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145B1 - 복합관의 제조용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복합관의 제조용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145B1
KR102169145B1 KR1020190176859A KR20190176859A KR102169145B1 KR 102169145 B1 KR102169145 B1 KR 102169145B1 KR 1020190176859 A KR1020190176859 A KR 1020190176859A KR 20190176859 A KR20190176859 A KR 20190176859A KR 102169145 B1 KR102169145 B1 KR 102169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pipe
pipe
clamp
main body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성
Priority to KR1020190176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e.g. interconnected by piv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26Clamps, constituted by articulated chain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6Tubes an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복합관의 제조용 견인장치가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합성수지로 된 내관과,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금속판재를 결합시켜 금속관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복합관을 이송하는 것으로, 양 측벽과, 각 측벽의 상단에 각기 형성되며 동일한 높이에 대칭되게 형성되게 각기 좌,우측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본체; 본체에 형성된 구동부; 구동부와 축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본체의 내부 양측에 각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양측 스프로켓과, 상기 양측 스프로켓을 연결하는 체인; 체인의 외측에 돌출된 복수개의 클램프 죠로 이루어진 제1,2클램프유닛을 포함하고, 양측의 클램프 죠가 서로 맞대어지면서 이중관을 협지하여 끌어당겨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르면, 금속관 용접을 마친 복합관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되 양측면에서 동일한 가압력과 접촉면적으로 양측 클램프유닛이 복합관을 압지한 상태로 이송토록 함으로써 종래 복합관이 가압과정에서 일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는 범위를 최소화하여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이렇게 고정된 자세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여 차후 공정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합관의 제조용 견인장치{Traction device for manufacturing composite pipe}
개시되는 발명은 음용수관 또는 난방관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며, 내관과 내관의 외면에 결합되는 금속 외관으로 이루어지는 복합관을 이송시키되 용접부위의 위치 변동을 최소화한 상태로 거의 직선운동에 가깝도록 이송시킬 수 있는 복합관의 제조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pipe 또는 tube)은 유체(기체·액체)나 분체(粉體)의 수송용뿐만 아니라, 같은 무게의 봉재(棒材)보다 굽힘에 대한 강도가 높으므로 건축물이나 각종 기계기구의 구조용으로도 널리 쓰인다.
구조용에는 열간압연 또는 냉간압연에 의한 강판대를 원통형으로 말아서 이음매를 용접으로 접합시킨 용접강관이 주로 사용되는데, 강도가 높고, 부식에 대한 염려가 거의 없으며, 특히 표면광택이 좋은 스테인리스강관(stainless steel pipe)이 일반 강관(steel pipe)보다도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스테인리스강관은 그 재료인 스테인리스강이 매우 고가여서 큰 부담을 초래한다.
고가의 스테인리스강관을 대체하기 위한 저렴한 강관재로서, 일반 강관의 표면을 아연이나 크롬 등의 금속으로 도금하여 표면처리한 강관이 잘 알려져 있다.
금속도금은 원래 강관의 방청을 목적으로 한 것이지만, 도금 금속에 따라 특유의 빛깔과 광택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도금에 의한 피막은 그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쉽게 손상되고 균열이나 국부적 탈락 및 마모 등으로 그 수명이 오래가지 못하였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5-0028902에는, 금속관과 합성수지관이 결합된 복합관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관에 롤포밍(roll forming) 방식으로 알루미늄판을 성형하여 피복하는 방안이 제시된 바 있다.
이렇게 형성된 금속관의 이음부를 맞대기 용접하여 마감처리하게 된다.
종래에는 금속관 용접을 마친 복합관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하에 배치된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하여 마찰 접촉상태로 원형의 복합관을 지지한 상태로 끌어당겨 이송시키게 된다.
그러나 용접부위가 금속관의 외면 보다 돌출된 상태에서 평평한 컨베이어벨트가 접촉될 경우 복합관이 측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즉 돌출된 용접부쥐가 미끄러지면서 관의 회전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이렇게 복합관이 미끄러지면서 회전하는 각도 범위가 매우 커서 다음 공정인 용접부위 검사장치에 진입할 경우 복합관의 용접부위가 정위치로부터 벗어난 상태에서 진입되므로 용접부위에 대한 검사가 정확하게 실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개시되는 내용은 금속관 용접을 마친 복합관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되 양측면에서 동일한 가압력과 접촉면적으로 양측 클램프유닛이 복합관을 압지한 상태로 이송토록 함으로써 종래 복합관이 가압과정에서 일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는 범위를 최소화하여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이렇게 고정된 자세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여 차후 공정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복합관의 제조용 견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합성수지로 된 내관과,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금속판재를 결합시켜 금속관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복합관을 이송하는 것으로, 양 측벽과, 각 측벽의 상단에 각기 형성되며 동일한 높이에 대칭되게 형성되게 각기 좌,우측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본체; 본체에 형성된 구동부; 구동부와 축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본체의 내부 양측에 각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양측 스프로켓과, 상기 양측 스프로켓을 연결하는 체인; 체인의 외측에 돌출된 복수개의 클램프 죠로 이루어진 제1,2클램프유닛을 포함하고, 양측의 클램프 죠가 서로 맞대어지면서 이중관을 협지하여 끌어당겨 이동시키도록 하는 복합관의 제조용 견인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죠는 체인에 부착되며 상단부에 스프링을 갖는 끼움부를 구비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상단 외측에 형성된 결합부와, 결합부에 끼움결합되며 스프링에 탄성 지지되며, 수평방향으로 신축에의해 이동되는 클로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클로우의 전단면에 이중관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에 따르면, 합성수지 내관의 외부에 금속관을 밀착시키고, 금속관의 맞대기 용접부위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되 육안이 아닌 전류의 저항값을 이용하여 불량발생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불량품을 즉시 발견할 수 있어 비용 손실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르는 복합관의 제조용 견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르는 복합관의 제조용 견인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르는 복합관의 제조용 견인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르는 복합관의 제조용 견인장치의 작동 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르는 복합관의 제조용 견인장치의 작동 후를 나타낸 도면.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실시예에 따르는 복합관의 제조용 견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르는 복합관의 제조용 견인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르는 복합관의 제조용 견인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르는 복합관의 제조용 견인장치의 작동 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르는 복합관의 제조용 견인장치의 작동 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관은 합성수지로 된 내관(P1)과, 내관(P1)의 외주면에 금속판재를 결합시켜 금속관(M2)으로 구성된다.
즉, 압출기(100)의 다이(140)를 통해 관형의 내관(P1)을 압출시키고, 내관(P1)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시켜 접착층을 형성한다.
내관(P1)을 합지기와 만곡기가 구비된 조관부(400)에 투입함과 동시에 합지기와 만곡기의 하부로부터 금속판재(M)가 인입되어 합지기와 만곡기를 통과하는 동안 원형으로 말아져서 된 금속관(M2)이 내관(P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여 복합관(CD)을 제조하게 된다.
금속관(CD)은 말아진 후 양단부가 맞대기 용접으로 마감처리된다.
복합관(CD)을 각 공정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직진도를 유지해야 한다.
전술한 복합관(CD)을 견인장치(A)를 이용하여 끌어당기면서 다른 공정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복합관의 제조용 견인장치(A)는, 본체(100), 구동부(200), 회전부(R), 제1,2클램프유닛(770a,770b) 및 이격 유도부(4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양 측벽과, 각 측벽의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레일(740)을 갖는 다.
구동부(200)는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다.
회전부(R)는 구동부(200)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주동 스프로켓(220)과 타측에 형성된 종동 스프로켓(240) 및 상기 주동 스프로켓(220)과 종동 스프로켓(240)을 연결하여 회전 구동되는 체인(300)으로 이루어진다.
제1,2클램프유닛(700a,700b)은 양측 체인(300) 각각에 결합되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클램프 죠(770a,770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양측 복수개의 클램프 죠(770a,770b)가 서로 맞대어져 밀착되면서 복합관(P2)을 협지하고, 체인(300)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하면서 복합관(CD)을 끌어당겨 이동시키도록 한다.
클램프 죠(770a,770b)는 체인(300)에 부착되며 상단부에 스프링(771)을 갖는 끼움부(773)를 구비한 브라켓(774)과, 상기 브라켓(774)의 상단 외측에 형성된 결합부(772)와,
상기 결합부(772)에 끼움결합되며 스프링(771)에 탄성 지지되며, 수평방향으로 신축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클로우(775)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클로우(775)의 전단면에 복합관(CD)이 삽입되는 홈(776)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격 유도부(400)는 본체(10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양측 체인(300)의 중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양측에 대칭되는 '〈' 또는 '〉'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마름모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이격 유도부(400)는 양측 제1,2클램프유닛(700a,700b)을 양측으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이격시켜 벌어지도록 한다.
이격 유도부(400)를 통과한 후 양측 제1,2클램프유닛(700a,700b)은 각각의 스프링(771)의 탄발력에 의해 클로우(775)가 전진함으로써 서로 밀착하게 됨으로써 복합관(CD)을 협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위치(미도시)를 온 작동시키면 구동부(200)가 구동되고, 주동 스프로켓(220)이 구동되므로 체인(300)이 회전구동되기 시작한다.
본체(100)의 내부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된 양측 체인(300)이 동시에 회전하기 시작하므로 각 체인(300)에 장착된 제1,2클램프유닛(700a,700b)이 동일한 위상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각 제1,2클램프유닛(700a,700b)은 각각의 클로우(775)의 전단면에 형성된 홈(776)이 맞닿도록 밀착된다.
회전되는 양측 제1,2클램프유닛(700a,700b)은 이격 유도부(400)를 지나가는 동안 양측 제1,2클램프유닛(700a,700b)은 벌어지면서 이격된다.
이격 유도부(400)는 본체(100)의 일단부, 즉 복합관(CD)이 진입하는 시작부에 형성된다.
이렇게 시작부에 이격 유도부(400)가 형성됨으로써 복합관(CD)이 진입할때는 제1,2클램프유닛(700a,700b)가 이격 유도부(400)에 의해 벌어지게 되고, 이격 유도부(400)를 제1,2클램프유닛(700a,700b)가 통과한 후 즉시 서로 밀착됨으로써 각각의 홈()에 복합관(CD)이 밀착되어 협지된 상태가 된다.
이후 체인(300)의 회전 구동에 의해 제1,2클램프유닛(700a,700b)이 복합관(CD)을 협지한 상태로 끌고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다수 쌍의 제1,2클램프유닛(700a,700b)이 등 간격으로 배열된 상태이고, 일 직선상의 이동방향을 유지하게 되므로 복합관(CD)의 직진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P1 : 내관 M2 : 금속관
100 : 압출기 140 : 다이
CD : 복합관 A : 견인장치
200 : 구동부 R : 회전부
300 : 체인 400 : 이격 유도부
220 : 주동 스프로켓 240 : 종동 스프로켓
770a : 제1클램프유닛 770b : 제2클램프유닛
771 : 스프링 772 : 결합부
773 : 끼움부 774 : 브라켓
775 : 클로우 776 : 홈

Claims (4)

  1. 합성수지로 된 내관과,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금속판재를 결합시켜 금속관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복합관을 이송하는 것으로,
    양 측벽과, 각 측벽의 상단에 각기 형성되며 동일한 높이에 대칭되게 형성되게 각기 좌,우측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된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축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본체의 내부 양측에 각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양측 스프로켓과, 상기 양측 스프로켓을 연결하는 체인;
    상기 체인의 외측에 돌출된 복수개의 클램프 죠로 이루어진 제1,2클램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2클램프유닛 각각의 클램프 죠가 서로 맞대어지면서 이중관을 협지하여 끌어당겨 이동시키도록 하고,
    상기 클램프 죠는
    체인에 부착되며 상단부에 스프링을 갖는 끼움부를 구비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상단 외측에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끼움결합되며 스프링에 탄성 지지되며, 수평방향으로 신축에의해 이동되는 클로우를 포함하고,
    상기 클로우의 전단면에 이중관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관의 제조용 견인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양측 체인의 중간에 위치되며, 양측 제1,2클램프유닛을 양측으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이격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관의 제조용 견인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유도부는 양측에 대칭되는 '〈' 또는 '〉'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마름모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관의 제조용 견인장치.



KR1020190176859A 2019-12-27 2019-12-27 복합관의 제조용 견인장치 KR102169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859A KR102169145B1 (ko) 2019-12-27 2019-12-27 복합관의 제조용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859A KR102169145B1 (ko) 2019-12-27 2019-12-27 복합관의 제조용 견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145B1 true KR102169145B1 (ko) 2020-10-23

Family

ID=73039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859A KR102169145B1 (ko) 2019-12-27 2019-12-27 복합관의 제조용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1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4203B2 (ja) * 1990-02-13 2000-06-19 カーベルメタル・エレクトロ・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長尺の材料を引抜きおよび/または案内するための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4203B2 (ja) * 1990-02-13 2000-06-19 カーベルメタル・エレクトロ・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長尺の材料を引抜きおよび/または案内するための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43160B (zh) 一种复合软管的流延型对接焊接设备
US9375776B2 (en) Apparatus for closing pittsburgh seams associated with duct assemblies and other box-shaped members
KR102169145B1 (ko) 복합관의 제조용 견인장치
CN109317872A (zh) 一种集装箱波纹型焊缝自动焊接工装及其使用的焊接方法
US3681560A (en) Method and means for welding pipe sections
US6737601B1 (en) Method and device for welding together two bodies
US20140305575A1 (en) Apparatus for butt joining sheet members and method for using same
CN113909629A (zh) 一种石油管道对接焊接设备及焊接工艺
US4143801A (en) Multiple welding head system for fabricating pipe
CN117110055A (zh) 一种电缆生产用拉伸检测装置
CN107335957A (zh) 板状构件焊接拼装装置
US3700158A (en) Apparatus for making thin walled metal tubing
US2515179A (en) Method of producing container bodies
RU246785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хватки гофростенок к рамке крышки и днищу корпусов трансформаторов
CN110549058B (zh) 异形焊接件用全向定位焊接机
KR101041709B1 (ko) 이종재질 튜브의 자동 솔더링장치 및 이종재질의 튜브
KR100371510B1 (ko) 중공 단면 소재를 이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6216690B2 (ja) 新設管路の製造方法、及び管材
US1874399A (en) Welding apparatus
CN109624288B (zh) 在线式自动端封机
JP2003531011A (ja) ひれ付パイプ
JPS5930487A (ja) ストレ−トシ−ム溶接鋼管の連続仮付溶接装置
KR940003001Y1 (ko) 스텐레스 관의 제조장치
JPH10249585A (ja) 管体中継ぎ部の内面溶接装置
JP3622679B2 (ja) 異種鋼管の兼用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