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8561B1 - 다중 충전 방식으로 충전이 가능한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충전 방식으로 충전이 가능한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8561B1
KR102168561B1 KR1020190026764A KR20190026764A KR102168561B1 KR 102168561 B1 KR102168561 B1 KR 102168561B1 KR 1020190026764 A KR1020190026764 A KR 1020190026764A KR 20190026764 A KR20190026764 A KR 20190026764A KR 102168561 B1 KR102168561 B1 KR 102168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charging
circuit
case
antenn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3105A (ko
Inventor
이경학
최운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워프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워프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워프솔루션
Publication of KR20200083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02J7/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다중 충전 방식으로 충전이 가능한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복수의 면들로 구성되는 케이스; 상기 복수의 면들에 각각 대응하며 서로 다른 무선 충전 방식을 지원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안테나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채,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에서 발생시키는 무선 충전 신호를 상기 복수의 면들 중 어느 하나의 면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수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충전 방식으로 충전이 가능한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POLYHEDRON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APPARATUS CAPABLE OF CHARGING USING MULTI CHARGING TECHNIQUE}
아래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면들로 구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무선 충전 방식을 지원하는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휴대용 단말기들이 널리 보급되면서, 휴대용 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무선 충전 기술 또한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무선 충전 기술은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서 무선 충전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무선 충전 수신 장치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하는 기술로서, 무선 충전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진 방식 또는 RF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만을 이용하는 한계를 갖는다.
이에,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진 방식 및 RF 방식 모두를 적응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송신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일 실시예들은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진 방식 및 RF 방식 모두를 적응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 및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 충전 방법을 제안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충전 방식으로 충전이 가능한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복수의 면들로 구성되는 케이스; 상기 복수의 면들에 각각 대응하며 서로 다른 무선 충전 방식을 지원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안테나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채,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에서 발생시키는 무선 충전 신호를 상기 복수의 면들 중 어느 하나의 면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수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가 접촉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면 또는 상기 복수의 면들 중 상기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의 배치에 따라 상면에 해당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면을 인식하여, 상기 무선 충전 신호를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 상기 인식된 어느 하나의 면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충전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 어느 하나의 안테나를 선택하고, 상기 무선 충전 신호를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은, 자기 유도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 자기 공진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 또는 RF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 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에 의해 공유되도록 단일 회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가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를 충전하고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면들 중 어느 하나의 면에는,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를 충전하는 동작과 관련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를 충전하고 있는 도중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의 충전 상태에 따라 충전 방식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충전 방식 변경이 필요한 경우,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의 사용자에게 충전 방식 변경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를 충전하는 동시에, 상기 무선 충전 신호를 상기 복수의 면들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면을 제외한 나머지 하나의 면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와 구별되는 다른 무선 충전 수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다른 무선 충전 수신 장치도 함께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는, 복수의 블록들로 구성되는 큐브로 구현되어, 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면들이 상기 복수의 면들 각각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복수의 면들 중 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배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상면에 해당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면을 인식하여, 상기 무선 충전 신호를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 상기 인식된 어느 하나의 면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배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에서 발생시키는 상기 무선 충전 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충전 방식으로 충전이 가능한 무선 충전 시스템은,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 및 상기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의해 충전되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복수의 면들로 구성되는 케이스; 상기 복수의 면들에 각각 대응하며 서로 다른 무선 충전 방식을 지원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안테나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채,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 및 무선 충전 신호를 상기 복수의 면들 중 어느 하나의 면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면들로 구성되는 케이스, 상기 복수의 면들에 각각 대응하며 서로 다른 무선 충전 방식을 지원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안테나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채,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충전 방법은, 상기 복수의 면들 중 무선 충전 수신 장치가 접촉되는 어느 하나의 면 또는 상기 복수의 면들 중 상기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의 배치에 따라 상면에 해당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면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에서 발생시키는 무선 충전 신호를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 상기 인식된 어느 하나의 면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면들로 구성되는 케이스, 상기 복수의 면들에 각각 대응하며 서로 다른 무선 충전 방식을 지원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안테나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채,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충전 방법은, 무선 충전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충전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 어느 하나의 안테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에서 발생시키는 무선 충전 신호를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면들로 구성되는 케이스-상기 케이스는 복수의 블록들로 구성되는 큐브로 구현되어 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면들이 상기 복수의 면들 각각을 구성함-, 상기 복수의 면들에 각각 대응하며 서로 다른 무선 충전 방식을 지원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안테나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채,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충전 방법은, 상기 복수의 면들 중 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배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상면에 해당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면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에서 발생시키는 무선 충전 신호를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 상기 인식된 어느 하나의 면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수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들은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진 방식 및 RF 방식 모두를 적응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 및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 충전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서 무선 충전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충전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충전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충전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100)은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110) 및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를 포함한다.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110)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를 충전하도록 무선 충전 신호를 발생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무선 충전 신호를 발생 및 전송하는 방식인 무선 충전 방식으로서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진 방식 및 RF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진 방식 및 RF 방식은 기존에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110)는, 케이스(210), 복수의 안테나들(220),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230) 및 제어 회로(240)를 포함한다.
케이스(210)는 복수의 면들(211, 212, 213)로 구성되며, 이하, 정육면체의 형상인 것으로 설명되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210)의 배치에 따른 상면(211)이 지면과 수평을 이뤄 상면(211)에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가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하, 복수의 면들(211, 212, 213)이 세 개의 면들로 설명되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210)의 형상이 갖게 되는 면들의 개수일 수 있다.
특히, 케이스(210)는 도 3과 같이 복수의 블록들로 구성되는 큐브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케이스(210)의 복수의 면들(211, 212, 213) 각각은 큐브의 복수의 블록들의 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블록의 면(211-1), 제2 블록의 면(211-2), 제3 블록의 면(211-3), 제4 블록의 면(211-4), 제5 블록의 면(211-5), 제6 블록의 면(211-6), 제7 블록의 면(211-7), 제8 블록의 면(211-8) 및 제9 블록의 면(211-9)이 케이스(210)의 제1 면(211)을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210)의 복수의 면들(211, 212, 213)은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안테나들(22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충전 신호를 통과시키는 역할 이외에도, 무선 충전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면들(211, 212, 213) 중 어느 하나의 면(213)에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를 충전하는 동작과 관련된 정보(충전되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가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의 식별 정보, 충전 완료 예상 시각,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상 충전 퍼센티지 등)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복수의 안테나들(220)은 케이스(210)의 복수의 면들(211, 212, 213)에 각각 대응하며 서로 다른 무선 충전 방식을 지원하도록 케이스(210)의 내부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안테나들(220)은 자기 유도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 자기 공진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 또는 RF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자기 유도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는 복수의 면들(211, 212, 213,) 중 제1 면(211)에 대응하도록 케이스(2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자기 공진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는 복수의 면들(211, 212, 213,) 중 제2 면(212)에 대응하도록 케이스(2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RF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는 복수의 면들(211, 212, 213) 중 제3 면(213)에 대응하도록 케이스(2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안테나가 어느 하나의 면에 대응하도록 케이스(210)의 내부에 형성된다는 것은, 특정 안테나가 무선 충전 신호를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면을 통과하여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도록 케이스(210)의 내부에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케이스(210)가 큐브로 구현되는 경우, 복수의 안테나들(220)은 큐브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들 중 케이스(210)의 정육면체 형상에서 각 면의 중심에 위치하게 되는 블록들에 각각 대응하며 서로 다른 무선 충전 방식을 지원하도록 케이스(2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 유도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는 케이스(210)의 제1 면(211)에서 중심에 위치하는 블록(211-5)에 대응하도록 케이스(2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자기 공진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는 케이스(210)의 제2 면(212)에서 중심에 위치하는 블록(212-1)에 대응하도록 케이스(2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RF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는 케이스(210)의 제3 면(213)에서 중심에 위치하는 블록(213-1)에 대응하도록 케이스(2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230)는 케이스(210)의 내부에 배치된 채 복수의 안테나들(220)과 연결되어, 무선 충전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230)는 복수의 안테나들(220)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으나(예컨대, 제1 충전 회로가 자기 유도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에 대응하도록 구비되고, 제2 충전 회로가 자기 공진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에 대응하도록 구비됨),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안테나들(220)에 의해 공유되도록 단일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230)는 복수의 안테나들(220)들과 스위칭 동작을 통해 연결을 유지하고, 연결을 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2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제어 회로(240)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230)에서 발생시키는 무선 충전 신호를 케이스(210)의 복수의 면들(211, 212, 213) 중 어느 하나의 면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로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230)를 제어한다. 이하, 제어 회로(240)가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230)를 제어한다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230)에서 무선 충전 신호를 발생시키는 동작, 복수의 안테나들(220) 중 스위칭 동작을 통해 연결될 안테나를 선택하는 동작 및 선택된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신호를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로 전송하는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240)는, 케이스(210)의 복수의 면들(211, 212, 213,) 중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가 접촉되는 어느 하나의 면을 인식하여, 복수의 안테나들(220) 중 인식된 어느 하나의 면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로 무선 충전 신호를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230)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케이스(210)가 큐브로 구현된다면, 제어 회로(240)는, 큐브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들의 면들(211-1, 211-2, 211-3, 211-4, 211-5, 211-6, 211-7, 211-8, 211-9) 중 케이스(210)의 정육면체 형상에서 각 면의 중심에 위치하게 되는 블록의 면에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가 접촉됨을 인식하여, 복수의 안테나들 중 해당 블록의 면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로 무선 충전 신호를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면(211)에서 중심에 위치하는 블록(211-5)의 면에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가 접촉되면, 제어 회로(240)는 해당 블록(211-5)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로 무선 충전 신호를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다른 예를 들면, 제어 회로(240)는, 케이스(210)의 복수의 면들(211, 212, 213) 중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110)의 배치에 따라 상면에 해당되는 어느 하나의 면을 인식하여, 복수의 안테나들(220) 중 인식된 어느 하나의 면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로 무선 충전 신호를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이 때, 케이스(210)가 큐브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 회로(240)는, 큐브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들의 배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상면에 해당되는 어느 하나의 면에서 중심에 위치하게 되는 블록을 인식하여, 복수의 안테나들(220) 중 인식된 블록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로 무선 충전 신호를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어 회로(240)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충전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안테나들(220) 중 어느 하나의 안테나를 선택하고, 무선 충전 신호를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로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 회로(240)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를 충전하고 있는 도중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충전 방식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충전 방식 변경이 필요한 경우,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의 사용자에게 충전 방식 변경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240)는, 무선 충전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복수의 안테나들(220)과 구별되는 별도의 통신용 안테나(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로부터 충전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어 회로(240)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가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가 기준값 이하일 때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로부터 급속 충전이 필요하다는 정보를 수신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방전을 방지하고자 충전 속도가 빠른 자기 유도 방식을 기반으로 무선 충전을 수행하다가,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가 기준값을 초과하게 되어 급속 충전이 불필요하다는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RF 방식으로 무선 충전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통신용 안테나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제어 회로(240)가 하나의 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하나의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를 무선 충전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제어 회로(240)는 하나의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를 무선 충전하는 동시에, 다른 무선 충전 방식으로 다른 무선 충전 수신 장치를 함께 충전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회로(240)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를 충전하는 동시에, 무선 충전 신호를 케이스(210)의 복수의 면들(211, 212, 213) 중 어느 하나의 면을 제외한 나머지 하나의 면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수신 장치와 구별되는 다른 무선 충전 수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230)를 제어함으로써, 다른 무선 충전 수신 장치도 함께 충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회로(240)는 복수의 안테나들(220) 중 무선 충전 수신 장치(120)가 사용하는 무선 충전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를 선택하여 해당 무선 충전 방식으로 무선 충전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다양한 무선 충전 방식을 선택적, 적응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110)는 안테나를 선택하는 과정을 복수의 면들(211, 212, 213)로 구성되는 케이스(210)를 기반으로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며 직관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400)는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상술된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포함되는 구성부로서, 전원부(410), 신호 발생부(420), 신호 증폭기(430) 및 매칭 회로(440)를 포함한다.
전원부(410)는 신호 발생부(420), 신호 증폭기(430) 및 매칭 회로(440) 각각의 동작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로서,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가 자체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배터리를 의미할 수 있으며, 외부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현되는 경우 전원을 공급받는 단자를 의미할 수 있다.
신호 발생부(420)는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포함되는 복수의 안테나들 각각의 무선 충전 방식에 적합한 주파수 대역의 무선 충전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복수의 안테나들 각각의 무선 충전 방식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무선 충전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신호 증폭기(430)는 신호 발생부(420)로부터 생성되는 무선 충전 신호를 증폭하여 매칭 회로(440)로 전달한다. 이하, 신호 증폭기(430)가 신호 발생부(43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으며, 신호 발생부(430)에서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무선 충전 신호들을 생성하는 경우 신호 발생부(420)와 신호 증폭기(430) 사이에는 무선 충전 신호들의 다양한 주파수 대역들을 매칭시키는 매칭 회로(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될 수도 있다.
매칭 회로(440)는 신호 증폭기(430)에서 증폭된 무선 충전 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매칭하여 출력하는 구성요소로서,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무선 충전 신호들이 매칭될 수 있도록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게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400)에는 복수의 안테나들과 매칭 회로(440)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는, 매칭 회로(440)에서 출력되는 무선 충전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들 중 특정 안테나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400)는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포함되는 제어 회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발생부(420)에서 무선 충전 신호를 발생시키는 동작, 스위치를 통해 무선 충전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들 중 특정 안테나로 전달하는 동작 등은 제어 회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5 내지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서 무선 충전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포함되는 제어 회로(미도시)는, 케이스(510)의 복수의 면들(511, 512, 513) 중 무선 충전 수신 장치(520)가 접촉되는 어느 하나의 면을 인식하여, 복수의 안테나들(미도시) 중 인식된 어느 하나의 면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수신 장치(520)로 무선 충전 신호를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 유도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가 케이스(510)의 복수의 면들(511, 512, 513) 중 제1 면(511)에 대응하도록 케이스(510)의 내부에 형성되고, 자기 공진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가 복수의 면들(511, 512, 513) 중 제2 면(512)에 대응하도록 케이스(510)의 내부에 형성되며, RF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가 복수의 면들(511, 512, 513) 중 제3 면(513)에 대응하도록 케이스(5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무선 충전 수신 장치(520)가 제2 면(512)에 접촉하게 되면, 제어 회로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520)가 제2 면(512)에 접촉되었음을 인식하여 제2 면(512)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수신 장치(520)로 무선 충전 신호를 자기 공진 방식을 기반으로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회로가 케이스(510)의 복수의 면들(511, 512, 513) 중 무선 충전 수신 장치(520)가 접촉되는 어느 하나의 면을 인식하는 것은, 복수의 면들(511, 512, 513,)에 배치된 다양한 센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케이스(510)가 큐브로 구현된다면, 제어 회로는, 큐브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들 중 케이스(510)의 정육면체 형상에서 각 면의 중심에 위치하게 되는 블록의 면에 무선 충전 수신 장치(520)가 접촉됨을 인식하여, 복수의 안테나들 중 해당 블록의 면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수신 장치(520)로 무선 충전 신호를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 유도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가 복수의 블록들(511-1, 512-1, 513-1) 중 제1 블록(511-1)에 대응하도록 케이스(510)의 내부에 형성되고, 자기 공진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가 복수의 블록들(511-1, 512-1, 513-1) 중 제2 블록(512-1)에 대응하도록 케이스(510)의 내부에 형성되며, RF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가 복수의 블록들(511-1, 512-1, 513-1) 중 제3 블록(513-1)에 대응하도록 케이스(5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무선 충전 수신 장치(520)가 제3 블록(513-1)에 접촉하게 되면, 제어 회로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520)가 제3 블록(513-1)에 접촉되었음을 인식하여 제3 블록(513-1)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수신 장치(520)로 무선 충전 신호를 RF 방식을 기반으로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 회로가 복수의 블록들(511-1, 512-1, 513-1) 중 무선 충전 수신 장치(520)가 접촉되는 어느 하나의 블록을 인식하는 것은, 복수의 블록들(511-1, 512-1, 513-1)에 배치된 다양한 센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처럼 제어 회로가 케이스(510)의 복수의 면들(511, 512, 513) 중 무선 충전 수신 장치(520)가 접촉되는 어느 하나의 면을 인식하거나, 복수의 블록들 중 케이스(510)의 정육면체 형상에서 각 면의 중심에 위치하게 되는 블록의 면에 무선 충전 수신 장치(520)가 접촉됨을 인식하여 무선 충전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를 선택하는 경우의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복수의 면들(511, 512, 513) 중 상면(511)이 아닌 측면(512, 513)에서도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측면(512, 513)에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가 부착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일례로, 자석이 배치되거나 홈이 형성되는 구조).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포함되는 제어 회로(미도시)는, 케이스(610)의 복수의 면들(611, 612, 613) 중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의 배치에 따라 상면에 해당되는 어느 하나의 면을 인식하여, 복수의 안테나들(미도시) 중 인식된 어느 하나의 면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수신 장치(620)로 무선 충전 신호를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를 이리저리 돌리며 도면과 같이 배치하게 되면 상면에 해당되는 면은 제1 면(611)이게 되고, 사용자는 상면인 제1 면(611)에 무선 충전 수신 장치(620)를 놓을 수 있다. 이에, 자기 유도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가 케이스(610)의 복수의 면들(611, 612, 613) 중 제1 면(611)에 대응하도록 케이스(610)의 내부에 형성되고, 자기 공진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가 복수의 면들(611, 612, 613) 중 제2 면(612)에 대응하도록 케이스(610)의 내부에 형성되며, RF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가 복수의 면들(611, 612, 613) 중 제3 면(613)에 대응하도록 케이스(6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어 회로는 현재 상면이 제1 면(611)임을 인식하여 제1 면(611)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수신 장치(620)로 무선 충전 신호를 자기 유도 방식을 기반으로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케이스(710)가 큐브로 구현되는 경우, 큐브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들(711-1, 712-1, 713-1)은 케이스(710)의 복수의 면들(711, 712, 713)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복수의 블록들(711-1, 712-1, 713-1)의 배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케이스(710)에서 상면에 대항되는 면에는 어느 하나의 블록(711-1)이 그 면의 중심에 위치하게 된다. 제어 회로(미도시)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복수의 블록들(711-1, 712-1, 713-1)의 배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상면에 해당되는 어느 하나의 면에서 중심에 위치하게 되는 블록(711-1)을 인식함으로써, 복수의 안테나들(미도시) 중 인식된 블록(711-1)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수신 장치(720)로 무선 충전 신호를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730)인 큐브를 조작하여 복수의 블록들(711-1, 712-1, 713-1)을 이리저리 돌리며 도면과 같이 배치하게 되면 상면에 해당되는 제1 면(711)의 중심에 위치하는 블록은 제1 블록(711-1)이게 되고, 사용자는 상면에 무선 충전 수신 장치(720)를 놓을 수 있다. 이에, 자기 유도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가 케이스(710)의 복수의 블록들(711-1, 712-1, 713-1) 중 제1 블록(711-1)에 대응하도록 케이스(710)의 내부에 형성되고, 자기 공진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가 복수의 블록들(711-1, 712-1, 713-1) 중 제2 블록(712-1)에 대응하도록 케이스(710)의 내부에 형성되며, RF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가 복수의 블록들(711-1, 712-1, 713-1) 중 제3 블록(713-1)에 대응하도록 케이스(7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어 회로는 현재 상면이 제1 면(711)이며 제1면(711)의 중심에 위치하는 블록이 제1 블록(711-1)임을 인식하여, 제1 블록(711-1)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수신 장치(720)로 무선 충전 신호를 자기 유도 방식을 기반으로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회로는 큐브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들(711-1, 712-1, 713-1)의 배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무선 충전 방식을 결정하는 것(서로 다른 무선 충전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들 중 어느 하나의 안테나를 결정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복수의 블록들(711-1, 712-1, 713-1)의 배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에서 발생시키는 무선 충전 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할 수도 있다. 복수의 블록들(711-1, 712-1, 713-1)의 배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무선 충전 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은, 복수의 블록들(711-1, 712-1, 713-1)의 배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안테나들 중 어느 하나의 안테나를 결정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 회로(미도시)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81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충전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안테나들(미도시) 중 어느 하나의 안테나를 선택하고, 무선 충전 신호를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수신 장치(810)로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무선 충전 수신 장치(810)를 들고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820)로 근접하게 되면, 무선 충전 수신 장치(810)가 사용 가능한 무선 충전 방식과 관련된 정보가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82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제어 회로는 수신되는 정보로부터 무선 충전 수신 장치(810)가 사용 가능한 무선 충전 방식을 확인하고, 복수의 안테나들 중 해당 무선 충전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를 선택하여 해당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신호를 무선 충전 수신 장치(810)로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충전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설명되는 무선 충전 방법은,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전술된 무선 충전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과 관련된 것으로,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보다 정확하게는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포함되는 제어 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단계(S910)에서, 케이스의 복수의 면들 중 무선 충전 수신 장치가 접촉되는 어느 하나의 면 또는 복수의 면들 중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의 배치에 따라 상면에 해당되는 어느 하나의 면을 인식한다.
이에,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단계(S920)에서,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에서 발생시키는 무선 충전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들 중 인식된 어느 하나의 면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수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한다.
도 10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충전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설명되는 무선 충전 방법은, 도 58을 참조하여 전술된 무선 충전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과 관련된 것으로,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보다 정확하게는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포함되는 제어 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단계(S1010)에서, 무선 충전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충전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안테나들 중 어느 하나의 안테나를 선택한다.
이에,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단계(S1020)에서,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에서 발생시키는 무선 충전 신호를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수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한다.
도 11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충전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설명되는 무선 충전 방법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된 무선 충전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과 관련된 것으로,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보다 정확하게는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포함되는 제어 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단계(S1110)에서, 큐브(큐브는 복수의 블록들로 구성됨)로 구현되는 케이스의 복수의 면들 중 복수의 블록들의 배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상면에 해당되는 어느 하나의 면을 인식한다. 이 때, 상면에 해당되는 어느 하나의 면을 인식한다는 것은, 상면에 해당되는 어느 하나의 면의 중심에 위치하는 블록(또는 블록의 면)을 인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단계(S1120)에서,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에서 발생시키는 무선 충전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들 중 인식된 어느 하나의 면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수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6)

  1. 다중 충전 방식으로 충전이 가능한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블록들로 구성되는 큐브로 구현되어, 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면들이 복수의 면들 각각을 구성하는 케이스;
    상기 복수의 면들에 각각 대응하며 서로 다른 무선 충전 방식을 지원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안테나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채,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 및
    상기 복수의 면들 중 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배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면의 중심에 위치하는 블록을 인식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면을 상면으로 인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에서 발생시키는 무선 충전 신호를 상기 인식된 어느 하나의 면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수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
    를 포함하는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
  2. 삭제
  3. 다중 충전 방식으로 충전이 가능한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블록들의 면로 구성되는 케이스;
    상기 복수의 면들에 각각 대응하며 서로 다른 무선 충전 방식을 지원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안테나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채,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 및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로부터 무선 충전 방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되는 무선 충전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 어느 하나의 안테나를 선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에서 발생시키는 무선 충전 신호를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
    를 포함하는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은,
    자기 유도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 자기 공진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 또는 RF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 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에 의해 공유되도록 단일 회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
  7.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가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를 충전하고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면들 중 어느 하나의 면에는,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를 충전하는 동작과 관련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
  8.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를 충전하고 있는 도중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의 충전 상태에 따라 충전 방식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충전 방식 변경이 필요한 경우,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의 사용자에게 충전 방식 변경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
  9.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를 충전하는 동시에, 상기 무선 충전 신호를 상기 복수의 면들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면을 제외한 나머지 하나의 면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와 구별되는 다른 무선 충전 수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다른 무선 충전 수신 장치도 함께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배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에서 발생시키는 상기 무선 충전 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복수의 면들로 구성되는 케이스, 상기 복수의 면들에 각각 대응하며 서로 다른 무선 충전 방식을 지원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안테나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채,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충전 방법에 있어서,
    무선 충전 수신 장치로부터 무선 충전 방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무선 충전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 어느 하나의 안테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에서 발생시키는 무선 충전 신호를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방법.
  16. 복수의 면들로 구성되는 케이스-상기 케이스는 복수의 블록들로 구성되는 큐브로 구현되어 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면들이 상기 복수의 면들 각각을 구성함-, 상기 복수의 면들에 각각 대응하며 서로 다른 무선 충전 방식을 지원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안테나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채,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충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면들 중 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배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면의 중심에 위치하는 블록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블록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면을 상면으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에서 발생시키는 무선 충전 신호를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 상기 인식된 어느 하나의 면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 수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방법.
KR1020190026764A 2018-12-28 2019-03-08 다중 충전 방식으로 충전이 가능한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 KR102168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72079 2018-12-28
KR1020180172079 2018-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105A KR20200083105A (ko) 2020-07-08
KR102168561B1 true KR102168561B1 (ko) 2020-10-21

Family

ID=7160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764A KR102168561B1 (ko) 2018-12-28 2019-03-08 다중 충전 방식으로 충전이 가능한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856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737B1 (ko) * 2007-11-30 2010-07-21 정춘길 멀티무접점충전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755284B1 (ko) * 2015-11-17 2017-07-0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다면체 구조를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용 3차원 전 방향 공진기,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20180005421A (ko) * 2016-07-06 2018-01-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폴더블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제어 방법
TWI686116B (zh) * 2018-04-30 2020-02-21 佳必琪國際股份有限公司 功能模組集成裝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105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7377B2 (ja) 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無線電力伝送装置、無線電力伝送方法、無線電力伝送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0014731B2 (en) Battery charging station for wireless battery charging
US9742216B2 (en)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variable charging mode
KR101830734B1 (ko) 무선전력전송방법 및 장치
KR101110325B1 (ko) 공진 및 자기장 통신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
KR102322469B1 (ko) Endc를 지원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EP3394990B1 (en)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4620511A (zh) 无线发射器的静态调谐
KR20130087708A (ko) 임피던스 매칭이 가능한 무선 전력 송신장치
JP2020504992A (ja) 配送される無線電力を最大化するために近接場充電パッドのアンテナ区域を選択的に活性化する方法
CN101622801A (zh) 使用位置信息设置无线电发射机的管制遵循特性
US9948133B2 (en) Wireless charging method,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KR20160132464A (ko) 복수의 안테나들 및 지역화 변수들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KR20200007233A (ko) 대역 조합에 대한 정보를 적응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250248B1 (ko) Uwb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
US98944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KR102168561B1 (ko) 다중 충전 방식으로 충전이 가능한 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
WO2003105355A1 (ja) 通信装置
KR20200129853A (ko) 무선 통신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3393007A1 (en)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selectively using antenna
JP2018128293A (ja) ビーコントラッキン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5024439A (zh) 一种无线储能平台
KR20190040161A (ko)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US20160336784A1 (en) Reconfigrable charging station for extended power capability and active area
CN103108191A (zh) 用于形成彩色相机图像的装置和相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