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069B1 -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 - Google Patents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069B1
KR102171069B1 KR1020180140272A KR20180140272A KR102171069B1 KR 102171069 B1 KR102171069 B1 KR 102171069B1 KR 1020180140272 A KR1020180140272 A KR 1020180140272A KR 20180140272 A KR20180140272 A KR 20180140272A KR 102171069 B1 KR102171069 B1 KR 102171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pollution degree
indoor
lighting module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545A (ko
Inventor
임호성
서유하
이지연
석현정
김태수
최경아
정기항
송유택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씨아이콘트롤스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씨아이콘트롤스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에이치디씨아이콘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0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069B1/ko
Publication of KR20200056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4O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및 실외 정보에 기초하여 환기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 {Ventilation Information Display Sash System}
본 발명은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및 실외 정보에 기초하여 환기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 등으로 인한 공기 오염이 심각해질수록 사람들의 행동반경이 실내로 집중되고 외출을 자제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실내 또한 흡연, 주방 조리, 외출로 인해 유입되는 먼지 등의 원인으로 빈번하게 공기질이 악화되므로 수시로 환기를 해 주어야 한다. 하지만 무작정 환기를 하다가는 실외의 미세먼지 등으로 인하여 오히려 공기 질을 더 악화시키고 사용자의 건강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이처럼 실내 공기질이 위협받는 상황은 수시로 발생하기 때문에 실외 대기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하여도 환기를 소홀히 할 수 없다.
한편, 주상복합 주거단지, 대로변의 아파트 주거단지, 시내의 빌딩 집중 구역에 위치한 사무실 등의 경우 일반적으로 환기가 어렵거나 공기 질 악화에 취약한 생활 공간에 해당한다. 일부 주상복합 주거단지의 경우 한쪽으로만 창문을 열 수 있는 타워 형이기 때문에 동일한 시간 내에 환기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시간대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차량 이동이 빈번하여 공기 질이 악화된 지역에 위치한 아파트 주거단지 혹은 빌딩 사무실 등도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시간대를 이용하여야 환기효과에 있어서 유리하다.
대부분의 일반인은 현재의 외기 공기의 질에 대한 정보를 수시로 인식하기 어렵고, 또한 스마트폰 등을 통하여 외기 공기의 질을 확인하고, 환기를 수행함이 일반적이다. 또한, 이와 같은 외기 공기의 질을 확인하는 과정이 번거롭기 때문에, 환기를 하는 경우 오히려 내기의 질이 나빠지는 경우에도 불구하고 환기를 수행하거나, 혹은 환기가 반드시 필요한 시점임에도 불구하고, 환기를 하지 않는 경우가 상당수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 10-1785357 (2017.10.17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및 실외 정보에 기초하여 환기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으로서, 창틀 내부에 배치되어, 창틀에 끼워지는 유리에 빛을 공급할 수 있는 조명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실내의 공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실내정보수집부; 실외의 공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실외정보수집부; 사용자가 상기 창틀로 접근하는 지 여부를 판별하는 접근센싱부; 상기 실내의 공기에 대한 정보로부터 실내오염도를 산출하고, 상기 실외의 공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실외오염도를 산출하고, 상기 실내오염도 및 상기 실외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판별하는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 및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에 의하여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서 상기 조명모듈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를 포함하는,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내정보수집부는 실내의 공기의 미세먼지농도 및 오존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실외정보수집부는 실외의 공기의 미세먼지농도 및 오존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는 상기 실내의 공기의 미세먼지농도 및 오존농도에 기초하여 실내오염도를 산출하고, 상기 실외의 공기의 미세먼지농도 및 오존농도에 기초하여 실외오염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외오염도가 제1구간의 값에 해당하면,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제1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실외오염도가 상기 제1구간 보다 오염도가 높은 제2구간의 값에 해당하면, 상기 실내오염도와 실외오염도의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실내오염도가 실외오염도보다 큰 경우에는 제2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실외오염도가 실내오염도보다 큰 경우에는 제3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실외오염도가 제3구간의 값에 해당하면,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제3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에서 발광하는 빛의 색을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내정보수집부는 실내의 공기의 미세먼지농도, 오존농도,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실외정보수집부는 실외의 공기의 미세먼지농도, 오존농도,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은 상기 실내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 및 상기 실외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판별하는 에너지기반환기판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명모듈은 상기 창틀의 내부 일부분에 배치되는 제1조명모듈, 및 상기 창틀의 내부 타부분에 배치되는 제2조명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에 의하여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제1조명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에너지기반환기판별부에 의하여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제2조명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에너지기반환기판별부는 상기 실내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에 기초하여 실내엔탈피를 도출하고, 상기 실외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에 기초하여 실외엔탈피를 도출하고, 상기 실내엔탈피가 실외엔탈피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제1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실내엔탈피가 실외엔탈피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제2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근센싱부는 사용자가 상기 창틀으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기설정된 기간 이상 위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 혹은 조명제어부는 상기 접근센싱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동작의 유무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창틀 내부에 배치되어, 창틀에 끼워지는 유리에 빛을 공급할 수 있는 조명모듈을 포함하는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실내의 공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실내정보수집단계; 실외의 공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실외정보수집단계; 사용자가 상기 창틀로 접근하는 지 여부를 판별하는 접근센싱단계; 상기 실내의 공기에 대한 정보로부터 실내오염도를 산출하고, 상기 실외의 공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실외오염도를 산출하고, 상기 실내오염도 및 상기 실외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판별하는 오염도기반환기판별단계; 및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에 의하여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서 상기 조명모듈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단계를 포함하는,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 공기 및 외부 공기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환기에 적합한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여, 창틀의 조명을 통해 시각 정보로 변환하여 전달함으로서, 실내의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환기 등의 활동을 하기 전에 적합한 상황인지 판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외부 대기상태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행동할 수 있으며 실내 공기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환기의 필요성을 느끼고 창문을 열려고 시도할 때, 미세먼지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행동할 필요 없이 창문을 보는 것만으로 환기 가능 여부를 알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큰 설비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주거 환경 내에 추가적인 공간 차지를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또한 조명의 색 변화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여 텍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기존의 제품들보다 직관적이고 명확하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의 전자적 구성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가 수행하는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의 세부 판별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기반환기판별부가 수행하는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A 선으로 표시한 부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의 전자적 구성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은 창틀 내부에 배치되어, 창틀에 끼워지는 유리에 빛을 공급할 수 있는 조명모듈(210, 220); 및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모듈(210, 220)은 창틀 내부에 배치되어 환기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유리에 조명형태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창틀은 아파트 등의 창문, 베련다 등의 창호의 샷시 등으로 칭해지는 요소 및 버스 등의 차량의 유리창문의 틀을 포함한다. 즉, 상기 창틀은 유리를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체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의 조명모듈은 상기 창틀내부에 배치되어, 유리의 단면에 빛을 조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유리의 색상이 변화된 것처럼 느끼게 하는 형태이다.
상기 조명모듈은 LED등의 조명소자 및 상기 조명소자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조명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회로기판은 배선을 통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부(100)에서 수신한 조명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소자를 구동한다.
상기 조명회로기판은 상기 제어부(100)에 유선적 혹은 무선적 방식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도 10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에서와 같은 1 이상의 메모리, 1 이상의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며, 조명모듈 등의 외부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수단을 구비한다. 도 1에서는 상기 제어부(100)의 기능을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구성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실내의 공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실내정보수집부(110); 실외의 공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실외정보수집부(120); 사용자가 상기 창틀로 접근하는 지 여부를 판별하는 접근센싱부(130); 상기 실내의 공기에 대한 정보로부터 실내오염도를 산출하고, 상기 실외의 공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실외오염도를 산출하고, 상기 실내오염도 및 상기 실외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판별하는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140); 상기 실내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 및 상기 실외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판별하는 에너지기반환기판별부(150); 및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140)에 의하여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서 상기 조명모듈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정보수집부(110)는 실내 공기 환경을 수집하는 센서로 구현되거나 혹은 상기 제어부(100)에 접속된 다른 장치, 예를 들어 센싱된 정보를 수신하는 홈네트워크시스템, 혹은 기타 스마트홈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내정보수집부(110)는 실내 공기의 질과 관련하여 미세먼지 농도를 수집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추가적으로 오존농도를 수집한다.
상기 실내정보수집부(110)는 엔탈피 관련 정보를 도출하기 위하여 실내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추가적으로 수집할 수도 있다.
상기 실외정보수집부(120)는 공기 환경을 수집하는 센서로 구현되거나 혹은 상기 제어부(100)에 접속된 다른 장치, 예를 들어 센싱된 정보를 수신하는 홈네트워크시스템, 실외 대기 정보 제공시스템, 혹은 기타 외부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외정보수집부(120)는 실외 공기의 질과 관련하여 미세먼지 농도를 수집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추가적으로 오존농도를 수집한다.
상기 실외정보수집부(120)는 엔탈피 관련 정보를 도출하기 위하여 실외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추가적으로 수집할 수도 있다.
상기 접근센싱부(130)는 사용자가 상기 창틀으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기설정된 기간 이상 위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근센싱부(130)는 사용자가 상기 창틀으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기설정된 기간 이상 위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140) 혹은 조명제어부(160)는 상기 접근센싱부(130)의 판단결과에 따라 동작의 유무가 결정된다. 즉, 이는 조명제어부(160)에 의하여 동작되는 조명모듈이 항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창호 근처에 접근하는 경우에 동작하기 위함이다.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140)는 상기 상기 실내의 공기에 대한 정보로부터 실내오염도를 산출하고, 상기 실외의 공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실외오염도를 산출하고, 상기 실내오염도 및 상기 실외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판별한다.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140)는 실내오염도만을 고려하거나 혹은 실외오염도를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내오염도 및 실외오염도를 동시에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환기에 대한 직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염기반환기판별부는 실내오염도가 실외오염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제1모드로 하고, 상기 실내오염도가 실외오염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제2모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염기반환기판별부는 실내오염도 및 실외오염도에 기초하여 직관적으로 환기를 하면 좋은지 혹은 오히려 나빠지는 지 여부를 결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방식을 결정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모드에서의 조명모듈의 색이 일정한 것이 이 아니라 상기 실내오염도와 실외오염도의 차이의 크기에 따라서 조명모듈의 색을 변동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모드가 붉은 계열의 빛으로 조명모듈을 동작시킨다고 할 때, 실내오염도와 실외오염도의 차이가 커질수록 빛의 크기를 증가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모드에 대한 세부정보가 상기 오염기반환기판별부에서 결정되고, 상기 조명제어부(160)는 결정된 동작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조명모듈을 제어한다.
상기 에너지기반환기판별부(150)는 상기 실내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 및 상기 실외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판별한다.
환기는 공기의 질 뿐만 아니라 에너지적 측면에서 행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여름철의 경우 일반적으로 외부가 내부보다 온도가 높으나, 새벽, 밤의 경우에는 외부가 내부보다 온도가 낮고, 이 경우 환기를 수행하는 것이 에어컨 등의 공조장치의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에너지기반환기판별부(150)는 상기 실내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로부터 실내 공기의 에너지 (혹은 엔탈피)를 계산하고, 상기 실외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로부터 실외 공기의 에너지 (혹은 엔탈피)를 계산한 후에, 이들을 비교하여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는 제1조명모듈(210) 및 제2조명모듈(2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조명모듈(210)의 동작모드는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140)에 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조명모듈(220)의 동작모드는 상기 에너지기반환기판별부(150)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창호 혹은 창틀 주변에 접근하는 경우에, 상기 창틀의 제1조명모듈(210)은 공기의 질에 기반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창틀의 제2조명모듈(220)은 에너지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너지기반환기판별부(150)는 상기 실내 공기의 에너지가 상기 실외 공기의 에너지보다 높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2조명모듈(220)의 동작모드를 제1동작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실내 공기의 에너지가 상기 실외 공기의 에너지보다 낮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2조명모듈(220)의 동작모드를 제2동작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동작모드는 붉은색 계열의 빛으로 상기 제2조명모듈(220)을 동작하는 형태이고, 제2동작모드는 파란색 계열의 빛으로 상기 제2조명모듈(220)을 동작하는 형태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모드에서의 조명모듈의 색이 일정한 것이 이 아니라 상기 실내 공기의 에너지와 상기 실외 공기의 에너지의 차이의 크기에 따라서 조명모듈의 색을 변동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모드가 붉은 계열의 빛으로 조명모듈을 동작시킨다고 할 때, 실내 공기의 에너지와 실외 공기의 에너지의 차이가 커질수록 빛의 크기 혹은 세기를 증가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모드에 대한 세부정보가 상기 에너지기반환기판별부(150)에서 결정되고, 상기 조명제어부(160)는 결정된 동작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조명모듈 혹은 제2조명모듈(220)을 제어한다.
상기 조명제어부(160)는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140)에 의하여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서 상기 조명모듈을 제어한다. 조명제어부(160)는 하나의 조명모듈을 제어하거나 혹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질에 기반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제1조명모듈(210) 및 에너지에 기반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제2조명모듈(220) 모두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명모듈은 상기 조명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한편, 조명부 및 상기 제어부(100)는 각각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한다 (미도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140)가 수행하는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실내정보수집부(110)는 실내의 공기의 미세먼지농도 및 오존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실외정보수집부(120)는 실외의 공기의 미세먼지농도 및 오존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이후,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140)는 상기 실내의 공기의 미세먼지농도 및 오존농도에 기초하여 실내오염도를 산출하는 단계(S10), 상기 실외의 공기의 미세먼지농도 및 오존농도에 기초하여 실외오염도를 산출하는 단계(S11), 및 산출된 실내오염도 및 실외오염도에 기초하여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단계(S12)를 수행한다.
단계 S10, S11에서는 주어진 공기의 미세먼지농도 및 오존농도에 기초하여 공기오염도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공기오염도가 X이고, 공기의 미세먼지 농도가 A이고, 공기의 오존농도가 B인경우에는, X=a1*A+a2*B와 같은 형태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a1 a2 는 계수에 해당한다.
단계 S12에서는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140)는 상기 실내오염도 및 상기 실외오염도에 기초하여 조명동작모드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 1의 제1조명모드의 동작모드를 결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140)의 세부 판별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실내오염도가 실외오염도보다 큰 경우에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제1모드로 결정하고, 실내오염도가 실외오염도보다 작은 경우에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제2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환기시 실내의 공기오염도가 올라갈 지 혹은 낮아질 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실외오염도를 3개의 구간으로 나누고, 특정 구간에서만 실외오염도 및 실내오염도에 기반하여 조명모듈의 동작을 결정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상대적인 비교결과뿐만 아니라 절대적인 외기 상태에 대한 정보도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140)는, 상기 실외오염도가 제1구간의 값에 해당하면,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제1모드로 결정한다.
여기서 제1구간은 실외오염도가 가장 낮은 구간에 해당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구간에서 동일한 형태의 조명을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제1구간에서의 실외오염도의 수치에 따라서 조명 색상, 색온도, 세기 중 1 이상을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제1구간에서는 조명의 색상을 초록색으로 설정하고, 실외오염도가 낮아질수록 조명의 세기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구간은 외기의 공기질이 좋은 상태로서, 이 경우에는 어느 경우라도 환기를 하면 이점이 있는 구간에 해당한다.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140)는 상기 실외오염도가 상기 제1구간 보다 오염도가 높은 제2구간의 값에 해당하면, 상기 실내오염도와 실외오염도의 크기를 비교한다.
이후,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140)는 상기 실내오염도가 실외오염도보다 큰 경우에는 제2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실외오염도가 실내오염도보다 큰 경우에는 제3모드로 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모드와 상기 제3모드는 색상계열이 상이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모드 및 제3모드에서도 실내오염도와 실외오염도의 차이값에 따라서, 조명 색상, 색온도, 세기 중 1 이상을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모드가 파란색인 경우에는, 실내오염도와 실외오염도의 차이의 값이 커질수록 조명의 세기를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모드가 붉은색인 경우에는, 실내오염도와 실외오염도의 차이의 값이 커질수록 조명의 세기를 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140)는 상기 실외오염도가 제3구간의 값에 해당하면,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제3모드로 결정한다.
여기서 제3구간은 실외오염도가 가장 높은 구간에 해당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구간에서 동일한 형태의 조명을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제3구간에서의 실외오염도의 수치에 따라서 조명 색상, 색온도, 세기 중 1 이상을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제3구간에서는 조명의 색상을 붉은색으로 설정하고, 실외오염도가 높아질수록 조명의 세기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구간은 외기의 공기질이 상당히 나쁜 상태로서, 이 경우에는 어느 경우라도 환기를 하면 불리한 구간에 해당한다.
위와 같은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140)에서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서 상기 조명제어부(160)는 상기 조명모듈에서 발광하는 빛의 계열, 색온도, 세기 등을 상이하게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140)는 모드 정보 및 모드의 세부 정보를 도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오염도기반판별부는 실외오염도가 제2구간에 위치하고, 실외오염도와 실내오염도의 차이가 X값인 경우에, 모드 정보는 제2모드이고, 세부정보는 X값 혹은 X값으로부터 도출된 수치에 해당한다. 이 경우, 상기 조명제어부(160)는 제2모드에 따른 조명색상, X값에 따른 조명세기에 따라 조명모듈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기반환기판별부(150)가 수행하는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에너지기반환기판별부(150)는, 상기 실내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에 기초하여 실내엔탈피를 도출하는 단계(S20); 상기 실외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에 기초하여 실외엔탈피를 도출하는 단계(S21); 상기 실내엔탈피가 실외엔탈피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제1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실내엔탈피가 실외엔탈피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제2모드로 결정한다(S22). 여기서 제1모드 및 제2모드는 상기 도 3의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140)에서의 모드에 대한 것이 아니라 편의상 서수를 부여한 것이다.
공기의 에너지 지표로 이용될 수 있는 엔탈피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에 의하여 도출된다. 여름철에는 실내엔탈피가 실외엔탈피보다 높고, 더위를 느낀다면 사용자는 환기를 수행함이 바람직하고, 겨울철에는 실내엔탈피가 실외엔탈피보다 낮고, 추위를 느낀다면 사용자는 환기를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S22에서 결정되는 상기 제1모드와 상기 제2모드는 색상계열이 상이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모드 및 제2모드에서도 실내엔탈피와 실외엔탈피의 차이값에 따라서, 조명 색상, 색온도, 세기 중 1 이상을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모드가 파란색인 경우에는, 실내엔탈피와 실외엔탈피의 차이의 값이 커질수록 조명의 세기를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모드가 붉은색인 경우에는, 실내엔탈피와 실외엔탈피의 차이의 값이 커질수록 조명의 세기를 강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외기 공기의 엔탈피가 내부 공기의 엔탈피보다 매우 높은 경우에는, 조명모듈에서 강한 파란빛을 구현하고, 약간 높은 경우에는 조명모듈에서 약한 파란빛을 구현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외부 공기의 엔탈피와 내부 공기의 엔탈피 중 어디가 높은지 및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에너지기반환기판별부(150)의 동작에 의하여 제2조명모듈(220)이 제어되고,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140)의 동작에 의하여 제1조명모듈(210)이 제어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에너지 및 오염도를 복합적으로 판단하여 환기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당한 더위를 느끼는데, 제1조명모듈(210)에서는 공기질에 있어서 외기가 내기보다 약간 열악하다는 것을 표시하고 있지만, 제2조명모듈(220)에서는 외기의 공기 엔탈피가 내기의 공기 엔탈피보다 매우 낮음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창문 등을 열어 환기를 수행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조명모듈을 구비하고, 제1조명모듈(210)은 공기질에 따른 환기 정보를 제공하고, 제2모듈은 온도에 따른 환기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기질에 따른 환기, 에너지에 따른 환기, 공기질 및 에너지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환기를 보다 직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크기 비교에 따른 색상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절대적인 수치 혹은 차이값의 크기에 따라서 조명의 색상, 세기, 색온도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보다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세부 정보까지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6은 도 5의 A 선으로 표시한 부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창호는 프레임에 해당하는 창틀(300) 및 상기 창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유리(310)를 포함한다. 상기 창틀 내부 공간에 상기 조명모듈이 배치된다. 도 5에서는 제1조명모듈(210)이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는 에너지기반환기판별부(150)가 제외된 실시예에 해당한다.
제1조명모듈(210)은 조명회로기판(211) 및 조명소자(222)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회로기판(211)은 상기 제어부(100)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회로기판(211)은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입되는 전원인입선에 연결이 되거나(배선 미도시) 혹은 배터리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소자(222)는 상기 유리의 측면을 향하여 빛을 조사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에 접하고 상기 조명모듈이 배치되는 창틀의 부위에는 조명소자에 상응하는 조명홀(3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명홀을 통하여 상기 조명소자에서 조사된 광은 상기 유리(310)의 측면에 조사된다. 유리(310)의 측면에 조사된 빛은 유리 내부에서 확산 혹은 반사되고, 이에 따라 유리(310)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특히, 유리(310)의 부분 중 상기 조명모듈이 위치한 측에 색상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조명모듈은 상기 창틀의 내부 일부분에 배치되는 제1조명모듈(210), 및 상기 창틀의 내부 타부분에 배치되는 제2조명모듈(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00)의 조명제어부(160)는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140)에 의하여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제1조명모듈(210)을 제어하고, 상기 에너지기반환기판별부(150)에 의하여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제2조명모듈(220)을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제2조명모듈(220) 조명회로기판(221) 및 조명소자(221)를 포함한다. 전술한 창틀의 조명홀 등의 구조는 제1조명모듈(210)의 설명에 상응한다.
도 7에서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는 에너지에 대한 정보 및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자신의 현재 니즈에 따라서 환기 여부를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140)는 실내오염도와 실외오염도를 비교하고, 실외오염도가 실내오염도와 비교시 높은 경우에는 조명모듈을 붉은색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실외오염도가 실내오염도와 비교시 낮은 경우에는 조명모듈을 초록색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한 경우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현재 환기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호시스템은 건물내의 창호 뿐만 아니라, 버스 창문, 차량 창문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도 1에 따른 제어부는 도 10에서 도시되는 컴퓨팅장치의 1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장치(11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장치(11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사용자단말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100)은 단일 혹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연산처리속도 향상을 위하여 GPU 및 TPU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0의 실시예는, 컴퓨팅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장치(11000)은 도 10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0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장치는 도 10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으로서,
    창틀 내부에 배치되어, 창틀에 끼워지는 유리에 빛을 공급할 수 있는 조명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실내의 공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실내정보수집부;
    실외의 공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실외정보수집부;
    사용자가 상기 창틀로 접근하는 지 여부를 판별하는 접근센싱부;
    상기 실내의 공기에 대한 정보로부터 실내오염도를 산출하고, 상기 실외의 공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실외오염도를 산출하고, 상기 실내오염도 및 상기 실외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판별하는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
    실내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 및 실외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판별하는 에너지기반환기판별부; 및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 및 에너지기반환기판별부에 의하여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서 상기 조명모듈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모듈은 상기 창틀의 내부 일부분에 배치되는 제1조명모듈, 및 상기 창틀의 내부 타부분에 배치되는 제2조명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에 의하여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제1조명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에너지기반환기판별부에 의하여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제2조명모듈을 제어하는,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내정보수집부는 실내의 공기의 미세먼지농도 및 오존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실외정보수집부는 실외의 공기의 미세먼지농도 및 오존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는 상기 실내의 공기의 미세먼지농도 및 오존농도에 기초하여 실내오염도를 산출하고, 상기 실외의 공기의 미세먼지농도 및 오존농도에 기초하여 실외오염도를 산출하는,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는,
    상기 실외오염도가 제1구간의 값에 해당하면,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제1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실외오염도가 상기 제1구간 보다 오염도가 높은 제2구간의 값에 해당하면, 상기 실내오염도와 실외오염도의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실내오염도가 실외오염도보다 큰 경우에는 제2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실외오염도가 실내오염도보다 큰 경우에는 제3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실외오염도가 제3구간의 값에 해당하면,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제3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에서 발광하는 빛의 색을 상이하게 제어하는,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
  4.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으로서,
    창틀 내부에 배치되어, 창틀에 끼워지는 유리에 빛을 공급할 수 있는 조명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실내의 공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실내정보수집부;
    실외의 공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실외정보수집부;
    사용자가 상기 창틀로 접근하는 지 여부를 판별하는 접근센싱부;
    상기 실내의 공기에 대한 정보로부터 실내오염도를 산출하고, 상기 실외의 공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실외오염도를 산출하고, 상기 실내오염도 및 상기 실외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판별하는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
    실내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 및 실외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판별하는 에너지기반환기판별부; 및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 및 에너지기반환기판별부에 의하여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서 상기 조명모듈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기반환기판별부는 상기 실내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에 기초하여 실내엔탈피를 도출하고, 상기 실외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에 기초하여 실외엔탈피를 도출하고,
    상기 실내엔탈피가 실외엔탈피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제1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실내엔탈피가 실외엔탈피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제2모드로 결정하는,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근센싱부는 사용자가 상기 창틀으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기설정된 기간 이상 위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부 혹은 조명제어부는 상기 접근센싱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동작의 유무가 결정되는,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
  6. 창틀 내부에 배치되어, 창틀에 끼워지는 유리에 빛을 공급할 수 있는 조명모듈을 포함하는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실내의 공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실내정보수집단계;
    실외의 공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실외정보수집단계;
    사용자가 상기 창틀로 접근하는 지 여부를 판별하는 접근센싱단계;
    상기 실내의 공기에 대한 정보로부터 실내오염도를 산출하고, 상기 실외의 공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실외오염도를 산출하고, 상기 실내오염도 및 상기 실외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판별하는 오염도기반환기판별단계;
    실내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 및 실외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판별하는 에너지기반환기판별단계;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단계 및 상기 에너지기반환기판별단계에 의하여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서 상기 조명모듈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모듈은 상기 창틀의 내부 일부분에 배치되는 제1조명모듈, 및 상기 창틀의 내부 타부분에 배치되는 제2조명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제어단계는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단계에 의하여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제1조명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에너지기반환기판별단계에 의하여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제2조명모듈을 제어하는,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의 제어방법.
  7. 창틀 내부에 배치되어, 창틀에 끼워지는 유리에 빛을 공급할 수 있는 조명모듈을 포함하는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실내의 공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실내정보수집단계;
    실외의 공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실외정보수집단계;
    사용자가 상기 창틀로 접근하는 지 여부를 판별하는 접근센싱단계;
    상기 실내의 공기에 대한 정보로부터 실내오염도를 산출하고, 상기 실외의 공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실외오염도를 산출하고, 상기 실내오염도 및 상기 실외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판별하는 오염도기반환기판별단계;
    실내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 및 실외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판별하는 에너지기반환기판별단계; 및
    상기 오염도기반환기판별단계 및 상기 에너지기반환기판별단계에 의하여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서 상기 조명모듈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기반환기판별단계는 상기 실내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에 기초하여 실내엔탈피를 도출하고, 상기 실외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에 기초하여 실외엔탈피를 도출하고,
    상기 실내엔탈피가 실외엔탈피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제1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실내엔탈피가 실외엔탈피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모드를 제2모드로 결정하는,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의 제어방법.
  8. 삭제
KR1020180140272A 2018-11-14 2018-11-14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 KR102171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272A KR102171069B1 (ko) 2018-11-14 2018-11-14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272A KR102171069B1 (ko) 2018-11-14 2018-11-14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545A KR20200056545A (ko) 2020-05-25
KR102171069B1 true KR102171069B1 (ko) 2020-10-29

Family

ID=70914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272A KR102171069B1 (ko) 2018-11-14 2018-11-14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0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34272A (ja) * 2022-03-14 2023-09-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テープ管理装置、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磁気テープ、磁気テープシステム、磁気テープ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6826A (ja) * 2005-11-01 2007-05-24 Yamatake Corp 窓開閉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101486997B1 (ko) 2014-08-21 2015-01-29 (주)케이엠넷 가택 자동 환기 시스템
KR101723885B1 (ko) * 2015-12-15 2017-04-06 엔팩토리주식회사 창 외면 부착형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IoT 홈케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577B1 (ko) * 1990-08-22 1993-10-28 이용재 인공지능 창호
KR101200047B1 (ko) * 2010-09-17 2012-11-12 (주)알텍테크놀로지스 조명 창호
KR101785357B1 (ko) 2016-06-13 2017-10-17 (주)에스에이치아이앤씨 미세먼지, 온도, 습도 측정센서를 기반으로 한 공기질 검출 시각화 장치
KR102604222B1 (ko) * 2017-01-31 2023-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 부착형 환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6826A (ja) * 2005-11-01 2007-05-24 Yamatake Corp 窓開閉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101486997B1 (ko) 2014-08-21 2015-01-29 (주)케이엠넷 가택 자동 환기 시스템
KR101723885B1 (ko) * 2015-12-15 2017-04-06 엔팩토리주식회사 창 외면 부착형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IoT 홈케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545A (ko) 202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38564A1 (en) Configuring control devices operable for a load control environment
JP5436692B2 (ja) 空調制御装置、空調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204588U (ja) サーモスタットの遠隔制御のためのタッチスクリーンデバイスユーザインターフェイス
US9471070B2 (e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including distributed control elements
US20140244040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devices for building automation and energy management
US9441850B2 (en) Air-conditioning management apparatus
CN108375173B (zh) 空调器中室内机的导风板的控制方法、空调器
US9100207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mapping devices to realize building automation and energy management
WO2016009506A1 (ja) 空調制御装置、空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2023297A1 (ja) 空調制御装置、空調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062867A (zh) 空调器睡眠模式的控制方法
JP2011137595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US20200175534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energy management
GB2561495A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program
US20150057813A1 (en) Room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JP2014074509A (ja) 空調システム
JP2017143444A (ja) 制御装置、機器制御システム、プログラム
KR20180138100A (ko) 실내 환경 모니터링 센서 장치
US2023015446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7438742A (zh) 用于自适应地应用中央hvac系统和独立hvac系统的设备和方法
CN105318487A (zh) 空调器控制方法及空调器控制系统
KR102171069B1 (ko) 환기정보표시 창호시스템
CN109780685B (zh) 一种设备节能控制方法、装置及家用电器
KR102206461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2287293B1 (ko) 공간 내의 복수의 에어컨을 제어하는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