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703B1 - 소방 및 정찰을 위한 소방 드론 - Google Patents

소방 및 정찰을 위한 소방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703B1
KR102170703B1 KR1020180160930A KR20180160930A KR102170703B1 KR 102170703 B1 KR102170703 B1 KR 102170703B1 KR 1020180160930 A KR1020180160930 A KR 1020180160930A KR 20180160930 A KR20180160930 A KR 20180160930A KR 102170703 B1 KR102170703 B1 KR 102170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unit
drone
connection part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2871A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0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703B1/ko
Publication of KR20200072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8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with delivery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by air or aircraft
    • A62C3/024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with delivery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by air or aircraft by spraying extinguishants from the aircraf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4Supports or clamps for fire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16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 B64D1/18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by spraying, e.g. insectic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64C2201/042
    • B64C2201/12
    • B64C2201/14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B64U2201/202Remote controls using tethers for connecting to ground s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 및 정찰을 위하 소방 드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드론은, 화재가 발생된 위치로 비행하여 이동하기 위한 드론부; 상기 드론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공급된 물을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분사하기 위한 제1 호스부; 및 상기 제2 호스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호스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2 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호스부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의 상단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하나 이상의 걸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호스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걸쇠부는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 연결부에 걸릴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상에서 연결된 소방 호스를 통해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화재가 발생된 지역으로 비행하여 화재를 진압하고, 화재의 진압이 완료되거나 사용자의 원격 조작에 의해 화재가 발생된 지역에 대한 정찰을 수행할 수 있어, 화재가 발생된 지역에 대한 소방 및 정찰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방 및 정찰을 위한 소방 드론{FIRE FIGHTER DRONE FOR FIRE FIGHTER AND SCOUT}
본 발명은 소방 및 정찰을 위하 소방 드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고,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대해 정찰을 할 수 있는 소방 및 정찰을 위한 소방 드론에 관한 것이다.
드론은 사람이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형상을 갖는 무인 항공기이다. 이러한 무인 항공기는 일정한 임무를 수행도록 원격에서 조종되거나 사전이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임무를 수행한다.
드론은 군대에서, 감시, 정찰, 공격 등과 같은 임무를 수행하면서 발전되었고, 최근, 방송 촬영이나 농업, 통신 중계, 재난 지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분야에 이용되는 등 적용분야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
그리고 화재진압과 같은 소방 활용에 대한 드론이 제안되고 있는데, 종개의 소방 드론은, 그 역할이 한정된 범위에서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6341호 (2015. 11. 0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7310호 (2018.10.0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방 활동 및 화재가 발생된 지역에 대한 정찰을 수행할 수 있는 소방 및 정찰을 위한 소방 드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드론은, 화재가 발생된 위치로 비행하여 이동하기 위한 드론부; 상기 드론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공급된 물을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분사하기 위한 제1 호스부; 및 상기 제2 호스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호스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2 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호스부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의 상단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하나 이상의 걸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호스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걸쇠부는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 연결부에 걸릴 수 있다.
상기 드론부는,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 주변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 및 영상센서에서 수집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드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호스부가 상기 제1 호스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걸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호스부에는 상기 드론부로 신호 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의 하단에는 상기 제1 호스부에 형성된 배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상단에는 상기 제2 호스부에 형성된 배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가 서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제1 연결부에 형성된 배선단자 및 제2 연결부에 형성된 배선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배선단자의 내측에 상기 제1 연결부에 삽입되는 내부관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론부는 내부에 상기 온도센서, 영상센서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호스부가 상기 제1 호스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걸쇠부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가 상기 온도센서, 영상센서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배터리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드론은, 화재가 발생된 위치로 비행하여 이동하기 위한 드론부; 및 상기 드론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공급된 물을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분사하기 위한 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부는,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 주변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 및 영상센서에서 수집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드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호스부에는 하나 이상의 배선이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배선은 상기 드론부에 신호를 전달하거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호스부는 제1 호스부 및 제2 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호스부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의 상단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하나 이상의 걸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호스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걸쇠부는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 연결부에 걸리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호스부가 상기 제1 호스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걸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상에서 연결된 소방 호스를 통해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화재가 발생된 지역으로 비행하여 화재를 진압하고, 화재의 진압이 완료되거나 사용자의 원격 조작에 의해 화재가 발생된 지역에 대한 정찰을 수행할 수 있어, 화재가 발생된 지역에 대한 소방 및 정찰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찰을 수행하기 위해 물이 공급되는 소방 호스를 분리한 상태에서 정찰을 수행할 수 있어, 소방 호스로 인해 정찰 범위에 대한 한계를 가지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드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드론에서 소방 호스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B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드론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드론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드론에서 소방 호스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A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B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드론(100)은 드론부(110), 제1 호스부(120) 및 제2 호스부(130)를 포함한다.
드론부(110)는, 소방 드론(100)이 비행하도록 제1 호스부(120)를 상공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드론부(110)는 다수의 프로펠러(112)를 포함한다. 그리고 드론부(110)의 정면인 일 측에 온도센서(114) 및 영상센서(116, 또는,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프로펠러(112), 온도센서(114) 및 영상센서(11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8)가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19)가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드론부(110)는 제1 호스부(120)를 화재가 발생된 위치로 제1 호스부(120)를 이송시키고, 화재가 발생한 지역에 대해 제1 호스부(120)에서 물이 발사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다수의 프로펠러(1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가 구비될 수 있고, 제어부(118)의 제어에 의해 소방 드론(10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프로펠러(112)가 드론부(110)에 의해 주변이 둘러싸인 형상인 것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수의 프로펠러(112)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드론부(110)의 형상은 도시된 것과 달리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드론부(110)는 앞서 설명한, 온도센서(114), 영상센서(116), 제어부(118), 배터리(119)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하부에 제1 호스부(120)가 설치될 수 있으면 되며, 드론부(110)의 형상은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온도센서(114)는 소방 드론(100)의 주변에 대한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일정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는 위치로 소방 드론(100)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부(118)에 감지된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온도센서(114)는 하나 이상 드론부(1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수의 온도센서(114)가 설치될 수 있다.
영상센서(116)는 소방 드론(100)이 위치한 위치에 대해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118)를 통해 사용자의 조종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영상센서(116)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해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원격으로 소방 드론(1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영상센서(116)는 하나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다수 개가 드론부(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18)는 온도센서(114) 및 영상센서(116)에서 수집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집된 정보에 따라 드론부(11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고, 또는 수집된 정보를 사용자의 조종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겠지만, 제2 호스부(130) 및 제1 호스부(120)를 통해 연결된 배선(134)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또는 해당 배선(134)을 통해 사용자의 조종장치와 유선 통신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제어부(118)는 조종 장치와 무선 통신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배터리(119)는 드론부(1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119)는 언제나 동작하지 않고, 제2 호스부(130)가 분리된 경우에 한하여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는 배터리(119)의 동작 여부는 제어부(118)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1 호스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일단은 드론부(110)의 측면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드론부(110)의 하부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하부 방향에서 물이 공급되면, 드론부(110)의 측면 방향을 향해 물이 발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호스부(120)의 일단은 드론부(110)의 측면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호스부(120)의 타단은 드론부(110)의 하부 방향을 향해 배치되고, 끝단에 제1 연결부(122)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부(122)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걸쇠부(124)가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걸쇠부(124)는 각각 제1 연결부(122)의 상단에 힌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걸쇠부(124) 각각은 제1 연결부(122)의 상단에 배치된 힌지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제1 연결부(122)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호스부(130)는 제1 호스부(1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단에 제2 연결부(132)가 배치된다. 제2 연결부(132)는 제1 연결부(122)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제2 연결부(132)는 다수의 걸쇠부(124)에 의해 제1 연결부(122)에 연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제2 연결부(132)는 제2 호스부(1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연결부(132)의 외부 직경은 제1 연결부(122)의 외부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제2 연결부(132)의 상단에는 배선단자(136)가 형성될 수 있다. 배선단자(136)는 제2 호스부(13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배선(13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132)의 상단을 따라 원형의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연결부(122)의 하단에도 제2 연결부(132)와 동일한 형상의 배선단자(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부(122)의 배선단자와 제2 연결부(132)의 배선단자(136)는 제1 연결부(122) 및 제2 연결부(132)가 결합되면,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호스부(120)에도 배선(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호스부(120)에 배치된 배선은 제1 호스부(120)에 형성된 배선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호스부(120)에 배치된 배선은 드론부(110)의 내부에 배치된 제어부(11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부(132)에 형성된 배선단자(136) 및 제1 연결부(122)에 형성된 배선단자는 필요에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 개의 배선단자(136)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하나의 배선단자(136)가 내측에 배치되면 다른 하나의 배선단자(136)는 내측에 배치된 배선단자(136)를 둘러싸도록 외측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서로 절연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부(132)에는 내부관(138)이 배치될 수 있다. 내부관(138)은 배선단자(136)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상부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내부관(138)은 제2 연결부(132)가 제1 연결부(122)에 결합되면, 제1 연결부(12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부(122) 및 제2 연결부(132)를 통해 물이 흐르더라도 내부관(138)에 의해 배선단자(136)에 물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2 연결부(132)는 제1 연결부(122)에 다수의 걸쇠부(124)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32)는 제2 호스부(130)보다 외부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연결부(132)의 외부 직경은 제1 연결부(122)의 외부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걸쇠부(1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이 제1 연결부(122)의 상단에 힌지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다. 걸쇠부(124)은 제1 연결부(122)와 제2 연결부(13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타단이 제2 연결부(132)의 중심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걸리단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걸쇠부(124)는 제1 연결부(122)와 제2 연결부(132)가 결합된 상태에서, 정상상태에서는 걸쇠부(124)의 걸림단(124a)이 제2 연결부(132)의 하단에 걸린 상태가 된다. 그에 따라 제1 연결부(122)와 제2 연결부(132)는 서로 연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다수의 걸쇠부(124)는 제어부(118)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는데, 이를 위해 다수의 걸림쇠에 연결된 힌지는 별도의 모터나 제어기에 연결될 수 있다. 다수의 걸쇠부(124)는 제어부(118)의 제어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도록 동작한다. 즉, 다수의 걸쇠부(124)는 대략 90도 정도 회전되며, 회전에 따라 걸쇠부(124)의 걸림단(124a)이 제2 연결부(132)의 하단에서 이탈된다.
다수의 걸쇠부(124)는 제어부(118)의 제어에 의해 동시에 상기와 같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다수의 걸쇠부(124)가 동작됨에 따라 제2 연결부(132)와 제1 연결부(122)의 결합을 유지하는 힘이 제거되고, 제2 연결부(132)는 제1 연결부(122)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32)가 제1 연결부(122)에서 분리되는 힘은 중력에 의한 힘이 작용됨에 따라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호스부(130)는 제1 호스부(120)에 분리되고, 드론부(110)는 제2 호스부(130)에서 분리되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호스부(130)를 제1 호스부(120)에서 분리하는 것은,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서 어느 정도 화재가 진압된 상태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소방 드론(100)이 추가로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확인하거나 화재가 발생된 위치나 주변에 갇힌 사람이 있는지 확인하는 등의 정찰을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더 이상 제2 호스부(130)를 통해 물을 공급받지 않아도 되고, 제2 호스부(130)로 인해 이동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 소방 드론(100)은 제2 호스부(130)를 제거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드론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소방 드론(100)이 제어부(118)에 의해 제어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118)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론부(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배터리(119)도 드론부(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18)는 온도센서(114) 및 영상센서(116)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따라 드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8)가 드론부(110)를 제어하는 것은 온도센서(114)에서 감지된 온도가 주변보다 높고, 또한, 일정 온도 이상인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18)는 제2 호스부(130) 및 제1 호스부(120)를 통해 공급된 물이 해당 위치로 분사되도록 드론부(110)를 해당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18)는 영상센서(116)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해당 영상신호를 사용자의 조종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영상신호의 전송은 제1 호스부(120) 및 제2 호스부(130)에 배치된 배선(134)을 통해 조종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제2 호스부(130)가 제1 호스부(120)에서 분리되는 경우, 제어부(118)는 온도센서(114)에서 감지된 온도 및 영상센서(116)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한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조종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어부(118)에는 온도센서(114)에서 감지된 온도에 대한 정보 및 영상센서(116)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18)는 다수의 걸쇠부(124)의 동작을 제어한다. 화재진압을 위해 더 이상 물을 배출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제어부(118)는 다수의 걸쇠부(124)를 동작시켜 회전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호스부(130)가 제1 호스부(1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8)는 제1 호스부(120) 및 제2 호스부(130)에 배치된 배선(134)을 통해 더 이상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드론부(110)의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119)에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배터리(119)는 제2 호스부(130)가 제1 호스부(120)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방전되지 않고, 제2 호스부(130)가 분리된 이후에 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소방 드론
110: 드론부 112: 프로펠러
114: 온도센서 116: 영상센서
118: 제어부 119: 배터리
120: 제1 호스부 122: 제1 연결부
124: 걸쇠부 124a: 걸림단
130: 제2 호스부 132: 제2 연결부
134: 배선 136: 배선단자
138: 내부관

Claims (10)

  1. 화재가 발생된 위치로 비행하여 이동하기 위한 드론부;
    상기 드론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공급된 물을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분사하기 위한 제1 호스부; 및
    상기 제1 호스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호스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2 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호스부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의 상단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하나 이상의 걸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호스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걸쇠부는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 연결부에 걸리며,
    상기 드론부는,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 주변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 및 영상센서에서 수집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드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호스부가 상기 제1 호스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걸쇠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1 및 제2 호스부에는 상기 드론부로 신호 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이 배치되며,
    상기 제1 연결부의 하단에는 상기 제1 호스부에 형성된 배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상단에는 상기 제2 호스부에 형성된 배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가 서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제1 연결부에 형성된 배선단자 및 제2 연결부에 형성된 배선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드론부에는 내부에 상기 온도센서, 영상센서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호스부가 상기 제1 호스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된 배선을 통해 상기 온도센서, 영상센서 및 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상기 제2 호스부가 상기 제1 호스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걸쇠부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에 의해 상기 온도센서, 영상센서 및 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배터리를 제어하는 소방 드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배선단자의 내측에 상기 제1 연결부에 삽입되는 내부관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소방 드론.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160930A 2018-12-13 2018-12-13 소방 및 정찰을 위한 소방 드론 KR102170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930A KR102170703B1 (ko) 2018-12-13 2018-12-13 소방 및 정찰을 위한 소방 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930A KR102170703B1 (ko) 2018-12-13 2018-12-13 소방 및 정찰을 위한 소방 드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871A KR20200072871A (ko) 2020-06-23
KR102170703B1 true KR102170703B1 (ko) 2020-10-27

Family

ID=71137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930A KR102170703B1 (ko) 2018-12-13 2018-12-13 소방 및 정찰을 위한 소방 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7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210A (ko) 2021-03-12 2022-09-20 주식회사 피노 소방드론에 적용되는 반발 에너지 분배를 이용한 호버링 안정 수단
KR20220133036A (ko) 2021-03-24 2022-10-04 주식회사 피노 소방드론에 적용되는 역추진을 이용한 호버링 안정 수단
KR20230102020A (ko) * 2021-12-29 2023-07-07 최춘화 다기능 소방드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5330B2 (en) * 2016-08-20 2022-11-22 Modern Technology Solutions, Inc. Refueling system and systems with end effectors
KR102421881B1 (ko) * 2020-07-13 2022-07-20 주식회사 마크에이트 드론을 이용하는 인공지능 소방차
KR102482430B1 (ko) * 2021-01-12 2022-12-29 하상균 드론을 이용한 소방호스 운반 및 화재 진압장치
KR102530015B1 (ko) * 2021-06-04 2023-05-0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어수와 조절와이어를 이용한 원격제어 방식의 코브라형 방화수 살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34254A1 (en) * 2011-11-29 2013-05-30 Jason Moore UAV Fire-fighting System
US20170043872A1 (en) 2014-07-08 2017-02-16 Todd Michael Whitaker Tethered unmanned aerial vehicle fire fight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817B1 (ko) * 2011-04-15 2012-11-26 주식회사 대흥전기 호스 연결 및 분리용 커플링 장치
KR20160130100A (ko) * 2015-05-01 2016-11-10 박준국 화재 진압용 장비 및 화재진압 방법
KR101566341B1 (ko) 2015-06-01 2015-11-05 원기연 화재진압용 소방드론
KR101694132B1 (ko) * 2015-06-26 2017-01-09 송병준 유체의 반발력으로 움직이는 운항체
KR101907310B1 (ko) 2017-04-21 2018-10-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방 드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34254A1 (en) * 2011-11-29 2013-05-30 Jason Moore UAV Fire-fighting System
US20170043872A1 (en) 2014-07-08 2017-02-16 Todd Michael Whitaker Tethered unmanned aerial vehicle fire fighting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210A (ko) 2021-03-12 2022-09-20 주식회사 피노 소방드론에 적용되는 반발 에너지 분배를 이용한 호버링 안정 수단
KR20220133036A (ko) 2021-03-24 2022-10-04 주식회사 피노 소방드론에 적용되는 역추진을 이용한 호버링 안정 수단
KR20230102020A (ko) * 2021-12-29 2023-07-07 최춘화 다기능 소방드론
KR102597610B1 (ko) 2021-12-29 2023-11-02 최춘화 다기능 소방드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871A (ko)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0703B1 (ko) 소방 및 정찰을 위한 소방 드론
US11064184B2 (en) Aerial vehicle imaging and targeting system
US11126204B2 (en) Aerial vehicle interception system
US20190129427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oving object capturing system
EP3447435A1 (en) Virtual reality system for aerial vehicle
KR101968577B1 (ko) 산림재해용 다목적 드론
JP6729962B1 (ja) ドローン、ドローンの制御方法、および、ドローン制御プログラム
JP6594640B2 (ja) 監視システム
US9065982B2 (en) Reconfigurable surveillance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TWI585006B (zh) 無人機飛行方法以及無人機飛行系統
US20100179691A1 (en) Robotic Platform
US20150321758A1 (en) UAV deployment and control system
CN108351650B (zh) 一种对飞行器的飞行控制方法、装置及飞行器
CA3109626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improving safety and functionality of craft having one or more rotors
KR101700952B1 (ko)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촬영 영상 원격 모니터링 및 원격 분사 제어 기반의 안개제거 장치
US20200033846A1 (en) Vehicle-based deployment of a tethered surveillance drone
KR101911046B1 (ko) 산불감시 및 교량수위감시 모드를 갖는 드론 시스템
KR20150146040A (ko) 경호용 무인 항공기
WO2018069920A2 (en) Method and system for capturing an intruder in-flight
KR101682797B1 (ko) 체감형 무인항공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64867B1 (ko)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
CN107310727B (zh) 一种具有火灾急救功能的无人机
KR101760101B1 (ko) 지능형 소방 시스템
KR102069844B1 (ko) 소방관 안전 시스템 및 소방 안전용 드론
JPH09271527A (ja) 無人消防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