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892B1 -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892B1
KR102169892B1 KR1020190004950A KR20190004950A KR102169892B1 KR 102169892 B1 KR102169892 B1 KR 102169892B1 KR 1020190004950 A KR1020190004950 A KR 1020190004950A KR 20190004950 A KR20190004950 A KR 20190004950A KR 102169892 B1 KR102169892 B1 KR 102169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rotation
hinge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8560A (ko
Inventor
조태호
Original Assignee
(주)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 filed Critical (주)삼우
Priority to KR1020190004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892B1/ko
Publication of KR20200088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Abstract

시공시 작업편의성이 향상되면서도 각 구성부품의 내구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제1중공이 형성된 제1하우징부 및 상기 제1하우징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제1베이스부가 구비된 제1경첩부와, 상기 제1중공과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회전공간을 형성하는 제2중공이 형성된 제2하우징부 및 상기 제2하우징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제2베이스부가 구비된 제2경첩부와, 상기 회전공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캠부를 포함하는 자동 회전복귀수단이 상호간 결합 및 준비되는 제1단계; 상기 제1베이스부가 도어 및 문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제2베이스부가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제2단계;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 중 어느 하나에 수용홈이 천공되되, 상기 수용홈이 상기 제1베이스부 및 상기 제2베이스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홀에 의해 가이드되며 형성되는 제3단계; 및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과 수직으로 배치되되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의 회전 복귀시 상기 제1베이스부와 상기 제2베이스부 사이로 돌출되는 전단부가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 중 어느 하나의 대향면에 가압되면서 유동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완충력을 제공하는 완충지지장치가 상기 수용홈에 끼움 고정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shock-absorbing hinge apparatus for hinged door}
본 발명은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시 작업편의성이 향상되면서도 각 구성부품의 내구성이 개선된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문은 경첩에 의해 도어와 문틀이 연결되며, 상기 경첩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도어의 타측이 상기 문틀의 타측과 이격되면서 개방된다.
여기서, 상기 경첩은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의 상호 인접한 위치에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지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이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호 벌어지거나 접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종래의 여닫이문은 사람이 드나들때 도어를 수동으로 여닫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때, 도어를 닫을 때 전달되는 외력이 약한 경우 도어가 실질적으로 닫히지 않아 적정 실내온도를 유지하지 못하며 소음 또는 오염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불편함이 있었다. 반면, 도어를 닫을 때 전달되는 외력이 강한 경우 도어와 문틀 사이에 손가락 등의 신체 일부가 끼여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개방된 도어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자동복귀수단이 구비된 경첩이 일부 개시되었다.
이러한 자동복귀수단이 구비된 경첩은 상기 도어와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고정캠 및 상기 고정캠과 치합되는 구동캠, 그리고 상기 구동캠을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캠 및 상기 구동캠의 상호 대향면측에는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고정캠 및 상기 구동캠은 대향면이 상호 밀착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일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구동캠에 형성된 경사면이 상기 고정캠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 회전 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캠이 상기 고정캠과 이격되며 상기 탄성수단은 압축된다.
이때, 상기 도어를 개방하던 외력이 제거되거나 타방향측으로 소정의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탄성수단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구동캠이 상기 고정캠측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캠 및 상기 고정캠이 상호 밀착된 상태로 회전 복귀되므로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복귀수단이 구비된 종래의 경첩은 도어의 잦은 개방 또는 외력 등에 의해 과도한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구동캠 및 상기 고정캠의 경사면이 마모 내지 파손된다. 이로 인해, 상기 구동캠 및 상기 고정캠이 정확하게 형합되지 않으며, 닫힘 방향으로의 회전반경이 변경됨으로 인해 상기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의 탄성복원력이 크게 설정된 경우 자동으로 회전 복귀되는 속도가 커짐으로 인해 신체 일부가 끼여 부상을 당하거나 큰 충격음이 발생하는 등 사용자의 불편함을 실질적으로 해소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자동복귀수단이 구비된 경첩은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이 실질적으로 없다. 이로 인해, 상기 도어에 별도의 스토퍼장치를 설치하거나 임시로 상기 도어를 지지하기 위한 중량물을 필요로 하므로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22786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공시 작업편의성이 향상되면서도 각 구성부품의 내구성이 개선된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중공이 형성된 제1하우징부 및 상기 제1하우징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제1베이스부가 구비된 제1경첩부와, 상기 제1중공과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회전공간을 형성하는 제2중공이 형성된 제2하우징부 및 상기 제2하우징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제2베이스부가 구비된 제2경첩부와, 상기 회전공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캠부를 포함하는 자동 회전복귀수단이 상호간 결합 및 준비되는 제1단계; 상기 제1베이스부가 도어 및 문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제2베이스부가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제2단계;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 중 어느 하나에 수용홈이 천공되되, 상기 수용홈이 상기 제1베이스부 및 상기 제2베이스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홀에 의해 가이드되며 형성되는 제3단계; 및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과 수직으로 배치되되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의 회전 복귀시 상기 제1베이스부와 상기 제2베이스부 사이로 돌출되는 전단부가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 중 어느 하나의 대향면에 가압되면서 유동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완충력을 제공하는 완충지지장치가 상기 수용홈에 끼움 고정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3단계는, 천공형성을 위해 구비되는 드릴장치가 상기 결합홀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 중 어느 하나를 천공시, 상기 드릴장치가 상기 결합홀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완충지지장치의 본체부 외주 전단부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부의 외주 및 상기 수용홈의 내주 사이의 상호간 끼움 고정력을 제공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끼움돌기가 상기 수용홈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본체부의 개구된 전단부 테두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걸림돌출부가 상기 결합홀의 테두리에 걸림 구속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별도의 접착수단 없이 완충지지장치의 본체부가 외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소 형성된 끼움돌기에 의해 도어 및 문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수용홈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끼움 고정되는 것만으로도 제품의 설치가 완료되므로 작업편의성 및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
둘째, 도어 및 문틀 중 어느 하나에 완충지지장치의 삽입을 위한 수용홈의 천공시 제1베이스부 및 제2베이스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홀에 의해 천공 방향이 가이드되어 정밀한 형상의 천공이 신속하게 형성되므로 작업편의성 및 제조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완충지지장치의 본체부 전단부 테두리에 경사지게 돌출된 걸림돌출부가 경첩부의 결합홀에 걸림 구속되어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완충지지장치의 단부와 도어의 모서리면 간의 충돌로 인한 과도한 가압 삽입에 따른 파손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완충지지장치의 실린더부가 후단부측 테두리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의해 본체부의 걸림장공에 걸림됨에 따라 가이드되며 전후방향 이동되되 도어의 닫힘시 실린더부 전단부의 과도한 돌출에 의한 걸림이 예방되므로 안정적인 댐핑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다섯째, 완충지지장치가 도어의 타방향 회전시 충격이 가해지는 방향과 대응하여 배치되므로 작동유체를 통한 완충력이 도어에 실질적으로 전달되어 더욱 부드럽게 닫힐 수 있으며, 회전속도 감쇄를 통해 자동 회전복귀수단이 과도하게 마찰됨이 방지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사용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가 도어가 일방향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가 도어가 타방향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를 후단부로부터 바라본 후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제1캠부와 제2캠부의 일부분이 투영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사용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예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가 도어가 일방향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가 도어가 타방향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를 후단부로부터 바라본 후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제1캠부와 제2캠부의 일부분이 투영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300)는 제1경첩부(310), 제2경첩부(340), 자동 회전복귀수단(320) 및 완충지지장치(38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경첩부(310)는 제1하우징부(311) 및 제1베이스부(31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제1하우징부(311)에는 단면형상이 원형인 제1중공(311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베이스부(312)는 상기 제1하우징부(31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된다. 이때, 상기 제1베이스부(312)는 도어(d) 및 문틀(f) 중 어느 하나에 결합 또는 고정되는 판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경첩부(340)는 제2하우징부(341) 및 제2베이스부(34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제2하우징부(341)에는 상기 제1중공(311a)과 연통되도록 단면형상이 원형인 제2중공(341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베이스부(342)는 상기 제2하우징부(34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된다. 이때, 상기 제2베이스부(342)는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다른 하나에 결합 또는 고정되는 판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경첩부(310)와 상기 제2경첩부(340)는 상기 제1중공(311a) 및 상기 제2중공(341a)이 길이방향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되면서 회전공간(A)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공간(A)에 구비되는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을 중심으로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가 상호 인접 또는 이격되도록 힌지 회전된다. 이를 통해, 상기 도어(d)가 상기 문틀(f)의 일측 모서리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회전 조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중공(311a)의 하단부 및 이와 이웃하는 상기 제2중공(341a)의 상단부는 상호 연통되도록 개구되되, 상기 제1중공(311a)의 상단부 및 상기 제2중공(341a)의 하단부는 밀폐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면에서와 같이 착탈 가능한 별도의 밀폐캡(313,243)을 이용하여 상기 제1중공(311a)의 상단부 및 상기 제2중공(341a)의 하단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을 상기 회전공간(A)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조립 및 교체할 수 있어 생산성 및 유지보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캡(313,243)을 결합시키면 상기 회전공간(A)측으로 이물질의 투입이 방지되므로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의 구동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경첩부(310)가 상기 도어(d)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제2경첩부(340)가 상기 제1경첩부(310)의 길이방향 하단부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되 상기 문틀(f)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일방향(R)이라 함은 상기 도어(d)가 열리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타방향(CR)이라 함은 상기 도어(d)가 닫히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은 상기 회전공간(A)에 배치되며, 제1캠부(330), 제2캠부(350) 및 제1탄성수단(321)을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캠부(330)는 상기 회전공간(A)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며, 제1몸통부(331) 및 구동접촉부(332)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캠부(33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함은, 상기 제1캠부(330)가 상기 회전공간(A) 내에서 회전축을 기준으로 자전됨이 구속된 상태로 승강 이동만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제1경첩부(310)가 상기 도어(d)에 결합 또는 고정된 경우 상기 제1캠부(330)가 단독으로 상기 회전공간(A) 내측에서 자전되지 않고 상기 제1경첩부(310)와 연동 회전되되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또는, 상기 제1경첩부(310)가 상기 문틀(f)에 결합된 경우 상기 제1캠부(330)는 상기 회전공간(A)의 내측에서 자전되지 않고 길이방향으로만 이동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회전공간(A)의 일측을 상기 제1중공(311a)의 내측으로써 설명 및 도시한다.
상세히, 상기 제1캠부(330)는 상기 제1중공(311a)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하우징부(311)의 내주직경, 즉 상기 제1중공(311a)의 단면형상과 대응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캠부(330)에는 상기 제1몸통부(331)측의 타단부측으로 돌설되는 상기 구동접촉부(332)가 포함되되, 상기 구동접촉부(332)의 일방향(R)측에는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제1경사면(332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캠부(350)는 상기 회전공간(A)의 타측에 구비되며, 제2몸통부(351) 및 회전구동부(352)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회전공간(A)의 타측을 상기 제1중공(311a) 및 상기 제2중공(341a)이 연통되는 연결부분으로써 설명 및 도시한다.
상세히, 상기 제2몸통부(351)는 상기 제2중공(341a)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2하우징부(341)와 상기 제2몸통부(351)를 동시에 관통하는 결합부재(355)에 의해 상기 제2경첩부(34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몸통부(351)의 외주 및 상기 제2중공(341a)의 내주 사이의 대향면에는 각각 고정돌기(341b) 및 고정홈(35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캠부(350)가 상기 제2경첩부(34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캠부(330)와 연동 회전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동부(352)는 상기 제2몸통부(351)의 일단부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1중공(311a)의 하단부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구동부(352)에는 상기 제1경사면(332b)과 슬라이드 회전 접촉되는 제2경사면(352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경사면(332b)과 상기 제2경사면(352b)은 상호 대면 접촉되되, 외력에 의해 상기 도어(d)가 일방향(R) 회전되면 상기 제1경사면(332b)이 상기 제2경사면(352b)을 따라 슬라이드 접촉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1캠부(330)는 상기 제1중공(311a)의 내측에서 실질적으로 자전이 구속된 상태로 배치되므로 상기 제1하우징부(311)와 함께 연동 회전되되 상기 회전공간(A) 내부에서는 일측 및 타측으로만 이동된다.
이는 상기 제1캠부(330)가 상기 도어(d)의 회전시 실질적으로 연동 회전되지만, 상기 제1중공(311a)의 내측에서는 길이방향으로만 이동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도어(d)의 일방향(R) 회전시 상기 제2경사면(352b)에 상기 제1경사면(332b)이 슬라이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1캠부(330)가 상기 회전공간(A)의 일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몸통부(331)의 타단측과 상기 제2몸통부(351)의 일단측 사이가 이격되면서 상기 회전공간(A)에 구비되는 제1탄성수단(321)이 압축된다.
여기서, 상기 제1탄성수단(321)은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캠부(330)와 상기 제1중공(311a)의 폐쇄된 일측 사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공간(A)의 일측으로 승강 이동되는 상기 제1캠부(330)와 상기 제1중공(311a)의 상단부 사이에서 상기 제1탄성수단(321)이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d)를 일방향(R)으로 회전시키던 외력이 제거되거나 타방향(CR)측으로 소정의 외력이 가해지면, 압축되었던 상기 제1탄성수단(321)의 탄발복원력이 상기 제1캠부(330)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캠부(330)가 상기 회전공간(A)으로 타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1경사면(332b)이 상기 제2경사면(352b)을 따라 타방향(CR)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자동으로 회전 복귀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즉, 각 캠부(330,350)에 형성된 각 경사면(332b,252b)이 상호 슬라이드 가압됨을 통해 상기 제1캠부(330)가 회전축방향으로 승강 이동되며, 이때 압축되는 상기 제1탄성수단(321)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자동으로 회전 복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도어(d)를 타방향(CR)으로 최소한의 힘으로 조작하더라도 기설정된 회전각도 범위 내에서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동되므로 여닫이문의 사용시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캠부(330)의 외주면과 상기 제1중공(311a)의 내주면 사이의 상호 대향되는 일면에는 회전방지돌기(331b)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타면에는 상기 회전방지돌기(331b)가 삽입 및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회전방지홈(311b)이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캠부(330)가 상기 회전공간(A)의 내측에서 헛돌지 않고 길이방향으로만 승강 이동되면서 상기 제1탄성수단(321)을 압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경사면(332b)과 상기 제2경사면(352b)이 상호 슬라이드 가압되도록 제공되는 상기 제1탄성수단(321)의 가압력, 즉 탄발복원력이 정확하게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이 용이하게 자동으로 회전 복귀되므로 제품의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캠부(330)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컷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중공(311a)의 내주에는 상기 디컷부와 대응하는 평면부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도4a 내지 도 5a,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경사면(352b)은 상기 제2캠부(350)의 일단부에 상호 단차지게 형성되는 클로즈면(352a) 및 오픈면(352c) 사이에 일방향(R)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경사면(352b)은 상기 구동접촉부(332)의 일방향(R)측에 형성된 상기 제1경사면(332b)과 대응하는 경사각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클로즈면(352a)은 상기 회전구동부(352)의 일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수평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픈면(352c)은 상기 클로즈면(352a)으로부터 일측으로 단차지게 돌출되는 단차부(352d)의 상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수평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접촉부(332)는, 상기 도어(d)의 닫힘 상태에서 단부가 상기 클로즈면(352a)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도어(d)의 일방향(R) 회전시 상기 제2경사면(352b)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 후 상기 오픈면(352c)에 접촉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탄성수단(321)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캠부(330)에는 타단측으로의 가압력이 전달되므로, 상기 구동접촉부(332)의 단부가 상기 오픈면(352c)에 밀착된 상태에서 마찰 정지 및 가압 구속된다. 이를 통해,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기 전까지 상기 도어(d)의 열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d)가 열린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스토퍼 또는 지지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도어(d)를 조작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도어(d) 주변에 돌출된 스토퍼 부재에 사용자가 걸려 넘어지는 등의 불편함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접촉부(332)가 상기 오픈면(352c)에 마찰 정지되어 회전이 제한되므로 상기 도어(d)가 일방향(R)으로 과도하게 열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의 파손 및 오작동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사용수명이 현저히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자동으로 닫힘 조작되도록 구성되는 캠부재에 일방향으로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지 못하여 오작동 및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즉, 상호 치합되도록 돌출되는 캠돌기가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면서 어긋나게 걸림됨으로 인하여 닫힘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회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일부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조를 개시한다.
상세히, 상기 제2캠부(350)의 일방향(R)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오픈면(352c)의 일방향(R)측 단부에는 상기 제1경사면(332b)이 접촉되도록 단차지는 제한돌기(352e)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구동부(352)는 상기 클로즈면(352a), 상기 오픈면(352c) 및 상기 제한돌기(352e)의 단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일측을 향하여 다단 단차진 계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a의 좌측에 도시된 확대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상기 클로즈면(352a), 상기 오픈면(352c) 및 상기 제한돌기(352e)의 상면이 각각 단차진 형상을 표시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도어(d)가 일방향(R) 회전시 상기 구동접촉부(332)가 상기 클로즈면(352a)으로부터 상기 제2경사면(352b)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 후 상기 오픈면(352c)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접촉부(332)의 단부가 상기 오픈면(352c)의 일방향(R)측 단부에 일측으로 돌설된 상기 제한돌기(352e)에 걸림 구속됨에 따라 일방향(R)측으로의 과도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접촉부(332)는, 상기 오픈면(352c)에 배치된 상태에서 밀착면 간의 마찰력, 상기 제1탄성수단(321)의 가압력 및 상기 제한돌기(352e)에 걸림 구속됨을 통해 일방향(R)으로의 회전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d)의 회전각도가 기설정된 회전각도 범위 내로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d)가 기설정된 회전각도 이상으로 회전됨으로 인하여 상기 구동접촉부(332)가 후술되는 제2스토퍼돌기(354) 및 상기 제2경사면(352b) 사이로 낙하/걸림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300)의 구동안정성 및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접촉부(332)의 타방향(CR)측에는 단부를 향하여 타방향(CR)으로 나선 돌출되는 제1스토퍼돌기(33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캠부(350)에는 상기 제1스토퍼돌기(334)에 걸림 구속되는 상기 제2스토퍼돌기(354)가 일방향(R)으로 나선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도어(d)를 일방향(R)으로 회전시키던 외력이 제거되거나 타방향(CR)측으로 소정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탄성수단(321)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캠부(330)가 상기 회전공간(A)의 타측으로 가압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공간(A)의 타측으로 상기 구동접촉부(332)가 하강되면서 상기 제1경사면(332b) 및 상기 제2경사면(352b)이 상호 슬라이드 접촉된다.
이때, 상기 제1캠부(330)는 상기 회전방지돌기(331b) 및 상기 회전방지홈(311b)을 통해 상기 제1경첩부(310)와 실질적으로 연동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경사면(332b)이 상기 제2경사면(352b)을 따라 경사지게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제1캠부(33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실질적으로 상기 제1경첩부(310)에 전달되면서 회전 복귀되며, 상기 도어(d)가 닫힌다.
그리고, 상기 도어(d)의 타방향(CR) 회전시, 상기 제1스토퍼돌기(334) 및 상기 제2스토퍼돌기(354)는 상호 인접해지되, 각 스토퍼돌기(334,354)의 상호 마주보는 구속면(334b,354b)에 삽입되면서 타방향(CR)으로의 회전이 구속된다.
이때, 각 상기 구속면(334b,354b)은 각 상기 스토퍼돌기(334,354)의 돌출된 외면과 대응하는 프로파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의 회전 복귀시 상기 제1스토퍼돌기(334) 및 상기 제2스토퍼돌기(354)가 각 상기 구속면(334b,354b)의 내측에 정확하게 형합 대응된다. 이를 통해, 상기 도어(d)를 반복적으로 개폐하더라도 각 부품의 마모 내지 파손이 최소화되며, 회전각도가 정밀하게 구속되므로 제품의 구동신뢰성 및 구동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접촉부(332)의 단부가 상기 제2경사면(352b)의 단차진 상측, 즉 상기 오픈면(352c)에 위치되도록 일방향(R) 회전시 상기 제1스토퍼돌기(334) 및 상기 제2스토퍼돌기(354)의 단부가 상호 중첩 대면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스토퍼돌기(354)가 상기 클로즈면(352a)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된 수직간격은 상기 제2경사면(352b)의 하단측 및 상단측 사이의 수직간격, 즉 상기 클로즈면(352a)과 상기 오픈면(352c) 사이의 수직간격을 초과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제2스토퍼돌기(354)의 돌출된 단부는 상기 제한돌기(352e)의 돌출된 단부와 대응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동접촉부(332)가 상기 오픈면(352c)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스토퍼돌기(334) 및 상기 제2스토퍼돌기(354)의 각 단부는 상호 중첩 대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d)가 타방향(CR)으로 회전시 상기 제1스토퍼돌기(334)와 상기 제2스토퍼돌기(354)가 상호 인접해지되, 각 단부가 맞물리면서 상호간의 구속면(334b,354b)을 따라 안정적으로 형합 구속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이 타방향(CR)측으로 과도하게 회전됨을 방지하므로 제품의 마모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품의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경첩부(310) 및 상기 제2경첩부(340) 사이, 그리고 상기 제2캠부(350) 및 상기 제1중공(311a)의 하단부 사이에는 각각 마모방지링(371,372)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의 힌지 회전시 반복적으로 마찰되는 부분에 별도의 마모방지링(371,372)을 배치함에 따라 각 캠부(330,350)의 마모로 인한 유격이 발생함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수명이 현저히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완충지지장치(380)는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본체부(381), 실린더부(382), 로드부(383) 및 제2탄성수단(384)을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완충지지장치(380)는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과 수직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어(d)의 타방향(CR) 회전시 충격이 가해지는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완충지지장치(380)는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의 회전 복귀시 상기 제1베이스부(312)와 상기 제2베이스부(342) 사이로 돌출되는 전단부가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어느 하나의 대향면에 가압되면서 유동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완충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본체부(381)가 걸림 구속되도록 결합홀(342a)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상기 결합홀(342a)의 위치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에는 수용홈(fa)이 별도의 드릴장치 등에 의해 천공되어 함몰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fa)은 상기 결합홀(342a)에 의해 가이드되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완충지지장치(380)가 상기 제2베이스부(342)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문틀(f)에는 상기 완충지지장치(380)가 내삽되는 상기 수용홈(f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완충지지장치(380)는 상기 제1베이스부(312)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수용홈은 상기 도어(d)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완충지지장치(380)가 상기 제2베이스부(342)에 결합되고, 상기 문틀(f)에 상기 수용홈(fa)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 및 도시한다.
한편, 상기 본체부(381)는 원기둥 형상 등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2베이스부(342)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홀(342a)과 대응하는 외주직경으로 형성되며, 전단부측이 개구되는 내부에 이동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부(381)의 전단부측은 상기 결합홀(342a)에 걸림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381)의 개구된 전단부 테두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결합홀(342a)의 테두리에 걸림 구속됨에 따라 상기 결합홀(342a)에 실질적으로 형합되는 걸림돌출부(381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출부(381a)는 상기 본체부(381)의 개구된 전단부 테두리로부터 전후방향의 기설정된 두께로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돌출부(381a)는 상기 본체부(381)의 전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경사지게 확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림돌출부(381a)의 단부가 상기 본체부(381)의 전단부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경사면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합홀(342a)의 테두리 직경은 상기 걸림돌출부(381a)의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본체부(381)의 전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경사지게 확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합홀(342a)의 내주가 상기 본체부(381)의 전단부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경사면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381)가 상기 결합홀(342a)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측으로 삽입시, 상기 걸림돌출부(381a) 및 상기 결합홀(342a) 테두리의 각 경사면이 상호간 밀착되며 상기 본체부(381)가 걸림 구속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걸림돌출부(381a)가 상기 결합홀(342a)에 삽입되어 완전 걸림되면 상기 걸림돌출부(381a)와, 상기 결합홀(342a)이 형성된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 중 어느 하나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도어(d)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완충지지장치(380)의 단부측이 상기 도어(d)의 모서리면(da)에 충돌함으로 인하여 상기 수용홈(fa)측으로 과도하게 가압 삽입됨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완충지지장치(380)의 상기 본체부(381) 전단부 테두리에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걸림돌출부(381a))가 상기 결합홀(342a)에 걸림 구속되어 상기 도어(d)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완충지지장치(380)의 단부와 상기 도어(d)의 모서리면 간의 충돌로 인한 과도한 가압 삽입에 따른 상기 완충지지장치(380)의 파손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본체부(381)의 상기 걸림돌출부(381a)와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 중 어느 하나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되므로 심미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 중 어느 하나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d)의 닫힘시 상기 본체부(381)의 전단부측 노출부 및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 중 어느 하나와 대향되는 상기 도어(d)가 상호간 밀착되므로 제품의 설치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즉, 댐핑장치의 전단부가 경첩으로부터 돌출되던 종래와 달리 상기 걸림돌출부(381a)와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 중 어느 하나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되는 차이점이 존재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381)의 외주 전단부측에는 상기 걸림돌출부(381a)의 후측부로부터 후측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돌기(381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끼움돌기(381b)는 상기 본체부(381)의 외주 및 상기 수용홈(fa)의 내주 사이의 상호간 끼움 고정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원주 길이가 테이퍼지게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돌기(381b)는 상기 본체부(381)가 상기 수용홈(fa)에 삽입시 가압력이 증가되도록 상기 본체부(381)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로 갈수록 반경방향 길이가 경사지게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단부측에 외주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끼움돌기(381b)가 형성된 상기 본체부(381)가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수용홈(fa)에 용이하게 끼움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끼움돌기(381b)에 의해 상기 수용홈(fa)에 삽입된 상기 본체부(381)의 회전이 예방되어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접착수단 없이 상기 완충지지장치(380)의 상기 본체부(381)가 상기 끼움돌기(381b)에 의해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수용홈(fa)에 간편하게 끼움 고정되므로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결합력이 개선되도록 상기 본체부(381)의 외주 및 상기 수용홈(fa)의 내주 사이에 별도의 접착수단이 도포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381) 내주의 상기 이동공간에는 후술되는 걸림돌기(382a)의 초기 삽입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전후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381d)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이동공간의 개구된 전단부측 테두리는 상기 실린더부(382)가 용이하게 삽입되며 마찰이 저감되도록 상기 본체부(381)의 전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테이퍼지게 확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381)의 후단부는 상기 수용홈(fa)에 끼움 고정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본체부(381)의 전후방향 길이 및 상기 수용홈(fa)의 함몰 깊이가 상호간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381)의 후단부에는 캡부재(386)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본체부(381)는 후단부 역시 개구되되 별도의 캡부재(386)에 의해 커버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내부에 배치되는 각 구성부품의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하므로 생산성 및 유지보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381)의 외주 후측부에는 장방형으로 상기 본체부(381)의 전후방향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장공(381c)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걸림장공(381c) 및 걸림돌기(382a)가 각각 한쌍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 및 도시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장공(381c)은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381)의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림장공(381c)은 상기 본체부(381)의 전후방향을 따라 제1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부(381)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2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길이가 상기 제2길이를 초과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실린더부(382)는 원기둥 형상 등으로 구비되되 상기 본체부(381)의 개구된 전단부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본체부(381)의 내주와 대응하는 외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부(382)의 후단부측 테두리에는 상기 걸림장공(381c)에 걸림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걸림돌기(382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382a)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장공(381c)의 상기 제2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구비되되,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제1길이 미만의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부(382)의 전단부가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어느 하나의 대향면에 가압되는 경우 상기 걸림돌기(382a)가 상기 걸림장공(381a)의 후단부로 이동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실린더부(382) 전단부의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2탄성수단(384)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382)가 탄성복원되며 전방으로 이동되되 상기 걸림돌기(382a)가 상기 걸림장공(381a)의 전단부에 걸림됨에 따라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부(382)가 상기 걸림돌기(382a)에 의해 상기 걸림장공(381a)에 걸림됨에 따라 가이드되며 전후방향 이동되되 상기 도어(d)의 닫힘시 상기 실린더부(382) 전단부의 과도한 돌출에 의한 걸림이 예방되므로 안정적인 댐핑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382)의 내부에는 작동유체가 충진되며 후단부측에 삽입공(382c)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부(382)의 외주직경은 상기 본체부(381)의 내주직경에 대응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실린더부(382)가 상기 이동공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 마찰에 의한 마모가 최소화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부(382)가 상기 본체부(38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작동유체가 문틀(f)의 외측으로 유출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382)의 전단부에는 완충헤드부(382b)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완충지지장치(380)의 전단부측과 대향면인 상기 도어(d)의 모서리면(da)이 상기 실린더부(382)와 충돌되더라도 상기 완충지지장치(380)로 전달되는 충격이 최소화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부(383)는 후단부가 상기 본체부(381)의 내측 후단부에 고정되되, 전단부가 상기 삽입공(382c)을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부(382)의 내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로드부(383)의 전단부에는 피스톤부(385)가 구비되되, 상기 피스톤부(385)는 상기 실린더부(382)의 내주와 대응하는 외주를 따라 유체이동홈(미도시)이 적어도 하나 이상 전후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2탄성수단(384)은 상기 본체부(381)의 내측 후단부 및 상기 실린더부(382)의 외측 후단부 사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탄성수단(384)은 상기 실린더부(382)의 전단부가 상기 본체부(381)의 개구된 전단부 전측으로 돌출되도록 탄발복원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부(382)의 전단부는 상기 제2탄성수단(384)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 사이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d)가 타방향(CR)으로 회전시 상기 실린더부(382)가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어느 하나의 대향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d)의 모서리면(da)에 충돌되면서 후단부측으로 가압된다.
한편, 상기 도어(d)의 열림 상태에서 상기 도어(d)와 상기 문틀(f)의 상호 대향측 모서리는 상호 이격되며, 상기 제2탄성수단(384)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382)의 전단부측이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 사이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부(385)는 상기 실린더부(382)의 내측 후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유체는 상기 피스톤부(385)의 좌측, 즉 상기 실린더부(382)의 전단부측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도어(d)가 타방향(CR)으로 회전시 상기 도어(d)의 모서리측이 상기 문틀(f)측으로 인접해지면서 돌출된 상기 실린더부(382)를 후단부측으로 가압한다. 이때, 상기 실린더부(382)가 후단부측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피스톤부(385)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상기 실린더부(382)의 내측 전단부로 변경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유체는 비압축성 유체이므로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유체이동홈(미도시)을 통해 상기 실린더부(382)의 우측, 즉 상기 실린더부(382)의 후단부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유체이동홈(미도시)을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난류저항(속도의 제곱에 비례하는 저항)을 통해 상기 도어(d)의 충격시 속도 변화가 감쇄되므로,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의 급격한 회전 복귀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d)에 타방향(CR)측으로 과도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충격으로 인한 상기 도어(d) 또는 상기 완충힌지장치(3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d)가 급격하게 닫히면서 사용자의 손가락 등 신체 일부가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d)가 다시 열림 조작되면, 상기 제2탄성수단(384)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382)의 전단부가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 사이로 돌출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도어(d)를 반복적으로 여닫더라도 상기 완충지지장치(380)가 항시 상기 도어(d)의 닫힘시 회전 속도 및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탄성수단(321)의 탄발복원력이 상기 제2탄성수단(384)의 탄발복원력보다 크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탄성수단(321)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상기 제1캠부(330)가 가압되면서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이 회전 복귀되는 힘이 상기 제2탄성수단(384)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상기 실린더부(382)가 돌출되는 힘보다 크게 작용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2탄성수단(384)의 탄발복원력이 상기 실린더부(382)를 전단부측으로 가압하는 힘이 항시 작용되더라도 상기 제1탄성수단(321)의 탄발복원력을 통한 상기 도어(d)의 자동 닫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경첩부(310)가 상기 도어(d)에 결합되고 상기 제2경첩부(340)가 상기 문틀(f)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1경첩부(310)가 상기 문틀(f)에 결합되고 상기 제2경첩부(340)가 상기 도어(d)에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경첩부(340)가 상기 도어(d)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캠부(350)가 상기 도어(d)와 연동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캠부(330)는 상기 제1중공(311a)의 내측에서 상기 회전공간(A)의 길이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완충지지장치(380) 역시 상기 도어(d)에 결합되는 경첩부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300)는 상기 회전공간(A) 내에서 캠구동되는 상기 제1캠부(330) 및 상기 제2캠부(350)가 기설정된 회전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제1탄성수단(321)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회전 복귀된다.
따라서, 본 제품이 결합된 상기 도어(d)가 자동으로 닫히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면서도, 함께 구비되는 상기 완충지지장치(380)를 통해 상기 도어(d)의 회전속도를 감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도어(d)가 닫힐 때 충격에 의해 발생하던 소음이 최소화되면서도 손가락 끼임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캠부(350)에 형성된 상기 오픈면(352c)의 일방향 단부에 상기 제한돌기(352e)가 돌설됨에 따라 상기 제1캠부(330)가 기설정된 회전각도 이상으로 회전됨을 구속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캠부(330)의 타단부에 돌설된 상기 구동접촉부(332)가 상기 제2캠부(350)의 상기 제2경사면(352b) 및 상기 제2스토퍼돌기(354) 사이로 오삽입됨을 방지하여 제품의 고장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완충지지장치(380)는 상기 도어(d)의 타방향 회전시 충격이 가해지는 방향과 대응하여 배치되므로 상기 작동유체를 통한 완충력이 상기 도어(d)에 실질적으로 전달된다. 이를 통해, 상기 도어(d)가 더욱 부드럽게 닫힐 수 있으며,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이 과도하게 마찰됨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시공방법은 상기 제1경첩부(310), 상기 제2경첩부(340),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이 상호간 결합 및 준비(s10), 상기 제1경첩부(310)의 상기 제1베이스부(312)가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어느 하나에 결합 및 상기 제2경첩부(340)의 상기 제2베이스부(342)가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다른 하나에 결합(s20),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수용홈(fa) 천공(s30), 상기 완충지지장치(380)가 상기 수용홈(fa)에 끼움 고정(s40)의 일련의 단계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제1경첩부(310)와, 상기 제2경첩부(340)와,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이 상호간 결합 및 준비된다(s10). 이때, 상기 제1경첩부(310)에는 상기 제1중공(311a)이 형성된 제1하우징부(311) 및 상기 제1하우징부(31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상기 제1베이스부(31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경첩부(340)에는 상기 제1중공(311a)과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상기 회전공간(A)을 형성하는 상기 제2중공(341a)이 형성된 상기 제2하우징부(341) 및 상기 제2하우징부(34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상기 제2베이스부(34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은 상기 회전공간(A)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며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상기 제1경사면(332b)이 형성된 상기 구동접촉부(332)를 포함하는 상기 제1캠부(330) 및 상기 회전공간(A)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d)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경사면(332b)과 슬라이드 회전 접촉되는 상기 제2캠부(350)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공간(A)에 구비되는 상기 제1탄성수단(321)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캠부(330)가 가압되면서 회전 복귀되도록 구동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각 캠부(330,3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각 캠부(330,350)가 하나로 구비되어 상기 제1경첩부(310) 및 상기 제2경첩부(340) 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회전축 기능만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베이스부(312)가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어느 하나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2베이스부(342)가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다른 하나에 나사 결합된다(s20).
이때,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에는 복수개의 나사홀이 각각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상기 나사홀을 관통한 나사(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가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에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어느 하나에 별도의 드릴장치 등에 의해 상기 수용홈(fa)이 천공되되, 상기 수용홈(fa)이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결합홀(342a)에 의해 가이드되며 형성된다(s30).
여기서, 천공형성을 위해 구비되는 상기 드릴장치(미도시)가 상기 결합홀(342a)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어느 하나를 천공시, 상기 드릴장치(미도시)가 상기 결합홀(342a)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기 수용홈(fa)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결합홀(342a)이 형성된 상기 제2베이스부(342)가 상기 문틀(f)에 결합된 경우 별도의 드릴장치가 상기 결합홀(342a)을 통과하여 가이드되며 상기 문틀(f)에 수용홈(fa)을 천공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홈(fa)은 상기 본체부(381)의 전후방향 길이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본체부(381)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완충지지장치(380)의 삽입을 위한 상기 수용홈(fa)의 천공시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결합홀(342a)에 의해 천공 방향이 가이드되어 정밀한 형상의 천공이 신속하게 형성되므로 작업편의성 및 제조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지지장치(380)가 상기 결합홀(342a)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홈(fa)에 끼움 고정됨에 따라 상기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300)가 최종적으로 시공된다(s40).
여기서, 상기 본체부(381)의 외주 전단부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끼움돌기(381b)가 상기 수용홈(fa)에 끼움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별도의 접착수단 없이 상기 완충지지장치(380)의 상기 본체부(381)가 상기 끼움돌기(381b)에 의해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수용홈(fa)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끼움 고정되는 것만으로도 제품의 설치가 완료되므로 작업편의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지지장치(380)는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과 수직으로 배치되되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의 회전 복귀시 상기 제1베이스부(312)와 상기 제2베이스부(342) 사이로 돌출되는 전단부가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어느 하나의 대향면에 가압되면서 유동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완충지지장치(380)가 상기 도어(d)의 타방향(CR) 회전시 충격이 가해지는 방향과 대응하여 배치되므로 작동유체를 통한 완충력이 상기 도어(d)에 실질적으로 전달되어 더욱 부드럽게 닫힐 수 있으며, 회전속도 감쇄를 통해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이 과도하게 마찰됨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300: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 310: 제1경첩부
320: 자동 회전복귀수단 321: 제1탄성수단
330: 제1캠부 332: 구동접촉부
332b: 제1경사면 334: 제1스토퍼돌기
340: 제2경첩부 350: 제2캠부
352: 회전구동부 352a: 클로즈면
352b: 제2경사면 352c: 오픈면
354: 제2스토퍼돌기 380: 완충지지장치
381: 본체부 381a: 걸림돌출부
381b: 끼움돌기 381c: 걸림장공
382: 실린더부 382a: 걸림돌기
383: 로드부 384: 제2탄성수단

Claims (5)

  1. 제1중공이 형성된 제1하우징부 및 상기 제1하우징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제1베이스부가 구비된 제1경첩부와, 상기 제1중공과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회전공간을 형성하는 제2중공이 형성된 제2하우징부 및 상기 제2하우징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제2베이스부가 구비된 제2경첩부와, 상기 회전공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캠부를 포함하는 자동 회전복귀수단이 상호간 결합 및 준비되는 제1단계;
    상기 제1베이스부가 도어 및 문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제2베이스부가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제2단계;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 중 어느 하나에 수용홈이 천공되되, 상기 수용홈이 상기 제1베이스부 및 상기 제2베이스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홀에 의해 가이드되며 형성되는 제3단계; 및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과 수직으로 배치되되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의 회전 복귀시 상기 제1베이스부와 상기 제2베이스부 사이로 돌출되는 전단부가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 중 어느 하나의 대향면에 가압되면서 유동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완충력을 제공하는 완충지지장치가 상기 수용홈에 끼움 고정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3단계는, 천공형성을 위해 구비되는 드릴장치가 상기 결합홀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 중 어느 하나를 천공시, 상기 드릴장치가 상기 결합홀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완충지지장치의 본체부 외주 전단부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부의 외주 및 상기 수용홈의 내주 사이의 상호간 끼움 고정력을 제공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끼움돌기가 상기 수용홈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본체부의 개구된 전단부 테두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걸림돌출부가 상기 결합홀의 테두리에 걸림 구속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04950A 2019-01-15 2019-01-15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시공방법 KR102169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950A KR102169892B1 (ko) 2019-01-15 2019-01-15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950A KR102169892B1 (ko) 2019-01-15 2019-01-15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560A KR20200088560A (ko) 2020-07-23
KR102169892B1 true KR102169892B1 (ko) 2020-10-26

Family

ID=71894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950A KR102169892B1 (ko) 2019-01-15 2019-01-15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8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188B1 (ko) 2021-11-24 2022-03-29 박지우 회동문 힌지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165B1 (ko) * 2008-03-05 2010-11-12 (주)문주하드웨어 가구용 문의 충격완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9757B2 (ja) 1997-03-04 2002-01-21 株式会社ニフコ ヒンジ機構及びヒンジユニット
CN101910538B (zh) * 2008-01-22 2013-09-11 格拉斯美国公司 通用阻尼机构
KR20130015909A (ko) * 2011-08-05 2013-02-14 (주)삼우 도어 설치구조
KR101539347B1 (ko) * 2013-10-07 2015-07-27 이동혁 캠을 이용한 도어용 경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165B1 (ko) * 2008-03-05 2010-11-12 (주)문주하드웨어 가구용 문의 충격완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560A (ko)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3672B1 (en) Automatic door closing hinge and double swing door structure
KR101638198B1 (ko) 양쪽개방 도어용 자동폐쇄 힌지 및 양쪽개방 도어 구조
AU2011101327B4 (en) Hinge having self-centering means
EP2710212B1 (en) Piston device for the controlled rotatable movement of doors, shutters or like members
US8439172B2 (en) Oil damper using a cam
KR101975266B1 (ko) 자동복귀수단을 갖는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
KR102117780B1 (ko) 도어용 피벗 힌지 장치
KR102169892B1 (ko)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시공방법
WO2012049518A1 (en) Hinge having self centering means
TWM516638U (zh) 阻尼鉸鏈
JP7384496B2 (ja) 双方向開閉ドアシャフト
KR10171848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EP2872716B1 (en) Hinge for rotatably moving a door, in particular a reinforced door
EP1931848B1 (en) Door hinge attachable damper
EP3795790B1 (en) A snap hinge with a damper device
JP4115508B1 (ja) 防火ドア
KR101518262B1 (ko) 회전식 댐퍼장치
EP2872717B1 (en) Hinge for rotatably moving a door, in particular a reinforced door
JP4755208B2 (ja) 自閉式引戸装置
JP6963449B2 (ja) 引き戸の制動装置
KR100635448B1 (ko) 김치냉장고 도어용 힌지장치
KR100470568B1 (ko)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US10895096B2 (en) Hinge mechanism and a hinge assembly
KR101948059B1 (ko) 도어 클로저용 단조 피니언 기어 어셈블리
KR101939357B1 (ko)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