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936B1 -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936B1
KR102169936B1 KR1020190134696A KR20190134696A KR102169936B1 KR 102169936 B1 KR102169936 B1 KR 102169936B1 KR 1020190134696 A KR1020190134696 A KR 1020190134696A KR 20190134696 A KR20190134696 A KR 20190134696A KR 102169936 B1 KR102169936 B1 KR 102169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cover
cover part
mounting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Priority to KR1020190134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4Stays or supports for holding lids or covers ope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2Briefcase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물품을 수용하는 기능과 사용자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을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은 본체부, 덮개부, 스토퍼부 그리고 받침부를 포함한다. 본체부는 바닥면과, 바닥면과 연결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측벽과, 바닥면과 연결되고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측벽과, 바닥면, 제1측벽 및 제2측벽에 의해 형성되어 물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진다. 덮개부는 제1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회전축에 의해 제1측벽 중 어느 하나의 제1측벽에 힌지 결합되어 본체부를 개폐한다. 스토퍼부는 제1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회전축에 의해 일단부는 덮개부의 하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본체부에 고정되면 본체부를 개방한 덮개부가 본체부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한다. 받침부는 제1방향으로 구비되는 제3회전축에 의해 일단부가 덮개부의 상면에 힌지 결합된다. 덮개부가 본체부를 개방하고 스토퍼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받침부는 덮개부의 외측으로 회전되어 덮개부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를 지지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FILING CABINET FOR MOUNTING USER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품을 수용하는 기능과 사용자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는 일반 PC와 달리 크기가 작고 가벼우며, 충전식 및 무선으로 사용도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사용자들은 사용자 단말기를 휴대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야외나 이동 수단에 탑승하는 경우와 같이 책상이나 테이블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통상적으로 가방 위에 사용자 단말기를 올려 놓고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 경우, 가방은 단순히 그 위에 사용자 단말기를 올려 놓는 용도로만 사용되기 때문에, 화면 높이가 낮아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책상이나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도 책상이나 테이블 위에 사용자 단말기를 올려 놓고 사용하는 경우, 화면의 높이가 낮아 사용이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변동좌석제를 시행하는 회사도 늘고 있는데, 이 경우, 노트북 컴퓨터를 옮겨야 하는 경우가 빈번할 뿐만 아니라, 필기구 및 서류 등도 함께 옮겨야 한다. 따라서,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높이를 높여 사용자의 작업 편의성을 높이고, 필기구 및 서류 등도 편하게 수납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5-0107289호(2005.11.11.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물품을 수용하는 기능과 사용자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과 연결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측벽과, 상기 바닥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측벽과, 상기 바닥면, 상기 제1측벽 및 상기 제2측벽에 의해 형성되어 물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제1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회전축에 의해 상기 제1측벽 중 어느 하나의 제1측벽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를 개폐하는 덮개부; 상기 제1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회전축에 의해 일단부는 상기 덮개부의 하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면 상기 본체부를 개방한 상기 덮개부가 상기 본체부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스토퍼부; 그리고 상기 제1방향으로 구비되는 제3회전축에 의해 일단부가 상기 덮개부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일단부가 상기 제2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이격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타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가지고, 상기 제2측벽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홀을 가지며, 상기 제2측벽은 상기 덮개부가 회전하여 상기 본체부를 닫을 시에 상기 지지바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상부에 함몰 형성되는 제1안착홈을 가지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부가 회전하여 상기 본체부를 닫을 시에 상기 지지바의 상부가 안착되도록 하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2안착홈을 가지며, 상기 지지바의 일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지지바가 상기 제2안착홈에 안착 시에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가지며, 상기 걸림돌기는 양측의 일부가 절개부에 의해 절개된 탄성편에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가 상기 본체부를 개방하고 상기 스토퍼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덮개부의 외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덮개부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 및 상기 고정홀의 결합에 따라 상기 덮개부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은 상기 제1안착홈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방향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지지바를 연결하는 보강바를 가지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부가 회전하여 상기 본체부를 닫을 시에 상기 보강바가 안착되도록 하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3안착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 거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소형물품을 수용하는 소형물품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형물품 수용부는 상기 제1측벽의 내주면에 동일한 높이로 단차 형성되는 제1단차부 및 상기 제2측벽의 내주면에 상기 제1단차부와 연속되도록 형성되는 제2단차부에 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부가 회전되어 본체부를 개방하고 스토퍼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받침부가 덮개부의 외측으로 회전되면, 받침부는 덮개부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를 지지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이 높은 위치에서 경사를 가지면서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에는 서류, 책자 등이 수용될 수 있고, 연필, 볼펜과 같은 필기구는 본체부에 구비되는 소형물품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의 본체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에서 스토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의 덮개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에서 덮개부의 하면을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에서 받침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에 소형물품 수용부가 결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소형물품 수용부가 결합된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의 본체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은 본체부(100), 덮개부(200), 스토퍼부(300) 그리고 받침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바닥면(110), 제1측벽(120), 제2측벽(130) 및 수용공간(140)을 가질 수 있다.
제1측벽(120)은 바닥면(110)과 연결되고 제1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제2측벽(130)은 바닥면(110)과 연결되고 제1방향(D1)에 수직한 제2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수용공간(140)은 바닥면(110), 제1측벽(120) 및 제2측벽(130)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물품이 수용될 수 있다. 수용공간(140)에 수용되는 물품은 서류, 책자 등일 수 있으며, 수용공간(140)은 이러한 서류, 책자 등이 펴진 상태로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본체부(100)는 로크부(150)를 가질 수 있다. 로크부(150)는 전방의 제2측벽(130)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덮개부(200)는 제1방향(D1)으로 구비되는 제1회전축(210)을 가질 수 있다. 덮개부(200)는 제1회전축(210)에 의해 제1측벽(120) 중 어느 하나의 제1측벽(120)에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제1회전축(21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본체부(100)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200)는 로크부(150)와 결합되는 로크바(205)를 가질 수 있으며, 로크바(205)에 로크부(150)가 결합되면 덮개부(200)는 본체부(100)를 닫은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스토퍼부(300)는 제1방향(D1)으로 구비되는 제2회전축(310)을 가질 수 있다. 스토퍼부(300)는 제2회전축(310)에 의해 일단부가 덮개부(200)의 하면(202)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부(300)의 타단부는 본체부(10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부(300)의 타단부가 본체부(10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덮개부(200)는 본체부(100)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반면, 스토퍼부(300)의 타단부는 덮개부(200)가 본체부(100)를 개방한 상태에서 본체부(10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부(300)의 타단부가 본체부(100)에 결합되어 고정되면 스토퍼부(300)는 덮개부(200)가 본체부(100)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에서 스토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더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스토퍼부(300)는 지지바(320) 및 고정돌기(330)를 가질 수 있다.
지지바(32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바(320)는 일단부가 제2회전축(3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방향(D1)을 따라 이격 구비될 수 있다.
고정돌기(330)는 지지바(320)의 타단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측벽(130)은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홀(131)을 가질 수 있으며, 고정돌기(330)는 고정홀(131)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돌기(330)가 고정홀(131)에 삽입되면 덮개부(200)는 본체부(100)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이 구속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홀(131)은 제2방향(D2)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바(320) 및 고정홀(131)의 결합에 따라 덮개부(200)의 각도는 조절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의 덮개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바(300a)의 고정돌기(330)가 제2회전축(310)과 가장 근접한 고정홀(131a)에 삽입되는 경우, 덮개부(200a) 및 본체부(100)가 이루는 각도는 가장 클 수 있다. 그리고, 제2회전축(310)으로부터 멀어지는 고정홀(131b,131c,3131d)에 지지바(300b,300c,300d)가 결합될수록 해당 덮개부(200b,200c,200d)가 본체부(100)와 이루는 각도는 작아질 수 있다. 즉, 고정돌기(330)가 어느 고정홀에 결합되는 지에 따라 덮개부(200)와 본체부(100)가 이루는 각도는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측벽(130)은 제1안착홈(132)을 가질 수 있다. 제1안착홈(132)은 제2측벽(130)의 상부에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홀(131)은 제1안착홈(132)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200)가 회전하여 본체부(100)를 닫을 시에 지지바(320)의 하부는 제1안착홈(132)에 안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안착홈(132)은 지지바(320)의 길이 이상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부(200)는 제2안착홈(220)을 가질 수 있다. 제2안착홈(220)은 덮개부(200)의 하면(202)에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덮개부(200)가 회전하여 본체부(100)를 닫을 시에 지지바(320)의 상부는 제2안착홈(220)에 안착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에서 덮개부의 하면을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더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지지바(320)의 타단부 일면에는 걸림홈(34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부(200)는 지지바(320)가 제2안착홈(220)에 안착 시에 걸림홈(340)에 삽입되는 걸림돌기(230)를 가질 수 있다.
걸림돌기(230)는 제2안착홈(220)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230)는 양측의 일부가 절개부(232)에 의해 절개된 탄성편(231)에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200)가 본체부(100)를 닫을 때, 지지바(320)의 하부는 제1안착홈(132)에 안착되고, 동시에 지지바(320)의 상부는 제2안착홈(220)에 안착된다. 이때, 지지바(320)에 의해 걸림돌기(230)가 눌리면 탄성편(231)이 탄성 변형하게 되고, 걸림돌기(230)는 지지바(320)의 측면을 타고 넘어가면서 걸림홈(340)에 삽입될 수 있다. 탄성편(231)은 양측이 절개부(232)에 의해 부분적으로 절개된 상태이기 때문에, 지지바(320)에 의해 걸림돌기(230)가 눌릴 때는 외측으로 변형되지만, 걸림돌기(230)가 걸림홈(340)에 위치되면 탄성 복원되면서 걸림돌기(230)가 걸림홈(340)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스토퍼부(300)는 제1방향(D1)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지지바(320)를 연결하는 보강바(350)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덮개부(200)는 하면(202)에 함몰 형성되는 제3안착홈(240)을 가질 수 있다. 덮개부(200)가 회전하여 본체부(100)를 닫을 때, 보강바(350)는 제3안착홈(240)에 안착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에서 받침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부(400)는 제1방향(D1)으로 구비되는 제3회전축(410)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400)는 제3회전축(410)에 의해 일단부가 덮개부(200)의 상면(20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덮개부(200)가 회전되어 본체부(100)를 개방하고 스토퍼부(3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받침부(400)가 덮개부(200)의 외측으로 회전되면, 받침부(400)는 덮개부(200)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를 지지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이 높은 위치에서 경사를 가지면서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덮개부(200)의 상면(201)에는 설치홈(206)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받침부(400)는 설치홈(206)에 구비될 수 있다. 받침부(400)가 닫히면 받침부(400)는 덮개부(200)의 상면(201)과 동일한 높이를 이룰 수 있다(도 1 참조).
설치홈(206)에는 로크홈(207)이 형성될 수 있고, 받침부(400)에는 로크홈(207)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크돌기(420)가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400)가 닫히게 되면, 로크돌기(420)는 로크홈(207)에 결합되어 받침부(400)의 의도되지 않은 열림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에 소형물품 수용부가 결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소형물품 수용부가 결합된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은 소형물품 수용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형물품 수용부(500)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소형물품을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소형물품은 연필, 볼펜과 같은 필기구 및 지우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측벽(120)의 내주면에는 동일한 높이로 단차 형성되는 제1단차부(12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소형물품 수용부(500)는 제1방향(D1)의 양단부(501)가 제1단차부(125)에 거치될 수 있다.
더하여, 제2측벽(130)의 내주면에는 제1단차부(125)와 연속되는 제2단차부(135)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소형물품 수용부(500)의 측부(502)는 제2단차부(135)에 더 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부(200)는 하면(202)에 가압부(250)를 가질 수 있다.
덮개부(200)가 회전하여 본체부(100)를 닫을 시에, 가압부(250)는 소형물품 수용부(500)의 상부에 밀착되어 소형물품 수용부(500)의 상부를 덮음과 동시에 소형물품 수용부(500)를 제1단차부(125)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본체부 131: 고정홀
132: 제1안착홈 200: 덮개부
220: 제2안착홈 230: 걸림돌기
231: 탄성편 232: 절개부
240: 제3안착홈 250: 가압부
300: 스토퍼부 320: 지지바
330: 고정돌기 340: 걸림홈
350: 보강바 400: 받침부
500: 소형물품 수용부

Claims (9)

  1.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과 연결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측벽과, 상기 바닥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측벽과, 상기 바닥면, 상기 제1측벽 및 상기 제2측벽에 의해 형성되어 물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제1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회전축에 의해 상기 제1측벽 중 어느 하나의 제1측벽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를 개폐하는 덮개부;
    상기 제1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회전축에 의해 일단부는 상기 덮개부의 하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면 상기 본체부를 개방한 상기 덮개부가 상기 본체부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스토퍼부; 그리고
    상기 제1방향으로 구비되는 제3회전축에 의해 일단부가 상기 덮개부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일단부가 상기 제2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이격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타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가지고, 상기 제2측벽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홀을 가지며,
    상기 제2측벽은 상기 덮개부가 회전하여 상기 본체부를 닫을 시에 상기 지지바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상부에 함몰 형성되는 제1안착홈을 가지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부가 회전하여 상기 본체부를 닫을 시에 상기 지지바의 상부가 안착되도록 하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2안착홈을 가지며,
    상기 지지바의 일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지지바가 상기 제2안착홈에 안착 시에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가지며,
    상기 걸림돌기는 양측의 일부가 절개부에 의해 절개된 탄성편에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가 상기 본체부를 개방하고 상기 스토퍼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덮개부의 외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덮개부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 및 상기 고정홀의 결합에 따라 상기 덮개부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은 상기 제1안착홈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방향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지지바를 연결하는 보강바를 가지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부가 회전하여 상기 본체부를 닫을 시에 상기 보강바가 안착되도록 하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3안착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 거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소형물품을 수용하는 소형물품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형물품 수용부는 상기 제1측벽의 내주면에 동일한 높이로 단차 형성되는 제1단차부 및 상기 제2측벽의 내주면에 상기 제1단차부와 연속되도록 형성되는 제2단차부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
KR1020190134696A 2019-10-28 2019-10-28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 KR102169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696A KR102169936B1 (ko) 2019-10-28 2019-10-28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696A KR102169936B1 (ko) 2019-10-28 2019-10-28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936B1 true KR102169936B1 (ko) 2020-10-27

Family

ID=73136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696A KR102169936B1 (ko) 2019-10-28 2019-10-28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9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193B1 (ko) * 2020-11-26 2021-06-17 남우진 스마트폰 케이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016Y1 (ko) * 2004-08-02 2004-12-03 나상훈 파일케이스 겸용 독서대
KR20050107289A (ko) 2004-05-07 2005-11-11 목봉현 노트북컴퓨터용 가방
KR101325615B1 (ko) * 2012-05-10 2013-11-06 최창규 틸팅기능을 갖는 책상상판
KR20170033040A (ko) * 2015-09-16 2017-03-24 정용국 노트북 받침 기능을 갖는 다기능 노트북 수납가방
KR20180014960A (ko) * 2016-08-02 2018-02-12 용인송담대학교 산학협력단 노트북 가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289A (ko) 2004-05-07 2005-11-11 목봉현 노트북컴퓨터용 가방
KR200369016Y1 (ko) * 2004-08-02 2004-12-03 나상훈 파일케이스 겸용 독서대
KR101325615B1 (ko) * 2012-05-10 2013-11-06 최창규 틸팅기능을 갖는 책상상판
KR20170033040A (ko) * 2015-09-16 2017-03-24 정용국 노트북 받침 기능을 갖는 다기능 노트북 수납가방
KR20180014960A (ko) * 2016-08-02 2018-02-12 용인송담대학교 산학협력단 노트북 가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193B1 (ko) * 2020-11-26 2021-06-17 남우진 스마트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2233B1 (en) Portable stand for a laptop computer
KR102223569B1 (ko) 안정화 장치
KR100302694B1 (ko) 정보처리기기
US20090179124A1 (en) Computer and document stand
US20120212896A1 (en) Integrated computer case
AU2012258337A1 (en)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plate
KR102169936B1 (ko) 사용자 단말기 거치 겸용 서류함
CN112367880B (zh) 便携式阅读架
CN103838306B (zh) 电子装置
KR100914341B1 (ko) 컴퓨터용 기기받침대
US20230300232A1 (en) Mobile device accessory
US20100307385A1 (en) Portable Computer Table With Clear Reading and Writing Surface
KR200415288Y1 (ko) 키보드 수납 트레이
KR200445237Y1 (ko) 다기능 엘씨디 모니터 또는 노트북 컴퓨터 선반
KR101860556B1 (ko) 필통을 갖는 독서대
JP2021053952A (ja) ファイルボックス
KR200411129Y1 (ko) 컴퓨터용 키보드 받침대 어셈블리
JPH1124820A (ja) キーボード台
JP7448173B1 (ja) ラップトップコンピュータ用スタンドおよび鞄
KR102523071B1 (ko) 키보드 받침대
KR200269394Y1 (ko) 가방형컴퓨터
JPH09206118A (ja) 携帯情報機器用キャリングケース
KR200193680Y1 (ko) 모니터용 광고 수납대
JPH1117355A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収納装置
US20170205856A1 (en) Portable modular housing system for mounting and parallel use of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