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8080B1 - 판유리의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판유리의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8080B1
KR102168080B1 KR1020190070910A KR20190070910A KR102168080B1 KR 102168080 B1 KR102168080 B1 KR 102168080B1 KR 1020190070910 A KR1020190070910 A KR 1020190070910A KR 20190070910 A KR20190070910 A KR 20190070910A KR 102168080 B1 KR102168080 B1 KR 102168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late glass
washing water
corner
deter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호권
Original Assignee
진호권
주식회사 에스엘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호권, 주식회사 에스엘케어 filed Critical 진호권
Priority to KR1020190070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0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2Power-driven machines or devices
    • A47L1/05Hand apparatus with built-in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08Hand implements with provision for supplying liquids, e.g. cleaning agents
    • B08B1/0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4Wipes; Absorbent members, e.g. swabs or sponges
    • B08B1/143W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유리의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 형상의 제1유닛본체를 구비하고, 벽, 문 또는 창문에 구비되는 판유리의 제1판면에 배치되는 제1유닛; 및 사각 형상의 제2유닛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판유리의 제2판면에 배치되는 제2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는 상기 판유리의 판면에 각각 접촉되는 접촉면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1유닛 및 제2유닛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접촉면에 구비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제1자력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유닛 및 제2유닛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접촉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자력유닛에 의해 발생된 자력에 의해 흡인되는 제1흡인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은, 상기 판유리의 제1판면 및 제2판면의 코너를 각각 청소하는 코너유닛; 및 상기 코너유닛을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에 대해 각각 상대 운동되게 구동시키는 코너유닛구동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코너유닛은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의 각 접촉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에 의해, 판유리의 코너 청소 성능을 제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판유리의 청소장치{CLEANING APPARATUS FOR PLATE GLASS}
본 발명은, 판유리의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판유리의 코너 청소가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한 판유리의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판유리의 청소장치는, 문 또는 창문의 판유리의 표면에 부착된 오염을 제거하는 청소장치의 일 종이다.
상기 판유리의 청소장치 중 일부는 상기 판유리의 표면에 접촉되는 스퀴즈 및 손잡이를 구비하여 상기 스퀴즈를 상기 판유리의 표면에 밀착하여 수동으로 상기 판유리의 오염을 제거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판유리의 청소장치에 있어서는, 수동으로 판유리의 오염을 제거하기 때문에 판유리의 청소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판유리의 표면에 접촉된 스퀴즈를 밀고 당기는 동작을 반복해야 하므로 작업자가 쉽게 지치고 피로하게 되어 판유리의 청소를 연속으로 하기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일부에는 자력에 의해 서로 흡인 가능하게 구성되는 한 쌍의 청소유닛(청소로봇)을 상기 판유리의 양 판면에 각각 배치하여 상호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판유리의 판면의 오염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 판유리의 청소장치가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청소유닛은 청소용 패드 및 이동을 위한 휠을 구비하고,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자율적으로 주행하면서 상기 판유리의 양 판면을 동시에 청소할 수 있는 로봇 형태로 주로 구현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로봇형태로 구현되는 판유리의 청소장치에 있어서는, 판유리의 코너의 청소가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로봇형태로 구현되는 청소유닛을 구비한 판유리의 청소장치에 있어서는, 판유리의 표면에 세제를 분사할 경우, 청소유닛의 휠과 판유리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어 청소유닛이 판유리의 표면으로부터 미끄러지게 되어 청소유닛의 주행이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로봇형태로 구현되는 청소유닛을 구비한 판유리의 청소장치에 있어서는, 판유리의 표면에 세척수를 공급할 경우 판유리의 표면을 세척한 오염된 세척수가 흘러내려 문틀 또는 창문틀 주변을 오염(2차 오염)시키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판유리의 청소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오염수에 의한 2차 오염을 제거 또는 처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세척수를 충분히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세정효과가 미흡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판유리의 청소장치에 있어서는, 세척수 및/또는 세제를 구비할 경우, 청소유닛의 자체의 중량에 세척수 및/또는 세제의 무게가 추가되므로, 청소유닛의 이동이 더욱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판유리의 청소장치에 있어서는, 청소유닛의 무게가 증가될 경우 청소유닛의 흡인력을 비례적으로 증가시켜야 하기 때문에, 청소유닛의 흡인을 위한 구성이 증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청소유닛의 흡인력을 상기 판유리의 강도 이상으로 증가시킬 경우, 상기 판유리의 균열 등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강도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판유리의 경우 청소유닛의 사용이 곤란하게 될 수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판유리의 청소장치에 있어서는, 판유리의 표면에 청소용 패드가 과도하게 접촉될 경우, 상기 청소용 패드의 강제 마모가 발생되어 상기 청소용 패드의 수명이 단축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60008498 A KR 1020190035006 A
따라서, 본 발명은, 판유리의 코너 청소 성능을 제고시킬 수 있는 판유리의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수를 이용하여 판유리를 세척할 수 있는 판유리의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된 세척수를 회수할 수 있는 판유리의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판유리의 표면에 부착되는 기기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판유리의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판유리와 패드의 과도한 접촉에 기인한 패드의 강제마모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판유리의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수, 세제 또는 왁스를 이용하여 판유리의 표면을 청소할 수 있는 판유리의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청소장치는, 판유리의 표면에 부착되는 유닛본체에 대해 상대 운동하는 코너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코너유닛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코너유닛이 유닛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코너유닛구동부에 의해 상기 코너유닛이 상기 유닛본체에 대해 상대 운동함으로써, 상기 유닛본체가 상기 판유리의 코너에 위치할 경우 상기 코너유닛에 의해 상기 판유리의 코너의 청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판유리의 청소장치는, 사각 형상의 제1유닛본체를 구비하고, 벽, 문 또는 창문에 구비되는 판유리의 제1판면에 배치되는 제1유닛; 및 사각 형상의 제2유닛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판유리의 제2판면에 배치되는 제2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는 상기 판유리의 판면에 각각 접촉되는 접촉면을 각각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유닛 및 제2유닛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접촉면에 구비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제1자력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유닛 및 제2유닛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접촉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자력유닛에 의해 발생된 자력에 의해 흡인되는 제1흡인유닛;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유닛 및 제2유닛은, 상기 제1자력유닛 및 상기 제1흡인유닛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상기 판유리를 사이에 두고 정지 또는 이동 시 서로 대면되는 자세(위치)를 유지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은, 상기 판유리의 제1판면 및 제2판면의 코너를 각각 청소하는 코너유닛; 및 상기 코너유닛을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에 대해 각각 상대 운동되게 구동시키는 코너유닛구동부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코너유닛은 상기 제1유닛 및 제2유닛의 각 접촉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너유닛은 상기 제1자력유닛 및 상기 제1흡인유닛의 자기력이 직접 작용하는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각각 이격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코너유닛이 상기 판유리에 과도하게 밀착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코너유닛은 상기 유닛본체에 대해 왕복운동 또는 회전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코너유닛구동부는 전기모터 또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코너유닛구동부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 상기 코일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코어, 상기 고정코어의 일 측에 배치되는 가동코어 및 일 영역은 상기 가동코어에 연결되고 양 단부는 상기 코너유닛에 각각 연결되는 작용로드를 구비한다.
상기 제1자력유닛은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흡인유닛은 영구자석, 전자석 또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자력유닛과 상기 제1흡인유닛은 서로 대면되는 위치에 서로 다른 자극(N극, S극)이 배치되게 구성된다.
상기 코너유닛은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의 각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게 구성된다.
상기 판유리의 청소장치는, 사각 형상의 제1유닛본체를 구비하고, 벽, 문 또는 창문에 구비되는 판유리의 제1판면에 배치되는 제1유닛; 및 사각 형상의 제2유닛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판유리의 제2판면에 배치되는 제2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는 상기 판유리의 판면에 각각 접촉되는 접촉면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1유닛 및 제2유닛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접촉면에 구비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제1자력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유닛 및 제2유닛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접촉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자력유닛에 의해 발생된 자력에 의해 흡인되는 제1흡인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은, 상기 판유리의 제1판면 및 제2판면의 코너를 각각 청소하는 코너유닛; 및 상기 코너유닛을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에 대해 각각 상대 운동되게 구동시키는 코너유닛구동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코너유닛은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의 각 접촉면으로부터 이격되게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제2유닛본체는 각각 사각형 형상을 구비하므로, 상기 코너유닛은 상기 제1유닛본체의 4개의 코너(모서리) 및 상기 제2유닛본체의 4개의 코너에 각각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판유리의 제1판면의 4개의 코너 및 상기 판유리의 제2판면의 4개의 코너의 청소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코너유닛은, 상기 판유리의 판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제1유닛본체 또는 상기 제2유닛본체에 구비되는 패드지지부; 및 상기 패드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판유리의 표면을 청소하는 패드;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코너유닛구동부는 전원 인가 시 상기 패드지지부를 왕복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제1유닛 및 제2유닛은 상기 코너유닛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센터유닛;을 각각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터유닛은,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디스크; 및 상기 제1유닛본체 또는 상기 제2유닛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크를 회전구동시키는 센터유닛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디스크에는 원반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판유리의 표면을 청소하는 패드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센터유닛은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의 각 접촉면의 내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센터유닛이 상기 판유리의 표면에 과도하게 밀착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유닛이 상기 판유리의 표면에 과도하게 밀착되지 아니하므로 상기 센터유닛의 패드의 강제마모 발생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상기 센터유닛의 패드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패드는 상기 판유리의 오염 제거에 적절한 면, 화학섬유, 면 및 화학섬유의 혼합물, 극세사 또는 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패드는, 오염 제거용, 세척수 제거용 및 왁스용 등 목적에 적합하게 다양하게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작업 시 용도에 알맞은 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상기 패드는 원반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디스크와 상기 패드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상기 디스크에 대해 상기 패드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스너가 구비된다. 상기 파스너는, 예를 들면, 벨크로 파스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벨크로 파스너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파스너 및 제2파스너를 구비한다. 상기 디스크에는 상기 제1파스너 및 제2파스너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고, 상기 패드에는 상기 제1파스너 및 제2파스너 중 다른 하나가 구비된다. 상기 패드에는 상기 제1파스너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크에는 상기 제2파스너가 구비된다.
상기 패드와 상기 제1파스너 사이에는 완충이 가능한 완충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완충부재는, 예를 들면, 스펀지(sponge)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패드가 상기 판유리의 표면에 적절한 압력으로 밀착되어 상기 판유리의 표면의 세정도가 제고될 수 있다.
상기 센터유닛구동부는, 상기 디스크의 회전축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상기 디스크는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에 각각 구비된다.
한편, 상기 센터유닛구동부는,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디스크에 구비되는 제2자력유닛 및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 디스크에 구비되어 상기 제2자력유닛에 의해 발생된 자력에 의해 흡인되어 회전되는 제2흡인유닛;을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유닛본체에는 구동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2자력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흡인유닛이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나의 구동모터로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의 디스크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터유닛구동부가 1개의 구동모터, 제2자력유닛 및 제2흡인유닛을 구비하여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제1유닛 및 제2유닛에 디스크를 각각 회전 구동시킬 수 있게 구동모터가 각각 구비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유닛본체에는 상대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손잡이연결부가 구비된다다.
상기 손잡이연결부에는 회동손잡이가 연결된다. 상기 회동손잡이는 막대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회동손잡이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유닛본체를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상기 판유리의 높은 영역의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에는 상기 판유리에 세척수를 각각 분사할 있게 노즐이 각각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판유리의 표면의 오염을 세척수를 이용하여 제거 함으로써 오염이 보다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에는 상기 노즐에 세척수를 각각 공급하는 세척수공급장치가 연결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은 세척수를 저장하는 세척수탱크를 구비하지 아니하므로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의 무게가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에는 상기 판유리를 세척한 세척수를 회수하는 세척수회수장치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판유리의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에 의해 상기 판유리 및 주변이 다시 오염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유리의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의 제거를 위한 별도의 작업이 배제될 수 있어 상기 판유리의 청소에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유리의 표면에 오염 제거에 필요한 세척수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어 상기 판유리의 청소 성능이 제고된다.
상기 세척수공급장치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탱크; 일 단은 상기 세척수탱크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노즐에 연결되는 세척수공급관; 및 상기 세척수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펌프;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판유리의 청소 시 필요한 세척수를 적기에 적량을 공급할 수 있어 상기 판유리의 청소 효율이 제고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회수장치는,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의 각 테두리를 따라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세척수 회수유로가 형성되는 스퀴즈;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로부터 상기 판유리로 분사된 세척수가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의 테두리 이내에서 회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판유리를 세척한 세척수에 의해 2차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회수장치는, 회수된 세척수가 저장되는 회수탱크;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상기 판유리의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를 수집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된 세척수의 처리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회수장치는, 일 측은 상기 회수탱크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스퀴즈에 각각 연통되게 연결되는 회수관;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에는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스퀴즈가 구비되고,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회수관 및 회수탱크는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와 분리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의 무게 증가를 현저하게 억제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의 경량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회수장치는 상기 회수탱크의 내부에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을 형성하는 회수펌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회수관에 의해 상기 회수탱크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상기 스퀴즈의 내부에 부압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판유리의 표면의 세척수의 흡입이 용이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판유리의 표면으로 분사된 세척수가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으로부터 이탈 또는 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닛본체에는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조작버튼이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의 조작(운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세척수공급관은 상기 회수관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회수관은 상대적으로 큰 유동단면적을 구비하게 구성되고, 상기 세척수공급관은 상대적으로 작은 유동단면적을 구비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세척수공급관은 상기 회수관의 내부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세척수공급관 및 회수관의 엉킴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공급관을 외력의 작용으로부터 보호하여 상기 공급관의 손상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내부 유체의 압력이 높은 상기 세척수공급관의 내부의 유체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공급관의 내부의 유체의 누설이 발생되어도 상기 회수관에 의해 비산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세척수공급관의 내부의 유체의 비산에 기인한 2차 오염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회수관의 내부에는 전원공급선 및 전기신호선이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선 및 전기신호선이 외력의 작용으로부터 보호됨으로써 상기 전원공급선 및 전기신호선의 손상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판유리의 청소장치는 내부에 상기 제1유닛 및 제2유닛이 수용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세척수공급장치가 구비되는 캐리어;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유닛 및 제2유닛의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세척수공급장치의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에는 상기 판유리에 세제를 공급할 수 있게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내부에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탱크, 일 측은 상기 세제탱크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노즐에 연결되는 세제공급관 및 상기 세제공급관에 구비되는 세제펌프를 구비한다.
상기 세제탱크 및 상기 세제펌프는 상기 캐리어에 구비된다.
상기 세제공급관에는 유로를 개폐하는 세제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세척수공급관에는 유로를 개폐하는 세척수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세제밸브 및 세제펌프, 상기 세척수밸브 및 상기 세척수펌프는 제어부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는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세제밸브 및 세척수밸브가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유닛 및 제2유닛은 상기 판유리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세척수 또는 세제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유닛 및 제2유닛에는 상기 판유리의 표면에 왁스를 공급할 수 있게 왁스를 공급하는 왁스공급장치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왁스공급장치는, 내부에 왁스가 수용되는 왁스탱크, 일 측은 상기 왁스탱크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노즐에 연결되는 왁스공급관 및 상기 왁스공급관에 구비되는 왁스펌프를 구비한다.
상기 왁스탱크 및 상기 왁스펌프는 상기 캐리어에 구비된다.
상기 왁스공급관에는 유로를 개폐하는 왁스밸브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왁스밸브, 세제밸브 및 상기 세척수밸브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에는 세척액을 공급하는 공급관이 구비되고, 상기 공급관에는 공급펌프가 구비된다.
상기 공급관은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각 노즐에 연결되는 내부공급관 및 일 단은 상기 내부공급관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외부공급관을 구비한다.
상기 공급관에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관이 연결된다.
상기 세척수공급관에는 내부의 유로를 개폐하는 세척수밸브가 구비된다.
상기 공급관에는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관이 연결된다.
상기 세제공급관에는 내부의 유로를 개폐하는 세제밸브가 구비된다.
상기 공급관에는 왁스를 공급하는 왁스공급관이 연결된다.
상기 왁스공급관에는 내부의 유로를 개폐하는 왁스밸브가 연결된다.
상기 공급펌프, 세척수밸브, 세제밸브 및 왁스밸브는 제어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해당 세척액(세척수, 세제 또는 왁스)의 공급 시, 해당 세척액 공급유로는 개방되고 다른 세척액 공급유로는 차단되게 상기 세척수밸브, 세제밸브 및 왁스밸브를 각각 제어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해당 세척액(세척수, 세제 또는 왁스)의 공급 종료 후 해당 세척액을 회수하는 해당 세척액 회수과정이 수행되게 상기 공급펌프, 세척수밸브, 세제밸브 및 왁스밸브를 각각 제어하게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유리의 코너를 청소하는 코너유닛 및 상기 코너유닛을 유닛본체에 대해 상대운동 가능하게 구동시키는 코너유닛구동부를 구비함으로써, 판유리의 코너의 청소 성능이 제고될 수 있다.
또한, 제1유닛 및 제2유닛에는 노즐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각 노즐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장치를 마련하여 세척수를 이용하여 판유리를 세척함으로써, 판유리의 세척 성능이 제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공급장치를 상기 제1유닛 및 제2유닛과 분리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유닛 및 제2유닛의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닛 및 제2유닛의 무게가 경량화됨에 따라 상기 제1유닛 및 제2유닛의 상호 흡인에 소요되는 자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닛 및 제2유닛의 흡인에 소요되는 자력이 저감됨에 따라 자력발생을 위한 자력유닛의 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자력유닛의 용량이 저감됨으로써 제조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제1유닛 및 제2유닛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청소 성능이 제고될 수 있다.
또한, 제1유닛 및 제2유닛에 왁스를 공급하는 왁스공급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판유리의 오염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제1유닛 및 제2유닛에 사용된 세척수를 회수하는 세척수회수장치를 마련함으로써, 사용된 세척수에 의한 2차 오염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회수관의 내부에 공급관이 구비되게 함으로써, 공급관의 손상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공급관의 누설 시 공급관의 내부의 유체가 상기 제1유닛 및 제2유닛의 외부로 누설 및/또는 비산되고, 누설 및/또는 비산된 유체에 기인한 2차 오염이 발생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세척수공급장치, 세제공급장치 및 왁스공급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판유리의 세척 및 왁싱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판유리의 전체 청소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제1유닛 및 제2유닛은 상기 판유리의 표면에 접촉되는 접촉면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자력유닛 및 상기 제1흡인유닛이 상기 접촉면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상기 코너유닛 및 상기 센터유닛이 상기 판유리의 표면에 과도하게 밀착되는 것이 억제되어 패드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의 청소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1유닛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제1유닛의 배면도,
도 4는 도 2의 센터유닛의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2의 디스크 및 가이드영역의 확대도,
도 6은 도 2의 제1유닛본체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제1유닛본체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코너유닛 및 코너유닛구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패드영역의 Ⅸ-Ⅸ선에 따른 코너유닛의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코너유닛구동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2의 요부확대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스퀴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도 1의 제2유닛의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제2유닛의 ⅩⅣ-ⅩⅣ에 따른 단면도,
도 15는 도 1의 캐리어의 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17은 도 1의 제어블록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의 청소장치의 캐리어의 변형례,
도 19는 도 18의 요부확대도,
도 20은 도 18의 제어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의 청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의 청소장치는, 판유리(G)의 양 판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을 구비한다.
상기 판유리(G)는 건축물의 벽, 문 또는 창문에 구비된다. 상기 판유리(G)는 통상 사각형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제1유닛(100a) 및 상기 제2유닛(100b)은 상기 판유리(G)를 사이에 두고 자력에 의해 서로 흡인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1유닛(100a) 및 상기 제2유닛(100b) 중 어느 하나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제1자력유닛(210)을 구비한다. 상기 제1유닛(100a) 및 상기 제2유닛(100b)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자력유닛(210)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흡인되는 제1흡인유닛(240)을 구비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은, 상기 제1자력유닛(210) 및 상기 제1흡인유닛(240)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상기 판유리(G)를 사이에 두고 정지 또는 이동 시 서로 대면되는 위치를 유지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1유닛(100a) 및 상기 제2유닛(100b)은 사각 형상의 제1유닛본체(110a) 및 제2유닛본체(110b)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유닛본체(110a) 및 상기 제2유닛본체(110b)는 얇은 두께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각각 구현된다. 상기 제1유닛본체(110a) 및 제2유닛본체(110b)의 두께는, 예를 들면, 20 내지 50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닛본체(110a) 및 제2유닛본체(110b)는, 예를 들면, 대략 250 내지 400mm 정도의 가로 및 세로의 크기를 구비한 정사각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닛본체(110a) 및 제2유닛본체(110b)는 상기 판유리(G)의 판면에 각각 접촉되는 접촉면(126)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제1자력유닛(210) 및 상기 제1흡인유닛(240)은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의 각 접촉면(126)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유닛(100a) 및 상기 제2유닛(100b)은 상기 제1유닛본체(110a) 및 상기 제2유닛본체(110b)에 대해 각각 상대운동하는 코너유닛(300)을 각각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판유리(G)의 코너의 오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세척 성능이 제고될 수 있다.
상기 각 코너유닛(300)은 상기 제1유닛(100a) 및 상기 제2유닛(100b)의 각 접촉면(126)이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에 대해 상대운동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상기 코너유닛(300)이 과도하게 밀착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코너유닛(300)의 패드(320)의 과도한 밀착이 방지되어 상기 패드(320)의 수명이 연장된다.
상기 코너유닛(300)은 상기 제1유닛본체(110a) 및 제2유닛본체(110b)의 4개의 코너에 각각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유닛본체(110a) 및 상기 제2유닛본체(110b)가 상기 판유리(G)의 각 코너에 배치될 경우 해당 코너에 대응되는 코너유닛(300)에 의해 상기 판유리(G)의 해당 코너의 오염이 제거된다. 이에 의해, 상기 판유리(G)의 4개의 변부(상변, 하변, 좌변 및 우변) 및 4개의 코너의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4개의 코너는 상기 판유리(G)의 상변, 하변, 좌변 및 우변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변이 교차하는 내측 영역(구석)을 각각 의미한다.
한편, 상기 제1유닛(100a) 및 상기 제2유닛(100b)에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장치(410)가 각각 연결된다. 이에 의해, 상기 판유리(G)의 표면의 오염을 세척수를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세척 성능이 제고될 수 있다.
상기 판유리(G)의 청소장치는, 내부에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00c1) 및 상기 세척수공급장치(410)가 구비되는 캐리어(100c)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의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공급장치(410)를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과 분리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의 무게가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의 흡인을 위한 제1자력유닛(210) 및 제1흡인유닛(240)의 용량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자력유닛(210) 및 제1흡인유닛(240)의 자기력 발생 용량이 저감되어 제조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자력유닛(210) 및 제1흡인유닛(240)이 고가의 영구자석(212, 242)(예를 들면, 네오디뮴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될 경우, 고가의 영구자석(212, 242)의 구매비용이 현저하게 저감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닛(100a)에는 두께방향으로 돌출된 고정손잡이(130)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유닛(100a)의 이동 및/또는 운반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고정손잡이(130)는 상기 제1유닛본체(110a)의 상부면(122)에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의 상기 판유리(G)에 접촉되는 면은 저부면(124)으로 지칭되고,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의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저부면(124)의 대향 측 면은 상부면(122)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고정손잡이(130)는, 예를 들면, 원기둥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손잡이(13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1유닛(100a)에는 상기 제1유닛(100a)에 대해 회동 가능한 회동손잡이(150)가 연결될 수 있게 손잡이연결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연결부(140)는 상기 제1유닛본체(110a)의 상부면(122)에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연결부(140)는 상기 상부면(122)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연결부(140)는 내부에 상기 회동손잡이(150)의 일 단부가 삽입될 수 있게 중공체(관상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회동손잡이(150)는 막대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손잡이연결부(140)는 상기 제1유닛본체(110a)의 상부면(122) 중앙 하부에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회동손잡이(150)를 이용하여 상기 제1유닛본체(110a)를 더 높은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판유리(G)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도 상기 판유리(G)의 상부영역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동손잡이(150)는 상기 손잡이연결부(1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동손잡이(150)는 신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회동손잡이(15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닛(100a)에는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조작버튼(260)이 구비된다. 상기 제1유닛(100a)에는 상기 복수의 조작버튼(260)과 연결되어 신호를 입력받는 인쇄회로기판(280)이 구비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80)에는 후술하는 제어부(50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복수의 조작버튼(260)과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조작버튼(260)은, 예를 들면, 후술할 센터유닛(400)이 구동될 수 있게 조작하는 센터유닛버튼(260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조작버튼(260)은, 예를 들면, 상기 코너유닛(300)이 구동될 수 있게 조작하는 코너유닛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코너유닛버튼은, 예를 들면, 제1코너유닛버튼(260b) 및 제2코너유닛버튼(260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코너유닛버튼(260b)은, 예를 들면 도면(도 6 참조)상 좌측에 구비된 코너유닛구동부(350)를 조작하는 버튼이고, 상기 제2코너유닛버튼(260c)은 도면상 우측에 구비된 코너유닛구동부(350)를 조작하는 버튼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조작버튼(260)은, 예를 들면,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게 신호를 입력하는 세척수버튼(260d)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조작버튼(260)은, 예를 들면, 세제를 분사할 수 있게 신호를 입력하는 세제버튼(260e)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조작버튼(260)은, 예를 들면, 왁스를 분사할 수 있게 신호를 입력하는 왁스버튼(260f)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조작버튼(260)은, 예를 들면, 세척수가 회수될 수 있게 신호를 입력하는 회수버튼(260g)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조작버튼(260)의 일 측에는 상기 복수의 조작버튼(260)의 동작상태를 각각 표시하는 표시램프(27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표시램프(270)는, 예를 들면, 해당 버튼을 최초 1회 누름 시에는 점등(on)되고 후속으로 추가 1회 누를 때마다 소등(off) 및 점등(on)이 반복되게 각각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제1유닛(100a)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1유닛(100a)의 배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닛(100a)은, 얇은 두께의 직육면체 형상의 제1유닛본체(110a)를 구비한다.
상기 제1유닛(100a)의 저부면(124)에는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접촉 가능한 스퀴즈(421)가 구비된다. 상기 스퀴즈(421)는 상기 제1유닛본체(110a)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다. 상기 스퀴즈(421)는 사각형의 폐루프 형상으로 구현된다. 상기 스퀴즈(421)의 내부에는 세척수가 흡입될 수 있게 세척수유로(422)가 형성된다.
상기 제1유닛본체(110a)의 저부면(124)의 테두리에는 상기 스퀴즈(42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퀴즈결합부(423)가 형성된다. 상기 스퀴즈결합부(423)는 상기 판유리(G) 측이 개방된 "U" 단면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스퀴즈결합부(423)는 상기 스퀴즈(421)의 결합 시 상기 개방부가 상기 스퀴즈(421)에 의해 차단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호 결합된 상기 스퀴즈결합부(423) 및 상기 스퀴즈(421)의 내부에는 세척수가 흡입되는 세척수유로(4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닛본체(110a)의 4개의 코너에는 4개의 코너유닛(300) 중 하나가 각각 배치된다. 상기 각 코너유닛(300)은 상기 스퀴즈(421)의 내측 코너 영역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코너유닛(300)의 일 측에는 상기 코너유닛(300)이 상기 제1유닛본체(110a)에 대해 상대 운동되게 구동시키는 코너유닛구동부(350)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유닛(100a)이 상기 판유리(G)의 코너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코너유닛(300)이 상기 제1유닛본체(110a)에 대해 상대 운동함으로써, 상기 판유리(G)의 코너의 오염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닛(100a)은 상기 코너유닛(30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센터유닛(400)을 구비한다. 상기 센터유닛(400)은 상기 접촉면(126)의 내측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센터유닛(400)이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과도하게 밀착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센터유닛(400)은, 상기 제1유닛본체(110a)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디스크(400a) 및 상기 디스크(400a)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센터유닛구동부(401a)를 구비한다. 상기 센터유닛구동부(401a)는 상기 디스크(400a)의 회전축(401a13)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01a1)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모터(401a1)는, 예를 들면, 상기 고정손잡이(13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401a1)는 상기 고정손잡이(130)의 내부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자(401a11) 및 상기 고정자(401a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자(401a12)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자(디스크(400a))의 회전축(401a13)에는, 예를 들면, 상기 디스크(400a)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01a13)은 베어링(401a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1유닛본체(110a)의 중앙영역에는 상기 디스크(400a)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크(400a)의 회전축(401a13)과 상기 회전자(401a12)의 회전축은 동일하게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서로 각각 형성되어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유닛본체(110a)에는 상기 제1자력유닛(210)이 구비된다. 상기 제1자력유닛(210)은 복수의 영구자석(21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212)은 자속밀도가 우수한 네오디뮴 자석으로 구현된다.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212)은 두께방향으로 착자되어 상기 판유리를 향한 면에 자극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유닛(100a)에는 상기 판유리(G)의 제1판면에 접촉되는 접촉면(126)이 구비된다. 상기 접촉면(126)의 배후에는 상기 제1자력유닛(210)이 구비된다. 상기 접촉면(126)은, 예를 들면, 상기 제1유닛본체(110a)의 저부면(124) 중 상기 코너유닛(300)이 배치되는 4개의 코너영역 및 상기 센터유닛(400)이 배치되는 중앙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126)은, 예를 들면, 대략 8각형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126)의 중앙에는, 예를 들면, 상기 디스크(400a)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디스크수용부(126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자력유닛(210)은 자기력이 상기 판유리(G)를 통과하여 상기 제2유닛(100b)에 작용하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자력유닛(210)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상기 제2유닛(100b)이 흡인되어 상기 제2유닛(100b)이 상기 판유리(G)의 제2판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1자력유닛(210)의 자기력에 의해 흡인된 제2유닛(100b)은 상기 제1유닛(100a)과 대면된 위치를 유지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1자력유닛(210)의 복수의 영구자석(212)은, 예를 들면, 상기 디스크(400a)의 회전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자극(N극, S극)이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126)의 배후에는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이 수용되는 영구자석수용부(126b)가 형성된다.
상기 제1자력유닛(210)의 복수의 영구자석(212)은, 예를 들면 4개로 구현된다. 상기 제1자력유닛(210)의 4개의 영구자석(212)은 도면상 상기 센터유닛(400)의 상측 및 하측,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자력유닛(210)의 복수의 영구자석(212)은, 예를 들면, 호형상을 구비하게 각각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자력유닛(210)은 자력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자력유닛(210)은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212)이 상기 제1유닛본체(110a)의 접촉면(126)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판유리(G)의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제1자력유닛(210)과 상기 제1흡인유닛(240) 사이에 작용하는 흡인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판유리의 청소장치는 상기 판유리(G)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감지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유리(G)의 두께를 감지하는 구성은 주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자력유닛(210)이 복수의 영구자석(212)을 구비하게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상기 제1자력유닛(210)이 전원 인가 시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자력유닛(210)이 전자석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원(전류)을 조절하여 자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센터유닛(400)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닛(100a)의 저부면(124)에는 상기 디스크(400a) 및 상기 센터유닛구동부(401a)를 구비한 센터유닛(400)이 구비된다.
상기 디스크(400a)에는 상기 판유리(G)의 판면에 대해 상대 운동하여 상기 판유리(G)의 판면의 오염을 제거하는 패드(400b)가 구비된다. 상기 패드(400b)는 상기 디스크(400a)의 형상에 대응되게 원반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패드(400b)는, 예를 들면, 면, 화학섬유, 면 및 화학섬유의 혼합물, 극세사 및 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드는 상기 디스크(400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패드(400b)는, 오염 제거용, 세척수 제거용 및 왁스용 등 용도에 적합하게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작업 시 용도에 적합한 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상기 패드(400b) 및 상기 디스크(400a) 사이에는 상기 패드(400b)가 상기 디스크(400a)에 대해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벨크로 파스너(400c)가 구비된다. 상기 벨크로 파스너(400c)는, 예들 들면,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파스너(400c1) 및 제2파스너(400c2)를 구비한다. 상기 제1파스너(400c1)는, 예를 들면, 상기 디스크(400a)에 결합되고 상기 제2파스너(400c2)는 상기 패드(400b)에 구비된다.
상기 패드(400b)와 상기 파스너(400c)(제2파스너(400c2)) 사이에는 완충이 가능한 완충부재(400d)가 구비된다. 상기 완충부재(400d)는, 예를 들면, 스펀지(sponge)로 구현된다. 이에 의해, 상기 패드(400b)가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적절한 압력으로 밀착되어 상대운동 함으로써, 상기 판유리(G)의 표면을 닦아 상기 판유리(G)의 표면의 오염을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디스크(400a) 및 가이드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400a)의 일 측에는 상기 디스크(400a)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디스크가이드(403)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크가이드(403)는, 예를 들면, 상기 디스크(400a)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디스크(400a)가 상기 판유리(G)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패드(400b)의 회전 시, 상기 패드(400b)가 상기 판유리(G)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억제되어 상기 패드(400b)와 상기 판유리(G)의 접촉력 및/또는 접촉율이 제고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가이드(403)는, 예를 들면, 상기 디스크(400a)와 탄성적으로 접촉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가이드(403)는, 예를 들면, 상기 디스크(400a)와 접촉되는 가이드핀(403a) 및 상기 가이드핀(403a)이 상기 디스크(400a)와 탄성적으로 접촉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403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스크가이드(403)는 상기 가이드핀(403a) 및 탄성부재(403b)를 지지하는 케이스(403c)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디스크가이드(403)는 상기 디스크(400a)와 구름접촉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크(400a)의 판면 중 상기 패드(400b)가 설치되는 반대면에 구름접촉되는 롤러(미도시)를 구비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롤러는 상기 디스크(400a)의 회전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제1유닛본체(110a)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400a)의 배면에는 제2자력유닛(401a2)이 구비된다. 상기 제2자력유닛(401a2)은, 예를 들면, 복수의 영구자석(401a21)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401a21)은 얇은 두께를 구비하여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401a21)은 네오디뮴 자석으로 구현된다.
상기 제2자력유닛(401a2)은 상기 디스크(400a)의 두께방향을 따라 자력선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자력유닛(401a2)은 자기력이 상기 판유리(G)를 통과하여 상기 제2유닛(100b)에 작용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2자력유닛(401a2)의 복수의 영구자석(401a21)은 상기 디스크(400a)의 배면(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크(400a)와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401a21)은 4개의 결합 시 환형(링 형상)을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401a21)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자(디스크(400a))의 회전축(401a1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401a14)이 구비된다.
상기 제2자력유닛(401a2)의 외측에는 상기 제1자력유닛(210)이 구비된다.
상기 제1유닛본체(110a)의 테두리에는 상기 스퀴즈결합부(423)가 형성된다. 상기 스퀴즈결합부(423)는 상기 제1유닛본체(110a)의 4변에 각각 구비되고, 상호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내부에 세척수의 이동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퀴즈결합부(423)의 일 측에는 상기 스퀴즈결합부(423)의 내부와 연통되게 세척수회수장치(420)의 회수관(420a)이 연결된다. 상기 스퀴즈결합부(423)의 내부 공간은 상기 회수관(420a)과 연통된다. 이에 의해, 상기 스퀴즈결합부(423)의 내부의 세척수는 상기 회수관(420a)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닛본체(110a)의 저부면(124)에는 상기 판유리(G)를 향해 세척액(세척수)을 분사할 수 있게 노즐(128)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세척액(세척수)은 상기 판유리(G)의 표면의 세척에 사용되는 액체(세척수, 세제, 왁스 등)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는 넓은 의미로는 세척에 사용되는 세제, 왁스 등을 포함한 물을 의미할 수 있고, 좁은 의미로는 상기 세제, 왁스 등을 포함하지 아니한 물(예를 들면, 수도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노즐(128)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128)은, 예를 들면, 상기 제1유닛본체(110a)의 4개의 코너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128)은, 예를 들면, 상기 제1유닛(100a)의 각 코너에 2개씩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128)이 각 코너에 2개씩 총 8개가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노즐(128)에는 세척수공급장치(410)가 연결된다. 상기 세척수공급장치(410)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관(410a)을 구비한다. 상기 세척수공급관(410a)은 상기 제1유닛본체(110a)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노즐(128)에 각각 연결되는 내부공급관(410a1) 및 상기 내부공급관(410a1)에 연결되고 상기 제1유닛본체(110a)의 외부로 연장되는 외부공급관(410a2)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공급관(410a1)에는 후술할 세제공급관(430a) 및 왁스공급관(440a)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급관(410a1) 및 노즐(128)은 상기 세척수, 세제 및 왁스가 각각 개별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공급관(410a2)을 통해 공급된 세척수는 상기 내부공급관(410a1)을 통해 상기 복수의 노즐(128)에 각각 공급된다. 상기 세척수공급관(410a)은 상기 회수관(420a)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회수관(420a)은 상대적으로 큰 유동단면적을 구비하게 구성된다. 상기 회수관(420a)의 내부에는 상기 세척수공급관(410a), 상기 센터유닛구동부(401a) 및 상기 코너유닛구동부(350)에 각각 연결되는 전원공급선(450a1)이 각각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의 각 노즐(128)에는 상기 세척수공급관(410a), 후술할 세제공급관(430a) 및 왁스공급관(440a)이 각각 연결된다.
도 7은 도 6의 제1유닛본체(110a)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닛(100a)의 각 코너에는 상기 제1유닛본체(110a)에 대해 상대 운동 가능하게 코너유닛(300)이 각각 구비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너유닛(300)의 일 측에는 상기 코너유닛(300)을 상기 제1유닛(100a)에 대해 상대운동되게 구동시키는 코너유닛구동부(350)가 마련된다. 상기 코너유닛구동부(350)는, 예를 들면, 2개의 코너유닛(300)을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너유닛구동부(350)는 상기 2개의 코너유닛(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코너유닛(300) 및 코너유닛구동부(35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패드영역의 Ⅸ-Ⅸ선에 따른 코너유닛(300)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코너유닛구동부(350)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너유닛구동부(350)는, 도면상 제1유닛(100a)을 기준으로 제1유닛(100a)의 좌측영역에 구비되는 제1코너유닛구동부(350a) 및 도면상 우측영역에 구비되는 제2코너유닛구동부(350b)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너유닛구동부(350)가 상기 제1유닛(100a)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상기 제1유닛(100a)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코너유닛구동부(350)는, 예를 들면, 전원 인가 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코너유닛구동부(350)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351), 상기 코일(351)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코어(353), 상기 고정코어(353)의 일 측에 배치되는 가동코어(355) 및 일 영역은 상기 가동코어(355)에 연결되고 양 단부는 상기 코너유닛(300)에 각각 연결되는 작용로드(359)를 구비한다.
상기 코일(351)은, 예를 들면, 원통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코일(351)의 내부에는 고정코어(353)가 배치된다. 상기 고정코어(353)의 내부에는 상기 작용로드(359)가 상대 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공(354)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고정코어(353) 및 가동코어(355)는 자로(磁路)를 형성할 수 있게 각각 자성체로 형성된다. 상기 가동코어(355)의 중심에는 상기 작용로드(359)가 고정 결합된다. 상기 고정코어(353)와 상기 가동코어(355) 사이에는 탄성부재(357)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357)는, 예를 들면, 상기 가동코어(355)에 의해 압축 시 탄성력을 축적할 수 있게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57)는 상기 코일(351)의 전원 인가 시 압축되어 축적된 탄성력으로 상기 가동코어(355)를 상기 고정코어(353)로부터 이격되게 하여 초기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탄성부재(357)는, 예를 들면, 상기 작용로드(359)에 연결된 2개의 코너유닛(300)을 동시에 초기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탄성력을 구비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너유닛구동부(350)가 솔레노이드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상기 코너유닛구동부(350)는 리니어모터로 구현되거나, 또는 회전모터 및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코너유닛(300)을 왕복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주지의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코일(351) 및 고정코어(353)가 각각 1개씩 구비되게 구현되어 있으나, 상기 가동코어(355)의 양 측에 코일(351) 및 고정코어(353)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코일(351)에 선택적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가동코어(355)가 양 측의 고정코어(353)에 선택적으로 흡인될 수 있게 구현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너유닛(300)은, 상기 판유리(G)의 판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유닛본체(110a) 또는 상기 제2유닛본체(110b)에 구비되는 패드지지부(310) 및 상기 패드지지부(310)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드(320)를 구비한다.
상기 패드(320)는, 예를 들면, 면, 합성섬유, 면 및 합성섬유의 혼합물, 극세사 및 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패드(320)는, 오염 제거용, 세척수 제거용 및 왁스(도포)용 등 용도에 적합하게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작업 시 용도에 알맞은 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상기 패드지지부(310)는, 상기 제1유닛본체(110a) 또는 제2유닛본체(110b)의 코너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패드지지부(310)는, 예를 들면, 삼각형 형상으로 구현된다.
상기 패드지지부(310)는, 예를 들면, 이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구현되고, 서로 직각을 이루는 2개의 변은 상기 제1유닛본체(110a)( 및 제2유닛본체(110b))의 각 변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빗변이 내측에 배치되게 상기 제1유닛본체(110a)( 또는 제2유닛본체(110b))의 각 코너에 각각 상대 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작용로드(359)의 양 측에 배치된 패드지지부(310)는 상기 작용로드(359)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이에 의해, 상기 작용로드(359)의 이동에 의해 2개의 패드지지부(310)가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각 패드지지부(310)에는 연결핀(310a)이 구비되고, 상기 작용로드(359)의 양 단부는 상기 연결핀(310a)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패드(320)는, 예를 들면, 상기 패드지지부(310)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패드(320)는 상기 패드지지부(3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패드(320)와 상기 패드지지부(310) 사이에는, 예를 들면, 벨크로 파스너(330)가 구비된다. 상기 벨크로 파스너(33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파스너(331) 및 제2파스너(332)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제1파스너(331)는 상기 패드지지부(310)에 결합되고, 상기 제2파스너(332)는 상기 패드(3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드(320)와 상기 제2파스너(332) 사이에는 완충부재(340)가 구비된다. 상기 완충부재(340)는, 예를 들면, 스펀지(sponge)로 구현된다. 이에 의해, 상기 패드(320)가 상기 판유리(G)의 판면에 적절한 압력으로 밀착될 수 있어 상기 판유리(G)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코일(351)에 전원이 인가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351)은 자기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가동코어(355)는 상기 고정코어(353)측으로 흡인된다. 상기 가동코어(355)의 이동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357)는 압축되고, 상기 가동코어(355)와 함께 이동되는 작용로드(359)에 연결된 2개의 코너유닛(300)은 상기 제1유닛본체(110a)에 대해 상대 이동됨으로써 상기 판유리(G)의 표면의 오염을 닦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코일(351)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탄성부재(35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동코어(355) 및 작용로드(359)는 초기위치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상기 코너유닛(300)이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대해 상대 이동되어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코너유닛구동부(350)는 상기 코너유닛(300)을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대해 왕복 운동시켜 패드(320)가 상기 판유리(G)의 표면을 문지르게 함으로써, 상기 판유리(G)의 표면의 오염을 닦아 제거하게 된다.
도 11은 도 2의 스퀴즈결합부(423)의 요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스퀴즈(421)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도 6 및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제1유닛본체(110a) 및 제2유닛본체(110b)의 저부면(124)의 테두리에는 스퀴즈(42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퀴즈결합부(423)가 형성된다.
상기 스퀴즈결합부(423)는, 예를 들면, 상기 판유리(G)를 향하는 면이 개방된 사각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퀴즈결합부(423)는, 외측리브(423a), 상기 외측리브(423a)의 내측이 이격배치되는 내측리브(423b) 및 상기 외측리브(423a) 및 내측리브(423b)의 일 단을 차단하게 형성되는 차단부(423c)를 구비한다.
상기 스퀴즈결합부(423)는 상기 외측리브(423a) 및 내측리브(423b)를 연결하는 보강리브(423d)를 더 구비한다. 이에 의해, 상기 외측리브(423a) 및 내측리브(423b)의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423d)는 상기 외측리브(423a) 및 내측리브(423b)의 높이에 비해 축소된 높이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상기 보강리브(423d)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들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스퀴즈(421)는, 예를 들면, 외측면부(421a), 상기 외측면부(421a)의 내측에 이격 배치되는 내측면부(421b), 그리고 상기 외측면부(421a) 및 내측면부(421b) 사이에 관통 형성되는 흡입부(421c)를 구비한다. 상기 외측면부(421a) 및 내측면부(421b)는, 상기 스퀴즈결합부(423)의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구간(421d) 및 상기 삽입구간(421d)의 단부에서 내폭이 감소되게 연장되어 서로 접촉되는 경사구간(421e)을 각각 구비하게 구성된다. 상기 흡입부(421c)는 상기 경사구간(421e)의 단부영역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부(421c)는 상기 내측면부(421b)의 경사구간(421e)의 단부측에 형성된다.
상기 스퀴즈결합부(423)의 일 측에는 고무부싱(424)이 구비된다. 상기 고무부싱(424)은 상기 회수관(420a)과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고무부싱(424)에는 상기 회수관(420a)의 내부에 삽입된 각 공급관(세척수공급관(410a), 세제공급관(430a) 및 왁스공급관(440a)) 및 전원공급선(450a1)이 상기 스퀴즈결합부(423)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결합된다. 상기 고무부싱(424)은 상기 각 공급관(세척수공급관(410a), 세제공급관(430a) 및 왁스공급관(440a)) 및 전원공급선(450a1)의 인출에 의해 상기 스퀴즈결합부(423)의 내부의 세척수가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퀴즈(421)가 상기 내측면부(421b)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외측면부(421a)의 경사구간(421e)의 단부가 상기 내측면부(421b)의 경사구간(421e)의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흡입부(421c)가 개방된다. 이때, 상기 판유리(G)의 표면의 세척수가 상기 흡입부(421c)를 통해 상기 스퀴즈(421)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스퀴즈(421)가 상기 외측면부(421a)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외측면부(421a)의 경사구간(421e)의 단부가 상기 내측면부(421b)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흡입부(421c)가 좁아지거나 차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유닛(100a) 및 상기 제2유닛(100b)이 도면상 상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흡입부(421c)가 개방되어 상기 판유리(G)의 표면의 세척수를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닛(100a) 및 상기 제2유닛(100b)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흡입부(421c)가 개방되어 상기 판유리(G)의 표면의 세척수를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이 도면상 하측으로 이동될 때 및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될 때는 상기 흡입부(421c)가 좁아지거나 차단되어 세척수의 흡입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의 제2유닛(100b)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제2유닛(100b)의 ⅩⅣ-ⅩⅣ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2유닛(100b)은 사각 형상의 제2유닛본체(110b)를 구비한다.
상기 제2유닛본체(110b)의 저부면(124)의 테두리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퀴즈결합부(423)가 형성된다. 상기 스퀴즈결합부(423)에는 사각 고리 형상의 스퀴즈(421)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스퀴즈결합부(423)의 하부 중앙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수관(420a)이 연통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유닛(100b)에는 상기 제1유닛(100a)과 다르게 고정손잡이(130) 및 회동손잡이(150)가 구비되지 아니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상기 제2유닛(100b)에 상기 고정손잡이(130) 및/또는 회동손잡이(150)가 각각 구비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유닛본체(110b)의 4개의 코너에는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대해 상대 운동하여 상기 판유리(G)의 오염을 제거하는 코너유닛(30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코너유닛(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닛본체(110a) 또는 상기 제2유닛본체(110b)에 대해 상대운동하는 패드지지부(310) 및 상기 패드지지부(3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드(32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유닛본체(110b)에는 상기 4개의 코너에 각각 배치된 코너유닛(300)을 상기 판유리(G)에 대해 상대운동하게 구동시키는 코너유닛구동부(350)가 구비된다. 상기 코너유닛구동부(350)는 전기모터 또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유닛(100b)의 코너유닛구동부(350)는 상기 솔레노이드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유닛(100b)은 상기 코너유닛(30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센터유닛(400)을 구비한다. 상기 제2유닛(100b)은 상기 코너유닛(300)과 상기 센터유닛(400) 사이에 상기 판유리(G)에 접촉되는 접촉면(126)이 구비된다. 상기 제2유닛(100b)의 접촉면(126)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흡인유닛(24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자력유닛(210)에 의해 발생된 자력에 의해 흡인되어 상기 제2유닛본체(110b)가 상기 판유리(G)의 제2판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2유닛(100b)은 상기 제2유닛본체(110b)의 접촉면(126)이 상기 판유리(G)의 제2판면에 부착되어 지지된 상태이므로, 상기 코너유닛(300) 및 센터유닛(400)은 상기 판유리(G)의 표면의 오염을 제거하기에 적절한 압력으로 밀착되어 상대 운동된다. 이에 의해, 상기 코너유닛(300) 및 센터유닛(400)의 과도한 밀착에 기인한 패드(320)의 강제마모 발생이 억제된다.
상기 센터유닛(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닛본체(110a) 및 상기 제2유닛본체(110b)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디스크(400a); 및 상기 제1유닛본체(110a) 또는 상기 제2유닛본체(110b)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크(400a)를 회전구동시키는 센터유닛구동부(401a);를 구비한다.
상기 센터유닛구동부(401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유닛본체(110b)에 구비된 디스크(400a)에 구비되는 제2흡인유닛(401a3)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유닛본체(110b)의 중앙에는 상기 디스크(400a)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디스크(400a)의 배면에는 상기 제2흡인유닛(401a3)이 구비된다. 상기 제2흡인유닛(401a3)은 복수의 영구자석(401a31)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흡인유닛(401a3)의 복수의 영구자석(401a31)은, 상기 제2자력유닛(401a2)의 복수의 영구자석(401a21)과 서로 흡인되게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흡인유닛(401a3)의 복수의 영구자석(401a31)은, 상호 간에 흡인력이 작용하게 상기 제2자력유닛(401a2)의 영구자석(401a21)과 서로 다른 자극(N극, S극)을 구비하게 각각 배치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흡인유닛(401a3)의 복수의 영구자석(401a31)은 제2자력유닛(401a2)의 영구자석(401a21)과 반대의 자극을 구비하게 상기 디스크(400a)의 배면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유닛(100a)의 센터유닛(400)의 디스크(400a)가 정지되는 경우, 상기 제2유닛(100b)의 센터유닛(400)의 디스크(400a)도 정지되고, 상기 제2유닛(100b)의 센터유닛(400)의 디스크(400a)가 회전되면 상기 제1유닛(100a)의 센터유닛(400)과 상기 제2유닛(100b)의 센터유닛(400) 사이에 작용하는 흡인력에 의해 상기 제2유닛(100b)의 센터유닛(400)의 디스크(400a)가 동시에 회전된다. 이에 의해, 상기 판유리(G)의 제1판면의 오염 및 제2판면의 오염이 동시에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닛(100b)의 센터유닛(400)의 디스크(400a)의 저부면(124)에는 원반형상의 패드(400b)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15는 도 1의 캐리어(100c)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의 청소장치는 캐리어(100c)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리어(100c)는 내부에 수용공간(100c1)을 형성하게 구현된다.
상기 수용공간(100c1)은 상부공간(100c11) 및 하부공간(100c1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100c)는, 예를 들면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100c)의 저부에는 이동을 위한 복수의 휠 또는 캐스터(100c2)가 구비된다. 상기 캐리어(100c)의 일 측에는 손잡이(100c3)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캐리어(100c)의 내부에는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00c1)(상부공간(100c11))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의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공간(100c1)이 상향 개구되게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용공간(100c1)은 측면에 개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수용공간(100c1)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또는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에는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세척수를 각각 분사할 수 있게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장치(410)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세척수공급장치(410)는, 예를 들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탱크(410b); 일 단은 상기 세척수탱크(410b)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노즐(128)에 연결되는 세척수공급관(410a); 및 상기 세척수공급관(410a)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펌프(410c);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세척수공급관(410a)에는 내부 유로를 개폐하는 세척수밸브(410d)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수공급관(410a)은 일 단부가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세척수탱크(410b) 및 상기 세척수펌프(410c)는 상기 캐리어(100c)에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세척수의 공급이 가능하면서 상기 세척수탱크(410b) 및 상기 세척수펌프(410c)를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으로부터 각각 분리하여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의 무게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세척수 분사 가능한 경량형의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이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이 경량체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의 흡인을 위해 소요되는 자기력이 현저하게 저감될 수 있어 제1자력유닛(210) 및 제1흡인유닛(240)의 제조비용이 현저하게 저감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유닛(100a) 및 상기 제2유닛(100b)이 자기력에 의해 서로 흡인되어 서로 대면된 자세(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속밀도가 상대적으로 큰 영구자석이 소요된다. 상기 영구자석은, 예를 들면, 네오디뮴 자석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의 무게가 경감될 경우 제1자력유닛(210) 및 제1흡인유닛(240)에 소요되는 영구자석 사용량이 그만큼 저감되므로, 제1자력유닛(210) 및 제1흡인유닛(240)의 제작 비용도 현저하게 저감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각각 분사된 세척수를 각각 회수할 수 있게 세척수회수장치(420)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세척수회수장치(4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닛본체(110a) 및 상기 제2유닛본체(110b)의 각 테두리에 형성되는 스퀴즈결합부(423) 및 상기 스퀴즈결합부(423)에 결합되는 스퀴즈(42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세척수회수장치(420)는, 회수된 세척수가 저장되는 회수탱크(420b) 및 일 단은 상기 회수탱크(420b)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스퀴즈결합부(423)에 각각 연결되는 회수관(420a)을 더 구비한다. 상기 회수관(420a)은, 상기 제1유닛(100a)에 연결되는 제1회수관(420a1) 및 상기 제2유닛(100b)에 연결되는 제2회수관(420a2)을 구비한다. 상기 회수탱크(420b)는 상기 캐리어(100c)에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분사된 세척수의 회수(제거)가 가능하면서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의 무게 증가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회수장치(420)는 상기 회수탱크(420b)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내부를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상태로 하는 회수펌프(420c)를 더 구비한다. 상기 회수펌프(420c)는 상기 캐리어(100c)에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의 무게를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다. 상기 회수펌프(420c)에는, 예를 들면, 일 단이 상기 회수탱크(420b)의 내부에 배치된 공기배출관(420d)의 타 단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수펌프(420c)에 의해 상기 회수탱크(420b)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 상기 회수탱크(420b)의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회수탱크(420b)의 내부와 상기 회수관(420a)에 의해 연통되게 연결된 상기 스퀴즈결합부(423) 및 상기 스퀴즈(421)의 내부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음압) 상태로 됨으로써, 상기 판유리(G)의 표면의 세척수가 상기 스퀴즈(421)의 내부로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회수탱크(420b)에는 배수관(420e)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420e)에는 배수펌프 및/또는 배수밸브(420f)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에는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세제를 각각 분사할 수 있게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430)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세제공급장치(430)는, 내부에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탱크(430b), 일 측은 상기 세제탱크(430b)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노즐(128)에 연결되는 세제공급관(430a) 및 상기 세제공급관(430a)에 연결되는 세제펌프(430c)를 구비한다. 상기 세제공급관(430a)에는 내부의 유로를 개폐하는 세제밸브(430d)가 구비된다. 상기 세제탱크(430b) 및 상기 세제펌프(430c)는 상기 캐리어(100c)에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세제를 공급하면서도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의 무게 증가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유닛(100a) 및 상기 제2유닛(100b)은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세제의 공급이 가능하면서 경량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에는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왁스를 각각 분사할 수 있게 왁스를 공급하는 왁스공급장치(440)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왁스공급장치(440)는, 내부에 왁스가 수용되는 왁스탱크(440b), 일 측은 상기 왁스탱크(440b)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노즐(128)에 연결되는 왁스공급관(440a) 및 상기 왁스공급관(440a)에 구비되는 왁스펌프(440c)를 구비한다. 상기 왁스공급관(440a)에는 내부의 유로를 개폐하는 왁스밸브(440d)가 구비된다. 상기 왁스탱크(440b) 및 상기 왁스펌프(440c)는 상기 캐리어(100c)에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왁스를 공급하면서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의 무게 증가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은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왁스의 공급이 가능하면서 경량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공급관(410a)에는 상기 세척수펌프(410c)가 연결된다. 상기 세척수공급관(410a), 상기 세제공급관(430a) 및 상기 왁스공급관(440a)은 상기 제1유닛(100a) 및 상기 제2유닛(100b)의 각 노즐(128)에 각각 연결된다. 이에 의해,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세척수, 세제 및 왁스가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각 공급관(세척수공급관(410a), 세제공급관(430a) 및 왁스공급관(440a))은, 예를 들면,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에 각각 연결되는 제1공급관(세척수공급관(410a1), 세제공급관(430a1) 및 왁스공급관(440a1)) 및 제2공급관(세척수공급관(410a2), 세제공급관(430a2) 및 왁스공급관(440a2))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 공급관(세척수공급관(410a), 세제공급관(430a) 및 왁스공급관(440a))은 상기 회수탱크(420b)의 내측에서 상기 각 회수관(420a)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각 공급관(세척수공급관(410a), 세제공급관(430a) 및 왁스공급관(440a))은 상기 제1유닛(100a)에 연결된 제1회수관(420a1) 및 상기 제2유닛(100b)에 연결된 제2회수관(420a2)에 삽입되기 전에 제1공급관(세척수공급관(410a1), 세제공급관(430a1) 및 왁스공급관(440a1)) 및 제2공급관(세척수공급관(410a2), 세제공급관(430a2) 및 왁스공급관(440a2))으로 각각 분기될 수 있다. 상기 각 제1공급관(세척수공급관(410a1), 세제공급관(430a1) 및 왁스공급관(440a1))들은 상기 제1회수관(420a1)의 내부를 따라 상기 제1유닛(100a)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각 제2공급관(세척수공급관(410a2), 세제공급관(430a2) 및 왁스공급관(440a2))들은 상기 제2회수관(420a2)의 내부를 따라 상기 제2유닛(100b)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캐리어(100c)에는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의 각 전기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4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장치(450)는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배터리(45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450a)에는 상기 제1유닛(100a) 및 상기 제2유닛(100b)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450a1)이 구비된다. 상기 전원공급선(450a1)은 상기 제1유닛(100a)에 연결되는 제1전원공급선(450a11) 및 상기 제2유닛(100b)에 연결되는 제2전원공급선(450a12)을 구비한다. 상기 전원공급장치(450)는 상용전원에 연결되어 상용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컨버터(45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장치(450)는 상용전원에 연결되는 플러그(450c)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장치(450)는 상기 제어부(500)에 전원(제어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G)의 청소장치는, 제어프로그램을 구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형태로 구현되는 제어부(50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예를 들면, 조작신호 입력 시, 상기 코너유닛구동부(350), 상기 센터유닛구동부(401a), 상기 세척수공급장치(410), 상기 세척수회수장치(420), 상기 세제공급장치(430) 및 상기 왁스공급장치(440)를 각각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세척수버튼(260d)을 통해 세척수공급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패턴(연속, 간헐, 연속 및 간헐의 조합 등)으로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게 상기 세척수공급장치(410)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 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세제버튼(260e)을 통해 세제공급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패턴(연속, 간헐, 연속 및 간헐의 조합 등)으로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세제가 분사될 수 있게 상기 세제공급장치(430)를 제어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왁스버튼(260f)을 통해 왁스공급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패턴(연속, 간헐, 연속 및 간헐의 조합 등)으로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왁스가 분사될 수 있게 상기 왁스공급장치(440)를 제어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500)에는 상기 복수의 조작버튼(260)이 신호 전달 가능하게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500)에는 상기 코너유닛구동부(350)(제1코너유닛구동부(350a), 제2코너유닛구동부(350b)), 상기 구동모터(401a1), 세척수밸브(410d), 세제밸브(430d), 왁스밸브(440d), 세척수펌프(410c) 및 회수펌프(420c)가 각각 제어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판유리(G)의 청소장치를 이용하여 판유리(G)를 청소하고자 할 때는, 상기 캐리어(100c)를 세척될 판유리(G)의 일 측(실내 또는 실외)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캐리어(100c)로부터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을 인출하고, 상기 판유리(G)의 양 측에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을 분리하여 배치한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100c)가 배치된 영역(예를 들면, 실내)에 상기 제1유닛(100a)이 배치된다.
상기 제1유닛(100a)의 접촉면(126)과 상기 제2유닛(100b)의 접촉면(126)을 서로 대면시키면 상기 제1자력유닛(210)에 의해 발생된 자력에 의해 상기 제2유닛(100b)의 제1흡인유닛(240)이 흡인됨으로써, 상기 제2유닛(100b)은 상기 제1유닛(100a)과 대면된 위치에 부착된다.
상기 제1유닛(100a)의 고정손잡이(130) 또는 회동손잡이(150)를 이용하여 상기 제1유닛(100a)을 이동시키면 상기 제2유닛(100b)은 상기 제1유닛(100a)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1유닛(100a)과 대면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센터유닛(400)의 구동버튼을 조작하여 구동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구동모터(401a1)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센터유닛(400)이 회전구동되게 한다. 상기 구동모터(401a1)가 회전되면 상기 제1유닛(100a)의 회전유닛이 회전되고, 상기 제2자력유닛(401a2)에 의해 발생된 자력에 의해 흡인되어 상기 제2유닛(100b)의 센터유닛(400)이 회전된다.
이에 의해, 상기 판유리(G)의 제1판면 및 제2판면이 동시에 세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유닛(100a)을 기준으로 상기 판유리(G)의 좌측 모서리를 세척하고자 할 때는 상기 제1코너유닛구동부(350a)의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구동신호가 입력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1코너유닛구동부(350a)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유닛(100a)의 좌측 영역의 코너유닛(300)이 상하로 상대운동함으로써, 상기 판유리(G)의 좌측 모서리가 세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유닛(100b)은 상기 제1유닛(100a)에 대응되게 이동되므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2유닛(100b)의 제2코너유닛구동부(350b)에 전원이 인가되게 함으로써, 상기 판유리(G)의 제2판면의 대응 모서리도 동시에 청소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닛(100a)을 기준으로 상기 판유리(G)의 우측 변부를 청소하고자 할 때는 상기 제2코너유닛구동부(350b)의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구동신호가 입력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2코너유닛구동부(350b)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유닛(100a)의 우측 영역의 코너유닛(300)이 상하로 상대 운동함으로써, 상기 판유리(G)의 우측 변부 영역이 세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유닛(100b)은 상기 제1유닛(100a)에 대응되게 이동되므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2유닛(100b)의 해당 코너유닛구동부(350)에 전원이 인가되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판유리(G)의 제2판면의 대응 변부 영역이 동시에 청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세척수를 분사하고자 할 때는, 상기 제1유닛(100a)의 세척수버튼(260d)을 조작하여 세척수 공급 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세척수 공급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세척수밸브(410d)를 개방하고 상기 세척수펌프(410c)가 구동되게 각각 제어한다.
상기 세척수펌프(410c)가 구동되면 상기 세척수탱크(410b)의 내부의 세척수가 세척수공급관(410a)을 따라 이동되고, 제1공급관(410a1) 및 제2공급관(410a2)을 따라 이동된 세척수는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의 각 노즐(128)을 통해 상기 판유리(G)의 해당 판면에 각각 분사된다.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세척수가 분사되면 상기 판유리(G)의 표면의 오염이 상기 판유리(G)의 표면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닛(100a)의 고정손잡이(130) 또는 회동손잡이(150)를 이용하여 상기 제1유닛(100a)을 상기 판유리(G)의 표면을 따라 적절히 이동시키면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세척수가 적절히 분사되고, 상기 센터유닛(400) 및 코너유닛(300)에 의해 상기 판유리(G)의 오염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공급 후 상기 회수버튼(260g)을 조작하여 상기 판유리(G)의 표면의 세척수가 회수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회수버튼(260g)에 의해 세척수 회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회수펌프(420c)가 구동되게 제어한다. 상기 회수펌프(420c)가 구동되면 상기 회수탱크(420b)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부압 상태로 되고, 이에 의해 상기 회수탱크(420b)의 내부와 연통된 상기 회수관(420a)의 내부, 상기 스퀴즈결합부(423)의 내부 및 상기 스퀴즈(421)의 내부는 모두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음압) 상태가 된다.
상기 제1유닛(100a)을 상기 판유리(G)의 판면을 따라 상대 이동시키면 상기 판유리(G)의 표면의 세척수는 상기 스퀴즈(421)의 흡입부(421c)의 개방 시, 상기 흡입부(421c)를 통해 상기 스퀴즈(421)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스퀴즈(421)의 내부로 흡입된 세척수는 상기 스퀴즈결합부(423)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회수관(420a)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회수관(420a)을 따라 이동된 세척수는 상기 회수탱크(420b)의 내부에 저장된다.
한편, 상기 판유리(G)의 표면의 오염 정도에 따라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적절한 세제를 공급하여 상기 판유리(G)의 오염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닛(100a)의 세제버튼(260e)을 조작하여 세제 공급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세제밸브(430d)가 개방되게 제어하고 상기 세제펌프(430c)가 구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세제펌프(430c)가 구동되면 상기 세제가 상기 세제공급관(430a)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의 각 노즐(128)을 통해 상기 판유리(G)의 각 표면으로 각각 분사된다. 상기 제1유닛(100a)을 상기 판유리(G)의 표면을 따라 이동시키면 상기 센터유닛(400) 및/또는 상기 코너유닛(300)에 의해 상기 세제가 분사된 상기 판유리(G)의 표면의 오염이 보다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세제를 공급하여 오염을 제거한 후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판유리(G)의 표면의 세제 및/또는 오염이 제거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세제 및 세척수를 이용하여 상기 판유리(G)의 표면의 오염이 제거되면 상기 판유리(G)의 표면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유닛(100a) 및 상기 제2유닛(100b)의 센터유닛(400) 및 코너유닛(300)의 패드를 수분 제거가 용이한 패드로 교체할 수 있다.
수분이 제거된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왁스를 분사하여 상기 판유리(G)의 표면을 코팅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닛(100a)의 왁스버튼(260f)을 조작하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왁스밸브(440d) 및 상기 왁스펌프(440c)를 제어하여 상기 제1유닛(100a) 및 상기 제2유닛(100b)에 왁스가 각각 공급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1유닛(100a) 및 상기 제2유닛(100b)의 센터유닛(400) 및 코너유닛(300)의 각 패드(400b, 320)는 왁스용 패드로 교체될 수 있다. 상기 왁스용 패드는 상기 판유리(G)의 표면을 연마할 수 있는 연마용 패드로 구성된다. 상기 왁스가 분사된 상기 판유리(G)의 양 판면을 상기 센터유닛(400) 및 상기 코너유닛(300)을 이용하여 연마함으로써,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는 왁스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판유리(G)의 표면에 오염이 부착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의 청소장치의 캐리어의 변형례이고, 도 19는 도 18의 요부확대도이며, 도 20은 도 18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판유리의 청소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제1유닛본체(110a)를 구비하고, 벽, 문 또는 창문에 구비되는 판유리의 제1판면에 배치되는 제1유닛(100a); 및 사각 형상의 제2유닛본체(110b)를 구비하고, 상기 판유리의 제2판면에 배치되는 제2유닛(100b);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유닛본체(110a) 및 상기 제2유닛본체(110b)는 상기 판유리의 판면에 각각 접촉되는 접촉면(126)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접촉면(126)에 구비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제1자력유닛(210);을 구비하고,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접촉면(126)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자력유닛(210)에 의해 발생된 자력에 의해 흡인되는 제1흡인유닛(240);을 구비하며, 상기 제1유닛(100a) 및 상기 제2유닛(100b)은, 상기 판유리의 제1판면 및 제2판면의 코너를 각각 청소하는 코너유닛(300); 및 상기 코너유닛(300)을 상기 제1유닛본체(110a) 및 상기 제2유닛본체(110b)에 대해 각각 상대 운동되게 구동시키는 코너유닛구동부(350);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코너유닛(300)은 상기 제1유닛(100a) 및 상기 제2유닛(100b)의 각 접촉면(126)으로부터 이격되게 각각 설치되게 구성된다.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에는 상기 판유리의 표면에 세척액(세척수)을 분사할 수 있게 노즐(128)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노즐(128)은 복수 개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128)에는 세척액을 공급하는 공급관(410a)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세척액(세척수)은, 세척수, 세제 및 왁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급관(410a)은, 상기 제1유닛본체(110a) 및 상기 제2유닛본체(110b)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노즐(128)을 연결하는 내부공급관(410a1) 및 일단은 상기 내부공급관(410a1)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제1유닛본체(110a) 및 상기 제2유닛본체(110b)의 외부로 연장되는 외부공급관(410a2)을 구비한다.
상기 제1유닛(100a) 및 상기 제2유닛(100b)에는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 캐리어(100c)가 구비된다.
상기 캐리어(100c)에는 상기 노즐(128)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장치(410)가 구비된다.
상기 세척수공급장치(410)는, 내부에 세척수가 수용되는 세척수탱크(410b), 일 단부가 상기 세척수탱크(410b)의 내부의 세척수에 잠기게 설치되는 세척수공급관(410a) 및 상기 세척수공급관(410a)의 유로를 개폐하는 세척수밸브(410d)를 구비한다.
상기 캐리어(100c)에는 상기 노즐(128)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430)가 구비된다.
상기 세제공급장치(430)는, 내부에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탱크(430b), 일 단부가 상기 세제탱크(430b)의 내부의 세제에 잠기게 설치되는 세제공급관(430a) 및 상기 세제공급관(430a)의 유로를 개폐하는 세제밸브(430d)를 구비한다.
상기 캐리어(100c)에는 상기 노즐(128)에 왁스를 공급하는 왁스공급장치(440)가 구비된다.
상기 왁스공급장치(440)는, 내부에 왁스가 수용되는 왁스탱크(440b), 일단부가 상기 왁스탱크(440b)의 내부의 왁스에 잠기게 설치되는 왁스공급관(440a) 및 상기 왁스공급관(440a)의 유로를 개폐하는 왁스밸브(440d)를 구비한다.
상기 캐리어(100c)에는 상기 판유리(G)의 세척수(세척액)를 회수하여 제거하는 세척수회수장치(420)가 구비된다.
상기 세척수회수장치(420)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회수탱크(420b), 일 단부는 상기 회수탱크(420b)의 내부에 설치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에 각각 연결되는 회수관(420a), 상기 회수탱크(420b)의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내부를 부압상태로 되게 하는 회수펌프(420c)를 구비한다.
상기 캐리어(100c)에는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의 각 전기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4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장치(450)는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배터리(45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450a)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450a1)이 구비된다. 상기 전원공급선(450a1)은 상기 제1유닛(100a)에 연결되는 제1전원공급선(450a11) 및 상기 제2유닛(100b)에 연결되는 제2전원공급선(450a12)을 구비한다. 상기 전원공급장치(450)는 상용전원에 연결되어 상용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컨버터(45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장치(450)는 상용전원에 연결되는 플러그(450c)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척수, 세제 및 왁스는 단일의 공통공급관(410a21)을 이용하여 공급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노즐(128)은 내부공급관(410a1)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공급관(410a1)에는 세척수공급관(410a), 세제공급관(430a) 및 왁스공급관(440a)이 각각 연결되게 구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공통공급관(410a21)이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각 세척액을 연결하는 구성이 단순화할 수 있다.
상기 공통공급관(410a21)은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통공급관(410a21)은 상기 제1회수관(420a1) 및 제2회수관(420a2)의 내부에 삽입되기 전에 분기될 수 있다. 상기 공통공급관(410a21)은 상기 제1회수관(420a1)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외부공급관(410a221) 및 상기 제2회수관(420a2)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외부공급관(410a222)으로 분기된다.
상기 공통공급관(410a21)에는 상기 노즐(128)에 세척액을 공급하는 공급펌프(415)가 구비된다.
상기 공급펌프(415)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공급펌프(415)는 정회전 시 세척액이 상기 노즐(128)로 공급되게 구성된다. 상기 공급펌프(415)는 역회전 시 상기 공통공급관(410a21)의 내부의 세척액이 회수되게 구성된다.
한편,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판유리의 청소장치는 제어프로그램을 구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되는 제어부(50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5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조작버튼(260)이 신호 전달 가능하게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세척수버튼(260d)의 조작 시 상기 세척수공급유로는 개방되고, 상기 세제공급유로 및 왁스공급유로는 차단되게 상기 공급펌프(415), 상기 세척수밸브(410d), 상기 세제밸브(430d) 및 상기 왁스밸브(440d)를 각각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세제버튼(260e)의 조작시, 상기 세제공급유로는 개방되고 상기 세척수공급유로 및 왁스공급유로는 차단되게 상기 공급펌프(415), 상기 세척수밸브(410d), 상기 세제밸브(430d) 및 상기 왁스밸브(440d)를 각각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세제공급유로가 개방되게 상기 세제밸브(430d)를 개방되게 제어하고, 상기 세척수공급유로는 차단되게 상기 세척수밸브(410d)를 차단되게 제어하고, 상기 왁스공급유로는 차단되게 상기 왁스밸브(440d)를 차단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왁스버튼(260f)의 조작 시, 상기 왁스공급유로는 개방되고 상기 세척수공급유로 및 세제공급유로는 각각 차단되게 상기 공급펌프(415), 상기 세척수밸브(410d), 상기 세제밸브(430d) 및 상기 왁스밸브(440d)를 각각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세척액(세척수, 세제 및 왁스) 중 어느 하나의 공급 종료 후, 상기 공급펌프(415)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역회전하여 해당 세척액을 회수하는 해당 세척액 회수과정을 수행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세척액, 즉 세척수, 세제 및 왁스 가 서로 섞이게 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해당 세척액 회수과정 수행 시, 해당 세척액 공급유로는 개방되고 다른 세척액 공급유로는 각각 차단될 수 있게 상기 세척수밸브(410d), 상기 세제밸브(430d) 및 상기 왁스밸브(440d)를 각각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판유리의 청소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세척액의 공급과정 및 해당 세척액 회수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세척수버튼(260d)에 의한 세척수 공급 신호가 입력되면, 세척수공급유로가 개방되게 상기 세척수밸브(410d)를 개방하고, 상기 공급펌프(415)를 정회전되게 구동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세척수탱크(410b)의 내부의 세척수가 세척수공급관(410a), 공통공급관(420a21)을 경유하여 제1외부공급관(410a221) 및 제2외부공급관(410a222)을 경유하여 상기 제1유닛(100a) 및 제2유닛(100b)의 각 노즐(128)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세척수 공급이 종료되면, 상기 세척수공급유로는 개방되고, 상기 세제공급유로 및 상기 왁스공급유로는 각각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펌프(415)를 역회전되게 제어한다. 이에 의해, 상기 노즐(128)을 통해 공기가 각각 흡입되고, 상기 공통공급관(420a21)의 내부의 세척수는 상기 세척수공급유로를 따라 상기 세척수탱크(410b)의 내부로 회수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세제버튼(260e)에 의한 세제 공급 신호가 입력되면, 세제공급유로가 개방되게 상기 세제밸브(430d)를 제어하고, 상기 공급펌프(415)를 정회전되게 제어한다. 이에 의해, 상기 세제가 상기 세제공급유로를 따라 상기 노즐(128)로 이동되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세제공급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세제공급유로는 개방되고 상기 세척수공급유로 및 왁스공급유로는 각각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펌프(415)가 역회전되게 제어한다. 이에 의해, 상기 공통공급관(420a21)의 내부의 세제가 상기 세제탱크(430b)의 내부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왁스버튼(260f)에 의한 왁스 공급 신호가 입력되면, 왁스공급유로가 개방되게 상기 왁스밸브(440d)를 제어하고, 상기 공급펌프(415)를 정회전되게 제어한다. 이에 의해, 상기 왁스가 상기 왁스공급유로를 따라 상기 노즐(128)로 이동되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왁스공급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왁스공급유로는 개방되고 상기 세척수공급유로 및 세제공급유로는 각각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펌프(415)가 역회전되게 제어한다. 이에 의해, 상기 공통공급관(420a21)의 내부의 왁스가 상기 왁스공급유로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왁스탱크(440b)의 내부로 회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직사각 형상의 제1유닛본체를 구비하고, 벽, 문 또는 창문에 구비되는 판유리의 제1판면에 배치되는 제1유닛; 및
    직사각 형상의 제2유닛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판유리의 제2판면에 배치되는 제2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는 상기 판유리의 판면에 각각 접촉되는 접촉면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1유닛 및 제2유닛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접촉면에 구비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제1자력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유닛 및 제2유닛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접촉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자력유닛에 의해 발생된 자력에 의해 흡인되는 제1흡인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은, 상기 판유리의 제1판면 및 제2판면의 코너를 각각 청소할 수 있게 각각 코너에 구비되는 코너유닛; 및 전원 인가 시, 상기 코너유닛을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에 대해 각각 상대 운동되게 구동시키는 코너유닛구동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코너유닛은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의 각 접촉면으로부터 이격되게 각각 설치되고,
    상기 코너유닛은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의 각 접촉면이 상기 판유리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에 대해 상대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코너유닛은, 상기 판유리의 판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유닛본체 또는 상기 제2유닛본체에 구비되는 패드지지부; 및 상기 패드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코너유닛구동부는, 전원 인가 시, 상기 패드가 상기 판유리의 표면을 문지르게 상기 코너유닛을 상기 판유리의 표면에 대해 왕복 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청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유닛은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의 4개의 코너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청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지지부는, 서로 직각을 이루는 2개의 변을 구비하고, 상기 서로 직각을 이루는 2개의 변은 사각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의 각 변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판유리의 청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유닛구동부는, 상기 패드지지부를 왕복운동시키는 솔레노이드 또는 전기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청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닛 및 제2유닛은 상기 코너유닛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센터유닛;을 각각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청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유닛은,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디스크; 및 상기 제1유닛본체 또는 상기 제2유닛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크를 회전구동시키는 센터유닛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청소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유닛구동부는, 상기 디스크의 회전축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청소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유닛구동부는,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디스크에 구비되는 제2자력유닛 및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 디스크에 구비되어 상기 제2자력유닛에 의해 발생된 자력에 의해 흡인되어 회전되는 제2흡인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청소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닛본체에는 상대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손잡이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청소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에는 상기 판유리에 세척수, 세제 및 왁스를 분사할 있게 노즐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에는 상기 노즐에 세척수, 세제 및 왁스를 각각 공급하는 세척수공급장치, 세제공급장치 및 왁스공급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청소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에는 상기 판유리를 세척한 세척수를 회수하는 세척수회수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청소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회수장치는,
    상기 제1유닛본체 및 상기 제2유닛본체의 각 테두리를 따라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세척수 회수유로가 형성되는 스퀴즈;
    회수된 세척수가 저장되는 회수탱크;
    일 측은 상기 회수탱크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스퀴즈에 각각 연통되게 연결되는 회수관; 및
    상기 회수탱크의 내부에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을 형성하는 회수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청소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닛본체에는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조작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회수관의 내부에는 상기 노즐에 연결되는 공급관 및 전기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청소장치.
  14.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에는 상기 판유리에 세척수, 세제 및 왁스 중 어느 하나의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게 노즐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에는 상기 노즐에 상기 세척수, 세제 및 왁스중 어느 하나의 세척액을 공급하는 공급관 및 상기 세척수, 세제 및 왁스 중 어느 하나의 세척액을 펌핑하는 공급펌프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청소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에는 세척수공급관, 세제공급관 및 왁스공급관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세척수공급관에는 세척수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세제공급관에는 세제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왁스공급관에는 왁스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세척수, 세제 및 왁스 중 어느 하나의 세척액의 공급 종료 후 해당 세척액이 회수되게 상기 공급펌프, 세척수밸브, 세제밸브 및 왁스밸브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판유리의 청소장치.
KR1020190070910A 2019-06-14 2019-06-14 판유리의 청소장치 KR102168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910A KR102168080B1 (ko) 2019-06-14 2019-06-14 판유리의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910A KR102168080B1 (ko) 2019-06-14 2019-06-14 판유리의 청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8080B1 true KR102168080B1 (ko) 2020-10-20

Family

ID=73025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910A KR102168080B1 (ko) 2019-06-14 2019-06-14 판유리의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80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719B1 (ko) * 2020-11-19 2022-02-07 고성혁 자석식 유리창 외부 청소기
CN115041440A (zh) * 2022-05-24 2022-09-13 国网山东省电力公司菏泽供电公司 一种车辆管理用指示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160A (ko) * 1999-09-20 1999-12-06 이보신 유리창 세척기
KR200322362Y1 (ko) * 2003-04-29 2003-08-06 최현규 프로그램에 의한 유리창 자동청소기 세트
KR101198151B1 (ko) * 2010-04-13 2012-11-12 주식회사 일심글로발 창문 청소 로봇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60008498A (ko) 2013-05-20 2016-01-2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유리창 청소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90035006A (ko) 2017-09-25 2019-04-03 (주)알에프 유리창 청소 조절수단을 갖는 유리창 청소로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160A (ko) * 1999-09-20 1999-12-06 이보신 유리창 세척기
KR200322362Y1 (ko) * 2003-04-29 2003-08-06 최현규 프로그램에 의한 유리창 자동청소기 세트
KR101198151B1 (ko) * 2010-04-13 2012-11-12 주식회사 일심글로발 창문 청소 로봇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60008498A (ko) 2013-05-20 2016-01-2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유리창 청소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90035006A (ko) 2017-09-25 2019-04-03 (주)알에프 유리창 청소 조절수단을 갖는 유리창 청소로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719B1 (ko) * 2020-11-19 2022-02-07 고성혁 자석식 유리창 외부 청소기
CN115041440A (zh) * 2022-05-24 2022-09-13 国网山东省电力公司菏泽供电公司 一种车辆管理用指示牌
CN115041440B (zh) * 2022-05-24 2024-01-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菏泽供电公司 一种车辆管理用指示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1343B2 (en) Robot cleaner and maintenance device for the same
TW202211857A (zh) 一種送水機構及自動清潔設備
KR102168080B1 (ko) 판유리의 청소장치
KR102273415B1 (ko) 휠 추진식 조향 가능 바닥 청소 기계
WO2022171091A1 (zh) 一种自动清洁设备
WO2022142147A1 (zh) 一种自动清洁设备
EP4371460A1 (en) Base station and cleaning robot system
CN112806916B (zh) 一种自动清洁设备
KR101966083B1 (ko) 로봇 걸레청소기
CN113693497A (zh) 一种自动清洁设备
CN215687460U (zh) 一种自动清洁设备
KR101471905B1 (ko) 스파이더 유리창 청소로봇
CN215305507U (zh) 一种自动清洁设备
CN113679292A (zh) 一种自动清洁设备
CN116965730A (zh) 一种四轮足磁吸爬壁清洁机器人
KR102162310B1 (ko) 판유리의 청소장치
CN215272471U (zh) 一种可震动拖布及自动清洁设备
CN215959618U (zh) 一种自动清洁设备
CN215305506U (zh) 一种自动清洁设备
JP2001128900A (ja) ガラス清掃方法及びその装置
CN220512762U (zh) 清洗装置及具有此清洗装置的清洗设备
CN214804465U (zh) 一种清洁用拖布及自动清洁设备
KR102357719B1 (ko) 자석식 유리창 외부 청소기
WO2022171106A1 (zh) 一种可震动拖布及自动清洁设备
CN216797557U (zh) 清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