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8418B1 - 황칠나무, 황기 및, 두릅나무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칠나무, 황기 및, 두릅나무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8418B1
KR102168418B1 KR1020190091842A KR20190091842A KR102168418B1 KR 102168418 B1 KR102168418 B1 KR 102168418B1 KR 1020190091842 A KR1020190091842 A KR 1020190091842A KR 20190091842 A KR20190091842 A KR 20190091842A KR 102168418 B1 KR102168418 B1 KR 102168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xpression
cell
weight
invol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호
전광주
Original Assignee
김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호 filed Critical 김덕호
Priority to KR1020190091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황칠나무, 황기 및, 두릅나무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세포활성 단백질 발현에 관여하는 PCNA(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증식세포 핵 항원)와 BCL-2(B-Cell Lymphoma 2: B 세포 림프종 2), 그리고 세포혈관 생성 및 유지에 관여 하는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혈관 내피세포 성장 인자)의 발현은 효과적으로 증대시키되, 세포자살 단백질 발현에 관여하는 Caspase-3(카스파제-3)의 발현은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으로써, 세포 활성을 활발히 하고 혈관 생성을 원활히 함으로써 피부 세포에 대한 영양소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피부 재생 및 건강한 세포 유지에 도움을 준다.

Description

황칠나무, 황기 및, 두릅나무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Feminine Cleanser Composition Comprising Combined Extract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Astragalus membranaceus and Aralia elata}
본 발명은 황칠나무, 황기 및, 두릅나무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한 피부 세포 활성 및 피부 탄력 부여능을 가지는 황칠나무, 황기 및, 두릅나무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상록활엽교목인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는 세계에서 오직 한국의 해남 완도 등의 남부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자생하며 겨울에도 낙엽이 지지 않는 수종으로 수피에 상처를 주면 황색의 수액이 나오는데, 이를 황칠이라 한다.
황칠은 삼국시대부터 황제의 갑옷, 투구, 기타 금속 장신구의 황금색을 발하는 진귀한 도료로 이용되어 왔다.
또한 황칠은 이러한 도료적 기능 이외에 안식향으로서의 신경 안정 효능을 가지고 있고(이영민, 장흥군농업기술센터, 2012), 이시진의 본초강목에는 번열 제거, 안질 및 화상 치료, 중풍, 나병 등에 효과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그 뿌리와 줄기는 거풍습, 황멸맥, 풍습비통, 편두통, 월경불순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왔다(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63-66, 2000).
또한 황칠나무에는 세스퀴테르펜류에 속하는 βselinene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capnellane-8-one가 다음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Korean J. Biotechnol. Bioeng. 10:393-400, 1995).
근래들어, 황칠나무 추출물의 피부 미백 활성, 항암 활성, 항염증 활성, 숙취 해소 기능, 진해 활성 등 생리활성이 보고된 바 있으며(박수아 등, 한국미생물 생명공학학회지 41(4):407-415, 2013; 유해양, 동아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2012; 문창곤, 인제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007; 한국 공개특허 제2014-0070470호; 한국 등록특허 제1283775호), 건강보조식품과 식품 첨가제 등의 소재로의 사용이 제안되어 있다(한국 등록특허 제1162699호; 한국 등록특허 제1333007호).
본 발명과 관련한 전형적인 종래기술로서는, 청결제 베이스에 디소듐이디티에이,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시트릭애씨드, 기능성약초추출물을 혼합한 다음 2일 내지 3일간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능성약초추출물은 한련초추출물 0.2중량부, 황칠추출물 0.2중량부, 마치현추출물 0.2중량부, 고장초추출물 0.2중량부, 산죽추출물 0.2중량부, 사자발추출물 0.2중량부, 비파추출물 0.2중량부를 혼합하는 여성청결제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1530호(2016,08.22. 등록)와, 와송추출물 0.2중량부, 사자발추출물 0.2중량부, 한련초추출물 0.2중량부, 황칠추출물 0.2중량부, 마치현추출물 0.2중량부, 고장초추출물 0.2중량부, 산죽추출물 0.2중량부로 된 기능성 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청결제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22657호(2018.11.21. 등록)를 들수 있다.
한편, 황기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의 주피를 벗긴 뿌리로, 성분으로는 자당, 글루코론산, 다종의 아미노산, 고미질, 점액질, 콜린, 베타인 및 엽산 등을 포함한다.
황기는 조혈작용이 있으며(Ma R. et al., J Tradit Chin Med. Sep; 3(3):199-204, 1983), 항산화작용이 있고(이춘영, 강원대 농업과학연구소 논문집 15:103, 2004), 토끼의 조골세포분화에 효과가 있으며(Xu CJ. et al., Zhong Nan Da Xue xue Bao Yi Xue Ban, Aug;29(4):489-91, 2004), 난소적출쥐에서 골다공증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Kim C. et al., Arch Pharm Res. Nov;26(11):917-924, 2003).
또한, 한방에서는 보기요약으로서 신체허약, 자한, 종기, 복통, 식욕부진, 치질, 자궁출혈, 부인대하, 월경불순, 산전산후일절병, 두통, 이질 등에 사용하여 왔다.
두릅나무(Aralia elata)는 한반도 전역에 야생 또는 재배되고 있는 낙엽활엽 관목으로 분류학상 인삼, 오갈피나무 등과 함께 두릅나무과 (Araliaceae)에 속하며 봄에 새순을 채취하여 나물로 식용하고 있으며, 줄기껍질이나 뿌리 등은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두릅나무의 유용성분에 대한 관한 연구에는 Kochetkov 등이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사포닌성 배당체인 아랄로사이드 A, B, C 등을 단리하였고, 1929년 Kuwata가 트리테르페노이드 글리코사이드(triterpenoid glycoside)와 프로토카테츄산(protocatechuic acid)을 분리하였으며, 뿌리 껍질 추출물이 항당뇨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Seifulla et al, 1962). Sato 등은 두릅나무 잎에서 11종의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 및 플라보노이드 배당체 2종을, Jiang 등은 뿌리 껍질에서 아랄로사이드 A를 포함한 8종의 화합물을 단리하였다. 또한 두릅나무 껍질로부터 항산화 활성이 있고, 미생물 생육 저해 효과가 우수하면서 안전성이 높아 식품보존제로 유용한 물질인 3,4-디히드록시 벤조산(Dihydroxybenzoic acid)을 분리, 정제하였다.
또한, 두릅나무에는 아랄로사이드, 올레아놀산, 강심배당체화합물, 사포닌, 스티그마스테롤, 프로토카테츄산, 아미노산, 탄닌성분 등 유용성분이 함유되어 여러 가지 생체 조절기능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예로부터 민간 또는 한방에서는 두릅나무 뿌리와 줄기를 신경쇠약, 정신분열증, 당뇨병, 류마티스성 관절염, 위암, 위경련, 신장병, 저혈압, 강장 및 강정, 이뇨 등에 물로 우려내거나 다려서 이용되어 왔으며, 중국과 일본에서도 강장제, 항위궤양제, 당뇨병 치료 등에 민간요법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황칠나무, 황기 및, 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세포활성 단백질 발현에 관여하는 PCNA(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증식세포 핵 항원)와 BCL-2(B-Cell Lymphoma 2: B 세포 림프종 2), 그리고 세포혈관 생성 및 유지에 관여 하는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혈관 내피세포 성장 인자)의 발현은 증대시키되, 세포자살 단백질 발현에 관여하는 Caspase-3(카스파제-3)의 발현은 감소시킨다는 사실 및 그에 기초한 여성 청결제는 지금까지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1530호(2016,08.22. 등록)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22657호(2018.11.21.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포활성 단백질 발현에 관여하는 PCNA와 BCL-2, 그리고 세포혈관 생성 및 유지에 관여 하는 VEGF의 발현은 효과적으로 증대시키되, 세포자살 단백질 발현에 관여하는 Caspase-3의 발현은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세포 활성을 활발히 하고 혈관 생성을 원활히 함으로써 피부 세포에 대한 영양소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피부 재생 및 건강한 세포로의 유지에 도움이 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황칠나무와 황기와 두릅나무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에 의해 원활히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복합 추출물은 황칠나무의 잎 및 가지 추출물 30~70중량%와 황기 분말 추출물 10~50중량%와 두릅나무 목피 추출물 5~20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복합 추출물은 여성 청결제 전 중량 기준으로 1~5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황기 및, 두릅나무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은 세포활성 단백질 발현에 관여하는 PCNA와 BCL-2, 그리고 세포혈관 생성 및 유지에 관여 하는 VEGF의 발현은 효과적으로 증대시키되, 세포자살 단백질 발현에 관여하는 Caspase-3의 발현은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세포 활성을 활발히 하고 혈관 생성을 원활히 함으로써 피부 세포에 대한 영양소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피부 재생 및 건강한 세포 유지에 도움을 준다.
도 1은 ICR 마우스의 질 조직 내의 PCNA 단백질에 대한 IHC(Immunohistochemistry: 면역조직화학) 분석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ICR 마우스의 질 조직 내의 VEGF 단백질에 대한 IHC 분석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ICR 마우스의 질 조직 내의 BCL-2 단백질에 대한 IHC 분석 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ICR 마우스의 질 조직 내의 Caspase-3 단백질에 대한 IHC분석 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황칠나무와 황기와 두릅나무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에 의해 원활히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복합 추출물은 황칠나무의 잎 및 가지 추출물 30~70중량%와 황기 분말 추출물 10~50중량%와 두릅나무 목피 추출물 5~20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황칠나무 추출물의 함량이 3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세포활성 단백질 발현에 관여하는 PCNA와 BCL-2, 그리고 세포혈관 생성 및 유지에 관여 하는 VEGF의 발현 증대 효과 및, 세포자살 단백질 발현에 관여하는 Caspase-3의 발현 억제 효과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으며, 역으로 70중량%를 초과하면 황기 및 두릅나무 추출물에 의한 시너지 효과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황기 분말 추출물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이거나 두릅나무 목피 추출물이 5중량% 미만인 경우 그 첨가에 따른 시너지 효과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으며, 역으로 황기 분말 추출물이 50중량%를 초과하거나 두릅나무 목피 추출물이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황칠나무 추출물에 의한 전술한 효과를 저감시킬 우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여성 청결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복합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 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또는 이산화탄소 초임계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 수용액 또는 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이 상온에서 냉침, 가열 여과하여 얻어진 액상물, 또는 감압농축 또는 동결 건조하여 얻은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복합 추출물은 여성 청결제 전 중량 기준으로 1~5중량%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황칠나무의 잎 및 가지 100g을 5cm 크기로 세절한 후, 3kg의 물을 붓고 100℃에서 5시간 동안 끓여 황칠나무 추출물을 얻었으며, 황기 분말 100g에 대해서도 3kg의 물을 붓고 100℃에서 5시간 동안 끓여 황기 추출물을 얻었고, 마찬가지로 두릅나무 목피 100g에 대해서도 3kg의 물을 붓고 100℃에서 5시간 동안 끓여 두릅나무 추출물을 얻었다.
이후, 황칠나무 추출물 60g과 황기 추출물 30g과 두릅나무 추출물 10g을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얻었다.
시험예:
ICR 마우스 암컷의 생식기에 실시예에서의 황칠 추출물 단독, 황칠나무 추출물과 두릅나무 추출물, 그리고 황칠나무 추출물과 황기 추출물과 두릅나무 추출물로 된 복합 추출물을 각각 약 1ml를 주입하고 24시간 경과 후 조직을 절제한 다음, 블록을 만들고 발현 관련 항체를 붙여서 Immunohistochemistry(IHC: 면역조직화학) 방법으로 조사하였으며, IHC 분석에 이용한 세포활성 관련 항체는 PCNA, BCL-2, VEGF 및 Caspase-3이다.
IHC분석을 위하여 처리한 조직과 무처리 조직을 파라핀 슬라이드화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파라핀의 제거를 위하여 크실렌, 100% 에탄올, 95% 에탄올에 각각 20분 동안 2회 반복하여 파라핀 제거와, 탈수화 작용을 실시하였으며, 증류수에 5분 동안 안정화하여 항원 마스킹제거(Antigen unmasking)를 위하여 10mM 소디움 시트레이트에서 10분 동안 열처리를 하였다. 이 후, 얼음에서 20분, 증류수에 5분, 3% 하이드로젠 퍼옥사이드에 10분 동안 노출 시킨 후, 1X PBS에 5분 동안 세정하고 실온에서 한 시간 동안 블록킨하였다. 제1 항체(PCNA, BCL-2, VEGF 및, Caspase-3) 검출을 4℃에 하룻밤 동안 실시하였으며, 그 후 1X PBS으로 5분 동안 세정하여 제2 항체 검출을 실온에서 1시간 실시하고 1X PBS 5분씩 3회 세정하고 실온에서 30분 후 1X PBS에 3분씩 5회 세정했다. DAB 염색 후 퍼마운트(permount) 50ul로 고정하고 커버글래스를 덮어 광학현미경으로 분석(X100; X400)하였다.
무처리 한 대조군과 처리 1(황칠나무 추출물 단독), 처리 2(황칠나무 추출물 + 드룹나무 추출물), 처리3 (황칠나무 추출물 + 드룹나무 추출물 + 황기 추출물)에 대하여 세포활성에 관련된 각각의 단백질 발현을 서로 비교 분석 하였다.
도 1에 세포 활성 및 분열에 관여하는 PCNA 단백질 발현을 표시한 현미경 사진(큰 박스는 X100; 작은 박스는 X400)을 도 1로 첨부하였으며, 검은색 화살표는 검출된 단백질 부위이다(Ep: 상피세포 웰(Epithelium cell well), Lu: 루멘 존(Lumen zone)).
도 1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대조군과 대비하여, 처리 3에서 가장 세포 분열 및 세포활성 관여 PCNA 단백질 발현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신생 재생 세포 및 조직에 혈관 생성을 통하여 영양소를 공급하는 혈관생성 활성 물질인 VEGF 단백질 발현을 표시한 현미경 사진(큰 박스는 X100; 작은 박스는 X400)을 도 2로 첨부하였으며, 검은색 화살표는 검출된 단백질 부위이다(Ep: 상피세포 웰(Epithelium cell well), Lu: 루멘 존(Lumen zone)).
도 2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대조군과 대비하여, 처리 3에서 VEGF 발현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세포 활성 및 분열에 관여 하는 PCNA와 같은 기능을 갖는 BCL-2 단백질 발현을 표시한 현미경 사진(큰 박스는 X100; 작은 박스는 X400)을 도 3으로 첨부하였으며, 검은색 화살표는 검출된 단백질 부위이다(Ep: 상피세포 웰(Epithelium cell well), Lu: 루멘 존(Lumen zone)).
도 3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처리 3에서 가장 세포 분열 및 세포활성 관여 BCL-2 단백질 발현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한편, 세포 자살 및 세포사멸에 관여하는 Caspase-3 단백질 발현을 표시한 현미경 사진(큰 박스는 X100; 작은 박스는 X400)을 도 4로 첨부하였으며, 검은색 화살표는 검출된 단백질 부위이다(Ep: 상피세포 웰(Epithelium cell well), Lu: 루멘 존(Lumen zone)).
도 4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대조군과 대비하여, 처리 3에서 세포사멸에 관여 하는 Caspase-3의 발현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세포 재생 및 유지에 가장 뛰어난 작용을 하는 것은 처리 3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2: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숙시네이트 10.0중량%, 데실 글루코사이드 5.0중량%, 코가미도프로필 베타인 2.0중량%, 디소듐 코코암포아세테이트 5.0중량%, 소듐카프로일/라우로일 락틸레이트 0.1중량%, 알란토인 0.2중량%, 젖산 1중량%, 디소디움 이디테에이 0.01중량%, 실시예 1의 복합추출물 3중량%, 향료 적량, 잔부가 정제수로 이루어지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Claims (3)

  1. 황칠나무와 황기와 두릅나무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복합 추출물이 황칠나무의 잎 및 가지 추출물 30~70중량%와 황기 분말 추출물 10~50중량%와 두릅나무 목피 추출물 5~20중량%로 구성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복합 추출물이 여성 청결제 전 중량 기준으로 1~5중량%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KR1020190091842A 2019-07-29 2019-07-29 황칠나무, 황기 및, 두릅나무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KR102168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842A KR102168418B1 (ko) 2019-07-29 2019-07-29 황칠나무, 황기 및, 두릅나무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842A KR102168418B1 (ko) 2019-07-29 2019-07-29 황칠나무, 황기 및, 두릅나무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8418B1 true KR102168418B1 (ko) 2020-10-21

Family

ID=73034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842A KR102168418B1 (ko) 2019-07-29 2019-07-29 황칠나무, 황기 및, 두릅나무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841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1360A (ko) * 2005-06-16 2006-12-2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리활성이 뛰어난 황칠나무의 종실추출물
JP2011519947A (ja) * 2008-05-06 2011-07-14 バイオノボ・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膣および外陰の委縮を治療するために使用するエストロゲン様抽出物
KR101651530B1 (ko) 2015-10-26 2016-08-26 한방약초힐링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
KR101726757B1 (ko) * 2015-12-30 2017-04-1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7149624A (zh) * 2017-05-12 2017-09-12 娇美肤传统医学研究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治疗妇科炎症的中药组合物
KR20170123291A (ko) * 2017-08-30 2017-11-07 한방약초힐링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여성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42270A (ko) * 2016-06-17 2017-12-28 전은숙 부인병 예방과 항균 기능이 탁월한 황칠나무 추출액 패치가 구비된 생리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1360A (ko) * 2005-06-16 2006-12-2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리활성이 뛰어난 황칠나무의 종실추출물
JP2011519947A (ja) * 2008-05-06 2011-07-14 バイオノボ・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膣および外陰の委縮を治療するために使用するエストロゲン様抽出物
KR101651530B1 (ko) 2015-10-26 2016-08-26 한방약초힐링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
KR101726757B1 (ko) * 2015-12-30 2017-04-1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142270A (ko) * 2016-06-17 2017-12-28 전은숙 부인병 예방과 항균 기능이 탁월한 황칠나무 추출액 패치가 구비된 생리대
CN107149624A (zh) * 2017-05-12 2017-09-12 娇美肤传统医学研究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治疗妇科炎症的中药组合物
KR20170123291A (ko) * 2017-08-30 2017-11-07 한방약초힐링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여성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2657B1 (ko) 2017-08-30 2018-11-27 엔앤씨 메디메틱 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여성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58442B (zh) 一种复方中药提取物及其在美白保湿抗衰老护肤品中的应用
CN110731922A (zh) 增强的防脱生发组合物
KR101743197B1 (ko) 발효 홍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촉진용 두피 케어 샴푸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샴푸 조성물
JP5137457B2 (ja)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CN106214592A (zh) 毛囊营养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731976A (zh) 防脱生发组合物
KR101787531B1 (ko) 생약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1434717B1 (ko) 인삼 및 톳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CN108852951A (zh) 一种润肤洁肤组合物及植物沐浴露
KR101046438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을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80180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한방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2017013746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10058772A (ko)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0754748B1 (ko) 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5α-리덕테이즈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8418B1 (ko) 황칠나무, 황기 및, 두릅나무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KR101114307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2010222273A (ja) 養毛剤組成物
KR20050102345A (ko)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KR101742819B1 (ko)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한약재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2025777A (ja) 血管新生抑制剤及び外用剤
KR20130092260A (ko) 항비듬용 두피 조성물
KR100603122B1 (ko)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JP4979053B2 (ja) リンドウ抽出物を含む制癌剤、健康補助食品及び薬用化粧品、並びにリンドウ抽出物の製造方法
KR100789635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331675B1 (ko) 피부외용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