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823B1 -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대 이동방법 - Google Patents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대 이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823B1
KR102169823B1 KR1020130116883A KR20130116883A KR102169823B1 KR 102169823 B1 KR102169823 B1 KR 102169823B1 KR 1020130116883 A KR1020130116883 A KR 1020130116883A KR 20130116883 A KR20130116883 A KR 20130116883A KR 102169823 B1 KR102169823 B1 KR 102169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insulator
worktable
work table
pylon arm
wo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6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7359A (ko
Inventor
이호권
박찬형
이원교
김병우
이형권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30116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823B1/ko
Publication of KR20150037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대 이동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는: 작업자가 탑승하도록 송전탑의 철탑암에 설치되는 작업대; 안전로프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활차부; 및 작업대와 활차부를 연결하도록 작업대의 상부에 마련되는 연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대 이동방법{WORKING APPARATUS OF TOWER ARM FOR LIVE LINE WORKS AND WORKSTATION MO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대 이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회선 송전탑에서 송정선로의 휴전을 방지하면서 작업대를 철탑암의 점퍼장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대 이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발전소에서 생성되는 전력은 고전압 송전선로를 통해 변전소까지 전송되고, 송전선로가 송전탑에 지지된다. 그리고 송전선로는 애자련 등으로 이루어진 점퍼장치에 의해 송전탑과 절연되게 연결된다.
그리고, 고압전력을 전소하는 송전선로 및 점퍼장치 등은 원활한 전력 공급을 위해 주기적으로 유지보수 및 교체해주어야 할 필요성 있다. 이처럼, 송전선로 및 점퍼장치를 교체하거나 유지보수할 때에는 작업상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송전선로를 휴전하고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송전선로를 휴전한 후 유지보수 작업을 하는 경우는 우회송전선로를 확보할 수 있는 2회선 송전탑에서나 가능할 뿐, 765V 1회선 송전탑의 경우에는 우회송전선로를 확보할 수 없어 활선상태에서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해야하므로, 작업자가 활선 및 점퍼장치에 접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5161호(등록일:2006.11.10)에는 "가이드 롤러장치"가 개시되고, 등록특허 제10-0816007호(등록일:2008.03.17)에는 "송전선로 활선접근용 가이드레일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1회선 송전탑에서 송정선로의 휴전을 방지하면서 작업대를 철탑암의 점퍼장치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대 이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는: 작업자가 탑승하도록 송전탑의 철탑암에 설치되는 작업대; 안전로프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활차부; 및 상기 작업대와 상기 활차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마련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활차부는, 상기 연결구에 탈착되는 고리부재; 및 상기 고리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안전로프가 걸리는 활차를 회전가능하게 구비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고리부재 및 상기 활차가 결합되는 제1 브래킷; 및 상기 활차에서 상기 안전로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브래킷과 결합되는 제2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본체; 상기 작업대 및 상기 활차부를 상기 본체에 탈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복수개 구비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연결부재가 탈착되는 제1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와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2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를 이격되게 고정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 및 제2 지지플레이트에 삽입되는 결합볼트; 상기 결합볼트에 체결되는 결합너트; 및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와 제2 지지플레이트를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상기 결합볼트에 삽입되는 부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볼트부재; 및 상기 볼트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볼트부재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는 상기 철탑암에서 상기 작업대의 안전거리를 확보하면서 상기 작업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철탑암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구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절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연체는, 상기 철탑암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대와 선택적으로 탈착하는 제1 폴리머 애자; 및 상기 제1 폴리머 애자와 이격되도록 상기 철탑암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대와 선택적으로 탈착하는 제2 폴리머 애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를 이용한 작업대 이동방법은 작업대, 제1 폴리머 애자 및 제2 폴리머 애자를 송전탑의 철탑암으로 인양하여 상기 작업대를 송전탑에 상기 제1 폴리머 애자 및 제2 폴리머 애자를 상기 철탑압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폴리머 애자의 하단부를 상기 작업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작업대와 연결하고, 상기 작업대를 상기 제1 폴리머 애자에 지지한 채로 상기 제2 폴리머 애자와의 연결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2 폴리머 애자를 상기 연결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작업대와 연결하고, 상기 제1 폴리머 애자를 상기 작업대에서 분리한 후, 상기 작업대를 상기 제2 폴리머 애자에 지지한 채로 상기 작업대를 상기 철탑암의 점퍼장치에 근접시키는 단계; 상기 작업대를 상기 제1 폴리머 애자와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1 폴리머 애자를 상기 작업대와 연결하고, 상기 제2 폴리머 애자를 상기 작업대에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대를 상기 제1 폴리머 애자에 지지한 채로 상기 작업대를 상기 송전탑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폴리머 애자를 상기 작업대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대 이동방법은 종래의 발명과 달리 1회선 송전탑에서 송정선로의 휴전을 방지하면서 철탑암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폴리머 애자 및 제2 폴리머 애자를 이용하여 작업대를 철탑암의 점퍼장치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를 송전탑에 설치한 설치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차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를 이용한 작업대 이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이동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대 이동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를 송전탑에 설치한 설치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차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100)는, 인양을 통해 송전탑(10)에 설치되는 작업대(110), 안전로프(30)를 연결하기 위한 활차부(120) 및 작업대(110)와 활차부(120)를 연결하도록 작업대(1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연결구(1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100)는 송전탑(10)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되는 철탑암(20)에서 작업대(110)를 점퍼장치까지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철탑암(20)에 설치되는 절연체(140)를 더 포함한다.
작업대(110)는 상기 점퍼장치와 활선의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탑승하며, 상단 중앙부에 연결구(130)와 결합되는 고리부재(111)가 구비된다. 이러한, 작업대(110)는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철탑암(20)에서 진자 운동하는 절연체(140)에 의해 철탑암(20)의 선단까지 이동되며, 그 이동이 활차부(120)를 통해 연결되는 안전로프(30)에 의해 안정되게 유지된다.
활차부(120)는 안전로프(30)를 작업대(110)에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구(13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또한, 활차부(120)는 연결구(130)를 통해 작업대(110)에 결합됨은 물론, 절연체(140)에 안전로프(30)를 연결하여 작업자가 철탑암(20)에서 절연체(140)를 진자운동시킬 수 있도록 절연체(140)에도 설치된다.
이러한, 활차부(120)는 연결구(130)와 용이하게 탈착되고, 안전로프(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연결구(130)에 탈착되는 고리부재(121), 이 고리부재(121)가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123) 및 안전로프(30)를 걸도록 지지 프레임(123)에 결합되는 활차(125)를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123)은 고리부재(121) 및 활차(125)가 결합되는 제1 브래킷(123a)과, 이 제1 브래킷(123a)에 결합되어 활차(125)에 걸리는 안전로프(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브래킷(123b)을 구비한다. 이때, 지지 프레임(123)은 제1 브래킷(123a) 및 제2 브래킷(123b)이 "∩"형태로 형성된다.
활차(125)는 안전로프(30)가 걸리도록 베어링을 통해 지지 프레임(12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2개의 안전로프(30)를 동시에 연결하여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안전로프(30)가 삽입되는 안착홈부가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활차부(120)는 절연체(140)의 진자운동을 이용하여 철탑암(20)에서 작업대(1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구(130)에 2개 절연체(140)에 2개가 설치된다.
연결구(130)는 작업대(110)와 활차부(120) 및 절연체(140)가 연결되는 본체(131), 이 본체(131)에 작업대(110)와 활차부(120) 및 절연체(140)를 탈착할 수 있도록 본체(131)에 탈착되는 연결부재(139)를 포함한다.
본체(131)는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 지지플레이트(133) 및 제2 지지플레이트(135), 이 제1 지지플레이트(133) 및 제2 지지플레이트(135)를 이격되게 고정하는 지지부재(137)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체(131)는 제1 지지플레이트(133) 및 제2 지지플레이트(135)의 중앙부에 지지부재(137)가 결합되고, 제1 지지플레이트(133) 및 제2 지지플레이트(135)의 테두리부를 따라 복수의 연결부재(139)가 결합된다.
제1 지지플레이트(133) 및 제2 지지플레이트(135)는 연결부재(139) 및 지지부재(137)의 설치를 위한 설치공이 형성된다.
지지부재(137)는 제1 지지플레이트(133) 및 제2 지지플레이트(135)에 삽입되는 결합볼트(137a)와, 이 결합볼트(137a)에 체결되는 결합너트(137b) 및 제1 지지플레이트(133)와 제2 지지플레이트(135)를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결합볼트(137a)에 삽입되는 부싱(137c)을 구비한다.
연결부재(139)는 제1 지지플레이트(133)와 제2 지지플레이트(135) 사이로 삽입되는 작업대(110) 및 활차부(120)의 고리부재(111, 121), 절연체(140)의 하단부를 본체(13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본체(131)를 관통하는 볼트부재(139a) 및 이 볼트부재(139a)에 체결되는 너트부재(139b)를 구비한다.
이러한, 연결부재(139)는 제1 지지플레이트(133)와 제2 지지플레이트(135) 사이로 삽입되는 고리부재(111, 121), 절연체(140)의 하단부를 각각 관통하여 본체(131)에 고정할 수 있도록 본체(131)에 4개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볼트부재(139a)로는 그 탈착이 용이하도록 나비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절연체(140)는 철탑암(20)에서 작업대(110)의 안전거리를 확보하면서 작업대(110)를 지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철탑암(20)에 마련되며, 연결구(130)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절연체(140)는 작업자에 의해 철탑암(20)에서 진자운동하면서 작업대(1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단부가 철탑암(20)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작업대(110)에 선택적으로 탈착된다.
구체적으로, 절연체(140)는, 철탑암(2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연결구(130)와 선택적으로 탈착하는 제1 폴리머 애자(141)와, 이 제1 폴리머 애자(141)와 이격되도록 철탑암(20)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연결구(130)와 선택적으로 탈착하는 제2 폴리머 애자(143)를 포함한다.
이때, 제1 폴리머 애자(141) 및 제2 폴리머 애자(143)는 그 하단부가 볼트부재(139a)의 삽입을 통해 연결구(130)에 탈착되며, 작업자가 안전로프(30)를 연결하여 진자운동시킬 수 있도록 하단부에 활차부(120)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를 이용한 작업대 이동방법을 도 2,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를 이용한 작업대 이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이동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를 이용한 작업대 이동방법은 연결구(130) 및 활차부(120)가 결합된 작업대(110), 제1 폴리머 애자(141) 및 제2 폴리머 애자(143)를 철탑암(20)으로 인양하여 설치한다(S10).
그리고, 작업대(110)로 제1 폴리머 애자(141)를 잡아당겨 연결하고, 작업대(110)를 제2 폴리머 애자의 연결위치로 이동한다(S20).
이후, 작업대(110)에 제2 폴리머 애자(143)를 연결하고, 작업대(110)에서 제1 폴리머 애자(141)를 분리한 후, 제2 폴리머 애자(143)를 철탑암(20)에 수직을 이루도록하여 작업대(110)를 상기 점퍼장치에 근접시킨다(S30).
이후, 작업대(110)를 제1 폴리머 애자(141)의 연결위치로 이동하여 제1 폴리머 애자(141)를 작업대(110)에 연결하고, 제2 폴리머 애자(143)를 작업대(110)에서 분리한다(S40).
끝으로, 작업대(110)를 송전탑(10)으로 이동하여 고정하고, 작업대(110)에서 제1 폴리머 애자(141)를 분리한다(S50).
S10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S10 단계에서는 작업대(110)를 송전탑(10)에 고정하고, 제1 폴리머 애자(141) 및 제2 폴리머 애자(143)를 철탑암(20)의 중앙부 및 선단부에 각각 고정한다. 이때, 제1 폴리머 애자(141) 및 제2 폴리머 애자(143)는 작업자가 그 하단부에 안전로프(30)를 연결하여 잡아당기거나 풀어주면서 진자운동시킬 수 있도록 그 하단부에 활차부(120)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송전탑(10)과 철탑암(20)의 선단부에 활차부(120)를 각각 결합하고, 안전로프(30)를 이용하여 송전탑(10) 및 철탑암(20)의 활차부(120)와 작업대(110)의 활차부(120)를 각각 연결한다.
S20 단계에서는 작업자가 제1 폴리머 애자(141)에 연결된 안전로프(30)를 잡아당겨 제1 폴리머 애자(141)를 작업대(110)측으로 이동시켜 작업대(110)와 연결하고, 송전탑(10)의 작업자가 송접탑(10)과 작업대(110)를 연결하는 안전로프(30)를 풀어준다. 그러면, 제1 폴리머 애자(141)가 철탑암(20)과 수직을 이루도록 자유낙하게 된다. 이때 송전탑(10)의 작업자는 작업대(110)의 위치에 맞게 송전탑(10) 및 철탑암(20)에 연결된 안전로프(30)를 풀거나 잡아당겨 준다. 이 상태에서 작업대(110)의 탑승 작업자가 작업대(110)에 연결된 제2 폴리머 애자(143)의 안전로프(30)를 잡아당겨 작업대(110)를 이동시킨다.
이후, S30 단계에서는 제2 폴리머 애자(143)를 작업대(110)에 연결하고, 제1 폴리머 애자(141)를 작업대(110)에서 분리한 후, 제2 폴리머 애자(143)를 잡아당긴 안전로프(30)를 풀어 제2 폴리머 애자(143)가 철탑암(20)에 수직이 되도록 한다. 그러면, 작업대(110)가 점퍼장치와 근접된 지점에 위치하게 되어 점퍼장치의 유지보수 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유지보수 작업이 완료되면 S40 단계를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S40 단계에서는 제2 폴리머 애자(143)와 제1 폴리머 애자(141)에 연결된 안전로프(30)를 잡아당겨 제2 폴리머 애자(143)와 제1 폴리머 애자(141)를 상기 연결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1 폴리머 애자(141)를 작업대(110)에 연결하고, 제2 폴리머 애자(143)를 분리한다.
S50 단계에서는 제1 폴리머 애자(141)를 잡아당겼던 안전로프(30)를 풀어줘 제1 폴리머 애자(141)를 철탑암(20)에 수직으로 위치시킨 후, 제1 폴리머 애자(141)의 안전로프(30)를 송전탑(10)측으로 잡아당겨 작업대(110)를 송전탑(10)으로 이동시겨 고정한 후, 제1 폴리머 애자(141)를 분리하고, 제1 폴리머 애자(141)를 잡아당겼던 안전로프(30)를 풀어 제1 폴리머 애자(141)를 원위치로 이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방법에 의하면, 본 실시예는 우회 송전선로가 없는 1회선 송전탑(10)에서 제1 폴리머 애자(141) 및 제2 폴리머 애자(143)의 진자 이동을 통해 작업대(110)를 철탑암(20)에서 점퍼장치까지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작업대(110)에 연결된 연결부재(139)를 이용하여 제1 폴리머 애자(141) 및 제2 폴리머 애자(143)를 연결구(130)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으므로, 작업대(110)의 이동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본 실시예는 연결구(130)의 본체(131)에 복수의 연결부재(139)가 결합되므로, 복수의 활차부(120)와 진자이동을 위한 제1 폴리머 애자(141) 및 제2 폴리머 애자(143)를 동시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송전탑 20 : 철탑암
30 : 안전로프 110 : 작업대
120 : 활차부 111, 121 : 고리부재
123 : 지지 프레임 130 : 연결구
131 : 본체 140 : 절연체
141 : 제1 폴리머 애자 143 : 제2 폴리머 애자

Claims (10)

  1. 작업자가 탑승하도록 송전탑의 철탑암에 설치되는 작업대;
    안전로프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활차부; 및
    상기 작업대와 상기 활차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마련되는 연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차부는,
    상기 연결구에 탈착되는 고리부재; 및
    상기 고리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안전로프가 걸리는 활차를 회전가능하게 구비하는 지지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고리부재 및 상기 활차가 결합되는 제1 브래킷; 및
    상기 활차에서 상기 안전로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브래킷과 결합되는 제2 브래킷;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본체;
    상기 작업대 및 상기 활차부를 상기 본체에 탈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복수개 구비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연결부재가 탈착되는 제1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와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2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를 이격되게 고정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 및 제2 지지플레이트에 삽입되는 결합볼트;
    상기 결합볼트에 체결되는 결합너트; 및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와 제2 지지플레이트를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상기 결합볼트에 삽입되는 부싱;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볼트부재; 및
    상기 볼트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볼트부재에 체결되는 너트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철탑암에서 상기 작업대의 안전거리를 확보하면서 상기 작업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철탑암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구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절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상기 철탑암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대와 선택적으로 탈착하는 제1 폴리머 애자; 및
    상기 제1 폴리머 애자와 이격되도록 상기 철탑암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대와 선택적으로 탈착하는 제2 폴리머 애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
  10. 작업대, 제1 폴리머 애자 및 제2 폴리머 애자를 송전탑의 철탑암으로 인양하여 상기 작업대를 송전탑에 상기 제1 폴리머 애자 및 제2 폴리머 애자를 상기 철탑암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폴리머 애자의 하단부를 상기 작업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작업대와 연결하고, 상기 작업대를 상기 제1 폴리머 애자에 지지한 채로 상기 제2 폴리머 애자와의 연결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2 폴리머 애자를 상기 연결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작업대와 연결하고, 상기 제1 폴리머 애자를 상기 작업대에서 분리한 후, 상기 작업대를 상기 제2 폴리머 애자에 지지한 채로 상기 작업대를 상기 철탑암의 점퍼장치에 근접시키는 단계;
    상기 작업대를 상기 제1 폴리머 애자와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1 폴리머 애자를 상기 작업대와 연결하고, 상기 제2 폴리머 애자를 상기 작업대에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대를 상기 제1 폴리머 애자에 지지한 채로 상기 작업대를 상기 송전탑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폴리머 애자를 상기 작업대에서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를 이용한 작업대 이동방법.
KR1020130116883A 2013-09-30 2013-09-30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대 이동방법 KR102169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883A KR102169823B1 (ko) 2013-09-30 2013-09-30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대 이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883A KR102169823B1 (ko) 2013-09-30 2013-09-30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대 이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359A KR20150037359A (ko) 2015-04-08
KR102169823B1 true KR102169823B1 (ko) 2020-10-26

Family

ID=53033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883A KR102169823B1 (ko) 2013-09-30 2013-09-30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대 이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8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36693A (zh) 2010-12-28 2011-07-27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百色局 一种实现绞磨吊篮导轨远方进出等电位方法及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4852A (ko) * 2006-09-15 2008-03-19 한국전기공사협회 765킬로볼트 2회선 송전선로에서 스페이서댐퍼활선교체공법
KR20080024840A (ko) * 2006-09-15 2008-03-19 한국전기공사협회 765킬로볼트 2회선 송전선로에서 현수애자련의 불량애자활선교체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36693A (zh) 2010-12-28 2011-07-27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百色局 一种实现绞磨吊篮导轨远方进出等电位方法及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359A (ko)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4840A (ko) 765킬로볼트 2회선 송전선로에서 현수애자련의 불량애자활선교체공법
CN107370079A (zh) 一种连接并勾线夹引线的带电作业方法
CN106629322B (zh) 三向可调分段导向附着装置及其使用方法
CN109987478A (zh) 一种用于电梯导轨支架安装的辅助定位系统及方法
KR102169823B1 (ko) 활선 작업용 철탑암 작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대 이동방법
JP2017022826A (ja) 電気機器の高所取付装置
CN203278097U (zh) 电杆横担架设装置
CN201717559U (zh) 升降飞车
KR20090009685A (ko) 엘리베이터의 설치 방법, 및 그것에 이용하는 캠 장치 및리미트 스위치
CN202296188U (zh) 一种插件机的调节链条松紧装置
CN204947466U (zh) 便携式带电作业提线器
CN208272497U (zh) 一种带电作业用10kV直线绝缘子更换器
CN204349336U (zh) 架空地线提升器
CN203998733U (zh) 一种臂架装置及其超起动滑轮托架
CN206742774U (zh) 一种新型电缆桥架
CN208179557U (zh) 一种巡检机器人的手臂机构
CN209748055U (zh) 一种上线的绝缘绳防侧滑装置
CN210163091U (zh) 一种电缆沟盖板快速提升装置
CN206878354U (zh) 一种移动式开关柜吊装平台
CN204778501U (zh) 电力线杆码垛以及吊装辅助装置
CN218051547U (zh) 一种隐藏式辅助上料托架
KR20140078828A (ko) 현수애자련 인상장치
CN204366867U (zh) 避雷器泄漏电流表拆装支架
CN204481404U (zh) 10kV带电安装驱鸟器组合工具
CN203728456U (zh) 一种用于起重机的转台及起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