 일액형 폴리우레탄과는 구별된다.
상기 이액형 폴리우레탄의 경우, 폴리올 등을 포함하는 주제와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포함하는 경화제가 상온에서 반응하여 경화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의 조성물은 상온 경화형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상온」은 특별히 가온되지 않은 상태로서, 약 10℃ 내지 30℃의 범위 내의 어느 한 온도, 예를 들면, 약 15℃ 이상, 약 18℃ 이상, 약 20℃ 이상, 또는 약 23℃ 이상이고, 약 27℃ 이하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경화 반응은, 예를 들어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DBTDL: dibutyltin dilaurate)와 같은 촉매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이액형 우레탄계 조성물은 주제 성분(폴리올)과 경화제 성분(이소시아네이트)의 물리적인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주제 성분과 경화제 성분의 반응물(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액형 우레탄계 조성물은, 적어도 폴리올 수지를 포함하는 주제 조성물부(또는 주제부), 및 적어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경화제 조성물부(또는 경화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은 상기 폴리올 유래 단위와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유래 단위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올 유래 단위는 폴리올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우레탄 반응하여 형성되는 단위이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유래 단위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폴리올과 우레탄 반응하여 형성되는 단위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정상 필요에 따라 요변성을 확보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배터리 모듈이나 배터리 팩 내에서 방열성(열전도성)을 확보하기 위해, 하기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조성물에는 과량의 필러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하기 관련된 설명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본 출원의 용기는, 상기 우레탄계 조성물을 보관 또는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용기는 주제 조성물부 및/또는 경화제 조성물부를 보관 또는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계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올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경화 후 0℃ 미만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경화 후 유리전이온도」란, 상온 및 30 내지 70% 상대습도 조건에서 24시간 경화 상태를 기준으로, FT-IR 분석에 의해 확인되는 2250 cm-1 부근에서의 NCO 피크 기준 전환율(conversion)이 80% 이상인 경화물에 대하여 측정된 유리전이온도일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폴리올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 성분(필러 미포함)을 경화시킨 후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배터리 모듈이나 배터리 팩이 사용될 수 있는 낮은 온도에서도 브리틀(brittle)한 특성을 비교적 단 시간내에 확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내충격성이나 내진동 특성이 보장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범위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에는, 경화물의 점착 특성(tacky)이 지나치게 높거나 열안정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경화 후 우레탄계 조성물이 갖는 유리전이온도의 하한은 - 70℃ 이상, - 60℃ 이상, - 50℃ 이상, - 40℃ 이상 또는 - 30℃ 이상일 수 있고, 그 상한은 - 5℃ 이하, - 10℃ 이하, - 15℃ 이하, 또는 - 20℃ 이하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주제 조성물부에 포함되는 폴리올 수지로는 에스테르계 폴리올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에스테르계 폴리올을 사용할 경우 수지 조성물 경화 후에 배터리 모듈 내에서 우수한 접착성과 접착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에스테르계 폴리올로는, 예를 들어, 카복실산계 폴리올이나 카프로락톤계 폴리올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복실산계 폴리올은 카복실산과 폴리올(ex. 디올 또는 트리올 등)을 포함하는 성분을 반응시켜서 형성할 수 있고, 카프로락톤계 폴리올은 카프로락톤과 폴리올(ex. 디올 또는 트리올 등)을 포함하는 성분을 반응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르복실산은 디카복실산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폴리올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폴리올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30773003-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8030773003-pat00002
화학식 1 및 2에서, X는 카복실산 유래의 단위이고, Y는 폴리올 유래의 단위이다. 폴리올 유래의 단위는, 예를 들면, 트리올 단위 또는 디올 단위일 수 있다. 또한, n 및 m은 임의의 수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카복실산 유래 단위는 카복실산이 폴리올과 반응하여 형성된 단위이고, 폴리올 유래 단위는 폴리올이 카복실산 또는 카프로락톤과 반응하여 형성된 단위이다.
즉, 폴리올의 히드록시기와 카복실산의 카복실기가 반응하면, 축합 반응에 의해 물(HO2) 분자가 탈리되면서 에스테르 결합이 형성되는데, 상기 화학식 1의 X는 상기 카복실산이 상기 축합 반응에 의해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한 후에 상기 에스테르 결합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Y는 상기 축합 반응에 의해 폴리올이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한 후에 그 에스테르 결합을 제외한 부분이다. 상기 에스테르 결합은 화학식 1에 표시되어 있다.
또한, 화학식 2의 Y 역시 폴리올이 카프로락톤과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한 후에 그 에스테르 결합을 제외한 부분을 나타낸다. 상기 에스테르 결합은 화학식 2에 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화학식에서 Y의 폴리올 유래 단위가 트리올 단위와 같이 3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폴리올로부터 유래된 단위인 경우, 상기 화학식 구조에서 Y 부분에는, 분지가 형성된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X의 카복실산 유래 단위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목적하는 물성의 확보를 위해서 프탈산 단위, 이소프탈산 단위, 테레프탈산 단위, 트리멜리트산 단위,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단위, 헥사히드로프탈산 단위, 테트라클로로프탈산 단위, 옥살산 단위, 아디프산 단위, 아젤라산 단위, 세박산 단위, 숙신산 단위, 말산 단위, 글라타르산 단위, 말론산 단위, 피멜산 단위, 수베르산 단위, 2,2-디메틸숙신산 단위, 3,3-디메틸글루타르산 단위, 2,2-디메틸글루타르산 단위, 말레산 단위, 푸마루산 단위, 이타콘산 단위 및 지방산 단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위일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범위의 낮은 유리전이 온도를 고려하면, 방향족 카복실산 유래 단위보다는 지방족 카복실산 유래 단위가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화학식 1 및 2에서 Y의 폴리올 유래 단위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목적하는 물성의 확보를 위해서, 에틸렌글리콜 단위, 디엘틸렌글리콜 단위, 프로필렌글리콜 단위, 1,2-부틸렌글리콜 단위, 2,3-부틸렌글리콜 단위, 1,3-프로판디올 단위, 1,3-부탄디올 단위, 1,4-부탄디올 단위, 1,6-헥산디올 단위, 네오펜틸글리콜 단위, 1,2-에틸헥실디올 단위, 1,5-펜탄디올 단위, 1,9-노난디올 단위, 1,10-데칸디올 단위, 1,3-시클로헥산디메탄올 단위,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단위, 글리세린 단위 및 트리메틸롤프로판 단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임의의 수이며, 그 범위는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물인 수지층이 목적하는 물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n은 약 2 내지 10 또는 2 내지 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2에서 m은 임의의 수이며, 그 범위는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물인 수지층이 목적하는 물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m은 약 1 내지 10 또는 1 내지 5일 수 있다.
화학식 1 및 2에서 n과 m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폴리올의 결정성 발현이 강해지면서 조성물의 주입 공정성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의 분자량은 하기 설명되는 저점도 특성이나, 내구성 또는 접착성 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약 300 내지 2,000의 범위 내일 수 있다.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를 사용하여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화 후 수지층의 신뢰성이 좋지 못하거나 휘발 성분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2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경화제 조성물부에 포함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목적하는 물성의 확보를 위해 방향족기를 포함하지 않는 비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지방족 또는 지환족 계열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경우, 반응속도가 지나치게 빠르고, 경화물의 유리전이온도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본 출원 조성물의 사용 용도에 적합한 공정성과 물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방족 또는 지방족 고리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나 그 변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 디이소시아네이트, 노르보르난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 에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프로필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트랜스사이클로헥산-1,4-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사이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디사이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고리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상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카르보디이미드 변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나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열된 화합물 중 2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수지 조성물 내에서 상기 폴리올 유래 수지 성분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유래 수지 성분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들 간 우레탄 반응이 가능하도록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방열성(열전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또는 공정상 필요에 따른 요변성 확보를 위해서, 과량의 필러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데, 과량의 필러가 사용될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지면서 배터리 모듈의 케이스 내로 상기 조성물을 주입할 때의 공정성이 나빠질 수 있다. 따라서, 과량의 필러를 포함하면서도, 공정성에 방해가 되지 않을 만큼의 충분한 저점도 특성이 필요하다. 또한, 단순히 저점도만 나타내면, 역시 공정성의 확보가 곤란하기 때문에 적절한 요변성이 요구되고, 경화되면서는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내고, 경화 자체는 상온에서 진행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그리고 에스테르계 폴리올은 경화 후 접착성 확보에는 유리하지만, 결정성이 강한 편이기 때문에 상온에서 왁스(wax)상태가 될 가능성이 높고, 점도 상승으로 인해 적절한 주입 공정성을 확보하기 불리한 측면이 있다. 설령 멜팅(melting)을 통해 점도를 낮추어 사용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저장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결정성으로 인해, 필러와 혼합한 이후에 이어질 수 있는 조성물의 주입 또는 도포 공정에서 결정화에 의한 점도 상승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공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에스테르계 폴리올은 하기 특성을 만족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기 에스테르계 폴리올은 비결정성이거나, 충분히 결정성이 낮은 폴리올일 수 있다. 상기에서 「비결정성」이란,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분석에서 결정화 온도(Tc)와 용융 온도(Tm)가 관찰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DSC 분석은 공지된 장치, 예를 들어 Q2000(TA instruments 社)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DSC 분석은 10℃/분(min)의 속도로 - 80 내지 60℃의 범위 내에서 수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속도로 25℃에서 50℃로 승온 후 다시 - 70℃로 감온하고, 다시 50℃로 승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충분히 결정성이 낮다」는 것은, DSC 분석에서 관찰되는 용융점 또는 용융 온도(Tm)가 15℃ 미만으로서, 약 10℃ 이하, 5℃ 이하, 0℃ 이하, - 5℃ 이하, - 10℃ 이하, 또는 - 20℃ 이하 정도인 경우를 의미한다. 이때, 용융점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상기 용융점은 약 - 80℃ 이상, 약 - 75℃ 이상 또는 약 - 70℃ 이상일 수 있다. 폴리올이 결정성이거나 상기 용융점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것과 같이 (상온) 결정성이 강한 경우에는, 온도에 따른 점도 차이가 커지기 쉽기 때문에, 필러와 수지를 혼합하는 공정에서 필러의 분산도와 최종 혼합물의 점도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고, 공정성을 저하하며, 그 결과 배터리 모듈용 접착 조성물에서 요구되는 내한성, 내열성 및 내수성을 만족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는, 상기 수지 조성물의 용도 및 그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기능을 확보하고자,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지 조성물은, 수지층의 열전도성, 절연성, 및 내열성(TGA 분석) 등을 고려하여, 소정의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필러가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형태나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필러는, 주제 조성물부 및/또는 경화제 조성물부에 미리 포함된 상태로 우레탄계 조성물 형성에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주제 조성물부와 경화제 조성물부를 혼합하는 과정에서, 별도로 준비된 필러가 함께 혼합되는 방식으로도 사용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적어도,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필러는 열전도성 필러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열전도성 필러는, 열전도도가 약 1 W/mK 이상, 약 5 W/mK 이상, 약 10 W/mK 이상 또는 약 15 W/mK 이상인 재료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전도성 필러의 열전도도는 약 400 W/mK 이하, 약 350 W/mK 이하 또는 약 300 W/mK 이하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열전도성 필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절연성 등을 함께 고려할 때 세라믹 필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루미나, AlN(aluminum nitride), BN(boron nitride), 질화 규소(silicon nitride), SiC 또는 BeO 등과 같은 세라믹 입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필러의 형태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우레탄계 조성물의 점도, 조성물이 경화된 수지층 내에서의 침강 가능성, 목적하는 열저항 내지는 열전도도, 절연성, 충진 효과 또는 분산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필러의 사이즈가 커질수록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지고, 수지층 내에서 필러가 침강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사이즈가 작아질수록 열저항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적정 종류 및 크기의 필러가 선택될 수 있고, 필요하다면 2종 이상의 필러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충진되는 양을 고려하면 구형의 필러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네트워크의 형성이나 전도성 등을 고려하여 침상이나 판상 등과 같은 형태의 필러도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조성물은, 평균 입경이 0.001 ㎛ 내지 80 ㎛의 범위 내에 있는 열전도성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러의 평균 입경은 다른 예시에서 0.01 ㎛ 이상, 0.1 ㎛ 이상, 0.5 ㎛ 이상, 1 ㎛ 이상, 2 ㎛ 이상, 3 ㎛ 이상, 4 ㎛ 이상, 5 ㎛ 이상 또는 약 6 ㎛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필러의 평균 입경은 다른 예시에서 약 75 ㎛ 이하, 약 70 ㎛ 이하, 약 65 ㎛ 이하, 약 60 ㎛ 이하, 약 55 ㎛ 이하, 약 50 ㎛ 이하, 약 45 ㎛ 이하, 약 40 ㎛ 이하, 약 35 ㎛ 이하, 약 30 ㎛ 이하, 약 25 ㎛ 이하, 약 20 ㎛ 이하, 약 15 ㎛ 이하, 약 10 ㎛ 이하 또는 약 5 ㎛ 이하일 수 있다.
우수한 방열 성능을 얻기 위하여, 열전도성 필러가 고함량 사용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러는, 전체 수지 성분, 즉 상기 에스테르계 폴리올 수지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을 합한 100 중량부 대비, 약 50 내지 2,00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필러의 함량은 전체 수지 성분 보다 과량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스테르계 폴리올 수지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을 합한 100 중량부 대비, 약 100 중량부 이상, 약 150 중량부 이상, 약 200 중량부 이상, 약 250 중량부 이상, 약 300 중량부 이상, 약 350 중량부 이상, 약 400 중량부 이상, 약 500 중량부 이상, 약 550 중량부 이상, 약 600 중량부 이상 또는 약 650 중량부 이상의 필러가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필러가 상기 범위만큼 사용되는 경우, 주제 조성물부와 경화제 조성물부에 동일한 양으로 분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함량으로 열전도성 필러가 사용되는 경우, 필러를 포함하는 주제 조성물부, 경화제 조성물부,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을 경우 주입 공정성이 좋지 못하며, 그에 따라 수지층에 요구되는 물성이 수지층 전체에서 충분히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수지 성분으로는 액상이거나 충분한 유동을 가질 수 있는 저점도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예시에서, 에스테르계 폴리올 수지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각각은 10,000 cP 이하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 성분은 8,000 cP 이하, 6,000 cP 이하, 4,000 cP 이하, 2,000 cP 또는 1,000 CP 이하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도의 상한이 900 cP 이하, 800 cP 이하, 700 cP 이하, 600 cP 이하, 500 cP 이하, 또는 400 cP 이하일 수 있다.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각 수지 성분의 점도 하한은 50 cP 이상 또는 100 cP 이상일 수 있다. 점도가 너무 낮을 경우 공정성은 좋을지 모르나, 원재료의 분자량이 낮아지면서 휘발 가능성이 높아지고, 내열성/내한성, 난연성, 및 접착력이 열화될 수 있는데, 상기 하한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점도는, 예를 들어, Brookfield LV type 점도계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필러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 조성물이 경화된 수지층의 절연 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그래파이트(graphite) 등과 같은 탄소(계) 필러의 사용이 고려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퓸드 실리카, 클레이 또는 탄산칼슘 등과 같은 필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필러의 형태나 함량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수지 조성물의 점도, 수지층 내에서의 침강 가능성, 요변성, 절연성, 충진 효과 또는 분산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필요한 점도의 조절, 예를 들면 점도를 높이거나 혹은 낮추기 위해 또는 전단력에 따른 점도의 조절을 위하여 점도 조절제, 예를 들면, 요변성 부여제, 희석제, 분산제, 표면 처리제 또는 커플링제 등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요변성 부여제는 수지 조성물의 전단력에 따른 점도를 조절하여 배터리 모듈의 제조 공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요변성 부여제로는, 퓸드 실리카 등이 예시될 수 있다.
희석제 또는 분산제는 통상 수지 조성물의 점도를 낮추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라면 업계에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처리제는 수지층에 도입되어 있는 필러의 표면 처리를 위한 것이고, 상기와 같은 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라면 업계에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커플링제의 경우는, 예를 들면, 알루미나와 같은 열전도성 필러의 분산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라면 업계에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난연제 또는 난연 보조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특별한 제한 없이 공지의 난연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상의 필러 형태의 난연제나 액상 난연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난연제로는, 예를 들면, 멜라민 시아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 등과 같은 유기계 난연제나 수산화 마그네슘 등과 같은 무기계 난연제 등이 있다. 수지층에 충전되는 필러의 양이 많은 경우 액상 타입의 난연 재료(TEP, Triethyl phosphate 또는 TCPP, tris(1,3-chloro-2-propyl)phosphate 등)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난연상승제의 작용을 할 수 있는 실란 커플링제가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용제형 조성물, 수계 조성물 또는 무용제형 조성물일 수 있으나, 후술하는 제조 공정의 편의 등을 고려할 때, 무용제형이 적절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르면, 우레탄계 접착 조성물을 저장 또는 보관하는데 요구되는 강성이나 수분 차단성이 우수한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출원의 배터리 모듈을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범위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평가방법>
* 상대투습도 ( WVTR ): ASTM F1249에 따라, 100 °F 및 100%RH 조건에서 약 100 ㎛ 두께 금속박층(PP/Aluminum foli/PET)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 저장안정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준비된 조성물의 각 구성 성분을 혼합하고, 약 24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혼합된 조성물의 점도(Vo)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점도(Vo) 측정 시점으로부터 7일이 경과한 후 점도(V1)를 추가로 측정하였다. 점도(Vo)를 기준으로 할 때 점도(V1)의 증가량이 10% 미만이고, Vo 와 V1 측정 시점에서 관찰된 조성물의 표면 상태가 유사한 경우에는 저장안정성이 우수하다고 평가하였다(하기 표 1에서 ○로 표시됨). 반면에, 점도(Vo)를 기준으로 할 때 점도(V1)의 증가량이 10% 이상이거나, 점도(Vo) 측정 시점의 조성물 표면 상태와 달리 조성물의 표면이 굳어져 점토나 시멘트와 같이 시인되는 경우에는 저장안정성이 나쁘다고 평가하였다(하기 표 1에서 X로 표시됨). 이때, 점도는 유변물성측정기(ARES)를 사용하여 상온 및 0.01 내지 10.0/s 범위의 전단 속도(shear rate)에서 측정한 값이다.
* 디스펜싱 공정성: 우선 용기의 본체로부터 덮개부를 분리하였다. 그리고, 측벽부의 내측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형의 플레이트로 상기 파우치를 가압하면서, 플레이트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파우치 내로 삽입된 흡입관을 통해 파우치 내에 보관된 조성물 성분을 디스펜싱 장비로 이송 하였다. 플레이트 가압시, 용기의 형태가 변형(지름 변화가 약 20 mm 초과)되면서 조성물이 관 외부로 흘러나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디스펜싱 공정성이 나쁘다고 평가하였고(하기 표 1에서 X로 표시됨),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디스펜싱 공정성이 우수하다고 평가하였다(하기 표 1에서 ○로 표시됨).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
하기 표 1과 같은 소정의 특성을 만족하는 용기에,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00 중량부 및 알루미나 2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이때,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HDI(Hexamethylene diisocyanate)와 HDI trimer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상기 설명된 방법에 따라, 준비된 조성물의 저장안정성 및 디스펜싱 공정성을 평가하였다.
비교예 1
표 1에 기재된 용기의 조건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2
표 1에 기재된 용기의 조건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표 1]
Figure 112018030773003-pat00003

Claims (15)

  1. 우레탄계 방열 접착 조성물 또는 그 구성 성분; 상기 우레탄계 방열 접착 조성물 또는 그 구성 성분이 보관되어 있는 파우치; 및 상기 파우치를 수용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용기이고,
    상기 우레탄계 방열 접착 조성물 또는 그 구성 성분은, 에스테르계 폴리올 수지 함유 주제 조성물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함유 경화제 조성물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상기 주제조성물부 또는 경화제 조성물부는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두께가 0.2 mm 이상으로서 금속 성분을 포함하거나, 또는 두께가 2 mm 이상으로서 플라스틱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는 ASTM F1249에 따라 측정된 상대 투습도(WVTR: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가 0.03 g/m2·day 미만을 만족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는 금속박층 및 수지층을 포함하는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는 제1 수지층, 금속박층, 및 제2 수지층을 포함하는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층은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을 포함하는 용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층은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원기둥 또는 원통 형상을 갖는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터로 연장되어 본체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의 반대 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본체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와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용기.
  10. 제8항에 있어서, 전체 파우치 부피 대비 80 내지 95 부피% 범위로 조성물 또는 그 구성 성분을 파우치 내에 보관한 경우, 개구부, 바닥부 및 중앙부가 갖는 지름의 차이가 20 mm 이하를 만족하는 용기.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계 폴리올 수지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각각은 2,000 cP 미만의 점도를 갖는 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계 폴리올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용기:
    [화학식 1]
    Figure 112020094090198-pat00004

    [화학식 2]
    Figure 112020094090198-pat00005

    단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X는 카복실산 유래 단위이며, Y는 폴리올 유래 단위이고, n은 2 내지 10 의 범위 내의 수이며, m은 1 내지 10의 범위 내의 수이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비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인 용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알루미나, AlN(aluminum nitride), BN(boron nitride), 질화 규소(silicon nitride), SiC, 또는 BeO인 용기.
KR1020180035747A 2018-03-28 2018-03-28 우레탄계 방열 접착 조성물을 보관하는 용기 KR102171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747A KR102171279B1 (ko) 2018-03-28 2018-03-28 우레탄계 방열 접착 조성물을 보관하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747A KR102171279B1 (ko) 2018-03-28 2018-03-28 우레탄계 방열 접착 조성물을 보관하는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277A KR20190113277A (ko) 2019-10-08
KR102171279B1 true KR102171279B1 (ko) 2020-10-28

Family

ID=68208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747A KR102171279B1 (ko) 2018-03-28 2018-03-28 우레탄계 방열 접착 조성물을 보관하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2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941B1 (ko) * 2021-04-28 2023-04-13 애경케미칼주식회사 상온경화 및 경도조절이 가능한 폴리올 변성 아스파틱 이액형 폴리우레아계 방열접착제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0108A (ja) * 2000-12-28 2002-07-16 Maikooru Kk 防湿性包装材、それを使用した発熱体用防湿性外袋、発熱体用防湿性まとめ包装袋等の防湿性包装用容器並びにそれらに収納された発熱体
JP2013151645A (ja) * 2011-12-27 2013-08-08 Sumika Bayer Urethane Kk 水性ウレタン系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361U (ja) * 1993-12-15 1995-06-27 横浜ゴム株式会社 湿気硬化性接着剤用容器
KR102139491B1 (ko) * 2015-02-27 2020-07-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0108A (ja) * 2000-12-28 2002-07-16 Maikooru Kk 防湿性包装材、それを使用した発熱体用防湿性外袋、発熱体用防湿性まとめ包装袋等の防湿性包装用容器並びにそれらに収納された発熱体
JP2013151645A (ja) * 2011-12-27 2013-08-08 Sumika Bayer Urethane Kk 水性ウレタン系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277A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495B1 (ko) 수지 조성물
KR102146540B1 (ko) 배터리 모듈
KR102162494B1 (ko) 수지 조성물
KR102162493B1 (ko) 수지 조성물
US1134262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module
KR102113234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171279B1 (ko) 우레탄계 방열 접착 조성물을 보관하는 용기
JP6999219B2 (ja) 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バッテリモジュール
KR102162496B1 (ko) 수지 조성물
KR102268268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